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762A -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762A
KR20180067762A KR1020160168522A KR20160168522A KR20180067762A KR 20180067762 A KR20180067762 A KR 20180067762A KR 1020160168522 A KR1020160168522 A KR 1020160168522A KR 20160168522 A KR20160168522 A KR 20160168522A KR 20180067762 A KR20180067762 A KR 20180067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ing
water
bioside
unit
separation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7915B1 (ko
Inventor
김정학
이강원
김상대
성보경
Original Assignee
(주)필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필로스 filed Critical (주)필로스
Priority to KR1020160168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9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7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사이드를 통하여 약품을 서서히 배출시켜 살균처리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상측에 형성된 필터본체; 상기 필터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폐수를 전처리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폐수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하는 바이오사이드 처리부; 상기 바이오사이드 처리부를 통과한 폐수를 분리막을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멤브레인부를 포함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SUSTAINED RELEASE STERRILIZATION APPARATUS FOR DISINFECTING MICROORGANISM}
본 발명은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서방성 바이오사이드를 이용하여 물에 포함된 미생물을 살균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개특허 2003-0039604호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수영장이나 냉각탑 및 분수대 등에서 사용되는 물과 정류작용을 하는 필터에는 각종 미생물(호기성, 혐기성, 통기성)과 이끼루 및 바이러스가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화학 약품을 투입하여 각종 바이러스 등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각 장치나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이나 이끼류 등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종래는 화학약품을 이용하므로 많은 비용이 소모될 뿐만아니라 화학약품의 오남용으로 인해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10-1021868을 참조하면, 현대사회는 급격한 산업발달에 따라 도시인구가 비약적으로 증가되고 이에 따라 사용되는 물의 양만큼이나 사용 후 버려지는 물을 처리하기 위한 오폐수처리방법에 많은 연구가 실시되었다.
일반적으로 오폐수의 처리는 수중의 오염된 물질을 미생물 또는 화학적인 산화, 환원반응에 의하여 안정화된 물질로 변화시키는 생물학적 처리방법과 화학적 처리방법이 각각 또는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이며, 처리되지 않은 잔류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을 거친다.
생물학적 처리방법에서는 오폐수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 제거하는 방법으로 침전지에서의 고액 분리효율에 따라 처리수질이 크게 영향을 받았다. 전통적인 하수처리의 경우 호기성 생물반응조 내에서 오/폐수 중의 유기물과 영양 염류를 섭취해서 성장한 미생물이 침전조에서 슬러지 형태로 침전되어 물과 분리 및 제거되는데, 처리공정의 운전상태에 따라 침전성이 떨어질 경우 유출수의 수질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화학적 처리방법에서는 스크린 장치 등을 통해 오폐수에서 큰 입자의 오니가 분리되며, 오니가 분리된 오폐수가 반응조, 중화조, 응집조를 거치는 전처리 공정중에 다양한 화학성분을 통해 화학처리되어 PH조정이 이루어지며, 색소, 현탁물질, 난분해성 COD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나 다량의 화학성분으로 인한 2차오염과 약품으로 인한 슬러지 발생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처리하는데, 병원 폐수의 경우, 일반 사무용 건물에서 발생하는 하수와 달리 환자의 검사 및 치료 등의 행위에 발생되는 오폐수로서, 유기물, 중금속, 전염성균, 혈액 또는 방사성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어 일반 오폐수 보다 더 엄격한 처리를 요구하고 있다.
