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231A -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231A
KR20140044231A KR1020120110332A KR20120110332A KR20140044231A KR 20140044231 A KR20140044231 A KR 20140044231A KR 1020120110332 A KR1020120110332 A KR 1020120110332A KR 20120110332 A KR20120110332 A KR 20120110332A KR 20140044231 A KR20140044231 A KR 20140044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event
measurement value
geomagnetic
ac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국
전희철
최원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0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4231A/ko
Publication of KR20140044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타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단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 검출된 움직임 정보와 통신부를 통해 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여, 단말 장치와 타 단말 장치 간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이벤트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는 타 단말 장치와 통신이 개시되면,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을 보다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 제어 방법{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NFC 통신이 가능한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 장치는 타 단말 장치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호 인터렉션을 수행하여 보다 빠르고 쉽게 다양한 정보 교류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써,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가 대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중, NFC 통신 방식은 다른 무선 통신 방식과 달리 단말 장치 간의 페어링(Pairing)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위치한 단말 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에 비해 단말 장치 간의 정보 교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NFC 통신 방식을 통해 단말 장치 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경우, 각 단말 장치는 NFC 통신 방식에서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화면상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화면상에 제공된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여야하는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어, NFC 통신 방식을 통해 단말 장치 간의 통신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소셜 체크인(Socila Check In)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소셜 체크인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소셜 체크인을 수행해야하는 과정을 수행해야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단말 장치 간의 통신이 개시되면, 직관적인 인터렉션을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타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단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 상기 검출된 움직임 정보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타 단말 장치 간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이벤트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해 상기 타 단말 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움직임 검출부는,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가속도 측정값 및 지자기 측정값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가속도 측정값과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측정값을 비교하여 두 가속도 측정값이 임계 범위 내에 있으면 제1 이벤트를 수행하고, 상기 임계 범위 내에 없으면, 제2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가속도 측정값과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측정값을 비교하여 두 가속도 측정값이 임계 범위 내에 있으면 제1 이벤트를 수행하고, 상기 두 가속도 측정값이 동일하면, 상기 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지자기 측정값 및 상기 지자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지자기 측정값을 비교하여 두 지자기 측정값이 임계 범위 내에 있으면 제1 이벤트를 수행하고, 상기 임계 범위 내에 없으면, 제2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벤트는 소셜 체크인 관련 서비스이며, 상기 제2 이벤트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 실행 리스트 항목이며, 상기 제어부는, 시각적 피드백, 음향 피드백, 진동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중 하나의 이벤트 수행에 따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이벤트 수행 관련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벤트 수행 결과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와 소셜 체크인을 수행한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타 단말 장치와 식별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타 단말 장치로부터 움직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움직임 정보와 상기 검출된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타 단말 장치 간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이벤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 장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해 상기 타 단말 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가속도 측정값 및 지자기 측정값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가속도 측정값과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측정값을 비교하여 두 가속도 측정값이 임계 범위 내에 있으면 제1 이벤트를 수행하고, 상기 임계 범위 내에 없으면, 제2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가속도 측정값과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측정값을 비교하여 두 가속도 측정값이 임계 범위 내에 있으면 제1 이벤트를 수행하고, 상기 두 가속도 측정값이 동일하면, 상기 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지자기 측정값 및 상기 지자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지자기 측정값을 비교하여 두 지자기 측정값이 임계 범위 내에 있으면 제1 이벤트를 수행하고, 상기 임계 범위 내에 없으면, 제2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벤트는 소셜 체크인 관련 서비스이며, 상기 제2 이벤트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리스트 항목이며, 시각적 피드백, 음향 피드백, 진동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중 하나의 이벤트 수행에 따른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벤트 수행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기저장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와의 소셜 체크인 수행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는 타 단말 장치와 통신이 개시되면,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을 보다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와 타 단말 장치 간의 배치 상태에 따라 제1 이벤트를 수행하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와 타 단말 장치 간의 배치 상태에 따라 제2 이벤트를 수행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타 단말 장치와 크로스 형태로 배치된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타 단말 장치와 크로스 형태로 배치된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모바일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이 같은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 움직임 검출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타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타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모듈을 통해 타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은 무선태그(RFID) 기술 방식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모듈으로서, 타 단말 장치(200)가 약 10cm 이내와 같이 근접하였을 시에만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NFC 통신 모듈은 통신 거리가 타 무선 통신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보안이 우수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움직임 검출부(120)는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움직임 검출부(120)는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움직임 검출부(120)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측정값 및 지자기 센서로부터 산출된 지자기 측정값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는 단말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가속도 측정값 즉, 3D 백터값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그리고, 지자기 센서는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하여 단말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지자기 측정값 즉, 방위값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이 같은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는 공지된 기술이기에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단말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움직임 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움직임 정보와 통신부(110)를 통해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여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 