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934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표면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표면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934A
KR20180064934A KR1020160165400A KR20160165400A KR20180064934A KR 20180064934 A KR20180064934 A KR 20180064934A KR 1020160165400 A KR1020160165400 A KR 1020160165400A KR 20160165400 A KR20160165400 A KR 20160165400A KR 20180064934 A KR20180064934 A KR 20180064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clock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g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민
고광은
김강식
김동섭
김영산
김원민
반영현
송민우
정충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5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4934A/ko
Priority to US16/466,089 priority patent/US11231763B2/en
Priority to PCT/KR2017/014248 priority patent/WO2018106022A2/ko
Publication of KR20180064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6Cooling means comprising thermal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08Clock generators with changeable or programmable clock frequ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clock frequ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02D10/1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표면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한 그래픽 요소들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제1 기간 동안, 상기 표시된 그래픽 요소들의 그래픽 성능에 대응하는 제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하기 위한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하고,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획득한 제1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클럭 제어 수준에 상응하는 클럭 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클럭 값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표면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RFACE HEAT IN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표면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도에 따라 성능을 제어하는 방식과 온도와는 무관하게 CPU 로드(load)에 따라 성능을 제어하는 방식이 있다. 여기서, 온도에 따라 성능을 제어하는 방식의 경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관리하면서 리스트 내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표면 온도를 예측하는 내부 온도 측정기(Thermistor)로부터 센싱된 온도값을 기반으로 설정된 온도 도달 시 동작 주파수(CLK) 등의 성능을 특정 값으로 변경하는 방식이다. 또한, CPU 로드에 따라 성능을 제어하는 방식의 경우, CPU 로드를 관측하고 로드가 많을 경우 동작 주파수를 높이고 로드가 적을 경우 동작 주파수를 낮추는 방식이다.
종래에는 온도를 기반으로 프로세서의 주파수 등을 변경하는 방식의 경우, 온도에 따라 개발 시 설정된 특정 값으로 고정 변경하는 방식으로 발열 상황이나 성능 상황에 대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표면 발열이 예상되고 성능적 부분에 여유가 있어 추가 제어가 가능한 상황이지만 프로세서의 주파수가 온도에 따라 고정된 값이기 때문에 추가 제어가 불가능하다. 이로써 표면온도가 좀 더 완만히 상승하거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을 취할 수 없으며, 온도에 따라 고정된 주파수사용으로 체감 성능부분이 고려되지 않는다. CPU의 로드(load) 수준에 따라 주파수 수준을 조절하는 방식은 로드의 수준만 고려되었을 뿐, 표면 발열 성능이 고려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그래픽 요소가 많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그래픽 체감 성능을 표현할 수 있는 정보 및 전력 소모량에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발생이 예상되는 표면 발열이 발생하기 전에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성능을 제어하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표면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진술한 과제 또는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한 그래픽 요소들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제1 기간 동안, 상기 표시된 그래픽 요소들의 그래픽 성능에 대응하는 제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하기 위한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하고,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획득한 제1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클럭 제어 수준에 상응하는 클럭 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클럭 값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표면 발열 제어를 위한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한 그래픽 요소들을 표시하는 동작, 제1 기간 동안, 상기 표시된 그래픽 요소들의 그래픽 성능에 대응하는 제1 정보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하기 위한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획득한 제1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클럭 제어 수준에 상응하는 클럭 값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클럭 값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표면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전자 장치의 화면이 표시될 때, 화면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성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사용시간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준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기준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101)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0)는 구성요소들(110-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1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면, 커널(141), 미들웨어(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1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41), 미들웨어(143), 또는 API(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1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41)은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서 전자 장치(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3)는, 예를 들면,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이 커널(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API(145)는 어플리케이션(147)이 커널(141) 또는 미들웨어(1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102),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라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2)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104), 또는 서버(1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그래픽 요소가 많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표면 발열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그래픽 요소들에 의한 사용자의 시각적 체감 성능 및 전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소모되는 전력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시각적 체감 성능에 관련된 정보(제1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요소들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동작에 관련된 정보들로서, GPU 클럭, CPU 클럭, FPS 및 GPU 사용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모되는 전력에 관련된 정보(제2 정보)는 전자 장치의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한 값 즉, 전류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디스플레이(230), 전력 관리(240) 및 배터리(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00)의 상기 프로세서(210)(예를 들어, 도 1의 프로세서(120)와 동일 또는 유사)는 상기 프로세서(210)는 CPU(211), GPU(213) 및 클럭 발생부(2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0)의 동작에 따른 정보,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의 실행에 따른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CPU(211)는 전자 장치(200)의 메인 프로세서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모듈(310) 및 제어 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모듈(310)은 CPU 클럭(CLK)(311), GPU 클럭(313), 초당 프레임 수(FPS: frames per second)(315) 및 전력 소모량(317) 등을 모니터링하여, 제1 정보(예, 체감 성능을 표현하는 정보)와 제2 정보(예, 발열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모듈(310)은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한 정보들을 레지스터에 임시 저장하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대상 여부를 판단 시에 모니터링된 정보들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모듈(310)은 