대형 종합병원의 경우에는 별도의 폐수 처리장을 갖추어 이러한 병원성 세균이 방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규모가 작은 개인 병원은 별도의 처리시설을 갖추지 못하고 그대로 방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에 포함된 미생물을 보다 용이하게 살균, 소독할 수 있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규모의 개인 병원의 폐수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오사이드를 통하여 약품을 서서히 배출시켜 살균처리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바이오사이드 처리공정을 처리하는 처리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바이오사이드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필터본체; 상기 필터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을 전처리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물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하는 바이오사이드 처리부; 및 상기 바이오사이드 처리부를 통과한 물을 분리막을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멤브레인부;를 포함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한편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필터본체; 상기 필터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을 전처리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물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하는 바이오사이드 처리부; 및 상기 바이오사이드 처리부를 통과한 물을 분리막을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멤브레인부; 및 상기 바이오사이드처리부와 상기 멤브레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이오사이드 처리부를 통과한 물을 가압하여 상기 분리막으로 공급하는 가압펌프를 포함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멤브레인부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흡입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하여 흡입된 여과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처리하는 자외선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스트레이너 필터일 수 있고, 상기 바이오사이드부는, 상기 필터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몸체 내부의 공간을 복수개의 살균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부 또는 하부에 폐수가 유동하는 유동홀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격벽; 및 상기 살균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의 유동홀은 인접하는 격벽의 유동홀과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몸체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격벽은 상기 필터몸체의 중앙에서 방사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살균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폐수는 상기 복수개의 살균공간을 순차적으로 유동하며 살균처리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담체는 항균 마이크로 캡슐 구조이거나,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며 외측에 멤브레인 코팅층이 형성된 직물관 ; 및 상기 직물관 내부에 충진되는 살균약품을 포함하거나, 살균약품을 포함하는 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치아염소산나트퓸(sodium Hypochlorite),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 염소(Chlorine), 클로로칼퀴(Ca(OCl)2), 브로민(Br), 고순도 이산화염소(High Purity Chlorine Dioxide), 바이오디스퍼전트와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더블유티피 클로 10(WTP Chlor 10 with Additional Biodispersant and Surfactants), 더블유티피 클로-록스(WTP Chloro-Lox) 중 어느 하나, 브롬계인 40% 브롬화나트륨용액(Sodium Bromide Solution), 브롬 타블릿(Bromine Tablets(BCDMH)), 브로노폴(Bronopol(BNPD)), 산업용 살충제(Industrial Biocide), 아이소티아잘론&브로노폴(Isothiazalone & Bronopol), 액화 살충제(Liquid Biocide) 중 어느 하나, 또는 폴리 쿼터너리 암모니움 복합물(Poly-quaternary Ammonium Compound), 폴리쿼트(Polyquat), 과산화수소 35% 용액(Hydrogen Peroxide 35% Solution), 트리아진(Triazine), 이중결합 쿼터너리 암모니움 복합물(Twin Chain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도디클구아딘과 브로노폴(Dodecylguanadine and Bronopol),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 글루탈알데히드와 이소시아잘론(Glutaraldehyde and Isothiazalone), 이소시아칼론(Isothiazalone), 과산화아세트산(Peracetic Acid), 테트라 하이드로키스 포스포니움 설페이트(Tetra Hydro kis Phosphonium Sulphate(THPS)) 중 어느 하나, 또는 o-디클로 벤젠(o-dichlorobenzene), 트로클로센 나트륨(SDIC, Sodium dichloroisocyanurate), 염화 디데실디메틸암모늄(DDAC, Di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터피네올(Terpineol), 염화 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파인 오일(Pine oil), 테트라 아세틸 에틸렌 디아민(Tetra acetyl ethylene diamine), 폴리아미노프로필바이구아나이드(Polyaminopropyl Biguanide), Coco bis(2-hydroxyethyl)amine, N-alkyl "coco" N,N bis hydroxyethyl amine, 실버 소디움 하이드로젠 지르코니움 포스페이트(Silver sodium hydrogen zirconium phosphate), 감귤 농축액(Citrus Fruit Extract), 자몽씨 농축액(Grapefruit seed extract), 염산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니드Poly(hexamethylene)biguanide hydrochlori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체는, 고체염소로 이루어지거나, 내부에 소정공간을 구비하는 멤브레인 포켓 및 상기 멤브레인 포켓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체염소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멤브레인부는, 상기 필터몸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지지하며, 