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428A -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428A
KR20180065428A KR1020160166215A KR20160166215A KR20180065428A KR 20180065428 A KR20180065428 A KR 20180065428A KR 1020160166215 A KR1020160166215 A KR 1020160166215A KR 20160166215 A KR20160166215 A KR 20160166215A KR 20180065428 A KR20180065428 A KR 20180065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ud server
authentication code
server
accou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지훈
박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6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5428A/ko
Priority to US15/827,300 priority patent/US10911448B2/en
Publication of KR20180065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428A/ko
Priority to US17/136,586 priority patent/US1195623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8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y delegation of authentication, e.g. a proxy authenticates an entity to be authenticated on behalf of this entity vis-à-vis an authentication e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감지하고, 디바이스가 감지됨에 따라,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인증 코드를 계정 서버에게 요청하며, 계정 서버로부터 인증 코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 코드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를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device on the cloud server}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 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댁 내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과 같은 가전기기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하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새롭게 구매한 가전기기를 네트워크에 등록시킬 때, 기기검색, 사용자 계정 정보 입력, AP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 입력 등과 같은 많은 행동들이 요구된다.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는 기기들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더 많은 행동들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가전기기들을 네트워크에 쉽게 등록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바이스들을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인증 코드를 계정 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계정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인증 코드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된 인증 코드는, 상기 계정 서버에 대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술한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제 1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 제 2 디바이스, 계정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인증 코드를 계정 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계정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인증 코드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인증 코드는, 상기 계정 서버에 대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것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디바이스를 등록시키는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계정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계정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의 계정 정보 및 계정 서버로부터 획득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제 2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가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가 제 3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획득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제 3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에 의해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실시예들은 디바이스들을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디바이스를 등록시키는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140)에 디바이스들을 등록시키는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디바이스(100), 제 2 디바이스(110), 제 3 디바이스들(120, 125), AP(Access point)(130), 클라우드 서버(140) 및 계정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다른 기기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 TV,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 1 디바이스(100)를 스마트폰 형상으로 표현했지만, 이는 예시일 뿐 제 1 디바이스(100)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와이파이 AP(130)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비밀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입력 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AP(130)에 접속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140)에게 등록을 요청할 수 있으며, 계정 서버(150)에 로그인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이지 셋업(Easy setup)될 수 있다. 이지 셋업이란 디바이스를 AP(130)에 접속시키고,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도록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는 절차를 총칭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는(100) 사용자에 의해 AP(130)에 접속되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이지 셋업된 제 1 디바이스(100)는 다른 디바이스들의 이지 셋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2 디바이스(110)의 이지 셋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가 제 2 디바이스(110)를 이지 셋업시키는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2 디바이스(110)는 다른 기기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11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 TV,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110)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청소기, 전자레인지, 오븐 등과 같은 가전기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가전기기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 2 디바이스(110)를 냉장고 형상으로 표현했지만, 이는 예시일 뿐 제 2 디바이스(110)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제 2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AP(130)에 접속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AP(130)에 접속함으로써,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 2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40)에게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이지 셋업된 제 1 디바이스(100)는 자동으로 제 2 디바이스(110)의 이지 셋업을 수행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110)를 이지 셋업하기 위한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에 의해 이지 셋업된 제 2 디바이스(110)는 계속해서 다른 디바이스들의 이지 셋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3 디바이스들(120 및 125)의 이지 셋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가 제 3 디바이스들(120 및 125)를 이지 셋업시키는 방법은 도 5b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3 디바이스들(120 및 125)은 다른 기기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3 디바이스들(120 및 125)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 TV,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3 디바이스들(120 및 125)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청소기, 전자레인지, 오븐 등과 같은 가전기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3 디바이스들(120 및 125)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가전기기들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 3 디바이스들(120 및 125)을 각각 세탁기 및 스마트 TV 형상으로 표현했지만, 이는 예시일 뿐 제 3 디바이스들(120 및 125)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디바이스(100)에 의해 이지 셋업된 제 2 디바이스(110)는 자동으로 제 3 디바이스들(120 및 125)의 이지 셋업을 수행함으로써, 제 3 디바이스들(120 및 125)을 이지 셋업하기 위한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AP(13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AP(130)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파이 AP일 수 있다. AP(130)에 접속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디바이스들은 클라우드 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다. 댁 내에 있는 디바이스들은 하나의 AP에 접속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란 문서, 음악, 사진 등의 사용자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저장해두고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에서 다운로드 받거나 반대로 클라우드 서버(140)에 업로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된 복수의 디바이스들 간에 상호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계정 서버(150)는 사용자 계정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스 북, 깃허브 등과 같이,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디바이스들은 계정 서버(15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도록 등록된 디바이스들은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의 사용자 ID가 'AAA@BBB.com'인 경우에, 사용자 ID 'AAA@BBB.com'에 대하여, 사용자 A의 스마트 폰, 냉장고, 세탁기, 스마트 TV 등이 클라우드 서버(140) 또는 계정 서버(150)에 등록될 수 있다.
