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766A -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766A
KR20180068766A KR1020160170752A KR20160170752A KR20180068766A KR 20180068766 A KR20180068766 A KR 20180068766A KR 1020160170752 A KR1020160170752 A KR 1020160170752A KR 20160170752 A KR20160170752 A KR 20160170752A KR 20180068766 A KR20180068766 A KR 20180068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lectric vehicle
charging terminal
charging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석
Original Assignee
장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원석 filed Critical 장원석
Priority to KR1020160170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8766A/ko
Publication of KR20180068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11/1827
    • B60L11/18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선을 이용하는 기존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감전, 합선 등의 안전사고 위험성과 충전 시마다 수동으로 차량을 충전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는, 지면과 접하는 하부면과 전기자동차 하부를 향하는 상부면으로 이루어지며 주차 방지턱(bump) 형상을 갖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의 차폭을 감지하는 차폭감지센서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부; 상기 충전단자부를 상기 케이싱부 상부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구동부 및 상기 충전단자부 및 상하 구동 수단이 상기 케이싱부의 상부면 상을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케이싱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평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신체접촉이 있는 수동충전에 따른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충전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충전 시 마다 사용자의 행위가 필요한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AUTOMATIC CHARGING APPARATUS OF BUMP TYPE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안전사고 위험성을 개선하고 사용자가 주차만 하면 수동 조작 없이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 특히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다수의 국가가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에 대한 기후변화협약을 이행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논의에서 지구온난화의 원인은 이산화탄소 발생의 증가이며 이산화탄소의 증가는 자동차에서 내뿜는 탄소가 주범으로 지적된 바가 있다.
탄소배출 규제 정책에 따라 자동차 업계에 석유를 기반으로 한 자동차는 연료 효율을 높이고 탄소 배출 감소를 요구하게 되었으며, 이에 전기에 의해 자동차를 이동시키고, 배기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전기자동차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수요 또한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를 운행시키는 전기 모터는 현재 기술로는 주행 중 전기 에너지를 과도하게 소모하므로, 배터리를 일회 충전시, 주행할 수 있는 거리는 일반 자동차에 비해 짧은 문제점이 있고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작업을 자주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일반 자동차에 연료를 급유하는 시간에 비해 상당히 오래 소요되므로 전기자동차의 충전은 전기자동차가 주행하지 않는 주차된 시간 동안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래의 전기자동차 충전 장치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9742호(2013. 09. 06 공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장치 각각이 전기자동차와 일대일로 연결되고, 충전 커넥터를 직접 사람이 수동으로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충전이 완료된 후에도 충전 커넥터를 사용자가 분리하여 다음 충전 차량을 연결해야 하므로 충전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전기자동차의 충전방식은 충전기의 충전선이 존재함으로 발생 할 수 있는 감전, 합선 등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전기자동차가 주차되면 자동으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390298호(전기자동차의 무인 충전 시스템 및 방법) 발명은, 비접촉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하여 충전장치 근처에 전기자동차가 근접하면 자동으로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 종래 기술은 비용이 많이 들고 충전효율이 낮은 비접촉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9742호 2. 한국등록특허 제10-1390298호
본 발명은 충전선을 이용하는 기존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감전, 합선 등의 안전사고 위험성과 충전 시마다 수동으로 차량을 충전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고, 기존 주차장의 주차면에 충전기 설치 시 추가공사나 변형 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있는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는, 지면과 접하는 하부면과 전기자동차 하부를 향하는 상부면으로 이루어지며 주차 방지턱(bump) 형상을 갖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의 차폭을 감지하는 차폭감지센서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부; 상기 충전단자부를 상기 케이싱부 상부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구동부 및 상기 충전단자부 및 상하 구동 수단이 상기 케이싱부의 상부면 상을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케이싱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평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단자부는, 회전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에 연결되기 위한 회전 수단과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 위치 감지를 위한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케이싱부 및 제2 케이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폭감지센서부는, 상기 제1 케이싱부에 설치되는 제1 차폭감지센서부와 상기 제2 케이싱부에 설치되는 제2 차폭감지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 구동부는, 상기 제1 케이싱부에 설치되는 제1 평면 구동부와 상기 제2 케이싱부에 설치되는 제2 평면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제1 평면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 상하 구동부와 상기 제2 평면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2 상하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단자부는, 상기 제1 상하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 충전단자부와 상기 제2 상하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2 충전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폭감지센서부는, 상기 케이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폭감지센서부는, 상기 케이싱부의 일측면과 상부면 사이의 