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009A -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 - Google Patents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009A
KR20180071009A KR1020160173689A KR20160173689A KR20180071009A KR 20180071009 A KR20180071009 A KR 20180071009A KR 1020160173689 A KR1020160173689 A KR 1020160173689A KR 20160173689 A KR20160173689 A KR 20160173689A KR 20180071009 A KR20180071009 A KR 20180071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insulating core
weight
coating solut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주)제일에치티에스
이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에치티에스, 이동우 filed Critical (주)제일에치티에스
Priority to KR102016017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1009A/ko
Publication of KR2018007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fects, e.g. breaks or lea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natural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D193/04Ros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5Sensing specific biomolecules, e.g. nucleic acid strands, based on an electrode surface reaction
    • G01N27/3278Sensing specific biomolecules, e.g. nucleic acid strands, based on an electrode surface reaction involving nanosized elements, e.g. nanogaps or nano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G01N27/4075Composition or fabrication of the electrodes and coatings thereon, e.g. cataly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41Disposition of insulation comprising one or more helical wrapped layers of ins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종 수분의 인식을 배제하고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를 감지할 수 있고 다양한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에 특화된 감지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누출된 탄화수소계 연료를 감지하는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에 있어서, 가늘고 길게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고랑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절연 코어; 복수의 고랑 중 제1 고랑을 메우고 절연 코어를 감싸도록 배치된 제1 피복 전선; 복수의 고랑 중 제2 고랑을 메우고 절연 코어를 감싸도록 배치된 제2 피복 전선; 복수의 고랑 중 제3 고랑을 메우고 절연 코어를 감싸도록 배치된 제1 센싱 와이어; 복수의 고랑 중 제4 고랑을 메우고 절연 코어를 감싸도록 배치된 제2 센싱 와이어; 제1 센싱 와이어의 상부를 따라 제1 센싱 와이어 및 절연 코어의 일부에 코팅되고,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에 반응하는 하이브리드 코팅액으로 형성된 제1 코팅층; 및 절연 코어의 외주면에서 제1 코팅층과 이격되어 코팅되고, 제2 센싱 와이어의 상부를 따라 제2 센싱 와이어 및 절연 코어의 일부에 코팅되며, 하이브리드 코팅액으로 형성된 제2 코팅층;을 포함하는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DETECTING CABLE FOR LEAKAGE OF FUEL}
본 발명은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를 위한 센서 장치에 사용되는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도성 액체가 누출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케이블(또는 감지 케이블)은 종래부터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에도 특히 공장이나 저장탱크 등의 산업현장이나 특수목적 시설 등에서 누수를 감지하기 위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등록 제 5191292 호에서는 물과 같은 전도성 액체를 감지하기 위해 2 가닥의 절연 전선과 함께, 전도성 합성수지를 각 피복시킨 2 가닥의 전도체를 코어 멤버의 고랑에 메워 제작한 센서 케이블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센서 케이블은 현재에도 제품화되어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누출되는 액체와 다량의 물을 식별 하지 못해 일어나는 착오 및 누출 감지 시스템의 식별 인식 등의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더욱이, 종래 센서 케이블은 전도성 액체인 물에 반응하므로 물을 포함하지 않거나 물 성분이 거의 없는 액체의 누출 상황에서는 누출 감지조차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산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화학 물질 누출 사고가 빈번하지만 각각의 누출되는 화학 물질에 최적화 되어 있는 센서 케이블은 개발된 바 없으며, 있다 하여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전해 물질을 전제한 것이어서 문제가 있었으며 대응하는 화학 물질에만 반응하여 센싱할 수 있는 누출 화학 물질의 감지 케이블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으로 인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를 빠른 시간 내에 감지할 수 있는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를 빠른 시간 내에 감지하기 위한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늘고 길게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고랑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절연 코어; 복수의 고랑 중 제1 고랑을 메우고 절연 코어를 감싸도록 배치된 제1 피복 전선; 복수의 고랑 중 제2 고랑을 메우고 절연 코어를 감싸도록 배치된 제2 피복 전선; 복수의 고랑 중 제3 고랑을 메우고 절연 코어를 감싸도록 배치된 제1 센싱 와이어; 복수의 고랑 중 제4 고랑을 메우고 절연 코어를 감싸도록 배치된 제2 센싱 와이어; 제1 센싱 와이어의 상부를 따라 제1 센싱 와이어 및 절연 코어의 일부에 코팅되고,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에 반응하는 하이브리드 코팅액으로 형성된 제1 코팅층; 및 절연 코어의 외주면에서 제1 코팅층과 이격되어 코팅되고, 제2 센싱 와이어의 상부를 따라 제2 센싱 와이어 및 절연 코어의 일부에 코팅되며, 하이브리드 코팅액으로 형성된 제2 코팅층;을 포함하는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연 코어는 HDPE, PET, FEVE, 및 PV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압출 성형한 것일 수 있다.
