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186A -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73186A KR20180073186A KR1020160176768A KR20160176768A KR20180073186A KR 20180073186 A KR20180073186 A KR 20180073186A KR 1020160176768 A KR1020160176768 A KR 1020160176768A KR 20160176768 A KR20160176768 A KR 20160176768A KR 20180073186 A KR20180073186 A KR 201800731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beacon
- user
- unit
- moving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8—Position of single direction-finder fixed by determining direction of a plurality of spaced sources of known loc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1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difference in transit time between electrical and acoustic signa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84—Relative position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 및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중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이동방향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원은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과 더불어 이에 기초하여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 보급화됨에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상황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O2O 서비스의 핵심은 사용자의 위치를 알아내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최근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을 이용한 위치 인식 기술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종래에 비콘을 이용한 서비스의 일예로는 각 오프라인 매장 내에 비콘을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매장의 주변 영역을 지나가는 경우, 특정 매장 내에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의 수신신호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에 기초하여 비콘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 후, 그 거리에 기초하여 할인 쿠폰이나 광고 메시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존재한다.
여기서, 비콘 신호는 대략적으로 약 50m에서 이상적으로는 70m 까지 광범위하게 도달할 수 있는데, 종래 비콘 기반의 서비스는 이러한 하나의 비콘으로부터 발생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신호강도에 기초하여 거리에 따라 4가지의 경우로 구분(일반적으로, 약 20cm까지는 Immediate 거리, 약 2m 내지 3m 까지는 Near 거리, 약 50m 내지 70m까지는 Far 거리, 신호가 감지되나 거리를 특정할 수 없을 경우 Unknown 거리로 구분)한 후, 이에 기초하여 하나의 비콘과 사용자 단말 간에 거리를 계산하였다.
비콘의 스펙에 의하면, 비콘은 비콘과 사용자 단말 간의 정확한 거리를 알아내는데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비콘을 이용하여서는 삼각측량 등과 같은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기존 방법을 사용할 수 없고,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별하는 기존 방법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비콘이 각 오프라인 매장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비콘과 다른 비콘이 상당히 먼 거리(대략적으로, 수십 미터 이상)에 떨어져 있음에 따라, 이를 통해서는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4가지로 구분된 거리의 경계를 지나간 경우에 대해서만 광역에서의 이동방향(예를 들어, 제1 매장에서 제2 매장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대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뿐이어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일예로 신호가 감지되는 영역(예를 들면, Far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영역)에서 특정 스팟을 지나가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해당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043879호(공개일: 2016.04.22)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특정 스팟을 통과하여 지나갈 때 실시간 또는 실시간에 가깝게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해당 특정 스팟을 지나갈 때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고려한 맞춤형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이나 공공장소에 비치된 다양한 정보제공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기존 행동(또는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주변환경에 적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상황별 맞춤형 정보 및 사용자의 의도가 고려된 동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 및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중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이동방향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가 동시에 감지되는 시점을 상기 동일 시간범위의 시작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비콘부 또는 상기 제2 비콘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또는 기설정된 신호세기 이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을 상기 동일 시간범위의 종료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동일 시간범위 동안의 시간에 따른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1 판단값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2 판단값을 상호 대비하여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상호 대비의 결과, 상기 제1 판단값과 상기 제2 판단값 중 큰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에서 작은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로의 방향으로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판단값은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의 평균값이고, 상기 제2 판단값은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의 평균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동일 시간범위 내에서의 동일 시점에 대하여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미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중 감지된 정보를 누적값 계산시 제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는, 판단하고자 하는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한 쌍을 이루며 배치되되 동일한 식별번호를 부여받고,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식별번호가 동일한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판단값 간에 상호 대비를 통해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하다가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모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이동방향의 판단시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모두로부터 신호세기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에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한 신호세기 정보를 제외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가 배치된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동선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간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간격은, 비콘의 신호세기 기반으로 계산된 사용자 단말과 비콘과의 거리의 오차 범위 이내의 간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비콘을 기준으로 RSSI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를 Immediate, Near, Far 및 Unknown로 구분한 간격에서 Far 이상의 영역에서 감지된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의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상기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을 통해 판단된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방향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는 맞춤형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맞춤형 정보를 외부에 설치된 정보제공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맞춤형 정보 생성부는, 상기 맞춤형 정보로서 외부로의 노출에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공적인 정보가 포함된 공적 맞춤형 정보 및 외부로의 노출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사용자의 사적인 정보가 포함된 사적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정보제공장치로는 상기 이동방향에 따른 공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는 상기 이동방향에 따른 사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사적인 정보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름 및 상기 사용자의 동의하에 제공되는 개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제공장치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 및 제2 비콘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맞춤형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가속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방향과 무관한 진동치의 스칼라값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사용자의 상황 판단 정보를 상기 이동방향 정보와 연동하여 상기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상기의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방법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 및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중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가 동시에 감지되는 시점을 상기 동일 시간범위의 시작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비콘부 또는 상기 제2 비콘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또는 기설정된 신호세기 이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을 상기 동일 시간범위의 종료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 시간범위 동안의 시간에 따른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1 판단값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2 판단값을 상호 대비하여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상호 대비의 결과, 상기 제1 판단값과 상기 제2 판단값 중 큰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에서 작은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로의 방향으로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판단값은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의 평균값이고, 상기 제2 판단값은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의 평균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 시간범위 내에서의 동일 시점에 대하여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미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중 감지된 정보를 누적값 계산시 제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는, 판단하고자 하는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한 쌍을 이루며 배치되되 동일한 식별번호를 부여받고,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식별번호가 동일한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판단값 