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518A - 저에너지 신개념 하수재이용 및 해수담수화 기법 결합 수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에너지 신개념 하수재이용 및 해수담수화 기법 결합 수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518A
KR20180068518A KR1020160170286A KR20160170286A KR20180068518A KR 20180068518 A KR20180068518 A KR 20180068518A KR 1020160170286 A KR1020160170286 A KR 1020160170286A KR 20160170286 A KR20160170286 A KR 20160170286A KR 20180068518 A KR20180068518 A KR 20180068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mosis unit
separation tank
water
treatment system
sea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암
임승주
이용구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0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8518A/ko
Publication of KR2018006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02Forward osmosis or direct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4Dynamic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forward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3/00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3/006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details of construction, e.g. specially adapted seals, modules,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은, 정삼투 장치, 역삼투 장치 및 후단 막분리조를 포함하여 하수재이용과 해수담수화를 동시에 구동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원수를 공급받는 부상분리조(100), 상기 부상분리조(100)에서 처리된 원수를 공급받는 제 1 정삼투장치(200), 상기 제 1 정삼투장치(200)는 유도용액인 해수를 더 공급받으며, 상기 제 1 정삼투장치(200)에서 희석된 해수를 공급받는 역삼투장치(300), 상기 역삼투장치(300)에서 처리되고 남은 농축 해수와 상기 제 1 정삼투장치(200)에서 농축된 원수를 공급받는 제 2 정삼투 장치(400) 및 상기 제 2 정삼투장치(400)에서 다시 농축된 하수를 공급받아 처리하는 막분리조(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삼투장치(400)에서 희석된 해수는 외부로 배출되는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저에너지 신개념 하수재이용 및 해수담수화 기법 결합 수처리 시스템{Hybrid water treatment system of new concept wastewater reuse and desalination methods for using low energy}
본 발명은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정삼투 장치, 역삼투 장치 및 후단 막분리조를 포함하여 하수재이용과 해수담수화를 동시에 구동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하수 처리에 이용되는 1, 2, 3차 처리공정은 각 공정별 운전비용과 설치비용이 소요되고 보편적으로 침전, 생물학적 처리, 활성탄, 응집공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최종처리수를 생산하는데 장기간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3차 처리공정에서 용존 물질까지 제거가 가능하여 후단 공정에서 이용될 수 있는 유기물질 및 BOD의 제거에 따라 하수 내 존재하는 유용한 물질 활용에 어려움이 따른다.
세라믹 막의 경우 하수처리에 있어서 막 표면에 생성되는 막오염 현상으로 인하여 처리수량 감소, 운전압력 증가, 화학세정제 사용으로 인한 유지비 증가 등으로 인해 공정의 효율성을 떨어뜨린다. 동시에 막 자체가격 또한 고가이므로 실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정삼투 공정은 해수담수화 및 하수재이용분야에서 저에너지형 신개념 기술로 떠오르고 있는 신기술로써 삼투압(농도차)을 이용한 기술이다. 하지만 희석된 유도용액으로부터 깨끗한 물만을 걸러내기 위해 후단 공정의 설치 및 운전비용의 문제가 뒤따르고, 하수재이용에 적용할 경우 농축된 하수 폐기에 있어서 경제적, 환경적 문제 또한 피할 수 없다.
역삼투 공정의 경우 해수담수화처리에 있어서 가장 많이 상용화 되고 있는 공정이기는 하지만, 해수 삼투압 이상의 운전 압력(40-50bar)이 사용됨에 따라 고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공정 후 발생되는 농축수 처리방안이 부재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기술 개발이 시급하며 현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관련 종래 문헌을 살펴본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73312호는 하수처리수와 해수를 사용하는 정삼투, 역삼투 및 압력지연삼투 공정을 이용한 담수 및 전력생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수를 유도용액으로 사용하고 하수처리수를 공급수로 사용하는 정삼투막 공정을 통해 희석된 해수를 역삼투 공정의 공급수로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러나, 정삼투 장치에서 배출된 농축된 원수를 다시 활용하는 것은 개시되지 않아 여전히 원수 내 물질을 활용하지 못했다.
