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725A -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725A
KR20180068725A KR1020160170692A KR20160170692A KR20180068725A KR 20180068725 A KR20180068725 A KR 20180068725A KR 1020160170692 A KR1020160170692 A KR 1020160170692A KR 20160170692 A KR20160170692 A KR 20160170692A KR 20180068725 A KR20180068725 A KR 20180068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king
map
user
gam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70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8725A/ko
Publication of KR20180068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7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8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assessing skills or for ranking players, e.g. for generating a hall of f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7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data related to game devices or game servers, e.g. configuration data,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6Game information storage, e.g. cartridges, CD ROM's, DVD's, smart cards
    • A63F2300/208Game information storage, e.g. cartridges, CD ROM's, DVD's, smart cards for storing personal settings or data of the p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5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 A63F2300/5546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using player registration data, e.g. identification, account, preferences, game history
    • A63F2300/558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using player registration data, e.g. identification, account, preferences, game history by assessing the players' skills or ra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맵들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랭킹을 제공하는 랭킹 맵으로 선택하는 맵 선택부, 상기 랭킹 맵을 상기 일정 기간 내에 이용한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랭킹을 상기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랭킹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본 발명은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맵을 포함하는 게임에 대하여 특정 맵에 대한 사용자들의 랭킹을 제공하고, 특정 맵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용권을 판매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출시되는 많은 게임들은 플레이의 기반이 되는 맵(map)을 여러 개 제공하고, 사용자는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게임 서비스 공급자는 수익 창출을 위해 복수의 맵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유료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 출시되는 게임들의 대부분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특정 맵에 대하여 게임을 플레이 한 결과를 다른 사용자와 비교함으로써 경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게임 서비스 공급자의 입장에서는 사용자들의 게임 플레이에 대한 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해 어떤 맵을 유료 또는 무료로 제공하고, 어떤 맵에 대해서 경쟁 시스템을 도입할지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제공되는 맵들이 전부 무료이거나 무료의 비중이 지나치게 많으면 수익을 내기 어렵다. 반대로, 제공되는 맵들이 전부 유료이거나 유료의 비중이 지나치게 많으면 사용자가 진입장벽을 높게 느껴서 게임 이용률이 저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동시에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랭킹 경쟁 시스템이 도입되는 맵의 선택 및 맵 이용에 대한 과금 등을 적절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64565호 “모바일 게임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복수의 단말에 대한 순위 정보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 및 그 방법”에서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게임 결과 정보를 획득하여 랭킹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랭킹 제공 방법에 따르면, 랭킹이 제공되는 맵을 특정하지 않고 모든 맵에 대해서 랭킹을 제공하므로 이용되는 맵이 지나치게 넓게 분산되어 각각의 맵에 참여한 사용자의 수가 충분하지 않고, 따라서 사용자의 흥미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흥미를 유발하고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맵들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랭킹을 제공하는 랭킹 맵으로 선택하는 맵 선택부 및 상기 랭킹 맵을 상기 일정 기간 내에 이용한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랭킹을 상기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랭킹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맵들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랭킹을 제공하는 랭킹 맵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랭킹 맵을 상기 일정 기간 내에 이용한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랭킹을 상기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게임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게임 제공 방법은 복수의 맵들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랭킹을 제공하는 랭킹 맵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랭킹 맵을 상기 일정 기간 내에 이용한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랭킹을 상기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르면, 게임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게임 제공 방법은 복수의 맵들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랭킹을 제공하는 랭킹 맵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랭킹 맵을 상기 일정 기간 내에 이용한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랭킹을 상기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 따르면,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맵들에 대해서 랭킹 도전이 가능한 도전 가능 횟수를 결정하는 결정부,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맵에 대한 도전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맵에 도전한 횟수가 이미 상기 도전 가능 