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960A - Voice trans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oice trans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960A
KR20180064960A KR1020170071798A KR20170071798A KR20180064960A KR 20180064960 A KR20180064960 A KR 20180064960A KR 1020170071798 A KR1020170071798 A KR 1020170071798A KR 20170071798 A KR20170071798 A KR 20170071798A KR 20180064960 A KR20180064960 A KR 20180064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sacrificial layer
depression
base substrate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5242B1 (en
Inventor
이준석
강영진
Original Assignee
(주)다빛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빛센스 filed Critical (주)다빛센스
Priority to KR1020170071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242B1/en
Publication of KR20180064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9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2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05Electrostatic transducers using semiconduct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4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03Mems transducers or thei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 Pressure Sens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transfer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nce a dent unit formed on a vibration plate has a side wall having the width becoming narrow toward a lower surface, and the side wall of the dent unit is formed at a position not being in contact with the edge of a base substrate when the vibration plate vibrates, thereby improving vibration efficiency and durability of the vibration plate.

Description

음성전달장치 및 그 제조방법{VOICE TRANS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transmission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압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판(멤브레인 또는, 다이어프램)이 동작전압에서 진동효율이 좋고, 내구성이 우수한 성능을 갖도록 제작된 음향전달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oustic transducer manufactured to have a diaphragm (membrane or diaphragm) vibrating by a negative pressure with good vibration efficiency at an operating voltage and excellent durabilit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음성전달장치는 음향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마이크로폰은 재질이나 작동원리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다. 재질에 따라서는 카본 마이크로폰, 크리스탈 마이크로폰, 마그네틱 마이크로폰 등으로 구분되고, 작동원리에 따라서는 자기장에 의한 유도기전력을 이용하는 다이내믹 마이크로폰과, 멤브레인의 진동에 따른 커패시턴스 변화를 이용하는 콘덴서 마이크로폰으로 구분될 수 있다.Generally, a voice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es a microphone as an apparatus for converting an acoustic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Microphones are available in a wide variety of materials, depending on the material and operating principle. Depending on the material, it can be classified into a carbon microphone, a crystal microphone, and a magnetic microphone. Depending on the operation principle, it can be classified into a dynamic microphone using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by a magnetic field and a condenser microphone using a capacitance change due to vibration of the membrane.

컴퓨터, 이동통신단말기, MP3녹음기, 카세트 녹음기, 캠코더, 헤드셋 등과 같은 휴대용 또는 소형 전자기기에는 ECM(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마이크로폰 등과 같은 초소형 콘덴서 마이크로폰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ECM 마이크로폰은 일렉트릿이라는 분극 유전체 물질을 이용한다. ECM 마이크로폰은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동안 전하를 축적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일렉트릿 물질의 전하는 온도에 민감하고 Long-Term Drift로 인해 특성이 악화되어 마이크로폰 감도를 떨어뜨린다. 그래서, 일렉트릿 물질로 테프론(Teflon)을 마이크로폰에 적용했지만 표준 양산공정에 테프론(Teflon)을 적용하는 것은 많은 어려운 문제점들을 파생시켜 제품성능 열화의 원인이 되어왔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Micro condenser microphones such as ECM (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and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icrophones are mainly used in portable or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P3 sound recorders, cassette recorders, camcorders and headsets. The ECM microphone uses a polarizable dielectric material called an electret. The ECM microphone has a function of accumulating charge while the bias voltage is not applied. Electronic charge of the electret material is sensitive to temperature and deteriorates microphone sensitivity due to long-term drift. Thus, although Teflon is applied to a microphone as an electret material, applying Teflon to a standard mass production process has caused many difficult problems and has caused deterioration of product performance.

반면, 콘덴서 마이크로폰은 일렉트릿 물질이 필요하지 않고, 전하를 축적하기 위해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해 주면 된다. 콘덴서 마이크로폰은 온도변화에 대해 적절한 Sensing 감도와 낮은 감도를 갖는다. 작은 사이즈와 저비용 양산화를 위해 대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공정으로 제조되므로, 콘덴서 마이크로폰은 멤즈 마이크로폰으로 통칭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a condenser microphone does not require an electret material, but a bias voltage may be applied to accumulate electric charges. Condenser microphones have appropriate sensitivity and low sensitivity to temperature changes. Because it is usually manufactured by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process for small size and low cost mass production, condenser microphone is sometimes referred to as membrane microphone.

콘덴서 마이크로폰은 두 개의 평판 캐패시턴스, 즉 진동판(멤브레인 또는, 다이어프램)과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두 개의 평판 캐패시턴스는 절연물질로 작용하는 에어갭을 통해 분리된다. 진동판(멤브레인 또는, 다이어프램)과 백플레이트를를 지지하는 베이스기판에는 백 챔버(Back Chamber)가 형성된다. 백플레이트에는 다수의 음향홀이 형성되어 에어 댐핑(Air Damping)을 완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백플레이트의 음향홀을 통해 인입된 음파(또는 음향신호)는 진동판(멤브레인 또는, 다이어프램)을 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진동판(멤브레인 또는, 다이어프램)과 백플레이트 간의 캐패시턴스는 에어갭의 변화에 따라 변한다. 판독 회로(Readout Circuit)을 구성하여 전기적 신호로 캐퍼시턴스 변화를 적절하게 바꿔 주게 된다. 지금까지 마이크로폰 상용화 제조 업체들은 감도 개선 및 노이즈 레벨(Noise Level)을 낮추기 위해 진동판(멤브레인 또는, 다이어프램)과 백플레이트의 구조와 물질을 계속 개선해 왔다.The condenser microphone includes two plate capacitances: a diaphragm (membrane or diaphragm) and a back plate, and the two plate capacitances are separated through an air gap acting as an insulating material. A back chamber is formed on the base substrate supporting the diaphragm (membrane or diaphragm) and the back plate. A plurality of acoustic holes are formed on the back plate to reduce air damping. The sound waves (or acoustic signals) introduced through the acoustic holes of the back plate cause the diaphragm (membrane or diaphragm) to bend, and the capacitance between the diaphragm (membrane or diaphragm) and the back plate changes with the change of the air gap . A readout circuit is constructed to appropriately change the capacitance change by an electrical signal. Microphone commercialization manufacturers have continued to improve the structure and materials of diaphragms (membranes or diaphragms) and backplates to improve sensitivity and reduce noise levels.

콘덴서 마이크로폰(또는 멤스 마이크로폰)은 기생 캐패시턴스를 최소화하고 진동판(멤브레인 또는, 다이어프램)의 진동효율을 높이기 위해 진동판(멤브레인 또는, 다이어프램)의 효율적인 진동이 유지되어야 한다.The condenser microphone (or MEMS microphone) must maintain efficient vibration of the diaphragm (membrane or diaphragm) to minimize the parasitic capacitance and increase the vibration efficiency of the diaphragm (membrane or diaphragm).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종래 콘덴서 마이크로폰(또는 멤스 마이크로폰)의 베이스기판과 진동판과 백플레이트의 일부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 1a, 도 1b,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판(110)은 일부 영역(111A, 111B, 111C)을 베이스기판(100)에 접촉시키고, 꺽인 형태로 베이스기판(100)과 이격을 유지하였다.Figs. 1A, 1B, and 1C show a structure of a base board, a vibration plate, and a back plate of a conventional condenser microphone (or a MEMS microphone). As shown in FIGS. 1A, 1B, and 1C, the diaphragm 110 contacts the base substrate 100 with some areas 111A, 111B, and 111C, and maintains a distance from the base substrate 100 in a bent form Respectively.

