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445A - 서버, 휴대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서버, 휴대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445A
KR20180069445A KR1020160171638A KR20160171638A KR20180069445A KR 20180069445 A KR20180069445 A KR 20180069445A KR 1020160171638 A KR1020160171638 A KR 1020160171638A KR 20160171638 A KR20160171638 A KR 20160171638A KR 20180069445 A KR20180069445 A KR 20180069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vatar
information
user terminal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6814B1 (ko
Inventor
정현주
오영재
조성제
조철호
최형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1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814B1/ko
Priority to US16/467,670 priority patent/US11651842B2/en
Priority to PCT/KR2017/013440 priority patent/WO2018110854A1/ko
Publication of KR20180069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5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 A63F2300/5546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using player registration data, e.g. identification, account, preferences, game history
    • A63F2300/5553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using player registration data, e.g. identification, account, preferences, game history user representation in the game field, e.g. avata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서버가 개시된다. 서버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스토리지로부터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헬스 케어 정보 및 수신된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버, 휴대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SERVER, USER TERMINAL APPARATUS, ERECTRONIC APPARATUS, AND CONTR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서버, 휴대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강 관리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 휴대 단말 장치, 전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네트워크 환경에서 개인의 건강을 관리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기기나 스마트 기기 등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감지하여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이렇게 감지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될 뿐만 아니라 적극적으로 사용자 건강관리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에 쓰이고 있다.
한편, 최근 폭넓게 논의되고 있는 원격 진료는 사용자 관련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 사용자 스스로 생활하면서 축적된 건강정보를 기반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웨어러블 기기, 개인 단말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앱 등이 다수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 혹은 저장 플랫폼간의 데이터 호환이 어렵고, 사용 수명이 2-3년 가량인 모바일 혹은 웨어러블 기기의 특성상 기기간의 데이터 연속성을 확보하기에 용이하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개인 건강 관리가 특정 몇 년 간의 관리가 아닌 일생 전반에 걸친 수십년 동안의 평생 관리라는 측면으로 보았을 때, 개인 건강정보의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축적은 개인 건강 관리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장기간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아바타를 이용하여 건강 관리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건강을 장기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서버, 휴대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헬스 케어 정보 및 상기 수신된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아바타가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형태의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된 헬스 케어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데이트된 헬스 케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아바타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모션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아바타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및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헬스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 및 상기 헬스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 및 상기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주변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로의 접근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주변 기기의 위치에 접근하면, 상기 아바타가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형태의 상기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타 사용자의 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타 사용자의 아바타를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와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사용자의 아바타가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의 행동을 유도하는 형태의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모션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헬스 케어 정보 및 상기 수신된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아바타가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헬스 케어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업데이트된 헬스 케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아바타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중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모션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아바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축적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장기간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이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이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전자 장치로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된 헬스 케어 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가이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모션이 실시간으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사용자의 아바타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가이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사용자의 아바타가 사용자의 아바타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가이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정보 제공 시스템(1000)은 웨어러블 기기(100), 사용자 단말 장치(200), 전자 장치(300) 및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10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센싱 또는 모니터링하여 헬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기(100)는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웨어러블 기기(100)는 cgms(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cgms는 사람의 피부 아래에 포도당 센서를 삽입하여 실시간으로 변하는 혈당값을 측정하는 연속혈당측정 시스템을 의미한다. 