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838A - Simulation system for X-ray imag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imulation system for X-ray imag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838A
KR20180071838A KR1020160174894A KR20160174894A KR20180071838A KR 20180071838 A KR20180071838 A KR 20180071838A KR 1020160174894 A KR1020160174894 A KR 1020160174894A KR 20160174894 A KR20160174894 A KR 20160174894A KR 20180071838 A KR20180071838 A KR 20180071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ray
module
unit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8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48675B1 (en
Inventor
문일봉
김정수
Original Assignee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4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675B1/en
Publication of KR20180071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8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6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scanning or photography techniques, e.g. X-rays,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7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tracking of position of the device or parts of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2Calibration
    • A61B6/583Calibration using calibration phant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X-ray shooting practicing device capable of easily and safely practicing X-ray shooting without damage for radiation expo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X-ray shooting practicing device comprises an X-ray shooting unit, a position determining unit, a control unit, a data storing unit,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e X-ray shooting unit includes: a table; a dummy which is mounted on an upper part of the table; a tube-shaped module which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table, and corresponds to an X-ray tube; and a detector module which is inserted into the table and is moved to be positioned at a lower shooting point of the dummy.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recognizes positions of the tube-shaped module, the dummy, and the detector module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ube-shaped module is positioned at a designated shooting position. The control unit inputs radiation irradiation time, a tube voltage condition, and a tube current condition depending on the X-ray shooting. The data storing unit divides an X-ray shooting image into a practicing part and a practicing condition, and stores the same.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receives input information of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outputs the shooting image stored in the data storing unit depending on an inputted condition.

Description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 {Simulation system for X-ray imaging apparatus}Simulation system for X-ray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선 노출에 대한 위험 없이 엑스레이 촬영에 대한 실습을 쉽고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는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X-ray imaging trai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X-ray imaging train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and safely performing X-ray imaging without risk of exposure to radiation.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엑스레이 촬영장치는 엑스레이(X-RAY)를 이용하여 인체 내부의 영상을 얻는 기기이다.An X-ray imaging apparatus used for medical use is an apparatus for obtaining an image of the inside of a human body by using an X-ray.

엑스레이 촬영장치는 외관으로 확인할 수 없는 인체 내부의 상해 또는 질병 등의 검사에 이용되며, 인체의 두부, 흉부 등의 촬영 부위에 엑스레이를 조사하고 투과되는 엑스레이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인체 내부의 영상을 생성한다.The X-ray imaging apparatus is used for inspecting injuries or illnesses inside the human body which can not be confirmed by the external appearance. It irradiates X-rays to the to-be-taken parts such as the head and chest of the human body and detects the transmitted X- do.

엑스레이 촬영장치는 일반적으로 엑스레이를 발생시켜 피촬영체에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촬영장치와, 피촬영체를 투과한 엑스레이를 수신하는 촬영테이블 또는 촬영스탠드로 구성된다.An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generally comprises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irradiating X-rays to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by generating X-rays, and a photographing table or a photographing stand for receiving X-rays transmitted through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최근 인체 내부를 촬영하여 병을 진단하거나 검사하는 다양한 영상기기들이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도 엑스레이 촬영장치는 일선 병원에서 진료나 치료 과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영상 촬영 장비이다.Recently, a variety of imaging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image the inside of a human body to diagnose or inspect a disease. However, an X-ray imaging device is still the most commonly used imaging device in a medical treatment or treatment process at a frontline hospital.

이러한 엑스레이 촬영장치는 자격을 갖춘 전문 인력에 의해 운용되어야 하며, 방사선과 등 보건 관련 대학에서 관련 장비에 대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These x-ray imaging devices must be operated by qualified professionals and train specialists in the related equipment at health-related universities such as radiology.

현재 엑스레이 촬영장치에 대한 교육 중에는 실제 엑스레이 촬영장치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고, 제대로 된 촬영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일련의 실습과정이 포함된다.During the training of the current X-ray apparatus, it includes a series of hands-on exercises to shoot an image through the actual X-ray apparatus and confirm that the proper shooting has been done.