간에 상호 대비를 통해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하다가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모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방향의 판단시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모두로부터 신호세기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에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한 신호세기 정보를 제외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가 배치된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동선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간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간격은, 비콘의 신호세기 기반으로 계산된 사용자 단말과 비콘과의 거리의 오차 범위 이내의 간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비콘을 기준으로 RSSI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를 Immediate, Near, Far 및 Unknown로 구분한 간격에서 Far 이상의 영역에서 감지된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와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신호세기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함으로써, 좁은 영역에서의 특정 스팟을 지나가는 사용자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가 특정 스팟에 구비된 한 쌍의 비콘을 향해 접근할 때, 사용자가 특정 스팟을 지나가기 이전에 이미 실시간 또는 실시간에 가깝게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이동방향을 고려한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가 해당 특정 스팟을 지나갈 때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이동방향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외부로의 노출에 문제가 되지 않는 공적인 정보가 포함된 공적 맞춤형 정보는 외부에 설치된 정보제공장치로 제공하고, 외부로의 노출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의 사적인 정보가 포함된 사적 맞춤형 정보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정보의 특성을 고려해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와 제2 비콘부를 이용해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파악된 이동방향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사용자의 기존 행동(또는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맞춤형 정보를 주변환경에 적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2개의 비콘에 기초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이동방향에 따라 통상적으로 진행되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거나 이동방향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행동을 미리 추정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비콘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시스템 구축시 사용자에게 별도의 금전적인 부담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내외 어디에든지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기반의 맞춤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실내외의 공공장소에 비치된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기반 안내시스템 및 청각장애인을 위한 영상기반 안내 시스템 등과 유기적으로 연동 가능한 인터렉티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간단한 앱 설치만으로 본원의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동일한 식별번호가 부여된 한 쌍의 비콘부를 필요에 따라 여러대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비콘부와 같은 장치의 운영에 있어서의 확장성 및 유연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가 한 쌍의 비콘부(1, 2)의 근처를 지나갈 때 정보제공장치(20) 또는 사용자 단말(10)로 이동방향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그 즉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한 쌍의 비콘부의 설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에서 동일 시간범위 동안에 한 쌍의 비콘부로부터 실측된 신호세기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에서 한 쌍의 비콘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의 실측값 중 측정값이 누락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공적 맞춤형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맞춤형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한 쌍의 비콘부의 설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에서 동일 시간범위 동안에 한 쌍의 비콘부로부터 실측된 신호세기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에서 한 쌍의 비콘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의 실측값 중 측정값이 누락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공적 맞춤형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맞춤형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비콘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정확하게 판단한 후, 판단된 이동방향에 따라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고, 맞춤형 정보 중에서도 공적 맞춤형 정보는 외부에 설치된 정보제공장치로 제공하고 사적 맞춤형 정보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본원은 사용자의 이동방향에 기초하여 각종 인터랙티브한 서비스를 제공하되, 사용자의 기존 행동에 방해없이 엠비언트적으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은 수신부(110) 및 이동방향 판단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에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과는 별도의 시스템(예를 들어, 후술할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서버를 의미할 수 있음)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과는 별도의 시스템인 서버(일예로, 후술할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해당 서버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수신부(11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 및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도 2를 통해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에서 이용되는 한 쌍의 비콘부의 설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한 쌍의 비콘부(1, 2)는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는 소정의 간격(r1)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간격(r1)은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가 배치된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동선(또는 이동경로)에 대응하는 나란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비콘부(1, 2)가 배치된 공간이 수평한 이동경로를 갖는 일반적인 복도 등인 경우,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는 이러한 복도와 같이 수평한 이동경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도 2의 일예에서는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가 복도의 벽면 등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는 복도 외에도 골목, 육교, 지하철 등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감지하고자 하는 다양한 공간(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간격(r1)은 비콘부(1, 2)의 신호세기 기반으로 계산된 사용자 단말(10)과 비콘부(1, 2)와의 거리의 오차 범위 이내의 간격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콘은 신호세기에 따라 Immediate, Near, Far 및 Unknown로 영역(거리 범위)을 크게 구분하고 있을 뿐, 예를 들어 Far 영역 내에서는 정확한 거리 계산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 본원의 비콘부(1,2)는 이처럼 거리 계산 상의 오차 범위 이내에 배치되어 정확한 거리 판단 또는 이동 방향 판단이 어려운 경우에도 그 이동방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사용자 이동 방향 인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한 쌍의 비콘부(1, 2)를 수미터 이내에 가까이 배치하면 한 쌍의 비콘부(1, 2)가 배치된 특정 스팟에서의 이동방향을 명확히 감지할 수 있다. 종래에는 복수의 비콘들이 수십미터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었기에 사용자가 수십미터에 걸쳐 이동하고 나면 동선을 결과적으로 추정할 수 있을 뿐이었지만, 본원에 의하면 특정 스팟에서의 이동방향을 실시간 또는 실시간에 가깝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한 쌍의 비콘부(1, 2)는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을 정도로 소정의 간격(r1)으로서 수미터 이내의 가까운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일예로, 소정의 간격(r1)은 2.4m 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콘부(1, 2)는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사이에는 후술할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정보제공장치(20)가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정보제공장치(20)는 디지털사이니지(Digital Signage)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 중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에서 사용자 단말(10)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0)이 제1 비콘부(1)를 지나 제2 비콘부(2)가 배치된 위치의 방향(일예로, 도 3의 도면 상에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했을 때,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각각과 사용자 단말(10) 간에 수신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의 변화 그래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S1 그래프는 사용자 단말(10)의 이동시 사용자 단말(10)에 의하여 감지된 사용자 단말(10)과 제1 비콘부(1) 간에 거리에 따른 이상적인 비콘신호세기의 변화 그래프로서, 달리 표현하여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를 나타내며, S2 그래프는 사용자 단말(10)의 이동시 사용자 단말(10)에 의하여 감지된 사용자 단말(10)과 제2 비콘부(2) 간에 거리에 따른 이상적인 비콘신호세기의 변화 그래프로서, 달리 표현하여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를 나타낸다. 이상적으로는 도 3의 그래프와 같이 사용자 단말(10)과 비콘부(1, 2) 간에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신호세기(RSSI)는 강하게 나타나고, 사용자 단말(10)과 비콘부(1, 2) 간에 거리가 멀어질수록 신호세기는 약하게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비콘 신호가 주변 환경 등 여러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음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에 의하여 측정된 비콘부(1, 2)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세기의 측정값에는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비콘 신호의 경우, 이상적으로는 약 70m까지 도달하고,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약 50m 까지 도달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비콘 신호의 최대 전송거리를 고려하고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가 소정의 간격(r1)을 두고 배치되는 점을 고려하면, 사용자 단말(10)이 도 3에서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은 먼저 소정의 시간 동안에는 제1 비콘부(1)로부터 발생되는 신호(S1a)만 감지하고, 이후 소정의 시간 동안에는 제1 비콘부(1)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와 제2 비콘부(2)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동시에 감지하고, 이후 소정의 시간 동안에는 제2 비콘부(2)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만 감지하고, 이후 소정의 시간 이후에는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모두 감지하지 못할 것이다.
