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518A -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518A
KR20180072518A KR1020170102948A KR20170102948A KR20180072518A KR 20180072518 A KR20180072518 A KR 20180072518A KR 1020170102948 A KR1020170102948 A KR 1020170102948A KR 20170102948 A KR20170102948 A KR 20170102948A KR 20180072518 A KR20180072518 A KR 20180072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gun body
holder
piston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3072B1 (ko
Inventor
임승연
Original Assignee
임승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연 filed Critical 임승연
Publication of KR20180072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61M5/31581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performed by rotationally moving or pivoting actuator operated by user, e.g. an injection lever or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5/31513Piston constructions to improve sealing or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06Having specific accessories
    • A61M2005/202Having specific accessories cocking means, e.g. to bias the main drive spring of an inj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2005/3131Syringe barrel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sealing or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피스톤이 삽입되며, 피스톤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주입로드가 형성된 주사기를 주입하는 것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주사기를 거치하는 시린지홀더가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관통공을 갖는 가이드홀더가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일단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건바디; 건바디의 받침부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손잡이에 근접 및 이격되는 회전운동을 하며 상부에 결합용 브라켓이 형성된 트리거; 건바디의 받침부의 상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주사기의 피스톤에 결합되는 푸쉬로드; 트리거의 결합용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푸쉬로드가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푸쉬로드에 접촉 및 이탈을 반복하도록 하는 푸쉬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NON-DRIVEN POWER PRESSURIZED IN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도가 높은 약액을 시술부위에 정확하게 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러나 관절치료용 약액 등 점도가 높아 수동으로 약액을 주입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주사 시술할 때 두 손을 이용하여 조작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함이 있다. 또한, 시술표적 부위에 정확하게 적정량의 주입에 실패할 위험성이 높았다.
약액주입시술(메조테라피)에 적용되는 약액 주입기는 전기나 공압을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피부에 약액을 주입하는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약액 주입 장치를 메조건(meso gun)이라고도 부른다.
메조건에 대한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59781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메조건은 건(Gun) 타입이 주를 이루고 있어, 피시술자에게 공포심 및 거부감을 주게 되며, 또한 메조건 자체의 크기 때문에 시술에 어려움이 있었다.
(문헌 1) 한국 등록실용 20-0423667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성을 간결하게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피스톤의 밀대에 시술자의 미는 힘을 가하되 지렛대의 원리를 적용하여 시술자가 적은 힘으로 점도가 높은 약액을 피시술자의 환부에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한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는, 내부에 피스톤이 삽입되며, 피스톤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주입로드가 형성된 주사기를 주입하는 것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주사기를 거치하는 시린지홀더가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관통공을 갖는 가이드홀더가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일단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건바디; 건바디의 받침부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손잡이에 근접 및 이격되는 회전운동을 하며 상부에 결합용 브라켓이 형성된 트리거; 건바디의 받침부의 상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주사기의 피스톤에 결합되는 푸쉬로드; 트리거의 결합용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푸쉬로드가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푸쉬로드에 접촉 및 이탈을 반복하도록 하는 푸쉬홀더;를 포함하는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성을 간결하게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피스톤의 밀대에 시술자의 미는 힘을 가하되 지렛대의 원리를 적용하여 시술자가 적은 힘으로 점도가 높은 약액을 피시술자의 환부에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에서 푸쉬로드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대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에서 푸쉬로드가 후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대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를 위에서 내려다 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를 밑에서 올려다 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를 위에서 내려다 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를 밑에서 올려다 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를 나타낸 결합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의 주입 작동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에서 푸쉬로드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대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에서 푸쉬로드가 후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는, 내부에 피스톤이 삽입되며, 피스톤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주입로드가 형성된 주사기(100)에 적용되며, 점도가 높은 약액을 일정량씩 주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피스톤의 외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주입로드의 전단부에는 피스톤의 결합홈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권총 형상으로 형성된 건바디(2); 건바디(2)에 힌지 결합되어 손가락으로 당기도록 하는 트리거(4); 주사기(100)의 피스톤에 결합되는 푸쉬로드(6); 푸쉬로드(6)에 결합되고 트리거(4)에 연결되어 전후진 작동을 반복하는 푸쉬홀더(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바디(2)는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주사기(100)를 거치하는 시린지홀더(21)가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관통공을 갖는 가이드홀더(22)가 형성된 받침부(23)와, 상기 받침부(23)의 일단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손잡이(24)로 구성된다.