횟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도달했다면 상기 사용자가 재도전권을 구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재도전권을 구입했다면 상기 사용자의 도전을 허용하는 이용 제한부 및 상기 맵에 도전한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랭킹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랭킹 제공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측면에 따르면,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맵들에 대해서 랭킹 도전이 가능한 도전 가능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맵들 중 어느 하나의 맵에 대한 도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맵에 도전한 횟수가 이미 상기 도전 가능 횟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도전 가능 횟수에 도달했다면, 상기 사용자가 재도전권을 구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재도전권을 구입했다면, 상기 사용자의 도전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맵에 도전한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랭킹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측면에 따르면, 게임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게임 제공 방법은 복수의 맵들에 대해서 랭킹 도전이 가능한 도전 가능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맵들 중 어느 하나의 맵에 대한 도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맵에 도전한 횟수가 이미 상기 도전 가능 횟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도전 가능 횟수에 도달했다면, 상기 사용자가 재도전권을 구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재도전권을 구입했다면, 상기 사용자의 도전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맵에 도전한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랭킹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측면에 따르면, 게임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게임 제공 방법은 복수의 맵들에 대해서 랭킹 도전이 가능한 도전 가능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맵들 중 어느 하나의 맵에 대한 도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맵에 도전한 횟수가 이미 상기 도전 가능 횟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도전 가능 횟수에 도달했다면, 상기 사용자가 재도전권을 구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재도전권을 구입했다면, 상기 사용자의 도전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맵에 도전한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랭킹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맵을 포함하는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복수의 맵을 포함하는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특히 기간을 한정하여 랭킹 맵을 선택하고, 랭킹 맵에 참여한 사용자들에게 랭킹을 제공하는 실시예에 관한 개괄도 및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특히 랭킹 맵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을 사용자에게 판매하는 실시예에 관한 개괄도 및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특히 랭킹 맵의 무료 이용 횟수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특히 복수의 맵들 각각에 대해서 도전 가능 횟수를 설정하고, 도전 가능 횟수를 이미 이용한 사용자에게 재도전권을 판매하는 실시예에 관한 개괄도 및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게임 제공 장치(100)는 게임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며, 게임 내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이벤트를 감지하고 기록하여 게임의 시계열적 진행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게임 제공 장치(100)는 기록게임을 제공한다. 여기서, 기록게임은 게임 결과가 특정 기록으로서 산정되고, 게임의 랭킹 또한 기록의 높고 낮음에 따라 결정되는 게임을 의미한다. 기록게임의 일 예로서 레이싱 게임을 들 수 있는데, 레이싱 게임에서는 사용자들이 특정 트랙에 대해서 주행을 완료하면, 사용자들의 주행시간을 비교하여 주행시간이 짧을수록 높은 랭킹을 부여한다. 또는, 레이싱 게임에 있어서 특정 트랙을 주행하는 동안 트랙에 분포된 코인을 획득하고, 주행 완료 후 획득한 코인의 양이 많을수록 높은 랭킹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게임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맵(map)을 포함하는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맵’이란 게임의 배경이 되는 가상의 공간으로, 예를 들어 레이싱 게임의 경주 트랙을 포함하는 각종 게임요소의 집합이 될 수 있다.
게임 제공 장치(100)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단말기로 구현되거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게임 제공 장치(100)가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된다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전자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또한 전자단말기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전자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가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제 3 의 서버(미도시)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전자단말기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게임 제공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맵 선택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맵 선택부(110)는 복수의 맵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랭킹 맵으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랭킹 맵이란 참여한 사용자들에게 랭킹을 제공하는 맵을 의미한다. 즉, 랭킹 맵을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 한 사용자들에게는 랭킹이 제공된다.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하고, 결정된 랭킹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동작은 후술할 랭킹 제공부(12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맵 선택부(110)는 일정한 기간을 한정하여 랭킹 맵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맵 선택부(110)가 일주일을 한정하여 랭킹 맵을 선택하면, 일주일 동안 랭킹 맵을 이용한 사용자들에게 랭킹이 제공되고, 일주일이 경과하면 맵 선택부(110)는 새로운 랭킹 맵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랭킹 맵이 유지되는 기간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맵이 랭킹 맵으로 제공되는 일정 기간 이내에 특정 맵을 이용할 경우에 랭킹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사용자가 특정 맵을 이용하더라도 사용자에게 랭킹을 제공하지 않는다. 다만, 특정 맵이 랭킹 맵으로 제공되는 일정 기간 내라도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특정 맵을 연습용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에게 랭킹이 제공되지 않는다.