도 1a는 백플레이트(120) 하단에 위치한 진동판(110)에 음파가 전달될 경우, 진동판(110)이 수직으로 진동하고 베이스기판(100)내 백 챔버의 내부 모서리(A1)에 반복적으로 접촉하여 진동판(110)이 파손되는 원인이 된다. 도 1b는 진동판(110)이 백플레이트(120)에 접근할 때, 진동판(110)의 멤브레인 전극(112)과 백플레이트(120)의 대향 전극(122)이 비정상적으로 가까워져 접촉(A2)이 발생할 수 있다. 1A shows a case where sound waves are transmitted to a diaphragm 110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a back plate 120 so that the diaphragm 110 vibrates vertically and repeatedly contacts the inner edge A1 of the back chamber in the base substrate 100 Causing the diaphragm 110 to be damaged. 1B shows that when the diaphragm 110 approaches the back plate 120, the membrane electrode 112 of the diaphragm 110 and the opposing electrode 122 of the back plate 120 become abnormally close to cause a contact A2 .

도 1c는 진동판(110)의 접촉부(111C)의 면적이 협소한 경우, 진동판(110)의 진동시 접촉부(111C)가 Lift-Off되고 접촉부(111C)의 측벽(A3)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이러한 부분접촉식 진동판의 구조는 1) 강성(Stiffness)에 문제가 있을 경우, 진동판(110)의 진동폭이 좁아지고 2) 진동판 접촉부의 접촉면적이 좁을 경우, 진동시 Lift-Off 발생, 진동판 변형 또는 파손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3) 진동판과 백플레이 간의 좁은 에어갭으로 인해 진동판의 일부가 백 챔버 모서리(A1)에 반복적으로 접촉하여 파손되거나 멤브레인 전극(112)과 백플레이트(120)의 대향 전극(122)이 비정상적으로 가까워져 편향적으로 충격을 줄 수 있다.1C shows a case where the area of the contact portion 111C of the diaphragm 110 is narrow and the contact portion 111C of the vibration plate 110 is lifted off and deformation may occur in the side wall A3 of the contact portion 111C I have possession. The structure of the partial contact type diaphragm is as follows. 1) When there is a problem in stiffness, the vibration width of the diaphragm 110 becomes narrow. 2) When the contact area of the diaphragm contact portion is narrow, 3) Due to the narrow air gap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back plate, a part of the diaphragm may repeatedly contact and break the back chamber edge A1, or the membrane electrode 112 and the back plate 120 may face each other The electrode 122 may approach abnormally and may biasedly impact.

도 2를 참조하면, 콘덴서 마이크로폰(또는 멤스 마이크로폰)은 음성신호에 대해서 백플레이트(120)와 진동판(110) 간의 정전용량을 극대화하고, 누설 정전용량을 최소화해야 한다. 동작중에 대표적으로 발생되는 누설 정전용량은 백플레이트(120)와 진동판(110) 간의 절연 연결부(130B)에서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턴스(Parasitic capacitance, CP1), 진동판(110)과 베이스기판(100) 간의 절연연결부(130A)에서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턴스(Parasitic capacitance, CP2) 등이 있다. 그 외에 마이크로폰 본체와 패드를 연결하는 와이어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캐패시턴스도 있다. 가능한 한 설계 및 공정개선을 통해 백플레이트(120)와 진동판(110)간의 평판 정전용량(Cmic)를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denser microphone (or the MEMS microphone) must maximize the capacitance between the back plate 120 and the diaphragm 110 with respect to the voice signal, and minimize the leakage capacitance. The leakage capacitance typically generated during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parasitic capacitance CP1 generated in the insulating connection portion 130B between the back plate 120 and the diaphragm 110 and the insulation between the diaphragm 110 and the base substrate 100 And a parasitic capacitance (CP2) generated in the connection part 130A. In addition, there is an unnecessary capacitance generated in the wire connecting the microphone body and the pad. It is an important task to maximize the flat plate capacitance Cmic between the back plate 120 and the diaphragm 110 through design and process improvement as much as possible.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27212호(공개일 2016.11.0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27212 (Publication date 2016.11.03)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동작전압에서 진동판의 진동효율이 좋고, 내구성이 우수한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음성전달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oice transmission device including a condenser microphone with good vibration efficiency of a diaphragm at an operating voltage and excellent durabilit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저주파 대역의 감도가 우수한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음성전달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oice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ing a microphone excellent in low frequency band sensitivit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전달장치는 상, 하로 관통된 하나의 백 챔버(Back chamber)가 형성되는 베이스기판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백 챔버(Back chamber) 위에 멤브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멤브레인 전극과 에어갭(Air Gap)을 사이로 마주하는 대향 전극과 다수의 음향홀이 형성된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며,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oice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ing: a base substrate having a back chamber formed therein; A diaphragm having a membrane electrode on a back chamber of the base substrate; An opposite electrode facing the membrane electrode of the diaphragm and an air gap, and a back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acoustic holes,

상기 진동판은 백 챔버(Back chamber)를 제외한 베이스기판의 나머지 영역과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멤브레인 전극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될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저면과 맞닿는 측벽을 구비한 제1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함몰부의 측벽은 상기 진동판이 진동할 때 상기 베이스기판의 모서리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고,Wherein the diaphragm has a first wall having a side wall contacting with a lower surface of the diaphragm, the diaphragm having a narrower width as the length of the diaphragm increas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rane electrode, A side wall of the first depressed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side wall of the first depressed portion does not contact the edge of the base substrate when the diaphragm vibrates,

상기 백플레이트는 진동판의 제1 함몰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대향 전극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는 측벽을 구비한 제2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함몰부의 저면에 또는 상기 제2 함몰부의 주변에 상기 대향 전극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에어갭(Air Gap)의 폭보다 짧은 길이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back plate has a second depressed portion having a side wall narrowe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posing electrode at a portion facing the first depressed portion of the diaphragm, And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second depression at a length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air gap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nter electro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의 제1 함몰부는 위에서 바라볼 때 하나의 띠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제1 함몰부의 측벽에는 복수의 슬릿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depression of the diaphrag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as one band when viewed from above, and a plurality of slits ar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first depress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의 제1 함몰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은, 직선형 슬릿과 굴절형 슬릿이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다. 굴절형 슬릿은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와 연결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와 연결되는 제2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와 연결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plurality of slits formed in the first depression of the diaphrag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such that the straight slit and the refractive slit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refraction type slit includes a first rectilinear section, a first bend s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rectilinear section, a second bend s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bend section, and a second rectilinear section connected to the second bend section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은 제1 함몰부의 저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aphrag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depression is 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은 베이스기판의 백 챔버(Back chamber)와 상, 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상기 제1 함몰부 주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aphrag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netrating the back chamber of the base substrate upward and downward are formed i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first depress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판은 함몰부의 측벽에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는 경우 함몰부의 측벽 경사도가 상기 진동판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15°이상, 60°이하로, 측벽에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함몰부의 측벽 경사도가 상기 진동판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50°이상, 80°이하로 형성된다.Further,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slits ar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depression, the side wall inclination of the depression is not less than 15 degrees and not more than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aphragm, and a plurality of slits are not formed on the side walls The sidewall inclination of the depressed portion is formed to be not less than 50 degrees and not more than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aphragm.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음성전달장치 제조방법은, a) 베이스기판 표면에 절연 희생물질을 제1 온도에서 감압식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성장시켜 제1 희생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희생층 표면에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에서 감압식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성장시켜 제2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oice transmission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a) growing an insulating sacrificial material on a surface of a base substrate by a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at a first temperature to form a first sacrificial layer, Growing the first sacrificial layer by a pressure sensitive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at a second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to form a second sacrificial layer;

