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671A -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671A
KR20180065671A KR1020160166824A KR20160166824A KR20180065671A KR 20180065671 A KR20180065671 A KR 20180065671A KR 1020160166824 A KR1020160166824 A KR 1020160166824A KR 20160166824 A KR20160166824 A KR 20160166824A KR 20180065671 A KR20180065671 A KR 20180065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pressure
flow rate
clutch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329B1 (ko
Inventor
이준호
김영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6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3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46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the supply forming part of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e.g. for automatic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73Friction devices, e.g. clutches or br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은 고정 변속모드에서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을 구현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엔진 클러치의 윤활 유량을 제어하는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가 상호 반대측에서 작용하는 리듀싱압과 고속 주행 구간에서 작동되는 클러치의 작동압으로 제어하여 쿨러 유량과 라인압 유량을 선택적으로 상기 엔진 클러치의 윤활 유량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HYDRAULIC CONTROL SYSTEM OF AUTOMATIC TRANSMISSION FOR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적용되는 자동변속기의 저속 및 후진 주행에 따른 엔진 클러치의 슬립 발생 시, 최적의 윤활 유량을 공급하여 엔진 클러치의 소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친환경 기술은 미래 자동차 산업의 생존이 달린 핵심기술로서, 선진 자동차 메이커들은 환경 및 연비 규제를 달성하기 위한 친환경 자동차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자동차 메이커들은 전기 자동차(EV :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 Hybrid Electric Vehicle), 연료전지 자동차(FCEV : Fuel Cell Electric Vehicle)등을 미래형 자동차 기술로서 개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미래형 자동차는 중량 및 원가 등 여러 가지 기술적인 제약이 있기 때문에 자동차 메이커에서는 배기가스 규제를 만족시키고, 연비 성능의 향상을 위한 현실적인 문제의 대안으로서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를 실용화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2개 이상의 동력원(Power Source)을 사용하는 자동차로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으며, 동력원으로는 기존의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가솔린 엔진 또는 디젤 엔진과, 전기 에너지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제너레이터가 혼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저속에서 상대적으로 저속토크 특성이 좋은 모터/제너레이터를 주동력원으로 사용하고, 고속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속토크 특성이 좋은 엔진을 주동력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저속구간에서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의 작동이 정지되고, 모터/제너레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연비 개선과 배기가스의 저감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있어서의 자동변속기는 저속 및 후진 변속단에서 엔진 동력에 의한 등판 주행 시, 엔진의 회전동력을 선택적으로 변속기의 입력축으로 전달하는 엔진 클러치의 슬립이 지속적으로 발생된다.
이에 따라 엔진의 회전동력에 의한 저속 및 후진 주행 시에는 엔진 클러치의 소착을 방지하기 위한 윤활 유량이 충분하게 공급되어야만 한다.
또한, 엔진 클러치의 슬립 구간 확대에 따른 전진 2, 3속에서도 엔진 클러치의 윤활 유량의 공급이 증대되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적용되는 자동변속기의 저속 및 후진 주행에 따른 엔진 클러치의 슬립 발생 시, 최적의 윤활 유량을 공급하여 엔진 클러치의 소착을 방지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엔진 클러치의 슬립 구간 확대에 따른 전진 2, 3속 주행 시에도 엔진 클러치에 충분한 윤활 유량을 공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고정 변속모드에서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을 구현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엔진 클러치의 윤활 유량을 제어하는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가 상호 반대측에서 작용하는 리듀싱압과 고속 주행 구간에서 작동되는 클러치의 작동압으로 제어하여 쿨러 유량과 라인압 유량을 선택적으로 상기 엔진 클러치의 윤활 유량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속 주행 구간에서 작동되는 클러치는 전진 제4, 제5, 제6속에서 작동되는 클러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의 밸브바디는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되는 유압을 선택적으로 엔진 클러치의 윤활 유량으로 공급하는 제2포트; 상기 라인압 유량의 일부와 쿨러를 통해 냉각된 유량의 혼합유량을 공급받는 제3포트; 상기 고속 주행 구간에서 작동되는 클러치의 작동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4포트; 및 상기 제4포트의 반대측에서 리듀싱 밸브에 의하여 제어된 리듀싱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5포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5포트로 공급되는 유압에 작용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3포트를 개폐하는 제1랜드; 상기 제4포트로 공급되는 유압에 작용하면서 상기 제1랜드와 함께 상기 제2포트를 상기 제1포트와 제3포트에 선택적을 연결시키는 제2랜드; 상기 제2랜드와 밸브보디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진 제1, 제2, 제3속과 후진 변속단에서는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가 제2 리듀싱 밸브의 리듀싱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아 제어된다.