다만, 이와 같이 침습 방식으로 혈당값을 측정하는 cgms는 웨어러블 기기(100)의 일 실시 예에 해당 할 뿐, 비침습 방식,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하는 패치 형태의 혈당 측정 센서 등 다양한 유형의 센서가 웨어러블 기기(100)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100)는 사용자의 운동 정도, 심박수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웨어러블 기기(10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기기(10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정도, 심박수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웨어러블 기기(100)는 인체 저항도를 이용하여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고, 키넥트(Kinect)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헬스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웨어러블 기기(100)는 헬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웨어러블 기기(10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 칩등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웨어러블 기기(100)를 스마트 워치와 같은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해당할 뿐, 웨어러블 기기(100)는 패치 형태 등, 사용자의 손목, 팔, 허리 또는 발목 등에 착용하여 헬스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사용자의 아바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사용자의 지문 입력, 홍채 인식 또는 비밀번호 입력 등을 통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인증 절차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 홍채 데이터 또는 비밀번호 데이터를 기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위한 스캐너, 홍채 인식을 위한 카메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아바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는 사용자 별로 서로 다른 아바타가 매칭되어 저장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웨어러블 기기(100)로부터 헬스 데이터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를 전자 장치(300) 및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장치(300) 및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는 아바타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디스플레이 된 아바타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되는 아바타는 사용자 인증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디스플레이된 아바타 이미지가 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는 전자 장치(300) 및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로 각각 전송될 수도 있으나, 아바타만 전송하면 헬스 데이터는 아바타와 함께 전자 장치(300) 및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웨어러블 기기(100)로부터 헬스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한 헬스 데이터를 아바타에 매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수신한 헬스 데이터를 태그를 통해 아바타에 매칭시킬 수 있다. 다만, 매칭 방법이 태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를 이미지에 매칭할 수 있는 다양한 매칭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아바타를 전송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아바타와 함께 아바타에 매칭된 헬스 데이터를 함께 전자 장치(300) 및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서버(4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사용자의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헬스 데이터는 웨어러블 기기(100)에서 사용자의 현재의 생체 신호를 센싱 또는 모니터링하여 생성한 데이터인 반면에, 헬스 케어 정보는 서버(400)에 저장된 사용자의 헬스 데이터 및 행동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에 저장된 사용자의 헬스 데이터는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사용자의 혈당, 체지방 지수, 체온, 혈압 등이 될 수 있고, 행동 정보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정보, 운동 시간, 운동 종류 등에 대한 운동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400)는 헬스 케어 정보를 웨어러블 기기(100),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여 기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웨어러블 기기(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헬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정보 내지 사용자의 운동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0)는 사용자의 헬스 케어 정보를 각각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아바타에 구분하여 기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한 아바타가 어느 사용자의 아바타인지를 판단하고, 기저장된 하나 이상의 헬스 케어 정보 중에서 아바타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헬스 케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400)는 아바타의 이미지 자체를 기저장된 이미지와 비교하거나, 아바타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기저장된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헬스 케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헬스 케어 정보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행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혈당, 체지방 지수, 체온, 혈압 등이 될 수 있고, 행동 정보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정보, 사용자의 운동 시간, 운동 종류 등에 대한 운동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400)는 획득된 헬스 케어 정보 및 수신된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획득된 헬스 케어 정보 및 수신된 헬스 데이터를 상호 피드백하여 현재 사용자에 필요한 행동을 판단하고, 사용자가 현재 필요한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는 획득된 헬스 케어 정보 및 수신된 헬스 데이터를 상호 피드백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필요한 행동을 판단하고, 그 결과 사용자의 혈당이 기준치보다 높아서 혈당량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사용자가 혈당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음식을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후,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로 가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400)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종 운영 체계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간의 상호 작용을 담당하는 중앙 서버(또는 통합 서버)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는 클라우드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인터넷 기반의 컴퓨팅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터넷 상의 유틸리티 데이터 서버(utility data server)에 프로그램을 두고 그때 그때 컴퓨터나 휴대폰 등에 불러와서 사용하는 웹에 기반한 소프트웨어 서비스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기기(100)는 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하여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기기(100)는 디스플레이(미도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 사용자의 아바타를 저장하는 스토리지(미도시)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100)(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는 사용자의 헬스 데이터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웨어러블 기기(100)를 통해서 아타타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스토리지(220), 디스플레이(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휴대폰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PC. 