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292A - 자동 췌공장 문합 스텐트 - Google Patents

자동 췌공장 문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292A
KR20180070292A KR1020160172831A KR20160172831A KR20180070292A KR 20180070292 A KR20180070292 A KR 20180070292A KR 1020160172831 A KR1020160172831 A KR 1020160172831A KR 20160172831 A KR20160172831 A KR 20160172831A KR 20180070292 A KR20180070292 A KR 20180070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support tube
present
flexible portion
pancre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6929B1 (ko
Inventor
이승덕
Original Assignee
국립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암센터 filed Critical 국립암센터
Priority to KR1020160172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929B1/ko
Priority to PCT/KR2017/014721 priority patent/WO2018110999A1/ko
Publication of KR2018007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1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of the digestive tract, e.g. bowels or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64Blood vessels with special features to facilitate anastomotic 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5End-to-side connections, e.g. T- or Y-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5Stomach, intest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췌관 개구부에 봉합사를 이용한 문합을 하지 않고, 스텐트와 스텐트에 연결되어 췌장 외측으로 인출된 봉합사만을 이용함으로써 수술 과정을 단순화하고 난이도를 낮춘 것이 특징이다. 봉합사가 당겨지면 공장에 삽입된 스텐트의 유연부가 외측으로 접히면서 방사상으로 펼쳐져 단턱부를 형성하고, 단턱부가 공장 내측을 지지함으로써 췌장과 공장을 밀착시켜 손쉽게 문합할 수 있다. 또한, 지지관이 스텐트 내측에서 유연부의 슬릿 영역을 밀폐함으로써 수술 후 췌즙이 문합 부위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단단한 지지관이 문합 부위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외과에서 가장 어려운 수술에 해당하는 췌십이지장 절제술을 안전하고 쉽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췌장암, 담도암 환자의 수술 후 합병증을 줄이고, 보다 빠르게 항암치료를 할 수 있게 하여 환자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췌공장 문합 스텐트{Automatic Pancreaticojejunostomy Stent}
본 발명은 췌십이지장 수술, 특히 췌공장 문합술에 사용하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췌십이지장 수술(pancreaticoduodenectomy)은 췌장암, 십이지장암, 담도암에 사용되는 수술 방법으로 외과에서 가장 힘든 수술 중 하나이다. 췌십이지장 수술 방법 중, 췌공장 문합술(pancreaticojejunostomy)은 직경이 2~10 mm정도인 굉장히 가는 췌관(pancreatic duct)의 일단을 공장(jejunum)의 일측에 형성한 작은 구멍과 봉합사를 이용하여 촘촘히 문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외과의사에게 굉장한 수술적 스트레스가 되고 있다.
췌공장 문합술은 문합 부위에서 췌즙(pancreatic juice)이 새거나 누공(pancreatic fistula)이 생기면 수술 후 합병증이 생기거나 환자가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문합 부위의 췌즙 누설은 췌십이지장 수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의 가장 주된 원인이다. 췌공장 문합술은 췌관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봉합사로 문합하는 과정이 까다롭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 특히, 문합시 췌관 입구가 바늘에 의해 손상되면 손상 부위에서 수술 후 췌즙이 누출되는 치명적인 결과가 발생할 수도 있다.
췌십이지장 수술 후의 췌즙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방법 중 스텐트를 사용하는 수술 방법이 있다. 예컨대, Fr 3-8 폴리비닐 카테터(polyvinyl catheter)의 일부를 췌관에 삽입하고, 다른 일부가 공장 내부까지 연장되어 췌즙이 카테터를 통해 공장으로 흐르도록 하는 내부 스텐트 삽입술이 있다. 이와 달리 공장 내부로 연장된 카테터의 다른 일부를 공장 실질을 관통하여 신체 외부로 연장하고, 문합 부위가 아물 때까지 췌즙을 외부로 빼는 외부 스텐트 수술 방법도 제시되고 있다.