이때,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사용자의 이동방향 판단시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 정보(S1, S2)를 전부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S1) 및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S2) 중에서 동일 시간범위(tsame) 동안에 감지된 신호세기 정보(S1b, S2b)만을 이용해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 시간범위(tsame)라 함은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S1)와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S2)가 동시에 감지되는 시간범위 중에서도 사용자의 이동방향 판단시 고려되는 시간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신호세기 정보(S1b, S2b) 중에서 S1b는 제1 비콘부(1)로부터 감지된 정보로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라 할 수 있고, S2b는 제2 비콘부(2)로부터 감지된 신호로서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S1) 및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S2)가 동시에 감지되는 시점(A)을 동일 시간범위(tsame)의 시작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사용자 단말(10)이 제1 비콘부(1) 또는 제2 비콘부(2)로부터 기설정된 거리(r2) 또는 기설정된 신호세기 이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B)을 동일 시간범위(tsame)의 종료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A 시점은 사용자의 이동방향 판단시 고려되는 동일 시간범위(tsame)의 시작 시점을 의미하고, B 시점은 사용자의 이동방향 판단시 고려되는 동일 시간범위(tsame)의 종료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의 일예에서는 동일 시간범위(tsame)의 시작 시점(A)과 종료시점(B)의 표시 및 기설정된 거리(r2) 등에 대한 표시를 제1 비콘부(1)를 기준으로만 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논리는 제2 비콘부(2)를 기준으로 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즉, 이러한 논리는 사용자 단말(10)이 제2 비콘부(2)를 지나 제1 비콘부(1)가 배치된 위치의 방향(일예로, 도 3의 도면 상에서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는, 동일 시간범위(tsame)의 종료 시점(B)에 기준이 되는 기설정된 거리(r2)가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각각을 기준으로 하여 정의된 거리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서는, 기설정된 거리(r2)가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 사이에 배치된 정보제공장치(20)를 기준으로 하여 정의된 거리일 수 있다. 일예로, 기설정된 거리(r2)는 반경 3m일 수 있다.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동일 시간범위(tsame) 동안의 시간에 따른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1b)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1 판단값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2b)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2 판단값을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판단값은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1b)의 누적값의 평균값을 의미하고, 제2 판단값은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2b)의 누적값의 평균값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제1 판단값 및 제2 판단값은 이로만 한정된 것은 아니고 누적값 그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판단값과 제2 판단값의 상호 대비 결과, 제1 판단값과 제2 판단값 중 큰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에서 작은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로의 방향으로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평균값이 제2 평균값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평균값에 대응하는 제1 비콘부(1)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제2 평균값에 대응하는 제2 비콘부(2)가 배치된 위치로의 방향(즉, 도 2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동일 시간범위(tsame) 동안에 제1 비콘부(1)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RSSI) 값들의 누적값, 즉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1b)의 누적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누적값의 평균값(이하 제1 평균값이라 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동일 시간범위(tsame) 동안에 제2 비콘부(2)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RSSI) 값들의 누적값, 즉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2b)의 누적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누적값의 평균값(이하 제2 평균값이라 함)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평균값과 제2 평균값을 상호 대비를 통해, 더 큰 평균값을 가지는 비콘부의 위치에서 더 작은 평균값을 가지는 비콘부의 위치로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방향 판단부(120)가 사용자의 이동방향 판단시 신호세기(RSSI) 값의 누적값 또는 누적값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이유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에서 동일 시간범위 동안에 한 쌍의 비콘부로부터 실측된 신호세기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달리 표현하여, 도 4는, 일예로 도 3과 같은 상황일 때 동일 시간범위(tsame) 동안에 시간에 따라 실측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1b)와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2b)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상적으로는 사용자 단말(10)이 제2 비콘부(2) 보다 제1 비콘부(1)에 더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측정값(S1b)이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측정값(S2b)보다 항상 더 크게 측정되어야 정상이지만, 실측 정보에서는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측정값(S1b)과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측정값(S2b)이 각 시간대별로 비교했을 때 그 값이 같거나 역전되는 경우(즉,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측정값인 S2b가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측정값인 S1b 보다 더 크게 측정되는 경우)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두 비콘부(1, 2)로부터 매 순간 측정된 신호세기 값의 비교 만으로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두 비콘부(1, 2)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 측정값에 오차가 존재하더라도, 제1 비콘부(1)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가 제2 비콘부(2)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 보다 전반적으로 강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단순히 매순간 측정된 신호세기(RSSI) 값 만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측정된 신호세기 값의 누적값에 대한 평균값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사용자의 이동방향 판단시, 동일 시간범위(tsame) 내에서의 동일 시점에 대하여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1b)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2b) 중 적어도 하나가 미감지(또는 누락)되는 경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1b)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2b) 중 미감지된 정보가 존재하는 동일 시점에서 감지된 정보를 누적값 계산시 제외할 수 있다.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에서 한 쌍의 비콘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의 실측값 중 측정값이 누락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달리 표현하여, 도 5는 일예로 도 3과 같은 상황일 때 동일 시간범위(tsame) 동안에 시간에 따라 실측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1b)와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2b)를 나타낸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단말(10)이 실제로 이동하면서 한 쌍의 비콘부(1, 2)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의 신호세기(RSSI) 값을 1초 간격으로 측정한 값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상적으로는 사용자 단말(10)이 매 초마다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값을 모두 감지해야 정상이지만, 실측 정보에서는 비콘 신호가 주위 환경에 영향을 받음에 따라 일부 신호세기 값이 누락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초, 2초 및 14초에서는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값만 감지되고, 3초 내지 7초 동안에는 두 비콘부(1, 2)의 신호세기 값이 모두 감지되지 않았으며, 8초 내지 10초 동안에는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값만 감지되고, 11초 내지 13초 동안에는 두 비콘부(1, 2)의 신호세기 값이 모두 감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값이 모두 감지되지 않거나(즉, 모두 누락되거나) 둘 중 어느 하나만 감지된 경우에는, 해당 시점에 감지된 신호세기 값을 이동방향 판단을 위한 누적값 계산 시 제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여,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값이 모두 감지된 경우에만 해당 값을 이동방향 판단을 위한 누적값 계산시 고려할 수 있다. 