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681A - Roasting method for enhancing beta-glucan of chaga mushroom and method for preparing chaga mushroom leached tea - Google Patents

Roasting method for enhancing beta-glucan of chaga mushroom and method for preparing chaga mushroom leached t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681A
KR20180064681A KR1020160164831A KR20160164831A KR20180064681A KR 20180064681 A KR20180064681 A KR 20180064681A KR 1020160164831 A KR1020160164831 A KR 1020160164831A KR 20160164831 A KR20160164831 A KR 20160164831A KR 20180064681 A KR20180064681 A KR 20180064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roasting
temperature
roaster
glu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8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미옥
정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송케이엔에스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송케이엔에스,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송케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160164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4681A/en
Publication of KR20180064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6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2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2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 B65B29/028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packaging infusion material into filte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6Taste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for roasting Inonotus obliquus for enhancing beta-glucan; and a method for preparing a leached tea of Inonotus obliquus comprising the same. The method for roasting the Inonotus obliqu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roasting the Inonotus obliquus under gradual temperature-rising conditions through three roasting steps; and spraying moistur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onotus obliquus before each roasting step to prevent igni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onotus obliquus, and thus the roasting Inonotus has improved taste and flavor and has increased content of beta-glucan and the anti-obesity efficacy.

Description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차가버섯 침출차 제조방법{ROASTING METHOD FOR ENHANCING BETA-GLUCAN OF CHAGA MUSHROOM AND METHOD FOR PREPARING CHAGA MUSHROOM LEACHED TEA}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ducing a mushroom-containing roasted mushroom,

본 발명은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차가버섯 침출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가버섯의 유용성분 중 하나인 베타글루칸(β-glucan) 함량을 증가시키는 전처리 공정인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과, 상기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을 포함하는 차가버섯 침출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oasting mushroom roast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shroom leaching tea compri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asting method of roasted mushroom roasting method which is a pretreatment process for increasing the content of beta-gluca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a mushroom leach comprising the mushroom roasting method.

차가버섯(학명: Inonotus obliquus)은 살아 있는 자작나무의 줄기나 큰 가지에서 자라나면서 자작나무의 영양분을 먹고 크며, 러시아, 북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서 발견되고 있지만 그 중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의 차가버섯이 최상의 상품가치를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e mushroom (Scientific name: Inonotus obliquus) grows on the trunk and branches of a living birch and grows big in the nutrients of the birch. It is found in Russia, Northern Europe and North America. Among them, It is known to have value.

차가버섯은 라노스테인(lanostane) 유형의 트리테르펜(triterpene), 에르고스테롤 (ergosterol)이나 글루코시톨(glucositole)과 같은 각종 전구체 화합물, 베타글루칸(β-glucan),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이노시톨(Inositol), 리그닌(Lignin) 등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여러 종류의 색소원, 유기산, 탄닌, 천연 스테로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차가버섯이 자생하는 러시아에서는 오래전부터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섭취되어 왔고, 일본, 미국 등에서도 이러한 차가버섯의 면역증강 효과에 주목하여 캡슐, 드링크 등 각종 건강보조 식품으로 개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항암효과로 잘 알려져 있는 베타글루칸과 성인병 및 노화를 예방한다고 알려진 SOD(Superoxide dismutase)는 다른 버섯대비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활성산소 제거능도 탁월한 것으로 보고된다.The chaga mushroom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nostane-type triterpene, various precursor compounds such as ergosterol and glucositole, beta-glucan, flavonoid, inositol, ), Lignin (Lignin) and other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In addition, various kinds of pigment, organic acids, tannins, and natural steroids are known to contain. As a result, it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various diseases such as cancer in Russia, where chaga mushrooms are naturally grown.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mmune enhancement effect of these mushrooms and various health supplements such as capsules and drinks We are developing. In particular, SOD (Superoxide dismutase), which is well known for its anticancer effects, is known to prevent beta-glucan and adult diseases and aging.

차가버섯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 현재 소비되고 있는 차가버섯 제품의 형태는 차가버섯 원물, 차가버섯 분말(원물을 분쇄), 차가버섯 추출분말, 엑기스 등의 일부에 그치고 있으며 주로 암환자들을 위한 건강식품의 일종으로만 대중들에게 인지되어 있는 실정이다. Studies on chaga mushrooms have been conducted domestically and abroad, but the form of chaga mushrooms currently consumed domestically is limited to parts of chaga mushroom, chaga mushroom powder, chaga mushroom extract, and extract And is recognized only by the public as a kind of health food mainly for cancer patients.

또한, 현재 대부분의 차가버섯 제품은 차가버섯 원물 또는 분말을 물에 우려내어 음용하는 형태로 섭취된다. 예를 들어 차가버섯 원물을 조각 내고, 물을 끓인 후에 50℃ 내지 60℃가 되도록 식히고, 상기 조각낸 차가버섯 원물을 식힌 물에 담가두고 2일 이상 보관한 후 얻어지는 추출액을 섭취하는 방식이다. 차가버섯의 주요 생리활성 성분인 베타글루칸이 80℃ 이상의 온도에서는 파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너무 번거롭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제품 접근성이나 편의성을 떨어뜨리게 되며, 차가버섯을 물에 우려내는 시간 자체가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most current mushroom products are consumed in the form of drinking mushroom raw materials or powder in water. For example, the tea mushroom raw material is sliced, the water is boiled, and then cooled to 50 to 60 DEG C, and the sliced tea is stored in the cooled water for 2 days or more, and then the obtained extract is taken. Betaglucan, the major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 of chaga mushrooms, is known to be destroyed at temperatures above 80 ° C. However, this approach is too cumbersome, which lowers consumer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and it takes a long time to get the mushroom into water.

이에 따라 차가버섯 제품을 판매하는 업체들에게는 매출량 증대를 위하여 대중들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제품 형태로 차가버섯을 제품화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새로운 제품군 중 대표적인 것이 차가버섯 음료다. 기존 제품들의 문제점을 고려했을 때 차가버섯 음료, 예를 들어 차가버섯 침출차(leanched tea)를 제조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들은 첫째, 소비자들이 음용하기 간편한 형태로 제조되고 음용에 부담감을 주지 않을 것, 둘째, 차가버섯을 물에 우려내는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제조될 것, 셋째, 차가버섯을 물에 우려내는 시간을 줄이면서도 차가버섯의 유용성분 함량이 감소하지 않을 것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점들에 착안하여 수 많은 시험을 반복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As a result, companies that sell chaga mushrooms have been required to commercialize chaga mushrooms as products that can be easily accessed by the public in order to increase sales volum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new product line is chaga mushroom beverages. Considering the problems of existing products,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manufacturing mushroom beverages, for example, leach tea, are: 1) they are manufactured in a form that is easy for consumers to drink, and 2) Third, it will reduce the time spent on mushrooms in water, and the content of useful components of mushrooms will not decreas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paid attention to these points and repeated a number of tests, resulting in the comple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차가버섯의 생리활성 성분 중 하나인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증진시키고, 항비만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oasting mushroom which can enhance the content of betaglucan, which is one of phys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of mushroom, and improve the anti-obesity effect.