맵 선택부(110)는 복수의 맵들의 특성에 기초하여 랭킹 맵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맵 선택부(110)는 사용자들간의 점수 편차(deviation)가 최대인 맵을 랭킹 맵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맵 선택부(110)는 맵의 난이도, 참여도 및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랭킹 맵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맵 선택부(110)는 사용자들의 참여도가 높은 순서대로 랭킹 맵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맵 선택부(110)는 사용자들의 선호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맵들 중에서 무작위로 랭킹 맵을 선택할 수도 있다. 맵 선택부(110)는 그 밖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맵의 특성에 기초하여 랭킹 맵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맵 선택부(110)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랭킹 맵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맵 선택부(110)는 복수의 맵들 중 어느 하나를 랭킹 맵으로 선택하되 한 번 랭킹 맵으로 선택된 맵은 이후로 일정 기간 동안에는 다시 랭킹 맵으로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100)는 랭킹 제공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랭킹 제공부(120)는 랭킹 맵을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 한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하고, 결정된 랭킹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랭킹 제공부(120)는 랭킹 맵을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 한 사용자들의 게임수행기록을 수집하고, 사용자들의 게임수행기록을 비교하여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게임수행기록을 비교하여 랭킹을 결정하는 방식은 게임의 특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싱 게임과 같이 게임수행기록(주행시간)이 짧을수록 유리한 게임이라면, 랭킹 제공부(120)는 게임수행기록이 짧은 순서대로 사용자들의 랭킹을 결정한다. 반대로, 퍼즐 게임과 같이 게임수행기록(누적점수)이 높을수록 유리한 게임이라면, 랭킹 제공부(120)는 게임수행기록이 높은 순서대로 사용자들의 랭킹을 결정한다.
랭킹 제공부(120)는 각 사용자의 게임수행기록을, 각 사용자의 계정을 식별할 수 있는 계정 식별정보와 연관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랭킹 제공부(120)는 각 사용자의 게임수행기록에, 사용자의 계정 식별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이용한 맵의 식별정보를 함께 연관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랭킹 제공부(120)는 상술된 방법에 따라 결정된 사용자들의 랭킹을 각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랭킹 제공부(120)는 랭킹 맵이 제공되는 일정 기간 내에 사용자가 랭킹 맵을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 했다면, 사용자의 계정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랭킹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정 기간을 한정하여 랭킹 맵을 선택하고, 랭킹 맵을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 하는 사용자들에게 다른 사용자들과의 비교를 통해 결정된 랭킹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유료 맵을 일정 기간 동안 무료로 플레이 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유료 맵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높여 매출 증가로 이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100)는 횟수 제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횟수 제한부(130)는 사용자가 맵을 이용하는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맵 선택부(110)가 유료로 제공되는 복수의 맵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맵을 일정 기간을 설정하여 랭킹 맵으로 선택하면, 횟수 제한부(130)는 설정된 일정 기간 내에 사용자가 랭킹 맵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횟수 제한부(130)는 결정부(131) 및 이용 제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부(131)는 랭킹 맵이 제공되는 일정 기간 내에 사용자가 무료로 랭킹 맵을 이용할 수 있는 무료 이용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부(131)가 무료 이용 횟수를 1회로 결정하면, 사용자는 랭킹 맵이 제공되는 기간 내에 랭킹 맵을 1회 무료로 이용하여 랭킹 경쟁에 참여할 수 있고, 초과되는 이용에 대해서는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정부(131)는 랭킹 맵의 특성에 따라 무료 이용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부(131)는 랭킹 맵의 난이도, 참여도 및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무료 이용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정부(131)는 랭킹 맵의 난이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난이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서로 다른 두 설정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랭킹 맵의 난이도가 기준값 미만이라면 결정부(131)는 무료 이용 횟수를 미리 설정된 제1 설정값으로 결정하고, 랭킹 맵의 난이도가 기준값 이상이라면 결정부(131)는 무료 이용 횟수를 미리 설정된 제2 설정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결정부(131)는 랭킹 맵의 난이도가 높을수록 무료 이용 횟수를 더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2 설정값이 제1 설정값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정부(131)는 랭킹 맵에 대한 사용자들의 참여도가 높을수록 무료 이용 횟수를 높게 결정하거나, 랭킹 맵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가 높을수록 무료 이용 횟수를 높게 결정할 수도 있다. 