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097A - 플로트를 사용한 속성 건축식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 - Google Patents
플로트를 사용한 속성 건축식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73097A KR20180073097A KR1020160176565A KR20160176565A KR20180073097A KR 20180073097 A KR20180073097 A KR 20180073097A KR 1020160176565 A KR1020160176565 A KR 1020160176565A KR 20160176565 A KR20160176565 A KR 20160176565A KR 20180073097 A KR20180073097 A KR 201800730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ool
- float
- swimming
- bea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12—Floating swimming poo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6—Safety devices; Coverings for bath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H4/145—Dividing means for swimming pools, e.g. panels, bulk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트를 사용한 속성 건축식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에 관한 것으로, 해수욕장 내 백사장에서 수상레포츠 및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친환경적이면서도 고품질의 물놀이 시설을 단시간에 속성 건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하 적층 및 수평 조립 가능한 조립식 플로트가 해수욕장 백사장에 기설정된 영역 둘레를 따라 다단 적층된 형태로 축조되어 그 내측으로 물놀이용 풀을 형성하는 조립벽체와; 상기 물놀이용 풀을 형성하고 있는 조립벽체의 내측면 및 상기 물놀이용 풀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물놀이용 풀에 저수되는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습포와; 상기 방습포의 외측에 겹층된 형태로 설치되는 보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하 적층 및 수평 조립 가능한 조립식 플로트가 해수욕장 백사장에 기설정된 영역 둘레를 따라 다단 적층된 형태로 축조되어 그 내측으로 물놀이용 풀을 형성하는 조립벽체와; 상기 물놀이용 풀을 형성하고 있는 조립벽체의 내측면 및 상기 물놀이용 풀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물놀이용 풀에 저수되는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습포와; 상기 방습포의 외측에 겹층된 형태로 설치되는 보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놀이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수욕장 내 백사장에서 수상레포츠 및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친환경적이면서도 고품질의 물놀이 시설을 단시간에 속성 건축할 수 있도록 한 플로트를 사용한 속성 건축식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욕장은 가장 대중적인 관광지로서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기고 해수욕을 할 수 있는 환경과 설비가 구비되어 있는 바닷가를 일컫는다.
해수욕장은 지형상 해빈(海濱)이라 하고 영문으로 비치(beach)라 하는데, 보통 모래나 고운 자갈이 넓게 펼쳐져 있고 수심이 완만하게 경사져 있으며 수온도 적당한데다가 안전시설, 탈의실, 샤워실,숙박 시설 등이 갖추어져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물놀이를 중심으로 여가를 즐기는 장소로 이용하고 있다.
이같은 해수욕장을 찾은 사람들은 제트보트와 같이 일부 상업적으로 운영되는 시설을 즐기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바닷물 속에서 간단한 수준의 헤엄을 치거나 물장난을 치는 정도로만 제한된 활동을 하면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 고작이었다.
그러므로 해수욕장을 찾은 많은 관광객들이 즐기기 위한 놀이의 형태를 다양화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였으나, 많은 사람들을 동시에 수용하여 놀이를 제공하면서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수욕장에 대규모 시설을 조성하는 것이 비용 및 공사기간 측면에서 쉽지 않은 일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수욕장 내 백사장에서 수상레포츠 및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친환경적이면서도 고품질의 물놀이 시설을 단시간에 속성 건축할 수 있도록 한 플로트를 사용한 속성 건축식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은, 상하 적층 및 수평 조립 가능한 조립식 플로트가 해수욕장 백사장에 기설정된 영역 둘레를 따라 다단 적층된 형태로 축조되어 그 내측으로 물놀이용 풀을 형성하는 조립벽체와; 상기 물놀이용 풀을 형성하고 있는 조립벽체의 내측면 및 상기 물놀이용 풀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물놀이용 풀에 저수되는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습포와; 상기 방습포의 외측에 겹층된 형태로 설치되는 보온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플로트는, 내부가 밀폐된 빈 공간으로 형성되되 서로 교차하는 세로 격벽과 가로 격벽에 의해 다수의 밀폐된 단위공간으로 분할 형성되고, 사출성형에 의해 상부본체부와 하부본체부로 개별 성형된 후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형성된 본체부와; 수평 조립을 위하여 상기 본체부의 