제어 모듈(23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모니터링 시간(Mtime) 동안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320)은 모니터링 시간 동안 수집된 각각의 정보들을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각 정보들의 평균값을 메모리(2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체감 성능은 FPS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당 프레임(FPS)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화면에 출력되면, 프레임률(Frame rate)이 높아져서 화면에 영상이 부드럽게 표현되므로 체감 성능은 높을 수 있으며, 초당 프레임이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게 출력되면, 프레임률이 낮아져서 시각적으로 프레임(frame) 간 끊김이 발생 즉, 화면에 영상이 부럽게 표현되지 않으므로 체감 성능이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CPU(211)는 GPU(213) 및 클럭 발생부(215)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클럭 발생부(215)로부터 발생된 CPU 클럭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PU(211)는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기 전까지 매 모니터링 시간 동안 CPU 클럭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CPU(211)는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기 전까지 매 모니터링 시간 동안 상기 GPU(213)로부터 전송되는 GPU 클럭에 대한 정보 및 FPS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GPU 클럭에 대한 정보 및 FPS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CPU(211)는 전력 관리부(240)에 의해 확인된 전력 소모량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CPU(211)는 모니터링된 각 정보들의 평균값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제어 대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CPU(211)는 시각적 성능 목표 FPS(Target FPS)보다 모니터링된 FPS값이 크다면 체감 성능의 감소가 적음이 예상되어 CPU 제어 클럭 혹은 GPU 제어 클럭으로 클럭 제어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CPU(211)는 시각적 성능 목표 프레임 드롭률(frame drop rate)보다 모니터링된 프레임 드롭률(frame drop rate)값이 작다면 체감적 성능 감소가 적음이 예상되어 CPU 제어 클럭 혹은 GPU 제어 클럭으로 클럭 제어를 할 수 있다. 프레임 드롭률(frame drop rate)은 모니터링되는 FPS의 평균값에 표현되지 못하는 시각적 인지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프레임 드롭률은 FPS가 평균적으로 30FPS일 때 체감성능이 양호한 수준이라 할 경우, FPS가 평균적으로 40FPS를 유지하나 20FPS로 순간적 드롭(Drop)이 생기는 경우가 발생할 때, FPS의 평균치는 30FPS 이상이나 순간적인 20FPS의 드롭(drop)으로 시각적으로 프레임(frame) 간 끊김을 인식할 수 있고 그 빈도가 높으면 체감 성능에 문제가 있음을 판단하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CPU(211)는 사전에 실험적으로 설정된 목표 전류값(target current)보다 모니터링된 전류값이 크다면 지속 사용에 따른 발열 발생이 예상되어 CPU 제어 클럭 혹은 GPU 제어 클럭으로 클럭 제어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CPU(211)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제어 대상인 경우, 각 클럭들의 제어 클럭 수준(level)을 결정하고, 결정된 제어 클럭 수준들을 제어 정책으로서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CPU(211)는 제어 정책에 포함된 모니터링되는 클럭 수준들을 비교하여 클럭 제어를 위한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각 클럭들의 제어 클럭 수준(level)은 예를 들어, CPU 클럭 수준 및 GPU 클럭 수준을 말하고 수준의 값이 높아질수록 각 클럭값이 낮아지도록 매칭하며, 클럭 수준이 높을수록 소모되는 전류값이 낮아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CPU(211)는 상기 CPU 모니터링 클럭 수준이 상기 GPU 모니터링 클럭 수준보다 크면, GPU 모니터링 클럭 수준에 대한 GPU 클럭값에 의해 먼저 표면 발열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CPU(211)는 GPU 클럭 수준을 우선 순위로 제어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CPU(211)는 우선순위로 결정된 GPU 제어 클럭 수준에 대한 GPU 클럭값으로 GPU 클럭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CPU(211)는 GPU 제어 클럭 수준에 대한 GPU 클럭값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클럭 발생기(215)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럭 발생기(215)는 수신한 GPU 클럭값으로 GPU(213)로 GPU 클럭을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GPU(211)는 상기 GPU 모니터링 클럭 수준이 상기 CPU 모니터링 클럭 수준보다 크면, CPU 모니터링 클럭 수준에 대한 CPU 클럭값에 의해 먼저 표면 발열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CPU(211)는 CPU 클럭 수준을 우선 순위로 제어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CPU(211)는 우선순위로 결정된 CPU 제어 클럭 수준에 대한 CPU 클럭값으로 CPU 클럭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CPU(211)는 CPU 제어 클럭 수준에 대한 CPU 클럭값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클럭 발생기(215)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럭 발생기(215)는 수신한 CPU 클럭값으로 CPU(213)로 CPU 클럭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CPU(211)는 발열이 예상되는 목표 전류값(Target Current)보다 작고,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 온도(limit temperature)보다 작은 경우, 성능 향상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으로 릴리즈(release) 전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CPU(211)는 목표 전류값이 예를 들어, 30분 동작 시 표면 발열 온도가 40도인 전류값인 경우, 릴리즈 전류 값을 1시간 동안 동작 시 표면 발열 온도가 40도인 전류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CPU(211)는 모니터링된 전류 값(전력 소모량)과 릴리즈(release) 전류값을 비교하여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성능 향상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CPU(211)는 상기 모니터링된 전류 값이 상기 릴리즈 전류값보다 작으면, 상기 성능 향상 조건에 만족하는 것으로서, 제어된 현재 제어 수준에서 바로 이전에 결정한 제어 정책(CPU 클럭 제어 수준 및/또는 GPU 클럭 제어 수준)으로 해당 클럭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CPU(211)는 CPU 클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GPU(213)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CPU 클럭에 따라 상기 GPU(213)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GPU(213)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그래픽 처리하여 처리된 데이터 프레임들을 디스플레이(2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들은 설정된 초당 프레임 개수(FPS)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GPU(213)는 상기 클럭 발생기(215)에서 발생된 GPU 클럭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발생된 GPU 클럭에 대한 정보를 상기 CPU(21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GPU(213)는 CPU(211)로부터 수신한 CPU 클럭 또는 클럭 발생부(215)에서 발생한 GPU 클럭에 따라 디스플레이(230)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CPU 클럭 및 GPU 클럭의 값이 크면, 계산능력 및 화면에 대한 렌더링 능력이 향상되어 단위시간당 표현할 수 있는 프레임의 수가 증가되므로 상기 CPU(213)는 설정된 시간(예, 모니터링 시간)동안 보다 많은 데이터 프레임을 디스플레이(230)로 전송하므로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된 그래픽 요소들의 양이 많아질(heavy)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클럭 발생기(215)는 CPU(211)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CPU(211)로부터 클럭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클럭 제어 신호에 포함된 클럭 값으로 해당 클럭(CPU 및/또는 GPU)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220)(예를 들어, 도 1의 메모리(130))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2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전자 장치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전자 장치의 구동을 위한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송/수신된 데이터 및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22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중), 램(RAM), 롬(ROM)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220)는, 클럭들(CPU, GPU 클럭)에 관련된 제1 기준 테이블(클럭 제어 수준 테이블) 및 설정된 전류 소모량에 관련된 제2 기준 테이블(전력 제어 수준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 테이블은 전자 장치의 모델에 따라 설정된 실험을 통해 설정된 목표 전류값의 수준을 나타낸 것으로서, 설정된 시간 동안 발열이 예상되는 온도(예, 40도)까지 도달했을 때의 전류값을 목표 전류값으로 설정한 테이블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220)는 CPU(211)에서 모니터링 시간 동안 수집된 각 정보들의 평균값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20)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외부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상기 도 1의 디스플레이(150)와 동일 또는 유사)(230)는 동작 실행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동작 제어에 따라 동작 실행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목록(list)을 