또한, 상기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을 포함함으로써 단시간에 쉽게 우려내면서도 차가버섯의 베타글루칸 함량을 증진시키고, 항비만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가버섯 침출차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a mushroom leach us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improve the beta-glucan content of the mushroom and improve the anti-obesity effect while being easily disturbed in a short time by including the mushroom roasting metho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로스터기를 예열하는 단계; b) 상기 로스터기에 분쇄된 차가버섯을 투입하는 단계; c) 상기 차가버섯의 겉표면에 1차적으로 수분을 분무하는 단계; d) 상기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가 제1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차가버섯을 1차 로스팅하는 단계; e) 1차 로스팅 후, 상기 차가버섯의 겉표면에 2차적으로 수분을 분무하는 단계; f) 상기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큰 제2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차가버섯을 2차 로스팅하는 단계; g) 2차 로스팅 후, 상기 차가버섯의 겉표면에 3차적으로 수분을 분무하는 단계; 및 h) 상기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가 상기 제2 온도보다 큰 제3 온도 - 제3 온도는 88℃ 이하임- 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차가버섯을 3차 로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oaster comprising: a) preheating a roaster group; b) injecting chopped mushroom into the roaster; c) spraying water primari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ushroom; d) roasting the mushroom first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ushroom reaches a first temperature; e) spraying secondarily the moisture onto the outer surface of the mushroom after primary roasting; f) secondarily roasting the mushroom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ushroom reaches a second temperature great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g) spraying water thirdarily onto the outer surface of the mushroom after the second roasting; And h) third roasting the mushroom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ushroom is greater than the second temperature and the third temperature - the third temperature is less than or equal to 88 캜.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으로 처리된 차가버섯을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차가버섯을 포지에 넣어 밀봉 처리하는 포장 단계를 포함하는 차가버섯 침출차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a mushroom comprising: crushing a mushroom treated with the mushroom roasting method; And a packaging step of sealing the crushed chaga mushrooms in a forge, thereby provid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haga mushroom leach.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은 3단계에 걸쳐 점진적인 승온 조건 하에서 차가버섯을 로스팅하고, 각 로스팅 단계 이전에 차가버섯의 겉표면에 수분을 분무하여 로스팅 공정에 의한 차가버섯 겉표면 발화를 방지함으로써, 맛과 풍미가 증진될 뿐만 아니라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증가되고 항비만 효능이 향상된 차가버섯을 제공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roasted mushroom roasting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roasting the roasted mushroom under a gradually increasing temperature condition in three steps, spraying moistu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asted mushroom before each roasting step, By preventing ignition, not only the taste and flavor can be improved, but also the content of beta-glucan can be increased and the anti-obesity effect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으로 처리된 차가버섯을 분쇄하고 포지에 넣어 밀봉 처리하여 침출차 제품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단시간에 쉽게 우려내면서도 차가버섯의 베타글루칸 함량이 증진되고 항비만 효능이 향상된 차가버섯 침출차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a mushroom treated with the mushroom roasting method is pulverized and sealed in a forge to produce a leach tea product form. In this way, the content of betaglucan in the mushroom is easily increased, and the content of the mushroom leaching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시험에 사용된 전기식 로스터기 및 로스팅 이미지이다.
도 3은 비교예 1,2 및 실시예에 해당하는 차가버섯의 베타글루칸 함량의 상대적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비교예 1 및 실시예의 베타글루칸 함량의 검사성적서(발급기관: 한국기능식품연구원장)이다.
도 7은 비교예 1,2 및 실시예의 지방구 형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 1에 해당하는 차가버섯으로 제조한 차가티백과, 실시예에 해당하는 차가버섯으로 제조한 로스팅 차가티백 샘플을 2분간 물로 우려내어 동일한 시간동안 우러나오는 색도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chaga roas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lectric roaster and roasting image used in this test.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sizes of beta-glucan contents of mackerel mushrooms correspon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2 and Examples.
Figs. 4 to 6 show test results of beta-glucan content (Issuer: Director, Korea Func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inhibiting lipid formation in Comparative Examples 1, 2 and Examples. Fig.
Fig. 8 is an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a tea bag prepared by a tea mushroom correspon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and a roasting tea made by a tea mushroom corresponding to the embodiment, with a sample of the tea bag for 2 minutes for the same tim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의 순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chaga roas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은 a) 로스터기를 예열하는 단계; b) 상기 로스터기에 분쇄된 차가버섯을 투입하는 단계; c) 1차 로스팅 단계; d) 2차 로스팅 단계; 및 e) 3차 로스팅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method of roasting mushroom roasting comprises: a) preheating a roaster; b) injecting chopped mushroom into the roaster; c) primary roasting step; d) a second roasting step; And e) a third roasting step.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은 차가버섯을 다단계에 걸쳐 로스팅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of the mushroom roasting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roasting the mushroom in multiple stages.

로스팅(Roasting) 방법은 식품 등의 가공에 있어 해당 식품 자체의 고유한 향미와 색을 얻기 위한 원료의 가공 방법 중 하나이다. 로스팅 처리는 분해, 합성, 축합 등의 반응에 의해 수용성 고형분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갈색화 반응을 일으켜 갈색 색소 및 향기성분을 생성하며, 이 때 생성된 아미노-카보닐 반응생성물들은 항산화성 외에도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로스팅 가공 방법은 커피, 코코아, 보리차 등에 주로 사용되는 공정이다. The roasting method is one of raw material processing methods for obtaining the unique flavor and color of the food itself in the processing of foods and the like. The roasting treatment increases the content of water-soluble solids by decomposition, synthesis, condensation, etc., and causes a browning reaction to produce a brown coloring matter and a fragrance component. The amino-carbonyl reaction products produced at this time are not only antioxidant, ≪ / RTI > activity. Such a roasting process is a process mainly used for coffee, cocoa, barley tea, and the like.

버섯류 식품에 가공에 있어서도 원료 버섯(영지버섯, 표고버섯 등)의 맛과 향을 증진시키기 위해 전처리 공정에서 로스팅하는 방법이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차가버섯은 다른 버섯들과는 달리 그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로스팅 공정을 적용하기에는 그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차가버섯은 차가버섯균이 자작나무에 기생하여 성장하며 자작나무의 영양성분을 섭취하여 상기 자작나무 내부에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다가 밖으로 표출된다. 이 과정에서 밖으로 표출되는 외피와 나무에 연결되어 영양분을 섭취하는 내피의 재질이 크게 다르다. 차가버섯의 외피(겉껍질)는 검은색을 띠며 매우 거칠고 딱딱하며 많은 균열을 갖는다. 반면, 내피는 고동색을 띠고 나무의 재질과 매우 유사한 데다가, 차가버섯의 채취 후에는 차가버섯의 영양 성분을 유지시키기 위해 즉시 건조시키기 마련이므로 다른 버섯류 식품에 비해 함수율이 매우 낮다(일반적으로 함수율 14% 이하). In the processing of mushroom foods, roasting is also known in the pretreatment process to enhance the taste and flavor of raw mushroom (mushroom, shiitake, etc.). However, unlike other mushrooms, the mushroom has many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roasting process due to its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chaga mushroom grows on the birch by growing on the birch, eating nutrients of the birch, roots down inside the birch, and grows out. In this process, the material of the outer skin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endothelium that is connected to the tree and consumes the nutrients are greatly different. The outer surface of the mushroom is black, very rough, hard and has many cracks. On the other hand, the endothelium is very similar to the woody material with australite color and has a very low water content (generally a water content of 14%) as compared with other mushroom products, since the mushroom is immediately dried to maintain the nutritional content of the mushroom after picking. Below).

