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221A - 상품 분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상품 분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221A
KR20180073221A KR1020160176835A KR20160176835A KR20180073221A KR 20180073221 A KR20180073221 A KR 20180073221A KR 1020160176835 A KR1020160176835 A KR 1020160176835A KR 20160176835 A KR20160176835 A KR 20160176835A KR 20180073221 A KR20180073221 A KR 20180073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ing
products
goods
produc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1342B1 (ko
Inventor
안상희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6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3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1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 accordance with energy consumption, time reduction or distance reduction criter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9/00Indexing codes relating to order picking devices in General
    • B65G2209/02Batch order forming, e.g. several batches simultaneously
    • G06K2017/005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상품 보관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피킹 대상 상품들 중에서, 피킹 묶음에 포함시킬 일부 상품들을 선택하여 분류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할 피킹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상품 보관 창고 상에서의 피킹 경로를 일방향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상품 보관 창고 상에서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 각각의 위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 값을 기준으로 상기 피킹 경로 상에서 상기 피킹 용량을 채울 수 있는 가장 짧은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상품들을 상기 일부 상품들로 선택하는 단계; 선택한 상기 일부 상품들을 제외하고 추가로 피킹할 상품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품 분류 과정을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에 대한 피킹이 완료된 경우 상품 분류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상품 분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rouping products bund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품 분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자 상거래를 통하여 생산자와 구매자 간의 매매를 중개하는 서비스의 규모가 점점 성장하고 있다. 이는 보다 편리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이러한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온라인 금융 시스템이 자리를 갖추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매매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서비스 제공자는 생산자로부터 인수 받은 상품들을 구매자에게 판매 및/또는 전달하기 전까지 상품 보관 창고에 보관할 수 있다. 이 후, 구매자들로부터 상품들의 배송 요청이 들어오는 경우 또는 특정 상품들을 다른 창고로 이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상품 보관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상품들 중에서 이송할 필요가 있는 상품들을 창고에서 피킹(picking)해야 한다.
많은 개수의 상품들이 피킹 대상 상품들인 경우, 여러 번의 반복 피킹 작업을 통하여 상품들을 피킹해야 한다. 이 때, 피킹 대상 상품들 중에서 어떤 상품들을 먼저 피킹할지 순서를 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피킹을 수행하는 사람들이 서로 중복되는 상품들을 피킹하거나, 일부 상품들을 피킹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피킹 대상 상품들을 적절히 분배하여 피킹할 수 있도록 피킹 대상 상품들을 분류하여 피킹 지시를 내리는 작업이 필요하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품 보관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피킹 대상 상품들 중에서 하나의 피킹 묶음에 포함시킬 일부 상품들을 선택하여 분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상품 분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상품 보관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피킹 대상 상품들 중에서, 하나의 피킹 묶음에 포함시킬 일부 상품들을 선택하여 분류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할 피킹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상품 보관 창고 상에서의 피킹 경로를 일방향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상품 보관 창고 상에서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 각각의 위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 값을 기준으로 상기 일방향 경로 상에서 상기 피킹 용량을 채울 수 있는 가장 짧은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상품들을 상기 일부 상품들로 선택하는 단계; 선택한 상기 일부 상품들을 제외하고 추가로 피킹할 상품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품 분류 과정을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에 대한 피킹이 완료된 경우 상품 분류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상품 분류 과정을 유지하는 단계는, 선택한 상기 일부 상품들을 제외하고 추가로 피킹할 상품들이 존재하는 경우, 선택한 상기 일부 상품들을 제외한 상태에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를 재실행하여 추가 일부 상품들을 추가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추가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에 포함될 신규 상품들이 추가된 경우, 상기 신규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위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상품들을 포함한 상태에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를 재실행하여 상기 추가 일부 상품들을 추가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일부 상품들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값을 기준으로 상기 일방향 경로의 정해진 방향에 따라 이동하면서, 인접한 위치의 상품들을 함께 피킹하여 상기 피킹 용량을 채울 수 있는 이동 거리를, 상기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산정한 상기 이동 거리가 가장 짧은 상품으로부터 인접한 상품들을 상기 일부 상품들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일부 상품들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들 중, 상기 일부 상품들에 포함되는 상품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 거리를 산정한 상기 상품들에 대해서는 상기 이동 거리를 재산정하고, 상기 이동 거리를 산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일부 상품들에 포함되는 상품에 영향을 받지 않았던 상기 상품들에 대해서는 기존에 산정한 상기 이동 거리를 그대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제1 상품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이 일 위치에 모여서 놓여있는 경우에는 상기 일 위치를 상기 제1 상품의 위치 값으로 결정하고, 제2 상품에 포함된 상품들이 복수의 위치들에 떨어져서 놓여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위치들의 평균 값을 상기 제2 상품의 위치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일방향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보관 창고 내부의 이동 경로 중 적어도 일부의 경로만을 통행 가능한 경로로 지정하고, 지정한 상기 적어도 일부의 경로의 이동 방향을 일 방향으로 지정하여, 상기 피킹 경로가 상기 일방향 경로가 되도록 상기 피킹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일방향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일방향 경로의 출발점 및 종료점을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일방향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일방향 경로 상에서 상기 출발점 및 상기 종료점 사이에 중간이탈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일방향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 상품들이 모두 출발점과 상기 중간이탈점 사이에 존재할 경우, 상기 일부 상품들을 피킹할 때 상기 일방향 경로로부터 상기 중간이탈점에서 이탈할 것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일방향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일방향 경로 상에서 상기 출발점 및 상기 종료점 사이에 중간진입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일방향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 상품들이 모두 상기 중간진입점과 상기 종료점 사이에 존재할 경우, 상기 일부 상품들을 피킹할 때 상기 일방향 경로로 상기 중간진입점에서 진입할 것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상품 보관 창고 상에서의 피킹 경로는, 바둑판 형태의 전체 경로에서 하나 이상의 서브 경로가 차단되어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분류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일부 