표시하거나,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230)가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경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터치 스크린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30)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230)는 전자 구매 서비스에 따라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입력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정보(예, 입력 정보 또는 촬영된 이미지), 메모리(220)로부터 읽어온 정보(예, 결제 정보 또는 구매 이력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2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TOLED(Transparant OLED)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00)는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예를 들어, 도 1의 통신 인터페이스(170))은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따라 다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또는 서버(106)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통신 모듈은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되는 동작에 관련된 데이터를 다른 전자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은 외부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클럭들(CPU 클럭, GPU 클럭)에 관련된 제1 기준 테이블 및 설정된 전류 소모량에 관련된 제2 기준 테이블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외부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외부 다른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관련하여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외부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 또는 장치 간 연결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셀룰라(cellular) 통신(예를 들어, LTE, LTE-A, LTE-U, LA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중 적어도 하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I2C(inter-integrated circui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은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전력 관리부(240)는 배터리(25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자 장치(200)의 다른 내부 장치들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관리부(240)는 CPU(2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터리(25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전력을 CPU(21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 2의 전자 장치(200)를 통해 전자 장치(200)의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 2을 통해 도시된 구성 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2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2를 통해 상술한 전자 장치(200)의 주요 구성 요소의 위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한 그래픽 요소들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제1 기간 동안, 상기 표시된 그래픽 요소들의 그래픽 성능에 대응하는 제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하기 위한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하고,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획득한 제1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클럭 제어 수준에 상응하는 클럭 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클럭 값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발열이 예상되는 목표 전류값(Target Current)보다 작고, 상기 전자 장치에서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 온도(limit temperature)보다 작은 경우, 설정된 목표 전류값보다 낮은 전류 수준으로 릴리즈(release) 전류 값을 설정하고, 모니터링된 전류 값이 릴리즈 전류 값보다 작으면, 이전 기간에 결정한 클럭 제어 수준에 상응하는 클럭 값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질 때,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지기 이전에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지기 이전에 실행된 경우, 이전에 설정된 클럭 제어 수준에 상응하는 클럭 값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량에 관련된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하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상기 결정된 클럭 제어 수준을 포함하는 제어 정책을 리셋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고, 상기 제1 기간 동안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수집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모두 삭제하고,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요소들의 그래픽 성능에 대응하는 제3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량에 관련된 제4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CPU 클럭, GPU 클럭, 및 FPS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배터리로부터 상기 프로세스로 공급되는 전력 라인에 연결된 저항의 값을 이용하여 산출된 전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기간 동안 수집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량에 관련된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어 대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상기 그래픽 요소의 양에 관련된 정보가 설정된 제1 그래픽 기준 이상이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어 대상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초당 프레임 수(FPS)가 설정된 FPS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어 대상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정보에 포함된 전류값이 설정된 목표 전류 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어 대상의 어플리케이션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모니터링 CPU 클럭(CPU CLK)과 모니터링 GPU 클럭(GPU CLK)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CPU 클럭을 기반으로 결정된 CPU 클럭 제어 수준 및 상기 모니터링 GPU 클럭을 기반으로 GPU 클럭 제어 수준 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도 4의 동작 절차에서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전류를 소모하여 곧 전자 장치의 표면 발열의 발생이 예상되는 그래픽 요소가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203))가, 401 동작에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이 켜진(on) 후,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그래픽 요소가 많은 어플리케이션임을 인식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그래픽 요소들에 의한 체감 성능을 낮게 조절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표면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후술되는 동작들을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기 전까지 미리 설정된 모니터링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403 동작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표면 발열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예, GPU 클럭, CPU 클럭, FPS (frames per second), 이용시간 확인을 위한 런타임 및/또는 전력 소모량(전류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인자들에 대한 정보를 설정된 모니터링 시간 동안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수집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모니터링 시간이 종료되면, 수집된 각 정보들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각 인자들에 상응하는 평균값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403 동작 중에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확인 결과, 모니터링 중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시간 내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되는 인자들을 리셋하고, 상기 403 동작을 다시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403 동작에서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모니터링되는 인자들을 다시 설정할 수 있다. 