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087A -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레이저 조사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레이저 조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087A
KR20180064087A KR1020160164256A KR20160164256A KR20180064087A KR 20180064087 A KR20180064087 A KR 20180064087A KR 1020160164256 A KR1020160164256 A KR 1020160164256A KR 20160164256 A KR20160164256 A KR 20160164256A KR 20180064087 A KR20180064087 A KR 20180064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section
treatment area
guide path
laser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수
이정호
허정우
임정수
Original Assignee
(주)오앤드리메디컬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앤드리메디컬로봇 filed Critical (주)오앤드리메디컬로봇
Priority to KR1020160164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4087A/ko
Priority to PCT/KR2017/003442 priority patent/WO2017183826A1/ko
Priority to CN201780024844.1A priority patent/CN109069856B/zh
Priority to JP2018555457A priority patent/JP2019513500A/ja
Priority to US16/094,837 priority patent/US11033331B2/en
Priority to EP17786095.4A priority patent/EP3446751A4/en
Publication of KR20180064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30Surgical rob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4Body surface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364Correlation of different images or relation of image positions in respect to the body
    • A61B2090/365Correlation of different images or relation of image positions in respect to the body augmented reality, i.e. correlating a live optical image with another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2005/06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botic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레이저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은 객체의 3차원 이미지를 구성하는 단계, 3차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객체의 표면상에 레이저가 조사되는 치료 영역이 설정되는 단계, 치료 영역을 지나는 가이드 경로(Guide Path)가 설정되는 단계, 가이드 경로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이 설정되는 단계 및 객체의 표면 중 상기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레이저를 조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가이드 경로는 치료 영역으로 진입하기 위한 제1 구간, 치료 영역 내부에서 동일 속도로 직선 이동하는 제2 구간 및 치료 영역의 외부에서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곡선 이동하여 치료 영역으로 재진입하기 위한 제3 구간을 포함하며, 레이저는 상기 제2 구간에서 일정 주파수로 조사된다.

Description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레이저 조사 장치{Method of movement pattern control for laser therapy and laser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로봇암을 이용한 레이저 조사 장치에서 레이저의 이동 패턴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치료 등의 목적을 위해 레이저빔을 피부에 조사하여 시술하는 다양한 레이저 치료 기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레이저 치료 기법의 이용을 위한 의료용 레이저 장치 역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 기법은 탈모 방지나 발모 촉진, 피부 박피, 피부 재생, 미백, 주름이나 반점 제거, 기미 제거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레이저 치료 장치를 사용자, 예컨대 의사가 수동으로 조작하면서 치료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치료의 정밀도가 저하됨으로써 치료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레이저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도하게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레이저 조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은, 객체의 3차원 이미지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표면상에 레이저가 조사되는 치료 영역이 설정되는 단계; 상기 치료 영역을 지나는 가이드 경로(Guide Path)가 설정되는 단계; 상기 가이드 경로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이 설정되는 단계; 상기 객체의 표면 중 상기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레이저를 순차적으로 조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경로는 상기 치료 영역으로 진입하기 위한 제1 구간, 상기 치료 영역 내부에서 동일 속도로 직선 이동하는 제2 구간 및 상기 치료 영역의 외부에서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곡선 이동하여 상기 치료 영역으로 재진입하기 위한 제3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는 상기 제2 구간에서 일정 주파수로 조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조사 장치는, 객체의 3차원 이미지를 구성하여, 상기 객체의 표면상에 레이저가 조사되는 치료 영역, 상기 치료 영역을 지나는 가이드 경로 및 상기 가이드 경로 상에 배치되는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을 설정하기 위한 비전 제어부; 상기 객체의 표면 중 상기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레이저를 순차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부; 및 상기 설정된 가이드 경로 및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부의 이동 및 레이저 조사를 제어하기 위한 모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경로는 상기 치료 영역으로 진입하기 위한 제1 구간, 상기 치료 영역 내부에서 동일 속도로 직선 이동하는 제2 구간 및 상기 치료 영역의 외부에서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곡선 이동하여 상기 치료 영역으로 재진입하기 위한 제3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는 상기 제2 구간에서 일정 주파수로 조사된다.
한편, 상기 이동 패턴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그 자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조사 장치는 인터넷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치료의 정밀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레이저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로봇암을 이용해 레이저를 이동시킴에 있어서, 치료 영역 내부와 외부에서의 이동 속도 및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레이저 조사 포인트의 위치들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조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조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조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레이저부가 이동되는 가이드 경로에 대한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4 및 도 25는 레이저부가 이동되는 가이드 경로에 대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6은 레이저 조사 포인트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봇암을 이용한 레이저 조사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환자의 얼굴 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소정의 객체의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에든지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조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이저 조사 장치(10)는 스캐너(Scanner, 300), 로봇암(Robot-Arm, 10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캐너(300)는 객체를 스캔하여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로우 데이터는 2차원 이미지(2D Image)와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원 이미지(2D Image)는 컬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환자의 피부의 컬러 정보에 따라 모세혈관 확장증 등과 같은 특정 증상에 대한 진단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원 이미지(2D Image)와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를 이용하여, 환자 얼굴의 모공 크기, 위치, 깊이 등이 검출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스캐너(300)는, 도 2의 경우와 같이, 2차원 컬러 이미지(2D Image)를 촬영하는 컬러센서(310), 3차원 깊이 데이터(3D Depth Data)를 획득하는 IR 프로젝터(320)와 IR 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IR 프로젝터(320)가 IR 광을 객체(400)의 표면, 즉 환자의 피부에 조사하면, IR 센서(330)가 객체(400)의 표면에 반사되는 IR 광을 검출하여 깊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컬러센서(310)는 객체의 표면을 촬영하여 2차원 컬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로봇암(100)은, 도 3에서와 같이, 엔드이펙터(End-Effector, EE, 101)를 장착하고,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객체(400)의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로봇암(100)은 가이드 경로(GP)에 대응하여 객체(400)의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레이저는 엔드이펙터(101)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로봇암(100)을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라고 볼 수 있다.