내부 스텐트의 경우 길이가 짧고 단지 문합으로 연결된 부위에 걸쳐 있는 플라스틱 스텐트의 역할에 불과하다. 특히 내부 스텐트의 경우 수술 후 며칠 사이에 문합 부위에서 빠져나갈 확률이 있다. 내부 스텐트가 유실되면 아직 아물지 않은 췌공장 문합 부위에서 췌즙 누출이 발생할 수 있고, 주변의 혈관을 녹이게 되어 출혈에 따른 합병증과 이에 따른 사망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한편, 외부 스텐트의 경우 스텐트 제거를 위한 추가 수술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최근 복강경 췌십이지장 절제술이 늘고 있는 가운데, 수술 후 췌즙 누출을 방지하여 수술 성공률을 높이고, 쉽고 빠르게 췌장과 공장을 문합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췌공장 문합술에 있어서, 까다롭고 합병증 확률이 높은 봉합사 문합 방식을 대체하기 위한 췌공장 문합용 내부 스텐트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 스텐트와 스텐트에 연결된 봉합사만을 이용하여 췌장과 공장을 안전하고 쉽게 문합하고, 나아가 복강경 수술의 가능성을 높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공장 문합 스텐트는 내측이 비어있는 세장원통형으로서, 유연성을 갖는 유연부를 포함하는 몸통부; 및 몸통부의 일측에 실이 연결되도록 몸통부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제1구멍을 포함하고, 유연부는 실의 당겨짐에 의해 유연부의 직경이 증가하여 몸통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은 일단이 제1구멍에 연결되고, 몸통부의 내측을 통해 유연부를 지나 타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유연부는 몸통부의 타측보다 일측에 더 가깝게 형성되며, 유연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slit)을 포함하되, 슬릿은 유연부의 원주면 전체에 복수로 배치된다.
또한, 유연부는 이웃하는 슬릿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절곡부를 포함하되, 절곡부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너비 방향의 절곡선을 포함하고, 절곡선을 기준으로 절곡 된다.
또한, 절곡부는 절곡부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리브(rib)를 포함한다.
또한, 리브는 절곡부의 외면에 형성되되 절곡부의 너비 방향의 절곡선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스텐트는 유연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지지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지지관의 길이는 유연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관은 몸통부보다 단단한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관의 일측은 몸통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고정되고, 지지관의 타측은 몸통부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된다.
또한, 지지관은 지지관의 타측에 실이 연결되도록 지지관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제2구멍을 포함한다.
또한, 몸통부의 타측과 유연부 사이의 외주면에는 몸통부의 내주면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췌관 개구부에 봉합사를 이용한 문합을 하지 않으면서 스텐트만을 이용한 시술로 췌관과 공장을 연결함으로써 수술 난이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술 후 췌즙이 스텐트의 내부 통로를 통해서 공장으로만 흐르도록 함으로써, 수술 후 합병증 확률을 낮추고, 수술 회복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텐트와 봉합사만을 사용함으로써 췌십이지장 절제술의 복강경 수술 적용가능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공장 문합 스텐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공장 문합 스텐트의 유연부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유연부의 절곡부에 리브 구조가 추가로 형성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절곡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절곡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공장 문합 스텐트의 절곡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공장 문합 스텐트의 절곡부가 접혀 형성된 단턱부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턱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공장 문합 스텐트가 시술되어 췌장과 공장이 문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공장 문합 스텐트가 시술된 문합 부위의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공장 문합 스텐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공장 문합 스텐트의 유연부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공장 문합 스텐트는 몸통부(10), 실(20) 및 지지관(30)을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10)는 환형 단면을 가지는 중공형상이 길게 연장된 구조이다. 예컨대 고분자 소재의 카텐터와 유사한 형상이다. 몸통부(10)의 길이는 몸통부(10)가 삽입될 췌관(2)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췌관(2)의 직경은 환자마다 2~10 mm로 다양하다. 몸통부(10)의 외경은 췌관(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크게 제작하여 췌관(2)에 삽입된 몸통부(10)가 빠지지 않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통부(10)는 몸통부(10)의 일단(110)과 타단(120)에 근접하여 몸통부(10)의 내측과 외측 사이를 관통하는, 실(20)을 연결하거나 실(20)이 관통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된다. 췌관(2)에 삽입되는 몸통부(10)의 일부에는 췌관(2)에서 나오는 췌즙이 몸통부(10) 내부로 흘러들 수 있도록 몸통부(10)의 내측과 외측 사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몸통부(10)의 일측에는 유연부(12)가 형성된다. 유연부(12)는 몸통부(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감싸며 배치되는 복수의 슬릿(slit, 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웃하는 슬릿(142) 사이의 유연부의 길이 방향으로 남는 형상은 절곡부(14)로 정의한다. 슬릿(142)의 폭은 몸통부(10)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는 최소한의 폭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공장 문합 스텐트는 몸통부(10)가 췌관(2)에 직접 삽입된다. 췌관(2)은 굴곡이 있을 수 있으므로 몸통부(10)는 굴곡을 따라 휘어질 수 있는 소재와 두께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유연부의 절곡부에 리브 구조가 추가로 형성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절곡부(14)는 절곡부(14)의 중앙에 절곡부(14)의 너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곡선(146)을 포함한다. 복수의 절곡부(14)는 절곡부(14)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리브(14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리브(144)는 절곡부(14)에 절곡선(146)이 형성되는 위치를 제외한 양측으로 2개가 형성된다.
