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254A - 승차대 - Google Patents

승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254A
KR20180064254A KR1020160164703A KR20160164703A KR20180064254A KR 20180064254 A KR20180064254 A KR 20180064254A KR 1020160164703 A KR1020160164703 A KR 1020160164703A KR 20160164703 A KR20160164703 A KR 20160164703A KR 20180064254 A KR20180064254 A KR 20180064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frame
guide
pane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영
장영호
설영동
박재호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riority to KR1020160164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4254A/ko
Publication of KR20180064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승차대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승차대는: 바닥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는 차양부와, 메인프레임에 구비되는 편의시설부 및 메인프레임과 대비색채로 구비되는 정거장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차대{PLATFORM}
본 발명은 승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의 대기 공간을 제공함에 있어서, 개방감이 있는 구조와, 색감에 의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다양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승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선 버스는 지하철과 함께 다수 승객의 수송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는 대중교통수단이다.
노선 버스는 도로변에 소정 간격으로 지정된 다수의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면서 승객을 승,하차 시키게 되는데, 이때 버스 정류장에는 탑승을 희망하는 노선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의 편의 및 안전을 위해 다양한 구조를 갖는 버스 승차대가 설치된다.
특히, 도심에서 중앙버스전용차가 시행됨에 따라, 버스 정류장에는 다양한 구조의 버스 승차대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는 승객에게 편의 및 안전을 제공함과 아울러, 도시 미관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버스 승차대는 승객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를 기다리는 대기장소임과 동시에 버스의 노선 안내 및 각종 광고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57988호 (2011.08.12. 발명의 명칭 : 다기능 버스정류장 쉘터)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의 대기 공간을 제공함에 있어서, 개방감이 있는 구조와, 색감에 식별성 향상에 의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조립성이 향상되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승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 승객뿐만 아니라 장애우의 이용이 용이한 승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차대는: 바닥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는 차양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는 편의시설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과 대비색채로 구비되는 정거장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은 양측으로 이동 공간이 확보되도록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를 연결하는 수평바, 및 상기 수평바와 상기 지주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의 사이에는 패널부가 구비되고, 상기 패널부와 상기 지주는 착탈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착탈부는 상기 패널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가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의시설부는 상기 패널부에 구비되는 의자 및 상기 패널부에 형성되는 약자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부는 강화유리부와, 상기 강화유리부의 좌우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강화유리부의 상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연결하는 코너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양부는 상기 수평바의 직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천정프레임과, 상기 천정프레임에 결합되는 외팔보와, 상기 외팔보의 상면에 결합되는 차양부재 및 상기 차양부재에 구비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거장 안내부에는 음성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객의 대기 공간을 제공함에 있어서, 개방감이 있는 구조에 의해 어느 곳에서나 대기 승객을 확인할 수 있고, 부딪힘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의시설부, 음성안내부에 의해 일반 승객뿐만 아니라 노약자, 장애우이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정거장 안내부가 상호 대비색채로 형성되어 정거장명 안내가 용이하고, 색각이상자, 저시력자, 고령자의 명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 성형으로 부품을 형성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메인프레임, 패널부, 차양부의 조립성이 향상되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대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대의 좌측면도이다.
도 6는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B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대의 조명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승차대의 패널부 연결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차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대의 우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대의 좌측면도이고, 도 6는 도 1의 A-A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B-B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대의 조명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승차대의 패널부 연결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대(100)는 버스 정류장 또는 택시 정류장에 설치되어 승객에게 대기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대기 공간을 제공함에 있어서, 개방된 구조적 특징에 의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설치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노약자, 장애우의 이용이 용이한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대(100)는 메인프레임(110), 차양부(140), 편의시설부(160) 및 정거장 안내부(170)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10)은 바닥에 고정된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0)은 양측으로 이동 공간이 확보되도록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지주(112)와, 지주(112)를 연결하는 수평바(114) 및 수평바(114)와, 지주(112)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115)을 포함한다.
