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436A -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436A
KR20160004436A KR1020140082408A KR20140082408A KR20160004436A KR 20160004436 A KR20160004436 A KR 20160004436A KR 1020140082408 A KR1020140082408 A KR 1020140082408A KR 20140082408 A KR20140082408 A KR 20140082408A KR 20160004436 A KR20160004436 A KR 20160004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oup
layer
smart
char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성
박수조
김동연
조수정
강나리
강소희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송지성
강소희
조수정
강나리
박수조
김동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송지성, 강소희, 조수정, 강나리, 박수조, 김동연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8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436A/ko
Publication of KR20160004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신체정보 스마트 차트 시스템, 스마트 캐릭터 차트,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신체정보 스마트 차트 시스템은 신체의 상태를 측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물 인터넷 센서와, 인간의 신체 기관 이미지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신체 레이어로 이루어진 레이어 그룹들을 갖는 신체해부 캐릭터, 상기 사물 인터넷 센서로부터 전송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차트 통신부, 상기 신체해부 캐릭터에서 레이어 그룹을 선택하되 선택된 레이어 그룹에서 신체 레이어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차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캐릭터 차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BODY INFORMATION SMART CHART BASED ON IOT AND HEALTH CARE METHOD USING THEHROF}
본 발명은 스마트 차트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신체정보 스마트 차트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의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복지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첨단 IT 기술을 활용한 의료서비스를 바탕으로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국민들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치료 위주의 공급자 중심 서비스를 예방적 건강관리와 웰니스(wellness) 위주의 수요자 중심의 능동적 서비스로 보건의료서비스의 그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현재까지에는 보건의료서비스가 과거의 단순 처치에 국한되어 있고, 농촌지역의 접근성 저하, 질환관리 중심의 관리 등의 문제로 능동적 서비스로 변환하는데 그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패러다임의 움직임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IT 기술을 기반으로 보건의료서비스를 확대하는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현재에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바탕으로 국민들의 일반생활에 매우 밀접하게 접근하여 자신의 의료, 복지, 그리고 안전 등을 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헬스케어 서비스가 대두되고 있다
스마트-헬스케어로는 스마트폰의 기능에 맞추어 기초체력 운동 지수, 섭취 칼로리, 심박 체크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이를 보다 보건의료서비스에 특화시켜 원격진료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사용하는 차트는 의사의 편의 위주로 작성되어 환자가 자신의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사는 환자의 이전 진료 기록을 문진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을 뿐이므로 환자의 현재 신체 상태와 과거 진료 이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의료 차트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의사가 직접 이미지를 그리거나 입력해야 하며 환자는 의사가 입력한 의뢰 차트를 이해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해부 캐릭터에 사용자의 몸 상태를 기록함으로써 몸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사의 진료 기록을 함께 표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건강을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신속히 파악하여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응급조치를 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를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은 사물 인터넷 센서를 이용하여 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싱 단계와, 센싱된 데이터를 스마트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와 전송된 데이터가 정상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신체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화면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는 알람 생성 단계와, 및 신체해부 캐릭터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레이어 그룹 중에서 원하는 신체 기관의 레이어 그룹을 선택하여 표시하여 레이어 선택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센싱 단계는 상기 사물 인터넷 센서에 의하여 센싱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신체해부 캐릭터에 센싱 대상인 신체 기관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어 선택 단계는 중첩된 레이어 그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레이어 그룹을 선택하여 표시하는 레이어 그룹 선택 단계와 선택된 상기 레이어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신체 레이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신체 레이어 세분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어 그룹 선택 단계는 터치된 지점을 제1방향으로 움직일 때 아래의 레이어 그룹을 선택하고, 터치된 