일측에 상기 바이오사이드부의 살균공간과 연통되는 유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살균공간을 통과한 폐수를 상기 분리막으로 공급하는 분리막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분리막지지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막지지프레임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1수위센서 및 상기 제1수위센서의 측정치에 따라 상기 펌프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펌프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외선 살균부는, 상기 필터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멤브레인부를 통과한 여과수를 살균시키는 살균챔버가 내부에 형성된 자외선살균 프레임 및; 상기 자외선 살균 프레임의 살균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살균챔버 내에 유입된 여과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필터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이오사이드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2수위측정센서 및 상기 제2수위측정센서의 측정치에 따라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펌프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오사이드처리부(1300)는 상기 필터부(1200)를 통과한 폐수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한다. 상기 바이오사이드처리부(1300)는, 상기 외통본체(1120)의 내부를 4분할하여 제 1 내지 제4 살균공간(1320a)(1320b)(1320c)(1320d)을 형성하는 제1내지 제4격벽(1310a)(1310b)(1310c)(1310d) 및 상기 살균 공간들에 배치되는 담체(1321)를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4살균공간(1320d)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분리막모듈과 연결되는 폐수공급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펌프는 상기 폐수공급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은 상기 분리막모듈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자외선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분리막모듈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상기 자외선 연결부로 공급하는 여과수 이송관 및, 상기 여과수 이송관에서 분기되어 역세정시 상기 분리막모듈로 에어를 공급하는 역세정관 및 상기 여과수 이송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수 이송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여과액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 바이오사이드, UV 장치를 이용하여 살균효과가 뛰어나며 소규모의 개인 병원에도 용이하게 적용가능한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사이드를 통하여 약품을 서서히 배출시켜 살균처리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오사이드 처리공정을 처리하는 처리공간의 구조를 개선하여 바이오사이드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의 부분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의 평면 절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의 부분 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의 상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는, 필터본체(100), 필터부(200), 바이오사이드처리부(300), 멤브레인부(400), 펌프(500) 및 자외선살균부(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본체(100)는, 상부커버(110) 및 외통본체(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커버(110)는 상부에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1)가 형성된다. 상기 외통본체(120)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가 상부커버에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나, 설치되는 조건에 따라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물을 상기 상부커버로 유도하는 유도관을 더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필터부(200)는 상기 필터본체 중 상부커버(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부(200)는 상기 유입구(101)로부터 유입된 폐수를 전처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가 처리하는 처리 대상수가 폐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처리 대상수가 폐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처리하는 처리 대상수는 세균을 제거하여야 하는 일반 물을 모두 다 포함함은 물론이다.
상기 필터부(200)는 먼지 또는 큰 입자를 폐수로부터 제거하는 망 형태의 스트레이너 필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부(200)의 하측에는 바이오사이드처리부(300)가 배치된다.
상기 바이오사이드처리부(300)는 상기 필터부(200)를 통과한 폐수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한다. 상기 바이오사이드처리부(300)는, 상기 외통본체(120)의 내부를 4분할하여 4개의 살균공간(320a)(320b)(320c)(320d)을 형성하는 제1내지 제4격벽(310a)(310b)(310c)(310d) 및 상기 살균 공간들에 배치되는 담체(3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내지 4격벽(310a)(310b)(310c)(310d)은 상기 필터몸체(100)의 중앙에서 방사형상으로 형성되어 4개의 제1 내지 4 살균공간(320a)(320b)(320c)(320d)을 형성한다.
상기 제1격벽(310a)은, 상기 유입구(101)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4격벽(310d)과 제1살균공간(320a)을 형성한다. 상기 유입구(101)를 통하여 유입된 폐수는 필터부에서 1차 전 처리 된 후 상기 제1살균공간(320a)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1격벽(310a)의 상부에는 제1유동홀(311a)이 형성된다. 상기 제1살균공간(320a)에 유입된 폐수는 상기 제1유동홀(311a)을 통하여 인접한 제2살균공간(320b)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1살균공간(320a)에는 서방성 담체(321)가 배치된다. 상기 담체(321)는 구슬 모양의 항균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지며, 폐수와 접촉하며 서서히 약품성분이 폐수로 공급되어 상기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을 제거한다.