트리거(4)는 건바디(2)의 받침부(23)의 양측면에 힌지(46) 결합되며, 하부에는 손가락을 걸도록 수용공(42)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푸쉬홀더(8)가 결합되는 결합용 브라켓(44)이 형성된다.
트리거(4)는 손잡이(24)와 근접 및 이격되는 작동이 힌지(46)를 중심으로 제한된 각도 내에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푸쉬로드(6)는 건바디(2)의 받침부(23)의 상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주사기(100)의 피스톤에 결합되도록 선단에 결합단부(62)가 형성되며, 결합단부(62)는 피스톤에 긴밀하게 체결되도록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며, 선단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피스톤에 끼워진 후 빠지지는 않도록 형성된다.
푸쉬로드(6)는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홈(64)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다수의 걸림홈(64)은 톱니형상이되 일측은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은 수직면이 형성되어 대략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걸림홈(64)은 주사기를 향하는 쪽에 수직면이 형성되고 반대편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푸쉬홀더(8)는 트리거(4)의 결합용 브라켓(44)에 힌지 결합되도록 외주면 양측에 힌지핀(82)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푸쉬로드(6)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양측에 관통공(84)이 형성되며, 내부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푸쉬홀더(8)의 일측 관통공(84)에는 푸쉬로드(6)의 걸림홈(64)에 삽입되는 돌기(86)가 형성된다.
따라서 푸쉬홀더(8)의 돌기(86)가 다수의 걸림홈(64)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64)에 선택적으로 접촉 및 이탈을 반복할 수 있게 된다.
걸림홈(64)에 돌기(86)가 인입된 상태에서 밀어주면 전방, 즉 주사기(100)의 바늘쪽으로 이동함으로써 푸쉬로드(6)를 밀어 약액이 바늘을 통해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푸쉬홀더(8)는 외면에 탄성을 갖는 텐션바(88)가 형성될 수 있다. 텐션바(88)는 대략 푸쉬홀더(8)의 하부 외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사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텐션바(88)가 건바디(2)의 상면에 지지되어 푸쉬홀더(8)의 전진 및 후진 이동간에 텐션바(88)는 가압되므로 항상 푸쉬홀더(8)의 전단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도록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텐션바(88)의 탄성지지력이 발휘됨으로써 푸쉬홀더(8)는 이동간에 상하로 흔들리게 되지만 정해진 위치에 도달되면 텐션바(88)의 지지력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시린지홀더(21)는 주사기(100)를 협지하기 위해 복수의 호형의 클립(212)이 형성되고, 주사기(100)의 환턱을 고정할 수 있도록 끼움홈(21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적정량의 약액이 흡입된 주사기(100)의 피스톤으로부터 주입로드를 해체하여 분리시킨다. 푸쉬로드(6)를 피스톤에 결합시킨다.
이후 시린지홀더(21)에 주사기(100)를 장착하고, 푸쉬로드(6)는 푸쉬홀더(8) 및 가이드홀더(22)를 관통하여 결합시킨다.
이후 트리거(4)의 수용공(42)에 4개의 손가락을 걸고, 건바디(2)를 감싸도록 하여 권총을 쥐듯이 손으로 파지한다.
이후 트리거(4)를 당기면 푸쉬홀더(8)가 전진하게 된다.
전진 동작시 푸쉬홀더(8)는 전단부가 약간 하방으로 회전하므로 돌기(86)가 푸쉬로드(6)의 걸림홈(64)에 끼워진 상태가 되고, 이렇게 끼워진 상태에서 전진하게 되므로 푸쉬로드(6)를 밀어 한칸을 전진시키게 된다.
여기서 한칸이라 함은 걸림홈과 걸림홈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1회 전진 후 트리거(4)를 밀면 푸쉬홀더(8)가 후진하면 전단부가 약간 상방으로 회전되므로 돌기(86)가 걸림홈(64)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된 상태가 되고, 이렇게 분리된 상태에서 후진하게 되므로 푸쉬로드(6)는 더이상의 이동이 없게 된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를 위에서 내려다 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를 밑에서 올려다 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를 위에서 내려다 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를 밑에서 올려다 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를 나타낸 결합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의 주입 작동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A2)는, 권총 형상으로 형성된 건바디(200); 건바디(200)에 힌지 결합되어 손가락으로 당기도록 하는 트리거(300); 주사기(100)의 피스톤에 결합되는 피스톤홀더(420)가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치차로 이루어진 치차부(440)가 형성되어 트리거(300)의 당김작동에 동반되어 전진이동되어 피스톤을 미는 이동판(400); 상기 건바디(200)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되고, 상부에 걸림구(520)가 형성되어 이동판(400)의 하부에 형성된 치차부(440)에 걸려지도록 하는 작동부재(500);상기 작동부재(50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건바디(200)에 연결되어 작동부재(500)의 복원력을 발휘하는 탄성체(600); 상기 건바디(200)의 전단에 결합되어 피부에 밀착되고, 주사기(100)의 바늘(150)이 관통 결합되어 바늘(150)의 노출길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바디(200)는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주사기(100)를 거치하는 시린지홀더(260)가 상부 일측에 형성된 받침부(220)와, 상기 받침부(220)의 일단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손잡이(240)로 구성된다.