b) 상기 제2 희생층에 습식 식각하여 상기 제2 희생층으로부터 상기 제1 희생층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측벽을 포함하는 제1 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함몰부가 형성된 제2 희생층 표면에 멤브레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d) 상기 멤브레인층과 제2 희생층 일부를 건식 식각하는 단계와; e) 상기 멤브레인층의 중심부에 멤브레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식각된 부분에 바이어스 전압용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와;b) wet etching the second sacrificial layer to form a first depression including a sidewall that narrows from the second sacrificial layer to the first sacrificial layer; c) forming a membran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sacrificial layer on which the first depression is formed; d) dry-etching the membrane layer and a portion of the second sacrificial layer; e) forming a membrane electrode in the center of the membrane layer, and forming a pad for bias voltage in the portion etched in step d);

f) 상기 e) 단계에서 형성된 멤브레인층 표면에 절연 희생물질을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성장시켜 제3 희생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3 희생층의 중심부에 대향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g) 상기 f) 단계에서 형성된 제3 희생층에 습식 식각하여 상기 제3 희생층으로부터 상기 멤브레인층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측벽을 포함하는 제2 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와;f) forming a third sacrificial layer by growing an insulating sacrificial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layer formed in step e)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and forming a counter electrode at the center of the third sacrificial layer; g) wet etching the third sacrificial layer formed in step f) to form a second depression including a sidewall that narrows from the third sacrificial layer to the membrane layer;

h) 상기 g) 단계에서 형성된 제3 희생층의 제2 함몰부 저면 또는 상기 제2 함몰부 주변의 제3 희생층을 습식 식각하고, 실리콘 질화막을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증착하여 백플레이트 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i) 상기 h) 단계에서 형성된 백플레이트 막을 습식 식각하여 복수의 음향홀을 형성하는 단계와;h) wet etch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depression of the third sacrificial layer formed in the step g) or the third sacrificial layer around the second depression, and depositing a silicon nitride film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to form a backplate film Wow; i) wet-etching the backplate film formed in step h) to form a plurality of acoustic holes;

j) 상기 백플레이트 막과 제3 희생층 일부를 습식 식각하고, 상기 습식 식각된 부분에 출력 전압용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k) 상기 제1, 제2, 제3 희생층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이면을 습식 식각으로 제거하여, 상기 멤브레인층과 백플레이트 막 사이에 에어갭(Air Gap)을 형성하고, 베이스기판에 백 챔버(Back chamber)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j) wet-etching the backplate layer and a part of the third sacrificial layer, and forming a pad for an output voltage in the wet-etched portion; k) remov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sacrificial layers and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by wet etching to form an air gap between the membrane layer and the back plate membrane, And forming a back chamber.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음성전달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voice transmission apparatus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진동판에 형성되는 함몰부가 저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측벽을 구비하고, 함몰부의 측벽은 진동판이 진동할 때 베이스기판의 모서리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진동판의 진동효율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First, the sidewall of the depression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depression formed on the diaphragm does not contact the edge of the base substrate when the diaphragm vibrates, thereby improving the vibration efficiency and durability of the diaphragm. do.

둘째, 백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함몰부의 저면 또는 그 주변에 돌기부가 형성됨으로써, 진동판이 진동할 때 진동판의 멤브레인 전극과 백플레이트의 대향 전극이 비정상적으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백플레이트의 돌기부가 진동판을 누름으로써 진동판이 베이스기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직 진동을 유지해 준다.Second, since the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r the periphery of the depressed portion formed on the back pl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embrane electrode of the diaphragm and the counter electrode of the back plate from approaching abnormally when the diaphragm vibrates. Particularly, the protrusion of the back plate presses the diaphragm, thereby preventing the diaphragm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ase substrate and maintaining the vertical vibration.

셋째, 진동판에 형성되는 함몰부의 측벽에 복수의 슬릿이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진동판이 진동할 때 수직 방향으로의 신축성(Flexibility)을 높여 수직 진동을 개선하고, 음압의 배출 통로 역할을 하여 패킹 후 감도 개선이 가능하다. 특히 저주파 개선이 가능한 벤틸레이션(Ventilation)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irdly, since the plurality of slits ar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depression formed in the diaphragm, when the diaphragm is vibrated, the vertical vibration is improved by increasing the flexibil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ost- Improvement is possible. In particular, a ventilation effect capable of improving the low frequency can be obtained.

넷째, 진동판에 형성되는 함몰부의 저면에는 복수의 미세돌기가 형성됨으로써, 베이스기판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 진동판의 동작 중 누설 정전용량(또는 기생 캐퍼시턴스)을 감소시키고 평판 정전용량을 증가시킨다.Fourth, since a plurality of micro-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ion formed in the diaphragm,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base substrate is small, thereby reducing the leakage capacitance (or parasitic capacitance) during operation of the diaphragm and increasing the plate capacitance.

다섯째, 진동판의 함몰부의 저면에, 베이스기판의 표면과 0.1㎛ 이상, 10㎛ 이하의 높이로 이격되도록 지지부가 형성됨으로써,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진동판이 동작할 때 누설 정전용량(또는 기생 캐퍼시턴스)을 감소시키고 진동판의 유동성 및 진동효율을 개선한다.Fifth, since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ion of the diaphragm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by a height of 0.1 m or more and 10 m or less, the leakage capacitance (or parasitic capacitance) And improves the flowability and vibration efficiency of the diaphragm.

여섯째, 진동판의 함몰부의 측벽에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는 경우 함몰부의 측벽 경사도가 상기 진동판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15°이상, 60°이하로, 측벽에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함몰부의 측벽 경사도가 상기 진동판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50°이상, 80°이하로 형성됨으로써, 진동판의 동작 중 파손을 방지하고 수직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개선한다.Sixth,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slits ar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depression of the diaphragm, when the side wall inclination of the depression is not less than 15 degrees and not more than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aphragm, The inclination is formed to be not less than 50 degrees and not more than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aphragm, thereby preventing breakage during operation of the diaphragm and improving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일곱째, 진동판의 함몰부 주변부에 베이스기판의 백 챔버(Back chamber)와 상, 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됨으로써, 에어갭(Air Gap)에 축적된 공기 배출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다.Seventh, the air discharge accumulated in the air gap can be easily adjusted by form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assing through the back chamber of the base substrate up and down at the periphery of the depression of the diaphragm.