외측 모서리부에 돌출 형성되고 연결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꿰어지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놀이용 풀은 수심 및 크기가 다른 복수개가 구비되며, 그 중 적어도 하나에는 물놀이용 보트를 계류시킬 수 있도록 조립식 플로트를 요입된 형태로 준비하여 소형 계류장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벽체의 최상단부에 적층된 조립식 플로트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조립식 플로트들을 추가 결합시켜 조립벽체의 상단부 너비보다 더 넓은 너비를 갖는 안전 데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놀이용 풀의 각 모서리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수위 계측을 위한 승강 플로트가 더 설치되되, 상기 승강 플로트는 상기 물놀이용 풀 저면에 세워지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부력에 의해 상기 물놀이용 풀의 수위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봉의 높이는 상기 물놀이용 풀의 깊이와 일치하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본체가 상기 수직봉을 따라 최대한 상승한 상태부터는 수위가 상승하더라도 상승하지 않고 물에 잠기도록 하며, 상기 승강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물놀이용 풀에서 물의 범람까지 남아 있는 여유 수위가 어느 정도인지를 표시하는 여유 수위 계측용 눈금 및 수치가 승강본체의 상단부터 하방향으로 양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여유 수위 계측용 눈금 옆에 수온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안안료가 도포된 변색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변색시트를 글라스 코팅하여 이루어진 수온 표시부재가 상하로 길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온 표시부재에는 상기 글라스 전면에 부착되어 외부 광에 의한 색상 왜곡을 방지하는 광학 필름(156b)이 더 포함되며, 상기 광학필름은 글라스 표면 반사를 억제하기 위한 반사 방지 필름(anti-reflection film), 외부 물체의 그림자가 글라스 표면에 투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눈부심 방지 필름(anti-glare film), 윈도우 내부의 구조에 의한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선형 편광 필름(Linear polarizer) 및 원형 편광 필름(circular polarizer)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본체에는 상기 승강본체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이격된 두 개의 관통관들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관 두 개의 내부 홀에는 각각 동일 높이로 설치된 절연 지지체가 구비되고, 상기 절연 지지체 중 하나에 고정되어 하단부가 상기 관통관의 하단부 인근까지 길게 늘어진 형태로 설치되는 제1전극봉과, 상기 절연 지지체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되 상기 제1전극봉보다는 짧은 길이를 갖고 하단부가 관통관의 상부까지만 늘어진 제2전극봉이 구비되며, 상기 제1전극봉 및 제2전극봉과 상기 관통관 내부 홀에 유입되는 물에 의한 정전용량값을 각각 입력받아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전극봉 및 제2전극봉 중에서 어느 전극봉까지 물에 닿았는가를 알리는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신호출력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물놀이용 풀의 범람 위험을 사전에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은 해수욕장 내 백사장에서 수상레포츠 및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친환경적이면서도 고품질의 물놀이 시설을 단시간에 속성 건축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의 모사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의 정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에서 다양한 형태의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에서 승강 플로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에서 승강 플로트의 본체부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에서 승강 플로트의 수온 표시부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의 승강 플로트에 구비된 다단 전극봉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의 승강 플로트에서 수위 측정을 위한 신호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의 정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에서 다양한 형태의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에서 승강 플로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에서 승강 플로트의 본체부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에서 승강 플로트의 수온 표시부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의 승강 플로트에 구비된 다단 전극봉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의 승강 플로트에서 수위 측정을 위한 신호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의 모사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은 