데스크 탑, PDA, MP3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웨어러블 기기(100), 전자 장치(300) 및 서버(400)와 통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웨어러블 기기(100)와 통신하여 헬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전자 장치(300) 또는 서버(400)와 통신하여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를 전자 장치(300) 및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 칩등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은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스토리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스토리지(220)는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아바타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리지(220)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아바타를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의 지문, 홍채 및 비빌번호 등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220)는 웨어러블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헬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토리지(220)는 하드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스토리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40)는 운영체제의 부팅을 수행하여, 프로세서(24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는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30)는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2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정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프로세서(24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24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을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24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서 웨어러블 기기(100)와 연결되면, 웨어러블 기기(100)로 헬스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40)는 웨어러블 기기(100)로 헬스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 명령을 별도로 보내지 않고,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서 웨어러블 기기(100)와 연결되면, 자동으로 웨어러블 기기(100)로부터 헬스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웨어러블 기기(100)는 사용자의 헬스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40)는 웨어러블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헬스 데이터를 스토리지(22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240)는 웨어러블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헬스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스토리지(200)에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설정된 방법으로 저장할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수신한 헬스 데이터의 저장 여부 또는 저장 기간과 관련된 사용자 설정이 있을 경우,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등을 통해서 수신한 헬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의 아바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인증 절차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지문 스캐너에 지문을 입력한다든가, 카메라를 통해서 홍채를 인식시킨다든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프로세서(240)는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하고, 인증된 사용자로 판단되면 인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230)를 제어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40)는 디스플레이된 아바타 및 웨어러블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헬스 데이터를 전자 장치(300) 및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전자 장치 및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도 있으나, 아바타만 서버(400)로 전송하면 헬스 데이터는 아바타에 매핑된 상태에서 아바타와 함께 전자 장치(300) 및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 후, 프로세서(240)는 서버(400)로부터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정보는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정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도 2에서 설명한 구성요소 외에도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아바타를 합성하여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정보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증강현실 기술은 가상현실 기술과는 달리 실시간 처리를 바탕으로 AR 컨텐츠를 특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제로 촬영되는 영상에 겹쳐서 표현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24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이 특정 위치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촬영된 이미지에 아바타를 합성하여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AR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40)는 촬영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위치 정보와 함께 서버(400)로 전송하고, 서버(400)로부터 AR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외에도,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과 서버(400)로부터 제공되는 AR 컨텐츠를 정합시키기 위한 AR 컨텐츠-영상 정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400)는 통신 인터페이스(410), 스토리지(420) 및 프로세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외부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내장된 임베디드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내장된 임베디드 칩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통신 인터페이스(4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 인터페이스(41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41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생성한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410)는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은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스토리지(420)는 서버(4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스토리지(420)는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아바타 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420)는 제1 아바타에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제1 헬스 케어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제2 아바타에 제2 사용자에 대응되는 제2 헬스 케어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토리지(420)는 하드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스토리지(420)는 서버(400)의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 및 전자 장치(300)와 관련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430)는 운영체제의 부팅을 수행하여, 프로세서(43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서버(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4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을 포함하여, 서버(4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430)는 통신 인터페이스(410)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의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41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의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4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스토리지(42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430)는 스토리지(4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헬스 케어 정보에서,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430)는 아바타 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헬스 케어 정보 중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에는 아바타에 대응되는 사용자와 관련된 생체정보, 행동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헬스 케어 정보에는 아바타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혈당, 체지방 지수, 체온, 혈압 등의 생체 정보 및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정보, 사용자의 운동 시간, 운동 종류 등에 대한 운동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후, 프로세서(430)는 획득된 헬스 케어 정보 및 수신된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430)는 획득된 헬스 케어 정보 및 수신된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에게 필요한 행동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30)는 획득된 헬스 케어 정보 및 수신된 