상품들은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일 회의 피킹으로는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 중 상기 일부 상품들만 피킹하여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분류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할 피킹 용량을 설정하는 피킹 용량 설정부; 상기 상품 보관 창고상에서의 피킹 경로를 일방향 경로로 결정하는 피킹 경로 결정부; 상기 상품 보관 창고 상에서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 각각의 위치 값을 결정하는 위치 값 결정부; 상기 위치 값을 기준으로 상기 일방향 경로 상에서 상기 피킹 용량을 채울 수 있는 가장 짧은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상품들을 상기 일부 상품들로 선택하는 상품 선택부; 및 선택한 상기 일부 상품들을 제외하고 추가로 피킹할 상품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품 분류 과정을 유지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에 대한 피킹이 완료된 경우 상품 분류 과정을 종료하도록 결정하는 분류 진행 결정부;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분류 진행 결정부는, 선택한 상기 일부 상품들을 제외하고 추가로 피킹할 상품들이 존재하는 경우, 선택한 상기 일부 상품들을 제외한 상태에서 상기 선택하는 과정을 재실행하여 추가 일부 상품들을 추가 선택하도록 상기 상품 선택부를 제어하고,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에 대한 피킹이 완료된 경우, 상품 분류 과정을 종료하도록 상기 상품 선택부를 제어하는, 상품 분류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상품 선택부는, 상기 위치 값을 기준으로 상기 일방향 경로의 정해진 방향에 따라 이동하면서, 인접한 위치의 상품들을 함께 피킹하여 상기 피킹 용량을 채울 수 있는 이동 거리를, 상기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산정하고, 상기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산정한 상기 이동 거리가 가장 짧은 상품으로부터 인접한 상품들을 상기 일부 상품들로 선택하는, 상품 분류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상품 선택부는, 상기 상품들 중, 상기 일부 상품들에 포함되는 상품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 거리를 산정한 상기 상품들에 대해서는 상기 이동 거리를 재산정하고, 상기 이동 거리를 산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일부 상품들에 포함되는 상품에 영향을 받지 않았던 상기 상품들에 대해서는 기존에 산정한 상기 이동 거리를 그대로 사용하는, 상품 분류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값 결정부는,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제1 상품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이 일 위치에 모여서 놓여있는 경우에는 상기 일 위치를 상기 제1 상품의 위치 값으로 결정하고, 제2 상품에 포함된 상품들이 복수의 위치들에 떨어져서 놓여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위치들의 평균 값을 상기 제2 상품의 위치 값으로 결정하는, 상품 분류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상품 보관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피킹 대상 상품들 중에서 하나의 피킹 묶음에 포함시킬 일부 상품들을 선택하여 분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상품 분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분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분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분류 방법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품 보관 창고에서 상품 분류를 수행하는 방법과 관련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분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품 분류 시스템(10)은 상품 분류 장치(100), 상품 보관 창고(200), 외부 상품 분류 장치(300), 및 통신망(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 분류 장치(100)는 상품 보관 창고(200)에 보관되어 있는 상품을 관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품 분류 장치(100)는 상품 보관 창고(200)에 보관되어 있는 상품들에 대한 보관 여부, 보관 시작일, 보관 누적 일수, 보관 개수, 입/출고 예정일, 입/출고 예정 개수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상품 분류 장치(100)는 상품 보관 창고(200)에 입/출고될 수 있는 상품들의 입/출고에 대해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품 보관 창고(200) 자체, 또는 상품 보관 창고(200) 관리자의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품 분류 장치(100)가 서버 형태의 하드웨어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보관 창고(200)에 보관 가능한 상품들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품 분류 장치(100)는, 예를 들어,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데스크탑,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웨어러블 장치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품 분류 장치(100)는 전자 칠판, 터치 테이블 등과 같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분류 장치(1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악세서리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품 보관 창고(200)는 상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물리적인 공간일 수 있다. 이 때 상품들은 전자 상거래를 통하여 거래되기 위해 생산/제작된 물건들일 수 있다. 상품 보관 창고(2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품 분류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또는, 상품 보관 창고(200)의 관리자가 상품 분류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이 경우 상품 보관 창고(200)는 단순히 상품들의 보관을 위한 물리적 공간에 머무를 수 있다.
상품 보관 창고(200)에 보관되어 있는 모든 상품들을 통틀어 전체 상품(TG)들이라고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전체 상품(TG)들 중에서, 피킹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상품들을 피킹 대상 상품(PG)들이라고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피킹은 상품 보관 창고(200)의 일 영역에 있는 상품들을 상품 보관 창고(200)의 다른 영역이나 상품 보관 창고(200) 외부로 운송하기 위해 상품을 선발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보관 창고(200)의 일 영역에 있는 상품을 운반용 상자, 운반용 대차, 또는 기타 운반용 도구에 싣는 동작이 피킹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품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은 운반용 도구라는 용어로 통일하기로 한다.
상품 보관 창고(200)에 보관될 수 있는 전체 상품(TG)에는 제1 상품(G1)과 같은 유형의 상품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상품(G1)은 복수의 아이템(I)들을 포함하는 아이템 세트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상품(G1)은 낱개로 구분/거래될 수 있는 복수의 아이템(I)들 전체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2를 참조하면, 상품 보관 창고(200)에 보관될 수 있는 전체 상품(TG)에는 제2 상품(G2)과 같은 유형의 상품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상품(G2)은 그 자체가 낱개로 구분/거래될 수 있는 상품일 수 있다. 복수의 제2 상품(G2)들이 하나의 상품 박스(GB)에 보관될 수 있다. 제2 상품(G2)은 상품 박스(GB)에 보관된 채로 상품 보관 창고(200)에 보관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3을 참조하면, 상품 보관 창고(200)에 보관될 수 있는 전체 상품(TG)에는 제3 상품(G3)과 같은 유형의 상품이 포함될 수 있다. 제3 상품(G3)은 서로 다른 상품 박스(GB)에 보관되어 있는 아이템들을 함께 지칭하는 표현일 수 있다. 제3 상품(G3)은 제1 상품 박스(GB1) 및 제3 상품 박스(GB3)에 각각 보관되어 있는 서로 다른 아이템들의 묶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제1 상품 박스(GB1) 및 제3 상품 박스(GB3)는 소정의 거리 이상을 두고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품 박스(GB1)에 치약이 복수 개 보관되어 있고, 제3 상품 박스(GB3)에 칫솔이 복수 개 보관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제3 상품(G3)이라 함은 제1 상품 박스(GB1)에 보관되어 있는 치약 3개 및 제3 상품 박스(GB3)에 보관되어 있는 칫솔 1개를 일괄하는 묶음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유사하게, 제4 상품(G4)은 제3 상품(G3)과 같은 유형의 상품일 수 있다. 이 때, 제4 상품(G4)은 제2 상품 박스(GB2) 및 제4 상품 박스(GB4)에 각각 보관되어 있는 서로 다른 아이템들의 묶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상품(G3) 및 제4 상품(G4)에 포함되는 아이템들은 서로 다른 상품 박스(GB)에 보관되어 있는 상태로 상품 보관 창고(200)에 보관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외부 상품 분류 장치(300)는 통신망(400)을 통하여 상품 분류 장치(100) 및/또는 상품 보관 창고(20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외부 상품 분류 장치(300)는 상품 분류 장치(100)와는 다른 창고의 적재 상품들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는, 외부 상품 분류 장치(300)는 상품 분류 장치(100)와 함께 상품 보관 창고(200)의 적재 상품들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품 분류 장치(100)는 상품 보관 창고(200)와 관련된 상품 관리 기록에 대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외부 상품 분류 장치(300)와 공유할 수 있다.
