KR20180073630A - 브레이스재 및 브레이스재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브레이스재 및 브레이스재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630A
KR20180073630A KR1020187014324A KR20187014324A KR20180073630A KR 20180073630 A KR20180073630 A KR 20180073630A KR 1020187014324 A KR1020187014324 A KR 1020187014324A KR 20187014324 A KR20187014324 A KR 20187014324A KR 20180073630 A KR20180073630 A KR 20180073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axial force
tube
reinforcing
forc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5293B1 (ko
Inventor
토모히로 키노시타
타쿠미 이시이
타카히토 이토
유키오 무라카미
미츠토시 요시나가
카즈아키 미야가와
와타루 키타무라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프이 시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프이 시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3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변형 성능이 높은 브레이스재와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브레이스재(100)는, 봉 모양의 축력재(10)와, 축력재가 내부를 관통하는 보강관(20)과, 보강관(20)의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인 고정측 단부에 접합되고, 또한 축력재(10)의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에 접합되는 고정측 구금(30)과, 축력재(10)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단부에 접합되는 접동측 구금(60)과, 보강관(20)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단부인 접동측 단부 또는 접동측 구금(60)에 착탈 가능하게 접합되는 소켓관(50)을 구비한다. 고정측 구금(30) 및 접동측 구금(60)은, 건축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한 조인트가 되는 접합 요소(40)를 구비하며, 소켓관(50)은, 접동측 단부의 외주부 및 접동측 구금(60)의 외주부를 포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브레이스재 및 브레이스재의 조립 방법{BRACE MEMBER AND METHOD FOR ASSEMBLING BRACE MEMBER}
본 발명은, 지진 발생 시의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는 축력재(軸力材)와, 이를 보강하는 보강관(補剛管)을 구비하는 브레이스재 및 브레이스재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브레이스재(材)는,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여, 건축 구조물의 기둥이나 들보 등의 주요 구조 부재의 손상을 저감하기 위한 내진(耐震), 제진(制震)·내진 댐퍼로서 건축 구조물에 설치된다. 좌굴(座屈) 구속 브레이스는, 일반적으로는 축력재, 보강관, 및 주프레임(主架構)에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로 구성된다. 지진에 의한 건축 구조물의 진동에 의해, 좌굴 구속 브레이스는 축방향으로 압축된다. 좌굴 구속 브레이스의 축방향 압축은, 좌굴 구속 브레이스의 축력재가 부담한다. 축방향 압축에 의해 축력재가 좌굴하는 일없이 브레이스재의 축방향으로 소성(塑性) 변형하도록, 좌굴 구속 브레이스는, 축력재의 휨 및 좌굴을 보강하는 보강관을 구비하고 있다. 보강관은, 브레이스재에 입력된 축력(軸力)을 부담하는 일없이, 축력재의 좌굴 구속재로서 축력재의 주위를 덮도록 설치되고 있다. 좌굴 구속 브레이스는, 상기 구조에 의해, 압축 축력 작용 시에도 축력재의 전체 좌굴의 발생을 방지 내지는 발생 시기를 늦추고, 안정된 축방향 변형을 생기게 하여, 지진 에너지의 흡수 능력을 크게 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 기술로서, 축력재와 보강재를 소정의 형태로 배치하기 위한 용접 작업을 배제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중량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브레이스재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개2013-112949호 공보 (제4-5페이지, 도 1)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브레이스재는, 보강관을 관통하는 봉강(棒鋼)으로 이루어지는 축력재의 양단에, 각각 클레비스가 나사 접속되어 있다. 보강관의 한쪽 단부는, 보강관 및 축력재에 각각 나합(螺合)하는 멈춤 링을 통해, 축력재의 한쪽 단부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축력재의 다른쪽 단부에는,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슬리브가 나사 고정되며, 슬리브는 길이방향의 대략 절반이 보강관 내에 관입(貫入)하고, 나머지 대략 절반이 보강관으로부터 노출해 있다. 이때, 슬리브의 외주(外周)와 보강관의 내주(內周) 사이에, 소정 크기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브레이스재는, 용접 작업을 하는 일없이, 축력재를 보강관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슬리브의 판 두께는, 보강관의 내경과 축력재의 외경과의 차의 절반보다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보강관의 내면은, 축력재의 휨을 작게 하여 충분한 보강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 축력재의 외면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슬리브가 취할 수 있는 판 두께에는 자연히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에 의해, 슬리브의 굽힘 내력이 작은 경우에는, 슬리브의 보강관으로부터 노출해 있는 범위에 굽힘에 의한 항복이 생길 우려가 있다. 슬리브가 고정되어 있는 측의 보강관의 단면(端面)으로부터, 슬리브가 있는 측의 축력재의 단부에 고정된 클레비스까지의 사이는, 보강관에 축력이 전해지는 일없이 축방향으로 신축시킬 목적에서 설치된, 브레이스재의 수축 여유(縮代)로서, 축력재의 주위를 보강관으로 덮고 있지 않다. 또한, 보강관의 단면으로부터 클레비스까지 사이의 축력재의 주위는, 슬리브에 의해 덮여 있다. 그러나, 슬리브가 항복한 경우는, 브레이스 양단은 클레비스에 의해 핀 지지되어 있으므로 구조 전체가 불안정해져, 브레이스가 전체 좌굴할 우려가 있었다. 브레이스의 수축 여유 부분에 있어서의 축력재의 절곡(折曲)을 방지하고, 보강관의 굽힘 강성 및 항복 내력을 적합하게 확보하며, 제작 시에 브레이스의 수축 여유를 적합하게 관리하여, 보강관에 축력이 과대하게 작용하지 않도록 해서 브레이스의 전체 좌굴을 방지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슬리브를 대신할 기구에 의해 축력재를 적절하게 구속하고, 축력재가 보강관 단부의 보강관으로 덮여 있지 않은 부분에서 회전 변형하여 소성화(塑性化)하는 일이 없는, 굽힘 내력을 높인(내력이 큰) 브레이스재가 요청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요청에 부응하는 것으로서, 좌굴 구속재(보강관) 단부에 있어서 축력재의 회전 변형을 적절히 구속하고, 좌굴 구속재(보강관)에 축력이 전해지는 일없이 축방향으로 신축하기 위한 수축 여유를 적정하게 확보할 수 있는 브레이스재 및 그 브레이스재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스재는, 봉 모양의 축력재와, 상기 축력재가 내부를 관통하는 보강관과, 상기 보강관의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인 고정측 단부에 접합되고, 또한 상기 축력재의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에 접합되는 고정측 구금(口金, base)과, 상기 축력재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단부에 접합되는 접동(slide)측 구금과, 상기 보강관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단부인 접동측 단부 또는 상기 접동측 구금에 착탈 가능하게 접합되는 소켓관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측 구금 및 상기 접동측 구금은, 건축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한 조인트가 되는 접합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관은, 상기 접동측 단부의 외주부 및 상기 접동측 구금의 외주부를 포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1)의 브레이스재에 있어서, 상기 소켓관과 상기 보강관 또는 상기 접동측 구금은, 나사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상기 (1) 및 (2)의 브레이스재에 있어서, 상기 축력재는, 양측의 단부에 수나사를 가지며, 상기 고정측 구금 및 상기 접동측 구금은, 상기 축력재가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며, 그 구멍은, 원통부와, 상기 축력재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봐서 그 원통부의 안쪽에, 상기 축력재가 나합하는 암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축력재와 상기 고정측 구금 및 상기 접동측 구금은, 상기 수나사와 상기 암나사의 나합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상기 (1)∼(3)의 브레이스재에 있어서, 상기 접동측 구금은, 상기 보강관의 상기 접동측 단부의 단면으로부터 해당 단면과 대향하는 상기 접동측 구금의 면까지의 사이에 간극이 있도록 상기 축력재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상기 (1)∼(4)의 브레이스재에 있어서, 상기 접합 요소는, 상기 축력재 및 상기 보강관이 접합되어 있는 측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고정측 구금 및 상기 접동측 구금의 각각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또한, 상기 (1)∼(5)의 브레이스재에 있어서, 상기 소켓관의 상기 보강관을 포위하는 범위의 내경은,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고, 해당 범위의 외경은, 상기 보강관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스재의 