도 1a, 도 1b, 도 1c는 종래 콘덴서 마이크로폰(또는 멤스 마이크로폰)의 베이스기판과 진동판과 백플레이트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 콘덴서 마이크로폰(또는 멤스 마이크로폰)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전달장치에 포함된 콘덴서 마이크로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 도 8a, 및 도 8b는 도 3의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3과 다른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따른 콘덴서 마이크로폰의 진동판(110)을 위에서 바라본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A-A 선에 따른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콘덴서 마이크로폰의 진동판(110)을 위에서 바라본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B-B 선에 따른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콘덴서 마이크로폰의 진동판(110)을 위에서 바라본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14a의 X'-X' 선과 도 14b의 X"-Y" 선에 따른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콘덴서 마이크로폰의 진동판(110)을 위에서 바라본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도 16a의 X'-X' 선과 도 16b의 X"-Y" 선에 따른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s. 1A, 1B and 1C show a structure of a base board, a vibration plate and a back plate of a conventional condenser microphone (or MEMS microphone).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parasitic capacitance of a conventional condenser microphone (or a MEMS microphone).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ondenser microphone included in a voice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7, Figs. 8A and 8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condenser microphone of Fig.
FIGS. 9A and 9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condenser microphone, which is different from FIG. 3. FIG.
FIG. 10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top view of the diaphragm 110 of the condenser microphone according to FIG.
11A and 11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in FIG.
1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shape of a diaphragm 110 of another condenser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13A and 13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BB in FIG.
14A and 1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diaphragm 110 of another condenser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Figs. 15A and 1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X'-X 'in Fig. 14A and line X'-Y' in Fig. 14B.
16A and 1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hape of the diaphragm 110 of another condenser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Figs. 17A and 17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X'-X 'in Fig. 16A and line X "-Y" in Fig. 16B.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sen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에 따른 음성전달장치에 포함된 콘덴서 마이크로폰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로 관통된 하나의 백 챔버(Back chamber)(101)가 형성되는 베이스기판(100)과, 베이스기판(100)의 백 챔버(Back chamber)(101) 위에, 멤브레인 전극(112)을 구비하는 진동판(110)과, 진동판(110)의 멤브레인 전극(112)과 에어갭(Air Gap)을 사이로 마주하는 대향 전극(122)과 다수의 음향홀이 형성된 백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condenser microphone included in the voice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substrate 100 on which a back chamber 101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is formed, The diaphragm 110 having the membrane electrode 112 and the membrane electrode 112 of the diaphragm 110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an air gap therebetween on a back chamber 101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100, And an electrode 122 and a back plate 120 having a plurality of acoustic holes.

베이스기판(100)은 콘덴서 마이크로폰의 특성, 물성 및 공정 용이성, 제조원가를 모두 종합해서 판단해볼 때 실리콘 웨이퍼기판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플레이트(120)는 폴리실리콘 또는 실리콘 질화막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진동판(110)은 폴리실리콘이나 실리콘을 주성분으로 한 물질(예컨대, SiO2)로 구현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substrate 100 is implemented as a silicon wafer substrate when it is judged by taking all of the characteristics, physical properties, process easiness,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condenser microphone into consideration. The back plate 120 may be formed of a polysilicon or silicon nitride film. The diaphragm 110 may be formed of polysilicon or a material mainly composed of silicon (e.g., SiO2).

진동판(110)은 함몰부(110A')가 형성된다. 함몰부(110A')는 백 챔버(Back chamber)(101)를 제외한 베이스기판의 나머지 영역과 마주하는 진동판(110) 부분에 형성된다. 진동판(110)의 함몰부(110A')는 멤브레인 전극(112)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는 측벽(1110A')을 포함한다. 함몰부(110A')의 측벽 경사도는 진동판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15°이상, 60°이하로 구현된다.The diaphragm 110 is formed with a depression 110A '. The depressed portion 110A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diaphragm 110 that faces the remaining region of the base substrate except for the back chamber 101. The depression 110A 'of the diaphragm 110 includes a side wall 1110A' that becomes narrower in wid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rane electrode 112. The inclination of the sidewall of the depression 110A 'is realized by not less than 15 degrees and not more than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aphragm.

진동판(1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몰부(110A')의 측벽(1110A')은 진동판이 진동할 때 베이스기판(100)의 모서리(A1)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함몰부(110A')의 측벽(1110A')에는 복수의 슬릿(113)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릿(113)은 진동판(110)이 진동할 때 수직 방향으로의 신축성(Flexibility)을 높여 줌으로써 수직 진동을 개선하고, 음압의 배출 통로 역할을 하여 패킹 후 감도 개선을 가능하게 해준다. The diaphragm 110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side wall 1110A 'of the depression 110A' does not contact the edge A1 of the base substrate 100 when the diaphragm vibrates,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slits 113 may be formed in the side wall 1110A 'of the depression 110A'. The plurality of slits 113 improves vertical flexibility when the diaphragm 110 is vibrated, thereby improving the vertical vibration and improving the post-packing sensitivity by acting as a discharge passage for negative pressure.

진동판(110)의 함몰부(110A')의 저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10A')의 저면에는 지지부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미세돌기(110B')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가 복수의 미세돌기(110B')로 구현됨으로써, 베이스기판(100)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 진동판의 동작 중 누설 정전용량(또는 기생 캐퍼시턴스)을 감소시키고 평판 정전용량을 증가시킨다.A support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ion 110A 'of the diaphragm 110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110B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ion 110A', as shown in FIG. Since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of a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110B ',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base substrate 100 is small, thereby reducing the leakage capacitance (or parasitic capacitance) during operation of the diaphragm and increasing the plate capacitance.

백플레이트(120)는 진동판(110)의 함몰부(110A')와 마주하는 부분에 대향 전극(122)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는 측벽을 구비한 함몰부(120A')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120)의 함몰부(120A')의 저면에는 에어갭(Air Gap)의 폭보다 짧은 길이로 돌출부(120B')가 형성될 수 있다. The back plate 120 is provided with a depressed portion having a side wall that becomes narrower as the length is exten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nter electrode 122 at a portion of the diaphragm 110 facing the depressed portion 110A ' 120A 'are formed. As shown in FIG. 3, a protrusion 120B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ed portion 120A' of the back plate 120 to have a length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air gap.

백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함몰부(120A')에 돌출부(120B')가 형성됨으로써, 진동판(110)이 진동할 때 진동판(110)의 멤브레인 전극(112)과 백플레이트(120)의 대향 전극(122)이 비정상적으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백플레이트(120)의 돌출부(120B')가 진동판(110)을 누름으로써 진동판(110)이 베이스기판(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직 진동을 유지해 준다.The protrusion 120B 'is formed in the depression 120A' formed in the back plate 120 so that the membrane electrode 112 of the diaphragm 110 is opposed to the back plate 120 of the diaphragm 110 when the diaphragm 110 vibrat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ode 122 from approaching abnormally. Particularly, the protrusion 120B 'of the back plate 120 presses the diaphragm 110 to prevent the diaphragm 110 from escaping from the base substrate 100 and to maintain the vertical vibration.

도 4 내지 도 7, 도 8a, 및 도 8b는 도 3의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s. 4 to 7, Figs. 8A and 8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condenser microphone of Fig.