제어부(200)는 레이저 조사 장치(10)의 전반적인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비전 제어부(210)와 모션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전 제어부(210)는 스캐너(300)로부터 2차원 이미지와 깊이 정보를 포함하는 로우 데이터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로우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객체(400)의 3차원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우 데이터의 원점(origin)과 좌표의 방향은 객체(400), 예를 들어 얼굴의 형태(shape)와 크기(volume)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스캐너(300)의 스캔 시작 지점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변화될 수도 있다.
또한, 비전 제어부(210)는 상기 로우 데이터를 정렬(alignment)하여 좌표를 조정할 수 있다. 그를 위해, 비전 제어부(210)는 얼굴 인식(face recognition) 알고리즘을 이용해 객체의 눈과 코 등의 위치를 검출하여, 정렬 동치 행렬(aligning homogeneous matrix)를 획득할 수 있다.
비전 제어부(210)는 3차원 이미지 상에서 객체(400)의 표면상에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을 설정할 수 있다.
관심 영역(ROI)은 레이저 조사가 필요한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예를 들어, 의사)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3차원 이미지의 처리를 통해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얼굴 표면상에 4개의 코너 포인트들(coner points)을 클릭하여 상기 관심 영역(ROI)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코너 포인트에 대응되는 수직 벡터(normal vector)가 획득될 수 있다.
한편, 비전 제어부(210)는 스캐너(30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객체(400)의 표면의 색(Color) 또는 명암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관심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비전 제어부(210)는 스캐너(300)가 촬영한 객체(400)의 2차원 컬러 이미지로부터 객체(400)의 표면에서 색이 주위와 다른 부분 및/또는 명암이 주위와 다른 부분을 검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색 및/또는 명암이 주위와 다른 부분을 포함하도록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특정 부분이 어둡게 보이는 것은 주로 색소 또는 혈관의 깊이 등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그와 달리 피부의 굴곡(contour)에 따른 그늘진 영역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얼굴의 색소 또는 혈관 등에 의해 어둡게 보이는 것과, 피부의 굴곡에 의해 그늘진 영역에서 어둡게 보이는 것을 구별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별에 의해 피부과적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의 굴곡에 의해 그늘진 영역이 발생하는 경우는 노화 때문에 피부가 쳐지거나 피하지방층이 위축되어 오는 것이기 때문에, 탄력 치료, 지방이식, 필러 등의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흉터에 의해 그늘진 영역이 발생한 경우 흉터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객체의 표면에서 레이저가 조사되어 치료가 필요한 부분을 치료 영역(Region Of Therapy, ROT)이라고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치료 영역(ROT)은 사람의 피부에 생기는 점, 기미, 주근깨, 화상 자국, 문신, 여드름 자국, 다크 서클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종류, 파장 또는 주파수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치료 가능한 영역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색 및/또는 명암이 주위와 다른 부분이, 비전 제어부(210)에 의해 상기 치료 영역(ROT)으로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관심 영역(ROI)과 치료 영역(ROT)이 별도로 설정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실제 레이저가 조사될 치료 영역(ROT)만이 설정될 수도 있다.
비전 제어부(2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판단(또는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 치료를 위한 객체 상의 이동 패턴을 구성하며, 상기 이동 패턴은 상기 관심 영역(ROI) 또는 치료 영역(ROT)을 지나는 가이드 경로(Guide Path, GP)를 설정함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그 후, 비전 제어부(210)는 상기 가이드 경로(GP)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포인트들을 설정한다. 상기 복수의 포인트들은 객체의 표면상에 레이저가 조사될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2차원 이미지 상에서 표시되는 가이드 경로(GP) 상의 포인트가 3차원 이미지 상으로 투영(projection)될 수 있다.
또한, 비전 제어부(210)는 상기 가이드 경로(GP)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포인트들 중 치료 영역(ROT) 내에 위치하는 포인트들만을 선택하여 객체의 표면 상에서 실제 레이저가 조사될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을 획득할 수 있다.
모션 제어부(220)는 비전 제어부(210)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해 로봇암(100)의 동작을 제어하여, 레이저를 방출하는 엔드이펙터(101)가 객체의 표면에 인접해 이동하면서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레이저가 방출되는 동안 엔드이펙터(101)와 객체의 표면 간의 간격은 이동 중에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간격은 레이저의 초점 거리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제어부(220)는 상기 비전 제어부(210)에서 설정된 가이드 경로(GP) 및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기초하여, 로봇암(100)의 레이저부의 의 이동 및 레이저 조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션 제어부(220)는 상황에 따라 로봇암(100)을 긴급 정지시켜 레이저의 조사를 긴급 중단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의사 또는 환자의 동작이나 음성 등에 의해 로봇암(10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조사 장치(10)는 수동 모드 및 자동 모드에서 각각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 모드에서는 스캐너(300)가 객체(400)의 표면을 스캔하여 객체(400)의 표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제어부(200)가 로봇암(100)을 제어하여 객체(400)의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반면에, 수동모드에서는 제어권을 사용자, 예컨대 의사에게 위임할 수 있다. 수동모드에서는 로봇암(100)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조사 장치(10)를 이용한 레이저 조사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조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것으로, 레이저 조사 장치(10)의 동작 및 구성 중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모드 설정이 자동 모드인지 여부가 판단되고(S100 단계), 자동 모드가 아닌 경우 수동 모드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110 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레이저 조사 장치(10)에 구비된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입력하여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S110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수동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다른 기능(Default)을 수행한다(S120 단계).
한편, 수동 모드인 경우, 수동 모드 설정을 확인하고(S130 단계), 사용자에게 제어권을 위임한다(S140 단계).