받침부(220)에는 이동판(40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부 양측에 슬라이드홈(227)이 형성된다.
트리거(300)는 하부에는 손가락을 걸도록 수용공(32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건바디(200)의 받침부(220)의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축(340)과, 회전축의 상부에는 작동부재(500)와 힌지결합되는 핀(350)이 형성된 결합용 브라켓(360)을 포함한다.
트리거(300)는 손잡이(240)와 근접 및 이격되는 작동이 회전축(340)을 중심으로 제한된 각도 내에서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핀(350)에 힌지결합된 작동부재(500)가 상하로 회전되는 작동이 동반된다.
이동판(400)은 측면 양측에 슬라이드 단턱(403)이 형성되고, 하부에 치차부(440)가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 피스톤홀더(420)가 형성된다.
슬라이드 단턱(403)은 이동판(4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받침부(220)의 슬라이드홈(227)에 삽입된다.
이동판(400)의 치차부(440)는 단면형상이 빗변(442)과 수직변(443)을 갖는 치형이 다수개가 연속형성되어 골과 산으로 이루어진다.
빗변(442)은 전방(주사기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방향)을 향해 형성된다.
수직변(443)은 전방을 향해 기울어져 형성되므로 빗변(442)을 타고 이동된 걸림구(520)가 수직변(443)에 삽입되면서 전진시키는 힘이 작용되어 1개의 치형간격만큼 이동판(400)이 전진하게 된다.
빗변(442)에 작동부재(500)의 걸림구(520)가 접촉되어 미끄러지면서 이동되어 골에 삽입될 수 있다.
작동부재(500)는 일단부에 핀(350)이 결합되어 트리거(300)의 상부와 힌지 결합됨으로써 트리거(300)의 전후 방향의 회전작동에 연동되어 걸림구(520)가 상하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걸림구(520)의 일단에 연결된 탄성체(600)의 당기는 힘에 의해 상하회전운동 후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작동부재(500)의 선단에는 손가락을 걸수 있도록 해제편(510)이 형성된다. 해제편(510)은 건바디(200)의 받침부(220)의 하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절곡형성됨으로서 손가락을 걸 수 있다.
해제편(510)을 하방으로 당기면 작동부재(500)가 하향회전 되므로 걸림구(520)가 치차부(440)에서 분리될 수 있다.
걸림구(520)가 치차부(440)에서 이격된 후 이동판(400)을 밀어서 원래 위치로 이동시켜 리셋시킬 수 있게 된다.
시린지홀더(260)는 한쌍으로 된 호형의 클립(262)이 상부에 마주보게 2조가 형성되고 하부에 후크(264)가 형성되어 건바디(20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건바디(200)의 받침부(220)의 상부에는 후크(264)가 결합되도록 걸림홈(223)이 형성된다.
후크(264)는 단면형상이 대략 'ㄴ'자 형성이며, 걸림홈(223)도 후크(264)에 대응하여 단면형상이 'ㄴ'자로 형성된다.
시린지홀더(260)는 주사기(100)의 직경에 대응되게 다양한 크기로 구비되므로 주사기에 적합한 사이즈의 시린지홀더(26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부재(700)는 건바디(200)의 전단 하부에 형성된 슬롯(270)에 결합되는 수평의 장착부(720)와, 장착부(720)의 단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피부에 밀착되는 지지부(740)로 구성되며 지지부(740)에는 주사기 바늘(150)이 관통되는 홀(742)이 형성된다.
