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978A -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기능성아보카도오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기능성아보카도오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978A
KR20180064978A KR1020170160034A KR20170160034A KR20180064978A KR 20180064978 A KR20180064978 A KR 20180064978A KR 1020170160034 A KR1020170160034 A KR 1020170160034A KR 20170160034 A KR20170160034 A KR 20170160034A KR 20180064978 A KR20180064978 A KR 20180064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vocado
avocado oil
oil
functional
see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보에프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보에프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보에프엔씨
Priority to KR1020170160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4978A/ko
Publication of KR20180064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7/00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 A23D7/02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4Solvent extraction of solutions which are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보카도오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기되는 아보카도씨를 이용한 항산화활성이 강화된 기능성아보카도오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기능성아보카도오일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avocado oil having improved antioxidant effe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oil}
본 발명은 아보카도오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기되는 아보카도씨를 이용한 항산화활성이 강화된 기능성아보카도오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자들의 식물유에 관한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해 대두유를 비롯하여 올리브유, 포도씨유, 카놀라유 및 아보카도유와 같은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식물유는 크게 물리적 압착 및 분리여과를 통해 엽록소와 레시틴 및 비타민류 등이 함유된 상태의 비정제 식물유와 알카리처리, 탈취공정 등 다양한 후처리공정을 통해 고유의 향취를 제거하고 투명도를 높이 정제식물유로 나눌 수 있다.
아보카도유의 경우에도 엑스트라버진과 같이 비정제 식물유로 시판되는 제품과 사용되는 용도의 특성상 탈색 및 탈취가 이루어진 정제오일로서의 상품이 출시되고 있다.
비정제 아보카도유는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고 항산화 작용을 하는 오메가9지방산(올레인산)이 다른 무엇보다도 풍부하며 특히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베타-시토스테롤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알파 및 베타카로틴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기능성 식물유로서 주목받고 있으며 발연점이 타 식품유보다 높아 식용 튀김유로서의 범용성이 크다.
그러나, 이상의 기능성은 비정제 아보카도오일에 한정된 경우가 대부분이며, 비정제 아보카도오일의 경우에도 단순한 압착여과등 기계적 공정에 의해 기능성을 갖는 성분이 함유되는 함량은 미량일 수밖에 없고, 아보카도정제유는 탈색, 탈취를 위한 여러 제거 공정으로 인해 천연 유래 항산화성분 등 기능성 물질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다고 볼 수 있다.
한편, 현재 통상적인 아보카도 오일 제조공정상 사용되는 아보카도 열매의 씨는 오일 착유전 사전 제거되어 버려지는데, 이로 인해 아보카도씨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성분 등이 오일 착유시 자연적으로 함유될 수 있는 가능성은 매우 낮다.
따라서,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아보카도오일 제조공정을 통해 얻어진 아보카도오일은 아보카도열매에 포함된 항산화활성 등 기능성 성분들이 충분히 포함되지 못하므로,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된 새로운 기능성아보카도오일이 개발될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아보카도오일제조시 부산물로 버려지는 아보카도씨 유래 기능성성분을 이용하는 기능성아보카도오일 및 그 제조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보카도오일제조시 부산물로 버려지는 아보카도씨를 재활용하기 위해 아보카도씨에 포함된 기능성성분을 다량 추출하는 추출방법을 개발하고, 식용 아보카도오일이 본래 가진 기능성에 더해 항산화활성 등이 보다 향상되도록 아보카도씨추출물의 기능성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함량으로 