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592A - 송풍 마스크 - Google Patents

송풍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592A
KR20180066592A KR1020160167603A KR20160167603A KR20180066592A KR 20180066592 A KR20180066592 A KR 20180066592A KR 1020160167603 A KR1020160167603 A KR 1020160167603A KR 20160167603 A KR20160167603 A KR 20160167603A KR 20180066592 A KR20180066592 A KR 20180066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user
guide tube
main air
ventilation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이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민 filed Critical 이성민
Priority to KR1020160167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6592A/ko
Publication of KR20180066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하게 호흡을 할 수 있는 송풍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송풍 마스크는, 메인 공기 안내관; 상기 메인 공기 안내관의 내부로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키는 송풍팬; 상기 메인 공기 안내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 및 상기 메인 공기 안내관에서 두 갈래로 분지되어 사용자의 코로 정화된 공기를 안내하는 제1 및 제2 분지 공기 안내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송풍 마스크{Air supplying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병균, 먼지 등의 흡입을 막기 위하여 코와 입을 가리는데 사용된다.
기존의 마스크는, 통상적으로, 코와 입을 가리는 부직포나 천 등을 이루어진 마스크 몸체와, 마스크 몸체를 얼굴에 고정하기 위해 귀에 거는 귀걸이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기존의 마스크는, 호흡하기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즉, 숨을 들이쉬는 동안 마스크 몸체가 코에 밀착되면서 공기의 유입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마스크는, 얼굴에 미치는 콧김으로 불쾌한 문제가 있다. 즉, 숨을 내쉬는 동안 마스크 몸체에 의해 막히면서 얼굴 전체로 콧김이 퍼져 불쾌한 느낌이 얼굴에 가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편하게 호흡을 할 수 있는 송풍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얼굴에 미치는 불쾌감을 제거할 수 잇는 송풍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마스크는, 메인 공기 안내관; 상기 메인 공기 안내관의 내부로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키는 송풍팬; 상기 메인 공기 안내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 및 상기 메인 공기 안내관에서 두 갈래로 분지되어 사용자의 코로 정화된 공기를 안내하는 제1 및 제2 분지 공기 안내관을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마스크는, 상기 메인 공기 안내관을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얼굴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굴 고정부는, 상기 메인 공기 안내관의 일 부분에 일단부가 구비되고 타단부가 사용자의 한쪽 귀에 걸리는 제1 귀걸이; 및 상기 메인 공기 안내관의 타 부분에 일단부가 구비되고 타단부가 사용자의 다른 한쪽 귀에 걸리는 제2 귀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 및 상기 필터는 상기 메인 공기 안내관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의 유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필터는 상기 송풍팬보다 전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마스크는, 상기 제1 및 제2 분지 공기 안내관 각각을 사용자의 제1 및 제2 콧구멍에 각각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 고정부는, 상기 제1 콧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콧구멍의 내면에 밀착되며 유입 유로와 배출 유로를 가지는 삽입 몸체; 및 상기 삽입 몸체의 상기 유입 유로와 상기 제1 분지 공기 안내관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 유로는 상기 삽입 몸체의 가장자리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삽입 몸체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관은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1, 제2 및 제3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연결관 사이로 상기 배출 유로가 연통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마스크는, 상기 삽입 몸체의 상기 배출 유로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숨을 들이쉬는 동안 상기 배출 유로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사용자가 숨을 내쉬는 동안 그 숨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락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마스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 공기 안내관과, 송풍팬과, 필터와, 그리고 제1 및 제2 분지 공기 안내관을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외부의 공기가 필터를 거쳐 강제적으로 코로 유입될 수 있어, 사용자가 숨을 들이 쉬는 동안 편하게 호흡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코 고정부를 통해 제1 및 제2 분지 안내관이 사용자의 제1 및 제2 콧구멍에 각각 고정되고, 각각의 코 고정부는 유입유로와 배출 유로를 가지며 콧구멍에 삽입되는 삽입 몸체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내쉬는 숨이 삽입 몸체의 배출 유로를 통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사용자가 숨을 내쉬는 동안 얼굴에 미치는 불쾌감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마스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를 III-III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요부를 IV-IV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마스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를 III-III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2의 요부를 IV-IV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마스크(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공기 안내관(110)과, 송풍팬(120)과, 필터(130)와, 제1 및 제2 분지 공기 안내관(P1)(P2)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 공기 안내관(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최초의 관으로, 이 유입된 공기를 제1 및 제2 분지 공기 안내관(P1)(P2)까지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메인 공기 안내관(110)은, 고무나 실리콘 등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 형태가 고정된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송풍팬(120)은, 