간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이벤트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NFC 통신 가능한 타 단말 장치(200)가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로 근접하면, 통신부(110)는 NFC 통신을 통해 타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타 단말 장치(200)와 식별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때, 통신부(110)는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타 단말 장치(200)의 식별 정보 및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검출된 움직임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신부(110)는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타 단말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후,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같은 움직임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움직임 정보와 움직임 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여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 간의 배치 상태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10)는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가속도 측정값을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움직임 검출부(120)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를 통해 단말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가속도 측정값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가속도 측정값과 움직임 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가속도 측정값을 비교하여 두 가속도 측정값이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30)는 타 단말 장치(200)의 가속도 측정값과 단말 장치(100)의 기속도 측정값을 비교하여 단말 장치(100)에 근접한 타 단말 장치(200)가 크로스(Cross) 형태로 근접하여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제1 이벤트를 수행하고,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이벤트를 수행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10)는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가속도 측정값 및 지자기 측정값을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움직임 검출부(120)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를 통해 단말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가속도 측정값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움직임 검출부(120)에 포함된 지자기 센서를 통해 단말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지자기 측정값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측정값들 중 가속도 측정값과 움직임 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가속도 측정값을 비교하여 두 가속도 측정값이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30)는 타 단말 장치(200)의 가속도 측정값과 단말 장치(100)의 가속도 측정값을 비교하여 단말 장치(100)에 근접한 타 단말 장치(200)가 크로스(Cross) 형태로 근접하여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제1 이벤트를 수행한다.
한편,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범이 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나머지 측정 즉, 지자기 측정값과 움직임 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지자기 측정값을 비교하여 두 지자기 측정값이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의 배치 상태가 서로 수평하게 배치된 경우, 두 단말 장치(100,2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는 각각의 가속도 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 측정값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 간의 배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제어부(130)는 두 가속도 측정값이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타 단말 장치(200)의 지자기 측정값과 단말 장치(100)의 지자기 측정값을 비교하여 두 지자기 측정값이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두 지자기 측정값이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제1 이벤트를 수행하고,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제2 이벤트를 수행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50), 오디오 출력부(160) 및 진동부(17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시각적 피드백, 음향적 피드백, 진동 피드백으로 제1 또는 제2 이벤트 수행에 따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벤트는 소셜 체크인(Social Check-IN) 서비스가 될 수 있으며, 제2 이벤트는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실행 가능한 실행 리스트 항목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단말 장치(100)가 타 단말 장치(200)와의 배치 상태에 따라 기설정된 이벤트를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와 타 단말 장치 간의 배치 상태에 따라 제1 이벤트를 수행하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단말 장치(200)는 왼쪽으로 약 45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약 45도 기울어져 있는 단말 장치(100)에 근접할 수 있다.
이 같이, 단말 장치(100)에 타 단말 장치(200)가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로 근접하면, 통신부(110)는 타 단말 장치(200)와 NFC 통신이 개시되어 타 단말 장치(200)와 식별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때, 통신부(110)는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식별 정보 및 움직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식별 정보 및 움직임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움직임 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움직임 정보와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여 타 단말 장치(200)가 단말 장치(100)에 크로스 형태로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두 단말 장치(100,200)의 움직임 정보는 단말 장치(100) 및 타 단말 장치(2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한 가속도 측정값 및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을 감지한 지자기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타 단말 장치(200)가 단말 장치(100)에 크로스 형태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제1 이벤트인 소셜 체크인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3)는 통신부(110)를 통해 타 단말 장치(200)로 단말 장치(100)와 크로스 형태로 통신이 이루어졌음으로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100)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타 단말 장치(200)도 제1 이벤트인 소셜 체크인을 수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30)는 타 단말 장치(200)와 NFC 통신이 개시되면, 통신부(110)를 통해 식별 정보 및 움직임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기울기 측정값 및 지자기 측정값을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는 독립적으로 타 단말 장치(200) 또는 단말 장치(100)가 크로스 형태로 근접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제1 이벤트인 소셜 체크인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50), 오디오 출력부(160) 및 진동부(17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시각적 피드백, 음향적 피드백, 진동 피드백으로 소셜 체크인이 수행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30)는 소셜 체크인이 수행되면, 그에 따른 수행 결과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 SNS) 서버(미도시)를 통해 기등록된 복수의 단말 장치로 타 단말 장치(200)와 소셜 체크인이 수행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B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 폰을 A 사용자의 스마트 폰에 크로스 형태로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A 사용자의 스마트 폰은 B 사용자의 스마트 폰이 크로스 형태로 접촉된 것으로 판단하여 소셜 체크인을 수행한다. 이후, A 사용자의 스마트 폰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미도시)를 통해 B 사용자와 소셜 체크인을 수행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A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킹을 수행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은 자신의 스마트 폰을 통해 A 사용자가 B 사용자와 만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 이벤트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서비스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 폰에 타 스마트 폰이 크로스 형태로 접촉할 시, 사용자의 정보 즉, 전자 명함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A 사용자의 스마트 폰에 B 사용자의 스마트 폰이 크로스 형태로 접촉하면, A 사용자의 스마트 폰은 B 사용자의 스마트 폰으로 A 사용자의 전자 명함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단말 장치(100)는 저장부(180) 및 입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8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정보, 시스템 구동 소프트웨어(Operating Software),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사용자 조작 내용에 대응되는 동작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80)는 제1 이벤트 수행과 관련된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즉, 제어부(130)는 제1 이벤트인 소셜 체크인 수행 결과를 저장부(18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이에 따라, 저장부(180)는 제1 이벤트인 소셜 체크인 수행 결과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기록 저장한다.
