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340A -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340A
KR20180066340A KR1020160166217A KR20160166217A KR20180066340A KR 20180066340 A KR20180066340 A KR 20180066340A KR 1020160166217 A KR1020160166217 A KR 1020160166217A KR 20160166217 A KR20160166217 A KR 20160166217A KR 20180066340 A KR20180066340 A KR 20180066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ymbol
lot
manufacturing proces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주
김철
유광열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6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6340A/ko
Publication of KR20180066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modeling, simulation of the manufacturing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3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data acquisition, e.g. workpiec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005Expert design system, uses modeling, simulation, to control design proce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137Configuration of display device, operator pan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가 미리 규정되어 저장되는 공정프로세스 및 제품LoT 기호 데이터베이스 모듈; 사용자로부터 제품 공정 프로세스 및 제품 상태에 대한 입력값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 모듈;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상기 공정프로세스 및 제품LoT 기호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미리 규정되어 저장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한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modeling)하여 표시하는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을 구성한다. 상술한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상에서 협업 프로세스의 공정 프로세스 기호를 별도로 다르게 표시하고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에 이용되는 제품의 상태 변화에 따른 제품 LoT 기호를 세분화하여 모델링하고 표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제조 프로세스 상에서 제품의 변화 이력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제조 프로세스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PART FLOW BASED MANUFACTURING PROCESS MODEL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manufacturing process modeling system)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part flow baed manufacturing process modeling, PMPM)은 제품의 제품 제조 공정의 흐름을 쉽게 인식하고 공정을 조율하기 위해 매우 유용하게 이용된다.
그런데, 기존의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은 단일 일반적인 공정의 흐름을 표시할 뿐이며, 공정에 참여하는 객체 간의 협업을 쉽게 식별 가능하도록 효율적으로 표시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제조 프로세스에는 협업에 참여하는 객체들이 상호 간에 내부 협업(intra-collaboration)을 수행하거나 외부 협업(inter-collaboration)을 수행하기도 하는데, 기존의 모델링 방식은 협업에 대해 구별하여 표시하지 않고 있다.
또한, 기존의 모델링 방식은 제품 LoT 기호를 제조 프로세스 상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제조 프로세스 상에서 변화하는 원자재나 중간재 그리고 가공품들의 상태 변화를 쉽게 추적할 수도 없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조 프로세스 상의 제품의 변화를 제조 프로세스 상에서 쉽게 식별 가능하도록 하여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제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엔지니어들의 업무 수행 능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0591588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은,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가 미리 규정되어 저장되는 공정프로세스 및 제품LoT 기호 데이터베이스 모듈; 사용자로부터 제품 공정 프로세스 및 제품 상태에 대한 입력값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 모듈;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상기 공정프로세스 및 제품LoT 기호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미리 규정되어 저장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한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modeling)하여 표시하는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내부 협업 프로세스(intra-collaboration process) 및 외부 협업 프로세스(inter-collaboration process)를 하나의 제품 공정 프로세스에 각각 별도로 모델링하여 서로 다르게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은, 상기 제품 공정 프로세스에서 제품 LoT 기호의 생성 및 존재를 원형 기호로 표시하고 제품 LoT 기호의 종료는 사각형 기호로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원형 기호 또는 사각형 기호의 내부에는 제품의 고유 LoT ID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은, 상기 제품이 원자재인 경우 해당 원자재 LoT ID를 소문자 LoT ID로 표시하고, 상기 제품이 가공품인 경우 해당 가공품 LoT ID를 대문자 LoT ID로 표시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은, 상기 제품 LoT 기호의 분할, 결합, 병합, 수량 