상기 담체에 사용되는 약품은, 치아염소산나트퓸(sodium Hypochlorite),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 염소(Chlorine), 클로로칼퀴(Ca(OCl)2), 브로민(Br), 고순도 이산화염소(High Purity Chlorine Dioxide), 바이오디스퍼전트와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더블유티피 클로 10(WTP Chlor 10 with Additional Biodispersant and Surfactants), 더블유티피 클로-록스(WTP Chloro-Lox) 중 어느 하나, 브롬계인 40% 브롬화나트륨용액(Sodium Bromide Solution), 브롬 타블릿(Bromine Tablets(BCDMH)), 브로노폴(Bronopol(BNPD)), 산업용 살충제(Industrial Biocide), 아이소티아잘론&브로노폴(Isothiazalone & Bronopol), 액화 살충제(Liquid Biocide) 중 어느 하나, 또는 폴리 쿼터너리 암모니움 복합물(Poly-quaternary Ammonium Compound), 폴리쿼트(Polyquat), 과산화수소 35% 용액(Hydrogen Peroxide 35% Solution), 트리아진(Triazine), 이중결합 쿼터너리 암모니움 복합물(Twin Chain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도디클구아딘과 브로노폴(Dodecylguanadine and Bronopol),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 글루탈알데히드와 이소시아잘론(Glutaraldehyde and Isothiazalone), 이소시아칼론(Isothiazalone), 과산화아세트산(Peracetic Acid), 테트라 하이드로키스 포스포니움 설페이트(Tetra Hydro kis Phosphonium Sulphate(THPS)) 중 어느 하나, 또는 o-디클로 벤젠(o-dichlorobenzene), 트로클로센 나트륨(SDIC, Sodium dichloroisocyanurate), 염화 디데실디메틸암모늄(DDAC, Di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터피네올(Terpineol), 염화 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파인 오일(Pine oil), 테트라 아세틸 에틸렌 디아민(Tetra acetyl ethylene diamine), 폴리아미노프로필바이구아나이드(Polyaminopropyl Biguanide), Coco bis(2-hydroxyethyl)amine, N-alkyl "coco" N,N bis hydroxyethyl amine, 실버 소디움 하이드로젠 지르코니움 포스페이트(Silver sodium hydrogen zirconium phosphate), 감귤 농축액(Citrus Fruit Extract), 자몽씨 농축액(Grapefruit seed extract), 염산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니드Poly(hexamethylene)biguanide hydrochloride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담체는 구슬 형상의 마이크로캡슐 형태로 이루어져 폐수와 접촉하며 서서히 약품을 배출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폐수와 접촉하며 서서히 약품을 배출할 수만 있다면 다른 형태로 구현이 가능함을 물론이다.
다른 변형예의 담체는, 직물관 및 직물관 내부에 충진된 살균약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직물관은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며, 외측에는 분리막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 담체는 폐수와 접하며, 상기 직물관 내부에 충진된 살균약품이 서서히 배출되어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의 담체는, 폴리머에 살균약품이 함유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용융된 폴리머에 살균약품을 혼합한 후, 이를 응고시켜 제조된다. 상기 담체는 폐수와 접촉하며, 폴리머에 혼합된 살균약품이 서서리 배출되어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담체는, 고체염소(클로로칼퀴)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살균공간에 고체염소를 배치하는 경우 상기 고체염소는 폐수와 접하며 폐수에 포함된 세균을 서서히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고체염소가 멤브레인 포켓에 수용되는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포켓은 내부에 소정공간을 구비하고, 표피가 분리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격벽(310b)은 상기 제1격벽(310a)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격벽(310a)과의 사이 공간에 제2살균공간(320b)을 형성하며, 하부에는 제2유동홀(311b)이 형성된다. 상기 제2살균공간(320b)에 유입된 폐수는 상기 제2유동홀(311b)을 통하여 인접한 제3살균공간(320c)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2살균공간(320b)에는 담체(321)가 배치되어, 상기 제2살균공간(320b)에 유입된 폐수와 접하며 서서히 약품을 배출하여 폐수에 함유된 세균을 제거한다.
상기 제3격벽(310c)은, 상기 제2격벽(310b)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2격벽(310b)과의 사이 공간에 제3살균공간(320c)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제3유동홀(311c)이 형성된다. 상기 제3살균공간(320c)의 폐수는 상기 제3유동홀(311c)을 통하여 인접한 제4살균공간(320d)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3살균공간(320c) 및 상기 제4살균공간(320d)에는 구형의 담체가 배치된다.