KR 2014-0073312 A US 8083942 B2 KR 1286044 B1
논문_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2014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하수 및 해수 등 다양한 수자원 활용을 위해 현재 상용화 또는 개발 중인 두 공정을 융합시킴에 따라 기존공정과 비교하여 낮은 생산비용과 적은 물 생산시간을 달성할 수 있다.
1차 처리 하수 및 해수를 미세 또는 초미세기포를 적용한 신개념 DAF 공정에 적용 후 수중에 존재하는 부유 및 유기물질을 처리한다. 이 후 스키머를 이용하여 부상된 물질을 걷어 내고, 이 후 처리수를 다시한번 세라믹 막에 투과시켜 2차 처리를 통한 추가적인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수중에 존재하는 미량오염물질 및 중금속 등을 추가 처리하기 위하여 정삼투-역삼투 융합 공정을 후단에 설치하여 제거율을 높일 수 있다.
기존 해수담수화 공정 중 가장 보편화된 기술인 역삼투 공정에 유입되는 해수는 정삼투 공정을 통하여 희석됨으로써, 기존의 역삼투 공정 운전과 대비하여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두 번의 정삼투 공정을 통해 고농축 된 하수는 다이나믹막공정을 통하여 하수 내 존재하는 유기물은 공정 하단에서 축적이 되고, 상단 막을 통하여 추가적인 오염물질을 제거한 뒤, 질소환원 및 수처리를 통해 처리수를 생산하며, 하단의 축적된 슬러지는 혐기성 공정을 통하여 메탄가스를 발생시키고 이를 에너지화하여 추가적인 에너지 확보를 통한 저에너지화 달성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잔류하는 유기물을 통하여 인 회수를 달성하여 본 공정을 통해 인, 질소 환원 및 바이오 가스를 생산가능하다.
정삼투-역삼투-정삼투 공정 내 정삼투 공정에서 유도용액으로써 사용되는 해수는 약 50% 희석된다. 이 후 역삼투 공정을 통한 희석 해수의 회수율을 60~70%로 산정하면, 전단 정삼투 공정으로 유입되는 해수와 후단 정삼투 공정에 의해 최종 유출되는 해수의 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농축수로 인하여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수를 공급받는 부상분리조(100); 상기 부상분리조(100)에서 처리된 원수를 공급받는 제 1 정삼투장치(200); 상기 제 1 정삼투장치(200)는 유도용액인 해수를 더 공급받으며, 상기 제 1 정삼투장치(200)에서 희석된 해수를 공급받는 역삼투장치(300); 상기 역삼투장치(300)에서 처리되고 남은 농축 해수와 상기 제 1 정삼투장치(200)에서 농축된 원수를 공급받는 제 2 정삼투 장치(400); 및 상기 제 2 정삼투장치(400)에서 다시 농축된 하수를 공급받아 처리하는 막분리조(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삼투장치(400)에서 희석된 해수는 외부로 배출되는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부상분리조(100)의 후단에 위치하는 세라믹막(1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막(110)에 의해 상기 부상분리조(100)에서 처리된 원수가 한번 더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상분리조(100)는, 하부에 위치하고 부상분리조(100)에 연결된 미세기포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미세기포를 상기 부상분리조(100)의 내부로 배출하는 노즐(101); 및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미세기포에 의해 부유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스키머(10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원수를 공급받는 부상분리조(100); 상기 부상분리조(100)에서 처리된 원수를 공급받는 제 1 정삼투장치(200); 상기 제 1 정삼투장치(200)는 유도용액인 해수를 더 공급받으며, 상기 제 1 정삼투장치(200)에서 희석된 해수를 공급받는 역삼투장치(300); 상기 역삼투장치(300)에서 처리되고 남은 농축 해수와 상기 제 1 정삼투장치(200)에서 농축된 원수를 공급받는 제 2 정삼투 장치(400); 및 상기 제 2 정삼투장치(400)에서 다시 농축된 하수를 공급받아 처리하는 다이나믹 막분리조(60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삼투장치(400)에서 희석된 해수는 외부로 배출되는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이나믹 막분리조(600)로 공급된 원수는, 침전 슬러지(610)와 상등액(620)으로 분리되며, 상기 수처리 시스템은, 상기 침전 슬러지(610)를 공급받아 처리하는 혐기성 처리조(700); 및 상기 상등액(620)을 공급받아 처리하는 질소회수조(6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이나믹 막분리조(600)는 후단에 위치하는 저압 분리막(630)을 포함하고, 상기 저압 분리막(630)에 의해 상기 상등액(620)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상분리조(100)의 후단에 위치하는 세라믹막(1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막(110)에 의해 상기 부상분리조(100)에서 처리된 원수가 한번 더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상분리조(100)는, 하부에 위치하고 부상분리조(100)에 연결된 미세기포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미세기포를 상기 부상분리조(100)의 내부로 배출하는 노즐(101); 및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미세기포에 의해 부유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스키머(10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 기존 하수처리 공정의 경우 1차 처리 공정 후 2차, 3차 처리를 통해 수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며 이에 따른 설치비 및 운영비가 소요된다. 