경계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폭감지센서부는, 상기 케이싱부 주위에 위치되는 상기 전기자동차 바퀴의 유무를 센싱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차폭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제어방법은, 방지턱 형상을 가지는 케이싱부 및 상기 케이싱부에 전기자동차 충전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 차폭을 감지하는 제1 단계; 상기 케이싱부 상부에 구비된 충전단자부를 상기 차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단자 방향으로 평면 이동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충전단자부를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단자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충전단자부에 구비된 위치감지센서를 통해 위치보정과정을 수행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충전단자부를 회전시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단자에 연결시키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신체접촉이 있는 수동충전에 따른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충전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충전 시 마다 사용자의 행위가 필요한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차 방지턱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사용자는 기존 주차장에 주차만 하면 자동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므로 고전적인 충전 방식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의 설치 예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의 다른 설치 예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의 구성을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제어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함께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의 적용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의 설치 예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의 다른 설치 예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100)는 전기자동차(1)에 연결되어 자동으로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전기자동차(1) 후단의 하부에 형성되는 충전단자에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100)가 연결되어 자동 충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의 도시 내용과 달리 전기자동차(1)의 전단의 하부에 충전단자가 있는 경우에는 전기자동차(1)의 전방이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100) 방향으로 향하여 자동 충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주차 방지턱(bump) 형태로 주차장 등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마주보는 주차 방지턱 형태로 주차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100)의 형태는 정형적인 전기자동차(100)에 적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 전기자동차(100)의 형태 변화에 따라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도 4 내지 도 5를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의 구성을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는 도 3에 도시된 타입(한 쌍의 마주보는 주차 방지턱 형상 타입)이 적용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는 제1 충전장치(100-1)와 제2 충전장치(100-2)를 포함하고, 제1 충전장치(100-1)에는 제1 케이싱부(10-1), 제1 차폭감지센서(20-1), 제1 충전단자부(30-1), 제1 평면 구동부(40-1) 및 제1 상하 구동부(50-1)가 구비된다.
또한, 제2 충전장치(100-2)에는 제2 케이싱부(10-2), 제2 차폭감지센서(20-2), 제2 충전단자부(30-2), 제2 평면 구동부(40-2) 및 제2 상하 구동부(50-2)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케이싱부(10-1) 및 제2 케이싱부(10-2)를 포함하는 케이싱부(10)는 지면과 접하는 하부면과 전기자동차 하부를 향하는 상부면으로 이루어지며 주차 방지턱(bump) 형상을 갖는다. 즉, 케이싱부(10)는 기본적으로 방지턱 형상을 가지면서 소정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싱부(10)의 형상은 전기자동차가 주차하는 공간에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기존의 주차 방지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또한 내부의 여러 구성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1 차폭감지센서부(20-1)와 제2 차폭감지센서부(20-2)를 포함하는 차폭감지센서부(20)는 기본적으로 케이싱부(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전기자동차의 차폭을 감지한다. 즉, 기본적으로 전기자동차에 형성된 충전단자는 하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소정 위치는 각 전기자동차가 가지는 차폭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차폭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차폭감지센서부(20)는 케이싱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차폭감지센서부(20)는 케이싱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차폭의 양 끝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결국 정확한 전기자동차의 차폭을 감지할 수 게 된다.
또한, 차폭감지센서부(20)는 적외선감시센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데 주차하는 전기자동차를 향하여 적외선을 조사하고 반사된 적외선 유무를 기준으로 충전 대상인 전기자동차의 차폭을 감지(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최적 적용을 위해서 상기에서 언급한 차폭감지센서부(20)는 케이싱부(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차폭감지센서부(20)는 케이싱부(10)의 일측면과 상부면 사이의 경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차폭감지센서부(20)는 충전 대상인 전기자동차가 진입하는 방향(경계면은 전기자동차가 진입하는 방향을 향함)으로 감지를 수행하여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차폭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차폭감지센서부(20)는 케이싱부(10) 주위에 위치되는 전기자동차 바퀴(3-1, 3-2)의 유무를 센싱하여 전기자동차의 차폭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폭감지센서부(20)는 제1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100-1)과 제2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100-2)의 각각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전기자동차의 바퀴를 센싱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차폭을 감지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의 차폭은 두 바퀴(3-1, 3-2)의 폭과 비례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두 바퀴(3-1, 3-2) 사이의 간격을 센싱함으로써 차폭이 얼마인지를 감지(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충전단자부(30-1) 및 제2 충전단자부(30-2)를 포함하는 충전단자부(30)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 충전단자부(30)가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와 정확하게 연결 또는 결합되어야 전력 손실 없이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질 있다.