먼저 도 4에서, 베이스기판(100) 표면에 절연 희생물질을 제1 온도(예컨대, 400도)에서 감압식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성장시켜 제1 희생층(130)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희생층(130) 표면에 상기 제1 온도(예컨대, 400도)보다 높은 제2 온도(예컨대, 800도)에서 감압식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성장시켜 제2 희생층(140)을 형성한다. 4, a first sacrificial layer 130 is formed by growing an insulating sacrificial material on the surface of a base substrate 100 by a pressure sensitive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at a first temperature (for example, 400 degrees) 130 to form a second sacrificial layer 140 by a CVD method at a second temperature (e.g., 800 degrees)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e.g., 400 degrees).

도 5에서, 제2 희생층(140)에 습식 식각하여 상기 제2 희생층(140)으로부터 상기 제1 희생층(130)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측벽을 포함하는 제1 함몰부(110A)를 형성한다. 일례로, 제1 함몰부(110A)의 저면으로부터 베이스기판(100)의 표면까지 습식 식각하여 하나의 지지홈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5에서, 제1 함몰부(110A)의 저면으로부터 베이스기판(100)의 표면까지 선택적으로 노광 패터링 및 건식식각하여 복수의 지지홈(110B)을 형성할 수 있다.5, the first depressed portion 110A including the sidewalls narrowed in width from the second sacrificial layer 140 to the first sacrificial layer 130 is wet-etched into the second sacrificial layer 140, . For example, one support groove can be formed by wet-etch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depression 110A to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100. In another example, in FIG. 5,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110B may be formed by selectively patterning and dry etch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depression 110A to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100. [

도 6에서, 제1 함몰부(110A)가 형성된 제2 희생층(140) 표면에 멤브레인층(110)을 형성한다. 멤브레인층(110)에는 제2 희생층(140)에 형성된 제1 함몰부(110A)에 대응하는 함몰부(110A')가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지지홈(110B)에 대응하는 복수의 미세돌기(110B')가 형성될 수 있다.6, the membrane layer 11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sacrificial layer 140 where the first depression 110A is formed. A depression 110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pression 110A formed in the second sacrificial layer 140 is formed in the membrane layer 110. [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110B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110B can be formed.

도 7를 참고하면, 멤브레인층(110)의 중심부에 멤브레인 전극(112)을 형성한다. 멤브레인층(110)과 제2 희생층(140) 일부를 건식 식각하고, 바이어스 전압용 패드(114)를 선택적 패터닝에 의해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7, a membrane electrode 11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embrane layer 110. The membrane layer 110 and a part of the second sacrificial layer 140 are dry-etched, and a pad 114 for a bias voltage is formed by selective patterning.

이하,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백플레이트 막과 에어캡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forming the back plate film and the air ca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and 8B.

먼저, 도 8a에서 도 7와 같이 형성된 멤브레인층(110) 표면에 절연 희생물질을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성장시켜 제3 희생층(150)을 형성하고, 상기 제3 희생층(150)의 중심부에 대향전극(122)을 형성한다. 8A, a third sacrificial layer 150 is formed by growing an insulating sacrificial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layer 110 formed as shown in FIG. 7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and a third sacrificial layer 150 is formed on the center of the third sacrificial layer 150, Electrode 122 is formed.

이후, 제3 희생층(150)에 습식 식각하여 상기 제3 희생층(150)으로부터 멤브레인층(110)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측벽을 포함하는 제2 함몰부를 형성하고, 형성된 제3 희생층(150)의 제2 함몰부 저면을 습식 식각하고, 실리콘 질화막을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증착하여 백플레이트 막(120)을 형성한다. 백플레이트 막(120)에는 제3 희생층(150)에 형성된 제2 함몰부에 대응하는 함몰부(120A')가 형성된다. 또한, 제2 함몰부 저면을 습식 식각한 부분에는 돌출부(120B')가 형성된다.Then, the third sacrificial layer 150 is wet-etched to form a second depression including side walls narrowing from the third sacrificial layer 150 toward the membrane layer 110, and a third sacrificial layer 150 are wet-etched, and a silicon nitride film is deposited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to form a backplate film 120. The depression 120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pression formed in the third sacrificial layer 150 is formed in the backplate 120. [ In addition, a protrusion 120B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depression is wet-etched.

도 8a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대향전극(122)을 포함한 백플레이트 막(120)에는 선택적 패터닝에 의해 복수의 음향홀이 형성된다. 백플레이트 막(120)과 제3 희생층(150) 일부를 습식 식각하고, 상기 습식 식각된 부분에 출력 전압용 패드(115)를 형성한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8A, a plurality of acoustic holes are formed in the backplate film 120 including the counter electrode 122 by selective patterning. A part of the backplate 120 and the third sacrificial layer 150 are wet-etched and a pad 115 for an output voltage is formed on the wet-etched portion.

도 8b에서, 제1, 제2, 제3 희생층(130, 140, 150)과 베이스기판(100)의 이면을 습식 식각으로 제거하여, 멤브레인층(110)과 백플레이트 막(120) 사이에 에어갭(Air Gap)을 형성하고, 베이스기판(100)에 백 챔버(Back chamber)(101)를 형성한다.8B, the back surfac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acrificial layers 130, 140, and 150 and the base substrate 100 are removed by wet etching to form a gap between the membrane layer 110 and the backplate membrane 120 An air gap is formed, and a back chamber 101 is formed on the base substrate 100.

도 9a, 및 도 9b는 도 3과 다른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7의 과정은 동일하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멤브레인층(110)의 중심부에 멤브레인 전극(112)을 형성하고, 멤브레인층(110)과 제2 희생층(140) 일부를 건식 식각하고, 식각된 부분에 바이어스 전압용 패드(114)를 형성한 과정은 동일하다.FIGS. 9A and 9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condenser microphone, which is different from FIG. 3. FIG. Here, the processes of FIGS. 4 to 7 are the same. 7, a membrane electrode 11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embrane layer 110, a part of the membrane layer 110 and a part of the second sacrificial layer 140 are dry-etched, a bias is applied to the etched part, The process for forming the voltage pad 114 is the same.

이하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9a에서 멤브레인층(110) 표면에 절연 희생물질을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성장시켜 제3 희생층(150)을 형성하고, 상기 제3 희생층(150)의 중심부에 대향전극(122)을 형성한다.9A, a third sacrificial layer 150 is formed by growing an insulating sacrificial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layer 110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and the third sacrificial layer 150 The counter electrode 122 is formed.

이후, 제3 희생층(150)에 습식 식각하여 상기 제3 희생층(150)으로부터 멤브레인층(110)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측벽을 포함하는 제2 함몰부를 형성하고, 형성된 제3 희생층(150)의 제2 함몰부 주변을 습식 식각하고, 실리콘 질화막을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증착하여 백플레이트 막(120)을 형성한다. 백플레이트 막(120)에는 제3 희생층(150)에 형성된 제2 함몰부에 대응하는 함몰부(120A')가 형성된다. 또한, 제2 함몰부 주변을 습식 식각한 부분에는 돌출부(120B')가 형성된다.Then, the third sacrificial layer 150 is wet-etched to form a second depression including side walls narrowing from the third sacrificial layer 150 toward the membrane layer 110, and a third sacrificial layer 150 are wet-etched, and a silicon nitride film is deposited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to form a backplate film 120. The depression 120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pression formed in the third sacrificial layer 150 is formed in the backplate 120. [ In addition, a protrusion 120B 'is formed in a portion wet-etched around the second depression.

