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237A -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237A
KR20180068237A KR1020160169953A KR20160169953A KR20180068237A KR 20180068237 A KR20180068237 A KR 20180068237A KR 1020160169953 A KR1020160169953 A KR 1020160169953A KR 20160169953 A KR20160169953 A KR 20160169953A KR 20180068237 A KR20180068237 A KR 20180068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virtual space
display area
pointer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6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8237A/ko
Publication of KR20180068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6Computing the motion of game characters with respect to other game characters, game objects or elements of the game scene, e.g. for simulating the behaviour of a group of virtual soldiers or for path f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5Fostering virtual charac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045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mapping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input arrangement into game comm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 가상공간의 표시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캐릭터를 제어하는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가상공간 내에 캐릭터를 제공하는 게임 제공 장치가 개시되며, 이때 게임 제공 장치는, 가상공간의 일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 및 가상공간 상의 일 지점에 위치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공간의 표시영역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 입력 및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공간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캐릭터를 제어하는 캐릭터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본 발명은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게임 가상공간의 표시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캐릭터를 제어하는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 및 게임 인구의 증가에 따라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장비의 종류도 다양화되고 있다. 따라서 그에 맞춰 게임을 컨트롤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 공개특허 10-2013-0112586호,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에 게임 내의 캐릭터 시점으로 게임 내의 가상공간을 표시하고, 터치스크린에 대해 제1터치가 유지되며 제2터치가 입력되면 무기를 발사하는 게임 조작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게임 컨트롤에 있어서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게임 가상공간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캐릭터를 제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릭터의 제어를 단순화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한 손가락만으로 게임 캐릭터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의 입력 장치나, 화면을 가리거나 터치 지점에 혼돈을 주는 가상 조이스틱을 이용하지 않고도 캐릭터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릭터의 제어를 단순화하면서도 캐릭터의 다양한 기능을 구동할 수 있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가상공간 내에 캐릭터를 제공하는 게임 제공 장치가 개시되며, 이때 게임 제공 장치는, 가상공간의 일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 및 가상공간 상의 일 지점에 위치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공간의 표시영역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 입력 및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공간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캐릭터를 제어하는 캐릭터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가상공간 내에 캐릭터를 제공하는 게임 제공 장치가 수행하는 게임 제공 방법이 개시되며, 이때 게임 제공 방법은, 가상공간의 일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 및 가상공간 상의 일 지점에 위치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된 가상공간의 표시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 및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공간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캐릭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게임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가 개시되며, 이때 게임 제공 방법은, 가상공간의 일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 및 가상공간 상의 일 지점에 위치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된 가상공간의 표시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 및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공간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캐릭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르면, 게임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게임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되며, 이때 게임 제공 방법은, 가상공간의 일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 및 가상공간 상의 일 지점에 위치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된 가상공간의 표시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 및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공간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캐릭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게임 가상공간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캐릭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게임 캐릭터 자체에 대한 선택이나 조작 없이도 캐릭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캐릭터의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한 손가락만으로 게임 캐릭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별도의 입력 장치나, 화면을 가리거나 터치 지점에 혼돈을 주는 가상 조이스틱을 이용하지 않고도 캐릭터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별도의 입력 장치를 상시 구비하기 어려운 휴대용 단말에서 특히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한 효과는 캐릭터의 제어를 단순화하면서도 캐릭터의 다양한 기능을 구동할 수 있어, 적용의 폭이 넓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가상공간(10)’이란 게임이 이루어지는 가상의 공간으로서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으로 표현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1 은 가상공간(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가상공간(10)은 후술할 캐릭터가 배치되어 이동하거나 액션을 취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형지물이 설치되어 캐릭터가 동작하는 배경이 되거나 캐릭터와 상호작용함으로써 게임을 진행시키는 몬스터, 아이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 '표시영역(20)'이란 가상공간(10) 중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표시되는 영역을 말한다. 관련하여 도1에서는 가상공간(10)에 포함된 표시영역(20)이 표시되어 있으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난 표시영역(20)을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표시한 모습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영역(20)은 가상공간(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11)'는 가상공간(10) 내에 등장하는 허구적 인물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제어되는 객체이자 게임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이다. 캐릭터(11)는 가상공간(10) 내에 2차원 또는 3차원의 그래픽 객체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12)'는 가상공간(10) 상의 일 지점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이다. 포인터(12)는 가상공간의 일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포인터(12)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상공간(10)상에서 캐릭터(11)를 제어할 수 있음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후술한다.