여기서, 제어권을 사용자에게 위임한다는 것은 제어부(200)가 스스로 판단하여 로봇암(100)을 동작시키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수동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힘으로 로봇암(100)을 동작시키면서 레이저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100 단계에서 판단 결과 자동 모드인 경우, 스캐너(300)가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객체(400)의 표면을 스캔한다(S150 단계). 스캐너(300)의 스캔 결과로서, 2차원 이미지와 깊이 정보를 포함하는 로우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이후, 비전 제어부(210)는 스캐너(300)가 획득한 로우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3차원 이미지를 구성한다(S160 단계).
예를 들면, 도 5의 (A)와 같은 사람의 머리 형태의 석고상(Plaster Cast)을 스캔하면, 도 5의 (B)와 같은 형태로 3차원 이미지가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객체(400)에 대해 사람의 머리 형태의 석고상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3차원 이미지를 구성한 이후, 3차원 이미지 상에서 객체(400)의 표면상에 관심 영역(ROI)이 설정된다(S170 단계)
예를 들면, 도 5의 (C)의 경우와 같이 3차원 이미지 상에서 객체(400)의 표면에 제1 코너 포인트(Pcor, 1), 제2 코너 포인트(Pcor, 2), 제3 코너 포인트(Pcor, 3) 및 제4 코너 포인트(Pcor, 4)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제1, 2, 3, 4 코너 포인트를 꼭지점으로 하여 구획되는 영역을 관심 영역(ROI)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4개의 코너 포인트를 이용하여 관심 영역(ROI)을 설정하였으나, 상황에 따라 사용되는 코너 포인트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코너 포인트를 이용하여 관심 영역(ROI)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코너 포인트(Pcor, 1)를 제1 포인트(P1), 제2 코너 포인트(Pcor, 2)를 제2 포인트(P2), 제3 코너 포인트(Pcor, 3)를 제3 포인트(P3), 제4 코너 포인트(Pcor, 4)를 제 4 포인트(P4)라고 칭할 수 있다.
이후, 관심 영역(ROI)을 지나는 가이드 경로(GP)가 설정된다(S180 단계).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영역(ROI) 내에서 가이드 경로(GP)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 경로(GP)의 시작지점, 즉 레이저를 조사하기 시작하는 지점은 Ps로 표시하고, 가이드 경로(GP)의 종료지점, 즉 레이저 조사가 종료되는 지점은 Pt로 표시하였다.
이후, 가이드 경로(GP)에 대응하여 객체의 표면상의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순차적으로 레이저가 조사된다(S190 단계).
가이드 경로(GP)는 로봇암(100)이 레이저를 조사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로봇암(100)은 가이드 경로(GP)에 대응하여 이동하면서 객체의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 경로(GP)는 레이저의 탄착지점을 연결한 경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관심 영역(ROI)은 객체(400)의 표면의 색, 명암, 굴곡(contour) 및 질감(texture)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관심 영역(ROI)을 설정하는 상기 S170 단계에서는, 먼저 객체(400)의 표면의 색 및/또는 명암이 판별된다(S171 단계). 여기서, 객체(400)의 2차원 컬러 이미지로부터 객체(400)의 표면의 색 및/또는 명암이 판단될 수 있다.
이후, 판별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되고(S172 단계), 판별값을 비교/분석한 결과에 따라 객체(400)의 표면에서 색 또는 명암 중 적어도 하나가 주위와 다른 치료 영역(ROT)이 검출된다(S173 단계).
예를 들어, 객체(400)의 표면에서 색, 명암, 굴곡(contour) 및 질감(texture)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하여 일반 영역(RON)과 치료 영역(ROT)이 구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16개의 단위 영역(Unit Area)이 4×4 형식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경우, 각각의 단위 영역에 표시된 숫자는 명도값(Brightness Value)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명도값을 40이라고 가정하면, 명도값이 40보다 작은 (1, 1), (2, 1), (3, 1), (3, 2), (3, 3), (3, 4), (4, 1), (4, 2), (4, 3) 및 (4, 4)의 단위 영역을 치료 영역(ROT)으로 판별할 수 있다.
나머지 부분은 일반 영역(Region Of Normal, RON)이라고 할 수 있다.
치료 영역(ROT)의 명도는 다른 부분, 즉 일반 영역(RON)의 명도보다 더 낮아서 상대적으로 더 어두울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치료 영역(ROT)의 컬러는 일반 영역(RON)의 컬러보다 더 짙을 수 있다. 컬러가 짙다는 것은 더 어둡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치료 영역(ROT)의 명도값은 미리 설정된 기준 명도값보다 더 낮은 부분이라고 할 수도 있다. 기준 명도값은 객체(400)의 표면의 상태, 특징(예를 들어 굴곡 또는 질감 등), 컬러톤 등의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명도값은 상수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환자 개개인 또는 치료 부위별로 다르게 설졍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치료 영역(ROT)에 인접한 부분과 피부톤을 일치시키기 위해 주변 영역의 명도값 등을 고려하여 가변될 수 있다.
얼굴이 전체적으로 밝은 백인의 경우에는 기준 명도값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얼굴이 전체적으로 밝은 경우에는 점, 기미 등의 치료가 필요한 부분, 즉 치료 영역이 더 두드러지게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얼굴이 백인에 비해 전체적으로 어두운 황인종의 경우에는 기준 명도값을 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치료 영역(ROT)을 검출한 이후에, 관심 영역(ROI)이 설정된다(S174).