제1 센싱 와이어 및 제2 센싱 와이어는 금속 와이어일 수 있다.
하이브리드 코팅액은 누출 휘발유 감지 코팅액일 수 있으며, 누출 휘발유 감지 코팅액은, 알키드 수지(Alkyd Resin) 25~35 중량부, 로진에스터(Rosin Ester) 20~30 중량부, 제1 유기용매 50~80 중량부 및 제1 도전체 0.1 ~ 1 중량부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알키드 수지는 산가 5 ~ 20, 점도 5~15 ps 일 수 있으며 로진에스터는 산가 110 ~ 130일 수 있다.
또한 제1 유기용매는 톨루엔(toluene),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등의 혼합물일 수 있고 제1 도전체는 흑연을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코팅액은 누출 경유 감지 코팅액일 수 있으며, 누출 경유 감지 코팅액은, 알키드 수지(Alkyd Resin) 25~55 중량부, 로진에스터(Rosin Ester) 5~30 중량부, 제2 유기용매 70~100 중량부 및 제2 도전체 0.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알키드 수지는 산가 5 ~ 20, 점도 3~8 ps 일 수 있고 로진에스터는 산가 80 ~ 105일 수 있다.
또한 제2 유기용매는 톨루엔(toluene),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등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제2 도전체는 카본나노튜브(CNT)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코팅액은 누출 항공유 감지 코팅액일 수 있고, 누출 항공유 감지 코팅액은, 알키드 수지(Alkyd Resin) 25~55 중량부, 로진에스터(Rosin Ester) 5~30 중량부, 제3 유기용매 80~100 중량부 및 제3 도전체 0.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알키드 수지는 산가 5 ~ 20, 점도 1~5 ps 일 수 있고 로진에스터는 산가 5 ~ 50일 수 있다.
아울러 제3 유기용매는 톨루엔(toluene),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등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제3 도전체는 그래핀(Graphen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카테고리로서, 복수의 고랑이 형성된 절연 코어를 압출 성형하는 단계(S10); 제1 피복 전선, 제2 피복 전선, 제1 센싱 와이어 및 제2 센싱 와이어에 각 대응하는 4 선을 복수의 고랑에 일치하도록 연합하는 단계(S20); 4 선이 연합된 절연 코어를 비틀어 나선형의 꼬임 형성체를 형성하는 단계(S30); 및 꼬임 형성체의 제1 센싱 와이어 및 제2 센싱 와이어의 상부를 따라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에 반응하는 하이브리드 코팅액을 코팅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합단계(S20)는 제1 피복 전선과 제2 피복 전선 상부로 각각 더미 와이어(도시되지 않음)를 포개어 연합하는 단계(S22)일 수 있다. 이 경우 꼬임 형성체 형성단계(S30)는 더미 와이어 2 개를 포함한 6 선이 연합된 절연 코어를 비틀어 나선형의 꼬임 형성체를 형성하는 단계(S32)일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코팅액 코팅단계(S40)는 나선형의 꼬임 형성체 외주면에 하이브리드 코팅액을 코팅하는 단계(S42)일 수 있으며, 하이브리드 코팅액 코팅단계(S42) 이후에 각각의 더미 와이어를 분리시키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종 수분의 인식을 배제하고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를 빠른 시간 내에 감지하기 위한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의 일 실시예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 방향으로 바라본 횡단면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표기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
도 1은 본 발명인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의 일 실시예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방향으로 바라본 횡단면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1)의 일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코어(10), 제1 피복 전선(110), 제2 피복 전선(120), 제1 센싱 와이어(210), 제2 센싱 와이어(220), 제1 코팅층(310) 및 제2 코팅층(3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인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1)은, 누출된 절연유가 제1 코팅층(310) 및 제2 코팅층(320)에 직접 접촉하여 혼합됨으로써 제1, 2 센싱 와이어(210, 220)를 따라 전류가 흐르고 소정 저항치를 발생시키면 컨트롤 박스(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이를 모니터링하여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를 감지하는 데 이용된다. 결국, 제1, 2 코팅층(310, 320) 및 제1, 2 센싱 와이어(210, 220)에 기한 단락(short-circuit) 정보를 통해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를 감지하고, 제1, 2 피복 전선(110, 120)에 기한 전기적 신호를 통해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가 감지된 위치를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다.