해수욕장 내 백사장(S1)에서 보트 등의 물놀이 기구를 사용한 수상레저 및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조립벽체(110A)로 둘러싸인 풀(A1,A2) 및 데크(110B)가 마련된 대규모의 물놀이 시설을 조립식 플로트(110)를 이용하여 단시간에 속성 건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의 속성 건축식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은 해체 및 재사용이 용이한 가설 형태임에도 친환경적이고 고품질의 시설을 제공한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는 해수욕장 백사장(S1)에 물놀이 보트용 계류장(B1)을 갖는 크고 작은 두 개의 풀(A1,A2)이 형성되어 있고, 풀(A1,A2) 주변으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데크(110B)가 있어 파라솔이 설치된 물놀이 시설이 예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의 정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에서 다양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은 조립식 플로트(110)들이 조합되어 이루어지며 물놀이용 풀을 형성하는 조립벽체(110A)를 비롯하여 안전 데크(110B), 차수용 방습포(120), 보온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에 더해 풀의 수위 및 온도 계측과 범람 방지를 위한 통보를 가능케 하는 승강 플로트(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래에서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조립벽체(110A)는 상하 적층 및 수평 조립 가능한 조립식 플로트(110)가 해수욕장 백사장에 기설정된 영역 둘레를 따라 다단 적층된 형태로 축조되어 그 내측으로 물놀이용 풀을 형성한다. 이같은 조립벽체(110A)의 형성을 통해 크고 작은 다양한 풀들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데, 도면에서는 중간급 놀이용 보트(BA)를 운영하기 위해 계류장(B1)까지 갖춘 중대형 풀(A1)과, 소형의 페달식 놀이용 보트(BB)를 운영하기 위한 중소형 풀(A2)을 구비한 것으로 예시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은 이보다 더 많고 다양한 풀도 속성으로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조립벽체(110A) 상단에는 가이드레일(140)이 설치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레일(140)의 경우 별도의 추가 시설 없이 상기 연결핀(115)이 삽입되는 경계면상의 홀을 통해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립식 플로트(110)는 공지된 것들 중 적합한 것을 활용하기만 하면 되는데, 특히 본 발명이 염두에 두고 있는 조립식 플로트(110)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870390호에 기재된 '조립식 접압시설용 중공블록'에 기반을 두고 있다. 상기 조립식 플로트(110)는, 내부가 밀폐된 빈 공간으로 형성되되 서로 교차하는 세로 격벽과 가로 격벽에 의해 다수의 밀폐된 단위공간으로 분할 형성되고, 사출성형에 의해 상부본체부와 하부본체부로 개별 성형된 후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형성된 본체부와, 수평 조립을 위하여 상기 본체부의 외측 모서리부에 돌출 형성되고 연결핀(115)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꿰어지는 고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같은 조립식 플로트(110)는 내부가 단순히 비어 있지 않고 세로 격벽과 가로 격벽에 의해 멀티룸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구조강도가 뛰어나고 크기 및 조립의 편리성 측면에서 작업성이 우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제안하는 것처럼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에서 조립벽체(110A)와 안전 데크(110B)를 구성하는데 적합하다.
상기 안전 데크(110B)는 상기 조립벽체(110A)의 최상단부에 적층된 조립식 플로트(110)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조립식 플로트(110)들을 연결핀(115)에 의해 추가 결합시켜 조립벽체(110A)의 상단부 너비보다 더 넓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해주면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와 도 6에는 조립벽체(110A)의 상면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그 외측방향으로 조립식 플로트(110)들을 추가적으로 결합시켜 안전 데크(110B)를 형성한 것을 볼 수 있다. 이같은 안전 데크(110B)는 조립식 플로트(110)를 사용한 조립벽체(110A)가 단지 1열 내지 2열로 적층되면 충분히 안정적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립식 플로트(110)를 추가적으로 수평 조립하여 사용자들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보다 넓은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2에서 살펴보면 플로트들을 10열 이상으로 조립하여 안전 데크(110B)를 형성함으로써 파라솔, 안락의자 등의 장비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방습포(120)는 상기 물놀이용 풀을 형성하고 있는 조립벽체(110A)의 내측면 및 상기 물놀이용 풀의 저면에 설치되어 물놀이용 풀에 저수되는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습포(120)가 설치된 상태는 도 4 내지 도 7에 잘 나타나 있다.
상기 보온재(130)는 방습포(120)의 외측에 겹층된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보온재(130)는 상기 풀에 저수되는 물이 백사장의 영향을 받아 너무 쉽게 변온되지 않도록 해준다.
