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185A - 변속기용 동기장치 - Google Patents

변속기용 동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185A
KR20180068185A KR1020160169852A KR20160169852A KR20180068185A KR 20180068185 A KR20180068185 A KR 20180068185A KR 1020160169852 A KR1020160169852 A KR 1020160169852A KR 20160169852 A KR20160169852 A KR 20160169852A KR 20180068185 A KR20180068185 A KR 20180068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hub
clutch gear
keybal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164B1 (ko
Inventor
선민수
손충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9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164B1/ko
Priority to CN201710565716.XA priority patent/CN108612785B/zh
Publication of KR20180068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16D2023/0618Details of blocking mechanism comprising a helical spring loaded element, e.g. b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Abstract

변속기용 동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용 동기장치는 출력축에 허브가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허브의 외주 측에 슬리브가 설치되며, 상기 출력축 상에 변속기어와 클러치기어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기어의 콘부에 싱크로나이저 링이 원추 클러치로 결합되며, 상기 허브와 슬리브 사이의 원주방향 3개소에 키볼이 구성되는 변속기용 동기장치에서, 상기 키볼과 함께 작동하여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속도를 감속하도록,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 상의 그루브 양측에 감속부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변속기용 동기장치{SYNCHRONIZER FOR TRANSMISSION}
본 발명은 변속기용 동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과정에 슬리브가 클러치기어의 스토퍼와 충돌에 의한 변속충격 및 충격소음을 최소화하는 변속기용 동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에서, 동기장치는 변속 과정에 시프트 포크용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변속기어(즉, 스프드 기어)의 회전속도를 출력축과 동기시켜 변속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동력 연결되도록 하는 기구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더블 클러치 변속기용 동기장치의 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더블 클러치 변속기용 동기장치는 출력축(1)에 허브(3)가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허브(3)의 외주면 상의 치에 슬리브(5)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출력축(1) 상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변속기어(7)가 베어링(B)을 통하여 상기 출력축(1)과 별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변속기어(7)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허브(3)에 대응하는 변속기어(7)의 내측에 클러치기어(9)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기어(9)와 상기 허브(3) 사이에는 상기 슬리브(5)의 이동 시, 동기 작동하는 싱크로나이저 링(11)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허브(3)와 슬리브(5) 사이에는 원주방향으로 3개소에 상기 허브(3)에 대하여 슬리브(5)의 위치를 설정해주는 키볼(13)이 구성되고, 상기 키볼(13)은 상기 허브(3)의 내측에 키볼 하우징(15)을 통하여 설치된 스프링(17)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키볼(13)이 상기 슬리브(5)이 내주면 중앙에 형성된 그루브(G)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싱크로나이저 링(11)은 변속과정에 상기 슬리브(5)가 축방향 이동 시, 상기 키 하우징(15)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기 클러치기어(9)에 형성된 콘부(9a)에 원추 클러치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동기장치는 변속과정에 액추에이터(20)의 작동에 의해 시프트 포크(21)가 회전하면서 상기 슬리브(5)를 축방향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슬리브(5)는 그루브(G)에 밀착된 키볼(13)과 함께, 키볼 하우징(15)에 축방향 힘을 전달하여 싱크로나이저 링(11)이 클러치기어(9)의 콘부(9a)에 원추 클러치로 결합되도록 하면서 싱크로나이저 링(11)과 치합된다.
즉, 상기 싱크로나이저 링(11)과 상기 클러치기어(9)가 결합되면, 상기 허브(3)와 변속기어(7)는 회전속도가 동기되며, 상기 슬리브(5)는 축방향 이동을 계속하여 싱크로나이저 링(11)과 함께 상기 클러치기어(9)에 치합된다.