헬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의 혈당 수치가 기준치보다 높다고 판단될 경우, 현재 사용자에게는 혈당량 조절을 위한 음식 섭취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430)는 사용자가 혈당량 조절에 필요한 음식을 섭취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정보는 아바타가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형태의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30)는 현재 사용자에게 혈당량 조절을 위한 음식 섭취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아바타를 이용하여 녹차가 먹고 싶다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프로세서(430)는 현재 사용자의 체지방 지수가 기준치보다 높다고 판단될 경우, 아바타를 이용하여 달리기를 하고 싶다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는 아바타가 발화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아바타의 메시지에 따라 아바타의 형상도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바타가 달리기를 하고 싶다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의 경우 달리기 하는 형상의 아바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프로세서(430)는 생성한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4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400)는 수신한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430)는 생성한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4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 이 후,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4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스토리지에 저장된 헬스 케어 정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30)는 혈당량 조절을 위하여 녹차를 추천하는 가이드 정보를 전송한 이후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4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사용자가 녹차를 마셨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녹차를 마셨다는 정보에 기초하여 스토리지에 저장된 헬스 케어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300)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300)에 특정 행동을 수행하였음을 입력하면, 입력된 사용자 행동 정보가 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녹차를 마셨다는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하여 서버로(400)로 전송하거나, 전자 장치(300)에 디스플레이된 녹차를 터치되면 전자 장치(300)는 자동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하여 서버(400)로 사용자가 녹차를 마셨다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430)는 업데이트 된 헬스 케어 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하고, 변경된 아바타를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30)는 헬스 케어 정보 및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의 혈당량이 기준치보다 높다고 판단될 경우, 울고 있는 형태의 아바타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고, 가이드 정보 전송 후 사용자 행동에 따라 업데이트 된 헬스 케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혈당량이 정상 수치로 돌아왔다고 판단될 경우, 웃고 있는 형태의 아바타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사 다양한 형상의 아바타 정보 및 가이드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서버(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기 저장된 아바타 및 가이드 메시지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프로세서(4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전자 장치(300)의 위치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300)의 기능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장치(300)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는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300)가 냉장고라고 판단될 경우 현재 사용자가 섭취해야 할 음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전자 장치(300)라 러닝 머신으로 판단될 경우 현재 사용자가 소모해야 할 칼로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4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는 GPS칩을 이용하여 위성으로부터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GPS신호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4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GPS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전자 장치(300)의 위치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장치(300)의 기능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30)는 블루투스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인 비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전자 장치(300)의 위치에 접근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자 장치(300)에 부착된 비콘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로세서(4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30)는 NFC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전자 장치(300)의 위치에 접근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NFC 태그가 탑재된 전자 장치(300)에 태깅한 후 이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로세서(4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 일 뿐,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는 GPS, 비콘, NFC 방식 이외에 WiFi, CDMA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자 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기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가정 내에서 전자 장치(200)가 존재하는 위치를 좌표화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장치(200)의 위치는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는 gps 좌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4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및 전자 장치(200)의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200) 자체에 네트워크 모듈이 탑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서버(400)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전자 장치(200)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3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스토리지(420)에 기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에 통신 모듈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300)로부터 전자 장치(30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는 점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서 전자 장치(300)의 위치를 기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430)는 기정된 전자 장치(30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전자 장치(300)의 위치에 접근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430)는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모션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4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혈당량 조절 정도, 심박수 변동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하여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도록 아바타의 모션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30)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내지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헬스 데이터를 수신 받은 경우, 사용자가 러닝중임을 인지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아바타가 달리는 모션인 형태를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내지 뒤척임 정보를 포함하는 헬스 데이터를 수신 받은 경우, 사용자의 수면중임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아바타가 수면하는 모션인 형태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430)는 