도 1의 시스템(10)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지 셋업된 제 1 디바이스(100)가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고, 제 2 디바이스(110)가 계속해서 제 3 디바이스들(120)을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킴으로써, 디바이스들을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는데 요구되는 사용자의 개입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 2 디바이스(110)를 감지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댁 내에 새롭게 추가된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기 위해 제 2 디바이스(110)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은 무선 랜(Wi-Fi),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A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이 와이파이인 경우,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2 디바이스(11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와이파이 비콘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소프트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Soft Wi-Fi AP)를 생성할 수 있다. 소프트 와이파이 AP란 디바이스가 스스로 와이파이 AP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와이파이 비콘에는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하여 제 2 디바이스(110)와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비콘은 제 2 디바이스(110)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와이파이 비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110)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는 와이파이 비콘에 포함된 제 2 디바이스(110)의 SSID를 확인하고, 제 2 디바이스(110)가 댁 내에 새롭게 추가된 디바이스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의 SSID는 제 2 디바이스(110)가 댁 내에 새롭게 추가된 디바이스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CF Device]"를 포함하는 SSID를 갖는 디바이스는 댁 내에 새롭게 추가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2 디바이스(110)가 감지됨에 따라, 제 2 디바이스(110)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를 얻기 위해, 알림 정보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는 와이파이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 및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와이파이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는 와이파이 AP(130)의 SS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계정 정보는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110)와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이 와이파이인 경우,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2 디바이스(110)가 생성한 소프트 와이파이 AP에 접속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110)와 연결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2 디바이스(110)의 클라우드 서버 등록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 2 디바이스(110)와 연결하고,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2 디바이스(110)가 감지됨에 따라,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인증 코드를 계정 서버(15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계정 서버(150)에 로그인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계정 서버(150)에 로그인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으로 계정 서버(150)에 로그인한 제 1 디바이스(100)는 인증 코드를 계정 서버(150)에게 요청할 수 있다.
계정 서버(150)는 제 1 디바이스(100)의 요청에 따라 인증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인증 코드는 계정 서버(150)에 대한 제 1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것일 수 있다. 인증 코드는 제 2 디바이스(110)의 사용자가 제 1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와 동일하다는 것을 인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인증 코드는 제 1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도록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2 디바이스(110)가 감지됨에 따라, 제 1 디바이스(100) 주변의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제 2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가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기 위해서는 먼저 인터넷에 연결되어야 하므로,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00) 주변의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제 2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100) 주변의 AP(130)는 제 1 디바이스(100)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AP(130)일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자신이 현재 접속하고 있는 AP(130)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제 2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와이파이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를 제 2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제 2 디바이스(110)에게 전송된 접속 정보는 제 2 디바이스(110)가 AP(130)에 접속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계정 서버(150)로부터 인증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계정 서버(150)로부터 제 1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인증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인증 코드 및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를 제 2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계정과 매칭되어 등록된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고,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2 디바이스(110)에게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전송하는 대신에 계정 서버(150)로부터 수신한 인증 코드를 전송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110)가 제 1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에게 제공된 인증 코드는, 제 2 디바이스(110)로부터 클라우드 서버(140)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인증 코드에 매칭된 사용자 계정이 클라우드 서버(140)에 의해 식별됨으로써,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1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도록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인증 코드는 계정 서버(150) 및 클라우드 서버(140) 간에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인증 코드는 계정 서버(150)에 의해 생성되어 클라우드 서버(140)에 제공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는 계정 서버(15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 코드와 제 2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한 인증 코드를 비교함으로써 인증 코드에 매칭된 사용자 계정을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인증 코드는 사용자 계정 정보 대신, 제 2 디바이스(110)를 제 1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계정과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도록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클라우드 서버(140)로부터 제 2 디바이스(110)가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알림 정보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알림 정보를 통해 제 2 디바이스(110)가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과 같이,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2 디바이스(110)에게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 및 클라우드 서버(140)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110)가 클라우드 서버(140)에 제 1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에서 사용자의 최소한의 동의만이 요구되며, 사용자 편의성은 증대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계정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동작 S310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계정으로 클라우드 서버(140)에 기 등록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은 계정 서버(150)에 대한 제 1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계정과 동일하다. 제 1 디바이스(100)가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될 때, 계정 서버(150)에 의해 관리되는 사용자 계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 1 디바이스(100)를 스마트폰 형상으로 표현했지만, 이는 예시일 뿐 제 1 디바이스(100)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동작 S320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계정 서버(150)에 로그인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계정 서버(150)에 로그인할 수 있다.