그러면, 상기 허브(3)와 상기 변속기어(7)가 기계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변속기어(7)는 출력축(1)과 동일한 회전속도로 동력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의 동기장치는 변속과정에 액추에이터(20)에 의해 시프트 포크(21)가 빠른 속도로 작동함에 따라 슬리브(5)가 관성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클러치기어(9)의 스토퍼에 부딪혀 변속충격과 함께 충격소음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키볼과 밀착되도록 슬리브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 그루브의 양측으로 경사면을 갖는 돌출단을 형성하여 변속과정에 슬리브의 챔퍼 끝단이 클러치기어의 챔퍼 끝단을 지나는 시점에, 키볼이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어 슬리브의 이동속도를 감속시켜 클러치기어의 스토퍼와 충돌에 의한 충격소음을 최소화하는 변속기용 동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출력축에 허브가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허브의 외주 측에 슬리브가 설치되며, 상기 출력축 상에 변속기어와 클러치기어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기어의 콘부에 싱크로나이저 링이 원추 클러치로 결합되며, 상기 허브와 슬리브 사이의 원주방향 3개소에 키볼이 구성되는 변속기용 동기장치에서, 상기 키볼과 함께 작동하여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속도를 감속하도록,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 상의 그루브 양측에 감속부재가 형성되는 변속기용 동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부재는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 상에 중앙에 형성된 그루브의 양측에 상기 키볼과의 접촉면을 갖는 돌출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면은 상기 키볼에 대향하는 돌출단의 측면에 축 중심방향으로 상기 슬리브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은 변속 중, 슬리브의 챔퍼 끝단이 클러치기어의 챔퍼 끝단을 지나는 시점에, 상기 키볼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은 상기 키볼과 점 접촉되도록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키볼과 선 접촉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키볼과 면 접촉되도록 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의 전체 면에 대한 직경은 상기 클러치기어와 싱크로나이저 링의 각 치의 골부분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감속부재는 상기 허브와 슬리브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3개소에서 지지되는 각각의 키볼에 대응하여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 상의 각 그루브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용 동기장치는 변속과정에 슬리브의 챔퍼 끝단이 클러치기어의 챔퍼 끝단을 지나는 시점에, 슬리브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 그루브의 양측으로 경사면을 갖는 돌출단에 대하여 키볼이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어 슬리브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클러치기어의 스토퍼와 슬리브의 충돌에 의한 충격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더블 클러치 변속기용 동기장치의 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용 동기장치의 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용 동기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용 동기장치에 적용되는 경사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용 동기장치의 변속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용 동기장치의 변속과정의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더블 클러치 변속기용 동기장치의 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용 동기장치의 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용 동기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용 동기장치는 기본적으로,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의 출력축(1) 상에 구성되며, 허브(3), 슬리브(5), 변속기어(7), 클러치기어(9), 싱크로나이저 링(11), 키볼(13) 등을 포함한다.
상기 허브(3)는 출력축(1)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슬리브(5)는 허브(3)의 외주면 상의 치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변속기어는 출력축(1) 상의 일측 또는 양측에 베어링(B)을 통하여 상기 출력축(1)과 별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기어(9)는 변속기어(7)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허브(3)에 대응하는 변속기어(7)의 내측에 구성되며, 중앙부에는 콘부(9a)가 형성된다.
상기 싱크로나이저 링(11)은 클러치기어(9)와 상기 허브(3) 사이에서, 상기 클러치기어(9)의 콘부(9a)에 원추 클러치로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리브(5)의 이동 시, 동기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키볼(13)은 허브(3)와 슬리브(5)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3개소에 구성되어 상기 허브(3)에 대하여 슬리브(5)의 위치를 설정해준다.
이러한 키볼(13)은 상기 허브(3)의 내측에 키볼 하우징(15)을 통하여 설치된 스프링(17)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키볼(13)이 슬리브(5)이 내주면 중앙에 형성된 그루브(G)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싱크로나이저 링(11)은 변속과정에 상기 슬리브(5)가 축방향 이동 시, 상기 키 하우징(15)으로부터 축방향 힘을 전달받아 상기 클러치기어(9)에 형성된 콘부(9a)에 원추 클러치로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변속기용 동기장치에서, 상기 슬리브(5)에는 변속과정에 상기 키볼(13)과 함께 작동하여 슬리브(5)의 축방향 이동속도를 감속하도록, 내주면 상의 그루브(G) 양측에 감속부재를 형성한다.