절연 코어(10)는 가늘고 길게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고랑(furrow)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형태이다. 이러한 절연 코어(10)는 감지 케이블(1)의 외형을 형성하고 제1, 2 피복 전선(110, 120) 및 제1, 2 센싱 와이어(210, 220)를 각각에 대응하는 고랑에 매립하기 위한 기본 구조물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인 절연 코어(10)는 4 개의 고랑이 형성될 수 있도록 HDPE( 또는 PET, FEVE, PVDF, PVA 등)와 같은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형성하였다. 이러한 절연 코어(10)는 중심에 금속선의 지지부(12)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감지 케이블(1)이 쉽게 구부러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매립되는 4 선과의 관계를 고려하면 절연 코어(10)의 외경은 5~15 mm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4 개의 고랑은 이에 매립되는 4선을 고려하여 고랑의 크기를 결정하여야 하며 이 경우 4 선 와이어가 연합기에 의해 연합될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제1 피복 전선(110)은 제1 고랑을 메우고 절연 코어(10)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2 피복 전선(120)은 제2 고랑을 메우고 절연 코어(10)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제1, 2 피복 전선(110, 120)은 각각의 금속선과 그 외주면에 피복된 절연성의 합성수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2 피복 전선(110, 120)은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의 누출 감지 시 누출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제1 센싱 와이어(210)는 복수의 고랑 중 제3 고랑을 메우고 절연 코어(10)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제2 센싱 와이어(220)는 복수의 고랑 중 제4 고랑을 메우고 절연 코어(10)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제1, 2 센싱 와이어(210, 220)는 피복없는 금속선으로 구비되어 탄화수소계 연료가 누출되어 접촉 시에 직접 도전체로서 역할을 한다.
제1 코팅층(310)은 제1 센싱 와이어(210)의 상부를 따라 제1 센싱 와이어(210) 및 절연 코어(10)의 일부에 코팅되고,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에 반응하는 하이브리드 코팅액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코팅층(320)은 절연 코어(10)의 외주면에서 제1 코팅층(310)과 이격되어 코팅되고, 제2 센싱 와이어(220)의 상부를 따라 제2 센싱 와이어(220) 및 절연 코어(10)의 일부에 코팅되며, 제1 코팅층(310)과 동일하게 하이브리드 코팅액으로 형성된다. 편의상 도 1에서는 제1, 2 코팅층(310)을 표현하지 않았으나 제1, 2 피복 전선(110, 120)을 따라 제1 코팅층(310)과 제2 코팅층(320)각 이격되어 코팅층(310, 320)이 존재하지 않는 미코팅층(non coating layer)이 절연 코어(10)를 감싸며 연속하여 나타난다.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가 직접 제1, 2 코팅층(310, 320)에 접촉되면 제1, 2 코팅층(310, 320)을 구성하는 하이브리드 코팅액과 혼합되고 제1, 2 센싱 와이어(210, 220)와의 사이에서 단락 회로를 형성하면서 소정 저항치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하이브리드 코팅액(Hybrid Coating Solution)은 탄화수소계 연료의 종류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휘발유(Gasoline) 감지 코팅액
하이브리드 코팅액이 누출 휘발유 감지 코팅액인 경우, 누출 휘발유 감지 코팅액은, 알키드 수지(Alkyd Resin) 25~35 중량부, 로진에스터(Rosin Ester) 20~30 중량부, 제1 유기용매 50~80 중량부 및 제1 도전체 0.1 ~ 1 중량부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알키드 수지는 산가 5 ~ 20, 점도 5~15 ps 일 수 있으며 로진에스터는 산가 110 ~ 130일 수 있다.
또한 제1 유기용매는 톨루엔(toluene),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등의 혼합물일 수 있고 제1 도전체는 흑연을 포함할 수 있다.