조립 방법은, 봉 모양의 축력재와, 상기 축력재가 내부를 관통하는 보강관과, 상기 보강관의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인 고정측 단부에 접합되고, 또한 상기 축력재의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에 접합되는 고정측 구금과, 상기 축력재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단부에 접합되는 접동측 구금과, 상기 보강관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단부인 접동측 단부 또는 상기 접동측 구금에 착탈 가능하게 접합되는 소켓관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측 구금 및 상기 접동측 구금은, 건축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한 조인트가 되는 접합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관은, 상기 접동측 단부의 외주부 및 상기 접동측 구금의 외주부를 포위하는 브레이스재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고정측 구금과 상기 축력재를 접합하는 고정측 구금 접합 공정과, 상기 고정측 구금과 상기 보강관을 접합하는 보강관 고정 공정과, 상기 보강관의 상기 접동측 단부의 외주부에 상기 소켓관을 통과시키는 소켓관 감합(嵌合) 공정과, 상기 접동측 구금과 상기 축력재를 접합하는 접동측 구금 고정 공정과, 상기 소켓관을 상기 보강관 또는 상기 접동측 구금에 접합하는 소켓관 접합 공정을 가지며, 상기 소켓관 접합 공정은, 상기 고정측 구금 접합 공정, 상기 보강관 고정 공정, 상기 소켓관 감합 공정, 및 상기 접동측 구금 고정 공정 후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상기 (7)의 브레이스재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동측 구금 고정 공정은, 상기 고정측 구금 접합 공정 및 상기 보강관 고정 공정 후에 실시되고, 상기 보강관의 상기 접동측 단부의 단면으로부터 해당 단면과 대향하는 상기 접동측 구금의 면까지의 간극 조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스재는, 보강관의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고정측 단부)가 고정측 구금에 접합되고, 보강관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단부(접동측 단부)의 외주가 소켓관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소켓관은, 보강관의 외주를 포위하는 것으로, 외경 치수 및 판 두께의 제약이 없어,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켓관의 굽힘 내력 및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강관의 접동측 단부와 접동측 구금 사이는, 강성이 높은 소켓관에 의해 변형이 구속되어 있으며, 보강관의 접동측 단부와 접동측 구금 사이의 축력재의 좌굴, 굽힘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굽힘 내력이 높고, 좌굴이 생기기 어려운 브레이스재가 얻어진다.
(ii) 소켓관과 보강관 또는 접동측 구금은, 착탈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브레이스재의 제조 시에 용이하게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보강관의 접동측 단부와 접동측 구금 사이의 치수가 시인(視認) 가능하게 되어 있어, 제조 시의 해당 치수 관리가 용이하고, 더 나아가서는 브레이스재의 변형 성능의 관리가 용이해져, 신뢰성이 높은 브레이스재가 얻어진다. 브레이스재가 건축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지진 등에 의한 건물의 진동이 브레이스재에 입력된 후에, 소켓관을 제외하고, 보강관의 접동측 단부와 접동측 구금 사이에서 축력재를 눈으로 보고 확인한다. 이에 의해, 축력재의 손상 상황을 직접 보고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ii) 축력재는, 고정측 구금 및 접동측 구금에 구비된 구멍에 삽입되며, 그 구멍의 원통부의 안쪽에 있는 암나사로 나합하여 접합된다. 이 구성에 의해, 축력재에 설치된 수나사에 굽힘 변형이 생긴 경우에도, 축력재의 수나사 주변에서의 굽힘 변형을 원통부로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축력재의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v) 보강관의 접동측 단부의 단면으로부터 해당 단면과 대향하는 접동측 구금의 면(단면)까지의 사이에 간극을 갖고서 접동측 구금이 접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브레이스재에 건축 구조물로부터의 힘이 가해져도, 보강관의 축방향으로는 힘(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 구조에 의해, 보강관의 강도를 강하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강관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v) 접합 요소는, 축력재 및 보강관이 접합되어 있는 측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고, 고정측 구금 및 접동측 구금의 각각에 접합되어 있다. 접합 요소를 고정측 구금 및 접동측 구금과는 별체(別體)로 하여, 나중에 접합하는 것에 의해, 접합 요소를 공통화하여, 비용을 낮출 수 있다. 각 건축 구조물에 대응하여, 접합 요소를 바꾸는 것도 가능해진다.
(vi) 보강관을 포위하는 범위의 소켓관의 내경은,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고, 해당 범위의 외경은, 상기 보강관의 길이방향(축방향)의 중앙에 가까워질수록 작은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소켓관의 외경을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길이방향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브레이스재의 강도를 확보한 상태에서, 경량화의 촉진 및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vii) 소켓관 접합 공정은, 고정측 구금 접합 공정, 보강관 고정 공정, 소켓관 감합 공정, 및 접동측 구금 고정 공정 후에 실시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보강관의 접동측 단부와 접동측 구금 사이의 치수를 시인하면서 브레이스재를 조립할 수 있다.
(viii) 접동측 구금 고정 공정은, 보강관의 접동측 단부의 단면으로부터 해당 단면과 대향하는 접동측 구금의 면까지의 거리를 조정하는 간극 조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보강관의 접동측 단부와 접동측 구금 사이의 치수를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어, 더 정밀도가 양호한 치수 관리가 가능해진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브레이스재의 측면도이다.
[도 2] 도 2는, 도 1의 브레이스재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단면(斷面)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도 3은, 도 1의 브레이스재의 고정측 구금측의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4] 도 4는, 도 1의 브레이스재의 접동측 구금측의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5] 도 5는, 비교예인 종래 브레이스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브레이스재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재하(載荷) 시험에 제공하는 시험체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각 부의 길이를 정의하는 측면 시점의 단면도이다.
[도 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브레이스재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재하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하중-변형 선도(線圖)로서, (a)는 시험체 No.1의 결과, (b)는 시험체 No.2의 결과이다.
[도 8] 도 8은, 비교재로서의 종래 브레이스재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재하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하중-변형 선도이다.
[도 9]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브레이스재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소켓관 주변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은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각 부재의 상대적인 크기나 판 두께 등은 도시하는 치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각 구성 부재의 크기의 관계가 실제의 것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도면에 있어서 각 부분에 붙여진 부호에 관하여, 숫자 이외의 첨자(a, b 등)를 붙이고 있지 않은 경우는, 첨자가 붙여진 부호를 총칭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브레이스재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브레이스재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브레이스재의 길이방향은,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좌측을 「길이방향의 한쪽」으로, 우측을 「길이방향의 다른쪽」으로 칭한다.
브레이스재(100)는, 봉 모양의 축력재(10)와, 축력재(10)의 외주를 덮는 원통 형상의 보강관(20)을 가진다. 중심축(101)은, 브레이스재(100)의 중심축이며, 축력재(10)의 중심축과 동일하다. 보강관(20)의 중심도 중심축(101)과 동일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축력재(10)는, 원통 형상의 보강관(20)의 내부 중심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이다. 축력재(10)는, 보강관(20)에 의해 외주가 포위되어, 변형이 구속된다. 축력재(10)의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11a)는, 고정측 구금(30)에 접합되어 있다. 보강관(20)의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인 고정측 단부(21a)도, 고정측 구금(30)에 접합되어 있다.