통신망(400)은 상품 분류 장치(100), 상품 보관 창고(200) 또는 상품 보관 창고(200)의 관리 단말기, 및 외부 상품 분류 장치(300) 중 적어도 둘 간의 유무선 통신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망(4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분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분류 장치(100)는 피킹 용량 설정부(110), 피킹 경로 결정부(120), 위치 값 결정부(130), 상품 선택부(140), 및 분류 진행 결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피킹 용량 설정부(110)는 일 회의 피킹으로 운송할 상품의 피킹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운반용 도구에 상품을 실을 수 있는 영역의 크기, 운반용 도구가 견딜 수 있는 무게, 또는 운반용 도구를 이동시킬 수 있는 무게 또는 부피의 한계 등으로 인하여, 운반용 도구에 피킹할 수 있는 상품의 용량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상품의 용량은 상품의 부피, 무게, 또는 상품의 종류나 형태에 의하여 결정되는 특수한 단위일 수 있다. 즉, 다양한 이유에 의하여 운반용 도구를 통하여 일 회의 운반 동작으로 수송할 수 있는 상품의 피킹 용량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피킹 용량 설정부(110)는 이러한 한계 이내의 수치로, 일 회의 피킹으로 운송할 상품의 피킹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피킹 용량 설정부(110)는 한계 수치 자체를 피킹 용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피킹 용량 설정부(110)는 한계 수치의 일정 비율(예를 들어, 80%)을 피킹 용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피킹 용량 설정부(110)는 상품의 용량 측정의 오차, 운반용 도구의 수명, 또는 기타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피킹 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피킹 용량 설정부(110)를 통하여 결정한 피킹 용량은 하나의 피킹 묶음에 포함시킬 상품들의 용량일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피킹 묶음은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시키기 위해 하나의 운반용 도구에 실은 상품들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품 분류 장치(100)는 하나의 피킹 묶음에 포함시킨 일부 상품들을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할 상품으로 결정하고, 일 회의 피킹으로는 피킹 대상 상품(PG)들 중에서 오직 해당 일부 상품들 만을 피킹하여 운반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피킹 경로 결정부(120)는 상품 보관 창고(200) 내에서 피킹을 위해 운반용 도구를 이동시키는 피킹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품 보관 창고(200) 내부의 이동 경로는 일방향 경로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품 보관 창고(200) 내부에서 운반용 도구를 이동시키는 운반자가 여러 명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보관 창고(200) 내부에서 운반용 도구를 이용한 피킹 경로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결정하지 않는다면, 운반자들끼리 서로가 서로의 이동 경로를 방해하게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킹 대상 상품(PG)의 피킹 및 운반이 어려워지거나 불가능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피킹 경로 결정부(120)는 상품 보관 창고(200) 내부의 일부 경로는 운반용 도구의 통행 금지 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고, 다른 일부 경로는 운반용 도구의 통행 방향을 일방향으로 한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품 보관 창고(200)의 전체 경로들은 바둑판 형태의 전체 경로에서 하나 이상의 서브 경로가 차단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상품 보관 창고(200)의 전체 경로는, 바둑판에서 검은색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대응하고, 상품 보관 창고(200)에서 상품들이 적재되는 공간은 바둑판에서 검은색 실선으로 둘러 싸인 사각형 형태의 공간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는 상품 보관 창고(200)의 바둑판 형태의 전체 경로에서 하나 이상의 서브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피킹 경로(PP)를 결정할 수 있다.
위치 값 결정부(130)는 상품 보관 창고(200) 내에 배치된 상품들의 위치를 피킹 경로 결정부(120)에서 결정한 피킹 경로에 기초하여 각 상품들의 위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세히, 상품 분류 장치(100)에서 상품 보관 창고(200)에 보관되어 있는 상품들 중 하나의 피킹 묶음에 포함시킬 일부 상품들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상품들의 위치를 먼저 정의해야 한다. 위치 값 결정부(130)는 상품 분류 장치(100)가 어떤 상품들을 선택할지 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각 상품들의 위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품 선택부(140)는 상품 보관 창고(200) 내에 배치된 피킹 대상 상품(PG)들 중 어떤 상품을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할 피킹 묶음에 포함시킬지 선택할 수 있다. 상품 선택부(140)는 피킹 대상 상품(PG)들 중 어떤 상품을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할 피킹 묶음에 포함시킬지 선택할 수 있다. 상품 선택부(140)는 위치 값 결정부(130)에 의해 결정된 각 상품들의 위치 값을 기준으로 피킹 묶음에 포함될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
분류 진행 결정부(150)는 상품 선택부(140)에 의해 하나의 피킹 묶음에 포함될 상품들을 결정한 후, 추가적으로 상품을 더 분류할지 상품 분류 과정을 종료시킬지 결정할 수 있다.
상품 선택부(140)에 의해 일 회의 피킹으로 운송할 상품들을 지정한 이후에도 여전히 피킹 대상 상품(PG)들이 남아있는 경우, 분류 진행 결정부(150)는 다시 상품 선택부(140)로 하여금 다른 일 회의 피킹으로 운송할 상품들을 지정하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하도록 상품 선택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선택부(140)는 기존의 상품 선택 과정에 의해 선택된 상품들은 제외하고, 나머지 피킹 대상 상품(PG)들 만을 대상으로 하여 상품을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품 선택부(140)의 결정에 의해 모든 피킹 대상 상품(PG)들이 전부 피킹 묶음에 포함되었거나, 일정한 조건에 따라 피킹 대상 상품(PG)들을 피킹 묶음에 포함시키는 과정을 종료시켜야하는 경우가 되면 분류 진행 결정부(150)는 소정의 기간 동안 또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더 이상 위치 값 결정부(130) 및/또는 상품 선택부(140)에 의한 작업이 수행되지 않도록 위치 값 결정부(130) 및/또는 상품 선택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품 분류 장치(100)는 제어부(160), 통신부(170), 메모리(180), 프로그램 저장부(190), 및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품 분류 장치(100)에 포함되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통신부(170)에게 특정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라고 지시할 수 있고, 통신부(170)의 통신 기능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어부(160)는 메모리(180) 또는 프로그램 저장부(190)에 특정한 데이터 저장을 지시하거나, 특정한 데이터 로드를 지시하거나, 특정한 데이터 삭제를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디바이스(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디바이스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160)는 도 4를 통하여 설명하였던 피킹 용량 설정부(110), 피킹 경로 결정부(120), 위치 값 결정부(130), 상품 선택부(140), 및 분류 진행 결정부(150) 중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피킹 용량 설정부(110), 피킹 경로 결정부(120), 위치 값 결정부(130), 상품 선택부(140), 및 분류 진행 결정부(150) 중 적어도 일부가 제어부(160) 외부에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해당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구성 요소들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상품 분류 장치(100)에서 