또한, 충전단자부(30)는 회전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회전 동작은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에 정확하게 연결되기 위함으로, 이러한 회전 동작을 위한 회전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충전단자부(30)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를 위해 위치감지센서를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충전단자부(30)가 전기자동차 충전단자에 근접했을 때 보다 정확한 연결을 위해 별도로 구비된 위치감지센서의 측정값에 기반하여 미세한 이동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평면 구동부(40-1) 및 제2 평면 구동부(40-2)를 포함하는 평면 구동부(40)는, 충전단자부(30) 및 상하 구동 수단(50)이 케이싱부(10)의 상부면 상을 이동하도록 하며 케이싱부(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평면 구동부(40)는 충전단자부(30) 및 상하 구동 수단(50)이 1차적으로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면과 평행한 수평 이동(동서남북 방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평면 구동부(40)는 케이싱부(10)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거나, 상부면 아래 또는 위에 설치되어 상부면과 평행을 유지하면서 슬라이딩(SLIDING)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단자부(30) 및 상하 구동부(50)을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상하 구동부(50-1) 및 제2 상하 구동부(50-2)를 포함하는 상하 구동부(50)는, 충전단자부(30)를 케이싱부(10) 상부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상하 구동부(50)는 평면 구동부(40)에 의해 전기자동차 충전단자 쪽으로 이동한 충전단자부(30) 및 상하 구동부(50)를 2차적으로 전기자동차 충전단자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하 구동부(50)는 충전단자부(30)가 전기자동차 충전단자를 바라보는 상태에서 케이싱부(10) 상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기자동차 충전단자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제어방법에 대해 도 6을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제어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차폭감지센서부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차폭을 감지하고(제1 단계, S61), 그런 뒤 케이싱부 상부에 구비된 충전단자부를 차폭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 방향으로 평면 이동시키고(제2 단계, S62), 그리고 충전단자부를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킨다(제3 단계, S63). 또한, 충전단자부에 구비된 위치감지센서를 통해 위치보정과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한 뒤(제4 단계, S64), 충전단자부를 회전시켜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에 연결하여 충전을 수행한다(제5 단계, S65).
상기 제어과정 중에서 각 작동단계의 순서는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전기자동차 사용자의 선택 또는 관리자의 설정 등을 통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들 및 제어동작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는 직접적인 신체 접촉이 없는 방식으로 기존의 급속충전기 충전량(50kw)의 용량을 대폭 증가 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살펴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 7 내지 도 11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 부호는 도 1 내 도 5에 표시된 도면 부호에 상응하므로 별도로 표시하지 아니한다.
도 7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자동 충전장치에 케이싱부(10), 차폭감지센서부(20), 충전단자부(30), 평면 구동부(40) 및 상하 구동부(50)가 각각 1개만 구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두 개의 케이싱부(10-1, 10-2) 중 어느 하나에만 차폭감지센서부(20), 충전단자부(30), 평면 구동부(40) 및 상하 구동부(50)가 구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8의 실시예는 어느 하나의 케이싱부에만 상기 장치들을 구비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또한, 도 9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싱부(10)에 3개의 충전단자부(30), 평면 구동부(40) 및 상하 구동부(50)가 구비되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또한, 도 10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두 개의 케이싱부(10-1, 10-2)에 각각 차폭감지센서부(20), 충전단자부(30), 평면 구동부(40) 및 상하 구동부(50)를 구비하면서 어느 한 케이싱부에 추가적으로 충전단자부(30), 평면 구동부(40) 및 상하 구동부(50)를 하나 더 구비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또한,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반적 적용예를 도시한 것인데, 하나의 케이싱부(10)에 복수 개(N개)의 충전단자부(30), 평면 구동부(40) 및 상하 구동부(50)가 구비되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즉, 도 11의 실시예는 하나의 케이싱부(10)로 이루어진 충전장치에 복수 개의 장치들(충전단자부(30), 평면 구동부(40) 및 상하 구동부(50))이 구비될 수 있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지턱형을 가지면서 전기자동차를 효과적으로 충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들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위에서 살펴 본 실시예들의 범위로만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소간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 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할 것이다.