지주(112)의 기초부(미도시)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기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기초부는 노출방지를 위해 바닥에서 최소 200mm 이상 매립되고, 기초부에 지주(112)가 결합되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지주(112)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되어 동일선상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지주(112)는 지주(112)의 양측으로 이동 경로나 공간이 확보되도록 중심이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30cm를 초과하지 않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동일선상으로 지주(112)를 배치시킴으로써 장애우들이나 노약자들의 이동시 장애물이 되던 종래의 구조물의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고, 이동 경로를 쉽게 확보할 수 있어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도 있다.
연결브라켓(115)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주(112)에 끼움결합되는 제1끼움부(116)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바(114)에 끼움결합되는 제2끼움부(117)가 형성되어 끼움결합된다.
지주(112)의 사이에는 패널부(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패널부(120)와 지주(112)는 착탈부(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착탈부(130)는 패널부(120)에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32) 및 가이드돌기(132)가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지주(11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홈(134)을 포함한다.
가이드레일홈(134)은 지주(112)의 둘레면 사방에 형성되어 패널부(120)는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120)에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32)와 가이드레일홈(134)의 단면 형상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돌기(132)는 가이드레일홈(134)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된다. 가이드돌기(132)가 결합되지 않은 가이드레일홈(134)에는 마감부재(135)가 슬라이드 결합된다.
패널부(120)는 강화유리부(122), 강화유리부(122)의 좌우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지주(112)에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24)과, 강화유리부(122)의 상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수직프레임(124)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26) 및 수직프레임(124)과 수평프레임(126)을 연결하는 코너브라켓(127)을 포함한다.
강화유리부(122)에는 노선도, 또는 광고 등이 인쇄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124)과 수평프레임(126)은 중공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코너브라켓(127)은 수직프레임(124)과 수평프레임(126)의 내부로 끼움결합된다. 코너브라켓(127)은 연결브라켓(115)과 유사하게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삽입부(128)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삽입부(129)로 형성된다. 여기서, 지주(112)의 가이드레일홈(134)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드돌기(132)는 패널부(120)의 수직프레임(124)에 형성된다.
수평프레임(126)에는 제어기기(미도시)가 구비되는 기계실이 구비된다.
차양부(140)는 메인프레임(110)의 상단에 구비된다. 차양부(140)는 도 2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114)의 직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천정프레임(142)과, 천정프레임(142)의 상면에 결합되는 차양부재(145) 및 차양부재(145)에 구비되는 조명부(150)를 포함한다. 천정프레임(142)은 수평바(114)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143)와, 외팔보(143)를 상호 연결하는 고장바(144)로 이루어진다. 차양부재(145)는 햇볕을 가릴 수 있는 주름판(146)과, 주름판(146)의 상부에 구비되는 강화유리(148)로 이루어진다. 차양부재(145)는 디자인을 고려하여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조명부(150)는 도 7과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판(146)에 구비되는 조명프레임(152)과, 조명프레임(152)에 구비되는 도광판(154)과 도광판(154)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156)과, 도광판(154)의 상면에 구비되는 반사부재(157) 및 도광판(154)의 하면에 구비되어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158)을 포함한다.
즉, 광원(156)의 빛이 도광판(154)에 의해 면발광되므로써, 야간에 눈부심이 없는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0)에는 편의시설부(160)가 구비된다. 편의시설부(160)는 패널부(120)의 전면에 구비되며, 패널부(120)에 구비되는 의자(162) 및 패널부(120)에 형성되는 약자보호부(164)를 포함한다. 패널부(120)의 절반에 해당되는 부위에는 의자(162)가 형성되고, 나머지 절반에 해당되는 부위에는 약자보호부(164)가 형성되어 약자보호부(164) 측에 휠체어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거나, 휠체어를 고정할 수 있으며, 또는 노약자들을 위한 공간이 마련될 수도 있다.