상기한 바와 같이, 관심 영역(ROI)은 치료 영역(ROT)을 포함하며, 관심 영역(ROI)과 치료 영역(ROT)은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객체(400)의 표면상의 소정 영역(R1) 상에 주위의 일반 영역(RON)과 명도, 컬러, 굴곡, 질감 등이 다른 치료 영역(ROT)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며, 치료 영역(ROT)의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설정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를 연결하는 제1 라인(L1)이 치료 영역(ROT)과 접하고, 제2 포인트(P2)와 제3 포인트(P3)를 연결하는 제2 라인(L2)이 치료 영역(ROT)과 접하며, 제3 포인트(P3)와 제4 포인트(P4)를 연결하는 제3 라인(L3)이 치료 영역(ROT)과 접하고, 제4 포인트(P4)와 제1 포인트(P1)를 연결하는 제4 라인(L4)이 치료 영역(ROT)과 접하도록 제1, 2, 3, 4 포인트(P1, P2, P3, P4)를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2, 3, 4 포인트(P1, P2, P3, P4)로 구획되는 영역을 관심 영역(ROI)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치료 영역(ROT)은 관심 영역(ROI)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관심 영역(ROI)은 치료 영역(ROT) 뿐 아니라 일반 영역(RON)의 일부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반 영역(RON)에서 관심 영역(ROI)에 포함된 부분을 제2 일반영역(RON2)이라고 하고, 일반 영역(RON)에서 관심 영역(ROI)에 포함되지 않는 부분을 제1 일반영역(RON1)이라고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관심 영역(ROI)을 설정할 때, 인접하는 두 개의 포인트를 연결하는 라인이 치료 영역(ROT)에 접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의 경우와 같이, 인접하는 두 개의 포인트를 연결하는 라인(L1, L2, L3, L4) 중 적어도 하나는 치료 영역(ROT)에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관심 영역(ROI)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만약, 치료 영역(ROT)의 형태가 다각형 형태인 경우에는 포인트의 설정 위치에 따라 치료 영역(ROT)과 관심 영역(ROI)이 동일한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경로(GP)는 치료 영역(GOT)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 영역(ROT) 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가이드 경로(GP)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가이드 경로(GP)는 치료 영역(ROT)을 지나고, 레이저는 치료 영역(ROT)에 조사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레이저 조사의 시작단계와 종료단계에서는 레이저의 강도(Intensity, Strength) 및/또는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의 시작단계에서는 레이저의 강도(Intensity, Strength) 또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키고, 조사단계의 종료단계에서는 레이저의 강도 또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레이저의 시작단계를 가속구간(D1)이라 칭하고, 레이저의 종료단계를 감소구간(D3)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구간(D1)에서는 로봇암(100)의 이동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즉, 로봇암(100)이 가속될 수 있다.
가속구간(D1)의 발생이유는 로봇암(100)을 동작시키는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시점부터 원하는 회전속도에 도달하는 데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감속구간(D3)에서는 로봇암(100)의 이동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즉, 로봇암(100)이 감속될 수 있다. 감속구간(D3)이 발생하는 이유도 가속구간(D1)과 유사하게 로봇암(100)을 동작시키는 모터에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시점부터 모터가 정지하는 데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가속구간(D1)에서 레이저의 강도 및/또는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키고, 감속구간(D3)에서 레이저의 강도 및/또는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게 되면, 레이저를 보다 균일하게 조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레이저의 강도 및/또는 주파수는 로봇암(100)의 이동속도와 거의 비례할 수 있다.
가속구간(D1)과 감속구간(D3)의 사이 구간은 유지구간(D2)이라고 할 수 있으며, 상기 유지구간(D2)에서는 레이저의 조사가 중단되는 않는다면 레이저의 강도 및/또는 주파수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유지구간(D2)에서는 로봇암(100)의 속도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로봇암(100)의 가속이 종료되는 시점부터 감속이 시작되는 시점까지의 기간(D2)동안 로봇암(100)의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구간(D1)에서 계단형으로 레이저의 강도 및/또는 주파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속구간(D3)에서 계단형으로 레이저의 강도 및/또는 주파수를 감소시키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속구간(D1)에서 레이저의 강도 및/또는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키고, 감속구간(D3)에서 레이저의 강도 및/또는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가이드 경로(GP)는 관심 영역(ROI) 내에서 치료 영역(ROT)을 벗어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영역(ROI)은 치료 영역(ROT)과 일반 영역, 즉 제2 일반 영역(RON2)을 함께 포함하는 경우에, 가이드 경로(GP)는 치료 영역(ROT)과 제2 일반 영역(RON2)을 모두 통과할 수 있다.
이 경우, 레이저는 치료 영역(ROT)에 대응해서 턴-온(Trun-On)되고, 제2 일반 영역(RON2)에 대응해서 턴-오프(Turn-Off)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관심 영역(ROI) 내에서 치료 영역(ROT)의 형태와는 관계없이 가이드 경로(GP)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경로(GP)는 치료 영역(ROT)을 지나는 부분과 치료 영역(ROT)을 벗어나서 제2 일반영역(RON2)을 지나는 부분(T1, T2, T3, T4)을 포함할 수 있다.