이런 특성으로 인해 차가버섯의 경우, 최적의 로스팅 공정 조건을 찾는 것이 매우 어렵다. 로스팅 효과 구현을 위해 로스팅 온도를 높일 경우 차가버섯의 낮은 함수율로 인해 차가버섯이 금세 완전히 타버리는 문제가 있으며, 그렇다고 로스팅 온도를 낮추는 경우 로스팅 효과가 구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차가버섯 로스팅 공정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수 많은 시험을 반복한 결과 로스팅을 다단에 걸쳐 점진적인 승온 조건 하에서 차가버섯을 로스팅하는 경우에는 차가버섯이 타지 않으면서 로스팅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는 바,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the optimum roasting process condition for the mushroom. If the roasting temperature is increased to achieve the roasting effec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ushroom is completely burned due to the low moisture content of the mushroom, but the roasting effect is not realized when the roasting temperature is lowered.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recognized the problem of the mushroom roasting process and repeated a number of tests. As a result, if the mushroom is roasted under a gradually increasing temperature condition at a plurality of stages of roasting, the roasting effect can be realized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이하, 각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예열 단계Preheating phase

S110 단계에서는 로스터기를 예열한다. 예열온도는 1차 로스팅에서 목표로 하는 드럼 온도의 70~80% 수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열온도는 드럼 온도를 기준으로 60℃ 내지 80℃ 범위일 수 있다. In step S110, the roaster unit is preheated. The preheating temperature may be 70-80% of the targeted drum temperature in the primary roasting. For example, the preheating temperature may range from 60 ° C to 80 ° C based on the drum temperature.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에 사용되는 로스터기는 전기식 로스터기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전기식 로스터기는 원적외선을 이용하거나 할로겐 복사열을 이용하는 방식의 로스터기를 의미한다. The roaster group used in the mushroom roasting proces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electric roaster group. Here, the electric roaster means a roaster machine using a far infrared ray or a halogen radiant heat.

관련하여 로스터기는 로스팅 방식에 따라 직화식 로스터기, 열풍식 로스터기, 전기식 로스터기 등이 있다. 직화식 로스터기는 버너와 같은 열원이 로스팅 대상이 되는 원료가 수용되는 드럼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차가버섯을 로스팅하기에는 적절치 않다. 상술하였듯이 차가버섯은 함수율이 낮아 직화식으로 로스팅하는 경우에는 로스팅 되기 전에 차가버섯이 완전히 타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직화식 로스터기의 경우 로스팅 온도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다단에 걸쳐 로스팅을 해야 하는 본 발명에 적용되기에는 적절치 않다. In relation to the roaster, there are roasted roasting machines, hot-air roasting machines and electric roasting machines. The flame-type roaster is not suitable for roasting the mushroom in such a way that a heat source such as a burner is directly delivered to the drum where the raw material to be roasted is receiv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asted roasted mushroom has a low water content, the roasted mushroom is completely burned before being roasted. Also, in the case of a flame-retardant roaster, it is not easy to control the roasting temperature, and thus it is not suitable to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roasting must be performed in multiple stages.

열풍식 로스터기는 열원에 의해 데워진 공기를 이용하여 드럼을 덥혀 원료를 로스팅하는 방식으로, 열효율성이 떨어지고 목표로 하는 로스팅 온도를 맞추는 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는 바,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적용되기에는 적절치 않다. The hot-air type roaster is a method in which raw material is roasted by using the air heated by the heat source to warm the drum, and the heat efficiency is low and it takes a long time to adjust the target roasting temperature. Not appropriate.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에 이용되는 로스터기는 전기식 로스터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기식 로스터기는 로스팅 온도 조절이 용이하고, 열효율성이나 시간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다. 전기식 로스터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전기식 로스터기는 차가버섯이 투입되는 로스팅 드럼을 포함한다. 상기 로스팅 드럼은 내부에 교반기가 장착되어, 상기 교반기의 회전력으로 투입된 로스팅 원료를 골고루 섞어줄 수 있다. 또한 전기식 로스터기는 1 이상 장착되는 온도 센서들에 의해 상기 로스팅 드럼의 온도를 외부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전기식 로스터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식 로스터기의 구성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us, it may be desirable to use an electric roaster group for the roaster group used in the mushroom roasting proces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roaster is easy to control the roasting temperature, and is effective in terms of heat efficiency and time. The electric roaster may be a commonly used product. The electric roaster includes a roasting drum into which mushrooms are introduced. The roasting drum is equipped with a stirrer therein, and the roasting raw material can be mixed evenly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irrer. In addition, the electric roaster can confirm the temperature of the roasting drum in real time from outside by the temperature sensors mounted on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the electric roast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ll conventional electric roister uni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차가버섯 투입 단계Step of injecting mushroom

S120 단계에서는 상기 전기식 로스터기의 로스팅 드럼에 분쇄된 차가버섯을 투입한다. 로스팅 하기 전에 차가버섯을 분쇄하는 이유는 차가버섯의 표면적을 크게 만듦으로써 로스팅 공정에서 상기 차가버섯에 열이 고르게 전달되게 하여 로스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이 때, 분쇄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분쇄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가버섯을 비정형화된 형태로 분쇄하되, 각 분쇄물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대략 1~2cm 범위가 되도록 분쇄할 수 있다. In step S120, the crushed mushroom is put into the roasting drum of the electric roaster. The reason for crushing the mushroom before roasting is to maximize the roasting effect by making the surface of the mushroom larger so that the tea is uniformly transferred to the mushroom in the roasting process. At this time, a known method may be used as the pulverizing method. The pulverization siz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chaga mushrooms can be pulverized into an irregular shape, with each pulverized material having a length and a length in the range of about 1 to 2 cm.

1차 로스팅 단계Primary Roasting Phase

S130 단계에서는 상기 전기식 로스터기에 투입된 차가버섯을 1차 로스팅한다. 1차 로스팅 단계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단계는 투입된 차가버섯의 겉표면에 수분을 분무하는 단계다. 후단계는 로스팅 단계로, 구체적으로는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가 제1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차가버섯을 1차 로스팅하는 단계다. In step S130, the carrot mushroom put in the electric roaster is roasted first. The first stage of roasting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preliminary stage is the spraying of water onto the outer surface of the mushroom. The latter step is a roasting step, specifically roasting the chrysanthemum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hrysanthemum reaches a first temperature.

로스팅 이전, 차가버섯의 겉표면에 수분을 분무하는 이유는 상술한 것처럼 차가버섯의 함수율이 다른 버섯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로스팅 조건을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수분을 보충함과 동시에 차가버섯의 온도를 다소 낮추어 로스팅 과정에서 차가버섯이 완전히 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로스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why water is sprayed on the outer surface of chaga mushroom before roasting is that the water content of chaga mushroom is relatively low as compared with other mushroom as described above and is not suitable to apply roasting condition, So that the roasted mushroom is completely burned during the roasting process so that stable roasting can be achieved.

상기 수분 분무는 차가버섯 분쇄물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수 내지 수십 ㎛의 크기를 갖는 물방울을 분사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전기식 로스터기의 로스팅 드럼의 상부에 이러한 수분 분무 장치를 별도로 장착할 수도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수분 분무는 4~6 ml/sec의 속도로 약 2 내지 7초간 이루어질 수 있다. The water spray may be a method of spraying water droplets having a size of several to several tens of 탆 in a spray manner on the ground mushroom pulverized product. For this purpose, it is also possible to separately mount the water atomizing device on the top of the roasting drum of the electric roaster. In one embodiment, the water spray may be performed at a rate of 4 to 6 ml / sec for about 2 to 7 seconds.