정거장 안내부(170)는 정거장명이 형성된다. 이러한 정거장 안내부(170)는 메인프레임(110)과 대비색채로 형성된다. 즉, 일측의 지주(112)는 다른 지주(112)와 달리 안착홈이 형성되는 'ㄷ'자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정거장 안내부(170)는 안착홈에 안착되는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지주(112)와 정거장 안내부(170)는 상호 대비색채를 적용하여 색각이상자, 저시력자, 고령자에게 명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예로서 정거장 안내부(170)는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대표색을 적용할 수도 있다. 정거장명은 실크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정거장 안내부(170)에는 음성안내부(172)가 구비된다. 음성안내부(172)는 시각장애우을 위한 안내방송을 실시하여 편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대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승차대(100)는 도로변의 버스 정류장 또는 택시 정류장에 설치되어 버스 또는 택시를 기다리는 승객에게 편안한 대기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차대(100)의 조립을 살펴보면, 기초부에 각각 지주(112)가 기립되어 설치된다. 이후, 연결브라켓(115)을 이용하여 수평바(114)가 끼움결합된다.
지주(112)의 사이에는 패널부(120)가 구비된다. 패널부(120)의 중앙에 강화유리부(122)가 구비되고, 좌우 가장자리에 수직프레임(124), 상하 가장자리에 수평프레임(126)이 구비되며, 수직프레임(124)과 수평프레임(126)은 코너브라켓(127)에 의해 결합된다. 이처럼 구성된 패널부(120)는 수직프레임(124)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32)가 지주(112)의 가이드레일홈(134)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따라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12)와 지주(112) 사이에 패널부(120)가 구비되며, 지주(112)와 지주(112) 사이에 패널부(120)가 구비되지 않으면, 승객이 통과할 수 있는 입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지주(112)는 동일선상으로 배치되어 개방감 있는 승차대(1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ㄱ'자 형태로 배치되는 구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행인의 부딪힘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개방감에 의해 어디에서도 승객의 수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패널부(120)의 강화유리부(122)에는 노선도는 물론, 다양한 광고가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 승객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양부(140)는 수평바(114)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천정프레임(142)이 배치되고, 천정프레임(142)에 외팔보(143)를 매개로 차양부재(145)가 결합된다. 차양부재(145)는 주름판(146)과 강화유리(148)로 이루어지는데, 요철형상의 주름판(146)에 의해 차양이 가능하고, 형상에 의해 강화유리(148)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차양부(140)에는 조명부(150)가 구비되어 야간에 승객에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조명부(150)는 광원(156)을 면발광할 수 있는 도광판(154)으로 구성되어 대기 승객에서 은은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어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부(120)에는 승객이 착석하여 쉴 수 있는 의자(162)가 구비되고, 휠체어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에 약자보호부(164)가 형성되어 노약자, 장애우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더욱이, 정거장 안내부(170)에는 음성안내부(172)가 구비되고, 시각장애우을 위한 음성안내가 가능하여 편의성이 향상된다. 정거장 안내부(170)는 메인프레임(110)과 대비색채를 적용하여 색각이상자, 저시력자, 고령자의 명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대에 의하면, 개방감이 있는 구조에 의해 어느 곳에서나 대기 승객을 확인할 수 있고, 부딪힘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편의시설부 및 음성안내부에 의해 일반 승객뿐만 아니라 노약자, 장애우의 이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정거장 안내부가 상호 대비색채로 형성되어 정거장명 안내가 용이하고, 색각이상자, 저시력자, 고령자의 명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 성형으로 부품을 형성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승차대 110 : 메인프레임
112 : 지주 114 : 수평바
115 : 연결브라켓 116 : 제1끼움부
117 : 제2끼움부 120 : 패널부
122 : 강화유리부 124 : 수직프레임
126 : 수평프레임 127 : 코너브라켓
128 : 제1삽입부 129 : 제2삽입부
130 : 착탈부 132 : 가이드돌기
134 : 가이드레일홈 135 : 마감부재
140 : 차양부 142 : 천정프레임
143 : 외팔보 144 : 고정바
145 : 차양부재 146 : 주름판
148 : 강화유리 150 : 조명부
152 : 조명프레임 154 : 도광판
156 : 광원 157 : 반사부재
158 : 확산판 160 : 편의시설부
162 : 의자 164 : 약자보호부
170 : 정거장 안내부 172 : 음성안내부