즉, 상기 감속부재(30)는 상기 슬리브(5)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 그루브(G)의 양측에 상기 키볼(13)과 접촉되는 접촉면을 갖는 돌출단(31)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키볼(13)에 대향하는 상기 돌출단(31) 상의 측면에 축 중심방향으로 상기 슬리브(5)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33)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용 동기장치에 적용되는 경사면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면(33)은 (a)의 예시와 같이, 평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키볼(13)과 점 접촉될 수 있으며, (b)의 예시와 같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키볼(13)과 선 접촉될 수 있으며, (c)의 예시와 같이, 구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키볼(13)과 면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33)은 평면, 곡면, 구면에 상관없이 전체 면에 대한 직경(D)이 상기 클러치기어(9)와 싱크로나이저 링(11)의 각 치의 골부분 직경(D1)(D2)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용 동기장치의 변속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단(31)의 경사면(33)은 변속과정에 슬리브(5)의 챔퍼(5a) 끝단이 클러치기어(9)의 챔퍼(9b) 끝단을 지나는 시점에, 상기 키볼(13)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돌출단(31)은 상기 허브(3)와 슬리브(5)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3개소에서 지지되는 각각의 키볼(13)에 대응하여 상기 슬리브(5)의 내주면 상의 각 그루브(G) 양측에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용 동기장치의 변속과정의 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변속기용 동기장치는 변속과정에 액추에이터(20)의 작동에 의해 시프트 포크(21)가 회전하면서 상기 슬리브(5)를 축방향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슬리브(5)는 그루브(G)에 밀착된 키볼(13)과 함께, 키볼 하우징(15)에 축방향 힘을 전달하여 싱크로나이저 링(11)이 클러치기어(9)의 콘부(9a)에 원추 클러치로 결합되도록 하면서 싱크로나이저 링(11)과 치합된다.
즉, 상기 싱크로나이저 링(11)과 상기 클러치기어(9)가 결합되면, 상기 허브(3)와 변속기어(7)는 회전속도가 동기되며, 상기 슬리브(5)는 축방향 이동을 계속하여 싱크로나이저 링(11)과 함께 상기 클러치기어(9)에 치합된다.
그러면, 상기 허브(3)와 상기 변속기어(7)가 기계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변속기어(7)는 출력축(1)과 동일한 회전속도로 동력 연결된다.
이러한 변속과정에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키볼(13)은 슬리브(5)의 챔퍼(5a) 끝단이 클러치기어(9)의 챔퍼(9b) 끝단을 지나는 시점에, 상기 돌출단(31)의 경사면(33)에 접촉되면서, 상기 액추에이터(20)에 의해 시프트 포크(21)가 빠른 속도로 작동함에 따라 슬리브(5)가 관성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속도를 저감하면서 슬리브(5)가 클러치기어(9)의 스토퍼에 강하게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변속충격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른 충격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출력축
3: 허브
5: 슬리브
7: 변속기어
9: 클러치기어
9a: 콘부
11: 싱크로나이저 링
13: 키볼
15: 키볼 하우징
17: 스프링
20: 액추에이터
21: 시프트 포크
30: 감속부재
31: 돌출단
33: 경사면
G: 그루브
B: 베어링

Claims (9)

  1. 출력축에 허브가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허브의 외주 측에 슬리브가 설치되며, 상기 출력축 상에 변속기어와 클러치기어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기어의 콘부에 싱크로나이저 링이 원추 클러치로 결합되며, 상기 허브와 슬리브 사이의 원주방향 3개소에 키볼이 구성되는 변속기용 동기장치에서,
    상기 키볼과 함께 작동하여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속도를 감속하도록,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 상의 그루브 양측에 감속부재가 형성되는 변속기용 동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재는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 상에 중앙에 형성된 그루브의 양측에 상기 키볼과의 접촉면을 갖는 돌출단으로 형성되는 변속기용 동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키볼에 대향하는 돌출단의 측면에 축 중심방향으로 상기 슬리브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변속기용 동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변속 중, 슬리브의 챔퍼 끝단이 클러치기어의 챔퍼 끝단을 지나는 시점에, 상기 키볼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변속기용 동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키볼과 점 접촉되도록 평면으로 형성되는 변속기용 동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키볼과 선 접촉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변속기용 동기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키볼과 면 접촉되도록 구면으로 형성되는 변속기용 동기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전체 면에 대한 직경은
    상기 클러치기어와 싱크로나이저 링의 각 치의 골부분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변속기용 동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재는
    상기 허브와 슬리브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3개소에서 지지되는 각각의 키볼에 대응하여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 상의 각 그루브 양측에 형성되는 변속기용 동기장치.