첨가된 기능성아보카도오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보카도오일에 아보카도씨추출물을 첨가한 기능성식용아보카도오일로서, 상기 아보카도오일 1ml 당 상기 아보카도씨추출물이 2.5mg 내지 50mg로 포함되면, 상기 기능성식용아보카도오일에 포함된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상기 아보카도오일에 포함된 함량보다 2배 내지 4.8배 더 많고, 상기 아보카도오일 1ml 당 상기 아보카도씨추출물이 5.0mg 내지 50mg로 포함되면, 상기 기능성식용아보카도오일에 포함된 폴리페놀함량이 상기 아보카도오일에 포함된 함량보다 1.5배 내지 16.5배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활성이 강화된 기능성식용아보카도오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보카도씨추출물이 상기 아보카도오일 1ml 당 10.0mg 내지 50mg로 포함되면, 상기 기능성식용아보카도오일의 항산화활성은 상기 아보카도오일의 항산화활성과 비교하여 15% 내지 86%로 증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보카도씨추출물은 부산물로 폐기된 아보카도씨를 100% 에탄올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보카도씨에 포함된 기능성성분을 다량 추출하는 추출방법을 개발함으로써 아보카도오일제조시 부산물로 버려지는 아보카도씨를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아보카도오일에 첨가되는 아보카도씨추출물의 기능성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함량을 개발함으로써, 식용 아보카도오일이 본래 가진 기능성에 더해 항산화활성 등이 보다 향상된 기능성아보카도오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범위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내용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 역시 당연히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얻어진 기능성아보카도오일에 포함된 플라보노이드함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얻어진 기능성아보카도오일에 포함된 폴리페놀함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얻어진 기능성아보카도오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아보카도씨추출물을 아보카도씨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이 최대한 포함되도록 추출한 후, 추출된 아보카도씨추출물을 식용 아보카도오일의 기능성이 최대한 발휘되는 함량으로 첨가한 기능성 아보카도오일 및 그 제조방법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아보카도 오일은 아보카도오일에 아보카도씨추출물을 첨가한 기능성식용아보카도오일로서, 아보카도오일 1ml 당 아보카도씨추출물이 2.5mg 이상 포함되어 항산화활성이 강화된 것이다. 이 때 아보카도오일은 정제 또는 비정제 식용 아보카도오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아보카도 오일에 포함되는 아보카도씨추출물은 다양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이 가능하지만, 실험결과 에탄올용매로 추출했을 때 아보카도씨에 함유된 기능성성분을 최대로 추출할 수 있었다. 특히 에탄올용매의 농도는 50%이상이면 사용이 제한되지 않으나 100% 농도의 에탄올용매로 추출시 항산화활성이 보다 우수하였다.
아보카도씨추출물은 액상으로 사용되지 않고 동결건조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아보카도오일 1ml당 적어도 2.5g이상 포함하여야 기능성아보카도오일에서 항산화활성을 포함한 다른 기능성 성분이 아보카도오일에 포함된 기능성성분과 시너지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아보카도씨추출물이 함유된 본 발명의 기능성아보카도오일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아보카도오일에 포함된 함량보다 2배 이상이다. 특히 아보카도씨추출물이 5.0mg 이상 포함된 기능성아보카도오일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폴리페놀함량이 아보카도오일에 포함된 함량보다 1.5배 이상이며, 아보카도씨추출물이 10.0mg 이상 포함되면, 항산화활성이 아보카도오일의 항산화활성과 비교하여 15%이상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아보카도오일 제조방법은 아보카도씨를 50% 이상의 에탄올로 처리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동결건조하여 아보카도씨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아보카도씨추출물을 아보카도오일에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출액을 얻는 단계는 아보카도씨 분말을 얻는 단계 및 상기 분말에 과량의 에탄올용매를 첨가한 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아보카도씨추출물을 아보카도오일에 용해시키는 단계는 아보카도오일 1ml당 아보카도씨추출물이 2.5mg이상 포함되도록 수행되는데, 용도에 따라 아보카도오일 1ml당 아보카도씨추출물이 5.0mg이상 포함되거나, 10.0mg이상 포함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1
1.아보카도씨추출액을 얻는 단계
아보카도씨 분말 10g을 과량의 100%에탄올용매에 넣고 24시간동안 교반하는 공정을 2회반복하여 아보카도씨추출액을 얻었다.
2. 아보카도씨추출물을 얻는 단계
얻어진 아보카도씨추출액을 동결건조시켜 아보카도씨추출물을 얻었다.