지점을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움직일 때 위의 레이어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 생성 단계는 신체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단계와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알람 메세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없는 경우, 구조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조 요청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 요청 단계는 등록된 휴대전화 또는 일반전화에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는 인간의 신체 기관 이미지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신체 레이어로 이루어진 레이어 그룹들을 갖는 신체해부 캐릭터와, 상기 사물 인터넷 센서로부터 전송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신체해부 캐릭터에 센싱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신체해부 캐릭터에서 레이어 그룹을 선택하되 선택된 레이어 그룹에서 신체 레이어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차트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트 제어부는 중첩된 레이어 그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레이어 그룹을 선택하는 레이어 그룹 선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레이어 그룹 선택 모듈은 선택된 레이어 그룹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트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레이어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신체 레이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레이어 그룹 세분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캐릭터 차트는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람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람 생성부는 신체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모듈과,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알람 메세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없는 경우, 구조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조 요청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해부 캐릭터에 사용자의 몸 상태를 기록함으로써 몸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사의 진료 기록을 함께 표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신속히 파악하여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신체 기관이 레이어 그룹으로 이루어지고 레이어 그룹을 구성하는 각 신체 레이어를 분리하여 표시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신체 기관을 보다 자세히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차트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차트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캐릭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캐릭터 차트의 신체 레이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캐릭터 차트의 레이어 그룹에서 신체 레이어를 분리하여 본 것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캐릭터 차트에서 단면을 형성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차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차트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차트 시스템(100)은 신체의 상태를 측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물 인터넷 센서(20)와, 사물 인터넷 센서(20)로부터 전달된 센싱 데이터를 신체해부 캐릭터(15)에 표시하는 스마트 캐릭터 차트(10)를 포함한다.
사물 인터넷 센서(20)는 사람의 몸에 부착하거나 사람의 몸과 접촉하는 물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사물 인터넷 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와 같이 손목에 착용하는 기기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물 인터넷 센서는 소파, 침대, 의자, 변기 등에 가구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람이 생활하는 동안 몸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센서(20)는 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21)와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전달하는 센서 통신부(23)를 포함한다. 측정부(21)는 사람의 체온, 맥박, 혈압, 혈당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 통신부(23)는 측정부(21)에서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서버 또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30)로 전송한다. 센서 통신부(23)는 근거리 통신(NFC), 와이파이(WiFi), 적외선 통신(IR), 블루투스(Bluetooth), 와이브로(WIBRO), 엘티이(LTE), W-CDMA 등의 통신 방법으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차트 시스템(100)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서버(4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서버(40)는 저장부(41)와 서버 통신부(42)를 포함한다. 저장부(41)는 스마트 캐릭터 차트(10) 또는 사물 인터넷 센서(20)로부터 전달된 센싱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41)는 의사가 입력한 진료 정보를 저장한다. 서버 통신부(42)는 스마트 캐릭터 차트(10) 또는 사물 인터넷 센서(2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스마트 캐릭터 차트(10)로 정보를 전달한다.
스마트 캐릭터 차트(10)는 인간의 신체 내부를 그래픽으로 나타낸 신체해부 캐릭터(15), 사물 인터넷 센서(2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차트 통신부(11), 센싱 데이터에서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판단부(12),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람 생성부(13), 및 신체해부 캐릭터에서 레이어 그룹을 선택하되 선택된 레이어 그룹에서 신체 레이어(71)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차트 제어부(14)를 포함한다.