동작 S330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계정 서버(150)로부터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인증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인증 코드는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동작 S340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인증 코드 및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를 제 2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개입 없이 제 2 디바이스(110)가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동작 S350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40)에게 제 1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 2 디바이스(110)를 세탁기 형상으로 표현했지만, 이는 예시일 뿐 제 2 디바이스(110)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동작 S360에서, 클라우드 서버(140)는 제 2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된 인증 코드를 검증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는 제 2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된 인증 코드와 계정 서버(150)로부터 제공된 인증 코드를 비교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110)가 제 1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의해 관리되는 디바이스인지 검증할 수 있다.
한편, 인증 코드 검증은 계정 서버(15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계정 서버(150)는 클라우드 서버(140)로부터 제 2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된 인증 코드를 수신하고, 클라우드 서버(140)로부터 수신된 인증 코드와 자신이 생성한 인증 코드를 비교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110)가 제 1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을 가지는 디바이스인지 검증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는 계정 서버(150)로부터 검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370에서, 클라우드 서버(140)는 제 2 디바이스(110)를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는 인증 코드에 매칭된 사용자 계정을 식별함으로써, 제 1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제 2 디바이스(110)를 등록할 수 있다.
전술한 동작들에 따라, 제 2 디바이스(110)는 사용자의 개입 없이 클라우드 서버(140)에 제 1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가 계정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의 계정 정보 및 계정 서버로부터 획득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제 2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S405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댁 내에 새롭게 추가된 제 2 디바이스(110)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S410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2 디바이스(110)가 감지됨에 따라, 제 2 디바이스(110)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작 S415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동의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은 제 2 디바이스를(110)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사용자 개입일 수 있다.
동작 S420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110)와 연결될 수 있다. 동작 S425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계정 서버(150)에 로그인할 수 있고, 계정 서버(150)에게 인증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동작 S430에서, 계정 서버(150)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인증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정 서버(150)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인증 코드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고, 미리 저장된 인증 코드를 추출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인증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계정 서버(150)는 사용자 계정과 매칭된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계정 정보를 직접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계정 서버(150)는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동일한 사용자 계정을 갖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관리할 수 있다.
동작 S435에서, 계정 서버(150)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인증 코드를 제 1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동작 S440에서, 계정 서버(150)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인증 코드 및 사용자 계정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에게 제공된 인증 코드는 클라우드 서버(140)가 제 2 디바이스(110)로부터 인증 코드를 수신한 후에 제 2 디바이스(110)의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동작 S440은 동작 S430이 수행된 이후라면 언제든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140)가 제 2 디바이스(110)로부터 클라우드 서버(140)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한 후, 클라우드 서버(140)의 요청에 따라 동작 S440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S445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인증 코드,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 및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제 2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는 반드시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동작 S450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수신된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AP(130)에 접속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AP(130)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가 전송되지 않은 경우, 동작 S450은 생략될 수 있다.