그런데 엑스레이 촬영장치의 경우 방사선의 피폭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되어 실습기회가 매우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며, 관련 법령 및 규정의 개정으로 ㅂ보건계열(방사선학과, 치위생학과) 학과의 교육 실습 환경이 강화되고 있어 실습교육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X-ray equipment, the opportunity for practicing is limited due to the influence of radiation exposure. In the revision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e educational practice environment of the Department of Health Sciences (Radiology Department, Dental Hygiene Department) And the training is not progressing smoothly.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6602호 : 엠알아이 장치의 작동원리와 자기장의 특성 교육을 위한 학습교재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26602: Learning material for teaching the operation principle and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 of the MIA devic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7950호 : 씨티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그것을 기록한 기록매체와프로그램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67950: Citi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record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엑스레이 촬영장치의 운용 능력 향상을 위한 실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방사선 피폭의 위험을 방지하고, 촬영장치의 운용에 대한 실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X-ray imaging apparatus and a X-ray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risk of radiation exposure and maximizing the practical effect of the operation of the imaging apparatus in the course of conducting an exercise for improving the operation capability of the X-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상부에 안착되는 더미와, 상기 테이블의 상부에 위치하며 엑스레이 튜브에 대응하는 튜브형상모듈과, 상기 테이블에 삽입되며 상기 더미의 하부 촬영 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디텍터모듈을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유닛과, 상기 튜브형상모듈과 더미 및 상기 디텍터모듈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튜브형상모듈이 지정된 촬영위치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위치판별유닛과, 엑스레이 촬영에 따른 방사선 조사시간, 관전압, 관전류 조건을 입력하는 컨트롤유닛과, 엑스레이 촬영 영상 이미지가 실습 부위별 및 실습 조건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위치판별유닛과 상기 컨트롤유닛의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입력된 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촬영이미지를 출력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한다.An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ble, a dummy seated on the table, a tubular module positioned on the table and corresponding to the x-ray tube, A position determination unit for recognizing a position of the tube shape module and the dummy and the detector modul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ube shape module is located at a designated photographing position, A control unit for inputting a radiation irradiation time, a tube voltage, and a tube current condition according to an X-ray radiography,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X-ray image obtained by dividing an image of the X-ray into a training part and a training condition,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data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input conditions.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outputting a photographed image.

상기 위치판별유닛은 상기 튜브형상모듈에 설치되는 제1 센서와, 상기 더미의 각 촬영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설치되는 제2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에 의해 상기 튜브형상모듈의 촬영 위치가 상기 더미의 설정된 촬영위치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includes a first sensor provided on the tube shape module and a second sensor provided 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dummy,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module corresponds to the set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dummy.

상기 제1 센서는 직진성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발광센서이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1 센서에서 조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센서일 수 있다.The first sensor may be a light emitting sensor that emits light having a directivity, and the second sensor may be a light receiving sensor that receives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sensor.

상기 위치판별유닛은 상기 테이블의 중심 위치와 상기 튜브형상모듈의 원점 위치가 일치하는 기준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튜브형상모듈과, 상기 테이블의 이동 좌표를 인식하며, 상기 테이블 내에서 상기 중심위치에 대한 디텍터모듈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3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recognizes the movement coordinates of the tube module and the table on the basis of a reference position in which the center position of the table coincides with the origin position of the tube shape module, And a third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etector module.

상기 제3 센서는 상기 디텍터모듈에 설치되어 x축 방향에 대한 상기 테이블의 내벽과의 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제1 거리센서와, y축 방향에 대한 테이블 내벽과의 거리정보를 산출하는 제2 거리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거리센서 및 제2 거리센서는 초음파센서, 수발광센서, 레이저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third sensor includes a first distance sensor installed in the detector module and calculating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of the table with respect to the x-axis direction, and a second distance sensor that calculates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table and the y- The first distance sensor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may be any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 water light emission sensor, and a laser sensor.

상기 데이터저장부는 촬영지정 위치에 대하여 정위치와 오차위치에 대한 각각의 촬영 사진들과, 정위치와 오차위치에 대하여 상기 컨트롤유닛에서 입력하는 촬영조건 정보에 따른 각각의 영상이미지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정보처리부는 실습과정에서 상기 튜브모형유닛의 촬영위치와 상기 컨트롤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촬영조건에 대응하는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ta storage unit stores respective image photographs of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erro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photographing designation position and respective image images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ing condi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control unit with respect to the correct position and error posi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video image corresponding to a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tube model unit and a photographing condition input through the control unit during an exercise process.

본 발명의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지지부와, 상기 승강지지부에 내장되는 디텍터와, 상기 스탠드의 전방에 위치하는 더미와, 상기 더미의 전방에 설치되며 엑스레이 튜브에 대응하는 튜브형상모듈을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유닛과, 상기 튜브형상모듈과 더미 및 상기 디텍터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튜브형상모듈이 지정된 촬영위치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위치판별유닛과, 엑스레이 촬영에 따른 방사선 조사시간, 관전압, 관전류 조건을 입력하는 컨트롤유닛과, 엑스레이 촬영 영상 이미지가 실습 부위별 및 실습 조건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위치판별유닛과 상기 컨트롤유닛의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입력된 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촬영이미지를 출력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x-ray image taking and trai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and, an elevation support unit movably installed on the stand, a detector built in the elevation support unit, a dummy positioned in front of the stand, A position determining unit for recognizing a position of the tube shape module and the dummy and the detecto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ube shape module is located at a designated photographing position, A control unit for inputting a radiation irradiation time, a tube voltage, and a tube current condition according to an X-ray radiography,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X-ray image obtained by dividing an image of the X-ray into a training part and a training condition, And stores the captured image in the data storage unit in accordance with the inputted condition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outputting the information.