차트 통신부(11)는 사물 인터넷 센서(2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서버(40)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트 통신부(11)는 스마트 캐릭터 차트(10)에 저장된 정보를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물 인터넷 센서(20)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맥박을 다시 재고 싶은 경우에 스마트 모바일 기기(30)에 명령을 입력하면 차트 통신부(11)는 제어 신호를 사물 인터넷 센서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해부 캐릭터(15)는 3차원 그래픽으로 구성되며, 신체의 뼈대구조, 근육구조, 소화계, 혈관계, 호흡계, 신경계 등의 구조를 표시한다. 신체해부 캐릭터(15)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30), PC, 스마트 TV 등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확대, 축소,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신체해부 캐릭터(15)는 구글 신체 브라우저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신체해부 캐릭터(15)는 구글 신체 브라우저와 달리 복수 개의 신체 레이어(72a)로 이루어진 레이어 그룹(72)을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신체 기관은 하나의 레이어 그룹(72)으로 표시되며 하나의 레이어 그룹(72)은 복수 개의 신체 레이어들(72a)로 이루어진다. 또한 신체 레이어들(72a)은 하나의 기관의 각 부분을 나타내는데, 하나의 기관을 나타내는 신체 레이어들(72a)은 중첩 배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를 표시하는 레이어 그룹(72)인 경우, 표피, 진피, 내피를 나타내는 각각의 신체 레이어들(72a)이 레이어 그룹(72)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내장기관을 나타내는 레이어 그룹(72)의 경우 내장의 외부와 내부 및 외부 와 내부의 각 층들을 나타내는 신체 레이어들(72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체해부 캐릭터(15)를 구성하는 레이어 그룹들(72)은 피부를 표시하는 레이어 그룹, 각 근육조직을 표시하는 레이어 그룹, 각각의 뼈를 표시하는 레이어 그룹, 장기를 표시하는 레이어 그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어 그룹들(72)은 프레임 또는 페이지로 이루어진 베이스(71) 상에 배치된다.
신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신체 기관(organization)은 하나의 레이어 그룹(72)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신체 레이어들(72) 중 일부는 중첩 배치되고 일부는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신체 레이어(72a)에는 신체의 특이점을 표시하는 데이터 신체 레이어가 결합될 수 있다. 데이터 신체 레이어는 해당 신체 기관의 신체 레이어에 링크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해당 신체 기관을 선택하였을 때 데이터 신체 레이어를 호출하여 해당 신체 기관의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신체 레이어는 신체의 이상유무뿐만 아니라 의사의 진료결과도 포함한다.
이상 판단부(12)는 사물 인터넷 센서(20)로부터 전달된 센싱 데이터를 정상 범위 데이터와 비교하여 전송된 데이터가 정상범위 이내인지 아니면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정상 범위 데이터는 신체의 시그널이 정상적인 범위임을 나타내는 기 설정된 신체 정보 데이터이다.
알람 생성부(13)는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데, 신체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알람 메시지(77)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모듈(13a)과,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알람 메세지(77)에 대한 확인 입력이 없는 경우 구조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조 요청 모듈(13b)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 판단부(12)에서 신체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메시지 생성 모듈(13a)에서 알람 메시지(77)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메시지 생성 모듈(13a)은 알람 메시지(77)의 생성과 함께 진동 또는 소리로 알람 메시지(77)가 생성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알람 메시지(77)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30)의 화면에 나타나며 사용자가 메시지에 대한 확인을 입력할 수 있도록 버튼을 갖는다.
구조 요청 모듈(13b)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30)에 등록된 휴대전화 또는 일반전화에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구조 요청 모듈(13b)은 이메일 발송을 통해서 구조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족 또는 병원 등의 전화번호를 미리 등록할 수 있으며 특히, 응급상황센터, 병원 등의 전화번호가 자동으로 등록될 수 있다. 또한, 구조 요청 모듈(13b)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30)에 저장된 GPS 위치 정보를 읽고 GPS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심장마비, 뇌출혈 등으로 사용자에게 심각한 위험이 발생하여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연락을 취할 수 없으므로 사물 인터넷 센서(20)가 이를 인지하고 구조 요청 모듈(13b)이 구조 요청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GPS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를 신속하게 병원으로 이송할 수 있다.