반면,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으면,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모니터링 중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일시 중단되었다가 재개되는 경우에는 동작을 종료하지 않고, 40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모니터링 중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동작을 종료하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재개되지 않은 경우 동작을 종료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재개되면, 403 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405 동작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모니터링을 통해 수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제어가 필요한지 즉, 제어 대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제어가 필요한 경우, 407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1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평균 GPU 클럭, 모니터링된 FPS 및/또는 모니터링 전류값을 각각 설정된 해당 기준값과 비교하여 해당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전자 장치의 표면 발열이 예상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클럭을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에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CPU 모니터링 클럭 수준이 상기 GPU 모니터링 클럭 수준보다 크면, GPU 모니터링 클럭 수준에 대한 GPU 클럭값에 의해 먼저 표면 발열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GPU 클럭 수준을 우선 순위로 제어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우선 순위로 결정된 GPU 제어 클럭 수준에 대한 GPU 클럭값으로 GPU 클럭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GPU 제어 클럭 수준에 대한 GPU 클럭값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클럭 발생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럭 발생기는 수신한 GPU 클럭값으로 GPU 클럭을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에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GPU 모니터링 클럭 수준이 상기 CPU 모니터링 클럭 수준보다 크면, CPU 모니터링 클럭 수준에 대한 CPU 클럭값에 의해 먼저 표면 발열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CPU 클럭 수준을 우선 순위로 제어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우선 순위로 결정된 CPU 제어 클럭 수준에 대한 CPU 클럭값으로 CPU 클럭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CPU 제어 클럭 수준에 대한 CPU 클럭값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클럭 발생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럭 발생기는 수신한 CPU 클럭값으로 CPU 클럭을 발생할 수 있다.
407 동작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제어 대상으로서, 어플리케이션의 클럭을 제어하고자 한다면, 모니터링된 CPU 및 GPU 클럭에 대해 CPU 클럭 수준 및 GPU 클럭 수준을 결정하고, 결정된 클럭 수준들을 저장하고, 제어 정책이 반영된 경우, 제어 설정 및 각 클럭 수준을 저장할 수 있다.
409 동작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클럭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CPU 클럭 수준과 GPU 클럭 수준을 비교하여, 제어할 클럭을 결정할 수 있다.
411 동작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결정된 클럭에 대한 클럭 제어 수준의 클럭값으로 상기 결정된 클럭을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413 동작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종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경우에는 동작을 종료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지 않으면, 403 동작에서 다음 모니터링 시간 동안 발열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도 4의 동작 절차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는 그래픽 요소가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도 4의 동작 절차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를 켜기(on) 이전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가 켜진(on) 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없는 경우,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이 휴면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그래픽 요소들에 의한 전력 소모로 인한 표면 발열이 발생이 낮아지게 되므로 상기 도 4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디스플레이가 on 상태로 전환되면, 그래픽 요소들의 표시에 따른 표면 발열의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환경으로 전환된 것으로서, 그래픽 요소를 많이 발생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401 동작에 이전에 현재 전력 소모량을 확인하기 위해, 획득한 전류값이 표면 발열 예상에 대한 기준값인 목표 전류값보다 큰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소모량 확인은 예를 들어, 1분 단위로 실행될 수 있으며, 획득한 현재 전류값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확인 결과, 현재 획득한 전류값이 상기 목표 전류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현재 전력 소모량이 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어 정책이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제어 정책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 정책을 설정하기 위한 모니터링되는 인자들을 설정하고, 설정된 인자들(예, GPU 클럭, CPU 클럭, FPS, 이용시간 및 전류 값)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도 4의 40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이전에 설정된 제어 정책이 존재하면, 상기 이전 제어 정책을 기반으로 바로 상기 40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이전 제어 정책(CPU 클럭 및/또는 GPU 클럭 제어 수준)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해당 클럭을 제어할 수 있으며, 다음 모니터링 시간 동안 상기 도 4의 동작 절차를 통해 체감 성능이 더 낮아지도록 제어 정책을 설정하고, 설정된 제어 정책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클럭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동작하는 전자 장치의 내부 처리 모듈(예, CPU 및/또는 GPU)의 성능에 관련된 동작 주파수인 클럭(CLK)의 제어를 카운트하기 위한 클럭 카운트 정보(No.of CLK CTRL), 클럭 제어가 필요 없거나, 제어를 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이면, 바로 동작을 종료하지 않고, 반복 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종료 카운트 정보(No. of STOP CTRL) 및 런 타임을 확인 정보(runtime check)를 초기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런 타임 확인 정보는 사용자가 평균적으로 상기 발열 제어를 위해 모니터링 및 제어 정책을 설정하여 클럭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필요로 하는 시간을 산출한 사용 시간 정보로서, 목표 전류값의 유동성을 주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모니터링 시간이 종료될 때, 모니터링된 어플리케이션이 제어 대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501 동작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GPU 클럭 및 GPU 사용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되는 어플리케이션이 그래픽 요소들이 많은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제어 대상 어플리케이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상기 모니터링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어 대상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503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다시 50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한 GPU 클럭의 평균값(AVG.GPU CLK)이 설정된 그래픽 기준값(예, Heavy GPU CLK)보다 크고, GPU 사용 시간(AVG.GPU Util)이 설정된 사용 시간 기준값(예, Heavy GPU Util)보다 큰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되는 어플리케이션이 그래픽 요소가 많은 어플리케이션인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래픽 기준값 및 상기 사용 시간 기준값은 상기 전자 장치의 개발 시 시스템의 구성 및 성능에 대해 정의하여 결정한 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501 동작에서 상기 모니터링되는 어플리케이션이 그래픽 요소가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는 종료 카운트 정보를 카운트하여(No. of stop CTRL+1)하고, 종료 카운트 정보가 설정된 횟수(예, 3)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도 4의 403 동작과 같은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501 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료 카운트 정보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반면, 상기 501 동작에서 확인한 결과, 상기 모니터링된 어플리케이션이 제어 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 확인되면, 503 동작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적어도 하나의 제어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503 동작에서 확인 결과, 상기 제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505 동작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럭 제어 수준의 기준 테이블을 기반으로 모니터링된 인자들(제1 정보 및 제2 정보)을 기반으로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럭 제어 수준 기준 테이블은 전자 장치의 개발 시 실험을 통해 정의하여 설정한 기준 테이블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델별로 chipset 동작이 가능한 모든 클럭 별로 수준을 설정하거나, 개발 시 전류 또는 성능을 고려하여 CPU, GPU 클럭을 매핑하여 간략하게 설정하는 두 가지 형태로 클럭 제어 기준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모니터링된 평균 CPU 클럭이 1.156GHz일 경우, 601 테이블의 경우, 수준 5, 603 테이블의 경우, 수준 3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모니터링된 GPU 클럭이 695MHz인 경우, 601 테이블 및 603 테이블의 수준 2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 장치는 1.1GHz를 건너뛰고 1.0GHz부터 제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CPU 