타 사용자의 아바타가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하여 접근 권한이 있는 아바타로 판단되면, 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 사용자의 헬스 케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400)에는 타 사용자가 사용자의 아바타(820)의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 것으로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에는 제1 아바타가 제2 아바타의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하여 접근 권한이 있는 것으로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400)는 수신한 아바타가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것이면, 제2 사용자의 헬스 케어 정보를 제1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아바타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어린 아이이고 제1 아바타에대응되는 사용자가 그 보호자일 경우, 헬스 케어 정보를 보호자가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호자는 보다 효율적으로 어린 아이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서버(400)는 도 3에서 설명한 구성요소 외에도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증강 현실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판단기, 산출된 위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추출하여 증강현실 부합되는 포맷으로 변환하는 AR컨텐츠 생성기, 생성된 AR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이미지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위치에 따라 해당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컨텐츠를 AR컨텐츠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이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30)에는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아바타(500) 및 헬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기저장된 헬스 케어 정보 중에서 사용자의 아바타(500)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헬스 케어 정보 및 수신된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획득된 헬스 케어 정보에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내지 현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상호 피드백하여 현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400)는 현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에게 필요한 행동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는 현재 사용자의 혈당량이 기준치를 초과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혈당량 조절을 위한 음식 섭취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현재 사용자의 체지방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체지방 조절을 위한 운동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후, 서버(400)는 사용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된 행동을 실제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400)는 사용자의 혈당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혈당량 조절을 위해 녹차의 섭취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아바타(500) 및 녹차가 먹고 싶다는 메시지(600)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녹차가 먹고 싶다는 메시지(600)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 만을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정보에는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체력(HP), 혈압, 혈당, 심박수 및 체온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체력(HP)은 웨어러블 기기(100)에 포함된 키넥트(Kinect)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수면 시간 및 헬스 케어 정보, 즉 서버(400)에 저장된 사용자의 헬스 데이터 및 행동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헬스 데이터 및 헬스 케어 정보를 상호 피드백하여 사용자의 수면 시간, 건강에 좋은 음식의 섭취 여부 등을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가이드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체력(HP)을 달리하여 생성 할 수 있다. 한편, 혈압의 경우는 웨어러블 기기(100)에 포함된 혈압 측정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혈압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혈압 측정 센서는 손가락 또는 손목의 맥파(PPG, Photo Plethysmo-Graphy)를 측정하여 동맥 평균 혈압을 산출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사용자의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및 맥파를 측정하여 맥파 전달 시간을 산출하여 혈압을 산출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등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체온의 경우는 웨어러블 기기100)에 포함된 온도 측정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한편, 혈당 및 심박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현재 자신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가이드 정보에 따라 행동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어 자신의 건강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이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의 디스플레이(230)에는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400)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사용자의 아바타(500) 및 헬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아바타(500)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헬스 케어 정보 및 수신된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획득된 헬스 케어 정보에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내지 현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상호 피드백하여 현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40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에게 필요한 행동을 판단하여, 판단된 행동을 실제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 를 참조하면, 서버(400)는 사용자의 혈당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혈당량 조절을 위해 녹차의 섭취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아바타(500) 및 녹차가 먹고 싶다는 메시지(600)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전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서버(400)는 사용자의 체지방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하여 체지방 조절을 위한 운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아바타(500) 및 운동이 필요하다는 메시지(600)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전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200)는 수신한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가이드 정보에 따라 녹차를 마시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가이드 정보는 전자 장치(300)의 기능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기초하여 음식 섭취 및 운동이 모두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서버(400)는 사용자가 냉장고 위치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기능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전자 장치(300)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러닝 머신 위치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닝 머신 기능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전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400)는 사용자의 위치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위치는 GPS 신호 등에 의해서 감지할 수 있으며 위치 정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근접한 전자 장치(300)의 기능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필요한 행동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전자 장치(400)로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아바타(500)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가 아바타(500)를 