동작 S455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클라우드 서버(140)에게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수신된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110)는 수신된 인증 코드 및 제 2 디바이스(110)의 식별 값을 클라우드 서버(140)에 전송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140)에게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S460에서, 클라우드 서버(140)는 수신된 인증 코드에 매칭된 사용자 계정을 식별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는 수신된 인증 코드에 매칭된 사용자 계정을 식별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110)가 제 1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의해 관리되는 디바이스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S465에서, 클라우드 서버(140)는 식별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도록 제 2 디바이스(110)를 등록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는 제 1 디바이스(100) 및 제 2 디바이스(110)를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함으로써, 제 1 디바이스(100) 및 제 2 디바이스(110)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동작 S470에서, 클라우드 서버(140)는 제 2 디바이스(110)가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동작들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140)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100)에 의해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된 제 2 디바이스(110)는 사용자 계정으로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된 제 3의 디바이스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바이스들의 클라우드 서버(140) 등록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행동들은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편의성은 증대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가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 1 디바이스(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 1 디바이스(1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제 1 디바이스(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이 와이파이인 경우, 제 2 디바이스(110)는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소프트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소프트 와이파이 AP란 디바이스가 스스로 와이파이 AP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디바이스(110)는 소프트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로서, 와이파이 비콘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와이파이 비콘에는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하여 제 2 디바이스(110)와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비콘은 제 2 디바이스(110)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2 디바이스(110)가 댁 내에 새롭게 추가된 디바이스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SSID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CF Device]"를 포함하는 SSID를 갖는 디바이스는 댁 내에 새롭게 추가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와이파이 비콘에 포함된 제 2 디바이스(110)의 SSID를 확인하고, 제 2 디바이스(110)가 댁 내에 새롭게 추가된 디바이스임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제 1 인증 코드 및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클라우드 서버(140)의 접속 주소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인증 코드는 제 1 디바이스(100)의 요청에 따라 계정 서버(150)에 의해 생성된 인증 코드일 수 있다. 제 1 인증 코드는 계정 서버(150)에 대한 제 1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것일 수 있다. 인증 코드는 제 2 디바이스(110)의 사용자가 제 1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와 동일하다는 것을 인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인증 코드는 제 2 디바이스(110)가 제 1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1 디바이스(100) 주변의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가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기 위해서는 먼저 인터넷에 연결되어야 하므로, 제 2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100) 주변의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100) 주변의 AP(130)는 제 1 디바이스(100)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AP(130)일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1 디바이스(100)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AP(130)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1 디바이스(100)가 외부로부터 입력 받은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AP(130)에 접속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AP(130)에 접속함으로써,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와의 근거리 통신이 와이파이인 경우, 제 2 디바이스(110)는 생성했던 소프트 와이파이 AP를 제거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AP(130)에 접속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수신된 제 1 인증 코드 및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고, 제 1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 계정 정보 대신 제 1 인증 코드를 수신함으로써, 제 1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1 인증 코드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1 인증 코드에 매칭된 사용자 계정이 클라우드 서버(140)에 의해 식별됨으로써,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1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과 같이,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 및 클라우드 서버(140)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받음으로써, 제 1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에서 사용자의 최소한의 동의만이 요구되며, 사용자 편의성은 증대될 수 있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가 제 3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540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 3 디바이스(120)를 감지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1 디바이스(100)에 의해 클라우드 서버(140)에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디바이스이다. 제 2 디바이스(110)는 댁 내에 새롭게 추가된 제 3 디바이스(12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기 위해 제 3 디바이스(120)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이 와이파이인 경우,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3 디바이스(1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와이파이 비콘을 수신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120)는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소프트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Soft Wi-Fi AP)를 생성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1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와이파이 비콘에는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하여 제 3 디바이스(120)와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비콘은 제 3 디바이스(120)의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수신된 와이파이 비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3 디바이스(120)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110)는 와이파이 비콘에 포함된 제 3 디바이스(120)의 SSID를 확인하고, 제 3 디바이스(120)가 댁 내에 새롭게 추가된 디바이스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3 디바이스(120)가 감지됨에 따라, 제 3 디바이스(120)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120)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00)에게 전송되고, 제 1 디바이스(1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3 디바이스(12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를 얻기 위해, 알림 정보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3 디바이스(12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전달 받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3 디바이스(120)와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이 와이파이인 경우,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3 디바이스(120)가 생성한 소프트 와이파이 AP에 접속함으로써, 제 3 디바이스(120)와 연결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3 디바이스(120)의 클라우드 서버(140) 등록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 3 디바이스(120)와 연결하고, 제 3 디바이스(12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550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3 디바이스(120)가 감지됨에 따라, 제 3 디바이스(12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제 2 인증 코드를 클라우드 서버(14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제 2 인증 코드는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제 1 인증 코드와 다른 코드로서, 제 3 디바이스(12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이다.