클럭 수준을 모니터링된 값보다 큰 값을 갖는 수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507 동작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결정된 클럭 제어 수준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모니터링된 정보(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는 각 제어 전/후에 수준을 참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추후 성능 회복을 위해 클럭 제어 수준을 이전으로 복귀 시 빠른 복귀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종료 카운트 정보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상기 503 동작에서 확인 결과, 상기 제어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전자 장치는 509 동작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성능 향상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성능 향상 조건을 만족하면, 511 동작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이전 기간에 결정한 클럭 제어 수준을 현재 기간의 클럭 제어 수준으로 결정하고, 507 동작에서 결정된 클럭 제어 수준을 저장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성능 향상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조건은 모니터링 정보 즉, 모니터링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 대상인 어플리케이션이 제어가 필요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CPU CLK, GPU CLK 및 FPS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정보는 배터리에서 인가되는 전압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저항의 값을 이용하여 산출된 전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5의 동작 절차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모니터링 정보(예, 모니터링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상기 제어 대상인 어플리케이션이 제어가 필요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제1 제어 조건 및 제2 제어 조건을 기반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1 정보가 제1 제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또는/및 제2 정보가 제2 제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5의 505 동작과 같이, 모니터링된 정보를 기반으로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하고, 결정된 클럭 제어 수준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제어 조건은 상기 모니터링 FPS(monitoring FPS)가 목표 FPS(target FPS)보다 큰 경우, 모니터링 주기(monitoring period)가 목표 주기(target period)보다 작은 경우, 또는 모니터링 드롭률(monitoring droprate)이 목표 드롭률(target droptate)보다 큰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모니터링 FPS, 모니터링 주기 또는/및 모니터링 드롭률(droprate)을 기반으로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 제어 조건은 모니터링된 전류(monitoring current)를 목표 전류(target current)와 비교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모니터링된 전류(monitoring current)가 목표 전류(target current)보다 큰 경우(monitoring current> target current @AVG. of Heavyruntime)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모니터링 FPS, 모니터링 주기 또는/및 모니터링 드롭률(droprate)을 기반으로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하고, 결정된 클럭 제어 수준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제어 조건 및 제2 제어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모니터링 주기 또는/및 모니터링 드롭률(droprate)을 기반으로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하고, 결정된 클럭 제어 수준을 저장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 제어 조건 만족하지 않으면, 즉, 상기 모니터링 FPS(monitoring FPS)가 목표 FPS(target FPS)보다 크지 않은 경우, 모니터링 주기(monitoring period)가 목표 주기(target period)보다 작지 않은 경우 또는 모니터링 드롭률(monitoring droprate)가 목표 드롭률(target droptate)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다시 윈도우(window)를 모니터링하여 획득한 모니터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 5의 동작 절차를 수행 또는 종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제어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전자 장치는 클럭 제어 카운트 정보가 0으로 설정(No. of CLK CTRL=0)되었는지를 확인 수 있다. 확인 결과, 상기 클럭 제어 카운트 정보가 0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종료 카운트 정보를 카운팅하여, 카운팅된 값이 미리 설정된 값(예, 3) 이상이면, 동작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윈도우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도 5의 동작 절차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제어 조건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클럭 제어 카운트 정보가 0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다시 윈도우(window)를 모니터링하여 획득한 모니터 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 5의 동작 절차를 수행 또는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럭 제어 카운트 정보가 0이라는 것은 한번도 클럭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으로서, 최초 클럭 제어를 수행할 것임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 제어 조건 및 제2 제어 조건을 만족하지 않고, 상기 클럭 제어 카운트 정보가 0이 아닌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5의 상기 511 동작과 같이, 클럭 제어 수준을 바로 전 모니터링 시간에 설정된 클럭 제어 수준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클럭 제어 카운트 정보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럭 제어 카운트 정보가 0이 아닌 것은 한번 이상의 클럭 제어가 발생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성능 향상을 위한 동작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제2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확인할 때, 상기 제2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클럭 제어 카운트 정보가 0으로 설정(No. of CLK CTRL=0)되었는 지를 확인 수 있다. 확인 결과, 상기 클럭 제어 카운트 정보가 0이 아닌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향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모니터링된 전류 값(전력 소모량)과 릴리즈(release) 전류값을 비교하여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능 향상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릴리즈(release) 전류 값은 발열이 예상되는 목표 전류값(Target Current)보다 작고,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 온도(limit Temperature)보다 작은 경우, 성능 향상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기준 테이블의 목표 전류값이 예를 들어, 30분 동작 시 표면 발열 온도가 40도인 전류값인 경우, 릴리즈 전류 값을 1시간 동안 동작 시 표면 발열 온도가 40도인 전류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된 전류 값이 상기 릴리즈 전류값보다 작으면, 상기 성능 향상 조건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바로 이전에 결정한 제어 정책(CPU 클럭 제어 수준 및/또는 GPU 클럭 제어 수준)으로 해당 클럭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도 4 및 도 5의 동작 절차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모니터링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클럭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을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거나, 제어 대상에서 벗어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반복 수행을 통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클럭 제어 수준의 기준 테이블에 설정된 수준을 단계적으로 다운시키면서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요소들의 디스플레이에 따른 체감 성능이 낮아지도록 하여 전력 소모량을 줄임으로써, 표면 발열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간은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표면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한 그래픽 요소들을 표시하는 동작, 제1 기간 동안, 상기 표시된 그래픽 요소들의 그래픽 성능에 대응하는 제1 정보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하기 위한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획득한 제1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클럭 제어 수준에 상응하는 클럭 값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클럭 값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간 동안 수집된 상기 제1 정보 및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량에 관련된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어 대상인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발열이 예상되는 목표 전류값(Target Current)보다 작고, 상기 전자 장치에서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 값(limit temperature)보다 작은 경우, 설정된 목표 전류값보다 낮은 전류 수준으로 릴리즈(release) 전류 값을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모니터링된 