즉,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1초 내지 10초 및 제14초에 감지된 비콘의 신호세기 값은 누적값 계산시 제외하고, 11초 내지 13초에 감지된 비콘의 신호세기 값은 누적값 계산시 고려할 수 있다. 이후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 각각에 대한 신호세기 값의 누적값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한 이후 두 평균값 간의 비교를 통해 이동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는, 판단하고자 하는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한 쌍을 이루며 배치되어 동일한 식별번호(달리 표현하여, 공통 서비스 번호)를 부여받을 수 있다. 이후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식별번호가 동일한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S1b, S2b)의 누적값에 기반한 판단값 간에 상호 대비를 통해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내에는 비콘부에 대한 고유 식별ID로서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에 부여된 동일한 식별번호에 관한 정보 외에도, 다른 복수의 비콘쌍들에 부여된 식별번호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내에는 한 쌍의 비콘부(1, 2)에 대한 식별번호 외에도 그와 연계된 정보제공장치(20)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영역에 배치된 한 쌍의 비콘부(1, 2) 측으로 사용자가 이동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해당 한 쌍의 비콘부(1, 2)에는 동일한 식별번호가 부여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비콘부(1, 2)와는 다른 한 쌍의 비콘부에는 상기의 한 쌍의 비콘부(1, 2)에 부여된 식별번호와는 구분되는 다른 식별번호가 동일하게 부여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110) 및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되고, 데이터베이스(미도시)는 사용자 단말(10)과는 별도의 서버에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110), 이동방향 판단부(120) 및 데이터베이스(미도시)가 모두 서버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에서는 한 쌍의 비콘부(1, 2)와 한 쌍의 비콘부(1, 2) 사이에 배치된 정보제공장치(20)는 한 세트(set)의 서비스 장치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한 세트를 이루는 서비스 장치는 예를 들어, 지하철 역사와 같은 공간에서 이동방향의 판단이 필요한 영역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한 세트의 서비스 장치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비스 장치 각각에는 동일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각기 다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일예로, 지하철역 벽면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디지털 사이니지에 상기와 같은 복수의 서비스 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각각의 사이니지 화면마다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이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에서는, 필요에 따라 서비스 장치의 수를 늘리는 것과 같은 장치 운영에 있어서의 확장성 및 유연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두 비콘부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한 경우, 두 비콘부로부터 수신한 비콘신호 각각이 동일한 식별번호(달리 표현하여, 공통 서비스 번호)를 갖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수신한 비콘신호가 동일한 식별번호를 가질 경우, 해당 시점부터 두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세기 값의 누적값을 사용자 단말(10)이 기설정된 거리(r2) 이내에 진입하기 전까지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사용자 단말(r2)이 기설정된 거리(r2) 이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두 비콘부 각각에 대하여 현재까지 누적된 신호세기 값에 대한 평균을 산출한 후, 두 값을 비교함으로써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두 비콘부로부터 감지된 비콘신호가 동일한 식별번호를 갖지 않는 경우,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동일한 식별번호를 가진 두 비콘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먼저 수신한 비콘신호에 대한 신호세기 값의 누적값을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여, 수신부(110)가 사용자 단말(10)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하다가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모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이동방향의 판단시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모두로부터 신호세기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에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한 신호세기 정보를 제외하여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하나의 비콘부로부터 비콘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신호의 신호세기 값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누적값을 계산할 수 있는데, 이때, 소정 시간 이후 동일한 식별번호를 갖는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로부터 동시에 신호세기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두 비콘부(1, 2)로부터 동시에 신호세기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에 계산되었던 누적값은 삭제하고, 두 비콘부(1, 2)로부터 동시에 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한 시점부터 두 비콘부(1, 2)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 값의 누적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누적값은 사용자 단말(2)이 기설정된 거리(r2) 내에 진입하기 전까지 실시간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 단말이(2) 기설정된 거리(r2)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두 비콘부(1, 2) 각각에 대하여 계산된 누적값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해당 평균값의 비교를 통해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공간에 동일한 식별번호를 부여받은 한 쌍의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 외에 다른 식별번호를 부여받은 제3 비콘부(미도시)가 한 쌍의 비콘부(1, 2)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 단말(10)이 소정의 공간을 지나가면서 제1 비콘부(1)의 비콘신호를 먼저 수신한 경우,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1)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 값의 누적값을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수신부(110)가 제3 비콘부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와 제3 비콘부가 동일한 식별번호를 갖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1 비콘부와 제2 비콘부는 동일한 식별번호를 갖지 않으므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1)와 제3 비콘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세기 값을 각각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수신부(110)가 제2 비콘부(2)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기존에 수신하고 있던 제1 비콘부(1)와 제3 비콘부의 신호 중에서 제2 비콘부(2)의 신호와 동일한 식별번호(공통 서비스 번호)를 갖는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초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가 동일한 식별번호(공통 서비스 번호)를 가지므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로부터 동시에 신호를 수신한 시점 이전에 계산된 누적값들(즉, 제1 비콘부(1)와 제3 비콘부의 누적값)은 초기화(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후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제1 비콘부(1)와 제2 비콘부(2)로부터 동시에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두 비콘(1, 2)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세기 값에 대한 누적값을 계산하되, 사용자 단말(2)이 기설정된 거리(r2) 이내에 진입하기 전까지 누적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이 기설정된 거리(r2) 이내의 진입 여부에 기초하여 누적값에 대한 평균값의 상호 대비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동방향 판단부(120)는 비콘부(1, 2)를 기준으로 RSSI에 따라 사용자 단말(10)과의 거리를 Immediate, Near, Far 및 Unknown로 구분한 간격에서 Far 이상의 영역에서 감지된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는 비콘과 사용자 단말(10) 간에 거리가 신호세기 값에 따라 대략적으로 4가지의 경우로 구분될 수 