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501A - 시인성 마커 - Google Patents

시인성 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501A
KR20180071501A KR1020160174206A KR20160174206A KR20180071501A KR 20180071501 A KR20180071501 A KR 20180071501A KR 1020160174206 A KR1020160174206 A KR 1020160174206A KR 20160174206 A KR20160174206 A KR 20160174206A KR 20180071501 A KR20180071501 A KR 20180071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needle
interest
meta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로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로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로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74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1501A/ko
Publication of KR20180071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4Non-resorbab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7/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glycolic acid or lact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14Post-treatment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 A61L17/145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6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37Visible markers
    • A61B2090/3941Photoluminescent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83Reference marker arrangements for use with image guided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에 사용되는 기구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조직의 수술적 절제를 위한 병변의 위치 확인과 경과의 관찰에 도움을 주는 보조기구로 의료용 영상장비와 함께 사용되는 의료기기로 시인성을 갖는 마커에 대한 것으로 연조직에 암으로 예견되는 병변이 의료용 영상장비를 통하여 확인될 경우 관심부위 중심에 마킹을 위하여 엑스선이 투과되지 않는 금속선을 내재, 합사, 도색, 도금, 증착 등의 수단을 통하여 생체적합성을 갖는 봉합사의 특정 부위에 위치하게 한 것을 금속관 내부에 동공을 갖는 주사침 또는 투관침, 캐뉼라에 넣어 관심 부위의 중심에 위치하게 고착한 후 주사바늘을 빼낼 수 있도록 하여 마킹 후 연조직 내에 긴 금속선이 내재됨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한 시인성 마커.

