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961A -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961A
KR20180069961A KR1020160171735A KR20160171735A KR20180069961A KR 20180069961 A KR20180069961 A KR 20180069961A KR 1020160171735 A KR1020160171735 A KR 1020160171735A KR 20160171735 A KR20160171735 A KR 20160171735A KR 20180069961 A KR20180069961 A KR 20180069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temperature
air
enthalpy
condition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6505B1 (ko
Inventor
장경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1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505B1/ko
Priority to US15/790,925 priority patent/US10627125B2/en
Priority to EP17201897.0A priority patent/EP3335803B1/en
Priority to CN201711135339.2A priority patent/CN108224701B/zh
Publication of KR20180069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20Arrangements for spray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operations, e.g. drying; Arrangements enabling a combination of spray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60Ventilation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24F2110/22Humidity of the outsid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기의 엔탈피(Enthalpy)와 급기의 엔탈피 간 차이에 기초하여 도장 부스 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과도한 에너지의 소비를 방지하면서 효율적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 외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습도센서; 급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 급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습도센서; 및 상기 외기의 온도와 습도에 기초하여 제1 엔탈피를 산출하고, 상기 급기의 온도와 습도에 기초하여 제2 엔탈피를 산출하며, 상기 제1 엔탈피와 상기 제2 엔탈피의 차이가 기준 엔탈피 범위를 미달하거나 초과하면 상기 급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도록 도장용 공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 SYSTEM FOR VEHICLE BODY PAINT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장 부스 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생산라인에서 도장 공정은 차체가 완성된 후, 차체의 부식을 방지하고, 방음과 함께 미관을 수려하게 하여 상품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도장 공정이 적용되는 도장 라인에서는 전처리 공정의 건조로를 통과한 차체의 방청과 표면광택의 인자가 되는 전착(하도)공정과, 실러를 도포한 후 도료의 내 치핑성, 평활성, 내후성 등을 갖게 하는 중도공정, 미관상의 광택감을 주는 상도공정, 및 클리어 공정 등을 통하여 차체에 도장막을 형성하게 된다.
도장 라인에서 중상도 공정에서는 차체의 원활한 도장 작업을 위하여 급/배기 장치를 갖춘 도장 부스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도장 부스는 공조 시스템을 통하여 일정한 온도와 습도의 공기를 제공받게 된다.
이러한 공조 시스템은 버너 구간, 워셔 구간, 쿨링 구간, 히팅 구간, 가습 구간 등으로 구성되는바, 필터를 거치며 이물질이 제거된 외부 공기(외기)가 각 구간을 거치며 온도와 습도의 조정이 이루어지고, 도장 부스에서 필요로 하는 온도와 습도의 공기를 도장 부스에 공급하게 된다. 이렇게 도장 부스에 공급되는 공기를 급기라 한다.
이러한 종래의 공조 시스템은 외기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관계없이 일정한 온도 및 습도 조건의 공기를 도장 부스에 공급하기 때문에 과도한 에너지가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38451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기의 엔탈피(Enthalpy)와 급기의 엔탈피 간 차이에 기초하여 도장 부스 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과도한 에너지의 소비를 방지하면서 효율적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가 외기의 엔탈피(Enthalpy)와 도장 부스로 공급되는 공기(이하, 급기)의 엔탈피 간 차이가 기준 엔탈피 범위를 미달하거나 초과하면 급기의 온도와 습도가 각각 해당 기준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도장용 공조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는,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 외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습도센서; 급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 급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습도센서; 및 상기 외기의 온도와 습도에 기초하여 제1 엔탈피를 산출하고, 상기 급기의 온도와 습도에 기초하여 제2 엔탈피를 산출하며, 상기 제1 엔탈피와 상기 제2 엔탈피의 차이가 기준 엔탈피 범위를 미달하거나 초과하면 상기 급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도록 도장용 공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온도조절주기와 습도조절주기로 이루어진 전체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급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온도조절주기에 맞춰 기준조절온도를 상기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이후 습도조절주기에 맞춰 기준조절습도를 상기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의 온도가 기준온도범위 내에 포함될 때까지 상기 기준조절온도를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의 습도가 기준습도범위 내에 포함될 때까지 상기 기준조절습도를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외기의 엔탈피(Enthalpy)와 도장 부스로 공급되는 공기(이하, 급기)의 엔탈피 간 차이가 기준 엔탈피 범위를 미달하거나 초과하면 급기의 온도와 습도가 각각 해당 기준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도장용 공조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1 온도센서가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제1 습도센서가 외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제2 온도센서가 급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제2 습도센서가 급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외기의 온도와 습도에 기초하여 제1 엔탈피를 산출하고, 상기 급기의 온도와 습도에 기초하여 제2 엔탈피를 산출하며, 상기 제1 엔탈피와 상기 제2 엔탈피의 차이가 기준 엔탈피 범위를 미달하거나 초과하면 상기 급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도록 도장용 공조 시스템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단계는 온도조절주기와 습도조절주기로 이루어진 전체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급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단계는 온도조절주기에 맞춰 기준조절온도를 상기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이후 습도조절주기에 맞춰 기준조절습도를 상기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급기의 온도가 기준온도범위 내에 포함될 때까지 상기 기준조절온도를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급기의 습도가 기준습도범위 내에 포함될 때까지 상기 기준조절습도를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외기의 엔탈피(Enthalpy)와 급기의 엔탈피 간 차이에 기초하여 도장 부스 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과도한 에너지의 소비를 방지하면서 효율적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일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화면에 대한 일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의 정보 설정화면에 대한 일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 이력에 대한 일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 이력에 대한 다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일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은 외기가 버너 구간, 워셔 구간, 쿨링 구간, 히팅 구간, 가습 구간을 거치면서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가지도록 전반적인 공조 조절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설정된 온도와 습도를 가지는 공기는 도장 부스로 공급되는데, 이때 도장 부스로 공급되는 공기를 급기라 칭한다.