로봇암(10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경로(GP)에서 제2 일반영역(RON2)을 지나는 부분에 대응해서는 레이저를 턴-오프(Turn-Off) 시킬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로봇암(100)이 가이드 경로(GP)를 따라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객체(400)의 표면의 색 또는 명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레이저를 온/오프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로봇암(100)이 가이드 경로(GP)에 대응하여 이동하다가 주위보다 색이 더 짙거나 명도가 더 낮은 부분, 즉 치료 영역(ROT)에 대응되면 레이저를 턴-온(Turn-On) 시키고, 주위보다 색이 더 옅거나 명도가 더 높은 부분, 즉 일반영역(RON)에 대응되면 레이저를 턴-오프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로봇암(100)이 제2 일반영역(RON2)을 지나는 기간(T1, T2, T3, T4) 동안 레이저의 주파수 및/또는 강도가 거의 0으로 설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로봇암의 움직임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치료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모션 제어부(220)의 제어 하에, 치료 영역(ROT)의 색 및/또는 명도의 정도에 따라 레이저의 주파수, 조사 시간, 조사 회수 또는 강도(Intensity)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을 참조하면, 치료 영역(ROT)은 제1 치료 영역(ROT1)과 제2 치료 영역(ROT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치료 영역(ROT2)의 색은 제1 치료 영역(ROT1)의 색보다 더 짙거나, 제2 치료 영역(ROT2)의 명도는 제1 치료 영역(ROT1)의 명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또는, 제2 치료 영역(ROT2)의 명도는 미리 설정된 임계 명도값보다 낮고, 제1 치료 영역(ROT1)의 명도는 미리 설정된 임계 명도값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치료 영역(ROT2)은 제1 치료 영역(ROT1)에 비해 집중적인 치료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레이저의 시작지점(Ps)에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가이드 경로(GP) 상에서 제2 일반영역(RON2)과 제1 치료 영역(ROT1)의 경계점을 제1 지점(X1)이라 하고, 제1 치료 영역(ROT1)과 제2 치료 영역(ROT2)의 경계점을 제2 지점(X2)이라 하며, 제2 치료 영역(ROT2)과 제2 일반영역(RON2)의 경계점을 제3 지점(X3)이라 하고, 제2 일반영역(RON2)과 제1 치료 영역(ROT1)의 경계점을 제4 지점(X4)이라 하며, 제1 치료 영역(ROT1)과 제2 치료 영역(ROT2)의 경계점을 제5 지점(X5)이라 하고, 제2 치료 영역(ROT2)과 제1 치료 영역(ROT1)의 경계점을 제6 지점(X6)이라 하며, 제1 치료 영역(ROT1)과 제2 치료 영역(ROT2)의 경계점을 제7 지점(X7)이라 하고, 제2 치료 영역(ROT2)과 제1 치료 영역(ROT1)의 경계점을 제8 지점(X8)이라 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의 시작지점(Ps)부터 제1 지점(X1)의 사이 및 제3 지점(X3)부터 제4 지점(X4)의 사이에서는 레이저를 턴-오프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Ps-X1 구간 및 X3-X4구간은 제2 일반영역(RON2)에 포함되는 구간이기 때문에 로봇암(100)이 레이저가 조사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X1-X2 구간, X4-X5 구간, X6-X7 구간 및 제8 지점(X8)부터 감속구간(D3)이 시작되기 이전까지의 구간에서는 레이저의 주파수를 제1 주파수(f1)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X1, X3 및 X4 지점에서는, 엔드이펙터(101)의 속도의 변화, 레이저의 최대 단위면적(fluence) 또는 펄스 폭(pulse duration) 등의 조정에 의한 레이저 조사 강도의 변화 또는 레이저 조사 주파수의 변화를 통해, 점진적인 조사 조건의 변화(gradation)가 주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X1, X3 및 X4 이외의 지점들에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점진적인 조사 조건의 변화(gradation)가 주어지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X2-X3 구간, X5-X6 구간 및 X7-X8 구간에서는 레이저의 주파수를 제1 주파수(f1)보다 높은 제2 주파수(f2)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치료 영역(ROT2)에 상대적으로 더 강한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어서 치료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8의 (A)를 참조하면, X1-X3구간, X4-X8 구간 및 제8 지점(X8)부터 감속구간(D3)이 시작되기 이전까지의 구간에서는 레이저의 주파수를 제1 주파수(f1)로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레이저의 주파수를 유지한 상태에서,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구간(D1)이 종료되는 지점부터 제2 지점(X2)까지의 구간, X3-X5 구간, X6-X7 구간 및 제8 지점(X8)부터 감속구간(D3)이 시작되기 이전까지의 구간에서는 로봇암(100)의 이동속도를 제1 속도(V1)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에, X2-X3 구간, X5-X6 구간 및 X7-X8 구간에서는 로봇암(100)의 이동속도를 제1 속도(V1)보다 느린 제2 속도(V2)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치료 영역(ROT2)에 상대적으로 더 오랫동안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어서 치료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2 치료 영역(ROT2)에 대해서는 치료 횟수를 제1 치료 영역(ROT1)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19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의 (A)는 로봇암(100)이 관심 영역(ROI) 내에서 가이드 경로(GP)에 따라 객체(400)의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레이저 치료를 1회차 실시하는 상황을 나타낸 것이며, 도 19의 (B)는 1회차 치료가 종료된 이후에 실시하는 2회차 치료를 실시하는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의 (A)를 참조하면, X1-X3 구간, X4-X8 구간 및 제8 지점(X8)부터 감속구간(D3)이 시작되기 이전까지의 구간에서는, 로봇암(100)이 레이저를 조사하고, 여기서 레이저의 주파수를 제1 주파수(f1)로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9의 (B)를 참조하면, 2회차 치료과정에서는, 제2 치료 영역(ROT2)에 대응하는 X2-X3 구간, X5-X6 구간 및 X7-X8 구간에서 로보암(100)이 레이저를 조사하고, 여기서 레이저의 주파수를 제2 주파수(f2)와 제1 주파수(f1)의 차이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치료 영역(ROT2)에서는 제 2 주파수(f2)의 레이저가 조사되는 것과 유사한 치료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치료 효과를 높이고, 치료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도 24의 경우와 같이, 로봇암(100)의 엔드이펙터(101)가 객체(400)의 표면에 정확히 수직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봇암(100)은 충분한 자유도(Degree Of Freedom, DOF)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로봇암(100)은 적어도 5 자유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예외적인 상황에 대비하여 6 자유도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조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레이저 방출부(Laser Emitter), 모터(Motor), 모터 드라이브(Motor Drive), 반사미러(Mirror) 및 엔드이펙터(EE)를 포함하는 로봇암(100)이 사람 머리 형태의 석고상인 객체(400)의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경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모터와 모터 드라이브는 로봇암(100)을 동작시키며, 레이저 방출부가 레이저를 발사하면 반사미러가 이를 소정 각도로 반사하여 엔드이펙터에 도달하도록 하며, 로봇암(100)의 말단부에 연결된 엔드이펙터(EE)가 레이저를 객체(400)의 표면에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와 모터 드라이브는, 비전 제어부(210)에 의해 설정된 가이드 경로(GP)를 따라 엔드이펙터(EE)가 이동되도록, 모션 제어부(2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방출부(Laser Emitter)는, 비전 제어부(210)에 의해 설정된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모션 제어부(2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자유도를 가지는 구조의 로봇암(100)을 동작시켜 엔드이펙터(EE)를 통해 객체의 표면상에서 가이드 경로(GP)를 따라 레이저를 순차적으로 조사하는 경우, 로봇암(100)의 동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가이드 경로(GP)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로봇암(100)의 움직임 또는 엔드이펙터(EE)의 이동 패턴은 연속적인 것이 바람직하며, 속도의 변화가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로봇암(100)의 동작을 미리 설정된 가이드 경로(GP) 및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맞춰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경로(GP)가 치료 영역(ROT) 내부뿐 아니라 외부를 지나며, 치료 영역(ROT)의 내부에서는 로봇암(100)임 일정한 이동 속도 및 레이저 주사 주파수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로봇암(100)의 움직임 또는 엔드이펙터(EE)의 이동 패턴을 연속적으로 함과 동시에, 속도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이동 패턴 제어 방법을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조사 장치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중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비전 제어부(210)는 객체의 3차원 이미지를 구성하고(S2100 단계), 3차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객체의 표면상에 레이저가 조사되는 치료 영역(ROT)을 설정한다(S2110 단계).