수분 분무 후에는 1차 로스팅이 이루어지는 데, 상기 1차 로스팅은 투입된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가 제1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온도는 47℃ 이상 78℃ 이하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온도는 75℃ 이상 7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온도는 77℃ 이상 7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After the water spray, primary roasting is performed, and the primary roasting can be performed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harged mushroom reaches the first temperature. More preferably, the first temperature is 75 ° C or higher and 78 ° C or lower. More specifically, the first temperature is 77 ° C or higher and 78 ° C or lower. desirable.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식 로스터기의 로스팅 드럼 내부 바닥면에는 1 이상의 온도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는 팁(tip)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팁은 차가버섯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식 로스터기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를 실시간으로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로스팅이 시작되면, 드럼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열을 전달받은 차가버섯 표면의 온도 역시 상승한다. 이 때,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차가버섯 표면의 온도가 제1 온도에 도달하면 1차 로스팅을 종료시킨다. 이 경우 로스팅 시간은 10분 내지 15분일 수 있다. 또한 1차 로스팅시의 로스터기의 드럼 온도의 범위는 80℃ 이상 120℃ 미만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00℃ 이상 12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더 구체적으로는 110℃ 이상 12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스터기의 드럼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로스팅 시간이 필요 이상 오래 걸려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으며, 상기 범위보다 높으면 수분 분무에도 불구하고 차가버섯이 타버릴 가능성이 크다. In one embodiment, one or more temperature sensors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asting drum of the electric roaster. The temperature sensor may comprise a tip. And the tip contacts the surface of the mushroom to measur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ushroom in real time. The electric roaster can display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ushroom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on the outside in real time. When the roasting starts, the temperature inside the drum rises and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mushroom that receives the heat also rises. At this tim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mushroom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aches the first temperature, the first roasting is terminated. In this case, the roasting time may be 10 minutes to 15 minutes. The range of the temperature of the roaster in the first roasting may be 80 ° C or more and less than 120 ° C, more specifically 100 ° C or more and less than 120 ° C or more preferably 110 ° C or more and 120 ° C or less Do. If the temperature of the drum of the roaster is lower than the above range, the roasting takes longer than necessary and is not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I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mushroom is burned despite the water spray.

2차 로스팅 단계Secondary Roasting Step

S140 단계에서는 상기 차가버섯을 2차 로스팅한다. 2차 로스팅 단계도 1차 로스팅 단계와 마찬가지로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단계는 투입된 차가버섯의 겉표면에 수분을 분무하는 단계다. 후단계는 2차 로스팅 단계로, 구체적으로는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가 제2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차가버섯을 2차 로스팅하는 단계다. In step S140, the mushroom is roasted secondarily. The second roasting stage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as in the first roasting stage. The preliminary stage is the spraying of water onto the outer surface of the mushroom. The latter step is a second roasting step, specifically a second roasting of the mushroom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ushroom reaches a second temperature.

1차 로스팅이 종료된 후, 차가버섯에 수분을 보충함과 동시에 차가버섯의 온도를 다소 낮추어 2차 로스팅 과정에서 차가버섯이 완전히 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수분 분무는 1차 로스팅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After the first roasting is completed, the car replenishes the mushrooms with water and at the same time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mushroom slightly to prevent the mushroom from burning completely during the second roasting process. The water spray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in the primary roasting,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수분 분무 후에는 2차 로스팅이 이루어지는 데, 상기 2차 로스팅은 투입된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가 제2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온도는 1차 로스팅에서의 상기 제1 온도보다 크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는 72℃ 이상 83℃ 이하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온도는 76℃ 이상 8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온도는 80℃ 이상 8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After the spraying of water, the second roasting is carried out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harged mushroom reaches the second temperature. Wherein the second temperature is great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in the first roasting.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temperature may be 72 ° C or higher and 83 ° C or lower.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temperature is preferably 76 ° C or higher and 83 ° C or lower.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temperature may be 80 ° C or higher Lt; 0 > C or lower.

1차 로스팅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전기식 로스터기의 로스팅 드럼 내부 바닥면에 설치된 1 이상의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차가버섯 표면의 온도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2차 로스팅을 종료시킨다. 이 경우 로스팅 시간은 10분 내지 15분일 수 있다. 또한 2차 로스팅시의 로스터기의 드럼 온도의 범위는 120℃ 이상 124℃ 미만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22℃ 이상 124℃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더 구체적으로는 123℃ 이상 124℃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스터기의 드럼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1차 로스팅을 반복하는 것에 지나지 않아 점진적 승온을 통한 차가버섯의 맛과 향을 증진시키지 못하며, 상기 범위보다 높으면 수분 분무에도 불구하고 차가버섯이 타버릴 가능성이 크다.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roasting,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mushroom measured by at least one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asting drum of the electric roaster reaches the second temperature, the second roasting is terminated. In this case, the roasting time may be 10 minutes to 15 minutes. In addition, the range of the drum temperature of the roaster in the second roasting may be 120 deg. C or higher and lower than 124 deg. C, more preferably 122 deg. C or higher and 124 deg. C or lower, more specifically 123 deg. Do. If the temperature of the drum of the roaster is lower than the above range, the first roasting is repeated, and the progressive increase in temperature does not improve the flavor and aroma of the mushroom. I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above range, the mushroom may burn This is big.

3차 로스팅 단계Third Roasting Step

S150 단계에서는 상기 차가버섯을 3차 로스팅한다. 3차 로스팅 단계도 2차 로스팅 단계와 마찬가지로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단계는 투입된 차가버섯의 겉표면에 수분을 분무하는 단계다. 후단계는 3차 로스팅 단계로, 구체적으로는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가 제3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차가버섯을 3차 로스팅하는 단계다. In step S150, the mushroom is roasted third. The third roasting stage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as in the second roasting stage. The preliminary stage is the spraying of water onto the outer surface of the mushroom. The latter step is a third roasting step, specifically, third roasting the mushroom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ushroom reaches the third temperature.

2차 로스팅이 종료된 후, 차가버섯에 수분을 보충함과 동시에 차가버섯의 온도를 다소 낮추어 3차 로스팅 과정에서 차가버섯이 완전히 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수분 분무는 1,2차 로스팅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After the second roasting is completed, the car replenishes the mushrooms with water and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mushrooms slightly to prevent the mushrooms from burning completely during the third roasting process. The water spray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in the first and second roasting,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수분 분무 후에는 3차 로스팅이 이루어지는 데, 상기 3차 로스팅은 투입된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가 제3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3 온도는 2차 로스팅에서의 상기 제2 온도보다 크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온도는 76℃ 이상 88℃ 이하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온도는 80℃ 이상 8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온도는 84℃ 이상 8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spraying of water, third roasting is performed, and the third roasting can be performed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harged mushroom reaches the third temperature. Wherein the third temperature is greater than the second temperature in the second roasting. In one embodiment, the third temperature may be 76 ° C or more and 88 ° C or less. More specifically, the third temperature is preferably 80 ° C or more and 88 ° C or less. More specifically, the third temperature is 84 ° C or more Lt; 0 > C or lower.

1,2차 로스팅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전기식 로스터기의 로스팅 드럼 내부 바닥면에 설치된 1 이상의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차가버섯 표면의 온도가 제3 온도에 도달하면 3차 로스팅을 종료시킨다. 이 경우 로스팅 시간은 10분 내지 15분일 수 있다. 또한 3차 로스팅시의 로스터기의 드럼 온도의 범위는 124℃ 이상 146℃ 미만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24℃ 이상 14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더 구체적으로는 124℃ 이상 138℃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스터기의 드럼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2차 로스팅을 반복하는 것에 지나지 않아 점진적 승온을 통한 차가버섯의 맛과 향을 증진시키지 못하며, 상기 범위보다 높으면 수분 분무에도 불구하고 차가버섯이 타버릴 가능성이 크다.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and second roasting,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mushroom measured by at least one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asting drum of the electric roaster reaches the third temperature, the third roasting is terminated. In this case, the roasting time may be 10 minutes to 15 minutes. In addition, the range of the drum temperature of the roaster in the third roasting may be 124 deg. C or higher and lower than 146 deg. C, more preferably 124 deg. C or higher and lower than 140 deg. C, and more specifically 124 deg. Do. If the temperature of the drum of the roaster is lower than the above range, the second roasting is repeated, and the progressive increase in temperature does not improve the flavor and aroma of the mushroom. I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above range, the mushroom may burn This is big.