절곡부(14)에 형성된 리브(144)는 탄성을 가진 부드러운 몸통부(10) 소재인 유연부(12)가 공장 내측을 지지하는 단턱부 역할을 할 때 추가적인 강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리브(144)는 제조의 편의상 몸통부(10) 외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몸통부(10) 내측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절곡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관(30)은 유연부(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관(30)은 몸통부(10)의 일측에 삽입되며 지지관(30)의 일측은 몸통부(10)의 일측과 연결되어 고정된다. 지지관(30)의 타측은 몸통부(10)의 내주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되, 지지관(30)의 외경은 몸통부(10)의 내주면과 지지관(30)의 외주면이 충분히 밀착되어 췌즙이 슬릿(142)으로 누설되지 않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지지관(30)의 타측에는 지지관(3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를 관통하는 구멍(310)이 구비되며, 이 구멍(310)에는 실(20)이 연결되고 실(20)은 몸통부(10) 타측으로 연장되어 췌장 실질(pancreatic parenchyma, 3) 외측으로 인출된다. 지지관(30)의 소재는 몸통부(10)의 소재보다 강성이 큰 소재로 제작되며, 생분해성 플라스틱일 수 있다.
지지관(30)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첫째, 스텐트(1)의 시술 과정에서 몸통부(10)의 유연부(12)가 내측으로 함몰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둘째, 실(20)이 당겨질 때 절곡부(14)가 몸통부(10) 내측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한다. 셋째, 부드럽고 탄성이 있는 몸통부(10) 대신 단단한 지지관(30)에 실(20)이 연결됨으로써 실(20)이 당기는 힘이 몸통부(10) 일측(110)의 원주면에 균일하게 전달되고, 환형으로 배치된 절곡부(14)에 골고루 전달됨으로써 절곡부(14)가 일정하게 접힐 수 있다. 넷째, 췌관(2)에서 몸통부(10)로 유입된 췌즙이 슬릿(142)으로 유실되지 않고 공장 내부로만 흘러가도록 몸통부(10) 내측과 슬릿(142) 영역을 밀폐한다. 다섯째, 문합 부위를 단단한 소재로 지지함으로써 문합 부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회복 시간 단축에 기여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절곡부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브(144)의 단면은 도 4와 같이 사다리꼴의 형태로 몸통부(10)의 유연부(12)를 제외한 영역의 단면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리브(144)의 단면은 절곡부(14)가 접힌 상태에서 절곡부(14)의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ㅗ'자와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절곡부(14)의 횡 강성을 증대하기 위해 다양한 단면 구조를 채용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몸통부(10)의 재료는 몸통부(10)가 췌관(2)의 굴곡된 부분에 삽입될 수 있는 수준의 탄성을 가지도록 고분자 소재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일 수 있다. 슬릿(142), 절곡부(14), 절곡선(146), 및 리브(144)를 포함하는 몸통부(10) 구조는 예컨대, 인젝션몰딩(injection molding)으로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몸통부(10)와 지지관(30)의 소재로 이용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는 예컨대, PLA(polylactic acid),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 PGA(polyglucolic acid), 및 PVP(polyvinyl pyrrolidone) 중 어느 하나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PLA는 그 구성성분이 생체내 대사물질인 유산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분해시 완전한 대사가 이루어지며, 고결정성이고, 기계적 강도가 매우 우수하다. 또 석유화학 자원이 아닌 옥수수 등 농작물을 원료로서 생성 가능하고, 생분해기간이 길다.
PLGA는 LA(lacticco acid)와 GA(glycolic acid)의 공중합체로 공중합 몰비(mole ratio)에 따라 분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LA의 조성이 25∼75 %까지는 글라스상 고분자로, 25 % 이하에서는 PGA와 유사하고, 75 % 이상에서는 PLA와 유사한 결정성 고분자의 특성을 가진다. 예컨대, LA와 GA의 비율에 따른 PLGA의 생분해기간은 대략 85:15일 때 5~6개월, 65:35일 때 3~4개월, 50:50일 때 1~2개월이다. 췌관(2)의 굴곡을 고려한 적절한 탄성과 수술 회복시간을 고려한 생분해기간을 모두 고려하면 LA와 GA의 비율이 65:35인 PLGA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의 몸통부(10) 소재로 바람직하다.