KR1020160169852A 2016-12-13 2016-12-13 변속기용 동기장치 KR102487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852A KR102487164B1 (ko) 2016-12-13 2016-12-13 변속기용 동기장치
CN201710565716.XA CN108612785B (zh) 2016-12-13 2017-07-12 用于变速器的同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852A KR102487164B1 (ko) 2016-12-13 2016-12-13 변속기용 동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185A true KR20180068185A (ko) 2018-06-21
KR102487164B1 KR102487164B1 (ko) 2023-01-10

Family

ID=6280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852A KR102487164B1 (ko) 2016-12-13 2016-12-13 변속기용 동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7164B1 (ko)
CN (1) CN1086127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0561A (zh) * 2018-12-28 2019-04-16 宁波圣龙汽车动力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混动变速器用换挡离合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248A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차량용 수동 변속기의 동기 장치
KR20050046401A (ko) * 2003-11-14 2005-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의 동기 장치
KR20070016977A (ko) * 2005-08-05 2007-02-08 교와고우낑가부시키가이샤 변속기용 동기 장치
KR20090062822A (ko) *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용 동기장치
KR20090116026A (ko) * 2008-05-06 2009-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07771D0 (en) * 1991-04-12 1991-05-29 Eaton Corp Synchroniser sliding sleeve
JP2000154834A (ja) * 1998-11-19 2000-06-06 Aisin Ai Co Ltd 歯車変速機の同期装置
KR100568812B1 (ko) * 2004-04-27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DE102010010402A1 (de) * 2010-03-05 2011-09-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Schaltkupplung
CN103148116B (zh) * 2013-02-27 2015-12-02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单边同步器
CN204729506U (zh) * 2015-05-28 2015-10-28 格特拉克(江西)传动系统有限公司 汽车变速器同步器齿套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248A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차량용 수동 변속기의 동기 장치
KR20050046401A (ko) * 2003-11-14 2005-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의 동기 장치
KR20070016977A (ko) * 2005-08-05 2007-02-08 교와고우낑가부시키가이샤 변속기용 동기 장치
KR20090062822A (ko) *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용 동기장치
KR20090116026A (ko) * 2008-05-06 2009-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12785B (zh) 2020-08-14
KR102487164B1 (ko) 2023-01-10
CN108612785A (zh)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1244B2 (ja) 変速機の同期装置
US9341240B2 (en) Shift device with synchronizer
KR20180068185A (ko) 변속기용 동기장치
KR20180058907A (ko) 클러치 구조
US20160146269A1 (en) Synchronization device for a manual transmission
US9188169B2 (en) Shift device with synchronizer
KR20180068184A (ko) 변속기용 동기장치
US10578169B2 (en) Reduced axial length increased capacity synchronizer
KR100834216B1 (ko) 수동변속기의 동기치합장치
JP2007071219A (ja) 変速機の同期装置
KR100568812B1 (ko)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JP2018162814A (ja) 二方向クラッチ
JP4778224B2 (ja) 副変速機の同期装置
KR100520735B1 (ko) 수동 변속기의 동기 장치
KR100568818B1 (ko)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CN107917148B (zh) 环状v型槽离合器
KR20180107383A (ko) 변속기구
KR100524052B1 (ko)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JPH089461Y2 (ja) 同期噛合装置
KR101822262B1 (ko) 차량의 변속기
WO2014061278A1 (ja) 変速機の同期装置
KR100551092B1 (ko)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KR100384316B1 (ko) 차량의 수동변속기 동기장치
JPH0849732A (ja) 変速機の同期装置
JP2021162054A (ja) シンク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