축력재(10)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단부(11b)는, 접동측 구금(60)에 접합되어 있다. 보강관(20)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단부인 접동측 단부(21b)는, 접동측 구금(60)으로부터 거리 A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즉, 보강관(20)의 접동측 단부(21b)의 단면으로부터, 그 단면과 대향하는 접동측 구금(60)의 면까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있다. 보강관(20)의 접동측 단부(21b)는, 내부가 원통 형상인 소켓관(50)에 의해 외주가 포위되어 있다. 소켓관(50)의 접동측 구금(60)측의 단부는, 접동측 구금(60)에 착탈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고정측 구금(30) 및 접동측 구금(60)은, 축력재(10)가 접합되어 있는 측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클레비스(40)가 접합되어 있다. 클레비스(40)는, 본 발명의 「접합 요소」에 상당하는 것이다. 클레비스(40)는, 고정측 구금(30)에 접합되어 있는 쪽을 클레비스(40a), 접동측 구금(60)에 접합되어 있는 쪽을 클레비스(40b)로 칭한다. 또한, 클레비스(40a)를, 본 발명의 「제1 접합 요소」로 칭하고, 클레비스(40b)를, 「제2 접합 요소」로 칭한다. 클레비스(40)는, 브레이스재(100)를 건축 구조물(도시하지 않음)에 설치하기 위한 조인트가 된다.
도 3은, 도 1의 브레이스재의 고정측 구금(30)측의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브레이스재의 접동측 구금(60)측의 단면의 확대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4에 근거해서, 각 부품의 상세에 관하여 설명한다.
(축력재)
축력재(10)는, 긴 부재(長尺材)로서, 단면 원형의 봉강(棒鋼)이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단면 원형의 철강제 봉재인 축력재(10)가 나타나 있다. 축력재(10)는, 강관 또는 평판을 단면 십자(十字)로 접합한 것이어도 되고, 브레이스재(100)의 중심축(101)에 대해 수직인 면으로 자른 단면 형상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축력재(10)의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11a)에는, 수나사(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력재(10)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단부(11b)에는, 수나사(1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력재(10)는, 소성 변형 가능한 재료에 의해 형성하면, 축력재(10)가 소성 변형할 때에 브레이스재(100)에 입력된 에너지를 흡수하여, 더 높은 내진, 제진 댐퍼로서의 효과가 얻어진다. 축력재(10)의 외주면과 보강관(20)의 내주면이 접동할 때의 이음(異音)을 방지하기 위해, 및 축력재(10)와 보강관(20)의 마찰에 의한 축력의 과대한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축력재(10)의 외주면에 예를 들면 합성수지제의 라이너재(材)를 설치해도 된다.
(보강관)
보강관(20)은, 단면 원형의 강관이며, 관 내부에 축력재(10)가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보강관(20)은, 원통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보강관(20)은, 축력재(10)가 축력에 의해 휘어진 때에, 축력재(10)가 좌굴하지 않도록 그 휨을 구속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보강관(20)은, 단면이 사각형인 통이어도 된다.
보강관(20)의 길이방향 치수는, 축력재(10)의 한쪽 단부(11a) 및 보강관(20)의 고정측 단부(21a)가 고정측 구금(30)에 고정된 때에, 보강관(20)의 접동측 단부(21b)로부터 축력재(10)의 다른쪽 단부(11b)가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보강관(20)은, 축력재(10)보다도 짧다. 또한, 보강관(20)의 고정측 단부(21a)에는, 외주측에 수나사(22a)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22a)는, 고정측 구금(30)에 형성된 보강관 나합 암나사부(34)와 나합한다. 고정측 구금(30)에 있어서, 보강관(20)과 축력재(10)가 길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보강관(20)의 접동측 단부(21b)의 단면으로부터, 축력재(10)의 단부(11b)에 접합되어 있는 접동측 구금(60)의 단면까지는, 거리 A가 취해지고 있다. 실시 형태 1에서는, 거리 A가 취해지고 있는 것에 의해, 보강관(20)에는 축력(브레이스재(100)의 중심축(101)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입력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 브레이스재(100)를 설계할 수 있다. 보강관(20)에 축력이 입력되지 않는 전제에서 설계하면, 보강관(20)은, 축력이 작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판 두께를 얇게, 또한 외경을 더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강관(20)을 크게 할 필요가 없어, 브레이스재(100)의 비용 및 중량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관(20)에 축력이 전해지지 않도록, 거리 A를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브레이스의 변형 성능을 담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해진다. 또한, 거리 A는, 브레이스재(100)의 크기, 재료, 적용되는 건축 구조물에 의해 적합하게 결정된다.
(고정측 구금)
고정측 구금(30)은, 원주(圓柱) 형상이며, 원주 형상의 한쪽 단부로부터 중심으로 구멍(31)이 뚫려 있다. 구멍(31)의 안쪽은, 암나사(33)가 형성되어 있다. 축력재(10)는, 수나사(12a)가 구멍(31)에 삽입되어 구멍(31)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33)와 나합해서, 고정측 구금(30)과 접합된다. 구멍(31)은, 고정측 구금(30)을 관통하고 있어도, 막힌 구멍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구멍(31)이 한쪽으로부터 축력재(10)를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암나사(33)보다도 앞쪽측에 축력재(10)가 변형한 때에 접촉하는 지지부(32)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축력재(10)가 축력을 받은 경우의 수나사(12a)에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축력재(10)의 수나사(12a)는, 상대 부품인 고정측 구금(30)과 나합하지만, 브레이스재(100)가 완성된 상태에 있어서 암나사(33)의 입구 부에서 암나사와 나합하지 않는 수나사부(13a)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 수나사부(13a)는, 구체적으로는 수나사(12a)의 불완전 나사부인지, 축력재(10)나 고정측 구금(30)의 치수 오차에 의해 암나사(33)보다 수나사(12a)가 길기 때문에 나합하지 않는 부분이다.
축력재(10)는, 건축 구조물의 진동에 의해 축력을 받아 변형하며, 그때에 굽힘방향으로 변형을 생기게 하는 경우가 있다. 나합하지 않는 수나사부(13a)는, 나사산이 잘려 있어 축력재(10)의 다른 원주 형상 부분과 비교해서 단면적이 작기 때문에 강도 및 강성이 낮고, 또한 나사의 골 형상에 의해 응력 집중하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축력재(10)가 변형할 경우, 나합하지 않는 수나사부(13a)부터 변형하여, 축력재(10)의 파손의 기점이 되어 버릴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축력재(10)가 변형한 경우에, 축력재(10)를 지지부(32)에 접촉시켜 나합하지 않는 수나사부(13a) 주변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축력재(10)의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32)의 내경과 축력재(10)의 외경 사이에는 간극이 필요하지만, 그 간극은 가급적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32)의 중심축(101)방향의 치수는, 긴 편이 나합하지 않는 수나사부(13a) 주변의 축력재(10)의 변형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멍(31)의 입구측에는, 고정측 구금의 단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원통 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원통 형상의 내주부에는 보강관 나합 암나사부(34)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관 나합 암나사부(34)는, 구멍(31)과 동심으로 설치되어 있다. 보강관(20)은, 보강관 나합 암나사부(34)에 나합되며, 브레이스재(100)의 중심축(101)의 평행방향으로, 축력재(10)와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접합된다.
고정측 구금(30)의 보강관 나합 암나사부(34)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단면과 반대측의 단면에는, 단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원통 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원통 형상의 내주부에는 클레비스 나합 암나사부(37)가 설치되어 있다. 클레비스 나합 암나사부(37)에는, 클레비스(40a)에 설치된 수나사가 접합된다.
고정측 구금(30)의 단면과 외주 사이의 능선에는, 각각의 단면을 향해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35) 및 면취부(面取部)(3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정측 구금(30)의 길이방향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강도를 확보한 상태에서, 경량화의 촉진 및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테이퍼부(35) 및 면취부(36)는, 적절하게 치수를 변경할 수 있다. 강도 또는 의장성에 의해, 테이퍼부(35)를 면취로 변경해도 되고, 면취부(36)를 테이퍼 형상으로 변경해도 된다.