위에서 정의한 용어 이외에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관련 부분에서 따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게임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며, 게임 내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이벤트를 감지하고 기록하여 게임의 시계열적 진행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게임 제공 장치(100)는 가상공간(10) 내에 캐릭터(11)를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캐릭터(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제공 장치(100)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단말기로 구현되거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게임 제공 장치(100)가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된다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전자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단말기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자단말기는, 상술한 표시영역 및 포인터를 비롯한 각종 게임 관련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단말기 자체,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전자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가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제 3 의 서버(미도시)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단말기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게임 제공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수신부(110), 표시부(120) 및 캐릭터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수신부(110)는 사용자로부터 게임의 진행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수신부(110)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 등의 물리적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30)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20)는 가상공간(10)의 일 영역인 표시영역(20) 및 가상공간(10)의 일 지점에 위치하는 포인터(12)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포인터(12)의 표시가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이루어짐은 상술한 바와 같다.
표시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표시영역(20)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표시영역(20)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4는 드래그 입력 시작 시의 표시영역(20a) 및 드래그 입력 종료 시의 표시영역(20b)을 한 도면에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표시영역(20)을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표시부(120)는 드래그 입력의 시작점 및 종료점을 기준으로, 드래그 방향 및 드래그 길이에 대응하여 가상공간(10)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동하며 변경되는 표시영역(2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20)는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드래그 입력 시작 시의 표시영역(20a)부터 드래그 방향으로 드래그 길이만큼 평행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 종료 시의 표시영역(20b)까지의 가상공간(10)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20)는 가상공간(10) 상의 일 지점에 위치하는 포인터(12)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20)는 포인터(12)를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하여 표시'한다는 뜻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표시영역(20)이 변경되더라도 포인터(12)는 그에 영향을 받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소정 위치에 표시됨을 의미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를 기준으로 표시영역(20)은 변경되는 반면 포인터(12)의 위치는 고정되므로, 가상공간(10)에 대해 포인터(12)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영역(20)을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도 5는 드래그 입력 시작 시의 디스플레이 장치(30)에 표시된 표시영역(20a)의 예시도이며, 도 6은 드래그 입력 종료 시의 디스플레이 장치(30)에 표시된 표시영역(20b)의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표시부(120)는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표시영역을 20a에서 20b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포인터(12)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공간(10)을 기준으로 포인터(12)의 위치가 도면부호 14a 에서 14b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관련하여 표시부(120)는, 포인터(12)를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여 표시하기 위하여, 소정 위치를 픽셀 좌표값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때 픽셀 좌표값은 초기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20)는 표시영역(20) 및 포인터(12) 각각을 별도의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영역(20)을 제1레이어에, 포인터(12)를 제2레이어에 표시하고, 두 레이어를 겹쳐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레이어에 표시되는 표시영역(20)이 변경되더라도, 이와 무관하게 포인터(12)는 제2레이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표시부(120)는 포인터(12)의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지정 받고, 지정 받은 위치에 포인터(12)를 고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표시영역(20)을 변경하는 입력과 구분되는 사용자 입력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가령, 표시영역(20)의 변경이 드래그 입력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소정 시간 이상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롱터치를 포인터(12)에 대해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포인터(12)의 위치 변경 모드로 진입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위치 변경 모드에서 표시영역(20) 상 일 지점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이후 표시부(120)는 입력된 지점에 포인터(12)를 고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릭터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 및 포인터(12)의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공간(10)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캐릭터(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캐릭터(11)의 제어는 캐릭터(11)가 보유하고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조작으로서, 예를 들면 캐릭터제어부(130)는 캐릭터(11)를 '이동'시키거나 '액션'을 취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캐릭터(11)의 '이동'은 가상공간(10) 상에서의 캐릭터(11) 위치의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이동과 구분되는 캐릭터(11)의 기능을 '액션'이라 한다.