차트 제어부(14)는 레이어 그룹 선택 모듈(14a), 레이어 그룹 세분화 모듈(14b), 단면 생성 모듈(14c), 스캔 표시 모듈(14d)을 포함한다. 레이어 그룹 선택 모듈(14a)은 중첩된 레이어 그룹들(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데, 레이어 그룹 선택 모듈(14a)은 선택된 레이어 그룹을 화면에 표시한다. 레이어 그룹 선택 모듈(14a)은 터치 또는 마우스, 키보드의 조작으로 신호가 입력될 때, 레이어 그룹(72)을 선택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레이어 그룹(72)은 중첩 배치되는데, 하나의 지점을 터치하면 제일 상부에 배치된 레이어 그룹(72)이 선택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레이어 그룹 선택 모듈(14a)은 하부에 배치된 레이어 그룹(72)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데, 터치된 지점을 하부로 이동시킬 때에는 최초 터치된 지점에서 아래의 레이어 그룹(72)을 선택하고, 터치된 지점을 상부로 움직일 때에는 최초 터치된 지점에서 상부에서 위치하는 레이어 그룹(72)을 선택한다. 즉, 터치 지점을 아래로 이동시킬수록 선택되는 아래의 레이어 그룹(72)이 선택되도록 하고, 터치 지점을 위로 이동시킬수록 위쪽의 레이어 그룹(72)이 선택되도록 한다.
또한 레이어 그룹 선택 모듈(14a)은 터치 지점 또는 커서의 이동에 따라 선택된 신체 기관을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심장에서 터치를 시작해서 아래로 내리면 피부에서 근육, 갈비뼈, 심장, 간 순으로 화면에 표시를 하고 터치 또는 커서의 이동을 멈추면 선택된 신체 기관의 레이어 그룹(72)에 결합된 데이터 신체 레이어를 로딩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레이어 그룹 세분화 모듈(14b)은 레이어 그룹(72)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신체 레이어들(72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한다. 레이어 그룹(72)은 하나의 신체 기관을 나타내고 레이어 그룹(72)을 구성하는 신체 레이어들(72a)은 신체 기관을 구성을 부분을 표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어 그룹(72)을 선택한 후, 책장을 넘기듯이 화면을 터치하여 옆으로 이동시키면 상부에 배치된 신체 레이어(72a)를 벗겨서 하부에 배치된 신체 레이어(72a)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어 그룹(72)을 세분화하여 표시하면 하나의 신체 기관을 보다 자세히 표시하고 이에 대한 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생성 모듈(14c)은 사용자가 형성하는 선을 따라 신체 기관(75)의 단면(75a)을 화면에 표시한다. 단면 생성 모듈(14c)은 신체의 기관(75)을 가로지리는 방향으로 터치 지점을 이동시킬 때 기관의 단면(75a)을 형성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스캔 표시 모듈(14d)은 사물 인터넷 센서(20)에 의하여 센싱이 이루어지는 동안 신체해부 캐릭터(15)에 센싱 대상인 신체 기관을 표시한다. 사물 인터넷 센서(20)가 심박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심장에 깜박임 표현을 부여하거나 심장의 주변에 라인을 형성하여 스캔 표시 모듈(14d)은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방법은 사물 인터넷 센서를 이용하여 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싱 단계(S101)와 센싱된 데이터를 스마트 모바일 기기(30)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S102)와 전송된 데이터가 정상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S103)와, 신체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화면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는 알람 생성 단계(S104)와, 및 신체해부 캐릭터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레이어 그룹 중에서 원하는 신체 기관의 레이어 그룹을 선택하여 표시하여 레이어 선택 단계(S105)를 포함한다.
센싱 단계(S101)는 사물 인터넷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온, 맥박, 혈압, 혈당 등을 측정한다. 또한 센싱 단계(S101)는 사물 인터넷 센서에 의하여 센싱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신체해부 캐릭터에 센싱 대상인 신체 기관을 표시한다. 센싱 단계(S101)에서 스캔 표시 모듈(14d)은 사물 인터넷 센서(20)에 의하여 센싱이 이루어지는 동안 신체해부 캐릭터(15)에 센싱 대상인 신체 기관을 표시한다. 센싱 단계(S101)는 사물 인터넷 센서(20)가 심박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심장에 깜박임 표현을 부여하거나 심장의 주변에 라인을 형성하여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표시한다.