있으며, 비콘을 기준으로 약 20cm까지는 Immediate 거리, 약 2 ~ 3m 까지는 Near 거리, 약 50 ~ 70m까지는 Far 거리, 신호가 감지되나 거리를 특정할 수 없을 경우 Unknown 거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4가지의 경우로 구분된 거리에 기초하여 하나의 비콘과 사용자 단말(10) 간에 신호세기에 따라 거리값을 산출하기 때문에, Far의 거리 범위가 대략적으로 3m 내지 70m 까지의 광범위한 범위로 인식되고 비콘신호에는 방향성이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종래기술을 통해서는 특정 스팟을 지나가는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즉각적이고 정확하게 판단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 비콘 기반의 서비스는 비콘과 비콘 사이의 간격이 상당히 먼 거리(대략적으로, 수십 미터 이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는 사용자가 하나의 비콘에 대하여 4가지로 구분된 거리의 경계를 in/out 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하나의 비콘이 감지 가능한 영역에서 다른 비콘이 감지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에 한해서 사용자의 이동방향(또는 이동 경향)을 광역에서 대략적으로만 판단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두 비콘 사이의 간격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대략적으로만 판단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비콘 2개를 서로 신호가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하더라도 Far에 해당하는 거리 범위가 대략 3 m 내지 70 m로 상당히 넓어서, 2개 비콘이 공통적으로 Far의 거리 범위라고 인식하는 중첩 영역에서 사용자가 이동중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할 것이므로, 해당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파악하기 어려운 측면(2개의 비콘 모두 Far로만 인식)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을 통해서는 특정 스팟에서의 사용자의 이동방향 판단시 상당히 불명확하고 신뢰도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은 Far 거리 범위 내에서 Near 거리로 접근 중인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한 쌍의 비콘부(1, 2)의 인근을 지나가기 이전에, 즉 기설정된 거리(r2) 내에 진입하기 이전에, 이미 사용자 단말(10)의 동선에 따른 신호세기 값의 누적값에 기초하여 이동방향을 추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쌍의 비콘부(1, 2)의 인근을 지나갈 때 이동방향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하고자 하여 도출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0)이 기설정된 거리(r2) 내에 진입하기 이전에 실시간 또는 실시간에 거의 근접하도록 즉각적인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기설정된 거리(r2)는 대략적으로 Near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신호세기 값의 누적을 종료하고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지점(기설정된 거리(r2))은 사용자 단말(10)의 신호 인식 주기(예를 들면, 애플사의 IOS의 경우 1초로 고정이고, 구글사의 안드로이드의 경우 적어도 0.5초 이상의 주기 중 원하는 주기를 설정 가능)와 신호세기 값이 주로 신호세기가 약해지는 방향(비콘으로부터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튀는(오차가 발생하는) 경향성과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고려하며, 비콘부(1,2) 사이에 설치되는 정보제공장치(2) 앞을 지나치기 전에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하여 여기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과 비콘부가 대략적으로 3m~5m 떨어진 위치로 정하는 것이 최적이다. 다만, 이러한 기설정된 거리(r2)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환경 및 목적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은, 정한 위치에서 여러 번의 실험을 통해 해당 지점에서 사용자 단말에 입감(감지)되는 비콘부 신호세기 값을 도출(예를 들면, 평균값)해 내고 이 값을 역치(threshold)로 두어 실제 사용시 사용자 단말에 입감(감지)되는 신호가 이보다 강하면 신호세기 값의 누적을 종료하고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지점인 거리 r2에 대응하는 신호세기(RSSI) 값이 x로 설정되었다고 하자.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이 거리 r2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신호세기 값이 x보다 큰 값이 측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r2 이내의 위치에서의 신호세기 값이 x보다 작은 값으로 측정되는 경향성을 보이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거리 r2 이내로 사용자 단말이 진입하면 x 이상의 신호세기 값이 측정되면서 신호세기 값의 누적이 중단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신호세기 값이 여전히 x보다 작은 값으로 측정되면서 아직 3 m보다 먼 거리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신호세기 값의 누적이 중단되지 않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류(오차)로 인해 신호세기 값의 누적이 중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이 한 쌍의 비콘부 사이로 진입하게 되면, 한 쌍의 비콘부 중 사용자 단말이 지나쳐 간 비콘부(예를 들면 제1 비콘부)에 대해서는 신호세기가 오히려 점점 약해지는 방향으로 신호세기 누적(역방향 누적)이 이루어지고, 사용자 단말이 아직 도달하지 않은 비콘부(예를 들면 제2 비콘부)에 대해서는 신호세기가 여전히 점점 강해지는 방향으로 신호세기 누적(정방향 누적)이 이루어지게 되어, 이동방향 판단에 있어서의 신뢰도가 오히려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설정된 거리(r2)(신호세기 누적 종료 지점)는 신호세기 측정 오차의 상기와 같은 경향성 및 사람의 일반적인 도보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한 쌍의 비콘부 사이에서 신호세기의 누적이 종료되거나, 한 쌍의 비콘부를 모두 지나쳐 간 상태에서 신호세기의 누적이 종료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여유치를 두고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여유치는 3 m 내지 5 m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대략 3 km/h 내지 5 km/h(평균 4 km/h)의 속도로 도보 이동한다고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3 km/h의 속력으로 걷는 사람은 초당 약 0.833 m를 이동하고, 5 km/h의 속력으로 걷는 사람은 초당 약 1.389 m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이 비콘신호를 인식하는 신호 인식 주기는 1초 가량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신호세기 값이 더 약하게 측정되는 경향성을 보이는 오차를 극복하고 사용자 단말이 한 쌍의 비콘부 중 어느 하나에도 도달하기 전에 신호세기 누적을 종료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이 비콘신호를 적어도 3회 인식하고 판단할 기회를 부여함이 바람직하다. 즉, 기설정된 거리(r2)는 2.499 m(0.833 m/sec[느리게 걷는 사람의 도보 이동 속도] X 1 sec[일반적인 신호 인식 주기; 애플사의 Ibeacon 기준] X 3회) 내지 4.14 m(1.389[빠르게 걷는 사람의 도보 이동 속도] X 1 sec X 3회] 정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소숫자리 올림 처리를 하여 보다 여유치를 두면, 기설정된 거리(r2)는 3 m 내지 5 m임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후, 본원은 후술할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판단된 이동방향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맞춤형 정보를 한 쌍의 비콘부(1, 2) 사이에 위치한 정보제공장치(20) 또는 사용자 단말(10)로 즉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 쌍의 비콘부(1, 2)의 근처를 지나가는 사용자에게 즉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한 쌍의 비콘부(1, 2)의 근처를 지나갈 때 정보제공장치(20) 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이동방향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그 즉시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설명을 기반으로 하여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은 수신부(610), 이동방향 판단부(620),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 및 제공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과는 별도의 시스템으로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6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은 한 쌍의 비콘부(1, 2)를 이용해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이동방향 등과 같은 사용자 상황에 맞는 정보(맞춤형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 단말(10) 혹은 공공장소(외부)에 비치된 다양한 정보제공장치(20)를 통해 사용자의 기존 행동에 방해 없이 엠비언트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수신부(610) 및 이동방향 판단부(620)는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의 수신부(110) 및 이동방향 판단부(12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간단히 살펴보면, 수신부(610)는 소정의 간격(r1)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단말(10)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부(610)는 사용자 단말(10)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세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610)는 신호세기 정보 외에 맞춤형 정보 제공시 