3. 아보카도씨추출물을 아보카도오일에 용해시키는 단계
아보카도씨추출물을 2.5mg 칭량한 후 정제아보카도오일 1m에 섞고 4시간 동안 sonication 하여 기능성아보카도오일1을 얻었다.
실시예 2
아보카도씨추출물의 함량을 5mg으로 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기능성아보카도오일2를 얻었다.
실시예 3
아보카도씨추출물의 함량을 10mg으로 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기능성아보카도오일3을 얻었다.
실시예 4
아보카도씨추출물의 함량을 25mg으로 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기능성아보카도오일4를 얻었다.
실시예 5
아보카도씨추출물의 함량을 50mg으로 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기능성아보카도오일5를 얻었다.
실험예 1
아보카도씨 추출물에 함유된 기능성성분의 함량이 추출방법에 따라 달라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아보카도씨분말 10g을 각각 100% 에탄올, 80% 에탄올, 60%에탄올 및 50%에탄올을 사용하여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여 아보카도씨추출물1 내지 4를 얻었다. 그 후 아보카도씨추출물1 내지 3 10mg을 각각 메탄올 1ml에 녹이니 침전물이 생겨 물을 0.2mg추가하여 시료1 내지 3을 만들었다. 시료1 내지 4의 흡광도를 찍어 폴라보노이드함량, 폴리페놀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 때 대조군으로는 아보카도씨분말의 40% 에탄올추출물(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및 DMSO 처리군(항산화)을 사용하였다.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을 위해 시료 50 uL에 메탄올 50 uL를 잘 섞은 후 5 uL 10% AlCl3, 5 uL 1 M potassium acetate, 140 uL water를 넣어 상온에서 반응을 시킨다. 30분 후 415 nm에서 흡광도을 측정하였다.
샘플에 들어있는 총폴리페놀를 측정하기 위해 Folin-Ciocalteu reagent를 사용하였다. 시료 25 uL에 10% Folin-Ciocalteu reagent 125 uL를 잘 섞은 후 100 uL의 7.5% sodium carbonate를 추가하여 중화시켰다. 이 혼합액을 45도에서 40분간 방치 한 후 흡광도의 변화를 765 nm에서 측정하였다.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DPPH를 이용하였다. 시료 10 uL와 0.5 mM의 DPPH 용액을 섞어 37도에서 방치한다. 30분 후 흡광도의 변화를 510 nm에서 측정하였다.
구분 시료1 시료2 시료3 시료 4 대조군
플라보노이드 100.0 34.4 29.7 26.2 20.0
폴리페놀 100.0 66.5 63.4 60.1 50.0
항산화 32.1 53.7 63.0 65 15.0
표 1로부터 아보카도씨를 60%이상의 농도를 가진 에탄올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게 되면 아보카도씨에 함유된 기능성성분을 유효하게 추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 내지 5에서 얻어진 기능성아보카도오일1 내지 5의 플라보노이드함량을 흡광도(415nm)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아보카도오일만을 사용한 대조군을 100%로 보았을 때의 상대적인 %로 표시하였다.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을 위해 시료 12.5 uL에 5 uL 10% AlCl3, 5 uL 1 M potassium acetate, 227.5 uL water를 넣어 상온에서 반응을 시킨다. 30분 후 415 nm에서 흡광도을 측정하였다.
% of control
대조군(con)
기능성아보카도오일1(2.5m) 기능성아보카도오일2(5mg) 기능성아보카도오일3(10mg) 기능성아보카도오일4(25mg) 기능성아보카도오일5(50mg)
1 100% 152% 191% 219% 354% 411%
2 100% 233% 302% 317% 270% 538%
3 100% 263% 317% 339% 439% 501%
ave 100% 216% 270% 292% 408% 483%
표 2 및 도 1로로부터 아보카도씨추출물이 포함된 기능성아보카도오일1 내지 5는 모두 아보카도오일과 비교하여 적어도 2배 이상의 높은 플라보노이드함량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실시예 1 내지 5에서 얻어진 기능성아보카도오일1 내지 5의 폴리페놀함량을 흡광도(700nm)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샘플에 들어있는 총폴리페놀를 측정하기 위해 Folin-Ciocalteu reagent를 사용하였다. 시료 12.5 uL에 10% Folin-Ciocalteu reagent 125 uL를 잘 섞은 후 37.5 uL의 7.5% sodium carbonate 와 메탄올 75 uL를 추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45도에서 40분간 방치 한 후 흡광도의 변화를 765 nm에서 측정하였다.