상품 보관 창고(200), 상품 보관 창고(200)의 관리 단말기, 또는 외부 상품 분류 장치(300)로 송신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부(170)는 상품 보관 창고(200), 상품 보관 창고(200)의 관리 단말기, 또는 외부 상품 분류 장치(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80)는 제어부(16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8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80)는 상품 보관 창고(200), 상품 보관 창고(200)의 관리 단말기, 또는 외부 상품 분류 장치(300)와 송수신한 자료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90)는 상품 분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이거나 보조적인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DB)는 상품 분류 장치(100), 상품 보관 창고(200), 상품 보관 창고(200)의 관리 단말기, 및/또는 외부 상품 분류 장치(300) 간 송수신한 자료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분류 방법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분류 방법을 수행하는 상품 분류 장치(100)는 피킹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S1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품 분류 장치(100)는 S10 단계에서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할 피킹 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상품 분류 방법을 수행하는 상품 분류 장치(100)는 피킹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S2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품 분류 장치(100)는 S20 단계에서 상품 보관 창고(200) 상에서의 피킹 경로를 일방향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상품 분류 장치(100)가 S20 단계에서 피킹 경로를 일방향 경로로 결정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잠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품 분류 장치(100)는 상품 보관 창고(200) 상에서의 피킹 경로(PP)를 일방향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 보관 창고(20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피킹 대상 상품(PG)들이 진열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품 보관 창고(200)에는 복수의 피킹 대상 상품(PG)들이 진열된 공간에 인접하게 이동이 가능한 통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분류 장치(100)는 일정한 일방향 경로를 선택하여 이를 피킹 경로(PP)로 지정할 수 있다. 즉, 상품 분류 장치(100)는 상품 보관 창고(200) 내부의 이동 경로 중 적어도 일부의 경로만을 통행 가능한 경로로 지정하고, 지정한 적어도 일부의 경로의 이동 방향을 일 방향으로 지정하여, 피킹 경로(PP)가 일방향 경로가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품 분류 장치(100)는 상품 보관 창고(200)의 일 위치를 출발점(S)으로 지정할 수 있고, 다른 위치를 종료점(E)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후, 상품 분류 장치(100)는 출발점(S)에서 출발하여 종료점(E)으로 도착하는 피킹 경로(PP)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분류 장치(100)는 피킹 경로(PP) 상에서 운반용 도구를 이동시키는 경로를 일방향으로 지정할 수 있다. 즉, 상품 분류 장치(100)는 반드시 피킹 경로(PP) 상에서 출발점(S)에서 종료점(E)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운반용 도구를 이동시켜야 한다고 지정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분류 장치(100)는 피킹 경로(PP)가 상품 보관 창고(200)의 전체 상품(TG)들 각각에 인접할 수 있도록 피킹 경로(PP)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도 10을 참조하면, 상품 분류 장치(100)에 의해 설정된 피킹 경로(PP)는 상품 보관 창고(200)의 전체 상품(TG)들 각각과 인접하여 있는 경로를 적어도 한번씩 지나가도록 결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품 분류 장치(100)는 상품 보관 창고(200)의 전체 상품(TG)들에 접근할 수 있으면서도, 운반용 도구를 이용하여 피킹을 수행하는 운반자들 간에 혼란이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일방향으로 뻗어있는 피킹 경로(PP)를 설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상품 분류 장치(100)는 설정한 피킹 경로(PP)를 수학적인 계산에 용이하도록 직선형 경로라고 가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예시에서 상품 분류 장치(100)는 피킹 경로(PP)를 일방향 경로로 지정한 바 있다. 다만 현실적으로 이러한 피킹 경로(PP)가 직선형이 되기는 쉽지 않다. 도 10에서 설정된 피킹 경로(PP) 또한 일방향 경로이기는 하지만 구불구불한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불구불한 형태의 경로는 상품 분류 장치(100)가 각 상품들의 논리적 위치를 결정하고 피킹 묶음에 포함시킬 상품들을 결정할 때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품 분류 장치(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킹 경로(PP)를 직선형 경로인 논리적 피킹 경로(LPP)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분류 장치(100)는 논리적 피킹 경로(LPP)의 각 구간의 길이 비율을, 실제 피킹 경로(PP)의 각 구간의 길이 비율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이 때, 상품 분류 장치(100)는 논리적 피킹 경로(LPP)의 각 구간의 길이 비율을, 실제 피킹 경로(PP)의 각 구간의 길이 비율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분류 장치(100)는 실제 피킹 경로(PP) 상에서 상품들과 인접하여 상품들을 운반용 도구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간에서의 길이 비율을, 실제 피킹 경로(PP) 상에서 상품들과 인접하지 않거나 상품들을 운반용 도구로 이동시킬 수 없는 단순 이동 구간에서의 길이 비율보다 더 높게 설정하여 논리적 피킹 경로(LPP)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품 보관 창고(200)에서 상품들과 인접하여 상품들을 운반용 도구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경로는 운반용 도구를 이용하여 피킹을 수행하는 운반자들이 실제로 운반 작업을 수행하는 위치와 중복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제 피킹 경로(PP) 중 제1 피킹 경로(PP1)는 운반자들이 해당 경로의 왼쪽에 위치하는 상품들을 싣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로일 수 있다.
반면, 상품 보관 창고(200)에서 상품들을 싣는 영역과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은 경로는 운반자들이 쉽게 통과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로는 운반 작업의 효율과 큰 연관이 없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제 피킹 경로(PP) 중 제2 피킹 경로(PP2)는 운반자들이 해당 경로에서 특별한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단순히 통과하는 경로일 수 있다.