도 9a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대향전극(122)을 포함한 백플레이트 막(120)에는 선택적 패터닝에 의해 복수의 음향홀이 형성된다. 백플레이트 막(120)과 제3 희생층(150) 일부를 습식 식각하고, 상기 습식 식각된 부분에 출력 전압용 패드(115)를 형성한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9A, a plurality of acoustic holes are formed in the backplate film 120 including the counter electrode 122 by selective patterning. A part of the backplate 120 and the third sacrificial layer 150 are wet-etched and a pad 115 for an output voltage is formed on the wet-etched portion.

도 9b에서, 제1, 제2, 제3 희생층(130, 140, 150)과 베이스기판(100)의 이면을 습식 식각으로 제거하여, 멤브레인층(110)과 백플레이트 막(120) 사이에 에어갭(Air Gap)을 형성하고, 베이스기판(100)에 백 챔버(Back chamber)(101)를 형성한다.9B, the back surfac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acrificial layers 130, 140, and 150 and the base substrate 100 are removed by wet etching to form a gap between the membrane layer 110 and the backplate membrane 120 An air gap is formed, and a back chamber 101 is formed on the base substrate 100.

도 10은 도 3에 따른 콘덴서 마이크로폰의 진동판(110)을 위에서 바라본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A-A 선에 따른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 10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top view of the diaphragm 110 of the condenser microphone according to FIG. 3, and FIGS. 11a and 11b are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판(110)의 함몰부의 측벽(1110A')은 위에서 바라볼 때 하나의 띠 형태로 구현된다. 진동판(110)의 함몰부의 측벽(1110A')에는 개구부 구조를 갖는 복수의 슬릿(113)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슬릿(113)은 직선형 슬릿(113A)과 굴절형 슬릿(113B)이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다. 굴절형 슬릿(113B)은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와 연결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와 연결되는 제2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와 연결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된다. 진동판(110)에 형성되는 함몰부의 측벽(1110A')에 복수의 슬릿(113)이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진동판(110)이 진동할 때 수직 방향으로의 신축성(Flexibility)을 높여 수직 진동을 개선하고, 음압의 배출 통로 역할을 하여 패킹 후 감도 개선이 가능하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ide wall 1110A 'of the depression of the diaphragm 110 is formed in a single band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A plurality of slits 113 having an opening structure are formed on the side wall 1110A 'of the depression of the diaphragm 1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lits 113 are formed such that the linear slit 113A and the refractive slit 113B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refraction type slit 113B includes a first straight portion, a first ben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traight portion, a second ben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bent portion, and a second straight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bent portion. Section. A plurality of slits 113 are formed on the side wall 1110A 'of the depression formed in the diaphragm 110 so as to improve the vertical flexibility when the diaphragm 110 vibrates to improve the vertical vibration , It serves as a discharge path of sound pressur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nsitivity after packing.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몰부의 저면에 복수의 미세돌기(111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미세돌기(111B')는 베이스기판(100)의 표면과 0.1㎛ 이상, 10㎛ 이하의 높이(111B")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A, a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111B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ed portion. As shown in FIG. 11B, the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111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100 by a height of not less than 0.1 μm and not more than 10 μm.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판(110)에 형성되는 함몰부의 바닥면(1100D') 역시 위에서 바라볼 때 하나의 띠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함몰부의 바닥면(1100D')에는 복수의 미세돌기(111B')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진동판(110)에 형성된 멤브레인 전극(112)은 바이어스 전압용 패드(1140)와 컨넥터(114A)로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10, the bottom surface 1100D 'of the depression formed in the diaphragm 110 can also be realized as a single band when viewed from above. A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111B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100D' of the dimple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membrane electrode 112 formed on the diaphragm 110 is connected to the pad 1140 for bias voltage and the connector 114A.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콘덴서 마이크로폰의 진동판(110)을 위에서 바라본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B-B 선에 따른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1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top view of a diaphragm 110 of another condenser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3A and 13B are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a line B-B in FIG.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판(110)의 함몰부의 측벽(1110A')과 함몰부의 바닥면(1100D')은 위에서 바라볼 때 하나의 띠 형태로 구현된다. 함몰부(110A')의 측벽 경사도는 진동판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15°이상, 60°이하로 구현된다.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몰부의 바닥면(1100D')에는 아래로 연장되는 지지부(111C')가 형성된다. 지지부(111C') 역시 위에서 바라볼 때 하나의 띠 형태로 구현된다. 진동판(110)에 형성된 멤브레인 전극(112)은 바이어스 전압용 패드(1140)와 컨넥터(114A)로 연결된다.As shown in FIG. 12, the side wall 1110A 'of the depression of the diaphragm 110 and the bottom surface 1100D' of the depression are realized as one band when viewed from above. The inclination of the sidewall of the depression 110A 'is realized in the range of 15 ° to 60 °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aphragm. As shown in FIGS. 13A and 13B, the bottom surface 1100D' An extending supporting portion 111C 'is formed. The support 111C 'is also implemented as a single band when viewed from above. The membrane electrode 112 formed on the diaphragm 110 is connected to the pad 1140 for bias voltage and the connector 114A.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하 바와 같이, 진동판(110)의 함몰부의 측벽(1110A')에는 개구부 구조를 갖는 복수의 슬릿(113)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슬릿(113)은 직선형 슬릿(113A)과 굴절형 슬릿(113B)이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다. 굴절형 슬릿(113B)은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와 연결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와 연결되는 제2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와 연결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된다. 13A and 13B, a plurality of slits 113 having an opening structure are formed on the side wall 1110A 'of the depression of the diaphragm 1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lits 113 are formed such that the linear slit 113A and the refractive slit 113B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refraction type slit 113B includes a first straight portion, a first ben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traight portion, a second ben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bent portion, and a second straight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bent portion. Section.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몰부의 저면에 지지부(111C')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111C')는 베이스기판(100)의 표면과 0.1㎛ 이상, 10㎛ 이하의 높이(111B")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A, a supporting portion 111C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ed portion. 13B, the support portion 111C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100 by a height of not less than 0.1 mu m and not more than 10 mu m height 111B ".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콘덴서 마이크로폰의 진동판(110)을 위에서 바라본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5a, 및 도 15b는 도 14a의 X'-X' 선과 도 14b의 X"-Y" 선에 따른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4A and 1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top view of the diaphragm 110 of another condenser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15A and 1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X'-X 'line of FIG. 14A and FIG.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 "-Y ".

도 14a, 도 14b,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동판(110)의 함몰부의 측벽(1110A')에는 슬릿이 없고, 함몰부의 저면에 복수의 미세돌기(110B')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14A, 14B, 15A, and 15B, a slit is not formed in the side wall 1110A 'of the depression of the diaphragm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urality of microprojections 110B' .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111C')는 진동판(110)의 함몰부의 바닥면(1100D')에, 베이스기판(100)의 표면과 0.1㎛ 이상, 10㎛ 이하의 높이(111B")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15B, the supporting portion 111C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100D' of the depression of the diaphragm 110 so as to have a height of not less than 0.1 mu m and not more than 10 mu m in height 111B " As shown in FIG.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콘덴서 마이크로폰의 진동판(110)을 위에서 바라본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7a, 및 도 17b는 도 16a의 X'-X' 선과 도 16b의 X"-Y" 선에 따른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S. 16A and 16B are views for explaining a top view of the diaphragm 110 of another condenser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7A and 17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X'-X 'line of FIG. 16A and FIG.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 "-Y ".