변화, 양과 질의 검사 및 폐기에 대하여 각각 별도의 기호로 표시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은, 제품의 분할 또는 결합시에는 분할 또는 결합 전의 제품을 나타내는 메인-LoT 번호(main-LoT number)를 고유 LoT ID의 오른쪽 상단에 첨자로 표시하고 분할 또는 결합 후의 제품을 나타내는 서브-LoT 번호(sub-LoT number)를 고유 LoT ID의 오른쪽 하단에 첨자로 표시하여 제품의 히스토리(history)를 파악 가능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은, 서로 다른 제품의 병합시에는 새로운 제품 LoT 기호를 부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방법은, 사용자 입력 모듈이 사용자로부터 제품 공정 프로세스 및 제품 상태에 대한 입력값을 입력받는 단계;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공정프로세스 및 제품LoT 기호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미리 규정되어 저장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이 상기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상기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modeling)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이 상기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상기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내부 협업 프로세스(intra-collaboration process) 및 외부 협업 프로세스(inter-collaboration process)를 하나의 제품 공정 프로세스에 각각 별도로 모델링하여 서로 다르게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이 상기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상기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품 공정 프로세스에서 제품 LoT 기호의 생성 및 존재를 원형 기호로 표시하고 제품 LoT 기호의 종료는 사각형 기호로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원형 기호 또는 사각형 기호의 내부에는 제품의 고유 LoT ID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이 상기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상기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품이 원자재인 경우 해당 원자재 LoT ID를 소문자 LoT ID로 표시하고, 상기 제품이 가공품인 경우 해당 가공품 LoT ID를 대문자 LoT ID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이 상기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상기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품 LoT 기호의 분할, 결합, 병합, 수량 변화, 양과 질의 검사 및 폐기에 대하여 각각 별도의 기호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이 상기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상기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제품의 분할 또는 결합시에는 분할 또는 결합 전의 제품을 나타내는 메인-LoT 번호(main-LoT number)를 고유 LoT ID의 오른쪽 상단에 첨자로 표시하고 분할 또는 결합 후의 제품을 나타내는 서브-LoT 번호(sub-LoT number)를 고유 LoT ID의 오른쪽 하단에 첨자로 표시하여 제품의 히스토리(history)를 파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이 상기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상기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제품의 병합시에는 새로운 제품 LoT 기호를 부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동차 엔진 제조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방법에 따라 설계된 브레이크 클러치 제조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상에서 협업 프로세스의 공정 프로세스 기호를 별도로 다르게 표시하고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에 이용되는 제품의 상태 변화에 따른 제품 LoT 기호를 세분화하여 모델링하고 표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제조 프로세스 상에서 제품의 변화 이력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제조 프로세스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의 표시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LoT 기호의 분할 및 결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LoT 기호의 병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LoT 기호의 폐기 및 수량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엔진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클러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100)은 공정프로세스 및 제품LoT 기호 데이터베이스 모듈(110), 사용자 입력 모듈(120) 및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100)은 기존과 달리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상에서 협업 프로세스의 공정 프로세스 기호를 일반 공정 프로세스의 기호와 달리 별도로 다르게 표시하여 여러 객체 간의 협업 관계를 정확하게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100)은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상에서 이용되는 제품의 상태 변화를 새로 규정한 제품 LoT 기호를 통해 직관적으로 쉽게 파악하고 그 이력을 추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정프로세스 및 제품LoT 기호 데이터베이스 모듈 (110)은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가 미리 규정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와 제품 LoT 기호는 하기 표 1과 같이 정의되어 저장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는 제조 프로세스 상의 공정 작업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일반 프로세스, 내부 협업(intra-collaboration) 프로세스, 외부 협업(inter-collaboration) 프로세스 그리고 판단 프로세스로 구성될 수 있다.