하지만 본 공정은 2차, 3차 처리를 대신하여 신개념 DAF/세라믹 공정이 적용되며, 전처리 공정의 간소화를 통해 2차, 3차 처리시 발생되는 설치비, 운영비 및 소요 부지 이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하수(1차 처리수)의 전처리 공정으로써 사용되는 신개념 DAF/세라믹 공정은 후단 막 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파울링 유발 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한다. 이렇게 생성된 전처리수는 정삼투 공정에 유입되고 이 공정은 삼투압차를 이용하여 하수로부터 해수를 희석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정삼투 공정은 가압식 막공정인 역삼투법에 비해 막오염 현상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미미하게 나타나며 물리적 세척만으로도 높은 세척효율을 보이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하수 내 존재하는 용존 물질 및 BOD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이러한 물질을 농축시키는데 두 번째 목적을 두고 있다. 최종적으로 이렇게 생성된 고농축수를 후단 공정인 다이나믹 막공정으로 이동하여, 농축된 하수가 공정 내에서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가 되며 슬러지는 혐기성 소화조의 에너지원으로 활용하여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전체공정의 전반적인 운전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하수 내 존재하는 유기 에너지원 환원을 통해 2차적인 에너지 회수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등수는 후단 막을 통해 추가적인 수처리를 통해 발생된 처리수는 질소환원조를 통해 질소를 환원한다. 환원된 질소 및 인은 농업용수에 추가하여 사용될 경우, 비료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비료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거나 비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셋째, 본 공정에 적용된 정삼투 공정은 전단공정, 후단공정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두 공정 모두 하수 농축 및 해수 희석에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후단 정삼투 공정의 경우 역삼투 공정 시 발생하는 농축수를 희석시킴에 따라 농축수를 해수 수준의 농도로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농축수로 인해 발생하는 해안환경오염 및 환경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신개념 DAF/세라믹 공정에서 DAF 공정은 미세기포 또는 초미세기포를 적용시킴에 따라 표면적을 기존에 사용되는 기포에 비해 약 1000배 이상 증가시켜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수중에 잔류하는 미세기포 또는 초미세기포는 세라믹막 표면에 발생되는 파울링 현상을 저해시키는 효과를 가져옴으로써 유지 및 세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섯째, 저에너지 신개념 하수재이용 및 해수담수화 기법 결합 시스템은 하수재이용과 해수담수화공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써 수자원확보가 시급한 국가 및 지역에 적용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하수가 발생되는 어느 지역에나 인위적인 유도용액을 활용함으로써 수자원확보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에너지 저감형 수처리 기법의 신개념 프로세스로써 시장성 및 경제성이 매우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 '원수'는 수처리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원수 즉, 하수, 폐수 등과 같은 수처리가 필요한 원수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수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은 부상분리조(100), 제 1 정삼투장치(200), 역삼투장치(300), 제 2 정삼투장치(400) 및 막분리조(500)를 포함한다.
부상분리조(100)는 원수를 공급받아 용존공기부상(Dissolved Air Flotation, DAF) 처리를 통해 오염물질을 부상시킴으로써 원수를 처리한다. 이를 위해, 부상분리조(100)는 노즐(101) 및 스키머(102)를 포함한다.