도 16a, 도 16b,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동판(110)의 함몰부의 측벽(1110A')에는 슬릿이 없고, 함몰부(110A')의 주변에 베이스기판(100)의 백 챔버(Back chamber)(101)와 상, 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1130)이 형성된다. 진동판(110)의 함몰부 주변부에 베이스기판(100)의 백 챔버(101)와 상, 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1130)이 형성됨으로써, 에어갭(Air Gap)에 축적된 공기 배출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다.16A, 16B, 17A and 17B, there is no slit in the side wall 1110A 'of the depression of the diaphragm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lit i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depression 110A'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30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are formed in a back chamber 101 of the backlight unit 100.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30 are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depression of the diaphragm 110 so as to penetrate the back chamber 101 of the base substrate 100 upwardly and downwardly so as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air accumulated in the air gap .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판(110)의 함몰부(110A')의 바닥면(1100D')은, 베이스기판(100)의 표면과 0.1㎛ 이상, 10㎛ 이하의 높이(111B")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17B, the bottom surface 1100D 'of the depressed portion 110A' of the diaphragm 110 has a height of not less than 0.1 mu m and not more than 10 mu m in height 111B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100 May be spaced apart.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 베이스기판
101 : 백 챔버(back chamber)
110 : 진동판
112 : 멤브레인 전극
120 : 백플레이트(Back Plate)
122 : 대향 전극
130A, 130B, 130, 140: 희생층
Cp1, Cp2 : 기생 캐패시턴스 (Parasitic Capacitance)
Cmic : 대향전극간 정전용량
110A': 함몰부
110B', 111B' : 미세돌기
111B": 이격거리
111C': 지지부
120A': 백플레이트의 함몰부
120B': 돌출부
113: 슬릿(slit)
113A : 직선형 슬릿(slit)
113B : 굴절형 슬릿(slit)
1130 : 배출홀(또는 관통홀)
114, 1140: 바이어스 전압용 패드
114A: 커넥터
115: 출력전압용 패드
160: 에어갭
100: Base substrate
101: back chamber
110: diaphragm
112: membrane electrode
120: Back Plate
122: opposing electrode
130A, 130B, 130, 140: sacrificial layer
Cp1, Cp2: Parasitic Capacitance
Cmic: Capacitance between opposing electrodes
110A ': Depression
110B ', 111B': micro-projections
111B ": separation distance
111C ': Support
120A ': a depression of the back plate
120B ': protrusion
113: slit
113A: Straight slit
113B: refraction type slit
1130: discharge hole (or through hole)
114, 1140: Pads for bias voltage
114A: Connector
115: Pad for output voltage
160: air gap

Claims (20)