기존에는 내부 협업 프로세스와 외부 협업 프로세스를 구별하여 표시하지 않았고, 일반 프로세스로 표시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공정의 주체에 따라서 내부 협업 프로세스와 외부 협업 프로세스로 구별하여 그 공정의 주체를 쉽게 파악할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품 LoT 기호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 상에 이용되는 최소 단위 제품들, 예를 들어, 원자재나 가공품을 표시하는 것이다. 제품 공정 프로세스 상에서 원자재나 가공품이 그 상태의 변화를 거쳐가게 되는데, 기존에는 상태 변화에 따라 이전의 원자재나 가공품이 어떻게 변화되어 제품 공정 프로세스 상에서 흘러가는지 파악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품의 변화를 각 제품들의 생성, 분할, 결합, 병합, 수량 변화, 대기, 양과 질의 검사, 폐기 등으로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품의 생성이나 존재는 제품 LoT 기호를 원형으로 표시하며, 제품의 분할, 결합, 병합 등에 의한 제품의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 제품 LoT 기호에 표시된 알파벳의 고유 LoT ID에 윗첨자나 아랫첨자를 부가하여 제품 변화의 히스토리(history)를 쉽게 파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오른쪽 윗첨자는 제품의 분할 또는 결합 전의 제품을 나타내는 메인-LoT 번호(main-LoT number)이며, 오른쪽 아래첨자는 제품의 분할 또는 결합 후의 제품을 나타내는 서브-LoT 번호(sub-Lot number)이다. 이를 통해 결합이나 분할을 전후하여 어떠한 제품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그 히스토리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기존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와 제품 LoT 기호를 함께 표시하여 제품 공정 프로세스별로 제품의 상태 변화를 직관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입력 모듈(120)은 사용자로부터 제품 공정 프로세스 및 제품 상태에 대한 입력값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설계하는 바에 따라 입력값을 입력하게 된다.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13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공정프로세스 및 제품LoT 기호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미리 규정되어 저장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130)은 앞서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의 표시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LoT 기호의 분할 및 결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LoT 기호의 병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LoT 기호의 폐기 및 수량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에서 보듯이 공정 프로세스 기호와 제품 LoT 기호는 함께 표시되어 각 공정 프로세스마다 제품의 상태 변화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13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내부 협업 프로세스(intra-collaboration process) 및 외부 협업 프로세스(inter-collaboration process)를 하나의 제품 공정 프로세스에 각각 별도로 모델링하여 서로 다르게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부 협업 프로세스의 공정 프로세스 기호와 외부 협업 프로세스의 공정 프로세스 기호는 표 1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내부 협업 프로세스와 외부 협업 프로세스는 각 공정 프로세스의 주체에 따라 달라진다.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130)은 공정프로세스 및 제품LoT 기호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저장된 바에 따라 제품 공정 프로세스에서 제품 LoT 기호의 생성 및 존재를 원형 기호로 표시하고 제품 LoT 기호의 종료는 사각형 기호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원형 기호 또는 사각형 기호의 내부에는 제품의 고유 LoT ID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유 LoT ID는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파벳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그 제품이 원자재인 경우 해당 원자재 LoT ID를 소문자 LoT ID로 표시하고, 그 제품이 가공품인 경우 해당 가공품 LoT ID를 대문자 LoT ID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130)은 제품 LoT 기호의 분할, 결합, 병합, 수량 변화, 양과 질의 검사 및 폐기에 대하여 각각 별도의 기호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별도의 기호는 표 1에 예시되어 있다.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130)은 제품의 분할 또는 결합시에는 분할 또는 결합 전의 제품을 나타내는 메인-LoT 번호(main-LoT number)를 고유 LoT ID의 오른쪽 상단에 첨자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 1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130)은 분할 또는 결합 후의 제품을 나타내는 서브-LoT 번호(sub-LoT number)를 고유 LoT ID의 오른쪽 하단에 첨자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각 제품의 상태 변화의 히스토리(history)를 파악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품의 병합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130)은 서로 다른 제품의 병합시에는 새로운 제품 LoT 기호를 부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제품의 병합에 의해 새로운 제품이 생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도 5에서는 제품의 폐기와 수량 변화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130)은 제품의 수량 변화와 같은 부분적인 변화가 있을 때에는 분할 표시를 하지 않고 폐기와 대기, 수량 변화로 나타낸다. 여기서, 대기는 공정 프로세스의 시작 전이나 진행 중 제품이 일부 지연되거나 가공품이 처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수량 변화는 외주 기업이나 외부 요소에 의해 제품의 수량이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다.
제품의 분할, 결합, 병합은 수식적으로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제품 LoT ID로 표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엔진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의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클러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의 예시도이다.
도 6과 도 7에서는 자동차 엔진 제조 프로세스와 브레이크 클러치 제조 프로세스를 전체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공정 프로세스의 흐름은 실선으로 표시되며, 제품 LoT 기호의 흐름은 점선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전체 프로세스를 통해 투입된 원자재, 그 수량, 가공품으로의 변화, 외주 공정의 투입 여부, 양과 질의 검사 결과 등에 대해 한 눈에 직관적인 파악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입력 모듈(120)이 사용자로부터 제품 공정 프로세스 및 제품 상태에 대한 입력값을 입력받는다(S101).
다음으로,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130)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공정프로세스 및 제품LoT 기호 데이터베이스 모듈(110)에 미리 규정되어 저장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추출한다(S102).
다음으로,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130)이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표시한다(S103).