먼저 캐릭터(11)의 이동과 관련하여, 도 7을 참고하면, 캐릭터제어부(130)는 포인터(12)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캐릭터(11)를 이동시킴으로써 가상공간(10) 상에서 캐릭터(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가령 도 5와 같이 포인터(12)와 캐릭터(11)가 가상공간(10)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표시영역(20)이 변경되고 포인터(12)는 고정됨으로써 도 6과 같이 포인터(12)와 캐릭터(11)의 가상공간(10) 상의 위치가 서로 상이한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캐릭터제어부(130)는 도 7과 같이 포인터(12)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캐릭터(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캐릭터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표시영역(20)이 변경됨이 감지되면 캐릭터(11)를 포인터(12)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가상공간(10) 상에서의 포인터(12)의 위치와 캐릭터(11)의 위치가 상이함을 감지하면 캐릭터(11)를 포인터(11)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 표시영역(20)을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이 드래그 입력인 경우, 드래그 입력이 시작되는 시점의 캐릭터(11)의 위치에서, 드래그 입력이 종료되는 시점의 포인터(12)의 위치로 캐릭터(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표시영역(20)을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을 1회 이상 반복할 수 있고, 반복되는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표시영역(20)을 반복적으로 변경하고, 표시영역(20) 중 소정 위치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터치 입력 수신 시의 포인터(12)의 위치로 캐릭터(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이동은 14a 위치의 캐릭터(11)가 사라지고, 14b 위치의 캐릭터(11)가 나타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14a 위치의 캐릭터(11)와 14b 위치의 캐릭터(11)는 위치를 이동하였을 뿐 서로 동일한 캐릭터(11)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14a 및 14b 위치에 있는 캐릭터(11)가 서로 관련이 있으되 상이한 캐릭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4a 위치의 캐릭터(11)와 관련이 있으되 별개인 캐릭터가 14b 위치에 소환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이동은 14a 위치의 캐릭터(11)가 가상공간 상에서 14b의 위치로 이동하는 모습이 나타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드래그 입력 시작 시의 표시영역(20a)부터 드래그 방향으로 드래그 길이만큼 평행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 종료 시의 표시영역(20b)까지의 가상공간(10)이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경우, 고정된 포인터(12)를 따라 캐릭터(11)가 이동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캐릭터제어부(130)는 드래그를 종료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드래그를 종료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포인터(12)에 대응되는 가상공간(10)의 위치로 캐릭터(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캐릭터(11)의 이동 위치 및 이동 시점이 명확해지므로, 캐릭터(11) 제어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나아가 캐릭터제어부(130)는 캐릭터(11)를 이동시킴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전의 캐릭터(11)의 위치로부터 포인터(12)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의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한 경로에 기초하여 캐릭터(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릭터제어부(130)는 캐릭터(11)의 이동 거리가 최단이 되는 경로를 생성하거나 가상공간(10) 상의 지형지물을 피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표시부(120)는 캐릭터(11)가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캐릭터의 액션과 관련하여 캐릭터제어부(130)는 표시영역(20)을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과 포인터(12)의 위치에 기초하여 캐릭터(11)를 이동시키되, 표시영역(20)을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과 구별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캐릭터(11)의 액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릭터제어부(130)는 표시영역(20)을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캐릭터(11)를 이동시키고, 표시영역(2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캐릭터(11)의 액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액션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액션은 캐릭터(11)의 움직임(모션), 가상공간(10) 상에 설치된 지형지물 파괴, 몬스터(13) 공격, 아이템 습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션은 캐릭터(11)의 움직임(모션)은 제자리에서 구동하는 움직임, 예를 들면, 제자리에서 앉거나 뛰거나 춤추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캐릭터(11)의 제어를 단순화하면서도 이동, 액션 구동 등 캐릭터(11)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각종 게임에 폭 넓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게임 제공 장치(100)를 이용한 게임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관련하여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7에서 예시된 게임 제공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게임 제공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을 참고하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가상공간(10)의 일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20) 및 가상공간(10) 상의 일 지점에 위치하는 포인터(12)를 표시할 수 있다(S81). 