따라서, 상품 보관 창고(200)에서 상품들과 인접하여 상품들을 운반용 도구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경로를 가능하면 적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면, 운반자들 간의 피킹 작업이나 운반 작업이 서로 방해 받는 경우가 적게 발생할 수 있다. 즉, 상품 분류 장치(100)에서 논리적 피킹 경로(LPP)를 바탕으로 각 운반자들이 피킹할 상품들을 결정할 때, 제1 피킹 경로(PP1)와 같이 상품 피킹 작업과 관련이 큰 경로는 그 길이 비율을 높게 반영하여 논리적 피킹 경로(LPP)를 설정할 수 있고, 제2 피킹 경로(PP2)와 같이 상품 피킹 작업과 관련이 적은 경로는 그 길이 비율을 낮게 반영하여 논리적 피킹 경로(LPP)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분류 장치(100)는 제1 피킹 경로(PP1) 상에서의 10 미터는 논리적 피킹 경로(LPP) 상에서 10 단위 길이가 되도록하고, 제2 피킹 경로(PP2) 상에서의 10 미터는 논리적 피킹 경로(LPP) 상에서 2 단위 길이가 되도록(즉, 제1 피킹 경로(PP1)를 제2 피킹 경로(PP2)보다 5배 긴 비율이 되도록 비율을 결정)하여 논리적 피킹 경로(LPP)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상품 분류 장치(100)는 제1 피킹 경로(PP1) 상에서의 10 미터는 논리적 피킹 경로(LPP) 상에서 10 단위 길이가 되도록하고, 제2 피킹 경로(PP2)는 길이에 관계없이 0 단위 길이가 되도록(즉, 제1 피킹 경로(PP1) 만을 고려하여 논리적 피킹 경로(LPP)를 결정)하여 논리적 피킹 경로(LPP)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품 분류 장치(100)는 실제로 상품들의 피킹 작업에 관련이 깊고, 이에 따라 피킹 작업의 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경로를 더 크게 고려될 수 있는 논리적 피킹 경로(LPP)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상품 분류 방법을 수행하는 상품 분류 장치(100)는 상품들의 위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S3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품 분류 장치(100)는 S30 단계에서 상품 보관 창고(200) 상에서 피킹 대상 상품(PG)들 각각의 위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품 분류 장치(100)는 실제 피킹 경로(PP) 또는 논리적 피킹 경로(LPP) 상에서 피킹 대상 상품(PG)들 각각의 위치 값을 결정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논리적 피킹 경로(LPP) 상에서 피킹 대상 상품(PG)들 각각의 위치 값을 결정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품 분류 장치(100)는 실제 피킹 경로(PP) 또는 논리적 피킹 경로(LPP) 상에서 각각의 피킹 대상 상품(PG)들과 인접하여 있는 위치를 각 상품들의 위치로 대응시킬 수 있다. 이후 상품 분류 장치(100)는 논리적 피킹 경로(LPP)의 출발점(S) 및 종료점(E)에 일정한 수치를 부여할 수 있고, 각 상품들의 위치에 출발점(S) 및 종료점(E)에 부여한 값에 대응하는 수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분류 장치(100)는 논리적 피킹 경로(LPP)의 출발점(S)에 0, 종료점(E)에 1000이라는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이 후, 상품 분류 장치(100)는 각 상품들의 위치가 출발점(S) 및 종료점(E) 사이의 어떤 위치에 대응하는지 확인하고, 그 위치에 비례하게 각 상품들의 위치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점(S)에서부터 일 특정 상품의 위치까지의 길이 및 특정 상품에서부터 종료점(E)까지의 길이 간의 비율이 3:7인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는 해당 일 특정 상품에 대하여 300의 위치 값을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출발점(S)에서부터 다른 특정 상품의 위치까지의 길이 및 특정 상품에서부터 종료점(E)까지의 길이 간의 비율이 8:2인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는 해당 다른 특정 상품에 대하여 800의 위치 값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상품이 상품 보관 창고(200)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의 상품 박스(GB)에 보관되어 있는 서로 다른 아이템(I)들의 묶음인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는 해당 상품의 위치를, 해당 상품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아이템(I)에 대한 위치 값의 평균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특정 상품은 제1 및 제2 아이템(I) 두 개의 묶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아이템(I) 각각의 위치 값이 300 및 400인 경우, 해당 일 특정 상품의 위치 값은 300 및 400의 평균인 350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다른 특정 상품은 제3 내지 제5 아이템(I) 세 개의 묶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3 내지 제5 아이템(I)들 각각의 위치 값이 100, 300, 및 800인 경우, 해당 다른 특정 상품의 위치 값은 100, 300, 및 800의 평균인 400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서로 다른 아이템(I)들 각각의 위치 값은, 상품 분류 장치(100)가 S30 단계를 통하여 피킹 대상 상품(PG)들 각각의 위치 값을 결정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어서, 상품 분류 방법을 수행하는 상품 분류 장치(100)는 일부 상품들을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할 상품 묶음들로 결정하는 단계(S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도 7을 참조하면, 상품 분류 장치(100)는 각 상품들로부터 피킹을 시작할 경우의 필요 이동 거리를 산정하는 단계(S41 단계) 및 산정한 이동 거리가 가장 짧은 상품으로부터 피킹을 수행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S42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품 분류 장치(100)는 S40 단계에서, 피킹 경로(PP) 또는 논리적 피킹 경로(LPP) 상에서 각 피킹 대상 상품(PG)들의 위치 값을 기준으로, 피킹 용량을 채울 수 있는 가장 짧은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피킹 대상 상품(PG)들을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할 일부 상품들로 선택할 수 있다. 상품 분류 장치(100)가 S40 단계에서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할 일부 상품들을 선택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잠시 도 1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품 분류 장치(100)는 피킹 경로(PP) 또는 논리적 피킹 경로(LPP) 상에서 피킹 대상 상품(PG)들의 위치 값을 결정하고, 위치 값을 기준으로 하여 피킹 용량을 채우기 위한 개수의 상품들을 피킹하기 위해 운반자가 이동하여야 하는 이동 거리를 각각의 피킹 대상 상품(PG)들에 대하여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상품 분류 장치(100)는 피킹 대상 상품(PG)들 중, 논리적 피킹 경로(LPP) 상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피킹 대상 상품(PG)들 중 7개인 제1 내지 제7 상품들 각각에 대한 위치 값을 GP1 내지 GP7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분류 장치(100)는 제k 상품에 대한 위치 값을 GPk로, 해당 제k 상품과 사이에 3개의 피킹 대상 상품(PG)을 두고 있는 제(k+4) 상품에 대한 위치 값을 GP(k+4)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품 분류 장치(100)는 GP1 및 GP2 사이의 거리를 D1이라고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분류 장치(100)는 상대적으로 종료점(E)에 더 가까운 위치 값인 GP2에서 상대적으로 출발점(S)에 더 가까운 위치 값인 GP1을 빼서 D1을 계산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품 분류 장치(100)는 논리적 피킹 경로(LPP) 상의 모든 피킹 대상 상품(PG)들 간의 간격을 계산할 수 있다. 즉, 상품 분류 장치(100)는 피킹 대상 상품(PG)들 중 7개인 제1 내지 제7 상품들 각각에 대한 위치 값인 GP1 내지 GP7을 바탕으로 하여, D1 내지 D6를 계산할 수 있다.
이 후, 상품 분류 장치(100)는 피킹 용량을 채우기 위한 개수의 상품들을 피킹하기 위해 운반자가 이동하여야 하는 이동 거리를 각각의 피킹 대상 상품(PG)들에 대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킹 용량이 상품 5개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가 제1 상품으로부터 피킹 용량을 채우기 위한 개수의 상품들을 피킹하게 되면, 제1 내지 제5 상품들이 선택되게 된다. 따라서, 상품 분류 장치(100)는 제1 상품으로부터 피킹 용량을 채우기 위한 개수의 상품들을 피킹할 경우에는 운반자가 제1 상품으로부터 제5 상품까지 이동해야 하므로, 이동 거리가 D1+D2+D3+D4가 된다고 계산할 수 있다. 즉, 상품 분류 장치(100)는 제1 상품에 대응하는 이동 거리는 D1+D2+D3+D4라고 계산할 수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상품 분류 장치(100)는 제2 상품에 대응하는 이동 거리는 D2+D3+D4+D5라고 계산할 수 있고, 제3 상품에 대응하는 이동 거리는 D3+D4+D5+D6라고 계산할 수 있다. 