(접동측 구금)
접동측 구금(60)은, 원주 형상이며, 원주 형상의 한쪽 단부로부터 중심으로 구멍(61)이 뚫려 있다. 구멍(61)의 안쪽에는, 암나사(63)가 형성되어 있다. 축력재(10)는, 구멍(61)에 삽입되어, 구멍(61)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63)와 나합해서, 접동측 구금(60)과 접합된다. 구멍(61)은, 접동측 구금(60)을 관통하고 있어도, 막힌 구멍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고정측 구금(30)의 구멍(31)과 동일하게, 접동측 구금(60)의 구멍(61)에 있어서도, 한쪽으로부터 축력재(10)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멍(61)은, 암나사(63)보다도 축력재(10)의 삽입방향의 앞쪽측에 축력재(10)가 변형한 때에 접촉하는 지지부(62)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축력재(10)가 축력을 받은 경우의 수나사(12b)에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축력재(10)가 변형할 경우, 나합하지 않는 수나사부(13b)부터 변형하여, 축력재(10)의 파손의 기점이 되어 버릴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축력재(10)를 지지부(62)로 접촉시켜 나합하지 않는 수나사부(13b) 주변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축력재(10)의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측 구금(30)의 구멍(31)과 동일하게, 지지부(62)의 내경과 축력재(10)의 외경 사이에는 간극이 필요하지만, 그 간극은 가급적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62)의 중심축(101)방향의 치수는 긴 편이 바람직하여, 나합하지 않는 수나사부(13b) 주변의 축력재(10)의 변형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접동측 구금(60)의 축력재(10)가 삽입되는 측의 단면의 외주에는 단차(段差)가 형성되어 있으며, 접동측 구금(60)의 중앙부는, 접동측 구금(60)의 외주보다도 지름이 작은 원주(圓柱)가 단면측으로 돌출해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해당 원주의 외주는, 소켓관(50)이 나사 접합하는 소켓관 나합 수나사부(64)로 되어 있다.
접동측 구금(60)의 소켓관 나합 수나사부(64)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단면과 반대측의 단면에는, 단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원통 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원통 형상의 내주부에는 클레비스 나합 암나사부(67)가 설치되어 있다. 클레비스 나합 암나사부(67)에는, 클레비스(40b)에 설치된 수나사가 접합된다.
접동측 구금(60)의 클레비스(40b)가 접합되는 측의 단면과 외주 사이의 능선에는 면취부(6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접동측 구금(60)은, 안전성, 내구성을 확보하며, 경량화의 촉진,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면취부(66)는, 적절하게 치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강도 또는 의장성에 의해 테이퍼 형상으로 변경해도 된다.
(클레비스)
클레비스(40)는, 건축 구조물(도시하지 않음)에 설치하기 위한 조인트로서 기능하는 것으로서, 원반 모양 부분(41)과, 원반 모양 부분(41)의 한쪽 단면에 설치된 판 모양 부분(42)과, 판 모양 부분(42)을 관통하는 설치용 구멍(44)과, 원반 모양 부분(41)의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43)를 가지고 있다. 설치용 구멍(44)의 중심선과 수나사(43)의 중심선은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다. 다만, 교차란, 기하학적으로 정확하게 교차하는 의미가 아니라, 공업적인 오차는 허용하는 것이다. 클레비스(40)는, 고정측 구금(30) 및 접동측 구금(60)에 각각 나사 접합된다. 클레비스(40a)와 클레비스(40b)는, 동일 형상이면 브레이스재(100) 전체의 비용을 억제할 수 있지만, 브레이스재(100)가 적용되는 건축 구조물에 따라 다른 형상의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고정측 구금(30) 및 접동측 구금(60)과 클레비스(40)는 각각 별개로 제조되어, 양자가 나사 접속에 의해 일체화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고정측 구금(30) 및 접동측 구금(60)과 클레비스(40)가, 열 박음 등의 기계적인 접합이나 용접 등의 야금학적인 접합에 의해 일체화되어도 되고, 또는, 주조 등에 의해 당초부터 일체적으로 제조되어도 된다.
(소켓관)
소켓관(50)은,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51)이 설치되며, 외주측에 테이퍼부(52)와 원통부(55)를 가진다. 소켓관(50)은, 원통부(55)의 내측에 접동측 구금 나합 암나사(54)가 형성되어 있다. 접동측 구금 나합 암나사(54)에는 접동측 구금(60)의 소켓관 나합 수나사부(64)가 나합하여, 소켓관(50)과 접동측 구금(60)이 접합된다. 관통구멍(51)은, 보강관(20)의 접동측 단부(21b)를 포위하고 있다. 관통구멍(51)의 내측면과 보강관(20)의 외주면은, 간극을 갖고서 배치되어 있다. 관통구멍(51)의 내측면과 보강관(20)의 외주면의 간극 B, 및 관통구멍(51)이 보강관(20)의 접동측 단부(21b)를 포위하고 있는 길이방향의 길이 C는, 브레이스재(100)의 조립 정밀도, 보강관(20), 고정측 구금(30), 축력재(10), 접동측 구금(60), 및 소켓관(50) 등의 각 부의 정밀도, 축력재(10)의 휨 허용량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정해진다.
브레이스재(100)가 건축 구조물의 진동에 의해 축력을 받은 경우에, 축력재(10)가 휜다. 축력재(10)의 보강관(20)으로 덮여 있는 부분은, 보강관(20)에 의해 휨이 구속된다. 그러나, 보강관(20)의 접동측 단부(21b)로부터 접동측 구금(60)까지의 사이는 거리 A가 있고, 이 구간에 있어서는 축력재(10)의 휨이 구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축력재(10)의 휨이 구속되지 않는 구간(거리 A의 구간)에 있어서 허용되는 축력재(10)의 변형량의 범위 내에서, 간극 B 및 길이 C는 설정되면 된다.
테이퍼부(52)는, 외경이 선단(57)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진다. 보강관(20)을 보강하면서, 접동측 구금(60)으로부터 보강관(20)까지의 외관면(外觀面)을 매끄럽게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강도를 확보하면서 의장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테이퍼부(52)는, 통상의 원통 형상으로 해도 된다.
(브레이스재(100)의 조립 방법)
브레이스재(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를 구비하는데, 그 조립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고정측 구금(30)의 암나사(33)와 축력재(10)의 수나사(12a)를 나사 접합한다. 이 공정은, 본 발명의 「고정측 구금 접합 공정」에 상당한다. 그리고, 고정측 구금(30)의 보강관 나합 암나사부(34)와 보강관(20)의 수나사(22a)를 나사 접합한다. 이 공정은, 본 발명의 「보강관 고정 공정」에 상당한다. 그 후, 보강관(20)의 접동측 단부(21b)를 소켓관(50)의 관통구멍(51)에 통과시킨다. 이 공정은, 본 발명의 「소켓관 감합 공정」에 상당한다. 이들 3공정은, 제조 시의 사정에 따라, 순서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이상의 공정이 완료 후, 접동측 구금(60)의 구멍(61)에 축력재(10)를 통과시켜, 암나사(63)와 축력재(10)의 수나사(12b)를 접합한다. 이 공정은, 본 발명의 「접동측 구금 고정 공정」에 상당한다. 이 공정이 완료하면, 보강관(20)의 접동측 단부(21b)의 단면으로부터, 축력재(10)의 단부(11b)에 접합되어 있는 접동측 구금(60)의 단면까지의 거리 A가 결정된다. 이 공정에는, 또한 보강관(20)의 접동측 단부(21b)의 단면으로부터 해당 단면과 대향하는 접동측 구금(60)의 면까지 치수(거리 A)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거리 A를 조정하는 공정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공정은, 본 발명의 「간극 조정 공정」에 상당한다. 접동측 구금 고정 공정과 간극 조정 공정에 의해, 브레이스재(100)의 변형 성능을 설계대로 관리할 수 있다.
그 후, 소켓관(50)의 접동측 구금 나합 암나사(54)를 접동측 구금(60)의 소켓관 나합 수나사부(64)에 나사 접합한다. 이 공정은, 본 발명의 「소켓관 접합 공정」에 상당한다. 또한, 클레비스(40a)를 고정측 구금(30)에 설치하는 공정, 및 클레비스(40b)를 접동측 구금(60)에 설치하는 공정에 관해서는, 상기 브레이스재(100)의 조립 공정 전에 미리 실시해도 되고, 상기 브레이스재(100)의 조립 공정이 완료하고 나서 실시해도 된다. 또한, 클레비스(40)가 고정측 구금(30) 및 접동측 구금(60)과 미리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경우에는, 클레비스(40)의 조립 공정도 불필요해진다.