전류 값이 릴리즈 전류 값보다 작으면, 이전 기간에 결정한 클럭 제어 수준으로 상향 조정하고, 조정된 클럭 제어 수준을 포함하는 제어 정책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성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질 때,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지기 이전에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지기 이전에 실행된 경우, 이전에 설정된 클럭 제어 수준에 상응하는 클럭 값을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성능을 제어하도록 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상기 결정된 클럭 제어 수준을 포함하는 제어 정책을 리셋하도록 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고, 상기 제1 기간 동안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량에 관련된 제2 정보를 모두 삭제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량에 관련된 제4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모니터링 CPU 클럭(CPU CLK)과 모니터링 GPU 클럭(GPU CLK)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CPU 클럭을 기반으로 결정된 CPU 클럭 제어 수준 및 상기 모니터링 GPU 클럭을 기반으로 GPU 클럭 제어 수준 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CPU CLK, GPU 동작 주파수(CLK) 및 FPS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배터리로부터 상기 프로세스로 공급되는 전력 라인에 연결된 저항의 값을 이용하여 산출된 전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801)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810), 통신 모듈(820), 가입자 식별 모듈(824), 메모리(830), 센서 모듈(840), 입력 장치(850), 디스플레이(860), 인터페이스(870), 오디오 모듈(880), 카메라 모듈(891), 전력 관리 모듈(895), 배터리(896), 인디케이터(897), 및 모터(89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8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도 1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라 모듈(8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810) 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820)(예: 통신 인터페이스(17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820)은, 예를 들면, 셀룰라 모듈(821), WiFi 모듈(823), 블루투스 모듈(825), GNSS 모듈(827), NFC 모듈(828) 및 RF 모듈(829)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라 모듈(8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라 모듈(8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8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8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라 모듈(821)은 프로세서(8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라 모듈(8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라 모듈(821), WiFi 모듈(823), 블루투스 모듈(825), GNSS 모듈(827) 또는 NFC 모듈(8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829)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829)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라 모듈(821), WiFi 모듈(823), 블루투스 모듈(825), GNSS 모듈(827) 또는 NFC 모듈(8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824)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또는 임베디드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30)(예: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832) 또는 외장 메모리(8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8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8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8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801)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8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8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8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840A), 자이로 센서(840B), 기압 센서(840C), 마그네틱 센서(840D), 가속도 센서(840E), 그립 센서(840F), 근접 센서(840G), 컬러(color) 센서(8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840I), 온/습도 센서(840J), 조도 센서(8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8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840)은, 예를 들면, 후각(e-nose) 센서, 일렉트로마이오그라피(EMG) 센서, 일렉트로엔씨팔로그램(EEG) 센서, 일렉트로카디오그램(ECG) 센서,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8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801)는 프로세서(8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8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8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8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8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852), (디지털) 펜 센서(854), 키(856), 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8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8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8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8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8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8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858)는 마이크(예: 마이크(8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60)(예: 디스플레이(160))는 패널(862), 홀로그램 장치(864), 프로젝터(866), 및/또는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8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 투명하게, 또는 착용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패널(862)은 터치 패널(852)과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862)은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또는 포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터치 패널(852)과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터치 패널(852)과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8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8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8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870)는, 예를 들면, HDMI(872), USB(8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876), 또는 D-sub(D-subminiature)(87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87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17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8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880)은, 예를 들면,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8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45)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880)은, 예를 들면, 스피커(882), 리시버(884), 이어폰(886), 또는 마이크(8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83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또는 플래시(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8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8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8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8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8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 및/또는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897)는 전자 장치(801)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8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8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 또는 햅틱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 TV 지원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1))는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910)(예: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 및/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프로그램 모듈(910)은 커널(920)(예: 커널(141)), 미들웨어(930)(예: 미들웨어(143)), (API(960)(예: API(1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97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91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 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서버(106) 등)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하다.