이때 게임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된 가상공간(10)의 표시영역(20)을 표시할 수 있다(S82). 여기서 게임 제공 장치(100)는 실시예에 따라, 변경된 표시영역(20)을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표시하되, 포인터(12)는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후 게임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및 포인터(12)의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공간(10)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캐릭터(11)를 제어할 수 있다(S83). 여기서 게임 제공 장치(100)는 포인터(12)의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공간(10) 상의 위치로 캐릭터(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를 참고하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가상공간(10)의 일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20) 및 가상공간(10) 상의 일 지점에 위치하는 포인터(12)를 표시하고(S91), 표시영역(20)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시작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면(S92), 표시영역(20)을 변경하여 표시하되, 포인터(1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S93). 또한 게임 제공 장치(100)는 드래그 입력의 종료를 감지하면(S94), 포인터(12)와 캐릭터(11)의 위치가 상이한지 여부를 판단하여(S95) 상이하다면, 포인터(12)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캐릭터(11)를 이동시킬 수 있다(S96).
이때 게임 제공 장치(100)가 포인터(12)의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공간(10) 상의 위치로 캐릭터(11)를 이동시킴으로써(S96),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로 캐릭터(11)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드래그 입력 시작 시의 표시영역(20)부터 드래그 방향으로 드래그 길이만큼 평행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 종료 시의 표시영역(20)까지의 가상공간(10)이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경우, 고정된 포인터(12)를 따라 캐릭터(11)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게임 제공 장치(100)는 드래그 입력이 종료됨을 감지한 후(S94), 표시영역(20)의 소정 위치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게임 제공 장치(100)는, 터치 입력 수신 시의 포인터(12)의 위치와 캐릭터(11)의 위치가 상이한지를 판단하고(S95), 상이한 경우 포인터(12)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캐릭터(11)를 이동시킬 수 있다(S96).
만약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후(S94) 터치 입력 대신 추가로 드래그 입력이 감지된다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추가로 입력된 드래그 입력에 따라 표시영역(20)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S93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캐릭터(11)를 이동시키기 전까지 표시영역(20)을 1회 이상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로서는 캐릭터(11)의 이동 시점과 이동 위치를 더욱 정확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10을 참고하면, 게임 제공 장치(100)는 포인터(12)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캐릭터(11)를 이동시킴에 있어서(S96), 드래그 입력을 획득하기 전의 캐릭터(11)의 위치로부터 드래그 입력 종료 시의 포인터(12)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의 경로를 생성한 후(S101), 생성한 경로에 기초하여 캐릭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S102).
한편 드래그 입력이 표시영역(20)의 이동, 즉, 캐릭터(11)의 이동을 위한 입력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게임 제공 장치(100)는 드래그 입력과 구분되는 입력,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30)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 터치, 롱터치, 같은 위치를 연속하여 두 번 터치하는 더블터치 등의 입력을 캐릭터(11)의 액션을 구동하는 입력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터치를 몬스터(13)에 대한 공격 액션으로 설정하고, 더블터치를 스킬 액션으로 설정하는 등 캐릭터(11)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터치, 롱터치, 더블터치 등 드래그 입력과 구분되는 사용자 입력은 표시영역(20)의 임의의 위치에 대하여 입력되더라도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표시영역(20)의 캐릭터(11)를 터치 또는 드래그하거나 포인터(12)를 터치 또는 드래그 하는 입력을 표시영역(20)의 임의의 위치에 대한 입력과 구분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다양화할 수 있다.