본 발명에서와 같이 차가버섯을 다단계에 걸쳐 로스팅하지 않고, 단일 로스팅을 하는 경우에는 드럼 온도가 130℃를 초과하면 차가버섯이 타기 시작하여 140℃가 넘으면 완전히 타버린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점진적인 승온 과정을 거쳐 3단계에 걸쳐 로스팅을 하고, 각 로스팅 단계 직전에 차가버섯의 표면에 수분 분무를 행하면 로스팅 과정에서 드럼 온도가 140℃를 초과하여도 차가버섯이 타지 않음을 확인하였는 바(구체적으로는 146℃ 미만), 로스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차가버섯의 주요 생리활성 성분인 베타글루칸은 80℃ 이상의 온도에서는 파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점진적인 승온 과정을 거쳐 3단계에 걸쳐 로스팅을 하고, 각 로스팅 단계 직전에 차가버섯의 표면에 수분 분무를 행하면 로스팅 과정에서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가 88℃에 근접하게 올라간 경우에도 외려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품질이 향상된 차가버섯을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single roasting is performed without roasting the mushroom in multiple stages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um temperature exceeds 130 ° C, the mushroom starts burning and completely burns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140 ° C.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roasting is carried out in three steps through a gradual heating step, and when the surface of the mushroom is sprayed with water immediately before each roasting step, the mushroom does not burn even when the drum temperature exceeds 140 ° C in the roasting process (Specifically, lower than 146 캜),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roasting effect. Betaglucan, which is a major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 of chaga mushroom, is known to be destroyed at a temperature of 80 ° C or higher. A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roasting is carried out in three stages through a gradual heating step, It was confirmed that even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ushroom was raised to a level close to 88 DEG C in the roasting process, the content of the free beta-glucan was increased. As a result, the quality of the mushroom was improv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차가버섯 침출차 제조방법How to make tea mushroom leach

본 발명은 차가버섯 침출차 제조방법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침출차(leanched tea)는 원료를 그대로 또는 특수 종이 포장재로 작게 포장한 것을 물에 우려 음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차를 의미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itionally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a mushroom leach. Leached tea refers to a tea made from a small package of raw materials or special paper wrapping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drinking water.

본 발명에 따른 차가버섯 침출차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으로 처리된 차가버섯을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차가버섯을 포지에 넣어 밀봉 처리하는 포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a mushroom lea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of crushing a mushroom treated with the mushroom roa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a packing step of sealing the crushed mushroom into a forge have.

구체적으로,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으로 처리된 차가버섯을 분쇄한다. 분쇄크기는 대략 0.3mm 이상 내지 1mm 미만일 수 있다. 분쇄크기에 따른 분진정도를 시험한 결과, 차가버섯의 분쇄크기가 1mm 이상인 경우에는 분진이 많이 생김을 확인하였으므로 차가버섯의 분쇄크기는 1mm 미만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0.5mm 이상 내지 1mm 미만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쇄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쇄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ea mushroom treated with the tea mushroom roa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crushes the mushroom. The pulverization size may be about 0.3 mm or more to less than 1 mm.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gree of dusting according to the size of crushing,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crushing size of the crushing mushroom was 1 mm or more, the crushing size of the crushing mushroom was preferably less than 1 mm, more specifically 0.5 mm or more and less than 1 mm . On the other hand, the pulverizing method is not limited, and a commonly used pulverizing method can be used.

다음으로 상기 분쇄된 차가버섯을 포지에 넣어 밀봉 처리한다. 상기 포지는 통상적으로 티백(Teabag) 분야에서 사용되는 포지일 수 있다. 밀봉 처리 방법 역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정을 이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Next, the crushed chaga mushrooms are sealed in a forge. The forge may be a forge commonly used in the teabag field. The sealing process can also be performed by a commonly used proces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분쇄된 차가버섯만을 포지에 넣어 밀봉 처리할 수도 있고, 분쇄된 차가버섯 이외에 다른 분쇄 원료를 함께 포지에 넣어 밀봉 처리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차가버섯 단일침출차이며, 후자의 경우 차가버섯 혼합침출차이다. 다른 분쇄 원료의 종류는 차가버섯의 생리활성 성분을 파괴하는 원료가 아닌 이상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분쇄 원료는 약용 식물과 같은 천연물, 비타민류, 청량제(멘톨, 페퍼민트 등), 감미료, 착향료(천연 향료, 합성 향료 등) 등이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ly the crushed chaga mushrooms may be sealed by putting them in a forge, or other crushed raw materials other than crushed chaga mushrooms may be sealed together in a forge. The former is a single leach with mushroom, and the latter is a mixed leach with mushroom. The kind of the other pulverizing raw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not a raw material for destroying the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 of the mushroom. For example, the other pulverization raw materials may be natural products such as medicinal plants, vitamins, refreshing agents (menthol, peppermint, etc.), sweeteners, flavoring agents (natural flavors, synthetic flavors and the like) and the lik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은 3단계에 걸쳐 점진적인 승온 조건 하에서 차가버섯을 로스팅하고, 각 로스팅 단계 이전에 차가버섯의 겉표면에 수분을 분무하여 로스팅 공정에 의한 차가버섯 겉표면 발화를 방지함으로써, 맛과 풍미가 증진될 뿐만 아니라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증가된 차가버섯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으로 처리된 차가버섯을 분쇄하고 포지에 넣어 밀봉 처리하여 침출차 제품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단시간에 쉽게 우려내면서도 차가버섯의 베타글루칸 함량이 증진된 차가버섯 침출차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하기 시험예에서 설명되듯,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으로 처리된 차가버섯의 경우 항비만 효능이 보다 향상됨을 확인하였는 바, 보다 인체에게 유용한 차가버섯 및 차가버섯 침출차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ushroom roa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oasting the mushroom under the gradually increasing temperature conditions in three steps, spraying moisture onto the outer surface of the mushroom before each roasting step,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a mushroom which not only enhances taste and flavor but also increases the content of beta-glucan. In addition, the tea mushroom treated with the mushroom roasting method is pulverized and sealed in a forge to produce a leached tea product, thereby providing a tea mushroom leach with improved beta-glucan content of the mushroom while being easily disturbed in a short time . Further,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test exampl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nti-obesity effect of the mushroom treated with the mushroom roa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improved, and thus the mushroom and the mushroom leaching can do.

시험예Test Example

이하, 시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충 설명한다. 하기 시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하기 시험예로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s. The following Test Examples are intended to further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Test Examples.

(1) 비교예 및 실시예의 준비(1) Preparation of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비교예 및 실시예에 사용된 차가버섯은 모두 ㈜아르뜨라이프사에서 직수입한 제품이었다. 차가버섯은 비정형화된 형태로 분쇄되었으며, 각 분쇄물의 가로 및 세로의 평균 길이는 각각 1.46 cm±0.18, 1.1±0.16 cm 였다. 한편, 로스팅에 이용된 전기식 로스터기는 ㈜이맥스社의 양방향 드럼 회전 방식의 로스터기였다(제품명: Smart 1500). 관련하여 도 2에서는 본 시험에 사용된 전기식 로스터기 및 로스팅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All the mushrooms used in the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examples were products directly imported from Artificial Life Co., Ltd. Chaga mushrooms were pulverized into an irregular shape, and the mean lengths of the length and width of each pulverized material were 1.46 cm ± 0.18 and 1.1 ± 0.16 cm, respectively. Meanwhile, the electric roaster used in the roasting was a bidirectional drum rotation type roaster of Emax Corporation (product name: Smart 1500). 2 shows the electric roaster used in this test and the roasting image.