그 밖에도 결정부(131)는 다양한 방식으로 랭킹 맵의 특성에 기초하여 무료 이용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용 제한부(132)는 사용자가 랭킹 맵의 이용을 요청하면, 사용자의 이용 횟수 및 이용권 구입 여부에 따라 랭킹 맵의 이용을 허용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 제한부(132)는 사용자가 랭킹 맵의 이용을 요청하면, 사용자가 이전까지 랭킹 맵을 이용한 횟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횟수가 무료 이용 횟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랭킹 맵을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 하면, 랭킹 맵에 대한 이용 횟수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용 제한부(132)는 사용자가 랭킹 맵을 이용한 횟수가 무료 이용 횟수에 도달하였다면, 사용자가 랭킹 맵에 대한 이용권을 구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용 제한부(132)는 사용자의 계정정보에서 이용권 구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용 제한부(132)는 상술한 판단의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의 랭킹 맵 이용을 허용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랭킹 맵을 이용한 횟수가 무료 이용 횟수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이용 제한부(132)는 사용자의 랭킹 맵 이용을 허용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랭킹 맵을 이용한 횟수가 무료 이용 횟수에 도달했다면 이용 제한부(132)는 사용자의 랭킹 맵 이용을 제한한다. 다만, 사용자가 랭킹 맵에 대한 이용권을 구입했다면 이용 제한부(132)는 사용자의 랭킹 맵 이용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횟수 제한부(130)는 랭킹 맵의 무료 이용을 일정 횟수로 제한하고, 유료로 이용권을 구입한 사용자에게만 제한 없이 랭킹 맵의 이용을 허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유료 이용을 유도하여 수익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따로 랭킹 맵이 선택되지 않고, 복수의 맵들 각각에 대해서 랭킹 경쟁에 도전 가능한 횟수를 제한하고, 도전 가능 횟수를 이미 사용하였으나 재도전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는 재도전권을 판매할 수도 있다. 즉, 횟수 제한부(130)는 복수의 맵들 각각에 대해서 랭킹 경쟁에 도전 가능한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
결정부(131)는 복수의 맵들 각각에 대해서 랭킹 경쟁에 도전 가능한 도전 가능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부(131)가 특정 맵에 대해서 도전 가능 횟수를 3회로 설정하면, 사용자는 특정 맵에 대해서 3회의 한도 내에서 무료로 랭킹 경쟁에 도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특정 맵에 대해서 이미 3회 도전한 후에 한 번 더 도전하기를 원한다면 비용을 지불하고 재도전권을 구입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정부(131)는 복수의 맵들 각각의 특성에 따라서 도전 가능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부(131)는 각 맵의 난이도, 참여도 및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도전 가능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부(131)가 맵의 특성에 기초하여 도전 가능 횟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는 앞서 설명한 무료 이용 횟수의 결정 방식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용 제한부(132)는 사용자가 특정 맵에 대한 랭킹 경쟁에 도전하면, 사용자의 도전 횟수 및 재도전권 구입 여부에 따라 도전을 허용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 제한부(132)는 사용자가 특정 맵에 대한 랭킹 경쟁에 도전하면, 사용자가 특정 맵의 랭킹 경쟁에 도전한 횟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횟수가 도전 가능 횟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용 제한부(132)는 사용자가 특정 맵의 랭킹 경쟁에 도전한 횟수가 도전 가능 횟수에 도달하였다면, 사용자가 재도전권을 구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용 제한부(132)는 상술한 판단의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의 맵 이용을 허용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맵에 도전한 횟수가 도전 가능 횟수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이용 제한부(132)는 사용자의 특정 맵 이용을 허용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특정 맵에 도전한 횟수가 도전 가능 횟수에 도달했다면 이용 제한부(132)는 사용자의 특정 맵에 대한 도전을 제한한다. 다만, 사용자가 특정 맵에 대한 재도전권을 구입했다면 이용 제한부(132)는 사용자의 특정 맵에 대한 도전을 한 번 더 허용한다.