한편, 입력부(14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30)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써, 입력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패널은 터치 패드(Touch Pad) 혹은 각종 기능키, 숫자키, 특수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Key Pad) 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같은 입력부(140)를 통해 소셜 체크인 관련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소셜 체크인 수행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부(140)를 통해 소셜 체크인 수행 내역을 확인할 사용자의 선택 및 기간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40)를 통해 B 사용자 선택 및 2012년 8월 1일부터 현재까지에 대한 기간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130)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이력 정보 중 B 사용자와 2012년 8월 1일부터 현재까지 소셜 체크인을 수행한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내역 정보를 통해 2012년 8월 1일부터 현재까지 B 사용자와 소셜 체크인을 수행한 상황을 체크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입력부(140)를 통해 전체 사용자 선택 및 2012년에 대한 기간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2012년 동안 각 사용자별 소셜 체크인을 수행한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내역 정보를 통해 2012년 동안 각 사용자별로 소셜 체크인을 수행한 상황을 체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와 타 단말 장치 간의 배치 상태에 따라 제2 이벤트를 수행하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단말 장치(200)는 오른쪽으로 약 15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위치한 단말 장치(100)에 근접할 수 있다.
이 같이, 단말 장치(100)는 타 단말 장치(200)가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로 근접하하면, 통신부(110)는 타 단말 장치(200)와 NFC 통신이 개시되어 타 단말 장치(200)와 식별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때, 통신부(110)는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식별 정보 및 움직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식별 정보 및 움직임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움직임 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움직임 정보와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여 타 단말 장치(200)가 단말 장치(100)에 크로스 형태로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두 단말 장치(100,200)의 움직임 정보는 단말 장치(100) 및 타 단말 장치(2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한 가속도 측정값 및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을 감지한 지자기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타 단말 장치(200)가 단말 장치(100)에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타 단말 장치(200)가 단말 장치(100)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배치 패턴으로 단말 장치(100)에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기설정된 제2 이벤트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 실행 리스트 항목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제어부(13)는 통신부(110)를 통해 타 단말 장치(200)로 단말 장치(100)와 일반적인 통신이 이루어졌음으로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100)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타 단말 장치(200)도 제2 이벤트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리스트 항목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30)는 타 단말 장치(200)와 NFC 통신이 개시되면, 통신부(110)를 통해 식별 정보 및 움직임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기울기 측정값 및 지자기 측정값을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는 독립적으로 타 단말 장치(200) 또는 단말 장치(100)가 크로스 형태로 근접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제2 이벤트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리스트 항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에 체크인(10), xxx Card(20), Mobile Wallet(30)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리스트 항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부(140)를 통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리스트 항목 중 자신이 실행하고자 하는 항목을 선택하고, 제어부(130)는 입력부(140)를 통해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00)에서 NFC 통신을 위해 근접한 타 단말 장치(200)의 배치 상태에 따라 상이한 이벤트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타 단말 장치(200)가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로 접근하면, 타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개시하여 타 단말 장치(200)와 식별 정보를 송수신한다(S410).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인 NFC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100)는 NFC 통신 가능한 타 단말 장치(200)가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로 근접하면, NFC 통신을 통해 타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식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후, 단말 장치(100)는 타 단말 장치(200)와 NFC 통신이 개시되면,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한다(S420).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측정값 및 지자기 센서로부터 산출된 지자기 측정값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는 단말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가속도 측정값 즉, 3D 백터값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그리고, 지자기 센서는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하여 단말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지자기 측정값 즉, 방위값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이 같은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는 공지된 기술이기에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타 단말 장치(200)도 전술한 단말 장치(100)와 같이,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에 의해 가속도 측정값 및 지자기 측정값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타 단말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와 NFC 통신이 개시되면, 내부적으로 검출된 가속도 측정값 및 지가지 측정값을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100)는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수신한다(S430). 이후, 단말 장치(100)는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움직임 정보와 단계 S420을 통해 검출된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여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 간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이벤트를 수행한다(S440).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통해,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 간의 배치 상태에 따라 기설정된 이벤트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타 단말 장치와 크로스 형태로 배치된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가속도 측정값을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가속도 측정값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100)는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가속도 측정값과 내부적으로 측정된 가속도 측정값을 비교하여 두 가속도 측정값이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10,S520).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장치(100)는 기설정된 제1 이벤트를 수행한다(S530). 즉, 단말 장치(100)는 두 가속도 측정값이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 단말 장치(200)가 크로스 형태로 단말 장치(100)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제1 이벤트를 수행한다.