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 계정 정보를 획득하지 않으므로, 계정 서버(150)에 로그인하여 제 2 인증 코드를 요청할 수는 없다. 대신에,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2 인증 코드를 클라우드 서버(140)에게 요청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는 제 2 디바이스(110)의 요청에 따라 계정 서버(150)에게 제 2 인증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계정 서버(150)는 클라우드 서버(140)의 요청에 따라 제 2 인증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제 2 인증 코드는 계정 서버(150)에 대한 제 2 디바이스(110)의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것일 수 있다. 제 2 인증 코드는 제 3 디바이스(120)의 사용자와 제 2 디바이스(110)의 사용자가 동일하다는 것을 인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 2 인증 코드는 제 3 디바이스(120)가 제 2 디바이스(11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가 계정 서버(150)에게 제 2 인증 코드를 요청할 때에는 별도의 사용자 계정 로그인이 필요하지 않다. 클라우드 서버(140)는 안전(secure)하고 신뢰할 수 있는(trust) 채널로 계정 서버(150)에게 제 2 인증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140)는 계정 서버(150)로부터 제 2 인증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3 디바이스(120)가 감지됨에 따라, 제 2 디바이스(110)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제 3 디바이스(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120)가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기 위해서는 먼저 인터넷에 연결되어야 하므로, 제 2 디바이스(110)는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제 3 디바이스(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120)에게 전송된 접속 정보는 제 3 디바이스(120)가 AP(130)에 접속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단계 560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클라우드 서버(140)로부터 제 2 인증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클라우드 서버(140)로부터 제 2 디바이스(110)의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제 2 인증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570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수신된 제 2 인증 코드 및 클라우드 서버(140)의 접속 주소 정보를 제 3 디바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는 제 2 디바이스(110)가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일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120)는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고, 제 2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3 디바이스(120)에게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전송하는 대신에 클라우드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제 2 인증 코드를 전송함으로써, 제 3 디바이스(120)가 제 2 디바이스(11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120)에게 제공된 제 2 인증 코드는, 제 3 디바이스(120)로부터 클라우드 서버(140)에게 전송될 수 있다. 제 2 인증 코드에 매칭된 사용자 계정이 클라우드 서버(140)에 의해 식별됨으로써, 제 3 디바이스(120)는 제 2 디바이스(11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제 2 인증 코드는 계정 서버(150)에 의해 생성되어 클라우드 서버(140)에 제공되었으므로, 클라우드 서버(140)는 계정 서버(15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 코드와 제 3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한 인증 코드를 비교함으로써 인증 코드에 매칭된 사용자 계정을 식별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과 같이,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3 디바이스(120)에게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 및 클라우드 서버(140)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제 3 디바이스(120)가 클라우드 서버(140)에 제 2 디바이스(11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에서 사용자의 최소한의 동의만이 요구되며, 사용자 편의성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1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었으므로, 제 1 디바이스(100), 제 2 디바이스(110) 및 제 3 디바이스(120)는 모두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 제 2 디바이스(110) 및 제 3 디바이스(120)는 클라우드 서버(140)를 통해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140)에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디바이스들 간에 상호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획득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제 3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동작 S605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댁 내에 새롭게 추가된 제 3 디바이스(120)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S610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3 디바이스(120)가 감지됨에 따라, 제 3 디바이스(120)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615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3 디바이스(120)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작 S620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3 디바이스(12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동의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은 제 3 디바이스를(120)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사용자 개입일 수 있다.
동작 S625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을 제 2 디바이스(11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동작 S630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전달 받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3 디바이스(120)와 연결할 수 있다.
동작 S635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클라우드 서버(140)에게 인증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클라우드 서버(140)에 기 등록된 디바이스이므로, 클라우드 서버(140)에 로그인할 필요 없이 인증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인증 코드는 제 3 디바이스(12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를 의미한다.
동작 S640에서, 클라우드 서버(140)는 계정 서버(150)에게 인증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는 안전(secure)하고 신뢰할 수 있는(trust) 채널로 계정 서버(150)에게 인증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동작 S645에서, 계정 서버(150)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인증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계정 서버(150)는 사용자 계정과 매칭된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계정 정보를 직접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계정 서버(150)는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동일한 사용자 계정을 갖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관리할 수 있다.
동작 S650에서, 계정 서버(150)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인증 코드를 클라우드 서버(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작 S655에서, 클라우드 서버(140)는 계정 서버(15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 코드를 제 2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660에서, 제 2 디바이스(110)는 수신된 인증 코드,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 및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제 3 디바이스(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는 반드시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동작 S665에서, 제 3 디바이스(120)는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AP(130)에 접속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120)는 AP(130)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가 전송되지 않은 경우, 동작 S665는 생략될 수 있다.
동작 S670에서, 제 3 디바이스(120)는 클라우드 서버(140)에게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120)는 수신된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 3 디바이스(120)는 수신된 인증 코드 및 제 3 디바이스(120)의 식별 값을 클라우드 서버(140)에 전송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S675에서, 클라우드 서버(140)는 수신된 인증 코드에 매칭된 사용자 계정을 식별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는 수신된 인증 코드에 매칭된 사용자 계정을 식별함으로써, 제 3 디바이스(120)가 제 2 디바이스(11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의해 관리되는 디바이스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S680에서, 클라우드 서버(140)는 식별된 사용자 계정으로 제 3 디바이스(120)를 등록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는 제 2 디바이스(110) 및 제 3 디바이스(120)를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110) 및 제 3 디바이스(120)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바이스(11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제 1 디바이스(100)도 제 2 디바이스(110) 및 제 3 디바이스(120)와 함께 관리될 수 있다.