그 후, 비전 제어부(210)는 치료 영역(ROT)을 지나는 가이드 경로(Guide Path)를 설정하고(S2120 단계), 가이드 경로(GP)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을 설정한다(S2130 단계).
여기서, 상기 S2120 단계에서 설정되는 가이드 경로(GP)는, 치료 영역(ROT)으로 진입하기 위한 제1 구간, 치료 영역(ROT) 내부에서 동일 속도로 직선 이동하는 제2 구간 및 치료 영역(ROT)의 외부에서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곡선 이동하여 치료 영역(ROT)으로 재진입하기 위한 제3 구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션 제어부(220)는 객체의 표면 중 상기 S2130 단계에서 설정된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로봇암(100)을 제어한다(S2130 단계).
상기 가이드 경로(GP)의 제2 구간에서는, 레이저가 일정 주파수로 조사될 수 있으며, 로봇암(100)의 엔드이펙터(EE) 이동 속도가 일정하게 제어됨에 따라, 서로 인접한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5는 로봇암(100)의 레이저부가 이동되는 가이드 경로(GP)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치료 영역(ROT)이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치료 영역(ROT)의 형태 또는 크기 등은 다양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은 치료 영역(ROT)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행(row)들을 구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간격을 두고 수형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PE1, PE2, PE3...)은 제1 행(R1)을 구성하고, 하측 방향으로 인접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수형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은 제2 행(R1)을 구성하여,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로 이루어진 복수의 행들이 치료 영역(ROT)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경로(GP)는 시작지점(Ps)으로부터 일정 속도(v_1)로 이동하여 치료 영역(ROT)으로 진입하는 제1 구간(GP1), 치료 영역(ROT) 내에서 일정 속도(v_2)로 직선 이동하며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2 구간(GP2), 치료 영역(ROT)으로부터 나와 곡선 이동하여 치료 영역(ROT)으로 재진입하는 제3 구간(GP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경로(GP)의 제2 구간(GP2)에서는, 레이저가 일정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조사되어, 미리 설정된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 사이의 간격을 가지고 레이저가 순차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경로(GP)의 제3 구간(GP3)에서는,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의 제1 행(R1)으로부터 나와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곡선 이동하여, 수직 방향으로 바로 인접한 제2 행(R2)으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경로(GP)의 제1 구간(GP1)과 제2 구간(GP2)에서의 이동 속도(V_1, V_2)는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가이드 경로(GP)의 제3 구간(GP3)에서의 이동 속도는 상기 제2 구간(GP2)에서의 이동 속도(V_2)로부터 일정 속도(V_3)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치료 영역(ROT)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이동하고 상기 일정 속도(V_3)로부터 제2 구간(GP2)에서의 이동 속도(V_2)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제2 행(R2)으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치료 영역(ROT) 내에서의 이동 패턴은 균일 속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치료 영역(ROT) 외부에서의 이동 패턴은 곡선 운동에 맞춰 속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엔드이펙터(End-Effector)가 장착된 로봇암(Robot-Arm)에 의해 레이저가 이동 조사되는 구조에서 로봇암(100)의 동작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이 이루는 제1 행(R1)과 제2 행(R2)에 대해 레이저가 조사된 후,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경로(GP)의 제2 구간(GP2)와 제3 구간(GP3)이 반복되어 치료 영역(ROT) 내의 모든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위치들에 대한 조사가 완료될 수 있다.
모든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위치들에 대한 조사가 완료된 후에, 가이드 경로(GP)는 치료 영역(ROT)으로부터 이탈하여 종료지점(Pt)까지 일정 속도(V_4)로 이동하기 위한 제4 구간(GP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경로(GP)의 제4 구간(GP4)에서의 이동 속도(V_4)는 제1 구간(GP1)과 제2 구간(GP2)에서의 이동 속도(V_1, V_2)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로봇암(100)의 레이저부가 양방향, 즉 좌측에서 우측 및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으로 이동 패턴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로봇암(100)의 레이저부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레이저를 조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경로(GP)의 상기 제3 구간(GP3)에서,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이 이루는 복수의 행들 중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지 않은 두 개의 행들 사이를 곡선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가이드 경로(GP)의 제3 구간(GP3)에서,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의 제1 행(R1)으로부터 나와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곡선 이동하여, 수직 방향으로 바로 인접하지 않은 하측의 제9 행(R9)으로 진입할 수 있다.