데이터 전송 단계(S102)는 사물 인터넷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서버 또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30)로 전송한다. 스마트 모바일 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의 전송은 센서 통신부(23)에서 이루어지며, 근거리 통신(NFC), 와이파이(WiFi), 적외선 통신(IR), 블루투스(Bluetooth), 와이브로(WIBRO), 엘티이(LTE) 등의 통신 방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판단 단계(S103)에서 이상 판단부(12)는 사물 인터넷 센서(20)로부터 전달된 센싱 데이터를 정상 범위 데이터와 비교하여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정상 범위 데이터는 신체의 시그널이 정상적인 범위임을 나타내는 기 설정된 신체 정보 데이터이다.
알람 생성 단계(S104)는 신체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단계와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알람 메세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없는 경우, 구조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조 요청 단계를 포함한다.
메시지 생성 단계에서 메시지 생성 모듈(13a)은 이상 판단부(12)에서 신체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알람 메시지(77)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메시지 생성 단계는 알람 메시지(77)의 생성과 함께 진동 또는 소리로 알람 메시지(77)가 생성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구조 요청 단계에서 구조 요청 모듈(13b)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30)에 등록된 휴대전화 또는 일반전화에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한다.
레이어 선택 단계(S105)는 중첩된 레이어 그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레이어 그룹을 선택하여 표시하는 레이어 그룹 선택 단계와 선택된 상기 레이어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신체 레이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신체 레이어 세분화 단계를 포함한다.
신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신체 기관(organization)은 하나의 레이어 그룹(72)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레이어 그룹들(72) 중 일부는 중첩 배치되고 일부는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어 그룹(72)에는 신체의 특이점을 표시하는 데이터 신체 레이어가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레이어 그룹 선택 단계는 하부에 배치된 레이어 그룹(72)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데, 터치된 지점을 하부로 이동시킬 때에는 최초 터치된 지점에서 아래의 레이어 그룹(72)을 선택하고, 터치된 지점을 상부로 움직일 때에는 최초 터치된 지점에서 상부에서 위치하는 레이어 그룹(72)을 선택하도록 한다.
즉, 터치 지점을 아래로 이동시킬수록 선택되는 아래의 레이어 그룹(72)이 선택되고, 터치 지점을 위로 이동시킬수록 위쪽의 레이어 그룹(72)이 선택된다. 또한 레이어 그룹 선택 단계는 터치 지점 또는 커서의 이동에 따라 선택된 신체 기관을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심장에서 터치를 시작해서 아래로 내리면 피부에서 근육, 갈비뼈, 심장, 간 순으로 화면에 표시를 하고 터치 또는 커서의 이동을 멈추면 선택된 신체 기관의 신체 레이어에 결합된 데이터 신체 레이어를 로딩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신체 레이어 세분화 단계에서 레이어 그룹 세분화 모듈(14b)은 레이어 그룹(72)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신체 레이어들(72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한다. 레이어 그룹(72)은 하나의 신체 기관을 나타내고 레이어 그룹(72)을 구성하는 신체 레이어들(72a)은 신체 기관을 구성을 부분을 표시한다. 신체 레이어 세분화 단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어 그룹(72)을 선택한 후, 책장을 넘기듯이 화면을 터치하여 옆으로 이동시키면 상부에 배치된 신체 레이어(72a)를 벗겨서 하부에 배치된 신체 레이어(72)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레이어 그룹(72)을 세분화하여 표시하면 하나의 신체 기관을 보다 자세히 표시하고 이에 대한 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스마트 차트 시스템
10: 스마트 캐릭터 차트
11: 차트 통신부
12: 이상 판단부
13: 알람 생성부
13a: 메시지 생성 모듈
13b: 구조 요청 모듈
14: 차트 제어부
14a: 레이어 그룹 선택 모듈
14b: 레이어 그룹 세분화 모듈
14c: 단면 생성 모듈
14d: 스캔 표시 모듈
15: 신체해부 캐릭터
20: 사물 인터넷 센서
21: 측정부
23: 센서 통신부
30: 스마트 모바일 기기
40: 서버
41: 저장부
42: 서버 통신부
71: 베이스
72: 레이어 그룹
72a: 신체 레이어
75: 신체 기관
75a: 단면
77: 알람 메세지

Claims (10)

  1. 사물 인터넷 센서를 이용하여 신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싱 단계;
    센싱된 데이터를 스마트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
    전송된 데이터가 정상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신체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화면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는 알람 생성 단계;
    신체해부 캐릭터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레이어 그룹 중에서 원하는 신체 기관의 레이어 그룹을 선택하여 표시하여 레이어 선택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를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
  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단계는 상기 사물 인터넷 센서에 의하여 센싱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신체해부 캐릭터에 센싱 대상인 신체 기관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를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선택 단계는 중첩된 레이어 그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레이어 그룹을 선택하여 표시하는 레이어 그룹 선택 단계와 선택된 상기 레이어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신체 레이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신체 레이어 세분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를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그룹 선택 단계는 터치된 지점을 제1방향으로 움직일 때 아래의 레이어 그룹을 선택하고, 터치된 지점을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움직일 때 위의 레이어 그룹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를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생성 단계는 신체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단계와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알람 메세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없는 경우, 구조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조 요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를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요청 단계는 등록된 휴대전화 또는 일반전화에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를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