(비교예)
도 5는, 비교예인 종래 브레이스재(900)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종래 기술의 브레이스재(900)는, 일체형 클레비스(960)로부터 보강관(920)의 단부까지의 사이에 거리 A2가 있다. 실시 형태 1의 브레이스재(100)와 동일하게, 브레이스재(900)가 축력을 받은 경우, 이 거리 A2 부분의 축력재(910)는, 휘어서 변형하게 된다. 종래 브레이스재(900)에서는, 슬리브(970)를 보강관(920)과 축력재(910) 사이에 배치하여, 일체형 클레비스(960)로부터 보강관(920)까지 사이의 축력재(910)의 외주를 포위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해, 휘어서 변형하기 쉬운 축력재(910) 부위의 굽힘 내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구조상, 슬리브(970)의 두께는 제한되기 때문에, 축력재(910)의 굽힘 내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실시 형태 1의 브레이스재(100)의 작용 효과)
실시 형태 1의 브레이스재(100)는, 보강관(20)의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인, 고정측 단부(21a)가 고정측 구금(30)에 접속되고, 보강관(20)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단부인, 접동측 단부(21b)로부터 소정의 범위가, 소켓관(50)의 관통구멍(51)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소켓관(50)은, 보강관(20)의 외주를 포위하는 것으로, 그 두께가 제한되는 것이 아니므로, 종래 기술의 브레이스재(900)의 슬리브(970)와 비교해서, 외경 및 판 두께를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관(20)의 접동측 단부(21b)와 접동측 구금(60) 사이는, 강성이 높은 소켓관(50)에 의해 축력재(10)의 변형이 구속되어 있어, 보강관(20)의 접동측 단부(21b)와 접동측 구금(60) 사이의 축력재(10)의 좌굴, 굽힘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굽힘 내력이 높은 브레이스재(100)가 얻어진다.
소켓관(50)과 접동측 구금(60)은, 착탈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브레이스재(100)의 제조 시에 용이하게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보강관(20)의 접동측 단부(21b)와 접동측 구금(60) 사이의 치수가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어, 제조 시의 해당 치수 관리가 용이하며, 더 나아가서는 브레이스재(100)의 변형 성능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브레이스재(100)가 건축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지진 등에 의한 건물의 진동이 브레이스재(100)에 입력된 후에, 소켓관(50)을 제외하고, 보강관(20)의 접동측 단부(21b)와 접동측 구금(60) 사이에서 축력재(10)를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축력재(10)의 손상 상황을 직접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축력재(10)의 양단은 각각 고정측 구금(30) 및 접동측 구금(60)에 나사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각각의 나사를 역방향으로 하는(예를 들면, 수나사(12a) 및 암나사(33)를 오른 나사로 하고, 수나사(12b) 및 암나사(63)를 왼 나사로 하는) 것에 의해, 브레이스재(100)의 양단에 있는, 설치용 구멍(44a)과 설치용 구멍(44b)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스재(100)의 건축 구조물에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축력재(10)는, 고정측 구금(30) 및 접동측 구금(60)에 구비된 구멍(31) 및 구멍(61)에 삽입되어, 구멍(31) 및 구멍(61)의 안쪽에 있는 암나사(33) 및 암나사(63)로 나합하여 접합된다. 이 구성에 의해, 축력재(10)에 설치된 수나사(11) 주변에 굽힘 변형이 생긴 경우여도, 축력재(10)의 수나사(11) 주변에서의 굽힘 변형을 지지부(32) 및 지지부(62)로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축력재(10)의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강관(20)의 접동측 단부(21b)의 단면으로부터 해당 단면과 대향하는 접동측 구금(60)의 면까지의 사이에 거리 A를 갖고서 접동측 구금(60)이 접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브레이스재(100)에 건축 구조물로부터의 힘이 가해져도, 보강관(20)의 축방향으로는 힘(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 구조에 의해, 보강관(20)의 강도를 강하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강관(20)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클레비스(40)(본 발명의 「접합 요소」에 상당한다.)는, 축력재(10) 및 보강관(20)이 접합되어 있는 측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며, 고정측 구금(30) 및 접동측 구금(60)의 각각에 접합되어 있다. 클레비스(40)를 고정측 구금(30) 및 접동측 구금(60)과는 별체로 하여, 나중에 접합하는 것에 의해, 클레비스(40)를 공통화하여,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각 건축 구조물에 대응하여, 접합 요소를 바꾸는 것도 가능해진다.
소켓관(50)의 외경은 길이방향의 한쪽 단면(50a)(선단)을 향하여(보강관(20)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길이방향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브레이스재(100)의 강도를 확보한 상태에서, 경량화의 촉진 및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브레이스재(100)의 조립에 있어서, 소켓관 접합 공정은, 고정측 구금 접합 공정, 보강관 고정 공정, 소켓관 감합 공정, 및 접동측 구금 고정 공정 후에 실시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보강관(20)의 접동측 단부(21b)와 접동측 구금(60) 사이의 치수를 시인하면서 브레이스재(100)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접동측 구금 고정 공정은, 보강관(20)의 접동측 단부(21b)의 단면으로부터 해당 단면과 대향하는 접동측 구금(60)의 면까지의 간극 조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더 정밀도가 양호한 거리 A의 치수 관리가 가능해져, 브레이스재(100)의 변형 성능을 설계대로 관리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브레이스재(100)의 각 접합부는, 나사에 의한 접합으로 되어 있지만, 나사뿐 아니라 다른 수단에 의해 접합해도 된다. 다만, 소켓관(50)과 접동측 구금(60)의 접합부는, 브레이스재(100)가 완성된 후에도 착탈 가능한 접합 방법에 의해 접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측면으로부터 멈춤 나사를 이용하여 소켓관(50)을 고정해도 된다.
Figure pct00001
(시험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브레이스재(100)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재하 시험에 제공하는 시험체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각 부의 길이를 정의하는 측면 시점의 단면도이다. 또한, 일부 부호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표 1에 시험체(No 1, No 2)의 각 부의 치수 등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시험체 No.1 및 시험체 No.2에 관하여, 축력재(10)의 외경을 「DS」로 칭한다. 또한, 축력재(10)의 항복점을 「σy」, 축력재(10)의 단면적과 항복점 σy의 곱은 「Ny」로 칭한다. 보강관(20)의 외경을 「DB」, 판 두께를 「tB」, 클레비스(40)의 일부와 소켓관(50)의 길이 중, 보강관(20)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단면(20b)으로부터 클레비스(40b)의 설치용 구멍(44b)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lc(엘시)」, 보강관(20)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단면(20b)으로부터 소켓관(50)의 길이방향의 한쪽 단면(50a)까지의 거리를 「lk(엘케이)」로 칭한다. 클레비스(40a)의 설치용 구멍(44a)의 중심으로부터 고정측 구금(30)의 다른쪽 단면(30b)까지의 거리를 「FlJ(에프엘제이)」, 고정측 구금(30)의 다른쪽 단면(30b)으로부터 소켓관(50)의 한쪽 단면(50a)까지의 거리를 「lB(엘비)」, 소켓관(50)의 한쪽 단면(50a)으로부터 클레비스(40b)의 설치용 구멍(44b)까지의 거리를 「MlJ(엠엘제이)」로, 각각 칭한다.