상기 제1내지 제3유동홀(311a)(311b)(311c)은, 인접하는 유동홀과 서로 상하부로 교번하여 배치되어 폐수가 상부 및 하부를 지그재그 유로로 유동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폐수의 유동경로는 길어지게 되며, 폐수는 오랫동안 담체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살균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1내지 제3유동홀(311a)(311b)(311c)이 형성된 판은 상기 제1 내지 4살균공간에 배치된 담체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외통본체(120)의 내부면에는 복수개의 결합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제1내지 제4격벽은 외통본체의 결합홈에 끼워져 장착된다.
상기 외통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살균공간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1수위측정센서(330)가 장착된다.
상기 제1수위측정센서(330)는, 상기 제1 내지 제4살균공간(320a)(320b)(320c)(320d)의 수위를 측정하여, 펌프제어부(340)로 측정치를 송신한다. 상기 펌프제어부(340)는 상기 제1내지 제4살균공간의 수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펌프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멤브레인부(400)는 상기 외통본체(120)의 중심에 배치되며, 분리막모듈(410) 및 분리막지지프레임(4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리막지지프레임(420)은 일측에 내부공간과 상기 제4살균공간(320d)을 연통시키는 유입홀(421)이 형성된다. 상기 제4살균공간(320d)의 물은 상기 유입홀(421)을 통하여 상기 분리막모듈(410) 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분리막모듈(410)은 상기 분리막지지프레임(42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분리막모듈(410)은 상기 유입홀(421)을 통하여 유입된 폐수를 여과시킨다.
상기 분리막모듈(410)은 내부에 복수개의 관형 분리막이 구비되며, 상기 관형 분리막의 내부공간은 상기 펌프(500)와 연결된다. 상기 펌프는 상기 멤브레인 내부 공간의 물을 강제로 흡입하여 폐수가 강제로 여과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펌프를 이용하여 폐수를 여과시키도록 하였으나, 펌프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자중에 의한 유동에 의하여 폐수가 여과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리막지지프레임(420)의 외측에는 4개의 삽입홈(42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4격벽의 일측면이 각각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분리막지지프레임의 내측에는 제2수위측정센서(430)가 형성된다. 상기 제2수위측정센서(430)는 상기 분리막지지프레임(420) 내부의 폐수의 수위를 측정한다. 상기 제2수위측정센서(430)는 상기 분리막지지프레임 내부의 폐수의 수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분리막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정된 수위를 펌프제어부(340)로 송부하고, 상기 펌프제어부(340)는 펌프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펌프(500)는, 상기 필터몸체(10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막에 의하여 여과된 여과수를 흡입한다.
상기 자외선 살균부(600)는 상기 필터몸체(10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막모듈에 의하여 여과된 후 펌프에 의하여 공급되는 여과수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한다.
상기 자외선 살균부는(600), 자외선살균탱크(610) 및 자외선램프(6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외선살균탱크(610)는 상기 펌프의 배출구측 배관에 형성되어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여과수를 수용한다.
상기 자외선 램프(620)는 상기 자외선 살균탱크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여과수를 살균한다.
상기 자외선 살균탱크(610)의 내부에서 살균된 여과수는 배출구(6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의 부분 절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의 평면 절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의 부분 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의 상부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는, 필터본체(1100), 필터부(1200), 바이오사이드처리부(1300), 멤브레인부(1400), 펌프(1500) 및 자외선살균부(1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본체(1100)는, 상부에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01)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부(1200)는 상기 필터본체(1100)의 유입구와 연통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1101)로부터 유입된 폐수를 전처리한다. 상기 필터부(1200)는 먼지 또는 큰 입자를 폐수로부터 제거하는 망 형태의 스트레이너 필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부(1200)의 일측에는 바이오사이드처리부(1300)가 배치된다.
상기 바이오사이드처리부(1300)는 상기 필터부(1200)를 통과한 폐수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한다. 상기 바이오사이드처리부(1300)는, 상기 외통본체(1120)의 내부를 4분할하여 4개의 제1내지 4 살균공간(1320a)(1320b)(1320c)(1320d)을 형성하는 제1내지 제4격벽(1310a)(1310b)(1310c)(1310d) 및 상기 살균 공간들에 배치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내지 4격벽(1310a)(1310b)(1310c)(1310d) 및 이에 형성된 유동홀, 그리고 담체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통본체(1120) 내부의 제4 살균공간(1320d)에는 제1위측정센서(1330)가 장착된다.