터치 후 미는 동작, 즉 스와이프 동작을 수행하면, 전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아바타(500)를 전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서 전자 장치(300)와 통신 연결이 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와이핑 동작이 감지되면 터치된 아바타를 전자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300)의 위치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적으로 전자 장치(300)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는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전자 장치(3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면 전자 장치(300)는 센싱 신호를 IoT 관리 서버(미도시)에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IoT 관리 서버(미도시)에 의해서 센싱 신호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송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전자 장치(3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전자 장치(300)로 전송되는 아바타는 헬스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아바타에 헬스 데이터를 매핑 시켜놓음으로써, 아바타는 헬스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300)는 헬스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바타를 수신 받고, 이를 서버(400)에 전송함으로써 헬스 데이터에 기초한 가이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300)는 서버(400)로부터 가이드 정보를 직접 전송받아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직접 가이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현재 필요한 행동을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건강 관리를 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서는 스와이핑 동작을 통해서 아바타를 전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아바타를 터치하는 동작 내지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흔드는 동작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아바타를 전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된 헬스 케어 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가이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서버(400)는 헬스 케어 정보 및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혈당량이 기준치보다 높다고 판단될 경우 아픈 모습의 아바타(710)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휴대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서버(400)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헬스 케어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정보가 가이드 정보에 따라 녹차를 마셨다는 정보이면, 서버(400)는 헬스 케어 정보에 사용자가 녹차를 마셨다는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400)는 업데이트된 헬스 케어 정보 및 웨어러블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혈당량이 적정 수치로 조절되었다고 판단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픈 모습의 아바타(710)를 변경하여 웃는 모습의 아바타(720)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기기(100)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헬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서버(400)는 웨어러블 기기(100)에서 생성된 헬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400)는 사용자의 행동이 반영된 헬스 데이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녹차를 마시는 행동을 한경우 혈당 수치가 감소된 업데이트된 헬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서버(400)는 업데이트된 헬스 데이터 및 상술한 업데이트된 헬스 케어 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형태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정보의 수신 방법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에 따라, 업데이트된 헬스 케어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아바타를 통해서 사용자는 자신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는 보다 효율적으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모션이 실시간으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장치(300), 예를 들어 러닝 머신을 이용하여 달리기를 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기기(10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정도, 심박수 등을 측정할 수 있고, 서버(400)는 웨어러블 기기(100)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심박수를 포함하는 헬스 데이터가 수신되면, 헬스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달리기 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400)는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기 중인 사용자에 대응되도록 달리는 모습의 아바타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아바타의 실시간 변경 모습을 보면서 운동을 흥미롭게 수행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사용자의 아바타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가이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형태의 가이드 정보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영상의 촬영으로 인해 생성된 이미지 프레임과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서버(400)로 전달하고, 서버(400)에서 제공된 해당 이미지에 대한 AR 컨텐츠를 실시간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 컨텐츠는 전자 장치(300)가 위치한 곳으로 사용자를 유도하여, 현재 사용자에 필요한 행동을 제안하는 아바타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400)는 전자 장치(300)에 관한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수신하거나, 기저장된 전자 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300)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서 전자 장치(300)의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받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사용자의 아바타가 사용자의 아바타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가이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서버(400)에는 타 사용자가 사용자의 아바타(820)의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 것으로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에는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의 헬스 케어 정보에 대하여 접근 권한이 있는 것으로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기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아바타(81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아바타(820)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에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여기에서, 타 사용자의 아바타(8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형태의 가이드 정보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바타(820)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어린 아이일 경우, 보호자 아바타(810)를 통해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호자는 피보호자의 행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헬스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S1110).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의 통신을 통하여 측정한 헬스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S1120). 여기에서, 헬스 데이터는 사용자의 혈당, 칼로리, 수면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에 대응되는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고(S1130), 생성된 아바타를 웨어러블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헬스 데이터와 함께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서버(400)는 기저장된 하나 이상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 중에서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한 헬스 케어 정보 및 수신한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150).