장착부(720)는 슬롯(270)에 끼워지는 삽입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바늘(150)이 지지부로부터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피부에 삽입되는 주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슬롯(270)의 측방으로부터 결합되는 고정나사(275)가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나사(275)가 장착부(720)에 밀착됨으로써 가이드부재(700)의 삽입길이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의 (b),(c)를 참조하면, 트리거(300)를 당겨 손잡이(240)쪽으로 밀착시키면 작동부재(500)의 해제편(510) 및 걸림구(520)쪽이 하방으로 회전되어 걸림구(520)가 치차부(440)에서 이격된다.
이후 트리거(300)를 놓으면 전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걸림구(520)가 치차의 빗변(442)에 접촉되면서 이동판(400)을 들어올리게 되고, 빗변(442)을 따라 걸림구(520)가 미끄러지면서 이동판(400)이 전진하게 된다(도 11의 (d)참조).
트리거(300)의 전방 회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는 이동판(400)은 1개 치형의 길이만큼 전진한 상태로 안정된다.
이에 동반하여 피스톤홀더(420)가 전진함으로서 주사기(100)의 피스톤을 밀어 약액 주입이 실시된다.
한편 약액 주입후 점도가 높은 약액의 팽창에 의해 피스톤이 일정 길이만큼 후진하게 되므로 피스톤홀더(420)를 가압하여 이동판이 후진하게 된다.
이동판의 슬라이드 단턱(403)이 건바디(200)의 슬라이드홈(227)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될 수 있으므로 이동판이 후진할 수 있어 약액 팽창으로 인한 부피 변화에 따른 피스톤의 움직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약액이 주사기(100)의 바늘(150)로 역류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건바디 4 : 트리거
6 : 푸쉬로드 8 ; 푸쉬홀더
22 : 가이드홀더 23 : 받침부
24 : 손잡이 44 : 결합용 브라켓
64 : 걸림홈 86 : 돌기
88 ; 텐션바 100 : 주사기

Claims (15)

  1. 내부에 피스톤이 삽입되며, 피스톤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주입로드가 형성된 주사기를 주입하는 것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주사기를 거치하는 시린지홀더가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관통공을 갖는 가이드홀더가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일단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건바디;
    상기 건바디의 받침부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손잡이에 근접 및 이격되는 회전운동을 하며 상부에 결합용 브라켓이 형성된 트리거;
    상기 건바디의 받침부의 상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주사기의 피스톤에 결합되는 푸쉬로드;
    상기 트리거의 결합용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푸쉬로드가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푸쉬로드에 접촉 및 이탈을 반복하도록 하는 푸쉬홀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로드는 외주면에 걸림홈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푸쉬홀더는 푸쉬로드가 관통하도록 전후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의 내주면에는 걸림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톱니형상이되 일측은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은 수직면이 형성되어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홀더는 외면에 탄성을 갖는 텐션바가 형성되고,
    상기 텐션바가 건바디의 받침부 상면에 지지되어 탄성지지력을 발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로드는 주사기의 피스톤에 결합되도록 선단에 결합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단부는 선단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피스톤에 끼워진 후 빠지지는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6. 주사기(100)를 거치하는 시린지홀더(260)가 상부 일측에 형성된 받침부(220)와, 상기 받침부(220)의 일단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손잡이(240)로 구성된 건바디(200);
    상기 건바디(200)에 힌지 결합되어 손가락으로 당기도록 하는 트리거(300);
    상기 주사기(100)의 피스톤에 결합되는 피스톤홀더(420)가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치차로 이루어진 치차부(440)가 형성되어 트리거(300)의 당김작동에 동반되어 전진이동되어 피스톤을 미는 이동판(400);
    상기 건바디(200)에 힌지 결합되고, 상부에 걸림구(520)가 형성되어 이동판(400)의 하부에 형성된 치차부(440)에 걸려지도록 하는 작동부재(500);
    상기 작동부재(50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건바디(200)에 연결되어 작동부재(500)의 복원력을 발휘하는 탄성체(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300)는 하부에는 손가락을 걸도록 수용공(32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건바디(200)의 받침부(220)의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축(340)과, 회전축의 상부에는 작동부재(500)와 힌지결합되는 핀(350)이 형성된 결합용 브라켓(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400)의 하부에 형성된 치차부(440)는 단면형상이 빗변(442)과 수직변(443)을 갖는 치형이 다수개가 연속형성되어 골과 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빗변(442)은 전방(주사기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방향)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수직변(443)은 전방을 향해 기울어져 형성된 것으로, 빗변(442)을 타고 이동된 걸림구(520)가 수직변(443)에 삽입되면서 전진시키는 힘이 작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500)는 트리거(300)의 상부와 힌지 결합되고, 트리거(300)의 전후 방향의 회전작동에 연동되어 걸림구(520)가 상하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500)의 손가락을 걸수 있도록 해제편(510)이 형성되고, 상기 해제편(510)은 건바디(200)의 받침부(220)의 하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린지홀더(260)는 한쌍으로 된 호형의 클립(262)이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 후크(264)가 형성된 것이며, 건바디(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후크(264)가 결합되는 걸림홈(22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건바디(200)의 전단에 결합되어 피부에 밀착되고, 주사기(100)의 바늘(150)이 관통 결합되어 바늘(150)의 노출길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부재(700);