또한, 클레비스(40a)의 설치용 구멍(44a)의 중심으로부터 클레비스(40b)의 설치용 구멍(44b)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l(엘)」로 칭한다. 또한, 축력재(10)의 외경과 보강관(20)의 내경의 차를 「eS(이에스)」, 보강관(20)의 외경과 소켓관(50)과의 내경의 차를 「ek(이케이)」로 칭한다. 도 6 중에 있어서는, 축력재(10)의 외주면과 보강관(20)의 내주면과의 간극 「eS/2」 및 보강관(20)의 외주면과 소켓관(50)의 내주면과의 간극 「eS/2」이 도시되어 있다. 소켓관(50)의 길이방향의 한쪽 단면(50a)(선단)에 있어서의 판 두께를 「tK(티케이)」로 칭한다.
Figure pct00002
(비교재)
이하에 비교재로서의 종래 브레이스재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재하 시험에 제공하는 시험체를 설명한다. 시험체는, 도 5에 나타나 있는 종래 브레이스재(900)이며, 각 부의 길이를 정의하는 측면 시점의 단면도이다. 또한, 표 2에, 비교재(No.3)의 각 부의 치수 등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비교재(No.3)인 브레이스재(900)에 관하여, 축력재(910)의 외경을 「DS」로, 보강관(920)의 외경을 「DB」, 보강관(920)의 판 두께를 「tB」로, 각각 칭한다. 축력재(910)의 항복점을 「σy」, 축력재(10)의 단면적과 항복점 σy의 곱은 「Ny」로 칭한다. 축력재(910)의 단부(911a, 911b)(수나사(912a, 912b)가 형성되어 있다)에는, 일체형 클레비스(940, 960)(암나사(941, 961)가 형성되어 있다)가 설치되며, 한쪽 일체형 클레비스(940)의 접속용 구멍(944)의 중심과, 다른쪽 일체형 클레비스(960)의 접속용 구멍(966)의 중심과의 거리를 「l(엘)」로 칭한다. 축력재(910)의 한쪽 단부(911a)(수나사(912a)가 형성되어 있다)와 보강관(920)의 한쪽 단부(921a)(암나사(922a)가 형성되어 있다)는, 구금(930)(암나사(931), 수나사(932)가 형성되어 있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축력재(910)의 다른쪽 단부(911b)에 가까운 위치에, 통 모양의 슬리브(970)가 설치되며, 슬리브(970)는 보강관(920)의 다른쪽 단면(920b)으로부터 거리「L(엘)」만큼 보강관(920) 내에 침입해 있다. 슬리브(970)의 외경과 보강관(920)의 다른쪽 단부(921b)에 있어서의 내면(922b)과의 차를 「eS/2(이에스/2)」로 칭한다.
(단면 이차 모멘트)
이상으로부터, 시험체 No.2에 있어서의 소켓관(50)의 내경은, 보강관(20)의 외경 DB에 보강관(20)의 외경과 소켓관(50)의 내경과의 차 ek로부터 구해지며, 표 1 중의 값으로부터,「114.3+4.0=118.3(㎜)」가 된다. 소켓관(50)의 외경은, 외경이 가장 작은 부분에서 소켓관(50)의 내경과 소켓관(50)의 단면(50a)에서의 판 두께 tK로부터 구해지며, 표 1 중의 값으로부터,「118.3+2×12=142.3(㎜)」로 된다. 따라서, 소켓관(50)의 단면 이차 모멘트는, 가장 작은 개소(箇所)에서 적어도 「1.0×107(㎜4)」 이상으로 된다.
한편, 비교재인 시험체 No.3에 있어서의 슬리브(970)는, 표 2 중의 값으로부터, 내경이 「46.0(㎜)」이고, 외경이 최대 「114.3-2×25=64.3(㎜)」로 된다. 슬리브(970)의 단면 이차 모멘트는, 최대라도 「0.062×107(㎜4)」 이하이다.
실시 형태 1의 소켓관(50)의 단면 이차 모멘트는, 비교재인 종래 슬리브(970)의 단면 이차 모멘트의 약 17배인 높은(큰) 값을 가지고 있다. 즉, 실시 형태 1의 브레이스재(100)는, 브레이스재(900)에 구비되어 있는 슬리브(970)보다도 고강성인 소켓관(50)에 의해 축력재(10)의 변형을 억제하고 있게 된다.
(재하 시험)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브레이스재(100)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재하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하중-변형 선도로서, (a)는 시험체 No.1의 결과, (b)는 시험체 No.2의 결과이다. 재하 시험은, 브레이스재(100)의 압축 및 인장을 번갈아 반복 부여하는 양진(兩振) 재하이다.
도 7의 (a)에 있어서, 우선, 브레이스재(100)를 0.25%만큼 압축한다. 즉, 클레비스(40a)의 설치용 구멍(44a)의 중심과 클레비스(40b)의 설치용 구멍(44b)의 중심과의 거리 l(엘)을 6.25㎜만큼 줄인다. 이때, 압축하중 및 압축변형은, 도 7(a)의 그래프의 제1 상한에 나타나 있다. 다음으로, 축력재(10)를 0.25%만큼 인장한다. 즉, 거리 l(엘)을 6.25㎜만큼 늘인다. 이때, 인장하중 및 인장변형은, 도 7(a)의 그래프의 제3 상한에 나타나 있다.
또한, 브레이스재(100)를 0.5%만큼 압축하고(거리 l(엘)을 12.5㎜만큼 줄이고), 다음으로, 브레이스재(100)를 0.5%만큼 인장한다(거리 l(엘)을 12.5㎜만큼 늘인다). 또한, 브레이스재(100)를 1.0%만큼 압축하고(거리 l(엘)을 25㎜만큼 줄이고), 다음으로, 브레이스재(100)를 1.0%만큼 인장하는(거리 l(엘)을 25㎜만큼 늘이는) 재하를 1사이클로 하여, 이를 5회 반복한다.
그리고, 최종 사이클로서, 브레이스재(100)를 2.0%만큼 압축하고(거리 l(엘)을 50㎜만큼 줄이고), 다음으로, 브레이스재(100)를 2.0%만큼 인장하는(거리 l(엘)을 50㎜만큼 늘이는) 재하를 1사이클로 하여, 이를 브레이스재(100)가 좌굴 또는 파단할 때까지 반복한다.
상기 사이클로 재하 시험을 실시하면, 시험체 No.1은, 최종 사이클을 3회 반복하고, 4회째의 최종 사이클의 인장 시에, 축력재(10)가 파단했다.
도 7(b)에 있어서, 시험체 No.2는 시험체 No.1과 동일하게, 최종 사이클을 3회 반복하고, 4회째의 최종 사이클의 인장 시에, 축력재(10)가 파단했다.
즉, 시험체 No.1 및 시험체 No.2는 모두, 브레이스재(100)는 좌굴하고 있지 않으므로, 보강관(20) 및 소켓관(50)에 의해, 축력재(10)의 휨이 적절히 구속된 것이 나타나 있다.
도 8은, 비교재로서의 종래 브레이스재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재하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하중-변형 선도이다. 재하 조건은, 시험체 No.1, No.2에서 동일하다. 도 8에 있어서, 시험체 No.3은, 0.10%의 압축 및 인장을 1사이클, 0.25%의 압축 및 인장을 2사이클, 및 0.5%의 압축 및 인장을 2사이클의 재하 후, 1.0%의 압축을 한 때에, 브레이스재(900)는 좌굴하고 있다.