비교예 1은 별도의 로스팅 공정을 거치지 않았다. 비교예 2는 단일 로스팅 공정을 거쳤다. 비교예 2의 로스팅 조건은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가 78℃에 도달하였을 때(드럼 내부 온도는 137℃이었음), 로스팅을 종료시켰으며 걸린 시간은 대략 13분이었다. 차가버섯은 완전히 타지는 않았지만, 차가버섯 원물에 비해 진한 갈색으로 그을린 형태를 띠었다. Comparative Example 1 was not roasted separately. Comparative Example 2 was subjected to a single roasting process. The roasting condition of Comparative Example 2 was that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ushroom reached 78 캜 (the inside temperature of the drum was 137 캜), the roasting was completed and the time taken was about 13 minutes. Though the tea mushroom was not completely burned, the tea was dark brown to mushroom-shaped.

실시예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3단계 로스팅 공정을 거쳤다. 1단계 로스팅은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가 78℃ 이하일 때 종료되었고(드럼 내부 온도는 118℃), 2단계 로스팅은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상 83℃ 이하일 때 종료되었고(드럼 내부 온도는 123℃), 3단계 로스팅은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가 88℃ 이하일 때 종료되었다(드럼 내부 온도는 135℃이었음). 로스팅 시간은 각각 4분, 3분, 7분이었다. 또한 각 로스팅 단계 이전에 차가버섯 표면에 수분을 분무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각 로스팅 단계 직전 6ml/sec의 속도로 분무하였다. 3단계 로스팅이 종료된 결과, 차가버섯은 타지 않고 갈색을 띠었다. The examples were subjected to a three-step roasting process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age roasting was terminated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ushroom was below 78 ° C (118 ° C inside the drum), and the second stage roasting was terminated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ushroom was below 83 ° C (the inside temperature of the drum was 123 ° C) The three-stage roasting was terminated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ushroom was below 88 ° C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rum was 135 ° C). The roasting time was 4 minutes, 3 minutes and 7 minutes, respectively. Also, before each roasting step, water was sprayed onto the surface of the mushroom, specifically, sprayed at a rate of 6 ml / sec immediately before each roasting step. As a result of the completion of the stage 3 roast, the mushroom did not burn but became brown.

(2) 베타글루칸 함량 측정(2) Measurement of beta-glucan content

비교예 1,2와 실시예에 대하여 베타글루칸 함량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Megazyme kit인 Mixed-Linkage β-glucan kit를 사용하였으며, 총 글루칸 함량(total-glucan)에서 알파글루칸 함량(α-glucan)을 빼는 방식으로 베타글루칸 함량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3회 반복되었다. The content of beta-glucan was determined for Comparative Examples 1, 2 and Examples. The amount of beta-glucan was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α-glucan from the total glucan content using a Mixed-Linkage β-glucan kit (Megazyme kit). The measurement was repeated three times.

총 글루칸 함량의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비교예 1,2 및 실시예에 해당하는 차가버섯 100 mg에 1.5 ml HCl을 넣고 30, 45분간 방치한 후 10 ml의 물을 첨가하여 100, 2시간 반응시키고 상온으로 온도를 낮춰 10 ml의 2N KOH를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200 mM sodium acetate 완충액으로 100 ml로 증액한 후 1,500 x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 0.1 ml를 0.1 ml Bottle 1 용액[(exo-1,3 β-glucanase)와 β-glucosidase의 혼합액]과 혼합하고 40, 1시간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3 ml GOPOD 혼합액(glucose reagent + glucose oxidase, peroxidase, 4- aminoantipyridine)을 넣고 40, 20분간 반응 시킨 후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 specific method of measuring the total glucan content is as follows. First, 1.5 ml of HCl was added to 100 mg of mash mushroom correspon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2 and Example, and the mixture was allowed to stand for 30 minutes and 45 minutes. Then, 10 ml of water was added thereto and reacted for 100 hours for 2 hours. 2N KOH was added. Next, increase the volume to 100 ml with 200 mM sodium acetate buffer, centrifuge at 1,500 xg for 10 minutes, add 0.1 ml of the supernatant to 0.1 ml of Bottle 1 solution (mixture of exo-1,3 β-glucanase and β-glucosidase) And reacted at 40 for 1 hour. Then, 3 ml of GOPOD mixed solution (glucose reagent + glucose oxidase, peroxidase, 4-aminoantipyridine) was added and reacted for 40 minutes and 20 minutes,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10 nm.

알파글루칸 함량의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비교예 1,2 및 실시예에 해당하는 차가버섯 100 mg에 2 ml KOH를 넣고, 혼합한 후 20분간 ice water bath에서 균질화 하였다. 다음으로, 8 ml 1.2M sodium acetate buffer를 넣은 후 bottle 2 용액(50% glycerol + amyloglucosidase 1,630 U/ml + invertase 500 U/ml solution)을 0.2 ml 혼합하여 40, 30분 반응 후 원심분리 하였다. 이후, 상등액 0.1 ml에 GOPOD 혼합액을 첨가하여 40, 20분 반응 후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A specific method of measuring the content of alpha-glucan is as follows. First, 2 ml of KOH was added to 100 mg of mash mushroom correspon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2 and Example, mixed and homogenized in an ice water bath for 20 minutes. Next, 8 ml of 1.2 M sodium acetate buffer was added and 0.2 ml of bottle 2 solution (50% glycerol + amyloglucosidase 1,630 U / ml + invertase 500 U / ml solution) was mixed and centrifuged for 40 and 30 minutes. Thereafter, the GOPOD mixture was added to 0.1 ml of the supernatant,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10 nm after 40, 20 min reaction.

도 3은 비교예 1,2 및 실시예에 해당하는 차가버섯의 베타글루칸 함량의 상대적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교예 1,2의 경우 베타글루칸 함량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나(비교예 2가 약간 더 높음),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 1,2와는 확연히 베타글루칸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시예는 비교예 1,2에 대해 대략 1.3배 가량 베타글루칸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p < 0.05에서 T-test를 통해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이러한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sizes of beta-glucan contents of mackerel mushrooms correspon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2 and Examples. Referring to FIG. 3, 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the content of beta-gluca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ative Example 2 was slightly higher)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Examples had a beta glucan content of about 1.3 times higher than those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was verified by T-test at p <0.05, and thes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이와 같은 결과는 고분자 구조를 갖는 글루칸이 다단계 로스팅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분해된 것으로 추측된다. 즉, 상기 시험 결과로부터 점진적인 승온 과정을 거쳐 3단계에 걸쳐 로스팅을 하고, 각 로스팅 단계 직전에 차가버섯의 표면에 수분 분무를 행하면 로스팅 과정에서 드럼 온도가 130℃를 초과하여도 차가버섯이 타지 않으며, 차가버섯의 베타글루칸 함량을 높일 수 있음을확인할 수 있었다.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lucan with polymer structure is effectively degraded in the multi-stage roasting process. That is, from the above test results, the roasting is performed in three stages through a gradual heating step, and when the surface of the mushroom is sprayed with water immediately before each roasting step, the mushroom does not burn even when the drum temperature exceeds 130 ° C in the roasting process ,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betaglucan in chaga mushrooms can be increased.

한편, 비교예 1과 실시예의 경우에는 한국기능식품연구원에 의뢰하여 베타글루칸을 측정하였으며(의뢰일: 2016.11.09, 검사성적서 발급일: 2016.11.21), 그 결과 비교예 1(차가버섯 원물)의 경우 베타글루칸 함량이 58.38mg/g인 반면, 실시예(3단계 로스팅 거친 차가버섯)의 경우 베타글루칸 함량이 평균 73.29mg/g로 나타나(2회 검사하였으며 각각 72.12mg/g, 74.46mg/g로 나타났음), 본 발명에 따른 차가버섯의 베타글루칸 함량이 더 높음을 객관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한국기능식품연구원의 검사성적서를 도 4 내지 도 6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4는 비교예 1, 도 5,6은 실시예의 검사성적서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 beta-glucan was measured by the Korea Func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request date: 2016.11.09, issue date of test report: 2016.11.21) (3-step roasted mushroom) showed an average beta-glucan content of 73.29 mg / g (twice tested, 72.12 mg / g and 74.46 mg / g, respectively) ), It was objectively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beta-glucan in the mush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higher. The results of the inspection by the Korea Func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are shown in FIG. 4 to FIG. 6, respectively. Fig. 4 is a comparative example 1, and Figs. 5 and 6 are inspection results of the embodiment.