동작 S685에서, 클라우드 서버(140)는 제 3 디바이스(120)가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동작들에 따라, 제 1 디바이스(100)에 의해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된 제 2 디바이스(110)가 계속해서 제 3 디바이스(120)가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복수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클라우드 서버(140) 등록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행동들은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편의성은 증대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는 제어부(710) 및 통신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제 1 디바이스(100)의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 1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 1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100)는 제어부(710) 및 통신부(720)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730) 및 디스플레이부(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0)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 1 디바이스(1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이다. 메모리는 제 1 디바이스(100)에 의해 구동될 애플리케이션들, 드라이버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 1 디바이스(10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20)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720)는 다른 디바이스들, AP(130), 계정 서버(150) 및 클라우드 서버(140)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20)는 와이파이, 근거리 무선 통신 등 무선 통신을 통해 다른 기기에 접속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와 유선 통신을 통해 다른 기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30)는 사용자가 제 1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730)에는 키 패드(key pad),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730)는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0)는 제 1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740)는 제 2 디바이스(110)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제 1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전반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10)는 제 1 디바이스(10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720), 사용자 입력부(730) 및 디스플레이부(74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4에서의 제 1 디바이스(100)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710)는 통신부(720)를 제어함으로써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 2 디바이스(110)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댁 내에 새롭게 추가된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기 위해 제 2 디바이스(110)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이 와이파이인 경우, 제어부(710)는 제 2 디바이스(11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와이파이 비콘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와이파이 비콘에는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하여 제 2 디바이스(110)와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수신된 와이파이 비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110)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제 2 디바이스(110)가 감지됨에 따라, 제 2 디바이스(110)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74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를 얻기 위해, 알림 정보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입력부(73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10)는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710)는 와이파이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 및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디바이스(110)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제 2 디바이스(110)의 클라우드 서버 등록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 2 디바이스(110)와 연결하고,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제 2 디바이스(110)가 감지됨에 따라,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인증 코드를 계정 서버(15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사용자 입력부(730)를 통해 입력 받고, 입력된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계정 서버(150)에 로그인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으로 계정 서버(150)에 로그인한 제어부(710)는 인증 코드를 계정 서버(150)에게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10)는 제 2 디바이스(110)가 감지됨에 따라, 제 1 디바이스(100) 주변의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제 2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가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기 위해서는 먼저 인터넷에 연결되어야 하므로, 제어부(710)는 제 1 디바이스(100) 주변의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제 2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계정 서버(150)로부터 인증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계정 서버(150)로부터 제 1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인증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수신된 인증 코드 및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를 제 2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는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고,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제 2 디바이스(110)에게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전송하는 대신에 계정 서버(150)로부터 수신한 인증 코드를 전송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110)가 제 1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10)는 클라우드 서버(140)로부터 제 2 디바이스(110)가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10)는 수신된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74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알림 정보를 통해 제 2 디바이스(110)가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디바이스(110)는 제어부(910) 및 통신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제 2 디바이스(110)의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 2 디바이스(11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 2 디바이스(11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110)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 2 디바이스(11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이다. 메모리는 제 2 디바이스(110)에 의해 구동될 애플리케이션들, 드라이버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 2 디바이스(1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920)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920)는 다른 디바이스들, AP(130), 계정 서버(150) 및 클라우드 서버(140)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920)는 와이파이, 근거리 무선 통신 등 무선 통신을 통해 다른 기기에 접속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와 유선 통신을 통해 다른 기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제 2 디바이스(110)를 제어하기 위한 전반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910)는 제 2 디바이스(11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92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5 내지 도 7에서의 제 2 디바이스(110)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910)는 통신부(920)를 제어함으로써,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 1 디바이스(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이 와이파이인 경우, 제어부(910)는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소프트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제 1 인증 코드 및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클라우드 서버(140)의 접속 주소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910)는 제 1 디바이스(100) 주변의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110)가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기 위해서는 먼저 인터넷에 연결되어야 하므로, 제어부(910)는 제 1 디바이스(100) 주변의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AP(130)에 접속할 수 있다. 제어부(910)가 통신부(920)를 통해 AP(130)에 접속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110)는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910)는 수신된 제 1 인증 코드 및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40)에게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10)는 제 1 인증 코드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1 인증 코드에 매칭된 사용자 계정이 클라우드 서버(140)에 의해 식별됨으로써, 제 2 디바이스(110)는 제 1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될 수 있다.