필요한 각종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동방향 판단부(620)는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 중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이동방향 판단부(620)는 수신부(610)에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직접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이동방향 판단부(620)는 사용자 단말(10)에 의하여 이미 판단된 판단결과 정보(즉,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를 단순히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맞춤형 정보 제공시 활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은 수신부(6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판단결과 정보(즉,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를 수신하는 것 외에도, 이동방향 판단시 이용된 두 비콘(1, 2)의 식별번호, 두 비콘(1, 2) 사이에 위치한 정보제공장치(20)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의 USIM 카드 또는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과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100), 즉 서버 간에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일예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맞춤형 정보 제공 생성부(630)는 이동방향 판단부(620)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정보제공장치(20) 식별정보,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2개의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공적 맞춤형 정보 및 사적 맞춤형 정보를 개별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정보제공장치(20)로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공적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공적 맞춤형 정보는 외부로의 노출에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공적인 정보가 포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공적 맞춤형 정보 생성시,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와 정보제공장치(20)의 식별번호를 단순히 포함시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이동방향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저장된 정보제공장치(20)의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문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구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이동방향 정보에 사용자 정보를 포함시켜 공적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공적 맞춤형 정보의 예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공적 맞춤형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한 쌍의 비콘(1, 2) 사이에 배치된 정보제공장치(20)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중인 경우,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부터 추출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가니"와 같은 문구에 기초하여 공적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해당 추출된 정보 및 생성된 공적 맞춤형 정보는 제공부(640)를 통해 정보제공장치(2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예로, 정보제공장치(20)의 화면 상에는 공적 맞춤형 정보로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니?"와 같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밖에, 정보제공장치(20)의 화면 상에는 공적 맞춤형 정보로서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이름)님, 식당으로 가시는군요, 오늘의 메뉴는 xxx 입니다. (가격: xxxx원)" 등과 같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사적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적 맞춤형 정보는 외부로의 노출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의 사적인 정보가 포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사적 맞춤형 정보 생성시, 이동방향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단순히 포함시켜서 생성하거나, 또는 이동방향 정보로의 이동시 제공되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기반의 인터렉티브 서비스와의 연동에 따른 문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부터 추출한 뒤 추출된 문구 정보에 사용자 정보를 적용시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적 맞춤형 정보는 사용자 단말(10) 내에서 파악되거나, 사용자와 계정 등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 등에서 파악될 수 있는 사용자의 사적인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의 일정 정보, 사용자의 생일 정보, 사용자의 위치 정보, 사용자의 인적 네트워크 정보 등)와 인터랙티브하게 연동되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사적 맞춤형 정보로서 이동방향 정보에 사용자의 강의 일정 정보를 연동하여, "301호 강의실로 이동 중이신가요? 현재 이동방향을 따라 30 m 이동하시면 도착합니다"와 같은 사적인 문구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후 생성된 사적 맞춤형 정보는 제공부(64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푸시메시지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사적 맞춤형 정보로서 이동방향 정보에 사용자의 인적 네트워크 정보를 연동하여, "직책: 지도교수님에 해당하는 홍길동 교수님의 415호로 이동 중이신가요?"와 같은 사적인 문구 정보를 생성한 후, 이후 생성된 사적인 문구 정보는 제공부(64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이동방향 정보의 생성이나 송수신과 관련한 시간 정보 및 사용자 단말(10)의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이동방향 정보를 연동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을 소지한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하는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수신부(610)는 이동방향 정보의 수신 시각을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이후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이동방향 정보의 수신 시각에 공적 맞춤형 정보 및 사적 맞춤형 정보의 시간대별 정보를 추가하여 연동 정보(즉,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하는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에 의하여 생성된 연동 정보로는 "점심시간이라 식당으로 가시는군요", "지금쯤 퇴근하시나 봐요"와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생성된 연동 정보는 제공부(640)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10) 또는 정보제공장치(2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사용자 단말(10)의 가속 측정 센서(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방향과 무관한 진동치의 스칼라값에 기초하여 판단된 사용자의 상황 판단 정보를 이동방향 정보와 연동하여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부(61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이동방향 정보와 함께 가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0)은 가속 측정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가속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가속도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 측정 센서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속 측정 센서는 사용자의 이동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된 단계적 임계진동치를 기준으로 정지 상태, 걷는 상태, 달리고 있는 상태와 같은 단계적 상황 정보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속 측정 센서를 이용한 가속도 측정의 일 예로는, 사용자의 이동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격렬히 달리고 있을 경우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의 주머니 속에 있는 사용자 단말(10)이 의복 주머니 속에서 급격히 흔들리거나 손에 들고 있는 사용자 단말(10)이 급격히 흔들림에 따른 가속 측정 센서의 진동 측정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의 급격한 흔들림으로 인해, 가속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진동 측정치는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가속 측정 센서를 통한 진동 측정치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급히 이동하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된 상황을 고려하여 맞춤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가속도 정보 또는 진동치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와 연동한 연동 정보(즉, 문구 정보)를 생성하고, 제공부(640)는 생성된 연동 정보를 맞춤형 정보와 함께 정보제공장치(20) 또는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정보 또는 진동치 정보와 연동된 연동 정보로는 "식당으로 급히 가시나봐요, 달려가시면 1분 내로 도착하실 겁니다'와 같은 문구가 포함될 수 있다.