이와 같이, 횟수 제한부(130)는 복수의 맵들 각각에 대하여 랭킹 경쟁의 도전이 가능한 횟수를 제한하고, 유료로 재도권을 구입한 사용자에게만 랭킹 경쟁의 재도전을 허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유료 이용을 유도하여 수익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게임 제공 장치(100)를 이용한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도 4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괄도들이고, 도 3, 도 5, 도 6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게임 제공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게임 제공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특히 기간을 한정하여 랭킹 맵을 선택하고, 랭킹 맵에 참여한 사용자들에게 랭킹을 제공하는 실시예에 관한 개괄도 및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에 따르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맵들(21, 22, 23, 24) 중에서 어느 하나의 맵(23)을 랭킹 맵으로 선택한다. 이때, 게임 제공 장치(100)는 기간을 한정하여 랭킹 맵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제공 장치(100)는 동시에 둘 이상의 맵을 랭킹 맵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게임 제공 장치(100)가 랭킹 맵(23)을 선택하면, 사용자들(1, 2, 3)은 각각 랭킹 맵을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들(1, 2, 3)이 게임 제공 장치(100)가 한정한 기간 내에 랭킹 맵(23)을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 하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들(1, 2, 3)의 게임수행기록을 비교하여 랭킹을 결정하고, 결정된 랭킹을 사용자들(1, 2, 3)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에 따르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301 단계에서 복수의 맵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일정 기간 동안 랭킹을 제공하는 랭킹 맵으로 선택하고, 302 단계에서는 일정 기간 내에 랭킹 맵을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 한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한다. 그리고, 303 단계에서 게임 제공 장치(100)는 결정된 랭킹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특히 랭킹 맵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을 사용자에게 판매하는 실시예에 관한 개괄도 및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에 따르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맵들(21, 22, 23, 24) 중에서 어느 하나의 맵(23)을 랭킹 맵으로 선택한다. 이때, 게임 제공 장치(100)는 기간 및 횟수를 한정하여 랭킹 맵을 선택할 수 있다. 즉, 게임 제공 장치(100)는 유료로 제공되는 맵(23)을 일정 기간 동안 일정 횟수에 한해서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게임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1)에게 랭킹 맵(23)에 대한 이용권을 판매할 수 있다. 사용자(1)는 비용을 지불하고 이용권을 구입하면, 랭킹 맵(23)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으므로, 랭킹 맵(23)에 대한 연습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다른 사용자들과의 랭킹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이러한, 동기 부여로 인해 사용자(1)의 유료 이용을 유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익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에 따르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501 단계에서 유료로 제공되는 복수의 맵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일정 기간 동안 랭킹을 제공하는 랭킹 맵으로 선택하고, 502 단계에서 랭킹 맵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무료 이용 횟수를 결정한다.