여기에서, 생성된 가이드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전자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S1160, S1170). 이 후, 사용자 단말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300)는 수신한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특정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S1180, S1190).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210). 그리고, 서버(400)는 기저장된 하나 이상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 중에서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20). 이 후, 서버(400)는 획득된 헬스 케어 정보 및 수신된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고(S1230), 생성된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S124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다르면,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형태의 가이드 정보가 제공될 수 있어 사용자는 보다 효과적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웨어러블 기기(100)에서 생성된 헬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뿐만 아니라 서버(300)에 저장 및 프로세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기간 개인 데이터의 축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순 데이터 축적의 수동적인 개념이 아닌 축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 활동 반경 및 전자 장치(300)에 따라 상황에 맞는 가이드 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천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인 건강 정보가 반영된 사용자의 아바타를 개인 인증 및 서버(400) 내 개인 데이터 분류 마커로 활용함으로써, 아바타의 이동에 따라 기기간 데이터 교환 및 저장 또한 수반되어 기기간의 데이터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바타 생성 및 육성 활동을 통해 건강 관리 자체의 흥미 유발 기능 또한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즉, 각종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어 상술한 다양한 제어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헬스 케어 정보 및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웨어러블 기기
200: 사용자 단말 장치
300: 전자 장치
400: 서버

Claims (17)

  1.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헬스 케어 정보 및 상기 수신된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아바타가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형태의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된 헬스 케어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업데이트된 헬스 케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아바타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모션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서버.
  7.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아바타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및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헬스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 및 상기 헬스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 및 상기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인,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주변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로의 접근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주변 기기의 위치에 접근하면, 상기 아바타가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형태의 상기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타 사용자의 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면, 상기 타 사용자의 아바타를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와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 사용자의 아바타가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의 행동을 유도하는 형태의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모션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2.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아바타 및 헬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헬스 케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헬스 케어 정보 및 상기 수신된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아바타가 상기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형태의 정보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행동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헬스 케어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헬스 케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아바타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중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모션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171638A 2016-12-15 2016-12-15 서버, 휴대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86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638A KR102486814B1 (ko) 2016-12-15 2016-12-15 서버, 휴대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6/467,670 US11651842B2 (en) 2016-12-15 2017-11-23 Server, portable termina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7/013440 WO2018110854A1 (ko) 2016-12-15 2017-11-23 서버, 휴대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638A KR102486814B1 (ko) 2016-12-15 2016-12-15 서버, 휴대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445A true KR20180069445A (ko) 2018-06-25
KR102486814B1 KR102486814B1 (ko) 2023-01-10

Family

ID=62558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638A KR102486814B1 (ko) 2016-12-15 2016-12-15 서버, 휴대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51842B2 (ko)
KR (1) KR102486814B1 (ko)
WO (1) WO201811085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922B1 (ko) * 2019-08-26 2020-07-31 이경연 반려동물 행동 감시 케어시스템
KR20200116578A (ko) 2019-04-01 2020-10-13 주식회사 에버닌 무릎 트래커를 이용한 의료기기용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10013419A (ko) 2019-07-24 2021-02-04 주식회사 에버닌 트래커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20159116A (ko) 2021-05-25 2022-12-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머신런닝 기반 단일 관성 측정장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28157A (zh) * 2018-12-27 2021-08-06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图像显示装置、图像显示系统及图像显示方法