여기서,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13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내부 협업 프로세스(intra-collaboration process) 및 외부 협업 프로세스(inter-collaboration process)를 하나의 제품 공정 프로세스에 각각 별도로 모델링하여 서로 다르게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은 제품 공정 프로세스에서 제품 LoT 기호의 생성 및 존재를 원형 기호로 표시하고 제품 LoT 기호의 종료는 사각형 기호로 표시하며, 표시된 원형 기호 또는 사각형 기호의 내부에는 제품의 고유 LoT ID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130)은 제품이 원자재인 경우 해당 원자재 LoT ID를 소문자 LoT ID로 표시하고, 제품이 가공품인 경우 해당 가공품 LoT ID를 대문자 LoT ID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130)은 제품 LoT 기호의 분할, 결합, 병합, 수량 변화, 양과 질의 검사 및 폐기에 대하여 각각 별도의 기호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130)은 제품의 분할 또는 결합시에는 분할 또는 결합 전의 제품을 나타내는 메인-LoT 번호(main-LoT number)를 고유 LoT ID의 오른쪽 상단에 첨자로 표시하고 분할 또는 결합 후의 제품을 나타내는 서브-LoT 번호(sub-LoT number)를 고유 LoT ID의 오른쪽 하단에 첨자로 표시하여 제품의 히스토리(history)를 파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130)은 서로 다른 제품의 병합시에는 새로운 제품 LoT 기호를 부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공정프로세스 및 제품LoT 기호 데이터베이스 모듈
120: 사용자 입력 모듈
130: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

Claims (16)

  1.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가 미리 규정되어 저장되는 공정프로세스 및 제품LoT 기호 데이터베이스 모듈;
    사용자로부터 제품 공정 프로세스 및 제품 상태에 대한 입력값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 모듈;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상기 공정프로세스 및 제품LoT 기호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미리 규정되어 저장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한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modeling)하여 표시하는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을 포함하는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내부 협업 프로세스(intra-collaboration process) 및 외부 협업 프로세스(inter-collaboration process)를 하나의 제품 공정 프로세스에 각각 별도로 모델링하여 서로 다르게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은,
    상기 제품 공정 프로세스에서 제품 LoT 기호의 생성 및 존재를 원형 기호로 표시하고 제품 LoT 기호의 종료는 사각형 기호로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원형 기호 또는 사각형 기호의 내부에는 제품의 고유 LoT ID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은,
    상기 제품이 원자재인 경우 해당 원자재 LoT ID를 소문자 LoT ID로 표시하고, 상기 제품이 가공품인 경우 해당 가공품 LoT ID를 대문자 LoT ID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은,
    상기 제품 LoT 기호의 분할, 결합, 병합, 수량 변화, 양과 질의 검사 및 폐기에 대하여 각각 별도의 기호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은,
    제품의 분할 또는 결합시에는 분할 또는 결합 전의 제품을 나타내는 메인-LoT 번호(main-LoT number)를 고유 LoT ID의 오른쪽 상단에 첨자로 표시하고 분할 또는 결합 후의 제품을 나타내는 서브-LoT 번호(sub-LoT number)를 고유 LoT ID의 오른쪽 하단에 첨자로 표시하여 제품의 히스토리(history)를 파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은,
    서로 다른 제품의 병합시에는 새로운 제품 LoT 기호를 부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8. 사용자 입력 모듈이 사용자로부터 제품 공정 프로세스 및 제품 상태에 대한 입력값을 입력받는 단계;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공정프로세스 및 제품LoT 기호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미리 규정되어 저장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이 상기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상기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modeling)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이 상기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상기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내부 협업 프로세스(intra-collaboration process) 및 외부 협업 프로세스(inter-collaboration process)를 하나의 제품 공정 프로세스에 각각 별도로 모델링하여 서로 다르게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이 상기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상기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품 공정 프로세스에서 제품 LoT 기호의 생성 및 존재를 원형 기호로 표시하고 제품 LoT 기호의 종료는 사각형 기호로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원형 기호 또는 사각형 기호의 내부에는 제품의 고유 LoT ID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이 상기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상기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품이 원자재인 경우 해당 원자재 LoT ID를 소문자 LoT ID로 표시하고, 상기 제품이 가공품인 경우 해당 가공품 LoT ID를 대문자 LoT ID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이 상기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상기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품 LoT 기호의 분할, 결합, 병합, 수량 변화, 양과 질의 검사 및 폐기에 대하여 각각 별도의 기호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이 상기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상기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제품의 분할 또는 결합시에는 분할 또는 결합 전의 제품을 나타내는 메인-LoT 번호(main-LoT number)를 고유 LoT ID의 오른쪽 상단에 첨자로 표시하고 분할 또는 결합 후의 제품을 나타내는 서브-LoT 번호(sub-LoT number)를 고유 LoT ID의 오른쪽 하단에 첨자로 표시하여 제품의 히스토리(history)를 파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모듈이 상기 추출된 제품 공정 프로세스 기호 및 제품 LoT 기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값에 따라 상기 제품의 상태 변화를 추적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공정 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제품의 병합시에는 새로운 제품 LoT 기호를 부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방법.