그 후, 제9 행(R9)의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레이저가 조사되고, 제9 행(R9)으로부터 나와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곡선 이동하여 수직 방향으로 바로 인접하지 않은 상측의 제2 행(R2)으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치료 영역(ROT) 외부에서 이동하는 곡선 구간에서 1 이상의 행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행들을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곡선 이동 구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로봇암(100)의 동작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짧은 시간 내에 레이저가 조사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피부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이 이루는 제1 행(R1), 제9 행(R9), 제2 행(R2)에 대해 레이저가 조사된 후,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경로(GP)의 제2 구간(GP2)와 제3 구간(GP3)이 반복되어 치료 영역(ROT) 내의 모든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위치들에 대한 조사가 완료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서로 인접한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순차적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대한 조사 순서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치료 영역(ROT) 내부의 동일한 행을 이루는 복수의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을 건너 뛰고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건너 뛰어진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레이저를 조사하기 위하여 로봇암(100)의 레이저부가 이전 가이드 경로(GP) 상의 행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은 레이저부가 이동되는 가이드 경로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가이드 경로 및 레이저 조사 방법 중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가이드 경로(GP)는 시작지점(Ps)으로부터 일정 속도(v_1)로 이동하여 치료 영역(ROT)으로 진입하는 제1 구간(GP1), 치료 영역(ROT) 내에서 일정 속도(v_2)로 직선 이동하며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2 구간(GP2), 치료 영역(ROT)으로부터 나와 곡선 이동하여 치료 영역(ROT)으로 재진입하는 제3 구간(GP3), 치료 영역(ROT)으로부터 이탈하여 종료지점(Pt)까지 일정 속도(V_4)로 이동하기 위한 제4 구간(GP4), 종료지점(Pt)으로부터 시작지점(Ps)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5 구간(GP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경로(GP)의 제2 구간(GP2)에서는, 복수의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 중 하나의 레이저 조사 포인트를 건너뛰고 순차적으로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다.
그를 위해, 상기 제2 구간(GP2)에서, 로봇암의 레이저부가 이동하는 속도가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경우보다 빨라지거나, 또는 레이저의 조사 주파수가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경우보다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경로(GP)의 제3 구간(GP3)에서는,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의 제1 행(R1)으로부터 나와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곡선 이동하여, 수직 방향으로 바로 인접한 제2 행(R2)으로 진입할 수 있다.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이 이루는 제1 행(R1)과 제2 행(R2)에 대해 레이저가 조사된 후, 가이드 경로(GP)의 제2 구간(GP2)와 제3 구간(GP3)이 반복되어 치료 영역(ROT) 내의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 중 일부에 대한 조사가 완료될 수 있다.
모든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대응되는 위치들에 대한 조사가 완료된 후에, 가이드 경로(GP)는 치료 영역(ROT)으로부터 이탈하여 종료지점(Pt)까지 일정 속도(V_4)로 이동하기 위한 제4 구간(GP4)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치료 영역(ROT) 내의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 중 레이저가 조사되지 않은 위치들에 조사하기 위하여, 제5 구간(GP5)에서 종료지점(Pt)으로부터 시작지점(Ps)까지 곡선 이동하여 복귀할 수 있다.
로봇암의 레이저부가 시작지점(Ps)으로 복귀된 후,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경로(GP)에 따라 레이저가 조사되지 않은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레이저가 조사되어, 치료 영역(ROT) 내의 모든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대한 조사가 완료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가이드 경로(GP) 및 레이저 조사 방법은, 인접한 위치에 레이저를 연속하여 조사함에 따라 환자가 느낄 수 있는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조사 장치에서 "무통모드"가 선택된 경우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 중 하나의 조사 포인트를 건너뛰고 레이저가 조사되는 것으로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환자의 통증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2 이상의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을 건너뛰고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얼굴의 치료영역(ROT) 전체를 2번에 걸쳐 이동하면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것도 가능하나, 그 이외에 2 이상의 행들에 대해 레이저가 조사된 후 다시 그 이전 행으로 복귀하여 레이저가 조사되지 않은 조사 포인트들에 대해 레이저가 조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을 건너뛰고 레이저가 조사하는 방법은, 치료영역(ROT)의 외부에서 곡선 이동하는 가이드 경로(GP)가 적용되는 것과 별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몇 개의 조사 포인트를 건너뛸 것인지, 몇 개의 행들에 대해 레이저가 조사된 후 이전 위치로 복귀하여 레이저를 재조사할 것인지, 치료영역(ROT)의 외부에서 곡선 이동하는 가이드 경로(GP)를 적용할 것인지 등은 치료 목적, 치료 효과, 치료 단계 및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정도 등 다양한 사항들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경로(GP)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속적인 이동 패턴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그러한 경우에도 로봇암(100)의 움직임, 보다 상세하게는 로봇암(100)을 구성하는 관절들의 움직임은 불연속적일 수 있다.