PGA는 PLGA보다 약 3배의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관(30)의 소재로 적합하다. PGA의 생분해기간은 6~12개월이다.
실(20)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녹아서 체내에 흡수되는 봉합사일 수 있다. 실(20)은 몸통부(10)의 일측(110) 또는 지지관(30)의 타측에 연결되어 몸통부(10)의 내측을 따라 몸통부(10)의 타측(120)으로 연장되며 췌장 실질(3) 외부로 연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공장 문합 스텐트의 절곡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공장 문합 스텐트의 절곡부가 접혀 형성된 단턱부의 상세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공장 문합 스텐트(1)는 몸통부(10)의 일측(110)에 연결된 실(20)이 몸통부(10)의 타측(120)으로 연장된다. 몸통부(10)의 일측(110)에서 타측(120) 방향으로 실(20)을 당김으로써 몸통부(10)에 구비된 유연부(12)의 절곡부(14)가 몸통부(10) 외측으로 접혀 몸통부(10)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공장(4) 내측을 지지하는 플랜지 형태의 단턱부(14')가 형성된다.
도 8은 도 7의 단턱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공장 문합 스텐트가 시술되어 췌장과 공장이 문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공장 문합 스텐트가 시술된 문합 부위의 상세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췌장(5)과 공장(4)을 문합하도록 실(20)을 당겨 단턱부(14')가 형성된 스텐트(1)에서 지지관(30)은 문합 부위에 배치된다. 췌공장 문합 수술 후 췌즙 누설에 대한 다수의 임상 연구 결과를 참조하면, 특히 췌장 실질(3)이 부드러운 환자가 췌즙의 누설 확률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지지관(30)은 췌관(2)의 입구 일부와 공장(4)에 형성된 구멍 내측에 걸쳐서 배치된다. 지지관(30)이 문합 부위를 고정 및 지지함으로써 이 경우에도 효과적인 문합을 기대할 수 있다.
실(20)은 바늘(40)을 이용하여 췌관(2) 부위를 통과시킨 후에 췌장 실질(3)을 뚫고 췌장(5) 외부로 인출된다. 다음 시술 단계로 유연부(12)를 제외한 몸통부(10)를 췌관(2)에 삽입한다. 공장(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를 삽관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한다. 유연부(12)를 포함한 몸통부(10)는 이 구멍을 통해 공장(4) 내측으로 삽관된다. 췌장(5)과 공장(4)의 문합 부위를 근접시킨 후, 실(20)을 몸통부(10)의 일측(110)으로부터 타측(120) 방향으로 당기면, 유연부(12)의 절곡부(14)가 몸통부(10)의 외측으로 접히면서 절곡부(14)가 접힌 형상이 몸통부(10)의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진 형태로 변형되면서 단턱부(14')를 형성한다. 또한, 췌장(5)을 기준으로 실(20)을 당김으로써 췌장(5)의 절개부와 공장(4)의 외측이 밀착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의 단턱부(14')는 공장(4)의 내측을 췌장(5)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췌장(5)과 공장(4)의 문합 부위를 밀착시킨다. 당겨진 실(20)은 매듭을 형성하여 고정함으로써 문합 부위를 밀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공장 문합 스텐트(1)는 복잡한 기구부를 포함하지 않으며 신뢰성이 높고 시술 과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공장(4) 내측을 문합 부위로 밀착하는 단턱부(14')를 형성함에 있어서 스텐트(1)와 봉합사만을 이용하고, 봉합사를 당기고 고정하는 간단한 과정으로 문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로 인해 수술 시간이 단축되고, 지지관(30)에 의해 췌즙 누설이 방지되어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고, 향후 복강경 수술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내측이 비어 있는 세장원통형으로서, 유연성을 갖는 유연부를 포함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일측에 실이 연결되도록 상기 몸통부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제1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유연부는 상기 실의 당겨짐에 의해 상기 유연부의 직경이 증가하여 상기 몸통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일단이 제1구멍에 연결되고,
    상기 몸통부의 내측을 통해 상기 유연부를 지나 상기 타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는,
    상기 타측보다 상기 일측에 더 가깝게 형성되며,
    상기 유연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slit)을 포함하되,
    상기 슬릿은 상기 유연부의 원주면 전체에 복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는,
    이웃하는 상기 슬릿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곡부는 길이 방향의 중간에 너비 방향의 절곡선을 포함하고, 상기 절곡선을 기준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절곡부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리브(ri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절곡부의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의 너비 방향의 절곡선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유연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지지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의 길이는 상기 유연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은 상기 몸통부보다 단단한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의 일측은 상기 몸통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지지관의 타측은 상기 몸통부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은,