메인 공기 안내관(110)의 내부로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공기 안내관(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팬(120)은 메인 공기 안내관(110)의 내경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송풍팬(120)은 별도로 마련되는 건전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전지(미도시)는 메인 공기 안내관(110)의 외측에 별도의 건전지 케이스(미도시)를 통해 마련될 수도 있고, 후술할 얼굴 고정부(150)에 별도의 건전지 케이스(미도시)를 통해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필터(130)는, 메인 공기 안내관(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공기 안내관(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유입 방향을 기준으로, 필터(130)는 송풍팬(120)보다 전단에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송풍팬(120)을 필터(130)의 전단에 놓게 되면, 송풍팬(120)에서 가해지는 외부 공기가 필터(130)의 저항으로 필터(130)에 과도하게 정체되면서 메인 공기 안내관(110)이 과도하게 팽창되어 터지는 문제가 있는데, 이렇게 송풍팬(120)을 필터(130)의 후단에 놓게 되면 메인 공기 안내관(110)이 과도하게 팽창되는 문제를 미연에 막을 수 있고, 나아가 외부의 이물질이 우선 필터(130)에서 걸러지므로 송풍팬(120)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분지 공기 안내관(P1)(P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공기 안내관(110)에서 두 갈래로 분지되어 사용자의 코로 정화된 공기를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 분지 공기 안내관(P1)(P2)은, 사용자의 코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휘어질 수 있는 고무나 실리콘 등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메인 공기 안내관(110)과, 송풍팬(120)과, 필터(130)와, 그리고 제1 및 제2 분지 공기 안내관(P1)(P2)을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외부의 공기가 필터(130)를 거쳐 강제적으로 코로 유입될 수 있어, 사용자가 숨을 들이 쉬는 동안 편하게 호흡을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마스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공기 안내관(110)을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얼굴 고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굴 고정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귀걸이(151)(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귀걸이(151)는 메인 공기 안내관(110)의 일 부분에 그 일단부가 구비되고 그 타단부가 사용자의 한쪽 귀에 걸리고, 제2 귀걸이(152)는 메인 공기 안내관(110)의 타 부분에 그 일단부가 구비되고 그 타단부가 사용자의 다른 한쪽 귀에 걸릴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마스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분지 공기 안내관(P1)(P2) 각각을 사용자의 제1 및 제2 콧구멍에 각각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코 고정부(N1)(N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 고정부(N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몸체(161)와 하나 이상의 연결관(16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몸체(161)는, 제1 콧구멍(미도시)에 삽입되어 제1 콧구멍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고,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몸체(161)의 가장자리부에 유입 유로(161a)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몸체(161)의 중심부에 배출 유로(161b)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삽입 몸체(161)는 제1 콧구멍(미도시)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대략 원뿔대 형상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정화되지 않은 외부의 공기가 삽입 몸체(161)의 외면과 제1 콧구멍(미도시)의 내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유입 유로(161a)로 안내되는 정화된 공기만(도 1의 실선 화살표 참조)을 사용자가 들이 쉴 수 있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내쉬는 숨(도 1의 점선 화살표 참조)은 삽입 몸체(161)의 배출 유로(161b)를 통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사용자가 내쉬는 숨이 기존과 달리 얼굴을 거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가 숨을 내쉬는 동안 얼굴에 미치는 불쾌감을 제거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연결관(16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몸체(161)의 유입 유로(161a)와 제1 분지 공기 안내관(P1)을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연결관(16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1, 제2 및 제3 연결관(162a)(162b)(162c)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제2 및 제3 연결관(162a)(162b)(162c) 사이로 배출 유로(161b)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내쉬는 숨은 배출 유로(161b)를 통과한 후 제1, 제2 및 제3 연결관(162a)(162b)(162c) 사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코 고정부(N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 고정부(N1)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제1 코 고정부(N1)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마스크(100)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170)는, 삽입 몸체(161)의 배출 유로(161b)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숨을 들이 쉬는 동안 배출 유로(161b)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사용자가 숨을 내 쉬는 동안 그 숨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락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체크 밸브(17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삽입 몸체(161)의 배출 유로(161b)의 내벽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마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내쉬는 숨에 의해 마개가 열리면서 그 숨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숨을 들이쉬면 마개는 자체 탄성에 의해 원 위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송풍 마스크 110: 메인 공기 안내관
120: 송풍팬 130: 필터
P1: 제1 분지 공기 안내관 P2: 제2 분지 공기 안내관
150: 얼굴 고정부 151: 제1 귀걸이
152: 제2 귀걸이 N1: 제1 코 고정부
N2: 제2 코 고정부 161: 삽입 몸체
161a: 유입 유로 161b: 배출 유로
162: 하나 이상의 연결관 162a: 제1 연결관
162b: 제2 연결관 162c: 제3 연결관
170: 체크 밸브