상품 분류 장치(100)는 이러한 이동 거리의 계산을 피킹 대상 상품(PG)들 전체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상품 분류 장치(100)는 계산한 이동 거리가 가장 짧은 경우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k 상품에서부터 제(k+4) 상품까지의 거리를 DS라고 할 수 있고, 이 거리가 피킹 대상 상품(PG)들 전체에 대응하는 이동 거리 계산 중 가장 짧은 거리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는 제k 내지 제(k+4) 상품들이 피킹 용량을 채울 수 있는 가장 짧은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상품들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분류 장치(100)는 제k 내지 제(k+4) 상품들을 하나의 피킹 묶음에 포함시킬 상품들로 판단하고, 해당 다섯 개의 상품들을 피킹하라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위의 예시에서는 피킹 용량이 상품 개수 5개인 경우를 가정하였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고, 상품 분류 장치(100)는 피킹 용량이 다른 상품 개수를 피킹 용량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이 외에 소정의 부피, 소정의 무게 등을 피킹 용량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품 분류 방법을 수행하는 상품 분류 장치(100)는 추가 상품 분류가 필요한지 확인하는 단계(S5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도 8을 참조하면, 만약 추가 상품 분류가 필요한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는 기 선택된 상품들을 피킹 후보에서 제외하는 단계(S6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품 분류 장치(100)는 기 선택된 상품들(상기 예시의 경우 제k 내지 제(k+4) 상품들)을 피킹 후보에서 제외시킨 후 다시 S40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즉, 상품 분류 장치(100)는 기 선택된 상품들을 제외하고 추가로 피킹할 상품들이 존재하는 경우, 기 선택된 상품들을 제외한 상태에서 S40 단계를 재실행하여 추가 상품들을 추가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추가 상품 분류가 필요 없는 경우라면, 상품 분류 장치(100)는 상품 분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상세히, 상품 분류 장치(100)는 이미 피킹 묶음에 포함된 상품들을 제외한 상태에서 추가 상품 분류가 필요한지 확인할 수 있다. 상품 분류 장치(100)는 피킹 묶음에 포함된 상품들을 제외한 상태에서 추가로 피킹이 필요한 상품들이 존재하는 경우를 추가 상품 분류가 필요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고, 피킹이 필요한 모든 상품들에 대한 피킹 묶음 지정이 완료된 경우를 추가 상품 분류가 필요 없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품 분류 장치(100)는 피킹이 필요한 잔여 상품들을 다 합하여도 피킹 용량을 채울 수 없는 경우를 추가 상품 분류가 필요 없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품 분류 장치(100)는 기 설정된 소정의 횟수 만큼 피킹 묶음 설정을 반복한 경우를 추가 상품 분류가 필요 없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난 것과 같은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는 제k 내지 제(k+4) 상품들을 일 회의 피킹에 의해 피킹될 피킹 묶음들로 설정한 이후, 제1 내지 제7 상품들을 포함하는 남아있는 피킹 대상 상품(PG)들에 대하여 상품 분류 과정인 S40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만약 제2 상품으로부터 계산되는 이동 거리(즉, D2+D3+D4+D5)가 다른 모든 남아있는 피킹 대상 상품(PG)들로부터 계산될 수 있는 이동 거리보다 짧은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는 제2 내지 제6 상품들을 또 다른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할 상품들로 분류할 수 있다. 상품 분류 장치(100)는 이렇게 피킹 대상 상품(PG)들을 분류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고,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은 판단 조건에 의하여 추가 상품 분류가 필요 없는 경우라고 판단될 때 상품 분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품 보관 창고(200)에 보관할 상품이 추가되거나, 상품 보관 창고(200)에 보관되어 있는 전체 상품(TG)들 중에서 피킹 대상으로 신규 상품들이 추가 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는 신규 상품들의 위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S7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품 분류 장치(100)는 해당 신규 상품들을 피킹 대상 상품(PG)들에 포함될 신규 상품들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분류 장치(100)는 신규 상품들 각각에 대한 위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분류 장치(100)는 S30 단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과정을 통하여 신규 상품들에 대한 위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품 분류 장치(100)는 추가된 신규 상품들을 피킹 대상 상품(PG)들에 포함시켜서 S50 단계 및/또는 S6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품 분류 장치(100)는 S70 단계 이후에 이동 거리의 재산정이 필요한지 확인하는 단계(S8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품들 주변에 신규 상품들이 추가된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하여 산정한 이동 거리에 변화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 분류 장치(100)는 피킹 대상 상품(PG)들 각각에 대하여 신규로 추가된 상품에 의하여 피킹 용량을 채우기 위한 운반자의 이동 거리에 영향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품 분류 장치(100)는 피킹 대상 상품(PG)들 중 이동 거리의 재산정이 필요한 상품들에 대해서는, S41 단계를 통하여 이동 거리를 재산정할 수 있다. S41 단계를 통하여 이동 거리를 재산정한 상품들의 경우, 또는 이동 거리의 재산정이 필요하지 않은 상품들의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는 S42 단계를 통하여 이동 거리가 가장 짧은 상품으로부터 피킹 묶음을 설정하는 작업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품 분류 장치(100)는 신규 상품의 추가와 관계없이도 이동 거리의 재산정이 필요한 상품들에 대해서는 이동 거리를 재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피킹 묶음 선정 작업을 통하여 선택된 상품들을 포함하여 운반자의 이동 거리가 산정되었던 상품들의 경우, 다음 번 피킹에서 피킹 용량을 채우기 위한 이동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품 분류 장치(100)는 종래의 피킹 묶음 선정에 포함된 일부 상품들을 포함하여 이동 거리를 산정한 상품들에 대해서는 이동 거리를 재산정하고, 이동 거리를 산정하는 과정에서 종래의 피킹 묶음 선정에 포함된 일부 상품들에 영향을 받지 않았던 상품들에 대해서는 기존에 산정한 상기 이동 거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13을 참조하면, 상품 분류 장치(100)는 논리적 피킹 경로(LPP) 상에 각각의 피킹 대상 상품(PG)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논리적 피킹 경로(LPP) 하단에 표시된 숫자들은, 해당 숫자가 표시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품으로부터 피킹 용량을 채우기 위해 필요한 운반자의 이동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예를 들어, 피킹 대상 상품(PG)들 각각에 대하여 계산된 이동 거리들 중 가장 짧은 이동 거리인 제1 상품의 위치 값(GPS1)으로부터 계산된 이동 거리는 7이고, 그 다음으로 가장 짧은 이동 거리인 제2 상품의 위치 값(GPS2)으로부터 계산된 이동 거리는 9이고, 그 다음으로 가장 짧은 이동 거리인 제3 상품의 위치 값(GPS3)으로부터 계산된 이동 거리는 13인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는 계산된 이동 거리가 가장 짧은 위치인 제1 상품의 위치로부터 피킹 용량을 채우기 위한 개수의 상품들을 포함하여 일 회의 피킹으로 피킹할 피킹 묶음을 결정할 수 있다.
이 후, 상품 분류 장치(100)는 해당 피킹 묶음을 결정한 다음 두 번째 피킹 묶음 결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거리의 변화가 없다면, 상품 분류 장치(100)는 제2 상품의 위치로부터 피킹 용량을 채우기 위한 개수의 상품들을 포함하여 다음 일 회의 피킹으로 피킹할 피킹 묶음을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상품의 위치로부터 피킹 용량을 채우기 위한 개수의 상품들을 포함하여 피킹 묶음을 생성함으로 인하여, 제2 상품의 위치 값(GPS2)으로부터 계산된 이동 거리가 9에서 15로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는 변경된 이동 거리를 반영한 상태에서 계산된 이동 거리가 가장 짧은 위치인 제3 상품의 위치로부터 피킹 용량을 채우기 위한 개수의 상품들을 포함하여 다음 일 회의 피킹으로 피킹할 피킹 묶음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품 분류 장치(100)는 언제나 주어진 상황에서 가장 짧은 길이의 동선으로 이동하면서 상품의 피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품 분류 장치(100)는 논리적 피킹 경로(LPP)의 출발점(S) 및 종료점(E) 사이에 중간진입점이나 중간이탈점을 결정할 수 있다.