상기 시험체 No.1∼No.3의 재하 시험 결과로부터도, 실시 형태 1의 브레이스재(100)의 소켓관(50)을 이용한 구성은, 종래 슬리브(970)를 사용한 브레이스재(900)의 구성과 비교하여, 굽힘 내력이 높기(크기) 때문에 좌굴하기 어려운 것이 확인되고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는, 실시 형태 1에 대해, 소켓관(50)의 접합 위치를 접동측 구금(60)으로부터 보강관(20)으로 변경한 것이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실시 형태 1에 대한 변경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브레이스재(200)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소켓관 주변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일부 설명을 생략한다. 각 부재의 상대적인 크기나 판 두께 등은 도시하는 치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고정측 구금(30)측의 구조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1의 브레이스재(100)에서는, 보강관(20)의 접동측 단부(21b)는, 접동측 구금(60)으로부터 거리 A를 두고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내부가 원통 형상인 소켓관(50)에 의해 외주가 포위되어 있다. 소켓관(50)의 접동측 구금(60)측의 단부는, 접동측 구금(60)의 외주에 있는 소켓관 나합 수나사부(64)에, 나사 접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한편, 도 9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 2의 브레이스재(200)는, 접동측 구금(260)으로부터 거리 A1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보강관(220)의 접동측 단부(221b)의 외주에 수나사(22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그 수나사(224)에 소켓관(250)의 관통구멍(251)에 구비된 암나사(254)가 나합하여, 보강관(220)의 외주를 포위하고 있다. 소켓관(250)의 접동측 구금(260)측의 단부는, 접동측 구금(260)의 외주를 포위하고 있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관통구멍(251)이 접동측 구금(260)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소켓관(250)은, 접동측 구금(260)과 축력재(10)가 접합된 후에, 접동측 구금(260)측으로부터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251)은, 클레비스(240b)보다도 크게 되어 있어, 클레비스(240b)가 접동측 구금(260)과 접합된 후에도 소켓관(250)은 설치 가능하다.
접동측 구금(260)의 외주면과 소켓관(250)의 관통구멍(251)은, 간극 B1을 갖고서 감합해 있다. 관통구멍(251)은, 접동측 구금(260)의 외주를, 길이방향의 길이 C1에 걸쳐 포위하고 있다. 간극 B1 및 길이 C1은, 브레이스재(200)의 조립 정밀도, 보강관(220), 고정측 구금(30), 축력재(10), 접동측 구금(260), 및 소켓관(250) 등의 각 부의 정밀도, 축력재(10)의 휨 허용량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실시 형태 2의 브레이스재(200)의 작용 효과)
실시 형태 2의 브레이스재(200)는, 소켓관(250)의 접합 개소를 변경하고 있지만, 접동측 단부(221b)로부터 소정 범위의 보강관(220)이, 소켓관(250)의 관통구멍(251)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소켓관(250)은, 보강관(220)의 외주를 포위하는 것으로, 그 두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실시 형태 1에 따른 브레이스재(100)와 동일하게, 외경 및 판 두께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에 따른 브레이스재(100)와 동일하게, 굽힘 내력이 높은 브레이스재(200)가 얻어진다.
소켓관(250)과 보강관(220)은, 착탈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브레이스재(200)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브레이스재(100)와 동일하게, 제조 시에 용이하게 조립이 가능하고, 제조 시의 거리 A1의 치수 관리가 용이하며, 더 나아가서는 브레이스재(200)의 변형 성능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실시 형태 1에 따른 브레이스재(100)와 동일하게, 브레이스재(200)가 건축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축력재(10)의 손상 상황을 직접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1에 따른 브레이스재(100)와 동일하게, 브레이스재(200)에 있어서의 축력재(10)의 양단은 각각 고정측 구금(30) 및 접동측 구금(260)에 나사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각각의 나사를 역방향으로 하는 것에 의해, 브레이스재(200)의 양단에 있는, 설치용 구멍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어, 브레이스재(200)의 건축 구조물에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축력재(10)는, 고정측 구금(30) 및 접동측 구금(260)과 나합하는 주변 구조에 관해서도 실시 형태 1에 따른 브레이스재(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축력재(10)에 설치된 수나사(11) 주변에 굽힘 변형이 생긴 경우에도, 축력재(10)의 수나사(11) 주변에서의 굽힘 변형을 지지부(262)로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축력재(10)의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강관(220)의 접동측 단부(221b)의 단면으로부터 해당 단면과 대향하는 접동측 구금(260)의 면까지의 사이에 거리 A1을 갖고서 접동측 구금(260)이 접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시 형태 1에 따른 브레이스재(100)와 동일하게, 브레이스재(200)에 건축 구조물로부터의 힘이 가해져도, 보강관(220)의 축방향으로는 힘(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 구조에 의해, 보강관(220)의 강도를 강하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강관(220)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클레비스(40)를 고정측 구금(30) 및 접동측 구금(60)과는 별체로 하여, 나중에 접합하는 것에 의해, 클레비스(40)를 공통화하여,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각 건축 구조물에 대응해서, 접합 요소(클레비스(40))를 바꾸는 것도 가능해진다.
브레이스재(200)의 조립도, 실시 형태 1에 따른 브레이스재(100)와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관(220)의 접동측 단부(221b)와 접동측 구금(260) 사이의 치수(거리 A1)가 시인 가능하다. 그 때문에, 더 정밀도가 양호한 거리 A1의 치수 관리가 가능해져, 브레이스재(200)의 변형 성능을 설계대로 관리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도, 브레이스재(200)의 각 접합부는, 나사에 의한 접합으로 되어 있지만, 나사뿐 아니라 다른 수단에 의해 접합해도 된다. 다만, 소켓관(250)과 보강관(220)의 접합부는, 브레이스재(200)가 완성된 후에도 착탈 가능한 접합 방법에 의해 접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측면으로부터 멈춤 나사를 이용하여 소켓관(50)을 보강관(220)에 고정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간소한 구조로 굽힘 내력이 높은(큰) 브레이스재가 얻어지며, 각종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축력재에 관해서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건축 구조물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각종 브레이스재를 널리 이용할 수 있다.
10 축력재, 11a (한쪽) 단부, 11b (다른쪽) 단부, 12a 수나사, 12b 수나사, 13a 수나사부, 13b 수나사부, 20 보강관, 20b (다른쪽) 단면, 21a 고정측 단부, 21b 접동측 단부, 22a 수나사, 30 고정측 구금, 30b 단면, 31 구멍, 32 지지부, 33 암나사, 34 보강관 나합 암나사부, 35 테이퍼부, 36 면취부, 37 클레비스 나합 암나사부, 40 클레비스, 40a (고정측 구금측) 클레비스, 40b (접동측 구금측) 클레비스, 41 원반 모양 부분, 42 판 모양 부분, 43 수나사, 44 설치용 구멍, 44a 설치용 구멍, 44b 설치용 구멍, 50 소켓관, 50a 단면, 51 관통구멍, 52 테이퍼부, 54 접동측 구금 나합 암나사, 55 원통부, 57 선단, 60 접동측 구금, 61 구멍, 62 지지부, 63 암나사, 64 소켓관 나합 수나사부, 66 면취부, 67 클레비스 나합 암나사부, 100 브레이스재, 101 중심축, 200 브레이스재, 220 보강관, 221b 접동측 단부, 224 수나사, 240b 클레비스, 250 소켓관, 251 관통구멍, 254 암나사, 260 접동측 구금, 262 지지부, 263 암나사, 267 클레비스 나합 암나사부, 900 브레이스재(비교재), 910 축력재, 911a 단부, 911b 단부, 912a 수나사, 912b 수나사, 920 보강관, 920b 단면, 921a 단부, 921b 단부, 922a 암나사, 922b 내면, 931 암나사, 932 수나사, 940 일체형 클레비스, 941 암나사, 944 접속용 구멍, 960 일체형 클레비스, 961 암나사, 966 접속용 구멍, 970 슬리브, A 거리, A1 거리, A2 거리, B 간극, B1 간극, C 길이, DS 외경, DB 외경, ek (내경) 차, eS (내경) 차, Ny 축력재(10)의 단면적과 항복점 σy의 곱, l 거리, lB 거리, FlJ 거리, tB 판 두께, tK 판 두께, σy 항복점.