1 : 전기자동차 3 : 바퀴
10 : 케이싱부 20 : 차폭감지센서부
30 : 충전단자부 40 : 평면 구동부
50 : 상하 구동부 60 : 완속-급속 충전장치
100 :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Claims (7)

  1. 지면과 접하는 하부면과 전기자동차 하부를 향하는 상부면으로 이루어지며 주차 방지턱(bump) 형상을 갖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의 차폭을 감지하는 차폭감지센서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부;
    상기 충전단자부를 상기 케이싱부 상부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구동부 및
    상기 충전단자부 및 상하 구동 수단이 상기 케이싱부의 상부면 상을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케이싱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평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자부는, 회전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에 연결되기 위한 회전 수단과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 위치 감지를 위한 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케이싱부 및 제2 케이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폭감지센서부는, 상기 제1 케이싱부에 설치되는 제1 차폭감지센서부와 상기 제2 케이싱부에 설치되는 제2 차폭감지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 구동부는, 상기 제1 케이싱부에 설치되는 제1 평면 구동부와 상기 제2 케이싱부에 설치되는 제2 평면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제1 평면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 상하 구동부와 상기 제2 평면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2 상하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단자부는, 상기 제1 상하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 충전단자부와 상기 제2 상하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2 충전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폭감지센서부는, 상기 케이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폭감지센서부는, 상기 케이싱부의 일측면과 상부면 사이의 경계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폭감지센서부는, 상기 케이싱부 주위에 위치되는 상기 전기자동차 바퀴의 유무를 센싱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차폭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7. 방지턱 형상을 가지는 케이싱부 및 상기 케이싱부에 전기자동차 충전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 차폭을 감지하는 제1 단계;
    상기 케이싱부 상부에 구비된 충전단자부를 상기 차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단자 방향으로 평면 이동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충전단자부를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단자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충전단자부에 구비된 위치감지센서를 통해 위치보정과정을 수행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충전단자부를 회전시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단자에 연결시키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제어방법.
KR1020160170752A 2016-12-14 2016-12-14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80068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752A KR20180068766A (ko) 2016-12-14 2016-12-14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752A KR20180068766A (ko) 2016-12-14 2016-12-14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766A true KR20180068766A (ko) 2018-06-22

Family

ID=62768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752A KR20180068766A (ko) 2016-12-14 2016-12-14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87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9824A (zh) * 2018-06-24 2018-11-23 费先江 基于车联网技术的新能源汽车电能自动补给方法
KR20220113295A (ko) 2021-02-05 2022-08-12 (주)오디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KR102640251B1 (ko) 2023-11-21 2024-02-23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전기 차량 충전용 스토퍼 및 스토퍼 타입의 전기 차량 충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9742A (ko) 2012-02-29 2013-09-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KR101390298B1 (ko) 2010-12-22 2014-05-02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의 무인 충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298B1 (ko) 2010-12-22 2014-05-02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의 무인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99742A (ko) 2012-02-29 2013-09-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9824A (zh) * 2018-06-24 2018-11-23 费先江 基于车联网技术的新能源汽车电能自动补给方法
KR20220113295A (ko) 2021-02-05 2022-08-12 (주)오디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KR102640251B1 (ko) 2023-11-21 2024-02-23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전기 차량 충전용 스토퍼 및 스토퍼 타입의 전기 차량 충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52415A1 (en) Self-Locating Multi-Coil System for Wireless Vehicle Charging
CN102770302B (zh) 电动车辆充电站以及用于车辆的充电接收装置
JP2018535631A (ja) 車両のための充電デバイス
US20160052414A1 (en) Automatic Self-Locating Transmit Coil for Wireless Vehicle Charging
US20140035565A1 (en) Method for positioning a motor vehicle, system with such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CN106314181A (zh) 一种电动车辆在线快速充电系统和充电方法
KR20180068766A (ko) 방지턱형 전기자동차 자동 충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2755301A1 (en)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for use in mobile body
US20170210238A1 (en) Vehicle Charging Station Comprising A Supply-Contact Device Mounted On An Arm
CN106314180A (zh) 电动车辆反向充电弓在线充电装置的定位系统及调整方法
CN105244933A (zh) 带有电驱动器的能够外部充电的车辆和用于车辆的充电站
CA2955876A1 (en) Vehicle charging station with an articulated arm
US10336204B2 (en) Automatic lateral alignment for wireless charging systems
US9969299B2 (en) Traffic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CN106671811A (zh) 一种用于电动汽车无线充电的精确定位装置及其定位方法
CN104831977A (zh) 一种汽车停车位姿自动调整平台
KR20200075293A (ko) 전기자동차용 인렛과 충전차의 충전 커넥터 결합장치
CN109562693A (zh) 用于对电动车辆充电的装置和检验用于对电动车辆充电的装置与电动车辆之间的接触的方法
KR20110041795A (ko)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의 전기자동차용 집전장치 상하 제어시스템 및 방법
JP6356783B2 (ja) 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を充電する間の誤りを検出する方法及び構造
JP2013062978A (ja) 超急速充電対応電気自動車、及び、そのための超急速充電用ケーブルの支持構造
JP2018085912A (ja) 車両、車両充電装置、車両充電システム及び車両充電方法
EP3141416B1 (en) Fixing device, charging system using the same, fixing method thereof and wheel axis kits thereof
CN108414368A (zh) 一种用于检测充电桩充电接头机械强度的装置
KR20120091910A (ko) 배터리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