상기 승강 플로트(150)는 풀의 수위 및 수온을 계측하고 각 풀에서 범람 위험이 있는 경우 경고를 발하는 독창적인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기 조립식 플로트(110)와는 달리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형태의 조립체라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승강 플로트(1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에서 승강 플로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에서 승강 플로트의 본체부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에서 승강 플로트의 수온 표시부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승강 플로트(150)는 수위 및 수온 계측을 위해 물놀이용 풀의 각 모서리부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된다. 상기 승강 플로트(150)는 물놀이용 풀 저면에 기반을 두고 세워지는 수직봉(150b)과, 상기 수직봉(150b)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부력에 의해 상기 물놀이용 풀의 수위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본체(150a)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직봉(150b)은 물놀이용 풀의 깊이와 일치한 길이의 것을 제작하여 설치하고 그 상단에는 스토퍼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승강본체(150a)가 상기 수직봉(150b)을 따라 최대한 상승한 상태부터는 수위가 상승하더라도 상승하지 않고 정지되어 물에 잠기도록 한다. 상기 승강본체(150a)의 중앙에는 상기 수직봉(150b)을 관통시키는 가이드홀(15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본체(150a)의 외측면에는 물놀이용 풀에서 물의 범람까지 남아 있는 여유 수위가 어느 정도인지를 표시하는 여유 수위 계측용 눈금(155) 및 숫자로 된 수치가 양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여유 수위 계측용 눈금(155) 및 수치는 상기 승강본체(150a)의 상단부터 하방향으로 순차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같은 승강 플로트(150)의 구성에 따르면 시설 관리자가 풀에서 수위가 상승하는 초기에는 상기 승강본체(150a)가 수직봉(150b)을 따라 상승하면서 멀리서도 육안으로 수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수위가 상승하는 말기에는 상기 승강본체(150a)가 수직봉(150b)의 상단에 걸리면서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침수되기 때문에 여유 수위 계측용 눈금(155)에 의해 풀의 범람까지 얼마나 남았는지를 수치적으로 인지하고 풀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본체(150a)의 외측면에는 여유 수위 계측용 눈금(155) 옆에 수온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안안료가 도포된 변색시트(156a)가 구비되고, 상기 변색시트(156a)를 글라스(156c) 코팅하여 이루어진 수온 표시부재(156)가 상하로 길게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시설 관리자가 육안을 통해 수온을 간편히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상기 수온 표시부재(156)에는 상기 글라스(156c) 전면에 부착되어 외부 광에 의한 색상 왜곡을 방지하는 광학 필름(156b)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광학필름은 글라스(156c) 표면 반사를 억제하기 위한 반사 방지 필름(anti-reflection film), 외부 물체의 그림자가 글라스(156c) 표면에 투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눈부심 방지 필름(anti-glare film), 윈도우 내부의 구조에 의한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선형 편광 필름(Linear polarizer) 및 원형 편광 필름(circular polarizer)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 방지 필름(anti-reflection film)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alate; PET)와 같은 기재 필름 상에 굴절률(Reflective index)이 다른 물질로 된 다층 박막을 증착법이나 코팅법에 의해서 필름의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반사 방지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물(SiO2)과 티타늄 산화물(TiO2)을 교대로 적층할 수 있다. 눈부심 방지 필름의 경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alate; PET)와 같은 기재 필름의 표면상에 불규칙한 면을 포함하고 있어, 외부 빛을 난반사시킨다. 이와 같은 불규칙한 면은 실리콘 입자를 뿌려서 형성할 수 있다. 선형 편광 필름(Linear polarizer)의 경우 입사광을 편광시키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PVA))과 같은 고분자 편광 매질을 중심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와 같은 지지체가 양편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선형 편광 필름(Linear polarizer)의 기능을 높이기 위하여 원형 편광 필름(circular polarizer)을 적용할 수 있는데, 원형 편광 필름은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필름(retardation film)상에, 입사광을 편광시키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과 같은 고분자 편광 매질을 중심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와 같은 지지체가 양편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의 승강 플로트에 구비된 다단 