이에 따라,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의 제1포트와 제2포트가 연결되면서 라인압의 많은 유량이 엔진 클러치의 윤활 유압으로 공급됨으로써, 저속 및 후진에서 지속되는 슬립이 이루어지는 엔진 클러치의 과열을 방지하여 과열에 의한 소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스포츠 모드의 저속 상태(전진 2속 및 3속)에서 장거리 등판로의 주행과 같이, 과도한 슬립의 지속적인 발생으로 엔진 클러치가 과열될 가능성이 높을 때, 충분한 윤활 유량이 공급되면서 냉각이 이루어짐으로써, 엔진 클러치의 과열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엔진 클러치의 슬립이 발생되지 않거나, 작게 발생하는 고속 주행(전진 제4, 제5, 제6속)시에는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가 제1 클러치의 작동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아 제어된다.
이에 따라,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의 제1포트는 차단되고, 제2포트와 제3포트가 연결되면서 쿨러로부터 공급되는 적은 유량이 엔진 클러치의 윤활 유압으로 공급됨으로써, 엔진 클러치의 과열 원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압제어시스템은 제1 클러치가 작동하지 않는 저속 및 후진 구간에서는 지속적인 슬립이 발생되는 엔진 클러치에 많은 윤활 유압을 공급하여 과열을 방지하고, 제1 클러치가 작동하는 고속 구간에서는 엔진 클러치에 슬립이 발생되지 않더라도 적은 윤활 유량을 공급하여 만약에 모를 엔진 클러치의 과열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의 요부 발췌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에 적용되는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의 구성도로서, 리듀싱압이 클 때의 제어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에 적용되는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의 구성도로서, 제1 클러치의 유압이 클 때의 제어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에 적용되는 마찰요소의 각 변속단별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은 라인압 제어부(A), 제1, 2 감압 제어부(B)(C), 매뉴얼 변속 제어부(D), 발진 제어부(E), 제1 브레이크 제어부(F), 제1 클러치 및 제2 브레이크 제어부(G), 제2 클러치 제어부(H), 제3 브레이크 제어부(I)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자동 변속기에 적용되는 각각의 마찰부재(C1)(C2)(B1)(B2)(B3)(EC)에 유압의 공급 및 해제 제어를 실시하게 된다.
상기 라인압 제어부(A)는 제1,2 라인 레귤레이터 밸브(22)(24)와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라인압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RCS)로 이루어져 오일펌프(2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운전조건에 따라 라인압을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연비 향상을 꾀하게 된다.
상기 제1 감압 제어부(B)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리듀싱 밸브(26)는 라인압을 일정 유압으로 감압하여 전체 솔레노이드 밸브(VFS1)(VFS2)(VFS3)(VFS4)(RCS)(ECS)의 제어압으로 공급한다.
상기 제2 감압 제어부(C)를 형성하는 제2 리듀싱 밸브(28)는 라인압을 일정 유압으로 감압하여 상기 제1, 2, 3, 4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VFS2) (VFS3)(VFS4)에 의하여 제어되는 각각의 제1, 제2, 제3, 제4 압력제어 스위치밸브(40)(44)(54)(62)와 제1, 2 온/오프 솔레노이드 밸브(SS-A)(SS-B)와 엔진 클러치 압력스위치밸브(34), 및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36)에 제어압으로 공급한다.