이러한 도장용 공조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즉, 외기의 엔탈피와 급기의 엔탈피 간 차이가 제어장치에 의해 설정된 기준 엔탈피 범위(일례로 0.35 ~ 0.4)를 미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만 급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온도조절 주기당 설정되는 온도는 최대 ±2℃까지 가능하나 일례로 ±0.5℃가 바람직하고, 습도조절 주기당 설정되는 습도는 최대 ±2%까지 가능하나 일례로 ±0.5%가 바람직하다. 이때, 온도조절 주기와 습도조절 주기를 합하면 하나의 전체 주기가 되며, 일례로 전체 주기를 20분이라 할 때 온도조절 주기와 습도조절 주기는 각각 10분씩이다.
또한, 도장용 공조 시스템은 제어장치의 제어하에 급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시,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조절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먼저 온도조절 주기에 온도를 조절한 후 습도조절 주기에 습도를 조절하거나, 습도조절주기에 습도를 먼저 조절한 후 온도조절 주기에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조절과정은 급기의 온도가 기준온도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종료되며, 아울러 습도 조절과정은 급기의 습도가 기준습도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종료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는, 제1 온도센서(21), 제1 습도센서(22), 제2 온도센서(23), 제2 습도센서(24), 및 제어부(25)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제1 온도센서(21)는 외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제1 습도센서(22)는 외기의 습도를 측정한다.
제2 온도센서(23)는 급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제2 습도센서(24)는 급기의 습도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5)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25)는 제1 온도센서(21)에 의해 측정된 외기의 온도와 제1 습도센서(22)에 의해 측정된 외기의 습도에 기초하여 제1 엔탈피를 산출하고, 제2 온도센서(23)에 의해 측정된 급기의 온도와 제2 습도센서(24)에 의해 측정된 급기의 습도에 기초하여 제2 엔탈피를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25)는 제1 엔탈피와 제2 엔탈피의 차이가 기준 엔탈피 범위(일례로 0.35 ~ 0.4)를 미달하거나 초과하면 급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도록 도장용 공조 시스템을 제어한다. 이때, 제1 엔탈피와 제2 엔탈피의 차이가 기준 엔탈피 범위 내에 포함되면 급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과정은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25)는 급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도록 도장용 공조 시스템을 제어시, 온도조절주기에 맞춰 기준조절온도를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이후 습도조절주기에 맞춰 기준조절습도를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도장용 공조 시스템은 온도조절주기 내에 기준조절온도만큼 급기의 온도를 조절한 이후에 습도조절주기 내에 기준조절습도만큼 급기의 습도를 조절한다. 이때, 온도조절주기와 습도조절주기의 순서는 본 발명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온도 조절과정은 급기의 온도가 기준온도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종료되며, 아울러 습도 조절과정은 급기의 습도가 기준습도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종료된다.