Claims (9)

  1. 메인 공기 안내관;
    상기 메인 공기 안내관의 내부로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키는 송풍팬;
    상기 메인 공기 안내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 및
    상기 메인 공기 안내관에서 두 갈래로 분지되어 사용자의 코로 정화된 공기를 안내하는 제1 및 제2 분지 공기 안내관
    을 포함하는
    송풍 마스크.
  2. 제1항에서,
    상기 송풍 마스크는,
    상기 메인 공기 안내관을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얼굴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송풍 마스크.
  3. 제2항에서,
    상기 얼굴 고정부는,
    상기 메인 공기 안내관의 일 부분에 일단부가 구비되고 타단부가 사용자의 한쪽 귀에 걸리는 제1 귀걸이; 및
    상기 메인 공기 안내관의 타 부분에 일단부가 구비되고 타단부가 사용자의 다른 한쪽 귀에 걸리는 제2 귀걸이
    를 포함하는
    송풍 마스크.
  4. 제1항에서,
    상기 송풍팬 및 상기 필터는 상기 메인 공기 안내관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 마스크.
  5. 제4항에서,
    상기 공기의 유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필터는 상기 송풍팬보다 전단에 구비되는
    송풍 마스크.
  6. 제1항에서,
    상기 송풍 마스크는,
    상기 제1 및 제2 분지 공기 안내관 각각을 사용자의 제1 및 제2 콧구멍에 각각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코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송풍 마스크.
  7. 제6항에서,
    상기 제1 코 고정부는,
    상기 제1 콧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콧구멍의 내면에 밀착되며 유입 유로와 배출 유로를 가지는 삽입 몸체; 및
    상기 삽입 몸체의 상기 유입 유로와 상기 제1 분지 공기 안내관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
    을 포함하는
    송풍 마스크.
  8. 제7항에서,
    상기 유입 유로는 상기 삽입 몸체의 가장자리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삽입 몸체의 중심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관은,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1, 제2 및 제3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연결관 사이로 상기 배출 유로가 연통되는
    송풍 마스크.
  9. 제7항에서,
    상기 송풍 마스크는,
    상기 삽입 몸체의 상기 배출 유로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숨을 들이 쉬는 동안 상기 배출 유로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사용자가 숨을 내 쉬는 동안 그 숨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락하는 체크 밸브
    를 더 포함하는
    송풍 마스크.
KR1020160167603A 2016-12-09 2016-12-09 송풍 마스크 KR20180066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603A KR20180066592A (ko) 2016-12-09 2016-12-09 송풍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603A KR20180066592A (ko) 2016-12-09 2016-12-09 송풍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592A true KR20180066592A (ko) 2018-06-19

Family

ID=62790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603A KR20180066592A (ko) 2016-12-09 2016-12-09 송풍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65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964A (ko) * 2004-08-31 2007-11-06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의료용 이펙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964A (ko) * 2004-08-31 2007-11-06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의료용 이펙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466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KR101959664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JP3687981B2 (ja) マスクおよびそのための通気アセンブリ
EP3517156A1 (en) Oro-nasal patient interface
ES2753575T3 (es) Un sistema híbrido de interfase de vías respiratorias positivas para su uso con sistemas de ventilación y presión positiva del aire
JP2007151823A (ja) 携帯型空調装置のアタッチメントならびに携帯型空調装置
KR100897161B1 (ko) 비강내 삽입형 호흡정화 마스크
KR20170059722A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WO2017155152A1 (ko)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JP2014111193A (ja) マスク、マスク用ノーズアダプタ、およびマスクセット
CN111713772A (zh) 一种废气单排口罩
KR20180066592A (ko) 송풍 마스크
KR101461173B1 (ko) 코마스크와 필터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호흡기
WO1997001366A1 (en) Respiratory aid appliance
KR102219597B1 (ko) 호흡 개선용 마스크
CN110740788A (zh) 鼻罩
US6920880B1 (en) Mask defogging system and method
WO2019232914A1 (zh) 易排出呼出气体的防护面罩
KR20200094523A (ko) 목도리형 공기정화장치
KR102445480B1 (ko) 코 마스크
JP2019217085A (ja) 呼吸用加湿ガス供給具及びカニューラ
US20220023680A1 (en) Face shield
RU222107U1 (ru) Респиратор сварщика
CN217187366U (zh) 一种口呼吸器
KR102415234B1 (ko) 필터 모듈을 구비한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