이어서, 게임 제공 장치(100)는 503 단계에서 일정 기간 이내에 사용자로부터 랭킹 맵의 이용 요청을 수신하면, 504 단계에서 사용자가 이전까지 랭킹 맵을 이용한 횟수가 이미 무료 이용 횟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가 이전까지 랭킹 맵을 이용한 횟수가 무료 이용 횟수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505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랭킹 맵 이용을 허용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이전까지 랭킹 맵을 이용한 횟수가 무료 이용 횟수에 도달했다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506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랭킹 맵에 대한 이용권을 구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가 이용권을 구입했다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505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랭킹 맵 이용을 허용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이용권을 구입하지 않았다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507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랭킹 맵 이용을 제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특히 랭킹 맵의 무료 이용 횟수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에 따르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601 단계에서 유료로 제공되는 복수의 맵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일정 기간 동안 랭킹을 제공하는 랭킹 맵으로 선택하고, 602 단계에서 랭킹 맵의 난이도를 확인한다. 603 단계에서 게임 제공 장치(100)는 확인된 난이도가 기준값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기준값은 게임 서비스 제공자가 미리 설정한 값일 수 있다. 판단 결과, 난이도가 기준값 미만이라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604 단계로 진행하여 무료 이용 횟수를 제1 설정값으로 설정한다. 반대로, 난이도가 기준값 이상이라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605 단계로 진행하여 무료 이용 횟수를 제2 설정값으로 설정한다. 이때, 게임 제공 장치(100)는 랭킹 맵의 난이도가 높을수록 무료 이용 횟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제2 설정값이 제1 설정값보다 클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특히 복수의 맵들 각각에 대해서 도전 가능 횟수를 설정하고, 도전 가능 횟수를 이미 이용한 사용자에게 재도전권을 판매하는 실시예에 관한 개괄도 및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에 따르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맵들(21, 22, 23, 24) 각각에 대해서 도전 가능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도전 가능 횟수란 각각의 맵에 대해서 랭킹 경쟁의 도전이 가능한 횟수를 의미한다. 사용자(1)는 각각의 맵에 대해서 도전 가능 횟수만큼은 무료로 랭킹 경쟁을 도전할 수 있다.
한편, 게임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1)에게 복수의 맵들(21, 22, 23, 24) 각각에 대한 재도전권을 판매할 수 있다. 사용자(1)는 비용을 지불하고 재도전권을 구입하면, 이미 도전 가능 횟수만큼 도전한 맵에 대해서도 한 번 더 랭킹 경쟁에 도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에 따르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801 단계에서 복수의 맵들 각각에 대해서 랭킹 도전이 가능한 도전 가능 횟수를 결정한다. 이어서, 게임 제공 장치(100)는 802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맵에 대한 도전 요청을 수신하면, 803 단계에서 사용자가 이전까지 맵에 도전한 횟수가 이미 도전 가능 횟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가 이전까지 맵에 도전한 횟수가 도전 가능 횟수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804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도전을 허용한다. 805 단계에서 게임 제공 장치(100)는 맵에 도전한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한다. 806 단계에서 게임 제공 장치(100)는 결정된 랭킹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한편, 803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이전까지 맵에 도전한 횟수가 이미 도전 가능 횟수에 도달했다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807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재도전권을 구입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가 재도전권을 구입했다면, 게임 제공 장치는 804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도전을 허용하고,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하고 (805 단계), 결정된 랭킹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806 단계). 하지만, 사용자가 재도전권을 구입하지 않았다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808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도전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간의 랭킹 경쟁에서 더 높은 랭킹을 확보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하고 재도전권을 구입할 수 있으며, 이는 수익성을 높이는 효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게임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게임 제공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게임 제공 장치 110: 맵 선택부
120: 랭킹 제공부 130: 횟수 제한부
131: 결정부 132: 이용 제한부
21, 22, 23, 24: 맵 1, 2, 3: 사용자

Claims (16)

  1.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맵들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랭킹을 제공하는 랭킹 맵으로 선택하는 맵 선택부; 및
    상기 랭킹 맵을 상기 일정 기간 내에 이용한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랭킹을 상기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랭킹 제공부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기간 내에 상기 랭킹 맵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횟수를 제한하는 횟수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횟수 제한부는 상기 선택된 랭킹 맵의 특성에 따라 상기 무료로 이용 가능한 횟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횟수 제한부는 상기 선택된 랭킹 맵의 난이도, 참여도 및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무료로 이용 가능한 횟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횟수 제한부는 이용권을 구입한 사용자가 상기 랭킹 맵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맵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맵들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랭킹 맵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맵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들간의 점수 편차(deviation)가 최대인 맵을 상기 랭킹 맵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맵들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랭킹을 제공하는 랭킹 맵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랭킹 맵을 상기 일정 기간 내에 이용한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랭킹을 상기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 내에 상기 랭킹 맵을 무료로 이용 가능한 횟수는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이용권을 구입한 사용자는 상기 랭킹 맵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게임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8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제8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3. 