본 발명의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는 실제 방사선의 조사 없이 엑스레이 촬영 장비에 대한 실습을 실시할 수 있어, 방사능 노출 위험에 대한 우려가 없는 안전한 실습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X-ray imaging trai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actice the X-ray imaging apparatus without actually irradiating the radiation, thereby providing a safe working environment free from the risk of exposure to radi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더미의 평면도,
도 4는 테이블장착홈에 위치한 디텍터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컨트롤유닛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를 통한 실습 과정을 표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X-ray imaging trai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X-ray imaging training apparatus of FIG. 1,
3 is a top view of the dummy,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detector module located in a table mounting groove,
5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unit,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n exercise process using the X-ray imaging trai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n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10)는 엑스레이 촬영유닛(100)과, 위치판별유닛(200), 컨트롤유닛(300), 데이터저장부(400) 및 정보처리부(500)를 포함한다.An X-ray imag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X-ray imaging unit 100, a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00, a control unit 300, a data storage unit 400,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500, .

엑스레이 촬영유닛(100)은 실제 엑스레이 촬영 장비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실습을 진행하는 학생들이 실제 엑스레이 장비를 조작하는 것과 같은 훈련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테이블(110)과, 테이블(110) 상에 안착되는 더미(120)와, 테이블(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튜브형상모듈(130)과, 테이블(110)에 설치되는 디텍터모듈(140)을 포함한다.The X-ray photographing unit 100 is formed so as to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actual X-ray photographing equipment, so that the students who practice the exercises can exercise the same training effect as operating the actual X-ray equipment. The table 110, A tube shape module 130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table 110 and a detector module 140 installed at the table 110. The dummy 120 is mounted on the table 110,

테이블(110)은 촬영대상자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인 x축과 y축 방향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The table 110 is formed to be able to lie down on a person to be photographed,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and is movable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which ar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paper surface.

상기 테이블(11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디텍터모듈(140)을 설치할 수 있는 디텍터장착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실제 엑스레이 촬영장비의 경우 영상 촬영을 위한 엑스선 필름 카세트 또는 디지털 디텍터가 장착되고, 디텍터를 촬영지점의 하부에 위치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엑스레이 필름 카세트 또는 디텍터의 역할을 하는 디텍터모듈(140)을 테이블(110)의 하부에 설치하고, 디텍터모듈(140)의 위치 세팅을 실습할 수 있다.At the lower portion of the table 110, there is formed a detector mounting groove 111 in which a detector module 14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talled. In the case of an actual X-ray imaging apparatus, an X-ray film cassette or a digital detector for image capturing is mounted and a detector is positioned below a photographing point. A detector module 140 serving as an X-ray film cassette or detector is mounted on a table 110 And the position setting of the detector module 140 can be practiced.

테이블(110)은 길이방향(x축 방향) 및 폭방향(y축 방향)에 대하여 중심위치가 지정되어 있으며, 테이블(110)이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된 이동좌표가 계산되어 테이블(110)의 이동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table 110 has a cente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when the table 110 moves in the x- and y-axis directions, So that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table 110 can be confirmed.

상기 더미(120)는 테이블(110)의 상면에 안착되는데, 사람과 비슷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통상적으로 엑스레이 사진을 촬영하는 각 촬영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센서(220)들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센서(220)들은 더미(120)의 머리, 목, 어깨, 팔꿈지, 손목, 가슴, 배, 고관절, 무릎, 종아리 등 여러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The dummy 120 is se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able 110, and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human being, and the second sensors 220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hotographing points for photographing x-ray photographs. That is, the second sensors 220 are mounted on various parts of the dummy 120 such as the head, neck, shoulder, arm dummy, wrist, chest, stomach, hip, knee, calf.

상기 디텍터모듈(140)은 상술한 것처럼 테이블(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디텍터장착홈(111)에 인입되며, 디텍터모듈(140)의 장착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확인을 위한 제3 센서(230)가 마련되어 있다.The detector module 140 is inserted into a detector mounting groove 111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able 110 and is connected to a third sensor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detector module 140 230 are provided.

상기 제3 센서(230)는 디텍터모듈(140)의 일측과 타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1 거리센서(231)와 제2 거리센서(232)일 수 있다. 제1 거리센서(231)는 테이블(110)의 하부에서 x축 방향에 대하여 디텍터모듈(140)과 디텍터장착홈(111)의 내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제2 거리센서(232)는 y축 방향에 대하여 디텍터모듈(140)과 디텍터장착홈(111)의 내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The third sensor 230 may be a first distance sensor 231 and a second distance sensor 232 provid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etector module 140. The first distance sensor 231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detector module 140 and the inner wall of the detector mounting groove 111 in the x-axis directio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able 110. The second distance sensor 232 measures y The distance between the detector module 140 and the inner wall of the detector mounting groove 111 is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이렇게 제1 거리센서(231)와 제2 거리센서(232)에 의해 각각의 거리가 산출되면 테이블(110)장착홈 내에서 디텍터모듈(140)의 위치가 연산될 수 있다.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distance sensor 231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232 is calculated, the position of the detector module 140 in the mounting groove of the table 110 can be calculated.

상기 제1 거리센서(231)와 제2 거리센서(232)는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수발광센서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first distance sensor 231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232 may be any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 laser sensor, and a water light emitting sensor.