노즐(101)은 부상분리조(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부상분리조(100)에 연결된 미세기포생성기(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미세기포를 부상분리조(100) 내부로 배출하여 부상분리조(100) 내부의 오염물질을 부상시킨다.
스키머(102)는 부상분리조(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노즐(110)에서 배출되는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된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세라믹막(110)은 부상분리조(100)의 후단에 위치하며, 부상분리조(100)에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원수를 한번 더 거름으로써 처리한다.
부상분리조(100) 및 세라믹막(110)의 처리효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부상분리조(100)에 유입되는 원수에 응집제(33)를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부상분리조(100) 및 세라믹막(110)의 설비로 인해 원수 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부유시켜 제거하고 2차적으로 세라믹막에 투과시킴으로써 전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 1 정삼투장치(200)는 부상분리조(100)에서 처리된 원수와 유도용액으로 사용되는 해수를 공급받는다.
제 1 정삼투장치(200)에 해수를 유입시킬 때, 부상분리조(100)에 연결된 미세기포생성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수에 미세기포를 주입하여 정삼투 장치 내의 지지층에 발생하는 오염을 물리 화학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역삼투장치(300)는 제 1 정삼투장치(200)와 역삼투장치(300)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펌프(P1)를 통해 제 1 정삼투장치(200)에서 희석된 해수 및 농축된 원수 일부를 공급받는다.
역삼투장치(300)로 유입된 농축된 원수 중 일부는 역삼투 과정에 의해 투과됨으로써 처리되어 처리수로 배출되어 수처리 시스템 내에서 또는 외부로 배출시켜 별도로 이용된다. 유입된 농축된 원수 중 처리수로 배출되지 않은 농축된 원수는 제 2 펌프(P2)에 의해 역삼투장치(300)로 유입되는 라인에 위치하는 제 1 펌프(P1)로 회수하여 역삼투장치(300)의 운전압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1 정삼투장치(200) 및 역삼투장치(300)의 과정을 통해 원수를 3차적으로 처리하게된고, 이 과정에서 유입되는 유도용액인 해수는 희석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수처리 시스템이 종료될 경우 물 생산 시스템만 가동하는 것이다.
제 2 정삼투 장치(400)는 역삼투장치(300)에서 처리되고 남은 농축 해수와 제 1 정삼투장치(200)에서 농축된 원수를 공급받는다.
막분리조(500)는 제 2 정삼투장치(400)에서 다시 농축된 하수를 공급받는다.
제 2 정삼투장치(400)에서 희석된 해수는 유입시 해수 수준의 농도이며, 희석된 해수는 외부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수처리 시스템 외부로 배출하여 바다로 배출한다.
이 과정에서 수처리 시스템이 종료될 경우 환경부하량 저감 시스템까지 가동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는 에너지 생산 시스템까지 가동되는 경우가 개시된다.
부상분리조(100), 제 1 정삼투장치(200), 역삼투장치(300) 및 제 2 정삼투장치(400)는 도 1 에 개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
다른 실시예의 수처리 시스템은 막분리조(500) 대신 다이나믹 막분리조(600)를 포함하고, 질소 회수조(650) 및 혐기성 처리조(700)를 더 포함한다.
다이나믹 막분리조(600)는 제 2 정삼투장치(400)에서 다시 농축된 원수를 공급받아 처리하며, 농축된 원수는 다이나믹 막분리조(600) 내에서 침전 슬러지(610)와 상등액(620)으로 분리된다.
다이나믹 막분리조(600)와 제 2 정삼투 장치(400) 사이의 라인에 응집 장치(460)가 위치하며, 응집 장치(460)에 의해 제 2 정삼투 장치(400)에서 공급되는 농축된 원수의 부유물을 응집시킬 수 있다.
다이나믹 막분리조(600)는 후단에 저압 막여과부(630)를 더 포함하여, 저압 막여과부(630)에 의해 상등액(620)이 걸러짐으로써 추가로 처리된다.