예를 들어, 전체 주기가 20분이고, 온도조절주기는 10분, 습도조절주기는 10분, 올려야 할 총 온도가 5℃, 올려야 할 총 습도가 5%라 하면, 먼저 온도조절주기에 기준조절온도로서 0.5℃를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도장용 공조 시스템은 급기의 현재 온도를 0.5℃ 증가시킨다. 이때, 도장용 공조 시스템이 온도조절주기 내에 급기의 온도를 기준조절온도만큼 조절할 수 있도록 온도조절주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습도조절주기에 기준조절습도로서 0.5%를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도장용 공조 시스템은 급기의 현재 습도를 0.5% 증가시킨다. 이때, 도장용 공조 시스템이 습도조절주기 내에 급기의 습도를 기준조절습도만큼 조절할 수 있도록 습도조절주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한 주기(20분)에 걸쳐 온도를 0.5℃ 증가시켰고, 습도를 0.5% 증가시켰다. 따라서, 올려야 할 온도가 4.5℃ 남았고, 올려야 할 습도가 4.5% 남았으므로, 최종적으로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서는 총 10주기가 필요하다.
이렇게 전체 주기 내에서 온도와 습도를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이유는 에너지의 소비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며, 물론 전체 주기를 반으로 줄인 후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2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준정보 설정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어부(2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 이력을 그래프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 이력을 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제1 온도센서(21)가 외기의 온도를 측정한다(701).
그리고 제1 습도센서(22)가 외기의 습도를 측정한다(702).
그리고 제2 온도센서(23)가 급기의 온도를 측정한다(703).
그리고 제2 습도센서(24)가 급기의 습도를 측정한다(704).
이후, 제어부(25)가 상기 외기의 온도와 습도에 기초하여 제1 엔탈피를 산출하고, 상기 급기의 온도와 습도에 기초하여 제2 엔탈피를 산출하며, 상기 제1 엔탈피와 상기 제2 엔탈피의 차이가 기준 엔탈피 범위를 미달하거나 초과하면 상기 급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도록 도장용 공조 시스템을 제어한다(705).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21 : 제1 온도센서
22 : 제1 습도센서
23 : 제2 온도센서
24 : 제2 습도센서
25 : 제어부

Claims (12)

  1. 외기의 엔탈피(Enthalpy)와 도장 부스로 공급되는 공기(이하, 급기)의 엔탈피 간 차이가 기준 엔탈피 범위를 미달하거나 초과하면 급기의 온도와 습도가 각각 해당 기준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도장용 공조 시스템을 제어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
    외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제1 습도센서;
    급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
    급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제2 습도센서; 및
    상기 외기의 온도와 습도에 기초하여 제1 엔탈피를 산출하고, 상기 급기의 온도와 습도에 기초하여 제2 엔탈피를 산출하며, 상기 제1 엔탈피와 상기 제2 엔탈피의 차이가 기준 엔탈피 범위를 미달하거나 초과하면 상기 급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도록 도장용 공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온도조절주기와 습도조절주기로 이루어진 전체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급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온도조절주기에 맞춰 기준조절온도를 상기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이후 습도조절주기에 맞춰 기준조절습도를 상기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의 온도가 기준온도범위 내에 포함될 때까지 상기 기준조절온도를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기의 습도가 기준습도범위 내에 포함될 때까지 상기 기준조절습도를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
  7. 외기의 엔탈피(Enthalpy)와 도장 부스로 공급되는 공기(이하, 급기)의 엔탈피 간 차이가 기준 엔탈피 범위를 미달하거나 초과하면 급기의 온도와 습도가 각각 해당 기준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도장용 공조 시스템을 제어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제1 온도센서가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제1 습도센서가 외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제2 온도센서가 급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제2 습도센서가 급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외기의 온도와 습도에 기초하여 제1 엔탈피를 산출하고, 상기 급기의 온도와 습도에 기초하여 제2 엔탈피를 산출하며, 상기 제1 엔탈피와 상기 제2 엔탈피의 차이가 기준 엔탈피 범위를 미달하거나 초과하면 상기 급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도록 도장용 공조 시스템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온도조절주기와 습도조절주기로 이루어진 전체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급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온도조절주기에 맞춰 기준조절온도를 상기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이후 습도조절주기에 맞춰 기준조절습도를 상기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급기의 온도가 기준온도범위 내에 포함될 때까지 상기 기준조절온도를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급기의 습도가 기준습도범위 내에 포함될 때까지 상기 기준조절습도를 도장용 공조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60171735A 2016-12-15 2016-12-15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406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735A KR102406505B1 (ko) 2016-12-15 2016-12-15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15/790,925 US10627125B2 (en) 2016-12-15 2017-10-2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body painting
EP17201897.0A EP3335803B1 (en) 2016-12-15 2017-11-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body painting