% of control
대조군(con)
기능성아보카도오일1(2.5m) 기능성아보카도오일2(5mg) 기능성아보카도오일3(10mg) 기능성아보카도오일4(25mg) 기능성아보카도오일5(50mg)
1 100% 104% 147% 279% 1294% 1616%
2 100% 104% 149% 281% 1300% 1637%
3 100% 105% 160% 261% 1371% 1697%
ave 100% 104% 152% 274% 1322% 1650%
상기 표 3에서 폴리페놀의 함량은 아보카도오일만을 사용한 대조군을 100%로 보았을 때의 상대적인 %로 표시하였다. 표 3 및 도 2로부터 아보카도씨추출물이 포함된 기능성아보카도오일1 내지 5 중 기능성아보카도오일1을 제외하면, 아보카도오일과 비교하여 적어도 1.5배 이상의 높은 폴리페놀함량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실시예 1 내지 5에서 얻어진 기능성아보카도오일1 내지 5의 항산화활성을 DPPH 및 흡광도(510nm)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4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DPPH(1,1-diphenyl-picryl hydrazyl)는 그 자체가 매우 안정한 free radical로서 517nm에서 특징적인 광흡수를 나타내는 진한 보라색 화합물이다.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에서 매우 안정하며 항산화활성이 있는 물질과 만나면 전자를 내어주면서 라디칼(DPPH)이 소멸되어서 정량적으로 탈색되므로 항산화활성을 쉽게 측정할 수 있다.항산화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DPPH를 이용하였다. 시료 10 uL와 0.2 M의 DPPH 용액을 섞어 37도에서 방치한다. 30분 후 흡광도의 변화를 510 nm에서 측정하였다. 하기 표 4에서 항산화활성은 아보카도오일만을 사용한 대조군을 0%로 보았을때의 상대적인 %로 표시하였다.
하기 표 4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능성아보카도오일1 내지 5에서 DPPH가 소멸된 함량을 대조군을 0%로 하여 표시하면 각각 6%, 4%, 15%, 69% 및 86%인 것을 알 수 있으므로, 기능성아보카도오일 1 내지 5 모두 아보카도오일과 비교하면 항산화활성이 증가하지만 아보카도씨추출물이 아보카도 오일 1ml당 10mg 이상 포함되면 기능성아보카도오일의 항산화활성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of control
대조군(con)
기능성아보카도오일1(2.5mg) 기능성아보카도오일2(5mg) 기능성아보카도오일3(10mg) 기능성아보카도오일4(25mg) 기능성아보카도오일5(50mg)
1 0% 6% 5% 17% 59% 86%
2 0% 8% 5% 15% 62% 85%
3 0% 4% 3% 14% 85% 87%
ave 0% 6% 4% 15% 69% 86%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아보카도오일에 아보카도씨추출물을 첨가한 기능성식용아보카도오일로서,
    상기 아보카도오일 1ml 당 상기 아보카도씨추출물이 2.5mg 내지 50mg로 포함되면, 상기 기능성식용아보카도오일에 포함된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상기 아보카도오일에 포함된 함량보다 2배 내지 4.8배 더 많고,
    상기 아보카도오일 1ml 당 상기 아보카도씨추출물이 5.0mg 내지 50mg로 포함되면, 상기 기능성식용아보카도오일에 포함된 폴리페놀함량이 상기 아보카도오일에 포함된 함량보다 1.5배 내지 16.5배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활성이 강화된 기능성식용아보카도오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보카도씨추출물이 상기 아보카도오일 1ml 당 10.0mg 내지 50mg로 포함되면, 상기 기능성식용아보카도오일의 항산화활성은 상기 아보카도오일의 항산화활성과 비교하여 15% 내지 86%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활성이 강화된 기능성식용아보카도오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보카도씨추출물은 부산물로 폐기된 아보카도씨를 100% 에탄올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활성이 강화된 기능성식용아보카도오일.