커널(920)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921) 및/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923)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921)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921)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92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930)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9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9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API(960)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9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930)는 런타임 라이브러리(9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941), 윈도우 매니저(942), 멀티미디어 매니저(943), 리소스 매니저(944), 파워 매니저(9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946), 패키지 매니저(947), 커넥티비티 매니저(948), 노티피케이션 매니저(949), 로케이션 매니저(950), 그래픽 매니저(951), 또는 시큐리티 매니저(9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93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9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935)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94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970)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942)는 화면에서 사용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943)는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944)는 어플리케이션(970)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945)는, 예를 들면, 배터리의 용량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945)는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946)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970)에서 사용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947)는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저(948)는, 예를 들면,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매니저(949)는, 예를 들면,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로케이션 매니저(95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95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952)는, 예를 들면,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9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telephony) 매니저 또는 전술된 구성요소들의 기능들의 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하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930)는 운영 체제의 종류 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9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API(960)는,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970)은, 예를 들면, 홈(971), 다이얼러(972), SMS/MMS(973), IM(instant message)(974), 브라우저(975), 카메라(976), 알람(977), 컨택트(978), 음성 다이얼(979), 이메일(980), 달력(981), 미디어 플레이어(982), 앨범(983), 와치(984), 헬스 케어(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970)은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삭제, 또는 갱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970)은 외부 전자 장치의 속성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모바일 의료 기기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970)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91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예: 프로세서(210)),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예: 실행)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또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14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한 그래픽 요소들을 표시하는 동작, 제1 기간 동안, 상기 표시된 그래픽 요소들의 그래픽 성능에 대응하는 제1 정보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하기 위한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획득한 제1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클럭 제어 수준에 상응하는 클럭 값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클럭 값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네트워크 환경 101 : 전자 장치
102, 104 : 전자 장치 106 : 서버
110 : 버스 120 : 프로세서
130 : 메모리 141 : 커널
143 : 미들웨어 145 : API
147 : 애플리케이션 150 : 입출력 인터페이스
160 : 디스플레이 170 : 통신 인터페이스
162 : 네트워크 200: 전자 장치
210: 프로세서 220: 메모리
230: 디스플레이 240: 전력 관리부
250: 배터리 260: 어플리케이션 구동 모듈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한 그래픽 요소들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제1 기간 동안, 상기 표시된 그래픽 요소들의 그래픽 성능에 대응하는 제1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하기 위한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하고,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획득한 제1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클럭 제어 수준에 상응하는 클럭 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클럭 값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발열이 예상되는 목표 전류값(Target Current)보다 작고, 상기 전자 장치에서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설정된 목표 전류값보다 낮은 전류 수준으로 릴리즈(release) 전류 값을 설정하고,
    모니터링된 전류 값이 릴리즈 전류 값보다 작으면, 이전 기간에 결정한 클럭 제어 수준에 상응하는 클럭 값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질 때,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지기 이전에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지기 이전에 실행된 경우, 이전에 설정된 클럭 제어 수준에 상응하는 클럭 값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량에 관련된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하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상기 결정된 클럭 제어 수준을 포함하는 제어 정책을 리셋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고, 상기 제1 기간 동안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수집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모두 삭제하고,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요소들의 그래픽 성능에 대응하는 제3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량에 관련된 제4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CPU 클럭(CPU CLK), GPU 클럭(GPU CLK) 및 초당 프레임 수(FPS)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량에 관련된 제2 정보는 배터리로부터 상기 프로세스로 공급되는 전력 라인에 연결된 저항의 값을 이용하여 산출된 전류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기간 동안 수집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량에 관련된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어 대상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상기 그래픽 요소의 양에 관련된 정보가 설정된 제1 그래픽 기준 이상이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어 대상인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초당 프레임 수(FPS)가 설정된 FPS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어 대상인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정보에 포함된 전류값이 설정된 목표 전류 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어 대상의 어플리케이션인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모니터링 CPU 클럭(CPU CLK)과 모니터링 GPU 클럭(GPU CLK) 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CPU 클럭을 기반으로 결정된 CPU 클럭 제어 수준 및 상기 모니터링 GPU 클럭을 기반으로 GPU 클럭 제어 수준 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에서의 표면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한 그래픽 요소들을 표시하는 동작;