이로써 게임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게임 제공 방법은, 캐릭터(11)의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다. 즉, 게임 캐릭터(11) 자체에 대한 선택이나 조작 없이 표시영역(20)에 대한 입력만으로 캐릭터(11)를 조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 별도의 사용자 입력 장치를 구비하거나 가상 조이스틱 등을 표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가리는 일 없이도 캐릭터(11)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11) 제어가 단순화됨에도 불구하고 캐릭터(11)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게임에 적용할 수 있어 적용의 폭이 넓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게임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게임 제공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가상공간 11: 캐릭터
12: 포인터 13: 몬스터
20: 표시영역 30: 디스플레이 장치
100: 게임 제공 장치 110: 입력수신부
120: 표시부 130: 캐릭터제어부

Claims (16)

  1. 가상공간 내에 캐릭터를 제공하는 게임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상공간의 일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가상공간 상의 일 지점에 위치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공간의 표시영역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및 상기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공간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를 제어하는 캐릭터제어부를 포함하는, 게임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영역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게임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영역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되, 상기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여 표시하는, 게임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제어부는,
    상기 표시영역이 변경됨을 감지하면 상기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게임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제어부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와 상기 캐릭터의 위치가 상이함을 감지하면, 상기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게임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제어부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공간 상의 위치로 상기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게임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전 상기 캐릭터 위치로부터 상기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의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한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게임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캐릭터가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게임 제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표시영역에 대한 드래그 입력인, 게임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제어부는,
    상기 드래그를 종료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를 종료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공간 상의 위치로 상기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게임 제공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제어부는,
    상기 표시영역를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를 이동시키고, 상기 표시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의 액션을 구동시키는, 게임 제공 장치.
  12. 가상공간 내에 캐릭터를 제공하는 게임 제공 장치가 수행하는 게임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공간의 일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가상공간 상의 일 지점에 위치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된 상기 가상공간의 표시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및 상기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공간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공간의 표시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영역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되, 상기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제공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가상공간 상의 위치로 상기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제공 방법.
  15. 제12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6. 게임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며, 제12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169953A 2016-12-13 2016-12-13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KR20180068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953A KR20180068237A (ko) 2016-12-13 2016-12-13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953A KR20180068237A (ko) 2016-12-13 2016-12-13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237A true KR20180068237A (ko) 2018-06-21

Family

ID=62806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953A KR20180068237A (ko) 2016-12-13 2016-12-13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82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68623A1 (en) System,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game
US20190377408A1 (en) Dynamic adjustment of user interface
KR101603680B1 (ko) 컴퓨터 비젼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상호작용 반경을 확대하기 위한 제스쳐-제어 기법
EP281277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0215685B (zh) 游戏中的虚拟对象控制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US10521101B2 (en) Scroll mode for touch/pointing control
US201302119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ensor-based advertisements
KR102107179B1 (ko)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US10343064B2 (en) Game service provis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70135542A (ko) 복수의 단말을 이용한 게임 유저인터페이스를 확장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68237A (ko)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KR101958817B1 (ko) 시점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기준점이 변하는 가상 패드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7189248A1 (en) Character-selection band for character entry
KR20190064535A (ko)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080818A (ko)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7135176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14546240B (zh) 游戏的交互实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527071B1 (ko) 게임 정보 제공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게임 제공 장치
JP6521146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20291749A1 (en) Computer system for providing tactile interface for real-time two-dimensional tactile input/output interaction of visually impaired peop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30022201A (ko) 오브젝트배치장치 및 오브젝트배치방법
KR102572332B1 (ko) 다중 접속 온라인 게임에서 시간지연효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27804A (ko) 시점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기준점이 변하는 가상 패드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060843A (ko) 가상 입력수단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4091371A1 (en) Artificial reality input for two-dimensional virtual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