Claims (7)

  1. 바닥에 고정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는 차양부;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는 편의시설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과 대비색채로 구비되는 정거장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양측으로 이동 공간이 확보되도록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를 연결하는 수평바; 및
    상기 수평바와 상기 지주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사이에는 패널부가 구비되고;
    상기 패널부와 상기 지주는 착탈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착탈부는 상기 패널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가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시설부는 상기 패널부에 구비되는 의자; 및
    상기 패널부에 형성되여 약자를 보호하는 약자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강화유리부;
    상기 강화유리부의 좌우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지주에 결합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강화유리부의 상하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연결하는 코너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대.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는 상기 수평바의 직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천정프레임;
    상기 천정프레임에 결합되는 외팔보;
    상기 외팔보의 상면에 결합되는 차양부재; 및
    상기 차양부재에 구비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거장 안내부에는 음성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대.
KR1020160164703A 2016-12-05 2016-12-05 승차대 KR20180064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703A KR20180064254A (ko) 2016-12-05 2016-12-05 승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703A KR20180064254A (ko) 2016-12-05 2016-12-05 승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254A true KR20180064254A (ko) 2018-06-14

Family

ID=6262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703A KR20180064254A (ko) 2016-12-05 2016-12-05 승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42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473B1 (ko) * 2020-04-09 2020-10-06 유한회사 애드게이트 지붕의 안전성 및 설치 편의성이 향상된 개방형 정류장 부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118A (ko) * 2012-12-17 2014-06-2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버스 승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118A (ko) * 2012-12-17 2014-06-2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버스 승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473B1 (ko) * 2020-04-09 2020-10-06 유한회사 애드게이트 지붕의 안전성 및 설치 편의성이 향상된 개방형 정류장 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8703B1 (en) Waiting and boarding disembarking station for urban public transport
KR20110034234A (ko) 다기능 버스정류장 쉘터
KR20180064254A (ko) 승차대
Steinfeld Universal design in mass transportation
JP5355507B2 (ja) 鉄道車両用袖仕切り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CN213806780U (zh) 一种公交车站
KR200491647Y1 (ko) 장애인 차량용 운전자 보호 커버
EP3031667B1 (en) Bus adapted for the performance of plays en route
CN220301873U (zh) 一种便于残疾人上下车的太阳能节能型候车亭
KR20200102160A (ko) 다기능 버스정류장 쉘터
KR20150060659A (ko) 버스 지붕 옥외 광고용 구조체
JP2006214172A (ja) 屋根付き屋外駐車場
KR0136888Y1 (ko) 버스의 실내공간 확보를 위한 세퍼레이터
KR20140084890A (ko) 객실의자 겸용 승객 비상탈출용 사다리
CN214267409U (zh) 一种右前桥玻璃钢座椅
JP2010090648A (ja) 座面付きバス停止標識
KR102063964B1 (ko) 형태와 크기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모듈형 버스승강장
JP2511488Y2 (ja) バスの車体構造
JP2002220938A (ja) バス停留所
Steinfeld The Built Environment
JPH081182Y2 (ja) バ ス
KR20240000518U (ko) 버스정류장용 대기장치
KR0150330B1 (ko) 차량의 장애자용 휠체어 스테이션
KR20240118305A (ko) 자율주행 모빌리티 및 모빌리티의 주차 시스템
JP4662389B1 (ja)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