상기 매뉴얼 변속 제어부(D)는 운전자의 매뉴얼 변속에 따라 유로를 전환하는 매뉴얼 밸브(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진 제어부(E)는 엔진 클러치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ECS)와 일체로 형성되는 엔진 클러치 제어용 압력제어밸브(32)와, 상기 엔진 클러치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ECS)의 제어압과 제2 리듀싱 밸브(28)의 제어압에 의하여 작동되면서 엔진 클러치 압력제어밸브(32)의 출력압 일부를 제어하여 다시 엔진 클러치 압력제어밸브(32)의 제어압으로 공급하는 엔진 클러치 압력스위치밸브(34)와, 엔진 클러치(EC)의 윤활 유량을 제어하는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트랜스밋션 제어유닛(TCU)에 의한 상기 엔진 클러치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ECS)의 제어에 따라 라인압을 제어하여 엔진 클러치(EC)의 작동압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레이크 제어부(F)는 제1 압력제어밸브(38)와 제1 압력제어 스위치밸브(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 압력제어밸브(38)는 제1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브레이크 제어부(F)는 트랜스밋션 제어유닛(TCU)에 의한 상기 제1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1)의 제어압과 제2 리듀싱 밸브(28)의 제어압에 의해 제어되면서 전진 1,2,3,4속에서 매뉴얼 밸브(30)로부터 공급되는 드라이브압을 제어하여 제1 브레이크(B1)에 작동압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1 클러치 및 제2 브레이크 제어부(G)는 제2 압력제어밸브(42)와, 제2 압력제어 스위치밸브(44)와, 제1 스위치밸브(46)와, 페일 세이프 밸브(48)와, 제2 스위치밸브(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2 압력제어밸브(42)는 제2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2)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클러치 및 제2 브레이크 제어부(G)는 트랜스밋션 제어유닛(TCU)에 의한 상기 제2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2)의 제어압과 제2 리듀싱 밸브(28)의 제어압 및 제1 온/오프 솔레노이드 밸브(SS-A)의 제어압에 따라 상기 제2 압력제어밸브(42), 제2 압력제어 스위치밸브(44), 제1 스위치밸브(46), 페일 세이프 밸브(48), 제2 스위치밸브(50)들이 제어되면서 매뉴얼 밸브(30)로부터 공급되는 드라이브압을 제어하여 제4,5,6속에서 제1 클러치(C1)로 작동압을 공급하고, 후진 변속단에서 제2 브레이크(B2)로 작동압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2 클러치 제어부(H)는 제3 압력제어밸브(52)와, 제3 압력제어 스위치밸브(54)와, 제3 스위치밸브(56)와, 제4 스위치밸브(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3 압력제어밸브(52)는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클러치 제어부(H)는 트랜스밋션 제어유닛(ECU)에 의한 제3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3)의 제어압과 제2 리듀싱 밸브(28)의 제어압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제3 압력제어밸브(52), 제3 압력제어 스위치밸브(54), 제3 스위치밸브(56), 제4 스위치밸브(58)들이 제어되면서 매뉴얼 밸브(30)로부터 공급되는 드라이브압을 제어하여 전진 3, 5속과 후진 변속단에서 제2 클러치(C2)에 작동압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3 브레이크 제어부(I)는 제4 압력제어밸브(60)와, 제4 압력제어 스위치밸브(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4 압력제어밸브(60)는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4)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브레이크 제어부(I)는 트랜스밋션 제어유닛(TCU)에 의한 상기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FS4)의 제어압과 제2 리듀싱 밸브(28)의 제어압에 의하여 매뉴얼 밸브(30)로부터 공급되는 드라이브압을 제어하여 전진 2, 6속 변속단에서 제2 브레이크(B2)에 작동압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유압제어시스템에서 상기 제1 클러치(C1)는 전진 제4, 5, 6속에서 작동 제어되는 오버 드라이브 클러치(OD CLUTCH)를 지칭하며, 상기 제2 클러치(C2)는 전진 제3, 5속과 후진에서 작동하는 35R 클러치(35R CLUTCH)를 지칭한다.
또한, 상기 제1 브레이크(B1)는 전진 제1, 2, 3, 4속과 로우(LOW) 변속단에서 작동하는 언더 드라이브 브레이크(UD BRAKE)를 지칭하며, 상기 제2 브레이크(B2)는 로우(LOW)와 후진 변속단에서 작동하는 로우/리버스 브레이크(L/R BRAKE)를 지칭하며, 제3 브레이크(B3)는 전진 제2, 6속에서 작동하는 26 브레이크(26 BRAKE)를 지칭한다.