상기 제1수위측정센서(1330)는, 상기 제4살균공간(1320d)의 수위를 측정하여, 펌프제어부(미도시)로 측정치를 송신한다. 상기 펌프제어부는 상기 제4살균공간(1320d)의 수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후술할 가압펌프(1500)를 작동시키고, 수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가압펌프(150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멤브레인부(1400)는 상기 외통본체(1120)의 중심에 배치되며, 분리막모듈(1410) 및 분리막지지프레임(14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리막지지프레임(1420)은 일측에 내부공간과 상기 제4살균공간(1320d)을 연통시키는 유입홀(1421)이 형성된다. 상기 제4살균공간(1320d)의 물은 상기 유입홀을 통하여 상기 분리막지지프레임(1420)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분리막 모듈을 지지하는 상기 분리막지지프레임(1420)의 하면에는 상기 유입홀을 통하여 유입된 물을 후술할 폐수공급관(1415)으로 유동시키는 흡입홀(1422)이 형성된다.
상기 폐수공급관(1415)은 일단이 상기 흡입홀(1422)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분리막모듈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폐수공급관에는 가압펌프(1500)가 장착된다. 상기 가압펌프는 상기 흡입홀(1422)을 통하여 상기 분리막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된 물을 흡입하여 상기 폐수공급관(1415)을 통하여 상기 분리막모듈(1410)로 공급한다.
상기 분리막모듈(1410)로 공급된 물은 분리막에 의하여 여과되며, 여과된 물은 여과액 이송관(1424)을 통하여 자외선 살균부로 공급된다.
상기 분리막모듈(1410)은 내부에 복수개의 관형 분리막이 구비되며, 상기 관형 분리막의 외측공간은 상기 폐수공급관(1415)과 연결된다. 상기 가압펌프(1500)는 상기 관형 분리막의 외측으로 물을 강제로 가압하여 폐수가 분리막에 의하여 강제로 여과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형 분리막에 의하여 여과되고 남은 폐수는 순환수 배출홀(1423)을 통하여 다시 바이오 사이드처리부로 공급되어 재순환, 처리된다.
한편, 상기 여과액 이송관(1424)에는 상부로 분기되는 역세정관(1425) 및 상기 여과액 이송관(1424)을 개폐하는 여과액 개폐밸브(1426)가 형성된다.
역 세정 작업의 경우, 상기 여과액 개폐밸브(1426)는 가동되어 상기 여과액 이송관(1424)을 폐쇄시키고, 상기 역세정관(1425)으로 공기가 주입된다. 상기 역세정관으로 주입된 공기는 상기 분리막모듈로 공급되어 상기 분리막모듈의 관형분리막을 세정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살균부(1600)는 상기 필터몸체(110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막모듈에 의하여 여과된 여과수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한다. 상기 자외선 살균부 역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외선 살균부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필터본체 200: 필터부
300: 바이오사이드처리부 400: 멤브레인부
500: 펌프 600: 자외선살균부

Claims (21)

  1.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필터본체;
    상기 필터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을 전처리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물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하는 바이오사이드 처리부; 및
    상기 바이오사이드 처리부를 통과한 물을 분리막을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멤브레인부;를 포함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부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흡입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3.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필터본체;
    상기 필터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을 전처리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물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하는 바이오사이드 처리부; 및
    상기 바이오사이드 처리부를 통과한 물을 분리막을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멤브레인부; 및
    상기 바이오사이드처리부와 상기 멤브레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이오사이드 처리부를 통과한 물을 가압하여 상기 분리막으로 공급하는 가압펌프를 포함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부를 통과한 여과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처리하는 자외선살균부를 포함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스트레이너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사이드부는,
    상기 필터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몸체 내부의 공간을 복수개의 살균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부 또는 하부에 폐수가 유동하는 유동홀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격벽; 및
    상기 살균 공간에 배치되는 서방성 담체를 포함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유동홀은,