한편,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범이 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장치(100)는 기설정된 제2 이벤트를 수행한다(S540). 즉, 단말 장치(100)는 두 가속도 측정값이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 단말 장치(200)가 단말 장치(100)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형태로 배치되어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제2 이벤트를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타 단말 장치와 크로스 형태로 배치된 경우 기설정된 이벤트를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가속도 측정값 및 지자기 측정값을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0)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적으로 검출된 단말 장치(100)의 가속도 측정값과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가속도 측정값을 비교한다(S610). 비교 결과, 두 가속도 측정값이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으면, 단말 장치(100)는 타 단말 장치(200)가 단말 장치(100)와 크로스 형태로 배치되어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제1 이벤트를 수행한다(S620,S630).
한편, 비교 결과, 두 가속도 측정값이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장치(100)는 두 가속도 측정값이 동일한 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40).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의 배치 상태가 서로 수평하게 배치된 경우, 두 단말 장치(100,2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는 각각의 가속도 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 측정값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0)는 타 단말 장치(200)와의 배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두 가속도 측정값이 동일한 값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값이 아니면, 단말 장치(100)는 단계 S630을 통해 기설정된 제1 이벤트를 수행한다. 한편, 두 가속도 측정값이 동일할 값이면, 단말 장치(100)는 내부적으로 검출된 단말 장치(100)의 지자기 측정값과 타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지자기 측정값을 비교한다(S650). 비교 결과, 두 지자기 측정값이 기설정된 임계 범위 내에 있으면, 단말 장치(100)는 단계 S630을 통해 기설정된 제1 이벤트를 수행한다. 한편, 두 지자기 측정값이 기설정된 임계 범이 내에 있지 않으면, 단말 장치(100)는 타 단말 장치(200)의 배치 상태가 단말 장치(100)와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배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제2 이벤트를 수행한다(S670).
이와 같이, 제1 이벤트 또는 제2 이벤트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100)는 시각적 피드백, 음향적 피드백 및 진동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1 이벤트 또는 제2 이벤트 수행에 따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1 이벤트는 소셜 체크인 서비스가 될 수 있으며, 제2 이벤트는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실행 가능한 실행 리스트 항목이 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5 및 도 6에서 단말 장치(100)는 제1 이벤트인 소셜 체크인이 수행되면, 단말 장치(100)는 그에 따른 수행 결과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 SNS) 서버(미도시)를 통해 기등록된 복수의 단말 장치로 타 단말 장치(200)와 소셜 체크인이 수행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 폰을 A 사용자의 스마트 폰에 크로스 형태로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A 사용자의 스마트 폰은 B 사용자의 스마트 폰이 크로스 형태로 접촉된 것으로 판단하여 소셜 체크인을 수행한다. 이후, A 사용자의 스마트 폰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미도시)를 통해 B 사용자와 소셜 체크인을 수행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A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킹을 수행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은 자신의 스마트 폰을 통해 A 사용자가 B 사용자와 만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제1 이벤트인 소셜 체크인이 수행되면, 그에 따른 제1 이벤트 수행 결과를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 장치(100)는 기저장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와의 소셜 체크인 수행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소셜 체크인 수행 내역을 확인할 사용자의 선택 및 기간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 사용자 선택 및 2012년 8월 1일부터 현재까지에 대한 기간 정보가 입력되면, 단말 장치(100)는 기저장된 이력 정보로부터 B 사용자와 2012년 8월 1일부터 현재까지 소셜 체크인을 수행한 내역을 추출하고, 그에 따른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내역 정보를 통해 2012년 8월 1일부터 현재까지 B 사용자와 소셜 체크인을 수행한 상황을 체크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전체 사용자 선택 및 2012년에 대한 기간 정보가 입력되면, 단말 장치(100)는 기저장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2012년 동안 소셜 체크인을 수행한 내역 정보를 각 사용자별 추출하고, 그에 따른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내역 정보를 통해 2012년 동안 각 사용자별로 소셜 체크인을 수행한 상황을 체크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200 : 단말 장치 110 : 통신부
120 : 움직임 검출부 130 : 제어부
140 : 입력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오디오 출력부 170 : 진동부
180 : 저장부

Claims (12)

  1. 단말 장치에 있어서,
    타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단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움직임 검출부;
    상기 검출된 움직임 정보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타 단말 장치 간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이벤트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해 상기 타 단말 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움직임 검출부는,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가속도 측정값 및 지자기 측정값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가속도 측정값과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측정값을 비교하여 두 가속도 측정값이 임계 범위 내에 있으면 제1 이벤트를 수행하고,
    상기 임계 범위 내에 없으면, 제2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가속도 측정값과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측정값을 비교하여 두 가속도 측정값이 임계 범위 내에 있으면 제1 이벤트를 수행하고,