    를 포함하는 겻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700)는
    상기 건바디(200)의 전단 하부에 형성된 슬롯(270)에 결합되는 수평의 장착부(720)와,
    장착부(720)의 단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피부에 밀착되는 지지부(740)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740)에는 주사기 바늘(150)이 관통되는 홀(7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15.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20)에는 이동판(40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부 양측에 슬라이드홈(227)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400)은 측면 양측에 슬라이드 단턱(40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KR1020170102948A 2016-12-21 2017-08-14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KR102033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067 2016-12-21
KR20160176067 2016-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518A true KR20180072518A (ko) 2018-06-29
KR102033072B1 KR102033072B1 (ko) 2019-10-16

Family

ID=6278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948A KR102033072B1 (ko) 2016-12-21 2017-08-14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897B1 (ko) * 2021-08-04 2022-01-11 주식회사 엔게인 약물 주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4431A (ko) * 2020-09-11 2022-03-18 진세훈 주사기 작동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4353A1 (en) * 2000-12-22 2004-02-05 Petersen Robert L.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medically useful multiple component material
KR20060046872A (ko) * 2004-11-12 2006-05-18 주식회사 무한기업 의료용 주사액 주입기
KR200423667Y1 (ko) 2006-05-31 2006-08-09 양희철 채혈용 주사기 자동보조장치
KR101452631B1 (ko) * 2013-05-02 2014-10-2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량 조절이 가능한 반자동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4353A1 (en) * 2000-12-22 2004-02-05 Petersen Robert L.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medically useful multiple component material
KR20060046872A (ko) * 2004-11-12 2006-05-18 주식회사 무한기업 의료용 주사액 주입기
KR200423667Y1 (ko) 2006-05-31 2006-08-09 양희철 채혈용 주사기 자동보조장치
KR101452631B1 (ko) * 2013-05-02 2014-10-2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량 조절이 가능한 반자동주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897B1 (ko) * 2021-08-04 2022-01-11 주식회사 엔게인 약물 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072B1 (ko)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303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njection using a syringe needle
US20180228972A1 (en) Autoinjector system
JP3188704B2 (ja) ペン形状をなす自動注射器
JP6581194B2 (ja) 眼用インプラント送達装置および方法
JP2007533379A (ja) 変形可能な眼内レンズの挿入装置
JPS5886175A (ja) Pdl注射器
JP2014526290A (ja) 医薬品の2回分の投与量を自動的に注射するためのデバイス
US20170258507A1 (en) Single hand injection control device with a self-adjusting position reference
KR20180072518A (ko) 무동력 가압 주사장치
JP2008220962A (ja) 挿入ヘッド、特に輸液セットのための挿入器具
KR100589077B1 (ko) 의료용 주사액 주입기
JP2016533801A (ja) 旋回するトリガーを備える自動注射器
JP2023010763A (ja) 労力を低減して医療容器内に含まれた組成物を注射するための支援型注射デバイス
TW201309357A (zh) 用於容置注射器的護套、包含該護套的組合體、包含該組合體的筆型注入器、和形成筆型注入器的方法
US20170290985A1 (en) Revolving multi-cartridge hypodermic syringe and method of use
US20220054765A1 (en) Safety injector needle
KR101810617B1 (ko) 무동력 피스톤 가압보조장치
KR101368920B1 (ko) 의료용 약물 주입장치
KR20180122527A (ko) 수지침 연속 공급이 가능한 수지침 시술장치
KR101810886B1 (ko) 주사바늘 모델별 교체사용이 가능한 주사기용 2단 핑거그립 홀더
AU2004267899A1 (en) System for administering an injectable product
KR102026582B1 (ko) 정량 반복주사기 장치
KR101496048B1 (ko) 매뉴얼 인젝터
CN111683705B (zh) 用于注射容纳在医用容器中的成分的注射装置
TWI250032B (en) A pressure controlling, quantity controlling mixing syrin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