  1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동차 엔진 제조 프로세스.
  16.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방법에 따라 설계된 브레이크 클러치 제조 프로세스.
KR1020160166217A 2016-12-07 2016-12-07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6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217A KR20180066340A (ko) 2016-12-07 2016-12-07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217A KR20180066340A (ko) 2016-12-07 2016-12-07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340A true KR20180066340A (ko) 2018-06-19

Family

ID=6279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217A KR20180066340A (ko) 2016-12-07 2016-12-07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63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614A (ko) * 2018-11-30 2020-06-09 도프텍(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된 설계정보를 이용한 지능형 pid 도면의 자동 작성 방법
US11756323B2 (en) 2018-11-30 2023-09-12 Doftech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and classifying design information in imaged PID drawing and method of automatically creating intelligent PID drawing using design information stored in databa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588B1 (ko) 2004-07-27 2006-06-19 (주)브이엠에스 솔루션스 일정관리를 위한 제조공정 모델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588B1 (ko) 2004-07-27 2006-06-19 (주)브이엠에스 솔루션스 일정관리를 위한 제조공정 모델링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2014.02.28.) *
논문(2016.11.30.) *
이화섭, 제조실행시스템 기능추천을 위한 프로세스 모델링 및 유사도 측정 방법론 개발, 학위논문(석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 산업공학과 2014. 2. *
이화섭, 제조실행시스템 기능추천을 위한 프로세스 모델링 및 유사도 측정 방법론 개발, 학위논문(석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 산업공학과 2014. 2.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614A (ko) * 2018-11-30 2020-06-09 도프텍(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된 설계정보를 이용한 지능형 pid 도면의 자동 작성 방법
US11756323B2 (en) 2018-11-30 2023-09-12 Doftech Co., Ltd. Method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and classifying design information in imaged PID drawing and method of automatically creating intelligent PID drawing using design information stored in datab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bhardt et al. An example of visually supported design of modular product families
Arey et al. Lean industry 4.0: a digital value stream approach to process improvement
US20140324904A1 (en) Similar design structure search device and similar design structure search method
WO2017085694A3 (en) Driveline modeller
US10423669B2 (en) Manufacturing process visua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JP5266488B2 (ja) 知識管理装置及び知識管理装置の端末機と知識管理装置のプログラム
JP2003099482A (ja) 3次元モデリングシステム
CN104050331A (zh) 建立基于工艺结构树的三维机加工艺模型的方法
KR101871300B1 (ko) 선박설계 시 형강류 절단도면 자동 생성 및 자재 bom 자동 추출 방법
US10747200B2 (en) Robot control program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Chiarini A comparison between time-driven activity-based costing and value stream accounting in a lean Six Sigma manufacturing case study
Wellsandt et al. A survey of product lifecycle models: towards complex products and service offers
CN104392050A (zh) 三维模型零件比对系统及其方法
KR20180066340A (ko) 제품 기반 제조 프로세스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CN111819564B (zh) 用于自动工作指令创建的方法和系统
CN104007703A (zh) 一种产品虚拟零部件与实际零部件间通讯实现系统及方法
Gerke et al.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of IT processes based on reference models and process mining
WO2016207991A1 (ja) 三次元cadシステム装置、並びに三次元cadに用いられる知識管理方法
JP4924380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US201703303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interactive 2d projection of 3d model
EP3540540B1 (en) Process design assistance apparatus, process design assistance method, and program
WO2015052784A1 (ja) Cadデータ管理装置
US20160055265A1 (en) Design support device
JP2009104562A (ja) 業務支援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US2021019158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