Description

시인성 마커{Biopsy Marker}
본 발명은 수술에 사용되는 기구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조직의 수술적 절제를 위한 병변의 위치 확인과 경과의 관찰에 도움을 주는 보조기구로 의료용 영상장비와 함께 사용되는 의료기기로 시인성을 갖는 마커에 대한 것이다.
의료기술의 발달에 따라 암 치료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완치가 가능한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유방암과 같은 경우 병변 조직의 과도한 절제에 따른 심리적, 미용적 불만족이 초래되므로 정확한 위치 설정과 적절한 경계 확인을 통하여 과도한 조직의 절제를 회피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예를들어 유방암에 있어서 대개의 경우 유방조영술로 병변이 확인되지만 조직 생검이 필요한 경우 생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생검 샘플을 채취하게 된다. 생검 샘플을 채취하는 기구와 생검 위치를 정확히 마킹이 가능하도록 마커를 주입하는 특허로 데비코어사의 미국 공개 번호 2009/0209854(발명의 명칭: "Biopsy Method", 공개일: 2009년 8월 20일); 미국 공개 번호 2009/0270725(발명의 명칭: "Devices Useful in Imaging", 공개일: 2009년 10월 29일); 미국 공개 번호 2010/0049084(발명의 명칭: "Biopsy Marker Delivery Device", 공개일: 2010년 2월 25일); 미국 공개 번호 2011/0071423(발명의 명칭: "Flexible Biopsy Marker Delivery Device", 공개일: 2011년 3월 24일)등 이있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들에 언급된 디바이스는 생검 샘플의 채취에 주된 목적이있어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며, 생검에 이어 초기 조직 마커가 이후의 추적 검사 중에 중심부위에 위치를 고정 시킬 수 있도록 하기가 힘들며, 조직 마커는 환자의 유방 조직 내에 유지되며 분석 결과 종양일 경우 조직의 절제와 함께 제거하거나 경과의 관찰을 위하여 체내에 유지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어 왔다.
마커를 주입하는 개선된 방법으로 비이콘의 마커는 직경 1.5mm 길이 5mm의 PEEK 재질의 다공 파이프로 데비코어사의 제품보다 병변 조직 중앙에 타겟팅 하기가 편하며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초음파,엑스레이, 자기영상촬영이 가능하고 허상이 작아 잘 보이이나, 지방조직으로 이주시에는 잘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70089(발명의 명칭;"수술 위치설정을 위한자기 마커", 공개일:2015년 6월24일)는 생검 결과 조직이 제거되어야 할 경우 자성을 갖는 나노입자를 생체흡수성 매트릭스에 넣은 마커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일정 기간 경과 후 겔상의 생체흡수성 매트릭스가 체내에서 흡수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나노 물질의 안전성에 대한 여부가 판단되지 않는 상태이며, 인체 삽입용으로 사용되는 나노 물질이 식약처(FDA)의 허가를 받은 것은 없으며, 여전히 독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 되고있는 실정이다.
또 일종의 문신과 같은 방법(Tattooing)으로 살린용액(saline solution)에 멸균된 차콜(charcoal) 분말을 희석하여 병변 부위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특별한 도구 없이 간단히 시술할 수 있으나 차콜(charcoal)로 인하여 섬유종(fibrosis)과 감염증(inflammation)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숙련된 시술자가 필요하며, 병변 조직을 절제한 후에도 차콜이 피부 표면으로 확산되어 색소침착이 이루어지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한 수술이 필요하다.
이 밖에도 금속 와이어(wire)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주사바늘이나 유연성있는 금속와이어를 병변부위 가장자리를 따라서 주입하게 되며 병변부위 제거시 와이어(wire)를 거꾸로 뺄 수도 있는 장점이 있으나, 초음파 유도시 정확한 위치 삽입에 제한을 받으며 석회화된 경우 영상의 정확한 인식이 불가능하고, 무엇보다도 병변 조직을 절제하기 위한 수술이 수행되는 기간까지 강직성이 있으며 25mm 이상 길이가 긴 금속 주사바늘 또는 와이어(wire)를 유연성이 있는 유방조직에 내재시킴으로 인한 환자의 일상생활에 대한 불편이 매우 크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일환으로 보다 저렴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병변으로 예견되는 관심 부위의 중심에 의료용 영상 장비를 통한 확인이 명료한 마커를 주입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생체 적합성을 갖는 봉합사의 일부 구간에 의료용 영상장비로 인식이 되는 금속이 구비되어 있어, 영상장비를 사용하여 관심부위가 시각화되면 봉합사가 내재 되어 있는 주사침을 이용하여 관심부위 중심에 표적화하고 봉합사에 구비된 돌기로 인하여 봉합사가 관심부위에 안착되면 기존의 주사바늘, 와이어를 사용하던 불편이 없으며 시인성을 유지하도록 바늘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생체 적합성 봉합사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비흡수성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디옥사논,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카플로락톤 및 이들이 둘 이상 공중합되거나 혼합된 흡수성 봉합사도 가능하며, 조영제의 투입 없이 엑스레이 같은 의료 영상장비로 인식이 가능하도록 봉합사의 선단에금속이 증착, 도금되거나 봉합사의 내부에 중공의 홈을 두어 금속 선이 내재되어 영상장비를 통하여 병변으로 예견되는 관심부위 중심에 금속부위가 자리잡을 수 있어 바늘을 움직여 위치를 조정한 다음 봉합사가 관심부위에 안착되면 바늘을 제거한다. 이때 바늘을 제거하여도 봉합사는 표면에 구비된 돌기로 인하여 체내에서 이탈되거나 움직이지 않고 관심부위 중심에 위치하게되어 강직성 있는 바늘이나 와이어를 유연성 있는 연부 조직에 삽입되는 불편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기구는 유방과 같은 연조직에 암으로 예견되는 병변이 의료용 영상장비를 통하여 확인될 경우 관심부위 중심에 봉합사가 내재된 바늘을 꼽아 넣고 바늘을 제거하는 손 쉬운 조작으로 마킹이 가능하며, 강직성 있는 바늘이 연부 조직에 남아 있지 않으므로 환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봉합사 선단에 위치한 금속은 각종 의료용 영상 장비로 인식이 가능하여 관심 부위의 추적 관찰이 가능하다.
도 1은 기존 마커 주입기구의 대표적인 투시도
도 2는 자기입자로 충전된 비드를 사용하는 자기 마커를 사용하는 예시도
도 3은 PEEK 재질 마커와 의료영상 사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시인성 마커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인성 마커에 내재된 봉합사의 구조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시인성 마커에 내재된 봉합사의 다른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에 돌기를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
연조직에 암으로 예견되는 병변이 의료용 영상장비를 통하여 확인될 경우 관심부위 중심에 마킹을 위하여 엑스선이 투과되지 않는 금속선을 내재, 합사, 도색, 도금, 증착 등의 수단을 통하여 생체적합성을 갖는 봉합사의 특정 부위에 위치하게 한 것을 금속관 내부에 동공을 갖는 주사침 또는 투관침, 캐뉼라에 넣어 관심부위의 중심에 위치하게 하고 주사바늘을 빼낸다. 주사침의 침관의 길이는 50mm 이상으로 외벽에는 도3의 PEEK마커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눈금이 있어 연조직 내에 삽입된 침관의 깊이를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눈금은 초음파 등의 의료영상장비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침관의 표면 조도(거칠기)를 달리하여 눈금부위에서 음파의 산란으로 인한 식별이 가능하도록하여 초음파에서 선상으로 침관이 석회화나 선상 섬유종들과는 구분이 될 수 있도록하고, 침관 외부에는 봉합사를 임시 고착하기 위한 신축성 있는 튜브가 결합되어 있으며 튜브의 재질은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실리콘, 폴리카프로락톤 및 이 유도체가 가능하며, 봉합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분해성인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뿐만 아니라 생체흡수성인 폴리다이옥산,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글락틴, 폴리카프로락톤 등이 가능하며, 그 형태는 내부 공동을 갖는 중공사, 모노필라멘트, 멀티필라멘트도 가능하지만, 도 5와 같이 엑스선에 불투과성인 금속선을 용이하게 내부에 넣을 수 있는 중공사의 경우가 바람직하다. 모노필라멘트, 멀티필라멘트의 경우 금속선을 합사하는 방법이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 도 6과 같이 봉합사의 표면에 금속을 증착시키거나 도색, 도금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되는 금속의 경우 하기의 금속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인체 삽입용으로 사용되어온 금, 티타늄, 스테인레스, 마그네슘 및 이들 합금이 가능하고 특히 금을 이용한 금사의 경우 밀도가 높고 연신성, 인장강도,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권장할 만 하다.
또 유연성 있는 연조직에 봉합사가 잘 고착될 수 있도록 봉합사의 일정 부분에 돌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돌기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봉합사의 표면을 열과 압력을 강하여 압착, 표면에 돌출되도록 재료를 부착, 봉합사의 일 면을 절삭하는 방법중의 하나 또는 이들의 혼용하는 방법이 가능하며, 보조적 수단으로 봉합사를 천공하는 방법도 연조직에 봉합사를 고착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10 : 보호 캡 20 : 침관
30 : 손잡이 40 : 봉합사
50 : 봉합사 임시고정튜브 60 : 금속 선
70 : 돌기 100 : 카테타
200 : 투관침