상기 튜브형상모듈(130)은 상기 테이블(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엑스레이 촬영 장비의 엑스레이튜브에 대응한다. 엑스레이 촬영을 위해서는 엑스레이튜브를 촬영할 대상의 상부에 위치시켜야 하는데, 튜브형상모듈(130)이 엑스레이튜브의 역할을 하게 된다.The tubular module 13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table 110 and corresponds to the x-ray tube of the x-ray imaging equipment. For x-ray imaging, the x-ray tube must be positioned above the subject to be imaged, and the tube-shaped module 130 serves as an x-ray tube.

튜브형상모듈(130)은 실제 엑스레이 발생을 위한 튜브는 마련되어 있는 않고 단지 외관만 튜브형상을 취하며, 일측에 위치판별유닛(200)의 제1 센서(210)가 마련되어 있다.The tube shape module 130 does not have a tube for generating an actual x-ray but only a tubular shape of the outer appearance, and the first sensor 210 of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00 is provided on one side.

상기 위치판별유닛(200)은 튜브형상모듈(130)과 테이블(110) 및 디텍터모듈(140)의 위치를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것처럼 튜브형상모듈(13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센서(210)와, 더미(120)의 각 촬영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센서(220)들과, 디텍터모듈(140)에 설치되어 있는 제3 센서(230) 및 상기 테이블(110)과 튜브형상모듈(130)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센서들을 포함한다.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00 i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s of the tube shape module 130, the table 110 and the detector module 140.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00 is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of the tube shape module 130, The second sensor 220 formed at each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dummy 120 and the third sensor 230 installed at the detector module 140 and the table 110 and the tube shape module 210, And positioning sensors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130.

상기 제1 센서(210)와 제2 센서(220)는 수발광센서일 수 있는데, 튜브형상모듈(13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센서(210)가 촬영위치에 대응하는 제2 센서(220)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first sensor 210 and the second sensor 220 may be water light emitting sensors and the first sensor 210 formed on the tube module 130 may include a second sensor 220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ing position, And is used to confirm whether or not it i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

예를 들어, 흉부 엑스레이를 촬영하는 경우 실습자는 튜브형상모듈(130)을 이동시켜 제1 센서(210)가 더미(120)의 흉부위치에 설치된 제2 센서(220)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며, 제1 센서(210)와 제2 센서(220)를 통해 튜브형상모듈(130)이 더미(120)의 촬영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였는지를 감지한다.For example, when taking a chest X-ray, the practitioner moves the tube-shaped module 130 to move the first sensor 210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nsor 220 installed at the chest position of the dummy 120 The first sensor 210 and the second sensor 220 detect whether the tube shape module 130 ha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ing point of the dummy 120. [

만약 흉부 위치가 아닌 배나 흉부에 인접한 팔 또는 어깨와 같은 지점의 제2 센서(220)에서 제1 센서(210)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튜브형상모듈(130)의 위치 선정이 잘못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If the second sensor 220 at the same position as the arm or the shoulder adjacent to the abdomen or the chest but not the chest position receives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first sensor 210,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ing of the tube shape module 130 is wrong .

제3 센서(230)는 상술한 것처럼 테이블(110)의 하부에서 디텍터모듈(14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며, 제3 센서(230)를 통해 디텍터모듈(140)이 촬영대상지점의 적정 위치에 놓여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The third sensor 230 senses the position of the detector module 14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able 110 and the detector module 14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detector module 140 through the third sensor 230, Or the like.

아울러 위치판별유닛(200)은 상기 테이블(110)의 x축과 y축 방향 상의 중심위치(C)와 상기 튜브형상모듈(130)의 위치가 일치하는 지점을 기준위치로 선정하고, 이 기준위치를 기준으로 테이블(110)과 튜브형상모듈(130)의 이동 위치를 파악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200 selects a point at which the center position C of the table 110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coincides with the position of the tube shape module 130 as a reference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table 110 and the tube shape module 130 are determin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table 110 and the position of the tube shape module 130.

테이블(110)이 기준 위치 상에서 x축과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위치판별유닛(200)은 중심위치(C)의 이동 경로를 x,y 좌표계 상에서 연산하여 확인한다.When the table 110 moves along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on the reference position,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200 calculates the movement path of the center position C on the x, y coordinate system.

또한 튜브형상모듈(130)의 경우 x축과 y 축 및 상하로 연장되는 z축 방향에 대하여 이동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 감지 정보 역시 좌표계로 표시되어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In the case of the tube shape module 130, the movement direction can be sensed with respect to the x-axis and the y-axis and the z-axis direc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nsing information is also displayed in a coordinate system to grasp the position information.