제공부(640)는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에서 생성된 맞춤형 정보를 외부에 설치된 정보제공장치(20) 및 사용자 단말(1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제공장치(2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공부(6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제공장치(20)로는 이동방향에 따른 공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로는 이동방향에 따른 사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공적 맞춤형 정보 및 사적 맞춤형 정보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이동방향 정보 외에도 이동방향 정보의 생성이나 송수신과 관련된 시간 정보, 가속도 정보, 진동치 정보 등이 고려된 정보일 수 있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을 통해 제공되는 맞춤형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예로 한 쌍의 비콘부(1, 2) 및 그 사이에 위치한 정보제공장치(20)를 포함하는 서비스 장치가 호텔 등의 로비(복도)에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가 외부(밖)에서 사용자가 묵는 숙소(구체적으로 방)의 방향으로 서비스 장치의 앞을 지나가는 경우,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묵는 숙소의 방 위치(방 번호)나 해당 호텔 내에서 이루어지는 행사 등의 정보가 포함된 맞춤형 정보를 그 정보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 단말(10) 또는 정보제공장치(2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숙소의 방 위치 정보는 사적 맞춤형 정보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공부(640)는 "사용자님의 방 위치는 xx호입니다"와 같은 사적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호텔 내에서 이루어지는 행사 정보는 공적 맞춤형 정보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공부(640)는 사용자 단말(10)로 사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정보제공장치(20)로는 "사용자님을 위한 호텔 행사 정보로는 xxx 등이 있습니다"와 같은 공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예로, 사용자가 숙소에서 외부(밖)의 방향으로 서비스 장치의 앞을 지나가는 경우, 맞춤형 정보 생성부(630)는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고려하여 개인일정(스케쥴)이나 주변 관광정보 등이 포함된 맞춤형 정보를 그 정보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 단말(10) 또는 정보제공장치(2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일정 정보는 사적 맞춤형 정보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공부(640)는 "사용자님의 오늘의 스케쥴은 xx 등이 있고, 추천관광 정보로는 xx 등이 있습니다"와 같은 사적 맞춤형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변 관광정보는 공적 맞춤형 정보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공부(640)는 사용자 단말(10)로 사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정보제공장치(20)로는 "주변의 관광정보로는 xx 등이 있습니다"와 같은 공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방법은 앞서 설명된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 및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100) 및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6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S1010에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단말(10)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간격은,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가 배치된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동선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간격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간격은, 비콘의 신호세기 기반으로 계산된 사용자 단말(10)과 비콘과의 거리의 오차 범위 이내의 간격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020에서는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 중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단계S1020에서는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가 동시에 감지되는 시점을 동일 시간범위의 시작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020에서는 사용자 단말(10)이 제1 비콘부(1) 또는 제2 비콘부(2)로부터 기설정된 거리(r2) 또는 기설정된 신호세기 이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을 동일 시간범위의 종료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020에서는 동일 시간범위 동안의 시간에 따른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1 판단값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2 판단값을 상호 대비하여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판단값은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의 평균값이고, 제2 판단값은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의 평균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020에서는 상호 대비의 결과, 제1 판단값과 제2 판단값 중 큰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에서 작은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로의 방향으로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020에서는 동일 시간범위 내에서의 동일 시점에 대하여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미감지되는 경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중 감지된 정보를 누적값 계산시 제외할 수 있다.