제어부(910)는 통신부(920)를 제어함으로써,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 3 디바이스(120)를 감지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120)는 댁 내에 새롭게 추가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이 와이파이인 경우, 제어부(910)는 제 3 디바이스(1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와이파이 비콘을 수신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1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와이파이 비콘에는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하여 제 3 디바이스(120)와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910)는 수신된 와이파이 비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3 디바이스(120)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910)는 제 3 디바이스(120)가 감지됨에 따라, 제 3 디바이스(120)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 1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120)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는 제 1 디바이스(100)에게 전송되고, 제 1 디바이스(1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3 디바이스(12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시키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를 얻기 위해, 알림 정보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100)는 제 3 디바이스(120)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제 1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910)는 전달 받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3 디바이스(120)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제 3 디바이스(120)가 감지됨에 따라, 제 3 디바이스(12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제 2 인증 코드를 클라우드 서버(14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제 2 인증 코드는 제 2 디바이스(11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제 1 인증 코드와 다른 코드로서, 제 3 디바이스(120)를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이다.
또한, 제어부(910)는 제 3 디바이스(120)가 감지됨에 따라, 제 2 디바이스(110)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제 3 디바이스(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120)가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되기 위해서는 먼저 인터넷에 연결되어야 하므로, 제어부(910)는 AP(13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제 3 디바이스(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120)에게 전송된 접속 정보는 제 3 디바이스(120)가 AP(130)에 접속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910)는 클라우드 서버(140)로부터 제 2 인증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클라우드 서버(140)로부터 제 2 디바이스(110)의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제 2 인증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수신된 제 2 인증 코드 및 클라우드 서버(140)의 접속 주소 정보를 제 3 디바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는 제 2 디바이스(110)가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정보일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120)는 클라우드 서버(140)의 주소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고, 제 2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40)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제 1 디바이스(100) 및 제 2 디바이스(110)의 동작 방법은 그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9)

  1. 제 1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인증 코드를 계정 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계정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인증 코드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인증 코드는, 상기 계정 서버에 대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것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 주변의 AP(Access Point)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전송된 접속 정보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AP에 접속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계정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코드를 상기 계정 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인증 코드는 상기 계정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제공되며,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제공된 상기 인증 코드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게 전송되며,
    상기 인증 코드에 매칭된 상기 사용자 계정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식별됨으로써,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도록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되는 것인,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이 와이파이 통신인 경우,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와이파이 비콘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와이파이 비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P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알림 정보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1.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
    제 2 디바이스, 계정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인증 코드를 계정 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계정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인증 코드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인증 코드는, 상기 계정 서버에 대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것인, 제 1 디바이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 주변의 AP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전송된 접속 정보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AP에 접속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계정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코드를 상기 계정 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매칭된 인증 코드는 상기 계정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제공되며,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제공된 상기 인증 코드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게 전송되며,
    상기 인증 코드에 매칭된 상기 사용자 계정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식별됨으로써,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도록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이 와이파이 통신인 경우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와이파이 비콘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와이파이 비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AP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알림 정보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KR1020160166215A 2016-12-07 2016-12-07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65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215A KR20180065428A (ko) 2016-12-07 2016-12-07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15/827,300 US10911448B2 (en) 2016-12-07 2017-11-30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device in cloud server
US17/136,586 US11956234B2 (en) 2016-12-07 2020-12-29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device in cloud ser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215A KR20180065428A (ko) 2016-12-07 2016-12-07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428A true KR20180065428A (ko) 2018-06-18

Family

ID=62243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215A KR20180065428A (ko) 2016-12-07 2016-12-07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911448B2 (ko)