CN201711135339.2A CN108224701B (zh) 2016-12-15 2017-11-15 用于控制汽车车身涂装用空调系统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735A KR102406505B1 (ko) 2016-12-15 2016-12-15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961A true KR20180069961A (ko) 2018-06-26
KR102406505B1 KR102406505B1 (ko) 2022-06-13

Family

ID=60382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735A KR102406505B1 (ko) 2016-12-15 2016-12-15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27125B2 (ko)
EP (1) EP3335803B1 (ko)
KR (1) KR102406505B1 (ko)
CN (1) CN1082247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7417B2 (en) 2017-02-09 2024-01-09 James Eric Taylor On-site controller for an HVAC system
US20190024917A9 (en) * 2017-02-09 2019-01-24 James Eric Taylor Site-customized benchmark for operat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 real time
KR102644431B1 (ko) * 2019-05-02 2024-03-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공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44430B1 (ko) * 2019-05-02 2024-03-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공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51680B2 (ja) * 2019-09-27 2022-10-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塗装システム
CN113310188A (zh) * 2021-06-09 2021-08-27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及装置、空调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915754B (zh) * 2021-08-19 2023-04-1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控制空调器的方法及装置、空调器
IT202200004721A1 (it) * 2022-03-11 2023-09-11 Polin Ac S R L Cabina di verniciatura perfezionata, nonché procedimento ed apparato per il trattamento dell’aria di una cabina di verniciatur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8546A (ja) * 1995-07-26 1997-02-10 Toyota Motor Corp 塗装ブースの空調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3272391B2 (ja) * 1992-03-31 2002-04-08 マツダ株式会社 塗装ブースの空調制御方法及び装置
KR101338451B1 (ko) 2012-02-27 2013-12-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도장용 공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61334B4 (de) * 2006-12-22 2015-08-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ackieranlage
US20080311836A1 (en) 2007-06-13 2008-12-18 Honda Motor Co., Ltd. Intelligent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paint booth
JP2010131507A (ja) 2008-12-03 2010-06-17 Mazda Motor Corp 調温調湿方法及び調温調湿装置
JP5839483B2 (ja) * 2012-05-29 2016-01-06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塗装ブース用空調装置
CN105013651B (zh) * 2015-07-06 2017-08-29 深圳市柳溪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内循环喷房
CN105805884B (zh) * 2015-08-28 2019-01-25 常州海登赛思涂装设备有限公司 一种涂装车间内的空调温湿度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105674512A (zh) * 2016-03-31 2016-06-15 深圳市新环能科技有限公司 基于多变参数调节的恒温恒湿空调机组节能控制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2391B2 (ja) * 1992-03-31 2002-04-08 マツダ株式会社 塗装ブースの空調制御方法及び装置
JPH0938546A (ja) * 1995-07-26 1997-02-10 Toyota Motor Corp 塗装ブースの空調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01338451B1 (ko) 2012-02-27 2013-12-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도장용 공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5803A1 (en) 2018-06-20
CN108224701A (zh) 2018-06-29
US20180172302A1 (en) 2018-06-21
CN108224701B (zh) 2021-04-27
EP3335803B1 (en) 2020-01-08
KR102406505B1 (ko) 2022-06-13
US10627125B2 (en)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9961A (ko) 도장용 공조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04955178B (zh) 加热方法及加热器
EP3561406B1 (en) Heat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ir conditioner
CN107525229B (zh) 空调电加热控制的方法及装置
WO2020000554A1 (zh) 空气调节设备的控制方法、装置和空气调节设备
CN108844195B (zh) 一种温湿度设定值控制装置及控制方法
CN203396032U (zh) 基于模糊自适应pid的室温控制装置
CN105605726A (zh) 一种空调节能控制方法和装置
CN103759391B (zh) 一种恒温恒湿空调系统及提高室内温湿度精度的控制方法
CN104676991A (zh) 空调器及其除霜方法
CN103506406B (zh) 一种快速自动适应轧机节奏的加热炉炉内温度控制方法
CN107940546A (zh) 供水温度的控制方法及装置
CN105526679A (zh) 空调器节能控制方法及装置
CN106225142B (zh) 一种汽车涂装车间用空调恒湿度控制方法及系统
JPH11211190A (ja) 外気冷房空調制御システムおよび空調制御装置
CN105737327B (zh) 监视装置以及监视方法
CN104964389B (zh) 空调器、空调器的室外机及其功率估算控制方法、装置
JP2001241733A (ja) 空調装置の温湿度制御装置と温湿度制御方法と温湿度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01578559B (zh) 喷漆设备
CN104864480B (zh) 空气源热泵地板采暖系统的调试方法
CN113375318A (zh) 一种空调预启动的控制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07702284B (zh) 一种恒温恒湿系统及其控制方法
KR200387297Y1 (ko) 도장부스용 연료절감형 히팅시스템
CN105571069A (zh) 空调室内风机控制方法及空调
CN114608123B (zh) 室内温度预测方法、装置、空气调节设备和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