이러한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튜브형상모듈(130)과 디텍터모듈(140)의 위치가 적정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데, 디텍터모듈(140)은 제3 센서(230)를 통해 테이블(110)의 하부에서 테이블(110)의 중심위치(C)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테이블(110)의 이동에 따른 중심위치(C)의 이동과 상기 튜브형상모듈(130)의 이동 위치의 좌표를 통해서 상기 튜브형상모듈(130)과 디텍터모듈(140) 위치가 상호 적정 위치에 있는지를 판별한다.The detector module 140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tube shape module 130 and the detector module 140 through the third sensor 230. The detector module 140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tube shape module 130 and the detector module 140, The center position C of the tube shape module 130 can be obtained relative to the center position C of the tube shape module 110 and the coordinates of the center position C of the tube shape module 1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sitions of the tube shape module 130 and the detector module 140 are in mutual positions.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튜브형상모듈(130)의 경우 x,y,z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는 것 외에도 튜브형상모듈(130)과 연결되는 연결로드와의 연결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로드를 중심으로 튜브형상모듈(130)이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디텍터모듈(140)의 적정위치가 연산되도록 위치판별유닛(200)이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tubular module 130 may be formed to be capable of linear movement along the x, y, and z directions, as well as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ubular module 130 and the connection rod, The tube shape module 130 may be formed to rotate around the connection rod and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20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proper position of the detector module 140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아울러 상기 테이블(110)의 일측에는 스탠드(150)가 마련되고 상기 스탠드(150)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지지부(151)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승강지지부(151)에 디텍터(152)가 장착될 수 있다.A stand 15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able 110 and a lifting support 151 may be provided on the stand 150 so that the lifting support 151 can be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Can be mounted.

테이블(110)은 촬영대상자가 누워서 엑스레일을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고, 기립한 상태로 엑스레이를 촬영할 수 있는 스탠드(150)타입으로 촬영모형이 구비될 수 있다. The table 110 is formed so that a subject to be photographed can be photographed to photograph an X-ray, and a photographing model can be provided in a stand 150 type in which the X-ray can be photographed in a standing state.

상기 승강지지부(151)의 전방에 더미(120)가 기립한 상태로 세워지면 튜브형상모듈(130)의 제1 센서(210)와 더미(120)의 제2 센서(220)의 위치관계를 통해 튜브형상모듈(130)이 적정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별한다.When the dummy 120 stands upright in front of the lifting support 151, the first sensor 210 of the tubular module 130 and the second sensor 220 of the dummy 120 are position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ube shape module 130 is locat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아울러 상기 승강지지부(151)의 높이와 튜브형상모듈(130)의 좌표의 위치를 통해 튜브형상모듈(130)이 적정위치에서 승강지지부(151)를 향해 촬영 위치가 세팅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 The tube shape module 130 determines whether the photographing position is set at the proper position toward the elevation support 151 through the height of the elevation support portion 151 and the position of the coordinates of the tube shape module 130. [

상기 컨트롤유닛(300)은 실습자가 엑스레이 촬영 실습 과정에서 촬영 조건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이다. The control unit 300 is an input means for the practitioner to input photographing conditions during the x-ray photographing exercise.

엑스레이를 촬영할 때에는 관전압(kV)과 관전류(mA) 및 조사시간(sec)의 조건을 조정해야 한다. 이러한 촬영조건은 촬영지점, 촬영목적, 촬영대상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촬영 조건을 제대로 세팅하지 못하는 경우 과노출 또는 저노출에 의해 판독이 어려운 엑스레이 사진이 찍힐 수 있다. When shooting x-rays, the conditions of tube voltage (kV), tube current (mA), and irradiation time (sec) should be adjusted. Such photographing conditions may vary depending on the photographing point, the photographing purpose, and the person to be photographed. If you can not set these shooting conditions properly, you may get x-rays that are hard to read due to exposure or low exposure.

따라서 적정 촬영조건을 숙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컨트롤유닛(300)을 통해 실습자가 관전압과 관전류 및 조사시간에 대한 조건을 직접 세팅하고 스위치(310)를 눌러 촬영을 진행한다.Therefore, the practitioner directly sets conditions for the tube voltage, the tube current, and the irradiation time through the control unit 300 to confirm whether the proper photographing condition is known, and pushes the switch 310 to proceed the photographing.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통상적으로 엑스레이 촬영장비는 방사선 노출에 대한 위험 때문에 별도의 촬영실을 구비하고, 컨트롤유닛(300)은 촬영실의 외부에 마련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 방사선 노출에 대한 우려는 없으나 실제 촬영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상기 엑스레이 촬영유닛(100)은 촬영실 내부에 설치하고 컨트롤유닛(300)은 촬영실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x-ray imaging apparatus typically has a separate imaging room for the risk of exposure to radiation, and the control unit 30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imaging roo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X-ray photographing unit 1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photographing room and the control unit 300 may be located outside the photographing room to create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photographing environment.

상기 데이터저장부(400)는 촬영 대상 부분별 및 각 부분에서의 촬영 조건별 엑스레이 영상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 The data storage unit 400 stores an image of an x-ray image according to the shooting condition and the shooting condition of each part.

데이터저장부(400)는 각 촬영 위치별로 카테고리가 구분되고 각 카테고리 내에서 촬영 조건별로 촬영된 영상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추 부분에 대한 엑스레이 이미지 카테고리가 마련되고, 해당 카테고리에는 관전압, 관전류, 조사시간에 따른 영상이미지가 저장된다. 해당 이미지들은 정상적으로 촬영된 이미지와 비정상 이미지가 모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The data storage unit 400 is divided into categories according to each photographing position, and image images photographed according to photographing conditions within each category can be stored. For example, an x-ray image category for the cervical vertebra is provided, and image categories for tube voltage, tube current, and irradiation time are stored in the category. These images may include both normally photographed images and abnormal images.