KR1020170160034A 2017-11-28 2017-11-28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기능성아보카도오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4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034A KR20180064978A (ko) 2017-11-28 2017-11-28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기능성아보카도오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034A KR20180064978A (ko) 2017-11-28 2017-11-28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기능성아보카도오일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234 Division 2016-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978A true KR20180064978A (ko) 2018-06-15

Family

ID=6262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034A KR20180064978A (ko) 2017-11-28 2017-11-28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기능성아보카도오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497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387A (ko) * 2007-11-28 2009-06-0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보카도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40133521A (ko) * 2012-01-13 2014-11-19 라보라뜨와르 엑스빵씨엉스 알킬 폴리올 및/또는 이의 아세틸화된 유도체가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을 수득하기 위한 아보카도 피트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387A (ko) * 2007-11-28 2009-06-0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보카도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40133521A (ko) * 2012-01-13 2014-11-19 라보라뜨와르 엑스빵씨엉스 알킬 폴리올 및/또는 이의 아세틸화된 유도체가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을 수득하기 위한 아보카도 피트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ydar et al. Evaluation of the antiradical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grape extracts
Rabeta et al.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scavenging activity in Clitoria ternatea and Vitex negundo linn.
Padma et al. Quantitative estimation of tannins, pheno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 of Imperata cylindrica
Malheiro et al. Cultivar effect on the 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stoned table olives
Garmus et al.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pepper-rosmarin (Lippia sidoides Cham.) leaves by sequential extraction in fixed bed extractor using supercritical CO2, ethanol and water as solvents
Mutahar S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fruit peels
Dienaitė et al. Lipophilic extracts isolated from European cranberry bush (Viburnum opulus) and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berry pomace by supercritical CO2–Promising bioactive ingredients for foods and nutraceuticals
Mellouk et al.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red alga Asparagopsis taxiformis collected on the North West Algerian coast
Fathi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Satureja hortensis L. essential oil and its application in safflower oil
Gomathy et al. Comparison of antioxidant potential in pulp and peel extracts of Manilkara zapota (L.) P. Royen
Bhatnagar et al. Natural antioxidants of the Jaffna variety of Moringa Oleifera seed oil of Indian origin as compared to other vegetable oils
Akomolafe et al. Phenolic composition and inhibitory ability of methanolic extract from pumpkin (Cucurbita pepo L) seeds on Fe-induce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pecies in albino rat’s testicular tissue in-vitro
Umamahesh et al.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and total flavonoids in peels of five cultivars of mango (Mangifera indica) fruit
US7396554B2 (en) Antioxidant sesame extract
Kalinowska et al. Comparing the extraction methods, chemical composition,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oils from Cannabis sativa and Silybum marianu seeds
Sivaraman et al. Evaluation of antioxidant potential of ethanolic extracts of selected species of Selaginella
Freitas et al. Effect of grape seed extract (Vitis labrusca L.) on soybean oil under thermal oxidation
Cagri Akman et al. LC‐ESI‐MS/MS Chemical Characterization,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Properties of Propolis Extracted with Organic Solvents from Eastern Anatolia Region
Rezig et al. Profile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cold pressed Garden Cress (Lepidium sativum) seed oil
Harini et al. Characterization of in vitro antioxidant potential of Azadirachta indica and Abutilon indicum by different assay methods
Saminathan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durian (Durio zibethinus Murr.) fruit extract
EP2231842B1 (en) Process for producing edible oil
Joshi et al. Antioxidant potential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Urtica dioica (whole plant)
Santos et al. Antioxidant and fatty acid profile of gabiroba seed (Campomanesisa Xanthocarpa Berg)
Generalić Mekinić et al. Effect of the extraction solvent on the oleuropein content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olive leaf (cv. Oblica, Lastovka and Levantinka) extra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