또한,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는, 판단하고자 하는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한 쌍을 이루며 배치되되 동일한 식별번호를 부여받을 수 있으며, 단계S1020에서는 식별번호가 동일한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판단값 간에 상호 대비를 통해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010에서 사용자 단말(1)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하다가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모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단계S1020에서는, 이동방향의 판단시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모두로부터 신호세기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에 제1 비콘부(1) 및 제2 비콘부(2)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한 신호세기 정보를 제외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020에서는, 비콘을 기준으로 RSSI에 따라 사용자 단말(10)과의 거리를 Immediate, Near, Far 및 Unknown로 구분한 간격에서 Far 이상의 영역에서 감지된 제1 비콘부(1)의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비콘부(2)의 신호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10 내지 S102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공공데이터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110: 수신부
120: 이동방향 판단부
1, 2: 비콘부
10: 사용자 단말
20: 정보제공장치
110: 수신부
120: 이동방향 판단부
1, 2: 비콘부
10: 사용자 단말
20: 정보제공장치
Claims (21)
-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 및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중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이동방향 판단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가 동시에 감지되는 시점을 상기 동일 시간범위의 시작 시점으로 인식하는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비콘부 또는 상기 제2 비콘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또는 기설정된 신호세기 이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을 상기 동일 시간범위의 종료 시점으로 인식하는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동일 시간범위 동안의 시간에 따른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1 판단값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2 판단값을 상호 대비하여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상호 대비의 결과, 상기 제1 판단값과 상기 제2 판단값 중 큰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에서 작은 값을 가지는 판단값에 대응하는 비콘부의 위치로의 방향으로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단값은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의 평균값이고, 상기 제2 판단값은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의 평균값인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동일 시간범위 내에서의 동일 시점에 대하여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미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중 감지된 정보를 누적값 계산시 제외하는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는, 판단하고자 하는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한 쌍을 이루며 배치되되 동일한 식별번호를 부여받고,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식별번호가 동일한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판단값 간에 상호 대비를 통해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하다가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모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상기 이동방향의 판단시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모두로부터 신호세기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에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수신한 신호세기 정보를 제외하여 판단하는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제1 비콘부 및 상기 제2 비콘부가 배치된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동선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간격인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간격은, 비콘의 신호세기 기반으로 계산된 사용자 단말과 비콘과의 거리의 오차 범위 이내의 간격인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향 판단부는,
비콘을 기준으로 RSSI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를 Immediate, Near, Far 및 Unknown로 구분한 간격에서 Far 이상의 영역에서 감지된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 제1항의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상기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을 통해 판단된 사용자의 이동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방향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는 맞춤형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맞춤형 정보를 외부에 설치된 정보제공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는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정보 생성부는,
상기 맞춤형 정보로서 외부로의 노출에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공적인 정보가 포함된 공적 맞춤형 정보 및 외부로의 노출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기 사용자의 사적인 정보가 포함된 사적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정보제공장치로는 상기 이동방향에 따른 공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는 상기 이동방향에 따른 사적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사적인 정보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름 및 상기 사용자의 동의하에 제공되는 개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장치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 및 제2 비콘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가속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방향과 무관한 진동치의 스칼라값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사용자의 상황 판단 정보를 상기 이동방향 정보와 연동하여 상기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 제1항의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비콘부 및 제2 비콘부 각각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른 신호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및 상기 제2 비콘부의 신호세기 정보 중 동일 시간범위 동안 감지된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 및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 시간범위 동안의 시간에 따른 상기 제1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1 판단값 및 상기 제2 동일시간 신호세기 정보의 누적값에 기반한 제2 판단값을 상호 대비하여 상기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것인,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방법. - 제19항 또는 제20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6768A KR101902442B1 (ko) | 2016-12-22 | 2016-12-22 |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6768A KR101902442B1 (ko) | 2016-12-22 | 2016-12-22 |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3186A true KR20180073186A (ko) | 2018-07-02 |
KR101902442B1 KR101902442B1 (ko) | 2018-09-28 |
Family
ID=62914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6768A KR101902442B1 (ko) | 2016-12-22 | 2016-12-22 |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244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67286A (ko) * | 2021-11-09 | 2023-05-16 | 양진우 | 위치 추적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2295A (ko) | 2019-05-16 | 2020-11-2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패킷 캡쳐 기반 실내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28230A (ja) * | 2004-05-13 | 2005-11-24 | Mitsubishi Electric Corp | 無線センサノード、センサネットワーク及び監視サーバ |
JP4799932B2 (ja) | 2005-07-01 | 2011-10-26 | 三菱電機株式会社 | 避難経路誘導システム、携帯端末、避難経路誘導方法および避難経路情報出力プログラム |
JP4990705B2 (ja) * | 2007-07-23 | 2012-08-01 | 中国電力株式会社 | 安全確認方法 |
-
2016
- 2016-12-22 KR KR1020160176768A patent/KR10190244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67286A (ko) * | 2021-11-09 | 2023-05-16 | 양진우 | 위치 추적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02442B1 (ko) | 2018-09-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769333B1 (en) | Video based pedestrian traffic estimation | |
CN107561490B (zh) | 推荐建筑物中的位置的装置及其使用方法 | |
KR101460260B1 (ko) | 장치 위치들에 대한 포지션 표시 제어 | |
KR102022668B1 (ko) | 랜드마크 위치 결정 | |
US9758183B2 (en) | Location fingerprinting for transit systems | |
EP3201646B1 (en) | Modeling connectivity of transit systems | |
US10757671B2 (en) | Location fingerprinting for a transit system | |
CN104252688A (zh) | 提供信息的装置、方法和服务器 | |
CN103837153A (zh) | 生成交叉路口指引信息的方法和设备 | |
KR101902442B1 (ko) | 사용자 이동방향 인식 시스템 및 방법 | |
CN107850441A (zh) | 用于确定方位的装置、方法和系统 | |
JP2011163904A (ja) | 案内システム | |
KR20160028845A (ko) | 상황 인지 기반의 지하철 이동 구간 추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102216467B1 (ko) | 주변 정류장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
KR20200057212A (ko) | 사용자 위치기반의 최적경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 |
KR101573198B1 (ko) | 관심 지점 자동 인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 |
KR102443130B1 (ko) | 실내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KR20150029316A (ko) | 단말 간 위치에 기초한 장소추천 장치 및 방법 | |
KR102231636B1 (ko) | 이동방향 추정 방법, 장치 및 서버 | |
Cho et al. | A study on PDR heading angle error correction algorithm using WLAN based localization information | |
KR102098699B1 (ko) | 경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 |
KR101796889B1 (ko) | 재난 영역 추정 방법 및 시스템 | |
KR20120077111A (ko) | 다양한 위치 식별 이동단말 및 그 동작 방법, 이동단말의 위치에 따른 서비스 제공 기지국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50109535A (ko) | 정지선 기반 리워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
KR102200602B1 (ko) | 유효 표본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