상기에서 제1, 제2 클러치(C1)(C2)와 제1, 제2, 제3 브레이크(B1)(B2)(B3)및 엔진 클러치(EC)로 이루어지는 마찰요소는 유압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유압마찰결합유닛으로서, 주로 습식 다판형 유압마찰결합유닛이 사용되지만, 도그 클러치, 전자식 클러치, 자분식 클러치 등과 같이 전자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작동될 수 있는 결합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의 요부 발췌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은 상기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36)를 상호 반대측에서 작용하는 리듀싱압과 제1 클러치(C1)의 작동압으로 제어하여 쿨러 유량과 라인압 유량이 선택적으로 상기 엔진 클러치(EC)의 윤활 유량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에 적용되는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의 구성도로서, 리듀싱압에 의하여 제어될 때의 제어 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36)는 복수의 유압포트를 보유하는 밸브보디의 내부에 밸브스풀이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밸브스풀의 좌우 이동에 따라 유로 전환이 이루어지는 스풀밸브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36)의 밸브보디는 제2 라인 레귤레이터 밸브(24)로부터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361)와, 상기 제1포트(361)로 공급되는 유압을 선택적으로 엔진 클러치(EC)의 윤활 유량으로 공급하는 제2포트(362)와, 상기 제2 라인 레귤레이터 밸브(24)로부터 공급되는 라인압의 일부와 쿨러(COOLER)를 통해 냉각된 유압의 혼합유량을 공급받는 제3포트(363)와, 상기 제1 클러치(C1)의 작동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4포트(364)와, 상기 제4포트(364)의 반대측에서 제2 리듀싱 밸브(28)에 의하여 제어된 리듀싱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5포트(3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5포트(365)로 공급되는 유압에 작용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3포트(363)를 개폐하는 제1랜드(366)와, 상기 제4포트(364)로 공급되는 유압에 작용하면서 상기 제1랜드(366)와 함께 상기 제2포트(362)를 상기 제1포트(361)와 제3포트(362)에 선택적을 연결시키는 제2랜드(367)와, 상기 제2랜드(367)와 밸브보디 사이에 배치되는 확장용 탄성부재(36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이, 리듀싱압이 제5포트(365)를 통해 제어압으로 공급되면, 상기 탄성부재(36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밸브스풀을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시켜 제3포트(363)는 폐쇄하고, 제1포트(361)와 제2포트(362)를 연결시켜 제2 라인 레귤레이터 밸브(24)로부터 공급되는 많은 유량을 엔진 클러치(EC)의 윤활 유량으로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에 적용되는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의 구성도로서, 제1 클러치의 유량에 의하여 제어될 때의 제어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클러치(C1)의 작동압 일부가 상기 제4포트(364)를 통해 제어압으로 공급되면, 탄성부재(368)의 탄성력과 합성되면서 밸브스풀을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1포트(361)는 폐쇄하고, 제2포트(362)와 제3포트(363)를 연결시켜 제2 리듀싱 밸브(28)의 안정되고 일정한 적은 유량을 엔진 클러치(EC)의 윤활 유량으로 공급한다.
상기에서 엔진 클러치(EC)의 윤활 유량의 많고 적음의 표현은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에서 실제적으로 라압압 유량이 리듀싱압 유량 보다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에 적용되는 각 마찰요소의 각 변속단별 작동표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에 적용되는 마찰요소는 각 변속단에서 5개의 마찰요소 중 2개의 마찰요소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면서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을 구현한다.
전진 1속 변속단(1ST)은 제1 브레이크(B1)와 원웨이 클러치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구현된다.
전진 2속 변속단(2ND)은 제1 브레이크(B1)와 제3 브레이크(B3)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구현된다.
전진 3속 변속단(3RD)은 제2 클러치(C2)와 제1 브레이크(B1)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구현된다.
전진 4속 변속단(4TH)은 제1 클러치(C1)와 제1 브레이크(B1)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구현된다.
전진 5속 변속단(5TH)은 제1 클러치(C1)와 제2 클러치(C2)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구현된다.
전진 6속 변속단(6TH)은 제1 클러치(C1)와 제3 브레이크(B3)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구현된다.