    인접하는 격벽의 유동홀과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필터몸체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격벽은 상기 필터몸체의 중앙에서 방사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살균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폐수는 상기 복수개의 살균공간을 순차적으로 유동하며, 살균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항균 마이크로 캡슐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며 외측에 멤브레인 코팅층이 형성된 직물관 ; 및 상기 직물관 내부에 충진되는 살균약품을 포함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살균약품을 포함하는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치아염소산나트퓸(sodium Hypochlorite),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 염소(Chlorine), 클로로칼퀴(Ca(OCl)2), 브로민(Br), 고순도 이산화염소(High Purity Chlorine Dioxide), 바이오디스퍼전트와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더블유티피 클로 10(WTP Chlor 10 with Additional Biodispersant and Surfactants), 더블유티피 클로-록스(WTP Chloro-Lox) 중 어느 하나, 브롬계인 40% 브롬화나트륨용액(Sodium Bromide Solution), 브롬 타블릿(Bromine Tablets(BCDMH)), 브로노폴(Bronopol(BNPD)), 산업용 살충제(Industrial Biocide), 아이소티아잘론&브로노폴(Isothiazalone & Bronopol), 액화 살충제(Liquid Biocide) 중 어느 하나, 또는 폴리 쿼터너리 암모니움 복합물(Poly-quaternary Ammonium Compound), 폴리쿼트(Polyquat), 과산화수소 35% 용액(Hydrogen Peroxide 35% Solution), 트리아진(Triazine), 이중결합 쿼터너리 암모니움 복합물(Twin Chain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도디클구아딘과 브로노폴(Dodecylguanadine and Bronopol),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 글루탈알데히드와 이소시아잘론(Glutaraldehyde and Isothiazalone), 이소시아칼론(Isothiazalone), 과산화아세트산(Peracetic Acid), 테트라 하이드로키스 포스포니움 설페이트(Tetra Hydro kis Phosphonium Sulphate(THPS)) 중 어느 하나, 또는 o-디클로 벤젠(o-dichlorobenzene), 트로클로센 나트륨(SDIC, Sodium dichloroisocyanurate), 염화 디데실디메틸암모늄(DDAC, Di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터피네올(Terpineol), 염화 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파인 오일(Pine oil), 테트라 아세틸 에틸렌 디아민(Tetra acetyl ethylene diamine), 폴리아미노프로필바이구아나이드(Polyaminopropyl Biguanide), Coco bis(2-hydroxyethyl)amine, N-alkyl "coco" N,N bis hydroxyethyl amine, 실버 소디움 하이드로젠 지르코니움 포스페이트(Silver sodium hydrogen zirconium phosphate), 감귤 농축액(Citrus Fruit Extract), 자몽씨 농축액(Grapefruit seed extract), 염산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니드Poly(hexamethylene)biguanide hydrochlorid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고체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내부에 소정공간을 구비하는 멤브레인 포켓 및 상기 멤브레인 포켓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체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이오사이드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1수위측정센서 및 상기 제1수위측정센서의 측정치에 따라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펌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부는,
    상기 필터몸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지지하며, 일측에 상기 바이오사이드부의 살균공간과 연통되는 유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살균공간을 통과한 폐수를 상기 분리막으로 공급하는 분리막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지지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막지지프레임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2수위센서 및 상기 제2수위센서의 측정치에 따라 상기 펌프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펌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1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살균부는, 상기 필터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멤브레인부를 통과한 여과수를 살균시키는 살균챔버가 내부에 형성된 자외선살균 프레임 및;
    상기 자외선 살균 프레임의 살균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살균챔버 내에 유입된 여과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1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사이드처리부(1300)는 상기 필터부(1200)를 통과한 폐수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한다. 상기 바이오사이드처리부(1300)는, 상기 외통본체(1120)의 내부를 4분할하여 제 1 내지 제4 살균공간(1320a)(1320b)(1320c)(1320d)을 형성하는 제1내지 제4격벽(1310a)(1310b)(1310c)(1310d) 및 상기 살균 공간들에 배치되는 담체(1321)를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4살균공간(1320d)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분리막모듈과 연결되는 폐수공급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펌프는 상기 폐수공급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20. 