경유(Diesel) 감지 코팅액
하이브리드 코팅액이 누출 경유 감지 코팅액인 경우, 누출 경유 감지 코팅액은, 알키드 수지(Alkyd Resin) 25~55 중량부, 로진에스터(Rosin Ester) 5~30 중량부, 제2 유기용매 70~100 중량부 및 제2 도전체 0.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알키드 수지는 산가 5 ~ 20, 점도 3~8 ps 일 수 있고 로진에스터는 산가 80 ~ 105일 수 있다.
또한 제2 유기용매는 톨루엔(toluene),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등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제2 도전체는 카본나노튜브(CNT)를 포함할 수 있다.
항공유(Aviation Fuel) 감지 코팅액
하이브리드 코팅액이 누출 항공유 감지 코팅액인 경우, 누출 항공유 감지 코팅액은, 알키드 수지(Alkyd Resin) 25~55 중량부, 로진에스터(Rosin Ester) 5~30 중량부, 제3 유기용매 80~100 중량부 및 제3 도전체 0.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알키드 수지는 산가 5 ~ 20, 점도 1~5 ps 일 수 있고 로진에스터는 산가 5 ~ 50일 수 있다.
아울러 제3 유기용매는 톨루엔(toluene),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등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제3 도전체는 그래핀(Graphene)을 포함할 수 있다.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의 제조방법>
도 3은 본 발명인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복수의 고랑이 형성된 절연 코어(10)를 압출 성형한다(S10). 이 경우 약 0.5 ~ 3 mm 직경의 금속선 지지부(12)에 기반하여 절연 코어(10)를 압출 성형할 수 있다.
다음, 제1 피복 전선(110), 제2 피복 전선(120), 제1 센싱 와이어(210) 및 제2 센싱 와이어(220)에 각 대응하는 4 선을 복수의 고랑에 각각 일치하도록 연합한다(S20).
다음, 4 선이 연합된 절연 코어(10)를 비틀어 나선형의 꼬임 형성체를 형성한다(S30). 특히 연합단계(S20) 및 꼬임 형성체 형성단계(S30)에서는 적정한 냉각온도를 유지하면서 연합기로 연합하고 비틀림-꼬임장치(Twisting Machine)를 이용하여 나선형의 꼬임 형성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꼬임 형성체 형성단계(S30) 이후에는 수축변형 및 꼬임선 풀림 방지를 위해 열풍 조건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꼬임 형성체의 제1 센싱 와이어(210) 및 제2 센싱 와이어(220)의 상부를 따라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에 반응하는 하이브리드 코팅액을 코팅(S40)함으로써,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의 제조방법은 변형예를 가질 수 있는데, 연합단계(S20)의 경우 제1 피복 전선(110)과 제2 피복 전선(120) 상부로 각각 더미 와이어(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개어 연합하는 단계(S22)일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꼬임 형성체 형성단계(S30)는 더미 와이어 2 개를 포함한 6 선이 연합된 절연 코어(10)를 비틀어 나선형의 꼬임 형성체를 형성하는 단계(S32)일 수 있다. 아울러, 하이브리드 코팅액 코팅단계(S40)는 나선형의 꼬임 형성체 외주면에 하이브리드 코팅액을 코팅하는 단계(S42)일 수 있으며, 하이브리드 코팅액 코팅단계(S42) 이후에 각각의 더미 와이어를 분리시키는 단계(S50)를 더 포함하는 공정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 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감지 케이블
10: 절연 코어
12: 지지부
110: 제1 피복 전선
120: 제2 피복 전선
210: 제1 센싱 와이어
220: 제2 센싱 와이어
310: 제1 코팅층
320: 제2 코팅층

Claims (4)

  1. 누출된 탄화수소계 연료를 감지하는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에 있어서,
    가늘고 길게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고랑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절연 코어;
    상기 복수의 고랑 중 제1 고랑을 메우고 상기 절연 코어를 감싸도록 배치된 제1 피복 전선;
    상기 복수의 고랑 중 제2 고랑을 메우고 상기 절연 코어를 감싸도록 배치된 제2 피복 전선;
    상기 복수의 고랑 중 제3 고랑을 메우고 상기 절연 코어를 감싸도록 배치된 제1 센싱 와이어;
    상기 복수의 고랑 중 제4 고랑을 메우고 상기 절연 코어를 감싸도록 배치된 제2 센싱 와이어;
    상기 제1 센싱 와이어의 상부를 따라 상기 제1 센싱 와이어 및 상기 절연 코어의 일부에 코팅되고,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에 반응하는 하이브리드 코팅액으로 형성된 제1 코팅층; 및
    상기 절연 코어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1 코팅층과 이격되어 코팅되고, 상기 제2 센싱 와이어의 상부를 따라 상기 제2 센싱 와이어 및 상기 절연 코어의 일부에 코팅되며, 상기 하이브리드 코팅액으로 형성된 제2 코팅층;을 포함하는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코팅액은 누출 휘발유 감지 코팅액이고,