US10991185B1 (en) 2020-07-20 2021-04-27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230360006A1 (en) * 2022-05-06 2023-11-0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Digital and physical asset transfers based on authentic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359A (ko) * 2005-07-06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바타 냉장고
KR20120013530A (ko) * 2010-08-05 2012-02-15 주식회사 매경헬스 캐릭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2454A (ko) * 2012-09-28 2014-04-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용 힐링토큰 및 이를 구비한 건강공간
KR101545703B1 (ko) * 2009-01-12 2015-08-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위치 서비스 제공 및 수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7988B2 (en) 2005-03-30 2011-11-01 Lg Electronics Inc. Avatar refrigerator
KR100750633B1 (ko) 2006-04-18 2007-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간의 캐릭터 전이 시스템 및 방법
US8612363B2 (en) 2008-06-12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Avatar individualized by physical characteristic
US9408537B2 (en) * 2008-11-14 2016-08-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diagnostic analysis of physiological information
US9446194B2 (en) 2009-03-27 2016-09-20 Dexcom,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moting glucose management
JP5086302B2 (ja) 2009-05-08 2012-11-28 ヤフー株式会社 デバイス間でキャラクタが移動するデバイス及び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9274595B2 (en) * 2011-08-26 2016-03-01 Reincloud Corporation Coherent presentation of multiple reality and interaction models
KR101540100B1 (ko) 2012-09-28 2015-07-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건강공간
US9652992B2 (en) * 2012-10-09 2017-05-16 Kc Holdings I Personalized avatar responsive to user physical state and context
JP6266330B2 (ja) 2013-12-13 2018-01-24 Kddi株式会社 遠隔操作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ユーザ端末および視聴機器
US10279247B2 (en) 2013-12-13 2019-05-07 Masimo Corporation Avatar-incentive healthcare therapy
EP3096685A1 (en) * 2014-01-24 2016-11-30 Icura ApS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moving body parts
KR20150117070A (ko) 2014-04-09 2015-10-19 (주)메이벨솔루션 건강 관리를 기반한 캐릭터 육성 장치 및 서비스 방법
KR20160004436A (ko) 2014-07-02 2016-01-1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 시스템
KR101641676B1 (ko) 2015-01-14 2016-07-2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구현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형 헬스케어 시스템
KR101628713B1 (ko) 2015-10-30 2016-06-09 송주희 센서 정보와 헬스 아바타를 이용한 운동관리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359A (ko) * 2005-07-06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바타 냉장고
KR101545703B1 (ko) * 2009-01-12 2015-08-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위치 서비스 제공 및 수신방법
KR20120013530A (ko) * 2010-08-05 2012-02-15 주식회사 매경헬스 캐릭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2454A (ko) * 2012-09-28 2014-04-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용 힐링토큰 및 이를 구비한 건강공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578A (ko) 2019-04-01 2020-10-13 주식회사 에버닌 무릎 트래커를 이용한 의료기기용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10013419A (ko) 2019-07-24 2021-02-04 주식회사 에버닌 트래커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102139922B1 (ko) * 2019-08-26 2020-07-31 이경연 반려동물 행동 감시 케어시스템
KR20220159116A (ko) 2021-05-25 2022-12-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머신런닝 기반 단일 관성 측정장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90794A1 (en) 2020-03-19
KR102486814B1 (ko) 2023-01-10
WO2018110854A1 (ko) 2018-06-21
US11651842B2 (en)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6814B1 (ko) 서버, 휴대 단말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064129B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101961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gathering and analyzing biometric user feedback for use in social media and advertising applications
US10838675B2 (en) Motion-activated display of messages on an activity monitoring device
US10571999B2 (en) Proximity based and data exchange and user authentication between smart wearable devices
US99721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bio-information or kinetic information
CN105748057B (zh) 信息显示方法和支持该信息显示方法的电子设备
US20180301209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user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and methods thereof
KR102549216B1 (ko)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22034B1 (ko) 전환 거울을 구비한 장치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US20160274726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pan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962128B2 (en) Watch typ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90507A (ko) 생체 정보 인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US10835782B2 (en) Electroni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uitable workout in consideration of context
WO2021092191A1 (en) Smart mirror and table top devices with sensor fusion of camera vision, acoustic, and multi-point capacitive touch control
US2023024574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8005512A (ja) プログラム、電子機器、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KR102424353B1 (ko) 혈당량의 변화율에 기초한 혈당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혈당 측정 장치
KR102486823B1 (ko) 혈당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300266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256191A (zh) 用于提供所摄入食物的消化率信息的电子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