다이나믹 막분리조(600)는 upflow형태로 진행되기 때문에 저압 막여과부(630)는 상등액(6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질소 회수조(650)는 다이나믹 막분리조(600)의 후단에 위치하는 저압 막여과부(630)에 의해 걸러진 상등액(620)을 처리한다. 저압 막여과부(630)에 의해 걸러진 상등액(620)은 비교적 맑은 농축수를 배출하게 된다. 그 이후에, 질소 회수조(650)는 내부로 유입된 상등액(620)의 질소를 회수한 뒤 처리하여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혐기성 처리조(700)는 다이나믹 막분리조(600)의 슬러지(610)를 공급받아, 혐기성 반응을 통해 메탄가스를 생성한다. 생성된 메탄가스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혐기성 처리조(700)로 유입되는 원수는 2번의 농축으로 인해 비교적 많아진 용존성 유기물질을 갖게되므로, 이를 이용한 메탄가스 생산 비율도 자연스레 증가하게 된다.
혐기성 처리조(700)에서 메탄가스를 생성한 뒤 배출된 나머지 슬러지는 혐기성 처리조(700)의 후단에 위치하는 인 회수조(750)에 의해 인이 회수되고, 인이 회수된 잉여 슬러지는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은 용도에 따라 질소 회수조(650) 및 인 회수조(750)가 생략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부상분리조
101: 노즐
102: 스키머
110: 세라믹막
200: 제 1 정삼투장치
300: 역삼투장치
400: 제 2 정삼투장치
500: 막분리조
560: 슬러지 응집장치
600: 다이나믹 막분리조
610: 침전 슬러지
620: 상등액
630: 저압 분리막
700: 혐기성 처리조
P1: 제 1 펌프
P2: 제 2 펌프
P3: 제 3 펌프

Claims (7)

  1. 원수를 공급받는 부상분리조(100);
    상기 부상분리조(100)에서 처리된 원수를 공급받는 제 1 정삼투장치(200);
    상기 제 1 정삼투장치(200)는 유도용액인 해수를 더 공급받으며, 상기 제 1 정삼투장치(200)에서 희석된 해수를 공급받는 역삼투장치(300);
    상기 역삼투장치(300)에서 처리되고 남은 농축 해수와 상기 제 1 정삼투장치(200)에서 농축된 원수를 공급받는 제 2 정삼투 장치(400); 및
    상기 제 2 정삼투장치(400)에서 다시 농축된 하수를 공급받아 처리하는 막분리조(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삼투장치(400)에서 희석된 해수는 외부로 배출되는,
    수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분리조(100)의 후단에 위치하는 세라믹막(1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막(110)에 의해 상기 부상분리조(100)에서 처리된 원수가 한번 더 처리되는,
    수처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분리조(100)는,
    하부에 위치하고 부상분리조(100)에 연결된 미세기포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미세기포를 상기 부상분리조(100)의 내부로 배출하는 노즐(101); 및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미세기포에 의해 부유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스키머(102)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4. 원수를 공급받는 부상분리조(100);
    상기 부상분리조(100)에서 처리된 원수를 공급받는 제 1 정삼투장치(200);
    상기 제 1 정삼투장치(200)는 유도용액인 해수를 더 공급받으며, 상기 제 1 정삼투장치(200)에서 희석된 해수를 공급받는 역삼투장치(300);
    상기 역삼투장치(300)에서 처리되고 남은 농축 해수와 상기 제 1 정삼투장치(200)에서 농축된 원수를 공급받는 제 2 정삼투 장치(400); 및
    상기 제 2 정삼투장치(400)에서 다시 농축된 하수를 공급받아 처리하는 다이나믹 막분리조(60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삼투장치(400)에서 희석된 해수는 외부로 배출되는,
    수처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나믹 막분리조(600)로 공급된 원수는,
    침전 슬러지(610)와 상등액(620)으로 분리되며,
    상기 수처리 시스템은,
    상기 침전 슬러지(610)를 공급받아 처리하는 혐기성 처리조(700); 및
    상기 상등액(620)을 공급받아 처리하는 질소회수조(650);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나믹 막분리조(600)는 후단에 위치하는 저압 분리막(630)을 포함하고,
    상기 저압 분리막(630)에 의해 상기 상등액(620)이 처리되는,
    수처리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분리조(100)의 후단에 위치하는 세라믹막(1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막(110)에 의해 상기 부상분리조(100)에서 처리된 원수가 한번 더 처리되는,
    수처리 시스템.