상세히, 상품 분류 장치(100)는 상품 보관 창고(200) 내의 실제 이동 경로에서 적어도 일부 경로를 폐쇠하고, 적어도 일부 경로의 이동 방향을 일방향으로 결정하여 피킹 경로(PP)를 설정한 바 있다. 이 때, 상품 보관 창고(200) 내의 실제 이동 경로들 중에서 피킹 경로(PP)로 선택되지 않은 경로를 이용하여 피킹 경로(PP)의 출발점(S) 및 종료점(E) 사이에서 피킹 경로(PP)로 진입하거나 피킹 경로(PP)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위치가 존재할 수 있다. 상품 분류 장치(100)는 이러한 위치들 중 적어도 일부를, 피킹 경로(PP)로 진입할 수 있는 중간진입점으로 지정하거나, 피킹 경로(PP)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중간이탈점으로 지정하거나, 진입 및 이탈이 모두 가능하도록 중간진입점이면서 동시에 중간이탈점이도록 지정할 수 있다. 상품 분류 장치(100)는 논리적 피킹 경로(LPP) 상에서 해당 중간진입점 및/또는 중간이탈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중간진입점 및/또는 중간이탈점이 존재한다는 내용을 표시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하도록 지정한 피킹 묶음에 포함된 모든 상품들이 출발점(S)과 중간이탈점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는 해당 상품들을 피킹할 때 출발점(S)에서부터 피킹을 진행하고, 피킹이 완료된 이후에 해당 중간이탈점을 통하여 피킹 경로(PP)로부터 이탈하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하도록 지정한 피킹 묶음에 포함된 모든 상품들이 중간진입점과 종료점(E)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는 해당 상품들을 피킹할 때 해당 중간진입점을 통하여 피킹 경로(PP) 상에 진입하여 피킹을 진행하고 종료점(E)을 통하여 피킹 경로(PP)로부터 이탈하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를 참조하면, 논리적 피킹 경로(LPP) 상에 중간이탈점(M1) 및 중간진입점(M2)이 존재할 수 있다. (물론 M1은 중간이탈점이면서 동시에 중간진입점일 수도 있고, M2 역시 중간진입점이면서 동시에 중간이탈점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의 지시에 의해 도 15 상에서 이동 거리가 6으로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서부터 상품의 피킹을 진행하는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는 운반자에게 중간진입점(M2)을 통하여 피킹 경로(PP)에 진입하여 상품의 피킹을 진행하고 종료점(E)을 통하여 피킹 경로(PP)로부터 이탈하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품 분류 장치(100)의 지시에 의해 도 15 상에서 이동 거리가 7로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서부터 상품의 피킹을 진행하는 경우, 그리고 해당 위치에서부터 피킹되어야할 모든 상품들이 출발점(S) 및 중간이탈점(M1)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는 운반자에게 출발점(S)에서부터 피킹을 진행하고, 중간이탈점(M1)을 통하여 피킹 경로(PP)로부터 이탈하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품 분류 장치(100)의 지시에 의해 도 15 상에서 이동 거리가 15로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서부터 상품의 피킹을 진행하는 경우, 그리고 해당 위치에서부터 피킹되어야할 모든 상품들이 중간이탈점(M1) 및 중간진입점(M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그리고 중간이탈점(M1)이 중간 진입을 위한 위치로도 사용될 수 있고 중간진입점(M2)이 중간 이탈을 위한 위치로도 사용될 수 있는 경우, 상품 분류 장치(100)는 운반자에게 M1을 통하여 피킹 경로(PP)에 진입하여 상품의 피킹을 진행하고 M2를 통하여 피킹 경로(PP)로부터 이탈하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하여, 상품 분류 장치(100)는 상품들을 피킹하고 운반할 때, 가장 짧은 경로를 선택하여 효율적으로 피킹 및 운반을 진행할 수 있는 피킹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분류 장치(100)는 운반자들 간에 서로 이동 방향이 상충되거나 충돌하는 경우가 방지되도록 피킹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분류 장치(100)는 특정 영역에 몰려있는 상품들을 피킹해야 하는 경우에는 피킹 경로를 처음부터 끝까지 따라서 이동하지 않고, 피킹 경로의 중간에 존재하는 중간진입점을 통하여 피킹 경로에 진입하거나 중간이탈점을 통하여 피킹 경로로부터 이탈하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상품의 피킹을 진행하도록 하는 피킹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디바이스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상품 분류 시스템
100: 상품 분류 장치
110: 피킹 용량 설정부
120: 피킹 경로 결정부
130: 위치 값 결정부
140: 상품 선택부
150: 분류 진행 결정부
200: 상품 보관 창고
300: 외부 상품 분류 장치
400: 통신망

Claims (20)

  1. 프로세서에 의해, 상품 보관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피킹 대상 상품들 중에서, 하나의 피킹 묶음에 포함시킬 일부 상품들을 선택하여 분류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할 피킹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상품 보관 창고 상에서의 피킹 경로를 일방향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상품 보관 창고 상에서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 각각의 위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 값을 기준으로 상기 피킹 경로 상에서 상기 피킹 용량을 채울 수 있는 가장 짧은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상품들을 상기 일부 상품들로 선택하는 단계;
    선택한 상기 일부 상품들을 제외하고 추가로 피킹할 상품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품 분류 과정을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에 대한 피킹이 완료된 경우 상품 분류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분류 과정을 유지하는 단계는,
    선택한 상기 일부 상품들을 제외하고 추가로 피킹할 상품들이 존재하는 경우, 선택한 상기 일부 상품들을 제외한 상태에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를 재실행하여 추가 일부 상품들을 추가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에 포함될 신규 상품들이 추가된 경우, 상기 신규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위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상품들을 포함한 상태에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를 재실행하여 상기 추가 일부 상품들을 추가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상품들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값을 기준으로 상기 피킹 경로의 정해진 방향에 따라 이동하면서, 인접한 위치의 상품들을 함께 피킹하여 상기 피킹 용량을 채울 수 있는 이동 거리를,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산정한 상기 이동 거리가 가장 짧은 상품으로부터 인접한 상품들을 상기 일부 상품들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상품들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 중, 상기 일부 상품들에 포함되는 상품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 거리를 산정한 상기 상품들에 대해서는 상기 이동 거리를 재산정하고, 상기 이동 거리를 산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일부 상품들에 포함되는 상품에 영향을 받지 않았던 상기 상품들에 대해서는 기존에 산정한 상기 이동 거리를 그대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에 포함되는 제1 상품 및 제2 상품에 대하여, 상기 제1 상품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이 일 위치에 모여서 놓여있는 경우에는 상기 일 위치를 상기 제1 상품의 위치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상품에 포함된 상품들이 복수의 위치들에 떨어져서 놓여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위치들의 평균 값을 상기 제2 상품의 위치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보관 창고 내부의 이동 경로 중 적어도 일부의 경로만을 통행 가능한 경로로 지정하고, 지정한 상기 적어도 일부의 경로의 이동 방향을 일 방향으로 지정하여, 상기 피킹 경로가 상기 일방향 경로가 되도록 상기 피킹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킹 경로의 출발점 및 종료점을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킹 경로 상에서 상기 출발점 및 상기 종료점 사이에 중간이탈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 상품들이 모두 출발점과 상기 중간이탈점 사이에 존재할 경우, 상기 일부 상품들을 피킹할 때 상기 피킹 경로로부터 상기 중간이탈점에서 이탈할 것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킹 경로 상에서 상기 출발점 및 상기 종료점 사이에 중간진입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경로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 상품들이 모두 상기 중간진입점과 상기 종료점 사이에 존재할 경우, 상기 일부 상품들을 피킹할 때 상기 피킹 경로로 상기 중간진입점에서 진입할 것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보관 창고 상에서의 피킹 경로는, 바둑판 형태의 전체 경로에서 하나 이상의 서브 경로가 차단되어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분류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상품들은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일 회의 피킹으로는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 중 상기 일부 상품들만 피킹하여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분류 방법.