상, 하로 관통된 하나의 백 챔버(Back chamber)가 형성되는 베이스기판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백 챔버(Back chamber) 위에 멤브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멤브레인 전극과 에어갭(Air Gap)을 사이로 마주하는 대향 전극과 다수의 음향홀이 형성된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음향전달장치로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백 챔버(Back chamber)를 제외한 베이스기판의 나머지 영역과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멤브레인 전극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는 측벽을 구비한 제1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함몰부의 측벽은 상기 진동판이 진동할 때 상기 베이스기판의 모서리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진동판의 제1 함몰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대향 전극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는 측벽을 구비한 제2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함몰부의 저면에 또는 상기 제2 함몰부의 주변에 상기 대향 전극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에어갭(Air Gap)의 폭보다 짧은 길이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전달장치.
A base substrate on which a back chamber is formed; A diaphragm having a membrane electrode on a back chamber of the base substrate; An acoustic transducer including an opposite electrode facing the membrane electrode of the diaphragm and an air gap, and a back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acoustic holes,
The diaphragm includes:
A first depressed portion having a side wall narrower in wid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rane electrode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base substrate other than the back chamber,
A side wall of the first depression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diaphragm does not contact the edge of the base substrate when the diaphragm vibrates,
The back plate includes:
A second depressed portion having a side wall narrower in wid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nter electrode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diaphragm facing the first depressed portion,
Wherein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depressed portion or around the second depressed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nter electrode to a length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air gap,
And an acoustic transducer.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1 함몰부의 측벽 경사도는 상기 진동판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50°이상, 80°이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전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ide wall inclination of the first depressed portion is not less than 50 degrees and not more than 80 degrees with respect to a vertical direction of the diaphragm,
And an acoustic transducer.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제1 함몰부는 위에서 바라볼 때 하나의 띠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제1 함몰부의 측벽에는 복수의 슬릿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전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epression of the diaphragm is embodied as a single band when viewed from above,
A plurality of slits ar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first depression,
And an acoustic transducer.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제1 함몰부의 측벽 경사도는 상기 진동판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15°이상, 60°이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ide wall inclination of the first depressed portion is not less than 15 degrees and not more than 60 degrees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aphragm,
And an acoustic transducer.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릿은,
직선형 슬릿과 굴절형 슬릿이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며,
상기 굴절형 슬릿은,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와 연결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와 연결되는 제2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와 연결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lurality of slits may include a plurality of slits,
The linear slit and the refracting slit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refractive slit
A first linear portion, a first ben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traight portion, a second ben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bend portion, and a second straight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bend portion,
And an acoustic transduc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제1 함몰부의 저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전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diaphragm includes:
A support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depressed portion,
And an acoustic transducer.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upport portion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ar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 acoustic transducer.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미세돌기군이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upport portion
A plurality of groups of fine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 acoustic transducer.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기판의 표면과 0.1㎛ 이상, 10㎛ 이하의 높이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upport portion
The substrat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by a height of not less than 0.1 μm and not more than 10 μm,
And an acoustic transducer.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복수의 제1 함몰부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전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aphragm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depressed portions being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 acoustic transducer.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제1 함몰부의 저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diaphragm includes:
A support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depressed portion,
And an acoustic transducer.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support portion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ar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 acoustic transducer.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미세돌기군이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support portion
A plurality of groups of fine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 acoustic transducer.
청구항 1, 2, 3, 4, 5 또는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베이스기판의 백 챔버(Back chamber)와 상, 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상기 제1 함몰부 주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전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3, 4, 5 or 10,
The diaphragm includes:
W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assing through the back chamber of the base substrate are formed in a peripheral portion of the first depression.
a) 베이스기판(100) 표면에 절연 희생물질을 제1 온도에서 감압식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성장시켜 제1 희생층(130)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희생층(130) 표면에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에서 감압식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성장시켜 제2 희생층(140)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2 희생층(140)에 습식 식각하여 상기 제2 희생층(140)으로부터 상기 제1 희생층(130)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측벽을 포함하는 제1 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1 함몰부가 형성된 제2 희생층(140) 표면에 멤브레인층(110)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멤브레인층(110)과 제2 희생층(140) 일부를 건식 식각하는 단계;
e) 상기 멤브레인층(110)의 중심부에 멤브레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식각된 부분에 바이어스 전압용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에서 형성된 멤브레인층(110) 표면에 절연 희생물질을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성장시켜 제3 희생층(150)을 형성하고, 상기 제3 희생층(150)의 중심부에 대향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에서 형성된 제3 희생층(150)에 습식 식각하여 상기 제3 희생층(150)으로부터 상기 멤브레인층(110)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측벽을 포함하는 제2 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
h) 상기 g) 단계에서 형성된 제3 희생층(150)의 제2 함몰부 저면 또는 상기 제2 함몰부 주변의 제3 희생층(150)을 습식 식각하고, 실리콘 질화막을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증착하여 백플레이트 막(120)을 형성하는 단계;
i) 상기 h) 단계에서 형성된 백플레이트 막(120)을 습식 식각하여 복수의 음향홀을 형성하는 단계;
j) 상기 백플레이트 막(120)과 제3 희생층(150) 일부를 습식 식각하고, 상기 습식 식각된 부분에 출력 전압용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
k) 상기 제1, 제2, 제3 희생층(130, 140, 150)과 상기 베이스기판(100)의 이면을 습식 식각으로 제거하여, 상기 멤브레인층(110)과 백플레이트 막(120) 사이에 에어갭(Air Gap)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기판(100)에 백 챔버(Back chamber)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향전달장치 제조방법.
a first sacrificial layer 130 is formed by growing an insulating sacrificial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100 at a first temperature by a depressurization type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and forming a first sacrificial layer 130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acrificial layer 130, Growing a second sacrificial layer (140) by a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at a second high temperature;
b) wet-etching the second sacrificial layer 140 to form a first depression including a sidewall narrower from the second sacrificial layer 140 toward the first sacrificial layer 130;
c) forming a membrane layer 110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sacrificial layer 140 having the first depression;
d) dry-etching the membrane layer (110) and a portion of the second sacrificial layer (140);
e) forming a membrane electrode at the center of the membrane layer (110), and forming a pad for bias voltage at the portion etched in step d);
f) forming an insulating sacrificial layer on the surface of the membrane layer 110 formed in step e)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to form a third sacrificial layer 150, and forming an opposite electrode on the center of the third sacrificial layer 150 ;
g) wet etching the third sacrificial layer 150 formed in step f) to form a second depression including a sidewall narrower from the third sacrificial layer 150 toward the membrane layer 110 step;
h) wet etch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depression of the third sacrificial layer 150 formed in the step g) or the third sacrificial layer 150 around the second depression, depositing a silicon nitride film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Forming a backplate membrane (120);
i) wet-etching the backplate membrane 120 formed in step h) to form a plurality of acoustic holes;
j) wet-etching the backplate 120 and a portion of the third sacrificial layer 150 to form a pad for the output voltage in the wet etched portion;
k) remov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sacrificial layers 130, 140, and 150 and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100 by wet etching to form a gap between the membrane layer 110 and the back plate membrane 120 Forming an air gap in the base substrate 100 and forming a back chamber in the base substrate 100;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coustic transduc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청구항 15 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함몰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기판의 표면까지 습식 식각하여 하나의 지지홈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향전달장치 제조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Forming a support groove in the step b) by wet-etch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depression to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청구항 15 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함몰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기판의 표면까지 선택적으로 노광 패터링 및 건식식각하여 복수의 지지홈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향전달장치 제조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Forming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by selectively patterning and dry etch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depression to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in step b);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함몰부의 측벽에 형성된 멤브레인층을 상기 제2 희생층(140)이 노출되도록 제거하여 복수의 슬릿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향전달장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17,
Removing the membrane layer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first depression to expose the second sacrificial layer 140 to form a plurality of slits;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청구항 18 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릿은,
직선형 슬릿과 굴절형 슬릿이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며,
상기 굴절형 슬릿은,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와 연결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와 연결되는 제2 절곡부, 및 상기 제2 절곡부와 연결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전달장치 제조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plurality of slits may include a plurality of slits,
The linear slit and the refracting slit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refractive slit
A first linear portion, a first ben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traight portion, a second ben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bend portion, and a second straight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bend portion,
Wherein the sound transmission device comprises: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멤브레인층에 상기 제2 희생층(140)이 노출되도록 제거하여 복수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향전달장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17,
In the step c), the second sacrificial layer 140 is exposed to the membrane layer to form a plurality of groov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170071798A 2017-06-08 2017-06-08 Sound trans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352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798A KR102035242B1 (en) 2017-06-08 2017-06-08 Sound trans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798A KR102035242B1 (en) 2017-06-08 2017-06-08 Sound trans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164A Division KR101816253B1 (en) 2016-12-06 2016-12-06 Voice trans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960A true KR20180064960A (en) 2018-06-15
KR102035242B1 KR102035242B1 (en) 2019-10-22

Family

ID=6262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798A KR102035242B1 (en) 2017-06-08 2017-06-08 Sound trans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24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849B1 (en) * 2018-11-30 2020-03-20 (주)다빛센스 Condensor micropho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9416A (en) * 2008-10-28 2010-05-13 Yamaha Corp Pressure transduc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753099A1 (en) * 2011-08-30 2014-07-09 Omron Corporation Acoustic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578542B1 (en) * 2014-11-04 2015-12-18 주식회사 평화이엔지 Method of Manufacturing Microphone
KR20160127212A (en) 2015-04-23 2016-11-03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MEMS micropho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9416A (en) * 2008-10-28 2010-05-13 Yamaha Corp Pressure transduc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753099A1 (en) * 2011-08-30 2014-07-09 Omron Corporation Acoustic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578542B1 (en) * 2014-11-04 2015-12-18 주식회사 평화이엔지 Method of Manufacturing Microphone
KR20160127212A (en) 2015-04-23 2016-11-03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MEMS micropho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849B1 (en) * 2018-11-30 2020-03-20 (주)다빛센스 Condensor micropho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242B1 (en)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9701B1 (en) Raised microstructures
KR10157854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icrophone
KR101887537B1 (en) Acoustic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20091546A1 (en) Microphone
US20150041930A1 (en) Acoustic transducer
KR20080034407A (en) Electrostatic pressure transduc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080087172A (en) Condenser microphone
JP2009060600A (en) Condenser microphone
KR20150061341A (en) Microphone
KR102359922B1 (en) Micro pho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76752B1 (en) Microphone
KR102488122B1 (en) MEMS micropho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033091A (en) Vibration transduc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091854B1 (en) Condensor micropho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16253B1 (en) Voice trans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35242B1 (en) Sound trans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30239641A1 (en) Method of making mems microphone with an anchor
KR20150018081A (en) Acoustic Transducer
JP5258908B2 (en) Monolithic capacitive transducer
KR100765149B1 (en) Micro acoustic sens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thereof
US11665485B2 (en)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acoustic sensor,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packag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16649988U (en) MEMS microphone
US20210314718A1 (en) Process of fabricating lateral mode capacitive microphone including a capacitor plate with sandwich structure
KR101700571B1 (en) MEMS microphone
US20210331912A1 (en) Multiple layer electrode transduc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