청구항 3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분리막모듈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자외선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분리막모듈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상기 자외선 연결부로 공급하는 여과수 이송관을 더 포함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 이송관에서 분기되어 역세정시 상기 분리막모듈로 에어를 공급하는 역세정관 및 상기 여과수 이송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수 이송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여과액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KR1020160168522A 2016-12-12 2016-12-12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KR101887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522A KR101887915B1 (ko) 2016-12-12 2016-12-12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522A KR101887915B1 (ko) 2016-12-12 2016-12-12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762A true KR20180067762A (ko) 2018-06-21
KR101887915B1 KR101887915B1 (ko) 2018-09-07

Family

ID=62806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522A KR101887915B1 (ko) 2016-12-12 2016-12-12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9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3272A (zh) * 2019-09-22 2019-12-13 张俊杰 用于污水处理的集成系统
KR102474756B1 (ko) * 2022-07-05 2022-12-06 정관 여과수단 및 세척수단을 갖는 물 정수장치
KR20230074071A (ko)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디피에스 라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859B1 (ko) * 1987-03-23 1992-01-30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서방성 미생물 억제 조성물
KR0145569B1 (ko) * 1994-03-29 1998-08-01 기따오까 다까시 식수제조장치
JP2002239539A (ja) * 2001-02-22 2002-08-27 Nok Corp 浄水装置の水浄化カートリッジ
KR20160104414A (ko) * 2015-02-26 2016-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수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859B1 (ko) * 1987-03-23 1992-01-30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서방성 미생물 억제 조성물
KR0145569B1 (ko) * 1994-03-29 1998-08-01 기따오까 다까시 식수제조장치
JP2002239539A (ja) * 2001-02-22 2002-08-27 Nok Corp 浄水装置の水浄化カートリッジ
KR20160104414A (ko) * 2015-02-26 2016-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수공급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3272A (zh) * 2019-09-22 2019-12-13 张俊杰 用于污水处理的集成系统
CN110563272B (zh) * 2019-09-22 2022-04-12 云南协同环保工程有限公司 用于污水处理的集成系统
KR20230074071A (ko)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디피에스 라벨
KR20230073688A (ko)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디피에스 라벨의 제조방법
KR102474756B1 (ko) * 2022-07-05 2022-12-06 정관 여과수단 및 세척수단을 갖는 물 정수장치
WO2024010303A1 (ko) * 2022-07-05 2024-01-11 정관 여과수단 및 세척수단을 갖는 물 정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915B1 (ko)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6781B1 (en) A combined labyrinthine fluid sterilizing apparatus
KR101887915B1 (ko) 미생물 살균을 위한 서방성 소독 살균장치
WO1994027914A1 (en) Continuous flow water-purifying device
CN1642582A (zh) 向加压水系统中控制地投配二氧化氯或其他消毒剂
KR0180853B1 (ko) 혐기 및 호기의 양방의 유기물 처리를 행하는 전처리 장치를 갖춘 초순수 제조 장치
US200901789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rinse water in decontamination devices
JP3125696B2 (ja) 流体浄化装置
JPH11290848A (ja) 濾過方法及び装置
US20090071883A1 (en) Electrolytic system for obtaining a disinfectant
CN111689645A (zh) 传染病医院强化污水处理方法
KR100762171B1 (ko) 조립식 간이 정수처리장치
JPH07500428A (ja) 洗浄及び滅菌機構
KR101174451B1 (ko) 복합 정수처리 시스템
KR100552978B1 (ko) 오존 접촉식 반응기를 이용한 유존 살균 수 제조장치
KR200431390Y1 (ko) 자외선 램프를 구비한 여과기
JPS58104693A (ja) 廃水及び用水の光オゾン処理法
CZ200492A3 (cs) Zařízení pro zpracování vody
KR200344145Y1 (ko) 오존 접촉식 반응기를 이용한 유존 살균 수 제조장치
CN201318037Y (zh) 一种婴儿游泳馆
KR200431050Y1 (ko) 수족관용 폐수 정화장치
CN214457379U (zh) 一种环保型医疗废水处理装置
CN110204121A (zh) 一种泳池紫外线光催化铜银离子消毒净化系统
CN216737920U (zh) 一种化工废水处理设备
CN215049278U (zh) 一种医院污水用双消毒处理系统装置
KR100739005B1 (ko) 가축분뇨 유기물에 오염된 축산시설의 지하수 살균정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