후진 변속단(REV)은 제2 클러치(C2)와 제2 브레이크(B2)의 동시 작동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전진 1속 변속단에서 작동되는 원웨이 클러치는 도 1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전진 1속 변속단에서는 고정요소로 작동하고, 다른 변속단에서는 정회전하는 어느 회전축을 전진 제1속에서 역회전을 방지하여 전진 제2속으로의 변속 시, 변속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전진 제1, 제2, 제3속과 후진 변속단에서는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36)가 제2 리듀싱 밸브(28)의 리듀싱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아 상기 도 3에서와 같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36)의 제1포트(361)와 제2포트(362)가 연결되면서 라인압의 많은 유량이 엔진 클러치(EC)의 윤활 유압으로 공급됨으로써, 저속 및 후진에서 지속되는 슬립이 이루어지는 엔진 클러치(EC)의 과열을 방지하여 과열에 의한 소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스포츠 모드의 저속 상태(전진 2속 및 3속)에서 장거리 등판로의 주행과 같이 과도한 슬립의 지속적인 발생으로 엔진 클러치(EC)가 과열될 가능성이 높을 때, 충분한 윤활 유량이 공급되면서 냉각이 이루어짐으로써, 엔진 클러치(EC)의 과열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엔진 클러치(EC)의 슬립이 발생되지 않거나, 작게 발생하는 고속 주행(전진 제4, 제5, 제6속)시에는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36)가 제1 클러치(C1)의 작동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아 도 4에서와 같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제1포트(361)는 차단되고, 제2포트(362)와 제3포트(363)가 연결되면서 쿨러로부터 공급되는 적은 유량이 엔진 클러치(EC)의 윤활 유압으로 공급됨으로써, 엔진 클러치(EC)의 과열 원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제1 클러치(C1)가 작동하지 않는 저속 및 후진 구간에서는 지속적인 슬립이 발생되는 엔진 클러치(EC)에 많은 윤활 유압을 공급하여 과열을 방지하고, 제1 클러치(C1)가 작동하는 고속 구간에서는 엔진 클러치(EC)에 슬립이 발생되지 않더라도 적은 윤활 유량을 공급하여 만약에 모를 엔진 클러치(EC)의 과열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 오일펌프
22, 24... 제1, 제2 라인 레귤레이터 밸브
26, 28... 제1, 제2 리듀싱 밸브
30... 매뉴얼 밸브
32... 엔진 클러치 압력제어밸브
34... 엔진 클러치 압력스위치밸브
36...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
38, 42, 52, 60... 제1, 제2, 제3, 제4 압력제어밸브
40, 44, 54, 62... 제1, 제2, 제3, 제4 압력제어 스위치밸브
46, 50, 56, 58... 제1, 제2, 제3, 제4 스위치밸브
48... 페일 세이프 밸브
ECS... 엔진 클러치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RCS... 라인압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SS-A, SS-B... 제1, 제2 온/오프 솔레노이드 밸브
VFS1, VFS2, VFS3, VFS4... 제1, 제2, 제3, 제4 비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Claims (6)

  1. 고정 변속모드에서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을 구현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엔진 클러치의 윤활 유량을 제어하는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가 상호 반대측에서 작용하는 리듀싱압과 고속 주행 구간에서 작동되는 클러치의 작동압으로 제어하여 쿨러 유량과 라인압 유량을 선택적으로 상기 엔진 클러치의 윤활 유량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주행 구간에서 작동되는 클러치는
    전진 제4, 제5, 제6속에서 작동되는 클러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의 밸브바디는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되는 유압을 선택적으로 엔진 클러치의 윤활 유량으로 공급하는 제2포트;
    상기 라인압 유량의 일부와 쿨러를 통해 냉각된 유량의 혼합유량을 공급받는 제3포트;
    상기 고속 주행 구간에서 작동되는 클러치의 작동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4포트; 및
    상기 제4포트의 반대측에서 리듀싱 밸브에 의하여 제어된 리듀싱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5포트;
    를 갖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5포트로 공급되는 유압에 작용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3포트를 개폐하는 제1랜드;
    상기 제4포트로 공급되는 유압에 작용하면서 상기 제1랜드와 함께 상기 제2포트를 상기 제1포트와 제3포트에 선택적을 연결시키는 제2랜드;
    상기 제2랜드와 밸브보디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5. 고정 변속모드에서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을 구현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엔진 클러치의 윤활 유량을 제어하는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가 상호 반대측에서 작용하는 리듀싱압과 전진 제4, 제5, 제6속에서 작동되는 클러치의 작동압으로 제어하여 쿨러 유량과 라인압 유량을 선택적으로 상기 엔진 클러치의 윤활 유량으로 공급하도록,
    엔진 클러치 윤활유량 제어밸브는 밸브보디에 라인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되는 유압을 선택적으로 엔진 클러치의 윤활 유량으로 공급하는 제2포트; 상기 라인압 유량의 일부와 쿨러를 통해 냉각된 유량의 혼합유량을 공급받는 제3포트; 상기 고속 주행 구간에서 작동되는 클러치의 작동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4포트; 및 상기 제4포트의 반대측에서 리듀싱 밸브에 의하여 제어된 리듀싱압을 제어압으로 공급받는 제5포트가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보디에 내장되는 밸브스풀은