게임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맵들에 대해서 랭킹 도전이 가능한 도전 가능 횟수를 결정하는 결정부;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맵에 대한 도전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맵에 도전한 횟수가 이미 상기 도전 가능 횟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도달했다면 상기 사용자가 재도전권을 구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재도전권을 구입했다면 상기 사용자의 도전을 허용하는 이용 제한부; 및
    상기 맵에 도전한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랭킹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랭킹 제공부를 포함하는 장치.
  14.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맵들에 대해서 랭킹 도전이 가능한 도전 가능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맵들 중 어느 하나의 맵에 대한 도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맵에 도전한 횟수가 이미 상기 도전 가능 횟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도전 가능 횟수에 도달했다면, 상기 사용자가 재도전권을 구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재도전권을 구입했다면, 상기 사용자의 도전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맵에 도전한 사용자들간의 랭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랭킹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게임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14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6. 제14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170692A 2016-12-14 2016-12-14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KR201800687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692A KR20180068725A (ko) 2016-12-14 2016-12-14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692A KR20180068725A (ko) 2016-12-14 2016-12-14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725A true KR20180068725A (ko) 2018-06-22

Family

ID=6276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692A KR20180068725A (ko) 2016-12-14 2016-12-14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87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4307A (zh) * 2019-04-26 2019-08-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操作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4307A (zh) * 2019-04-26 2019-08-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操作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0124307B (zh) * 2019-04-26 2021-04-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操作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US11839821B2 (en) 2019-04-26 2023-12-12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Racing gam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6219B2 (ja) 多種目スポーツ活動の個人別成績目標を与えるシステム
US99437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etitive skill-based fantasy sports
US20180165700A1 (en) Computer system, game system, and game device
US20180165701A1 (en) Computer system, game system, and game device
US111170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valuating players during a fantasy draft
CN116055821A (zh) 用于支持直播的用户终端及服务器的操作方法
US9186587B2 (en) Distribution of electronic game elements
KR20180057087A (ko) 유저의 게임 플레이이력을 이용한 게임모드제공방법 및 장치
US97008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fantasy drafting
KR20180068725A (ko)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KR20160038909A (ko) 캐릭터를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949275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haracter of online game
US90729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valuating a player in a fantasy draft based on user-defined league rules
KR101784170B1 (ko) 퀘스트가 매칭된 아이템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58350A (ko) 아이템 판매 장치 및 방법
US20230182024A1 (en) Behavioral analysis of gaming transactions
KR102165748B1 (ko) 아이템의 거래를 중개하는 방법 및 장치
US89511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non-sequential automated fantasy drafting
US9352232B2 (en) Method for providing character of online game and apparatus thereof
KR101892158B1 (ko)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KR20170052897A (ko) 플레이어가 보유한 포인트에 기초하여 포인트를 계산하는 레이싱게임을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038908A (ko) 사용자들간의 멀티플레이형 미니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32142B1 (ko) 고품질 컨텐츠를 위한 혜택 로직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188826B1 (ko) 온라인 스포츠 게임의 캐릭터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012695A (ko) 체험게임 제공 방법 및 체험게임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