    제1 기간 동안, 상기 표시된 그래픽 요소들의 그래픽 성능에 대응하는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하기 위한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획득한 제1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클럭 제어 수준에 상응하는 클럭 값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클럭 값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간 동안 수집된 상기 제1 정보 및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량에 관련된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어 대상인지를 확인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발열이 예상되는 목표 전류값(Target Current)보다 작고, 상기 전자 장치에서 모니터링된 온도가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설정된 목표 전류값보다 낮은 전류 수준으로 릴리즈(release) 전류 값을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설정된 모니터링된 전류 값이 릴리즈 전류 값보다 작으면, 이전 기간에 결정한 클럭 제어 수준으로 상향 조정하고, 조정된 클럭 제어 수준을 포함하는 제어 정책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성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질 때,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지기 이전에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지기 이전에 실행된 경우, 이전에 설정된 클럭 제어 수준에 상응하는 클럭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성능을 제어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상기 결정된 클럭 제어 수준을 포함하는 제어 정책을 리셋하도록 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고, 상기 제1 기간 동안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량에 관련된 제2 정보를 모두 삭제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요소들의 그래픽 성능에 대응하는 제3 정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량에 관련된 제4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모니터링 CPU 클럭(CPU CLK)과 모니터링 GPU 클럭(GPU CLK)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 CPU 클럭을 기반으로 결정된 CPU 클럭 제어 수준 및 상기 모니터링 GPU 클럭을 기반으로 GPU 클럭 제어 수준 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CPU CLK, GPU 동작 주파수(CLK) 및 FPS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배터리에서 인가되는 전압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저항의 값을 이용하여 산출된 전류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의한 그래픽 요소들을 표시하는 동작;
    제1 기간 동안, 상기 표시된 그래픽 요소들의 그래픽 성능에 대응하는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하기 위한 클럭 제어 수준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획득한 제1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클럭 제어 수준에 상응하는 클럭 값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된 클럭 값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동작 성능을 제어하는 동작;
    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60165400A 2016-12-06 2016-12-06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표면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20180064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400A KR20180064934A (ko) 2016-12-06 2016-12-06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표면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16/466,089 US11231763B2 (en) 2016-12-06 2017-12-06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generated on surface of electronic device
PCT/KR2017/014248 WO2018106022A2 (ko) 2016-12-06 2017-12-06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표면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400A KR20180064934A (ko) 2016-12-06 2016-12-06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표면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934A true KR20180064934A (ko) 2018-06-15

Family

ID=6249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400A KR20180064934A (ko) 2016-12-06 2016-12-06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표면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31763B2 (ko)
KR (1) KR20180064934A (ko)
WO (1) WO2018106022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5059A1 (en) * 2019-03-29 2020-10-08 Intel Corporation Workload-based maximum current
WO2021049770A1 (ko) * 2019-09-11 2021-03-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1086049A1 (ko) * 2019-10-31 2021-05-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피드백 기반의 발열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5283B (zh) * 2020-10-20 2023-07-14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自定义功能的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220407506A1 (en) * 2021-06-10 2022-12-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ock moni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9245B1 (en) 2004-06-03 2007-05-15 Advanced Micro Devices, Inc. Adaptive CPU clock management
KR101406545B1 (ko) 2007-07-30 2014-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Cpu 클럭과 온도 값을 이용한 비디오 컨트롤러 제어방법및 장치
US8793512B2 (en) * 2010-10-29 2014-07-29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control of processing nodes
KR101752829B1 (ko) 2010-11-26 2017-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US9377843B2 (en) * 2013-05-07 2016-06-28 Broadcom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urrent consumption by an electronic device
KR102208620B1 (ko) * 2014-03-12 2021-0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전자장치의 절전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
KR102143871B1 (ko) 2014-04-22 2020-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60026329A (ko) 2014-08-29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내부 온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성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027757A (ko)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내의 발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346258B1 (ko) 2014-11-19 2022-0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13588B1 (ko) 2015-02-27 202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기록 매체
US10001856B2 (en) * 2015-04-22 2018-06-19 Mediatek Inc. Dynamic enablement, disablement and adjustment of offset of a periodic timing control signa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5059A1 (en) * 2019-03-29 2020-10-08 Intel Corporation Workload-based maximum current
US11238557B2 (en) 2019-03-29 2022-02-01 Intel Corporation Workload-based maximum current
WO2021049770A1 (ko) * 2019-09-11 2021-03-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1086049A1 (ko) * 2019-10-31 2021-05-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피드백 기반의 발열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31763B2 (en) 2022-01-25
WO2018106022A3 (ko) 2018-08-02
US20200073460A1 (en) 2020-03-05
WO2018106022A2 (ko)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803B1 (ko)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기록 매체
US10304419B2 (en) Screen controll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8007437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배터리의 온도에 기반한 발열 제어 방법
EP3391634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and component
US20170185134A1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p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8007405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충전 제어 방법
US20180260550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using multiple authentication mean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371683B1 (ko)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58444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07738A (ko) 번-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180329501A1 (en) Gesture sen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US1123176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generated on surface of electronic device
KR102313588B1 (ko)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7009811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밝기 제어 방법
KR20160127515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142052A (ko) 전자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29188A (ko)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2018004191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80024626A (ko) 저전력 상태에서 시간 정보 제공 방법 및 이 방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109401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8735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7003034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카메라 노출 조정 방법
KR2017010586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80069640A (ko) 전자 장치를 충전하는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KR20180050174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