(3) In vitro 항비만 효능 평가(3) In vitro anti-obesity efficacy evaluation

분화과정에 따른 3T3-L1 세포 내 지방축적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교예 1과 실시예에 해당하는 차가버섯 시료(구체적으로는 차가버섯 추출물 100, 200 ug/ml)로 각각 처리되고 24-well에서 12일간 분화된 3T3-L1 세포의 배양액을 제거한 후에, 10% formalin 용액 500μL를 첨가하여 5분간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다음으로, 동량의 formalin 용액으로 분화된 세포를 1시간 이상 실온에서 방치한 후, formalin을 제거하고 60% isopropanol 용액 500μL로 세척하여 세포를 완전히 건조시켰다. 이후 Oil red O working solution(ORO:DDW=6:4)으로 세포 내 축적된 지방성분들을 염색 한 후 3~5회 이상 세척하여 용액을 완전히 제거한 후 핵 염색을 위하여 hematoxylin을 1분간 처리하였다. 이후, 세척하여 hematoxylin을 완전히 제거하고 건조시킨 후 이미지를 촬영하고 세포내 축적된 지방성분과 결합한 Oil red O를 100% isopropanol로 용출시켜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In order to confirm the accumulation of fat in 3T3-L1 cells according to the differentiation process, each of the samples was treated with a mushroom sample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 (specifically, mushroom extract 100, 200 ug / ml) After removing the culture medium of 3T3-L1 cells differentiated for days, 500 μL of 10% formalin solution was added an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5 minutes. Next, the cells differentiated with the same amount of formalin solution were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more than 1 hour, formalin was removed, and cells were completely dried by washing with 500 μL of 60% isopropanol solution. Then, the fat components accumulated in the cells were stained with an oil red O working solution (ORO: DDW = 6: 4) and then washed 3 to 5 times or more to completely remove the solution. Then, hematoxylin was treated for 1 minute for nuclear staining. After washing, hematoxylin was completely removed and dried, and images were taken. Oil red O bound to accumulated fat in the cells was eluted with 100% isopropanol and absorbance was measured at 520 nm.

관련하여, 도 7은 비교예 1,2 및 실시예의 지방구 형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비교예 1,2 및 실시예 모두에서 차가버섯 추출물 100, 200 ug/ml 모두에서 지방으로 분화된 3T3-L1 cell의 지방구 형성을 유의적으로 크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 is a graph showing the liposome formation inhibitory effects of Comparative Examples 1, 2 and Examples. Referring to FIG. 7, it was confirmed that in all of Comparative Examples 1, 2 and Example, lipid peroxidation of 3T3-L1 cells differentiated into fat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t 100 and 200 ug / ml of mushroom extract .

구체적으로, 차가버섯 추출물 100 ug/ml 농도의 경우, 별도의 로스팅 공정을 거치지 않은 비교예 1 보다 단일 로스팅 공정을 거친 비교예 2 및 다단 로스팅을 거친 실시예가 지방으로 분화된 3T3-L1 cell의 지방구 형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p < 0.1에서 T-test를 통해 유의성 검증). 즉, 차가버섯 전처리 공정으로 로스팅 공정을 거치는 경우에는 차가버섯의 항비만 효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 2보다 3T3-L1 cell의 지방구 형성의 억제 정도가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Specifically, in case of chicory mushroom extract at a concentration of 100 ug / ml, Comparative Example 2, which has been subjected to a single roasting process, and Example of multi-stage roasting, which have been subjected to a single roasting process, (P <0.1). The results of the T-test are shown in Fig. In other words, when the carrots were roasted in the pretreatment process, the anti-obesity effect of the mushroom was improved. Further,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inhibition of lipid perforation of 3T3-L1 cells was greater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than in Example.

한편, 차가버섯 추출물 200 ug/ml 농도의 경우, 마찬가지로 비교예 1 보다 비교예 2 및 실시예에서의 분화된 3T3-L1 cell의 지방구 형성 억제 효과가 보다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p < 0.1에서 T-test를 통해 유의성 검증). 나아가,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 2보다 3T3-L1 cell의 지방구 형성의 억제 정도가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p < 0.1에서 T-test를 통해 유의성 검증).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inhibiting lipogenesis of differentiated 3T3-L1 cells in Comparative Example 2 and Example was high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1 (p <0.1 at Tg of 200 ug / ml) -test).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3T3-L1 cells on lipid peroxidation was greater in the case of the example than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2 (significance test through T-test at p <0.1).

이와 같은 시험 결과로 볼 때 차가버섯 추출물은 모두 지방구 억제 효과가 높으며, 특히 본발명에 따라 차가버섯 전처리 공정으로 다단 로스팅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더욱 지방구 형성 억제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of the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 of Chaga mushroom has a high inhibitory effect on lipid peroxidation. Especially, when the multi-stage roasting is carried out by the pretreatment process of chimpanz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침출차 제조 및 평가(4) Manufacture and evaluation of leach vehicles

비교예 1과 실시예에 해당하는 차가버섯을 분쇄하고(분쇄크기 0.5mm - 1.0mm 미만), 티백 필터에 1g씩 덜어 침출차 샘플을 각각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각각을 75℃의 물 135ml(일반 종이컵 1회분 용량)로 2분간 우려낸 후에 차의 색상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후 시음하며 맛과 향 등을 확인하였다. 도 8은 비교예 1에 해당하는 차가버섯으로 제조한 차가티백과, 실시예에 해당하는 차가버섯으로 제조한 로스팅 차가티백 샘플을 2분간 물로 우려내어 동일한 시간동안 우러나오는 색도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The tea mushroom correspon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Example was pulverized (pulverization size of 0.5 mm to less than 1.0 mm), and 1 g of each tea was taken out to the tea bag filter to prepare each of the leach tea samples. Next, each of them was poured into 135 ml of 75 ° C water (one cup of ordinary paper cup) for 2 minutes, and then the color of the tea was visually checked. After that, the taste and flavor were confirmed by tasting. Fig. 8 is an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a tea bag prepared by a tea mushroom correspon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and a roasting tea made by a tea mushroom corresponding to the embodiment, with a sample of the tea bag for 2 minutes for the same time.

도 8을 참조하면, 로스팅 차가티백 샘플이 차가티백 샘플보다 확연히 진한 갈색을 띠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맛, 향 등 종합적 기호도 역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FIG. 8,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oasting tea has a significantly darker brownish brownish brownish sample than the tea brownish brownish brownish brownish sample.

한편, 비교예 1과 실시예에 해당하는 차가버섯 시료를 10배의 물로 70 water bath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으며, 완성된 추출액을 filter paper(Whatman paper No. 2)를 사용하여 감압여과장치로 여과·분리하고 대형 회전농축기로 70 water bath에서 60 rpm의 속도로 회전시키며 감압농축을 실시하였고, 이후 소형 회전 농축기로 옮겨 최종 동결건조를 위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완성된 농축액을 은박도시락에 넣고 deep freezer에서 24시간 이상 냉동시킨 후 동결건조기에서 3일 이상 차가버섯 시료의 분말화를 위한 동결건조를 진행하였다. 동결건조가 끝난 차가버섯 시료는 곱게 분쇄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추출수율을 계산하였다. On the other hand, the mushroom samples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s were extracted with 10 times of water in a 70 water bath for 24 hours. The resulting extract was filtered with a filter paper (Whatman paper No. 2) The concentrate was centrifuged at 70 rpm in a 70 water bath with a large rotary evaporator and then concentrated to a small rotary evaporator to prepare a concentrate for final freeze drying. Next, the completed concentrate was placed in a silver - bag lunch box, frozen for 24 hours or more in a deep freezer, and freeze - dried for powdering of the mushroom samples for 3 days or more in a freeze dryer. Freeze - dried mushroom samples were finely pulverized and weighed and the extraction yield was calculated.