Claims (7)

  1. 의료용 시인성 마커에 있어서,
    생체 적합성을 갖는 봉합사의 일부 구간에 의료용 영상장비로 인식이 되는 금속이 구비되어 있고, 영상장비를 사용하여 관심부위가 시각화되면 봉합사가 내재 되어 있는 주사침을 이용하여 관심부위 중심에 표적화하고 봉합사에 구비된 돌기로 인하여 봉합사를가 관심부위에 고착한 후 바늘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인성 마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침은 내부에 동공을 갖는 파이프로 구성된 주사바늘, 투관침, 캐뉼라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50mm 이상의 길이로 구성되어 침관의 외벽에는 일정 간격의 눈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눈금 부분은 조도(거칠기)를 침관의 다른 부분과 달리하여 연조직 내로 삽입된 부분이 의료 영상장비에 의해서 눈금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인성 마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를 침관 외부에 임시 고착하기 위하여 신축성 있는 튜브를 포함하고 있으며, 유연성이 있는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실리콘, 폴리카프로락톤 및 이 유도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인성 마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는 비분해성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생체흡수성인 폴리다이옥산,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글락틴, 폴리카프로락톤 중 하나로 형성되며, 내부 공동을 갖는 중공사, 모노필라멘트, 멀티필라멘트 중 하나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인성 마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되는 금속은 인체 삽입용 금, 티타늄, 스테인레스, 마그네슘 및 이들 합금 중의 하나이며, 금속선의 형태로 중공의 실에 넣거나 모노필라멘트, 멀티필라멘트와 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인성 마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되는 금속은 봉합사에 도색, 도금, 증착 방법을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인성 마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의 돌기는 봉합사의 표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압착하여 표면에 돌출되도록 하거나 봉합사의 일 면을 절삭하여 형성하는, 또는 이들을 혼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인성 마커.




KR1020160174206A 2016-12-20 2016-12-20 시인성 마커 KR20180071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206A KR20180071501A (ko) 2016-12-20 2016-12-20 시인성 마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206A KR20180071501A (ko) 2016-12-20 2016-12-20 시인성 마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868A Division KR20180109778A (ko) 2018-09-17 2018-09-17 시인성 마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501A true KR20180071501A (ko) 2018-06-28

Family

ID=6278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206A KR20180071501A (ko) 2016-12-20 2016-12-20 시인성 마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15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264A (ko) *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플로스코리아 시인성 마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264A (ko) *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플로스코리아 시인성 마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77790B2 (en) Plunger-driven collet handle and system for fiducial deployment
AU2012275765B2 (en) System for fiducial deployment
US8784433B2 (en) Plugged tip delivery tube for marker placement
ES2200188T3 (es) Aparato para marcar tejidos.
US10258373B2 (en) Fiducial deployment needle system
US20050119562A1 (en) Fibrous marker formed of synthetic polymer strands
US8855747B2 (en) Engaged fiducials and system for deployment
WO2001008578A1 (en) Device and method for safe location and marking of a cavity and sentinel lymph nodes
KR20180071501A (ko) 시인성 마커
KR20180109778A (ko) 시인성 마커
KR101552845B1 (ko) 피듀셜 배치 시스템 및 벌어지는 스타일릿
KR102453419B1 (ko) 시인성 마커
CA2584645A1 (en) Fibrous marker formed of synthetic polymer strands
KR101470947B1 (ko) 외과 수술용 표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