    상기 제5포트로 공급되는 유압에 작용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3포트를 개폐하는 제1랜드;
    상기 제4포트로 공급되는 유압에 작용하면서 상기 제1랜드와 함께 상기 제2포트를 상기 제1포트와 제3포트에 선택적을 연결시키는 제2랜드;
    상기 제2랜드와 밸브보디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KR1020160166824A 2016-12-08 2016-12-08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KR102417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824A KR102417329B1 (ko) 2016-12-08 2016-12-08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824A KR102417329B1 (ko) 2016-12-08 2016-12-08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671A true KR20180065671A (ko) 2018-06-18
KR102417329B1 KR102417329B1 (ko) 2022-07-05

Family

ID=62765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824A KR102417329B1 (ko) 2016-12-08 2016-12-08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3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616A (ko) * 2020-07-15 2022-0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3442A (ja) * 2006-02-23 2007-09-06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100844725B1 (ko) * 2006-11-15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형 스위칭 윤활방향 밸브
KR100844567B1 (ko) * 2007-07-24 2008-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엔진 클러치 윤활 유량제어방법
KR20160015932A (ko) * 2014-08-01 2016-02-15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페일세이프 밸브를 이용한 클러치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3442A (ja) * 2006-02-23 2007-09-06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100844725B1 (ko) * 2006-11-15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형 스위칭 윤활방향 밸브
KR100844567B1 (ko) * 2007-07-24 2008-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엔진 클러치 윤활 유량제어방법
KR20160015932A (ko) * 2014-08-01 2016-02-15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페일세이프 밸브를 이용한 클러치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616A (ko) * 2020-07-15 2022-0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329B1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5040A (en) Hybrid vehicle drive system adapted to produce substantially constant vehicle drive force under the same vehicle running condition, even in different modes of operation
US5873426A (en) Hybrid vehicle drive system having means for using at least engine as drive power source in special vehicle operating state, to assure sufficient drive force
CN102159852B (zh) 用于汽车的液压供给控制装置
US8002059B2 (en)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for hybrid vehicle
US10232838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US8366587B2 (en) Control device of vehicle drive-train system
CN100404920C (zh) 用于自动变速器的液压控制设备
US7300383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US7510496B2 (en) Electro-hydraulic control system with interlock protection
US10295052B2 (en) Vehicle shift control device
US8676433B2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hydraulic control circuit
CN101578466B (zh) 锁止离合器液压供给装置
US20170297559A1 (en) Hybrid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Hybrid Vehicle
US20200132059A1 (en) Control device of hybrid vehicle
JP4222309B2 (ja) 車両の制御装置
US20130253786A1 (en) Control apparatus for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JP2019142365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20180065671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CN105793624B (zh) 用于车辆的控制装置和控制方法
JP4442417B2 (ja) 車両の潤滑制御装置
JP6237878B2 (ja) 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装置
US20200131955A1 (en) Control device of hybrid vehicle
US8795134B2 (en) Control apparatus for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US9878705B2 (en) Hybrid vehicle
KR10176615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엔진클러치의 윤활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