KR (1) KR2018006542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330A1 (ko) * 2021-06-29 2023-01-05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가전기기와 통신하는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WO2023090647A1 (ko) * 2021-11-17 2023-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3163570A1 (ko) * 2022-02-28 2023-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기의 등록 관리 및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4085356A1 (ko) * 2022-10-20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장치 변경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5721B2 (en) * 2013-10-30 2021-07-06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nformation verification
JP6819417B2 (ja) * 2017-03-31 2021-01-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KR101980039B1 (ko) * 2018-03-26 2019-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자동 등록 시스템 및 방법
US11523443B2 (en) * 2018-06-13 2022-12-06 Nec Corporation Extraction, conversion, and transmission of user packet from encapsulated packet
JP7113292B2 (ja) * 2018-07-20 2022-08-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端末登録システム、及び、情報端末登録方法
US20200187006A1 (en) * 2018-12-06 2020-06-11 Whirlpool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an appliance
US11140156B2 (en) * 2019-07-16 2021-10-05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binding internet of things devices with identities associated with users
US11449821B2 (en) 2019-07-16 2022-09-20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facilitating verified deliveries
CN114095355A (zh) 2019-07-31 2022-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配网注册的方法、设备及系统
US11606687B1 (en) * 2019-12-12 2023-03-14 Amazon Technologies, Inc. Anonymized bluetooth beacons
JP7413879B2 (ja) * 2020-03-26 2024-01-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電子デバイス、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20027656A (ko) * 2020-08-27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간편 등록 방법
WO2022246376A1 (en) * 2021-05-15 2022-11-2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edia sharing and communication session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9513B2 (en) * 2009-03-03 2017-03-28 Mobilitie, Llc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authentication in a dynamic network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8627438B1 (en) * 2011-09-08 2014-01-07 Amazon Technologies, Inc. Passwordless strong authentication using trusted devices
JP6033990B2 (ja) * 2013-09-20 2016-11-30 オラク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コーポレイション 単一のフレキシブルかつプラガブルOAuthサーバを備える複数のリソースサーバ、OAuth保護したREST式OAuth許諾管理サービス、およびモバイルアプリケーションシングルサインオンするOAuthサービス
EP3706364B1 (en) * 2013-09-23 2021-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urity management method and security management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CA2926459C (en) * 2013-10-07 2023-10-03 Google Inc. Smart home device facilitating user-friendly setup experience
KR101583356B1 (ko) * 2013-11-01 2016-01-07 주식회사 케이티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이용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홈 게이트웨이
WO2015080746A1 (en) * 2013-11-28 2015-06-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loud-based data sharing
US9483886B2 (en) * 2014-10-01 2016-11-01 Continental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LLC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access control
KR102427328B1 (ko) 2014-10-17 2022-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US20160210454A1 (en) * 2015-01-16 2016-07-21 Pu-Yao Chou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
US20160241999A1 (en) * 2015-02-16 2016-08-18 Polaris Tech Global Limited Cross-platform automated perimeter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adopting selective adapter
US10360558B2 (en) * 2015-03-17 2019-07-23 Ca, Inc. Simplified two factor authentication for mobile payments
TWI595780B (zh) * 2015-03-25 2017-08-11 晶睿通訊股份有限公司 網路通訊系統及其方法
US10154017B2 (en) * 2015-04-30 2018-12-11 Mcafee, Llc Device pairing in a local network
US9736165B2 (en) * 2015-05-29 2017-08-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entralized authentication for granting access to online servic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330A1 (ko) * 2021-06-29 2023-01-05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가전기기와 통신하는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WO2023090647A1 (ko) * 2021-11-17 2023-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3163570A1 (ko) * 2022-02-28 2023-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기의 등록 관리 및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4085356A1 (ko) * 2022-10-20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장치 변경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59855A1 (en) 2018-06-07
US10911448B2 (en) 2021-02-02
US11956234B2 (en) 2024-04-09
US20210119996A1 (en)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5428A (ko) 디바이스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10178555B2 (en) Securing a wireless mesh network via a chain of trust
JP6316986B2 (ja) ネットワークビーコンとユーザ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との間のセキュアな接続の検証
JP6053719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サーバ、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998582B2 (en) Peripheral device management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a display apparatus and a node terminal apparatus
KR102412896B1 (ko) 단말의 설비 제어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35879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iring apparatus, method for pairing plural devices an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implement that method
KR102201527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장치간 연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277592B2 (en) Apparatus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management apparatus, and apparatus management method
KR20130033485A (ko)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들간에 관계를 설정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사용자 단말기 및 관계 설정 방법
KR102164801B1 (ko) 액세스 포인트 연결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102407228B1 (ko)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58998A1 (en) Device and method for accessing service using authentication of electronic device
JP2016015544A (ja)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専用操作器
KR20160139141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이용 방법.
KR102011472B1 (ko)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들간에 관계를 설정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사용자 단말기 및 관계 설정 방법
KR20160038450A (ko) 네트워크 기반의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인증 서버
US11727094B2 (en) Mobile device,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user authentication system of mobile device
KR20230072205A (ko) 가전 기기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44231A (ko)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