    상기 누출 휘발유 감지 코팅액은, 알키드 수지(Alkyd Resin) 25~35 중량부, 로진에스터(Rosin Ester) 20~30 중량부, 제1 유기용매 50~80 중량부 및 제1 도전체 0.1 ~ 1 중량부를 혼합한 것인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코팅액은 누출 경유 감지 코팅액이고,
    상기 누출 경유 감지 코팅액은, 알키드 수지(Alkyd Resin) 25~55 중량부, 로진에스터(Rosin Ester) 5~30 중량부, 제2 유기용매 70~100 중량부 및 제2 도전체 0.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코팅액은 누출 항공유 감지 코팅액이고,
    상기 누출 항공유 감지 코팅액은, 알키드 수지(Alkyd Resin) 25~55 중량부, 로진에스터(Rosin Ester) 5~30 중량부, 제3 유기용매 80~100 중량부 및 제3 도전체 0.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
KR1020160173689A 2016-12-19 2016-12-19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 KR20180071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689A KR20180071009A (ko) 2016-12-19 2016-12-19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689A KR20180071009A (ko) 2016-12-19 2016-12-19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009A true KR20180071009A (ko) 2018-06-27

Family

ID=6278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689A KR20180071009A (ko) 2016-12-19 2016-12-19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100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4082A (ja) * 2002-04-29 2005-08-11 タイコ・サーマル・コントロールズ・エルエルシー センサーケーブル
KR20070079119A (ko) * 2006-02-01 2007-08-06 주식회사 케이씨씨 건축물 내부용 알키드계 유성 도료 조성물
KR101467200B1 (ko) * 2014-02-11 2014-12-01 (주)유민에쓰티 누유 감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누유 감지센서
KR20150136297A (ko) * 2014-05-27 2015-12-07 김광열 액체 누출 감지 케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4082A (ja) * 2002-04-29 2005-08-11 タイコ・サーマル・コントロールズ・エルエルシー センサーケーブル
KR20070079119A (ko) * 2006-02-01 2007-08-06 주식회사 케이씨씨 건축물 내부용 알키드계 유성 도료 조성물
KR101467200B1 (ko) * 2014-02-11 2014-12-01 (주)유민에쓰티 누유 감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누유 감지센서
KR20150136297A (ko) * 2014-05-27 2015-12-07 김광열 액체 누출 감지 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7256Y2 (ko)
CA2482518C (en) Corrosive liquid detection sensor cable and method
US7555936B2 (en) Hydraulic hose with integral life-sensing capability and method therefor
US5355720A (en) Corrosion resistant cable
US20120098555A1 (en) Liquid detection cable
US9576704B2 (en) Wire harness waterproof structure
US5378995A (en)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liquid detection sensor in the shape of a wire and detector using this sensor
RU186701U1 (ru) Кабельная линия
CN106404310A (zh) 漏油检测线缆和漏油检测装置
KR101712961B1 (ko) 누출 절연유 감지 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US10439383B2 (en) Seal systems for oil-filled cable terminations and assemblies and methods including the same
US20140115883A1 (en) Aqueous chemical leak detection cable
US8178782B2 (en) High voltage electrical cable assembly
KR20180071009A (ko) 누출 탄화수소계 연료 감지 케이블
KR20180073021A (ko) 누출 솔벤트 감지 케이블
WO2009052412A1 (en) Sensing cable
KR20180071005A (ko) 누출 알코올 감지 케이블
JPS61116653A (ja) 酸または塩基媒体漏出指示装置
KR20180070968A (ko) 누출 산 감지 케이블
KR20180070977A (ko) 누출 염기 감지 케이블
CN203607143U (zh) 具有屏蔽和耐化学药品功能计算机电缆
TWM611847U (zh) 定位測漏油感應線結構
CN202938977U (zh) 一种导电液体泄漏侦测电缆
JP4116409B2 (ja) 静電容量式センサ
KR20170101407A (ko) 누수 감지 기능을 가지는 호스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