Claims (8)

  1. 봉 모양의 축력재와,
    상기 축력재가 내부를 관통하는 보강관과,
    상기 보강관의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인 고정측 단부에 접합되고, 또한 상기 축력재의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에 접합되는 고정측 구금과,
    상기 축력재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단부에 접합되는 접동측 구금과,
    상기 보강관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단부인 접동측 단부 또는 상기 접동측 구금에 착탈 가능하게 접합되는 소켓관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측 구금 및 상기 접동측 구금은,
    건축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한 조인트가 되는 접합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관은,
    상기 접동측 단부의 외주부 및 상기 접동측 구금의 외주부를 포위하는 브레이스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켓관과 상기 보강관 또는 상기 접동측 구금은,
    나사 접합되어 있는 브레이스재.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축력재는,
    양측 단부에 수나사를 가지며,
    상기 고정측 구금 및 상기 접동측 구금은,
    상기 축력재가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며,
    그 구멍은,
    원통부와,
    상기 축력재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아서 그 원통부의 안쪽에, 상기 축력재가 나합하는 암나사를 구비하며,
    상기 축력재와 상기 고정측 구금 및 상기 접동측 구금은,
    상기 수나사와 상기 암나사의 나합에 의해 접합되는 브레이스재.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측 구금은,
    상기 보강관의 상기 접동측 단부의 단면으로부터 해당 단면과 대향하는 상기 접동측 구금의 면까지의 사이에 간극이 있도록, 상기 축력재에 접합되는 브레이스재.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요소는,
    상기 축력재 및 상기 보강관이 접합되어 있는 측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고정측 구금 및 상기 접동측 구금의 각각에 접합되어 있는 브레이스재.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관의 상기 보강관을 포위하는 범위의 내경은,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고,
    해당 범위의 외경은,
    상기 보강관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지는 브레이스재.
  7. 봉 모양의 축력재와,
    상기 축력재가 내부를 관통하는 보강관과,
    상기 보강관의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인 고정측 단부에 접합되고, 또한 상기 축력재의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에 접합되는 고정측 구금과,
    상기 축력재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단부에 접합되는 접동측 구금과,
    상기 보강관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단부인 접동측 단부 또는 상기 접동측 구금에 착탈 가능하게 접합되는 소켓관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측 구금 및 상기 접동측 구금은,
    건축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한 조인트가 되는 접합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관은,
    상기 접동측 단부의 외주부 및 상기 접동측 구금의 외주부를 포위하는 브레이스재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고정측 구금과 상기 축력재를 접합하는 고정측 구금 접합 공정과,
    상기 고정측 구금과 상기 보강관을 접합하는 보강관 고정 공정과,
    상기 보강관의 상기 접동측 단부의 외주부에 상기 소켓관을 통과시키는 소켓관 감합 공정과, 상기 접동측 구금과 상기 축력재를 접합하는 접동측 구금 고정 공정과,
    상기 소켓관을 상기 보강관 또는 상기 접동측 구금에 접합하는 소켓관 접합 공정을 가지며,
    상기 소켓관 접합 공정은,
    상기 고정측 구금 접합 공정, 상기 보강관 고정 공정, 상기 소켓관 감합 공정, 및 상기 접동측 구금 고정 공정 후에 실시되는 브레이스재의 조립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접동측 구금 고정 공정은,
    상기 고정측 구금 접합 공정 및 상기 보강관 고정 공정 후에 실시되며, 또한 상기 보강관의 상기 접동측 단부의 단면으로부터 해당 단면과 대향하는 상기 접동측 구금의 면까지의 간극 조정 공정을 포함하는 브레이스재의 조립 방법.
KR1020187014324A 2015-11-17 2016-11-16 브레이스재 및 브레이스재의 조립 방법 KR102165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24978A JP6150869B2 (ja) 2015-11-17 2015-11-17 ブレース材及びブレース材の組立方法
JPJP-P-2015-224978 2015-11-17
PCT/JP2016/004902 WO2017085930A1 (ja) 2015-11-17 2016-11-16 ブレース材及びブレース材の組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630A true KR20180073630A (ko) 2018-07-02
KR102165293B1 KR102165293B1 (ko) 2020-10-13

Family

ID=58719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324A KR102165293B1 (ko) 2015-11-17 2016-11-16 브레이스재 및 브레이스재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150869B2 (ko)
KR (1) KR102165293B1 (ko)
SG (1) SG11201803115TA (ko)
TW (1) TWI608150B (ko)
WO (1) WO2017085930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570A (ja) * 1997-12-26 1999-07-21 Kawasaki Steel Metal Products & Engineering Inc 二重鋼管形構造材
JP2001207678A (ja) * 2000-01-26 2001-08-03 Kawasaki Steel Metal Products & Engineering Inc 連結式耐震構造材
JP2006028737A (ja) * 2004-07-12 2006-02-02 Yahagi Construction Co Ltd 長さ調整機構を有する三重管制震ブレース
JP2006299576A (ja) * 2005-04-19 2006-11-02 Yahagi Construction Co Ltd 長孔を有する三重管制震ブレース
JP2007186894A (ja) * 2006-01-13 2007-07-26 Jfe Steel Kk 二重鋼管型ブレース部材
JP2013112949A (ja) 2011-11-25 2013-06-10 Jfe Steel Corp ブレース材
JP2015017371A (ja) * 2013-07-09 2015-01-2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座屈補剛ブレース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0566B2 (ja) * 1995-07-12 2002-06-10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ペダル
US9593504B2 (en) * 2012-09-06 2017-03-14 Bluescope Buildings North America, Inc. Buckling restrained brace assembly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570A (ja) * 1997-12-26 1999-07-21 Kawasaki Steel Metal Products & Engineering Inc 二重鋼管形構造材
JP2001207678A (ja) * 2000-01-26 2001-08-03 Kawasaki Steel Metal Products & Engineering Inc 連結式耐震構造材
JP2006028737A (ja) * 2004-07-12 2006-02-02 Yahagi Construction Co Ltd 長さ調整機構を有する三重管制震ブレース
JP2006299576A (ja) * 2005-04-19 2006-11-02 Yahagi Construction Co Ltd 長孔を有する三重管制震ブレース
JP2007186894A (ja) * 2006-01-13 2007-07-26 Jfe Steel Kk 二重鋼管型ブレース部材
JP2013112949A (ja) 2011-11-25 2013-06-10 Jfe Steel Corp ブレース材
KR20140108648A (ko) * 2011-11-25 2014-09-12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브레이스재
JP2015017371A (ja) * 2013-07-09 2015-01-2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座屈補剛ブレ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8150B (zh) 2017-12-11
JP2017089351A (ja) 2017-05-25
JP6150869B2 (ja) 2017-06-21
KR102165293B1 (ko) 2020-10-13
SG11201803115TA (en) 2018-05-30
TW201721001A (zh) 2017-06-16
WO2017085930A1 (ja)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4800B (zh) 補強構件
KR102025055B1 (ko) 브레스재
WO2016130171A1 (en) Buckling restrained brace and related methods
EP2761193B1 (de) Befestigungssystem
TR201810922T4 (tr) Hidrolik yağ valfi.
JP4723604B2 (ja) 木製部材の制震機能付接合構造及び木製部材用制震機能付接合装置
EP2184525A1 (de) Rohrverbindung mit einem Roh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indungsabschnitts einer Rohrverbindung
JP2009228276A (ja) 制震ダンパー及びその取付構造
US20190277319A1 (en) Assembly and method for attaching two components
KR20180073630A (ko) 브레이스재 및 브레이스재의 조립 방법
US20150159361A1 (en) Pin joint type structural member made of double steel pipe for restraining buckling thereof
JP5021246B2 (ja) 座屈補剛ブレース
US10151656B2 (en) Pressure sensor configured to detect pressure of fluid to be measured that embrittles material
JP2019148068A (ja) 座屈拘束ブレース
EP2664732B1 (en) Socket for attachment to rebar and casting into a concrete structure
US20100278609A1 (en) Supportive welded box section collar
EP2395252A1 (en) Connect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fastening a bolt
JP4178047B2 (ja) 鉄筋の端部定着装置
JP7432408B2 (ja) 制振ダンパ
JP5034579B2 (ja) 二重鋼管型ブレース材
KR20210054391A (ko) 철근 연결용 반나사식 원터치 커플러
JP2023181394A (ja) 建物の構造部材へのリベットの取付構造
JP5803262B2 (ja) 車体部品の締結構造
JP6439329B2 (ja) 複合雌ネジ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せん断補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