또한 정확한 위치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정확한 촬영위치가 아닌 곳에서 촬영된 이미지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Also, an image taken at an accurate position and an image taken at a position other than an exact shooting position may be included.

상기 정보처리부(500)는 위치판별유닛(200)과 컨트롤유닛(300)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통해 데이터저장부(400)에 저장된 엑스레이 이미지 중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엑스레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10)를 통해 출력한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500 displays an x-ray image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among the x-ray image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400 on the display 510 through the input signals input from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00 and the control unit 300, Lt; / RTI >

예를 들어 흉부 엑스레이를 촬영하는 경우라면 위치판별유닛(200)을 통해 튜브형상모듈(130)이 더미(120)의 흉부에 장착된 제2 센서(220)와 대응하는 위치에 세팅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튜브형상모듈(130)과 디텍터모듈(140)도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지 판단한다.For example, if the chest X-ray is taken,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200 whether the tube shape module 130 is se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nsor 220 mounted on the chest of the dummy 120 do.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ube shape module 130 and the detector module 140 are located at mutually corresponding positions.

아울러 정보처리부(500)는 컨트롤유닛(300)에서 입력되는 촬영조건에 대한 정보도 전달받는다. 위치판별유닛(200)과 컨트롤유닛(300)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통해 튜브형상모듈(130)의 위치와 디텍터모듈(140)이 정상 위치에 있고, 촬영조건 역시 적정 범주 내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정보처리부(500)는 데이터저장부(400)에서 해당 부위의 정상 엑스레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10)를 통해 출력한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500 also receives information on photographing conditions input from the control unit 300. When the position of the tube shape module 130 and the detector module 140 are in the normal position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00 and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photographing condition is also set in the proper category, The processing unit 500 outputs a normal x-ray image of the corresponding region in the data storage unit 400 through the display 510.

그러나 튜브형상모듈(130)과 디텍터모듈(140)의 위치가 정 위치에서 벗어나 있거나 상기 촬영조건으로 세팅된 조건값이 정상 범주를 벗어나는 경우 오차 요인에 대응하는 잘못된 엑스레이 이미지를 출력한다.However, when the positions of the tube shape module 130 and the detector module 140 are out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 or when the condition value set by the photographing condition deviates from the normal category, an erroneous x-ray image corresponding to the error factor is output.

이를 통해 실습자는 오차 요인을 찾아 다시 실습을 진행하거나 피드백 진행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practitioner can find out the error factors and conduct the exercise again or feedback.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10)를 통한 실습 과정을 도 6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dure of practicing the X-ray imag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먼저 실습을 위한 촬영상황을 설정한다. 촬영할 지점과, 촬영대상자의 나이 등 촬영조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상황 설정을 진행한다.First, set the shooting conditions for the training. Proceed with the setting of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hooting conditions, such as the point to shoot and the age of the person to be photographed.

이후 실습자가 더미(120)가 놓인 테이블(110)의 위치를 세팅하고 튜브형상모듈(130)의 위치를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디텍터모듈(140)도 촬영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으로 위치시킨다.The practitioner sets the position of the table 110 on which the dummy 120 is placed and moves the position of the tube shape module 130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ing position. The detector module 140 is also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ing position.

실습자는 튜브형상모듈(130)과 디텍터모듈(140)의 위치세팅을 마친 후 촬영실의 외부로 나와 컨트롤유닛(300)을 통해 촬영 조건 즉, 관전압과 관전류 및 조사시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스위치(310)를 통해 촬영신호를 인가하면, 정보처리부(500)에서 상기 위치판별유닛(200)과 컨트롤유닛(300)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통해 튜브형상모듈(130)과 디텍터모듈(140)의 위치가 올바르게 세팅되어 있는지와, 컨트롤유닛(300)을 통해 촬영조건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After the position setting of the tube shape module 130 and the detector module 140 is completed, the practitioner goes out of the photographing room and sets photographing conditions, that is, the tube voltage, the tube current, and the irradiation time through the control unit 300. When the photographing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switch 310,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500 reads the information from the tube shape module 130 and the detector module 140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00 and the control unit 300, Is correctly set and whether or not the photographing condition is set correctly through the control unit 300. [

위치와 촬영조건이 올바르게 세팅된 경우 정보처리부(500)는 데이터저장부(400)에 저장되어 있는 정상적인 엑스레이 촬영 이미지를 출력한다. 만약 튜브형상모듈(130)이나 디텍터모듈(140)의 위치 세팅이 잘못되어 있거나 촬영조건 설정이 잘못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오류에 대응하는 잘못된 엑스레이 이미지를 출력한다.When the position and photographing conditions are set correctly,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500 outputs a normal X-ray imag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400. If the position setting of the tube shape module 130 or the detector module 140 is incorrect or the photographing condition setting is incorrect, an erroneous x-ray image corresponding to the error is outputted.