    상기 지지관의 타측에 실이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관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제2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타측과 상기 유연부 사이의 외주면에는 상기 몸통부의 내주면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KR1020160172831A 2016-12-16 2016-12-16 자동 췌공장 문합 스텐트 KR101996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831A KR101996929B1 (ko) 2016-12-16 2016-12-16 자동 췌공장 문합 스텐트
PCT/KR2017/014721 WO2018110999A1 (ko) 2016-12-16 2017-12-14 자동 췌공장 문합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831A KR101996929B1 (ko) 2016-12-16 2016-12-16 자동 췌공장 문합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292A true KR20180070292A (ko) 2018-06-26
KR101996929B1 KR101996929B1 (ko) 2019-07-05

Family

ID=6255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831A KR101996929B1 (ko) 2016-12-16 2016-12-16 자동 췌공장 문합 스텐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6929B1 (ko)
WO (1) WO20181109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3580B (zh) * 2019-01-26 2024-05-14 上海火点医疗器械有限公司 血管吻合术固定支撑装置及其操作方法
WO2020196885A1 (ja) * 2019-03-28 2020-10-01 テルモ株式会社 医療デバイス
CN113197608B (zh) * 2021-04-14 2022-03-22 福州大学 一种个性化三维打印胰管支架管吻合器构型
CN114796818A (zh) * 2022-05-14 2022-07-29 王铁功 可延长式胰腺残端吻合支撑管
GB2623373A (en) * 2022-10-14 2024-04-17 Otsuka Medical Devices Co Ltd St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3301A (ja) * 2003-09-30 2005-04-21 Ethicon Endo Surgery Inc 単一内腔アクセス吻合術用のファスナーアプライヤー
US20120116528A1 (en) * 2010-06-04 2012-05-10 Nguyen Ninh T Temporary protective gastrointestin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4559C2 (nl) * 2000-02-11 2001-08-14 Surgical Innovations Vof Umbrella-stent.
US20130123934A1 (en) * 2011-05-13 2013-05-16 Riad Azar Grooved pancreatic stent
KR101311756B1 (ko) * 2011-07-06 2013-09-26 신경민 인체 기관의 인접 조직 연결 시술용 스텐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3301A (ja) * 2003-09-30 2005-04-21 Ethicon Endo Surgery Inc 単一内腔アクセス吻合術用のファスナーアプライヤー
US20120116528A1 (en) * 2010-06-04 2012-05-10 Nguyen Ninh T Temporary protective gastrointesti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929B1 (ko) 2019-07-05
WO2018110999A1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929B1 (ko) 자동 췌공장 문합 스텐트
US20220008049A1 (en) Tissue plug
US98207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affolding anastomoses
CN103764068B (zh) 脐疝修复体
CN103747760B (zh) 脐疝修复体
US20020087176A1 (en) Anastomosis device
US10034739B2 (en) Stent to assist in arteriovenous fistula formation
JP2014531247A (ja) 医療デバイス固定アンカー
JP2007513648A (ja) 生吸収性センタリング要素を備える脈管内フィルター
US9414822B2 (en) Tissue eversion apparatus and tissue closure device and methods for use thereof
CN111148478B (zh) 脏器断端处置器具
KR102224938B1 (ko) 생분해성 형상기억 고분자 필름 및 스텐트를 포함하는 혈관 문합 장치
US10420661B2 (en) Stents and stent deployment devices
JP4343692B2 (ja) 特に静脈瘤箇所といったような身体管腔を閉塞するためのデバイス
US10085731B2 (en) Vasculature closure devices and methods
US201101061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osing a Percutaneous Vascular Puncture
US20090192473A1 (en) Systems for controlled closure of body lumens
US20180021028A1 (en) Fistula plug
US20130274772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nastomosis
US20190282235A1 (en) Treatment method for joining biological organs
KR101748551B1 (ko) 형상기억 고분자 마이크로니들 혈관 문합 장치
US20120158025A1 (en) Anastomosis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20120232582A1 (en) Vascular closure plug with proximal cap and methods of use
WO2020196856A1 (ja) 医療デバイス
JP6705060B2 (ja) ステ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