  15.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 항 내지 제14 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6.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할 피킹 용량을 설정하는 피킹 용량 설정부;
    상품 보관 창고 상에서의 피킹 경로를 일방향 경로로 결정하는 피킹 경로 결정부;
    상기 상품 보관 창고에 보관된 전체 상품들 중 피킹을 수행할 예정인 피킹 대상 상품들 각각의 위치 값을 결정하는 위치 값 결정부;
    상기 위치 값을 기준으로 상기 일방향 경로 상에서 상기 피킹 용량을 채울 수 있는 가장 짧은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상품들을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 중 상기 일 회의 피킹으로 운반할 일부 상품들로 선택하는 상품 선택부; 및
    선택한 상기 일부 상품들을 제외하고 추가로 피킹할 상품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품 분류 과정을 유지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에 대한 피킹이 완료된 경우 상품 분류 과정을 종료하도록 결정하는 분류 진행 결정부;를 포함하는, 상품 분류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진행 결정부는,
    선택한 상기 일부 상품들을 제외하고 추가로 피킹할 상품들이 존재하는 경우, 선택한 상기 일부 상품들을 제외한 상태에서 상기 선택하는 과정을 재실행하여 추가 일부 상품들을 추가 선택하도록 상기 상품 선택부를 제어하고,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에 대한 피킹이 완료된 경우, 상품 분류 과정을 종료하도록 상기 상품 선택부를 제어하는, 상품 분류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선택부는,
    상기 위치 값을 기준으로 상기 피킹 경로의 정해진 방향에 따라 이동하면서, 인접한 위치의 상품들을 함께 피킹하여 상기 피킹 용량을 채울 수 있는 이동 거리를,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산정하고,
    상기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산정한 상기 이동 거리가 가장 짧은 상품으로부터 인접한 상품들을 상기 일부 상품들로 선택하는, 상품 분류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선택부는,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 중, 상기 일부 상품들에 포함되는 상품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 거리를 산정한 상기 상품들에 대해서는 상기 이동 거리를 재산정하고, 상기 이동 거리를 산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일부 상품들에 포함되는 상품에 영향을 받지 않았던 상기 상품들에 대해서는 기존에 산정한 상기 이동 거리를 그대로 사용하는, 상품 분류 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값 결정부는,
    상기 피킹 대상 상품들 각각에 대하여, 제1 상품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이 일 위치에 모여서 놓여있는 경우에는 상기 일 위치를 상기 제1 상품의 위치 값으로 결정하고, 제2 상품에 포함된 상품들이 복수의 위치들에 떨어져서 놓여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위치들의 평균 값을 상기 제2 상품의 위치 값으로 결정하는, 상품 분류 장치.
KR1020160176835A 2016-12-22 2016-12-22 상품 분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31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835A KR101931342B1 (ko) 2016-12-22 2016-12-22 상품 분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835A KR101931342B1 (ko) 2016-12-22 2016-12-22 상품 분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221A true KR20180073221A (ko) 2018-07-02
KR101931342B1 KR101931342B1 (ko) 2018-12-20

Family

ID=62913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835A KR101931342B1 (ko) 2016-12-22 2016-12-22 상품 분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3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1980A (zh) * 2018-08-29 2020-03-10 天津京东深拓机器人科技有限公司 储位分类方法和装置
CN110929911A (zh) * 2018-09-20 2020-03-27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无人设备路径规划方法和装置
KR20210111213A (ko) * 2019-04-17 2021-09-10 쿠팡 주식회사 컴퓨터 구현 인공 지능 배치 픽업 최적화 및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22131434A1 (ko) * 2020-12-16 2022-06-23 쿠팡 주식회사 물류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493217B1 (ko) * 2022-03-24 2023-01-31 쿠팡 주식회사 집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7305B2 (en) * 2002-04-30 2005-06-14 Advanced Micro Devices, Inc. Agent reactive scheduling in an automated manufacturing environment
JP2007204176A (ja) * 2006-01-31 2007-08-16 Toyota Industries Corp 倉庫管理装置
WO2013116620A1 (en) * 2012-02-05 2013-08-08 Matthews Resources, Inc. Perpetual batch order fulfillmen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1980A (zh) * 2018-08-29 2020-03-10 天津京东深拓机器人科技有限公司 储位分类方法和装置
CN110871980B (zh) * 2018-08-29 2023-05-02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储位分类方法和装置
CN110929911A (zh) * 2018-09-20 2020-03-27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无人设备路径规划方法和装置
KR20210111213A (ko) * 2019-04-17 2021-09-10 쿠팡 주식회사 컴퓨터 구현 인공 지능 배치 픽업 최적화 및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22131434A1 (ko) * 2020-12-16 2022-06-23 쿠팡 주식회사 물류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1797922B2 (en) 2020-12-16 2023-10-24 Coupang Corp. Logistics information manag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KR102493217B1 (ko) * 2022-03-24 2023-01-31 쿠팡 주식회사 집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WO2023182557A1 (ko) * 2022-03-24 2023-09-28 쿠팡 주식회사 집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342B1 (ko)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736B1 (ko) 상품 분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31342B1 (ko) 상품 분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7046090B2 (ja) 出庫方法及び装置
Hong et al. Batch picking in narrow-aisle order picking systems with consideration for picker blocking
Alyahya et al. Application and integration of an RFID-enabled warehousing management system–a feasibility study
US20210319391A1 (en) Perpetual batch order fulfillment
US9928531B2 (en) In store voice picking system
KR101778758B1 (ko) 창고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8244603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stowing and picking in a materials handling facility
US114300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multiple packing stations in delivery of goods
US20150294395A1 (en) Logistics management system for determining pickup routes for retail stores
JP7370747B2 (ja) 持続的バッチ注文履行
US85719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advancing items in a picking schedule
US2018031499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fullfillment of one or more online orders
KR102384984B1 (ko) 물류 관리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JP7397181B2 (ja) 無人搬送車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664365B1 (ko) 배송 관리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US201802608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order packing
US11042835B2 (en) Point of purchase packaging
CN109118150B (zh) 商品体积的推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170154290A1 (en) Interregional supply adjustment device and program
US106431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fulfilling inventory items
JP2019016088A (ja) 集荷制御装置、及び集荷制御プログラム
US20200342525A1 (en) Third party carrier management
US20210334682A1 (en) Machine learning systems for managing invent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