  7. 인간의 신체 기관 이미지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신체 레이어로 이루어진 레이어 그룹들을 갖는 신체해부 캐릭터;
    상기 사물 인터넷 센서로부터 전송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신체해부 캐릭터에 센싱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신체해부 캐릭터에서 레이어 그룹을 선택하되 선택된 레이어 그룹에서 신체 레이어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차트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차트 제어부는 중첩된 레이어 그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레이어 그룹을 선택하는 레이어 그룹 선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레이어 그룹 선택 모듈은 선택된 레이어 그룹을 화면에 표시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차트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레이어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신체 레이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레이어 그룹 세분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캐릭터 차트는 신체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람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람 생성부는 신체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모듈과, 기 설정된 기간 내에 알람 메세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없는 경우, 구조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조 요청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
KR1020140082408A 2014-07-02 2014-07-02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 시스템 KR20160004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408A KR20160004436A (ko) 2014-07-02 2014-07-02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408A KR20160004436A (ko) 2014-07-02 2014-07-02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436A true KR20160004436A (ko) 2016-01-13

Family

ID=5517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408A KR20160004436A (ko) 2014-07-02 2014-07-02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4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1842B2 (en) 2016-12-15 202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portable termina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1842B2 (en) 2016-12-15 202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portable termina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5826B2 (ja) プラットフォーム非依存のリアルタイム医療データ表示システム
Bitterman Design of medical devices—A home perspective
US8766789B2 (en) First emergency response device
JP2012086013A (ja) 高度機能を持つグラフィカル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付きの病院用ベッド
JP2013158415A (ja) 血圧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血圧測定装置
US201902969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patient communication
TW200918014A (en) A telemedicine device and system
Triantafyllidis et al. Supporting heart failure patients through personalized mobile health monitoring
KR101664181B1 (ko) 스마트 캐릭터 차트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
KR101769496B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신체정보 스마트 차트 시스템
WO2018144893A2 (en) Wireless digital blood pressure device and system
KR20160004436A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차트 시스템
KR20160004418A (ko) 스마트 차트 시스템을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
KR101252654B1 (ko) 자가진단 건강관리 방법
KR101769504B1 (ko) 스마트 캐릭터 차트를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
KR101664151B1 (ko)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신체정보 스마트 차트 시스템
KR101769489B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신체정보 스마트 차트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
KR101769486B1 (ko) 스마트 캐릭터 차트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
KR101727195B1 (ko)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신체정보 스마트 차트 시스템
KR101769501B1 (ko)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신체정보 스마트 차트 시스템
JP2016186771A (ja) 健康管理システム
KR20160004426A (ko) 스마트 차트를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
KR101664168B1 (ko)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 차트 시스템
McCullagh et al. Promoting behaviour change in long term conditions using a self-management platform
Armentano et al. Multidisciplinary, holistic and patient specific approach to follow up elderly adu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