KR1020160170286A 2016-12-14 2016-12-14 저에너지 신개념 하수재이용 및 해수담수화 기법 결합 수처리 시스템 KR20180068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286A KR20180068518A (ko) 2016-12-14 2016-12-14 저에너지 신개념 하수재이용 및 해수담수화 기법 결합 수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286A KR20180068518A (ko) 2016-12-14 2016-12-14 저에너지 신개념 하수재이용 및 해수담수화 기법 결합 수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518A true KR20180068518A (ko) 2018-06-22

Family

ID=6276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286A KR20180068518A (ko) 2016-12-14 2016-12-14 저에너지 신개념 하수재이용 및 해수담수화 기법 결합 수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85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051A (ko) * 2018-12-27 2020-07-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하수 재이용과 해수 담수화를 위한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133124A (zh) * 2020-09-03 2022-03-04 上海城投污水处理有限公司 一种厌氧动态膜生物反应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3942B2 (en) 2004-12-06 2011-12-27 Board of Regents of the Nevada System of Higher Education, on Behalf of the Universary of Nevada, Reno Systems and methods for purification of liquids
KR101286044B1 (ko) 2012-11-30 2013-07-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방법
KR20140073312A (ko) 2012-12-06 2014-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수처리수와 해수를 사용하는 정삼투, 역삼투 및 압력지연삼투 공정을 이용한 담수 및 전력 생산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3942B2 (en) 2004-12-06 2011-12-27 Board of Regents of the Nevada System of Higher Education, on Behalf of the Universary of Nevada, Reno Systems and methods for purification of liquids
KR101286044B1 (ko) 2012-11-30 2013-07-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방법
KR20140073312A (ko) 2012-12-06 2014-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수처리수와 해수를 사용하는 정삼투, 역삼투 및 압력지연삼투 공정을 이용한 담수 및 전력 생산장치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_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2014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051A (ko) * 2018-12-27 2020-07-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하수 재이용과 해수 담수화를 위한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133124A (zh) * 2020-09-03 2022-03-04 上海城投污水处理有限公司 一种厌氧动态膜生物反应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40967B (zh) 一种有机废水减量化、资源化处理方法及处理系统
RU2421407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ды
AU2009320741B2 (en) Generation of fresh water
KR101048623B1 (ko) 침지형 분리막과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융합형 정수처리장치
CN104276711A (zh) 一种工业污水回用及零排放的反渗透膜法处理工艺
CA2963306C (en) Water treatment process employing dissolved air flotation to remove suspended solids
CN102897944A (zh) 难降解有机废水深度处理系统
US11084737B1 (en) System for treating wastewater and the like
CN107500441A (zh) 一种垃圾渗滤液浓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CN203360192U (zh) 一种难降解工业废水处理装置
Elfilali et al. Performances of various hybrids systems coagulation–ultrafiltration/nanofiltration-reverse osmosis in the treatment of stabilized landfill leachate
KR101164660B1 (ko) 저수지 및 연못 수질정화를 위한 용존공기부상 처리시스템
CN207330583U (zh) 一种垃圾渗滤液浓水处理系统
KR20180068518A (ko) 저에너지 신개념 하수재이용 및 해수담수화 기법 결합 수처리 시스템
JPH10323674A (ja) 有機物含有水の処理装置
KR0168827B1 (ko) 유기성 폐수의 정화방법
KR20200081051A (ko) 하수 재이용과 해수 담수화를 위한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2898140U (zh) 一种含油含洗涤废水回用系统
KR101893790B1 (ko) 역삼투 여과공정용 전처리 장치 및 방법
CN112062339A (zh) 污泥再处理式洗煤废水处理方法
KR20200087397A (ko) 산화전처리를 이용한 폐수처리시스템
US20220371934A1 (en)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Rao et al. Review on an integrated pre-treatment system to reduce membrane accelerated biofouling during red tide occurrences in Oman
CN102874965A (zh) 一种含油含洗涤废水回用系统
CN214457492U (zh) 用于处理含乳化状油剂废水的破乳技术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