    상기 두 가속도 측정값이 동일하면, 상기 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지자기 측정값 및 상기 지자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지자기 측정값을 비교하여 두 지자기 측정값이 임계 범위 내에 있으면 제1 이벤트를 수행하고,
    상기 임계 범위 내에 없으면, 제2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벤트는 소셜 체크인 관련 서비스이며,
    상기 제2 이벤트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 실행 리스트 항목이며,
    상기 제어부는,
    시각적 피드백, 음향 피드백, 진동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중 하나의 이벤트 수행에 따른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이벤트 수행 관련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벤트 수행 결과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와 소셜 체크인을 수행한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 단말 장치와 식별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타 단말 장치로부터 움직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움직임 정보와 상기 검출된 움직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타 단말 장치 간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이벤트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해 상기 타 단말 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가속도 측정값 및 지자기 측정값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가속도 측정값과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측정값을 비교하여 두 가속도 측정값이 임계 범위 내에 있으면 제1 이벤트를 수행하고,
    상기 임계 범위 내에 없으면, 제2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가속도 측정값과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측정값을 비교하여 두 가속도 측정값이 임계 범위 내에 있으면 제1 이벤트를 수행하고,
    상기 두 가속도 측정값이 동일하면, 상기 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지자기 측정값 및 상기 지자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지자기 측정값을 비교하여 두 지자기 측정값이 임계 범위 내에 있으면 제1 이벤트를 수행하고,
    상기 임계 범위 내에 없으면, 제2 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제어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벤트는 소셜 체크인 관련 서비스이며,
    상기 제2 이벤트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리스트 항목이며,
    시각적 피드백, 음향 피드백, 진동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중 하나의 이벤트 수행에 따른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벤트 수행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기저장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와의 소셜 체크인 수행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제어 방법.
KR1020120110332A 2012-10-04 2012-10-04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 제어 방법 KR20140044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332A KR20140044231A (ko) 2012-10-04 2012-10-04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332A KR20140044231A (ko) 2012-10-04 2012-10-04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231A true KR20140044231A (ko) 2014-04-14

Family

ID=5065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332A KR20140044231A (ko) 2012-10-04 2012-10-04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42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6556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ayment using biometric authentication
US10942993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user mod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16745B2 (en) Beacon-triggered activation of a near field communication application
US20180129923A1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reprogrammable payment card
US9064247B2 (en) User-configurable activation of card applets
EP3623977B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screen lock
US9467859B2 (en) Virtual key ring
CN106797553B (zh) 用于连接到外部设备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电子设备
US10440032B2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sharing use authority with respect to service
US20100268831A1 (en) Thin Client Session Management
KR20150080736A (ko)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EP35702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yment using a secure module
KR20160094032A (ko) 통합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20160111211A (ko) 데이터 통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30098616A1 (en) Method for Invoking NFC Application, Electronic Device, and NFC Apparatus
KR102505254B1 (ko) 데이터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46401A (ko) 보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80023330A (ko) 위치 인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145962A (ko) 역방향 nfc 결제를 위한 사용자 장치, nfc 결제 단말기, 그를 포함하는 역방향 nfc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060440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통신연결 방법
US201503793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fingerprint input
CN105745947A (zh) 用于报告用户接口状况的系统和方法
CN107851369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308533B1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14360A (ko) 전자 장치, 서버 및 전자 장치에서의 스캔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