전극봉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의 승강 플로트에서 수위 측정을 위한 신호부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플로트(150)의 승강본체(150a)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이격된 두 개의 관통관(151a,151b)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관(151a,151b) 내부 홀에 각각 동일 높이로 설치된 절연 지지체(152a,152b)가 구비되고, 상기 절연 지지체(152a,152b) 중 하나에 고정되어 하단부가 상기 관통관(151a,151b)의 하단부 인근까지 길게 늘어진 형태로 설치되는 제1전극봉(153a)과, 상기 절연 지지체(152a,152b)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되 상기 제1전극봉(153a)보다는 짧은 길이를 갖고 하단부가 관통관(151a,151b)의 상부까지만 늘어진 제2전극봉(153b)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전극봉(153a) 및 제2전극봉(153b)과 상기 관통관(151a,151b) 내부 홀에 유입되는 물에 의한 정전용량값을 각각 입력받아 비교하는 비교기(154a)와, 상기 비교기(154a)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전극봉(153a) 및 제2전극봉(153b) 중에서 어느 전극봉까지 물에 닿았는가를 알리는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신호출력부(154b)를 포함하는 신호부(154)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1전극봉(153a)은 제2전극봉(153b)이 물에 닿기 전에 먼저 물에 닿게 되어 물의 충전전하가 접지를 통해 방출되므로 센싱 오작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강한 정전기 역시 제1전극봉(153a)을 통하여 방출되므로, 안정적인 센싱이 보장된다. 여기서 제1전극봉(153a)과 제2전극봉(153b)의 하단을 점진적으로 첨예하게 함으로써 물이 상기 제1전극봉(153a)과 제2전극봉(153b)에 닿았다 떨어질 때의 표면장력을 최소화시켜 불필요하게 물이 묻어 발생될 수 있는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비교기(154a)는, 제1전극봉(153a) 및 제2전극봉(153b)과 관통관(151a,151b) 내부 홀에 유입되는 물에 의한 정전용량값을 각각 입력받아 가감한다. 상기 비교기(154a)에서 가감된 정전용량값은 제1전극봉(153a)만 물에 접촉된 경우와, 제1전극봉(153a)과 제2전극봉(153b) 모두에 물이 접촉된 경우를 구분하여 신호출력부(154b)는 비교기(154a)에서 비교된 정전용량값에 따라(예컨대, 5.0V, 2.5V로 구분하여) 각각 다른 신호를 시설 관리실로 전송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전극봉(153a)과 제2전극봉(133) 모두 물이 접촉된 경우가 되면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여 풀의 수위가 한계에 달하여 범람 직전에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관리자가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조립식 플로트 110A : 조립벽체
110B : 안전 데크 120 : 방습포
130 : 보온재 140 : 가이드레일
150 : 승강 플로트 150a : 승강본체
150b : 수직봉 153a : 제1전극봉
153b : 제2전극봉 156 : 수온 표시부재
110B : 안전 데크 120 : 방습포
130 : 보온재 140 : 가이드레일
150 : 승강 플로트 150a : 승강본체
150b : 수직봉 153a : 제1전극봉
153b : 제2전극봉 156 : 수온 표시부재
Claims (8)
- 상하 적층 및 수평 조립 가능한 조립식 플로트가 해수욕장 백사장에 기설정된 영역 둘레를 따라 다단 적층된 형태로 축조되어 그 내측으로 물놀이용 풀을 형성하는 조립벽체와;
상기 물놀이용 풀을 형성하고 있는 조립벽체의 내측면 및 상기 물놀이용 풀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물놀이용 풀에 저수되는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습포와;
상기 방습포의 외측에 겹층된 형태로 설치되는 보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플로트는,
내부가 밀폐된 빈 공간으로 형성되되 서로 교차하는 세로 격벽과 가로 격벽에 의해 다수의 밀폐된 단위공간으로 분할 형성되고, 사출성형에 의해 상부본체부와 하부본체부로 개별 성형된 후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형성된 본체부와;
수평 조립을 위하여 상기 본체부의 외측 모서리부에 돌출 형성되고 연결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꿰어지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놀이용 풀은 수심 및 크기가 다른 복수개가 구비되며, 그 중 적어도 하나에는 물놀이용 보트를 계류시킬 수 있도록 조립식 플로트를 요입된 형태로 준비하여 소형 계류장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벽체의 최상단부에 적층된 조립식 플로트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조립식 플로트들을 추가 결합시켜 조립벽체의 상단부 너비보다 더 넓은 너비를 갖는 안전 데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놀이용 풀의 각 모서리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수위 계측을 위한 승강 플로트가 더 설치되되, 상기 승강 플로트는 상기 물놀이용 풀 저면에 세워지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부력에 의해 상기 물놀이용 풀의 수위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봉의 높이는 상기 물놀이용 풀의 깊이와 일치하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본체가 상기 수직봉을 따라 최대한 상승한 상태부터는 수위가 상승하더라도 상승하지 않고 물에 잠기도록 하며,