아울러 상기 정보처리유닛은 위치나 촬영조건에 오류가 있어 잘못된 엑스레이 이미지를 출력하는 경우 오류 부분이 어떤 부분인지를 표시하여 실습자가 자신의 오류를 정정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진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may display a part of the error part when an incorrect x-ray image is outputted due to an error in the position or photographing condition, so that the practitioner may perform feedback to correct the erro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10)는 엑스레이를 촬영하는 과정에서 실제 방사선의 조사를 생략함으로써 방사선의 노출 위험을 방지하면서도 실제 엑스레이 촬영 장비의 실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The X-ray imag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exposure of the X-ray to the radiation exposure by omitting the actual irradiation of the X-ray, thereby enhancing the practical effects of the X-ray imaging apparatus.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
100: 엑스레이 촬영유닛 110: 테이블
111: 디텍터장착홈 120: 더미
130: 튜브형상모듈 140: 디텍터모듈
150: 스탠드 151: 승강지지부
152: 디텍터
200: 위치판별유닛 210: 제1 센서
220: 제2 센서 230: 제3 센서
231: 제1 거리센서 232: 제2 거리센서
300: 컨트롤유닛 310: 스위치
400: 데이터저장부
500: 정보처리부 510: 디스플레이
10: X-ray shooting practice device
100: X-ray photographing unit 110: table
111: Detector mounting groove 120: Dummy
130: Tube shape module 140: Detector module
150: stand 151:
152: Detector
200: position determining unit 210: first sensor
220: second sensor 230: third sensor
231: first distance sensor 232: second distance sensor
300: Control unit 310: Switch
400: Data storage unit
500: Information processor 510: Display

Claims (8)

엑스레이 촬영을 위한 실습장치로,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상부에 안착되는 더미와, 상기 테이블의 상부에 위치하며 엑스레이 튜브에 대응하는 튜브형상모듈과, 상기 테이블에 삽입되며 상기 더미의 하부 촬영 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디텍터모듈을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유닛과;
상기 튜브형상모듈과 더미 및 상기 디텍터모듈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튜브형상모듈이 지정된 촬영위치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위치판별유닛과;
엑스레이 촬영에 따른 방사선 조사시간, 관전압, 관전류 조건을 입력하는 컨트롤유닛과;
엑스레이 촬영 영상 이미지가 실습 부위별 및 실습 조건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위치판별유닛과 상기 컨트롤유닛의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입력된 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촬영이미지를 출력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
As an exercise device for x-ray photography,
And a detector module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table and corresponding to the x-ray tube, and a detector module inserted in the table and movable to be located at a bottom photographing point of the dummy module, An X-ray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 position determining unit for recognizing a position of the tube shape module, the dummy and the detector modul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ube shape module is located at a designated photographing position;
A control unit for inputting irradiation time, tube voltage, and tube current condition according to x-ray imaging;
A data storage unit in which an X-ray image is divided and stored according to a training part and a training condition;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outputting the captured image stored in the data storing unit according to the input cond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판별유닛은 상기 튜브형상모듈에 설치되는 제1 센서와, 상기 더미의 각 촬영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설치되는 제2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에 의해 상기 튜브형상모듈의 촬영 위치가 상기 더미의 설정된 촬영위치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includes a first sensor provided on the tube shaped module and a second sensor provided 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dummy,
Wherein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r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tubular module corresponds to a set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dumm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직진성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발광센서이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1 센서에서 조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sensor is a light emission sensor that emits light having a directivity and the second sensor is a light reception sensor that receives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판별유닛은 상기 테이블의 중심 위치와 상기 튜브형상모듈의 원점 위치가 일치하는 기준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튜브형상모듈과, 상기 테이블의 이동 좌표를 인식하며,
상기 테이블 내에서 상기 중심위치에 대한 디텍터모듈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3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recognizes the movement coordinates of the tube shape module and the table on the basis of a reference position at which the center position of the table coincides with the origin position of the tube shape module,
And a third sensor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detector modu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sition in the tabl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센서는 상기 디텍터모듈에 설치되어 x축 방향에 대한 상기 테이블의 내벽과의 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제1 거리센서와, y축 방향에 대한 테이블 내벽과의 거리정보를 산출하는 제2 거리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hird sensor includes a first distance sensor installed in the detector module and calculating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of the table with respect to the x-axis direction, and a second distance sensor that calculates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table and the y- And a senso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센서 및 제2 거리센서는 초음파센서, 수발광센서, 레이저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distance sensor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are any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 water light emission sensor, and a laser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저장부는 촬영지정 위치에 대하여 정위치와 오차위치에 대한 각각의 촬영 사진들과, 정위치와 오차위치에 대하여 상기 컨트롤유닛에서 입력하는 촬영조건 정보에 따른 각각의 영상이미지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정보처리부는 실습과정에서 상기 튜브모형유닛의 촬영위치와 상기 컨트롤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촬영조건에 대응하는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storage unit stores respective image photographs of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erro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photographing designation position and respective image images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ing condi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control unit with respect to the correct position and error position,
Where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s configured to output a video image corresponding to a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tube model unit and a photographing condition input through the control unit during a practice session.
엑스레이 촬영을 위한 실습장치로,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지지부와, 상기 승강지지부에 내장되는 디텍터와, 상기 스탠드의 전방에 위치하는 더미와, 상기 더미의 전방에 설치되며 엑스레이 튜브에 대응하는 튜브형상모듈을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유닛과;
상기 튜브형상모듈과 더미 및 상기 디텍터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튜브형상모듈이 지정된 촬영위치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위치판별유닛과;
엑스레이 촬영에 따른 방사선 조사시간, 관전압, 관전류 조건을 입력하는 컨트롤유닛과;
엑스레이 촬영 영상 이미지가 실습 부위별 및 실습 조건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위치판별유닛과 상기 컨트롤유닛의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입력된 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촬영이미지를 출력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 실습장치.
As an exercise device for x-ray photography,
The stand includes a stand, a vertically movable lifting and lowering support provided on the stand, a detector built in the lifting support, a dummy positioned in front of the stand, and a tubular An X-ray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 module;
A position determining unit for recognizing a position of the tube shape module, the dummy and the detecto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ube shape module is located at a designated photographing position;
A control unit for inputting irradiation time, tube voltage, and tube current condition according to x-ray imaging;
A data storage unit in which an X-ray image is divided and stored according to a training part and a training condition;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outputting the captured image stored in the data storing unit according to the input condition.
KR1020160174894A 2016-12-20 2016-12-20 Simulation system for X-ray imaging apparatus KR1019486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894A KR101948675B1 (en) 2016-12-20 2016-12-20 Simulation system for X-ray imag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894A KR101948675B1 (en) 2016-12-20 2016-12-20 Simulation system for X-ray imag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838A true KR20180071838A (en) 2018-06-28
KR101948675B1 KR101948675B1 (en) 2019-02-15