그 결과, 비교예 1에 해당하는 차가버섯의 추출수율이 대략 155mg/g, 실시예에 해당하는 차가버섯의 추출수율이 대략 199mg/g로 측정되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으로 처리된 차가버섯의 추출수율이 약 1.3배 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xtraction yield of the mushroom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about 155 mg / g, and the extraction yield of the mushroom of the Example was about 199 mg / g. The extraction yield of mushroom was higher than that of mushroom by about 1.3 times.

이상,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n the invention, and that such modification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a) 로스터기를 예열하는 단계;
b) 상기 로스터기에 분쇄된 차가버섯을 투입하는 단계;
c) 상기 차가버섯의 겉표면에 1차적으로 수분을 분무하는 단계;
d) 상기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가 제1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차가버섯을 1차 로스팅하는 단계;
e) 1차 로스팅 후, 상기 차가버섯의 겉표면에 2차적으로 수분을 분무하는 단계;
f) 상기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큰 제2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차가버섯을 2차 로스팅하는 단계;
g) 2차 로스팅 후, 상기 차가버섯의 겉표면에 3차적으로 수분을 분무하는 단계; 및
h) 상기 차가버섯의 표면 온도가 상기 제2 온도보다 큰 제3 온도 - 제3 온도는 88℃ 이하임- 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차가버섯을 3차 로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
a) preheating the roaster group;
b) injecting chopped mushroom into the roaster;
c) spraying water primari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ushroom;
d) roasting the mushroom first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ushroom reaches a first temperature;
e) spraying secondarily the moisture onto the outer surface of the mushroom after primary roasting;
f) secondarily roasting the mushroom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ushroom reaches a second temperature great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g) spraying water thirdarily onto the outer surface of the mushroom after the second roasting; And
and (h) third roasting the mushroom until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ushroom is above the second temperature and the third temperature - the third temperature is below 88 占 폚.
청구항 1에 있어서,
i) 차가버섯을 배출시키고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 discharging the mushroom and cooling at room tempera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온도는 78℃ 이하이고,
상기 제2 온도는 83℃ 이하이고,
상기 제3 온도는 88℃ 이하인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emperature is 78 占 폚 or less,
The second temperature is 83 DEG C or less,
Lt; RTI ID = 0.0 &gt; 88 C. &lt; / RTI &g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상기 로스터기의 드럼 온도의 범위는 80℃ 이상 120℃ 미만이고,
상기 f) 단계의 상기 로스터기의 드럼 온도의 범위는 120℃ 이상 124℃ 미만이고,
상기 h) 단계의 상기 로스터기의 드럼 온도의 범위는 124℃ 이상 146℃ 미만인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range of the temperature of the drum of the roaster in step d) is in the range of 80 ° C or more and less than 120 ° C,
The range of the drum temperature of the roaster of step f) is in the range of 120 ° C to 124 ° C,
And the range of the drum temperature of the roaster group in step h) is not less than 124 ° C but less than 146 ° C.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가버섯 로스팅 방법으로 처리된 차가버섯을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차가버섯을 포지에 넣어 밀봉 처리하는 포장 단계를 포함하는 차가버섯 침출차 제조방법.
Crushing the mushroom treated with the mushroom roast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nd a packing step of sealing the ground mushroom with the ground mushroom in a forge.
KR1020160164831A 2016-12-06 2016-12-06 Roasting method for enhancing beta-glucan of chaga mushroom and method for preparing chaga mushroom leached tea KR201800646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831A KR20180064681A (en) 2016-12-06 2016-12-06 Roasting method for enhancing beta-glucan of chaga mushroom and method for preparing chaga mushroom leached t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831A KR20180064681A (en) 2016-12-06 2016-12-06 Roasting method for enhancing beta-glucan of chaga mushroom and method for preparing chaga mushroom leached te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681A true KR20180064681A (en) 2018-06-15

Family

ID=6262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831A KR20180064681A (en) 2016-12-06 2016-12-06 Roasting method for enhancing beta-glucan of chaga mushroom and method for preparing chaga mushroom leached te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4681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624A (en)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건강다모아 Manufacturing method of β-glucan enhanced chaga mushroom and extract produced by the chaga mushroom
KR20220086112A (en) * 2020-12-16 2022-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Method for increasing the content of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and nutrients in Grifola frondosa
KR20220087253A (en) * 2020-12-17 2022-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Method for manufacturing tea of Pleurotus ostreatus tea improved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nutrition components
KR102474272B1 (en) * 2021-09-10 2022-12-05 김도윤 Manufacturing method for food ingredients using gradation roast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406B1 (en) * 2015-06-25 2016-01-22 김혜랑 Mushroom tea production method
KR20160118428A (en) * 2015-04-01 2016-10-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Roasting and extracting method of chaga to enhance -gluca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428A (en) * 2015-04-01 2016-10-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Roasting and extracting method of chaga to enhance -glucan
KR101585406B1 (en) * 2015-06-25 2016-01-22 김혜랑 Mushroom tea production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624A (en)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건강다모아 Manufacturing method of β-glucan enhanced chaga mushroom and extract produced by the chaga mushroom
KR20220086112A (en) * 2020-12-16 2022-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Method for increasing the content of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and nutrients in Grifola frondosa
KR20220087253A (en) * 2020-12-17 2022-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Method for manufacturing tea of Pleurotus ostreatus tea improved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nutrition components
KR102474272B1 (en) * 2021-09-10 2022-12-05 김도윤 Manufacturing method for food ingredients using gradation roasting
WO2023038206A1 (en) * 2021-09-10 2023-03-16 김도윤 Food material production method using roas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8302B (en) Tea green leaf powder and applications thereof
KR20180064681A (en) Roasting method for enhancing beta-glucan of chaga mushroom and method for preparing chaga mushroom leached tea
JP4589029B2 (en) Method for producing green chunaka tea leaves and chunaka green powder
EA016902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tea product
JP6711778B2 (en) Process for producing processed tea leaves
KR101196440B1 (en) The short-course a ferment puer tea powder and its manufactaring method
KR20170009707A (en) Method of producing coffee beverage with black choke berry
JP2010172259A (en) Tea extra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775112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liquid type coffee containing high level of Chlorogenic acid
CN107712144A (en) A kind of dendrobium instant tea
US20110143001A1 (en) Date kernel preparation
KR10131324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broccoli latte using freez-drying broccoli powder
KR101657348B1 (en) Preparation method of coffee bean extract with low caffeine using low temperature extraction, and preparation method of capsule coffee using the same
KR101291399B1 (en) A Powder for Infusion of Puffing Red Ginseng and Process for the Same
KR102021691B1 (en) Aged wolfberry syrup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N101715860A (en) Blackberry bag fruit te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60006069A (en) Low-caffeine coffee with large amount of effective component of raw coffee bean prepared by low temperature extraction, and capsule coffee comprising the the same
KR20080112810A (en) Phellinus linteus mushroom tea improved extraction and its processing method
KR20180100501A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whole rice, grean tea
KR101862786B1 (en) Ginseng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2002191332A (en) Coffee leaf tea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8651668A (en) A kind of Woman health coffe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600408B1 (en) A powder of roasting red ginseng and a method of the powder
KR10223084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aw Rice Wine Containing Coffee
KR100900071B1 (en) Method for preparing powder of ginse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