상기 승강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물놀이용 풀에서 물의 범람까지 남아 있는 여유 수위가 어느 정도인지를 표시하는 여유 수위 계측용 눈금 및 수치가 승강본체의 상단부터 하방향으로 양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여유 수위 계측용 눈금 옆에 수온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시안안료가 도포된 변색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변색시트를 글라스 코팅하여 이루어진 수온 표시부재가 상하로 길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온 표시부재에는 상기 글라스 전면에 부착되어 외부 광에 의한 색상 왜곡을 방지하는 광학 필름(156b)이 더 포함되며,
상기 광학필름은 글라스 표면 반사를 억제하기 위한 반사 방지 필름(anti-reflection film), 외부 물체의 그림자가 글라스 표면에 투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눈부심 방지 필름(anti-glare film), 윈도우 내부의 구조에 의한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선형 편광 필름(Linear polarizer) 및 원형 편광 필름(circular polarizer)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본체에는 상기 승강본체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이격된 두 개의 관통관들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관 두 개의 내부 홀에는 각각 동일 높이로 설치된 절연 지지체가 구비되고, 상기 절연 지지체 중 하나에 고정되어 하단부가 상기 관통관의 하단부 인근까지 길게 늘어진 형태로 설치되는 제1전극봉과, 상기 절연 지지체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되 상기 제1전극봉보다는 짧은 길이를 갖고 하단부가 관통관의 상부까지만 늘어진 제2전극봉이 구비되며, 상기 제1전극봉 및 제2전극봉과 상기 관통관 내부 홀에 유입되는 물에 의한 정전용량값을 각각 입력받아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전극봉 및 제2전극봉 중에서 어느 전극봉까지 물에 닿았는가를 알리는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신호출력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물놀이용 풀의 범람 위험을 사전에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6565A KR101905642B1 (ko) | 2016-12-22 | 2016-12-22 | 플로트를 사용한 속성 건축식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6565A KR101905642B1 (ko) | 2016-12-22 | 2016-12-22 | 플로트를 사용한 속성 건축식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3097A true KR20180073097A (ko) | 2018-07-02 |
KR101905642B1 KR101905642B1 (ko) | 2018-10-10 |
Family
ID=6291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6565A KR101905642B1 (ko) | 2016-12-22 | 2016-12-22 | 플로트를 사용한 속성 건축식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564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49651A (zh) * | 2020-05-21 | 2020-08-18 | 陈贞全 | 一种可变阻尼的防落梁结构 |
CN113047672A (zh) * | 2021-03-26 | 2021-06-29 | 郝刚 | 适用于天然水域的浮潜式智能控制安全戏水池的建造方法 |
-
2016
- 2016-12-22 KR KR1020160176565A patent/KR10190564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49651A (zh) * | 2020-05-21 | 2020-08-18 | 陈贞全 | 一种可变阻尼的防落梁结构 |
CN113047672A (zh) * | 2021-03-26 | 2021-06-29 | 郝刚 | 适用于天然水域的浮潜式智能控制安全戏水池的建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05642B1 (ko) | 2018-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05642B1 (ko) | 플로트를 사용한 속성 건축식 해수욕장용 물놀이 시설 | |
JP4134242B2 (ja) | 防潮壁 | |
CN206034268U (zh) | 一种漂浮木栈道的栈道模块 | |
KR101521163B1 (ko) | 부유식 풍력발전기 | |
KR20170137263A (ko) |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용 멀티룸 플로트 및 이를 구비한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 |
KR101716339B1 (ko) | 수평 복원력이 빠른 부력구조물 | |
JP2016008448A (ja) | 増水時に上昇する堤防 | |
CN203755240U (zh) | 一种消浪型护坡构件及消浪护坡 | |
JP5201417B2 (ja) | 水位報知器 | |
CN206127861U (zh) | 人行浮桥 | |
CN102877441B (zh) | 一种拦截水面高速艇的水域安全防护阻拦装置 | |
CN102828490B (zh) | 分离式码头消浪墙 | |
KR200197765Y1 (ko) | 해수 순환 방파제 | |
CN207588756U (zh) | 水面光伏电站 | |
KR20100079764A (ko) |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 | |
CN206828998U (zh) | 一种路面示警桩装置 | |
CN201385766Y (zh) | 一种漂浮式水上建筑 | |
CN205131583U (zh) | 一种水上平台 | |
KR20100069061A (ko) | 친환경 하천 자동 난간 | |
CN205374337U (zh) | 检测隐形眼镜用承载定位装置 | |
CN110617865A (zh) | 一种跨航道输电线路的安全警示装置 | |
JP6150860B2 (ja) | 海上灯台構造物 | |
KR102290352B1 (ko) | 소파블록, 소파블록이 구비된 유공방파제 및 소파블록이 구비된 유공방파제 시공방법 | |
CN204199314U (zh) | 一种用于海工建筑的装配式沉箱 | |
CN210086153U (zh) | 一种带有消浪室的钢筋混凝土胸墙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