Family

ID=6278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894A KR101948675B1 (en) 2016-12-20 2016-12-20 Simulation system for X-ray imag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67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0859A (en) * 2018-07-09 2018-11-02 杭州美诺瓦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Scatter the stone age test equipment of low dose X-ray
CN109166436A (en) * 2018-09-25 2019-01-08 泰山医学院 X-ray machine three compensates imitative experimental appliance
CN111358477A (en) * 2018-12-25 2020-07-03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Mobile X-ray photographic imaging equip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950B1 (en) 2007-05-03 2010-07-06 목포과학대학산학협력단 A ct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thereof it
KR101126602B1 (en) 2010-07-09 2012-03-23 주식회사 한양비이에스티교육 Study material for the function theory of MRI and the properties of magnetic fiel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5978A (en) * 2015-01-29 2016-08-12 公立大学法人首都大学東京 Radiography learn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950B1 (en) 2007-05-03 2010-07-06 목포과학대학산학협력단 A ct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thereof it
KR101126602B1 (en) 2010-07-09 2012-03-23 주식회사 한양비이에스티교육 Study material for the function theory of MRI and the properties of magnetic fiel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0859A (en) * 2018-07-09 2018-11-02 杭州美诺瓦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Scatter the stone age test equipment of low dose X-ray
CN109166436A (en) * 2018-09-25 2019-01-08 泰山医学院 X-ray machine three compensates imitative experimental appliance
CN109166436B (en) * 2018-09-25 2020-09-01 山东第一医科大学(山东省医学科学院) Three-compensation simulation experiment device for X-ray machine
CN111358477A (en) * 2018-12-25 2020-07-03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Mobile X-ray photographic imag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675B1 (en) 2019-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2591B2 (en) Automated apparatus to improve image quality in x-ray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EP3453330A1 (en) Virtual positioning image for use in imaging
JP44844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patient in a medical diagnostic or therapeutic device
CN106456100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n X-ray imaging system
US10918346B2 (en) Virtual positioning image for use in imaging
KR101948675B1 (en) Simulation system for X-ray imaging apparatus
JP2014533549A (en) X-ray imaging guidance system for positioning a patient
KR20150112830A (en) Positioning unit for positioning a patient,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optical generation of a positioning aid
KR101879169B1 (en) Radiography guide system and method using camera image
KR100967950B1 (en) A ct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thereof it
KR101806026B1 (en) Virtual x-ray radiography system for practical training in medical imaging
KR102004642B1 (en) Control Method for Radiography Training System
EP2162067A1 (en) Method for correcting an acquired medical image and medical imager
EP3982287A1 (en) Object keypoint detection
JP2011072404A (en) Radiographic system
KR101577564B1 (en) X-ray Systems and Methods with Medical Diagnostic Ruler.
KR101591775B1 (en) Equipment of education for vascular photography
KR1018714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acticing medical image photographing to educate dental radiology
JP5387829B2 (en) X-ray equipment
JP2009125275A (en) Radiographic apparatus
Tokarczyk et al. Photogrammetry–principles of operation and application in rehabilitation
KR101398193B1 (en) Device and Method for Calibration
JP2012050525A (en) X-ray imaging system and x-ray imaging apparatus
KR102004643B1 (en) Apparatus for Radiography Training
KR102012594B1 (en) Evaluation System for Radiographers’ Tra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