로봇암(100)의 움직임이 불연속한 위치에서 레이저가 조사되는 경우, 레이저가 조사되는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게 되어, 미리 설정된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의 위치가 불규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봇암(100)의 움직임이 불연속한 위치에서 상기 레이저가 조사되지 않도록, 복수의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도 28은 레이저 조사 포인트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의 (a)를 참조하면, 경우에 따라 로봇암(100)의 움직임(실선으로 나타냄)이 불연속적일 수 있으며, 로봇암(100)의 움직임이 불연속한 위치에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PE2, PE3, PE4)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암(100)의 움직임이 불연속한 위치(또는 시점)에서 레이저가 조사되지 않도록, 도 2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PE2, PE3, PE4)의 위치가 연속적인 움직임을 가지는 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로봇암을 이용하는 형태의 레이저 조사 장치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환자의 신체 얼굴을 감싸는 겐트리(Gantry) 형태의 레이저 조사 장치 또는 환자의 얼굴에 부착되는 레이저 어레이 패치 형태의 레이저 조사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장치에서 이동 패턴을 제어하는데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객체의 3차원 이미지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표면상에 레이저가 조사되는 치료 영역이 설정되는 단계;
    상기 치료 영역을 지나는 가이드 경로(Guide Path)가 설정되는 단계;
    상기 가이드 경로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이 설정되는 단계;
    상기 객체의 표면 중 상기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레이저를 순차적으로 조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경로는 상기 치료 영역으로 진입하기 위한 제1 구간, 상기 치료 영역 내부에서 동일 속도로 직선 이동하는 제2 구간 및 상기 치료 영역의 외부에서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곡선 이동하여 상기 치료 영역으로 재진입하기 위한 제3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는 상기 제2 구간에서 일정 주파수로 조사되는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경로는
    상기 제2 구간과 제3 구간이 복수 회 반복되며, 상기 치료 영역으로부터 이탈하기 위한 제4 구간을 더 포함하는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은 상기 치료 영역 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행(row)들을 구성하며,
    상기 가이드 경로의 상기 제3 구간은 상기 복수의 행들 중 두 개의 행들 사이를 곡선 이동하도록 설정되는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간은
    상기 복수의 행들 중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행들 사이를 곡선 이동하도록 설정되는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간은
    상기 복수의 행들 중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지 않은 두 개의 행들 사이를 곡선 이동하도록 설정되는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간에서의 이동 속도는
    상기 제2 구간에서의 이동 속도인 제1 속도부터 제2 속도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다가, 상기 제2 속도부터 상기 제1 속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엔드이펙터(End-Effector)가 장착된 로봇암(Robot-Arm)에 의해 조사되는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암의 움직임이 불연속한 위치에서 상기 레이저가 조사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10. 객체의 3차원 이미지를 구성하여, 상기 객체의 표면상에 레이저가 조사되는 치료 영역, 상기 치료 영역을 지나는 가이드 경로 및 상기 가이드 경로 상에 배치되는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을 설정하기 위한 비전 제어부;
    상기 객체의 표면 중 상기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레이저를 순차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부; 및
    상기 설정된 가이드 경로 및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부의 이동 및 레이저 조사를 제어하기 위한 모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경로는 상기 치료 영역으로 진입하기 위한 제1 구간, 상기 치료 영역 내부에서 동일 속도로 직선 이동하는 제2 구간 및 상기 치료 영역의 외부에서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곡선 이동하여 상기 치료 영역으로 재진입하기 위한 제3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는 상기 제2 구간에서 일정 주파수로 조사되는 레이저 조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경로는
    상기 제2 구간과 제3 구간이 복수 회 반복되며, 상기 치료 영역으로부터 이탈하기 위한 제4 구간을 더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은 상기 치료 영역 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행(row)들을 구성하며,
    상기 가이드 경로의 상기 제3 구간은 상기 복수의 행들 중 두 개의 행들 사이를 곡선 이동하도록 설정되는 레이저 조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간은
    상기 복수의 행들 중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행들 사이를 곡선 이동하도록 설정되는 레이저 조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간은
    상기 복수의 행들 중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지 않은 두 개의 행들 사이를 곡선 이동하도록 설정되는 레이저 조사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간에서의 이동 속도는
    상기 제2 구간에서의 이동 속도인 제1 속도부터 제2 속도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다가, 상기 제2 속도부터 상기 제1 속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부는
    엔드이펙터(End-Effector)가 장착된 로봇암(Robot-Arm)을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 제어부는
    상기 로봇암의 움직임이 불연속한 위치에서 상기 레이저가 조사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레이저 조사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조정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
KR1020160164256A 2016-04-19 2016-12-05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레이저 조사 장치 KR20180064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256A KR20180064087A (ko) 2016-12-05 2016-12-05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레이저 조사 장치
PCT/KR2017/003442 WO2017183826A1 (ko) 2016-04-19 2017-03-29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레이저 조사 장치
CN201780024844.1A CN109069856B (zh) 2016-04-19 2017-03-29 用于激光治疗的移动模式控制方法以及利用其的激光照射装置
JP2018555457A JP2019513500A (ja) 2016-04-19 2017-03-29 レーザー治療のための移動パターンの制御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レーザーの照射装置
US16/094,837 US11033331B2 (en) 2016-04-19 2017-03-29 Method for controlling moving pattern for laser treatment and laser irradiation device using same
EP17786095.4A EP3446751A4 (en) 2016-04-19 2017-03-29 MOBILE PATTERN CONTROL METHOD FOR LASER PROCESSING AND LASER RADIATION EXPOSURE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256A KR20180064087A (ko) 2016-12-05 2016-12-05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레이저 조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087A true KR20180064087A (ko) 2018-06-14

Family

ID=6262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256A KR20180064087A (ko) 2016-04-19 2016-12-05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레이저 조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40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963B1 (ko) 레이저 치료를 위한 영역 분할 방법, 그를 이용한 레이저 치료 방법 및 장치
CN109069856B (zh) 用于激光治疗的移动模式控制方法以及利用其的激光照射装置
EP3446750B1 (en) Laser irradiation apparatus using robot arm
CN109069854B (zh) 激光照射装置
US9364684B2 (en) Aesthetic treatment device and method
WO2015184146A1 (en) Systems for automated biomechanical computerized surgery
KR102594427B1 (ko) 로봇암을 이용한 레이저 조사 장치 및 방법
KR20160122581A (ko) 안정성이 향상된 피부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치료용 레이저 조사 방법
KR20180064087A (ko) 레이저 치료를 위한 이동 패턴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레이저 조사 장치
KR20180102031A (ko) 레이저 치료를 위한 영역 분할 방법, 그를 이용한 레이저 치료 방법 및 장치
KR102594429B1 (ko) 로봇암을 이용한 레이저 조사 장치 및 방법
US20120239017A1 (en) Optical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94428B1 (ko) 로봇암을 이용한 레이저 조사 장치
JP6994793B1 (ja) 脱毛装置及び照射位置補正方法
KR102539314B1 (ko) 피부 병변 형상에 기반한 레이저 치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22585A (ko) 영상분석과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컨트롤러 모듈을 이용한 피부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및 컨트롤러 모듈을 이용한 치료부위 영상 분석 방법
CN117523599A (zh) 一种刷脸与刷掌集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80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426

Effective date: 2019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