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927A -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927A
KR20180062927A KR1020170069818A KR20170069818A KR20180062927A KR 20180062927 A KR20180062927 A KR 20180062927A KR 1020170069818 A KR1020170069818 A KR 1020170069818A KR 20170069818 A KR20170069818 A KR 20170069818A KR 20180062927 A KR20180062927 A KR 20180062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fatty acid
alky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131B1 (ko
Inventor
유용희
김혜진
김은종
최새롬
정민우
최승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80062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융점 왁스; 계면활성제; 및 디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1 회의 세안만으로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는 높이고 오일 잔여감은 낮추며, 세안 후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는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Cleansing Make-up on the Skin}
본 발명은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융점 왁스; 계면활성제; 및 디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1 회의 세안만으로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는 높이고 오일 잔여감은 낮추며, 세안 후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는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렌징(cleansing)은 메이크업 성분을 지워내는 1차 세안과 메이크업 잔여물, 피지, 피부 노폐물을 제거하는 2차 세안으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도 메이크업 클렌징은 1차 세안이라 불리는데, 색조제품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클렌징을 위한 대표 제품으로는 클렌징 오일과 클렌징 크림이 있다. 메이크업 성분은 주로 오일과 유분산형 분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성 성분을 주요 세정 수단으로 사용하는 클렌징 오일과 클렌징 크림 제형의 메이크업 클렌징이 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이고 있지만, 사용 후 오일 잔여감이 남는다는 단점이 있어 2차 세안을 추가로 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최근 메이크업 용해성이 높으면서도 물에 잘 용해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개발되면서 클렌징 워터라고 불리우는 수성 클렌징 제품이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메이크업 용해성이 클렌징 오일 및 클렌징 크림이 월등히 우수하므로 소비자들은 여전히 클렌징 오일과 클렌징 크림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1차 세안에서 클렌징 오일 또는 클렌징 크림을 사용할 경우, 유성 클렌징 성분들이 메이크업 잔여물과 함께 피부에서 겉돌면서 미끌거림을 야기하여 소비자들은 이에 대해 세정성이 부족하다고 이야기하고 있으며, 이를 완벽하게 제거하고자 2차 세안을 추가로 실시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2차 세안을 위한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클렌징 폼 제품이 있으며, 클렌징 폼은 지방산을 일정량 중화하여 비누화시킨 페이스트 폼 타입과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액상 폼 타입이 존재한다. 전자의 경우 지방산을 100% 중화하지 않고 남아있는 유리 지방산에 의해 뽀득한 마무리감을 부여하여 소비자의 심리적인 세정효과를 높이지만, 피부 건조를 심하게 야기시키는 부작용이 존재한다. 또한, 후자의 경우도 세정성이 높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다량 사용하여 피부 건조라는 악영향을 미치며, 이를 보완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반대로 피부 미끌거림을 야기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세정성에 대한 의심을 품게 만든다.
이 때문에, 클렌징 이후 “3초 보습”과 같이 세안 후 긴급하게 피부 보습을 도와주는 제품들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상태이며, 현재 많은 연구팀들이 세정력을 높이면서 동시에 세안 후의 건조함을 줄이는 2차 세안제를 연구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대안이 미흡한 상태이다.
특히, 최근 이중 세안에 의한 피부상태를 확인한 여러 결과에서, 이중 세안은 두 번에 걸친 강한 피부 마찰에 의해 장벽 손상을 야기하여 피부 보습효과를 저해하고 있음이 확인된 바 있다. 이에 따라, 피부 손상을 방지하고자 2차 세안제인 클렌징 폼 성분 내에 보습성분을 추가하여 피부 보습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세안 중에 보습 성분이 함께 물에 씻겨나가 피부에 남아있지 않게 되어 결국 손상된 장벽에 보습 효과를 부여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저융점 왁스, 계면활성제 및 디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1차 및 2차 세안 기능을 동시에 부여함과 동시에, 피부 보습에 우수한 성분들을 안정화하여 세안 후 피부 보습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융점 왁스; 계면활성제; 및 디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저융점 왁스; 계면활성제; 및 디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세정력을 높이면서 동시에 세안 후의 건조함을 줄이는 2차 세안제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저융점 왁스, 계면활성제 및 디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1차 및 2차 세안 기능을 동시에 부여함과 동시에, 특히, 피부 보습에 우수한 성분들을 안정화하여 세안 후 피부 보습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저융점 왁스; 계면활성제; 및 디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하나의 실시 양태로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저융점 왁스 0.01 내지 30 중량%; 계면활성제 5 내지 50 중량%; 및 디글리세린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메이크업"은 사전적 의미는 ‘제작하다 또는 보완하다’라는 의미이나,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는 화장품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신체의 장점을 부각하고 단점은 수정 및 보완하는 미적 제행위이며 자신의 정체성, 가치관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메이크업은 외부의 먼지나 자외선, 대기오염 및 온도 변화에 대해서 피부를 보호하고, 생활의 편의를 도모하며 궁극적으로는 얼굴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부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클렌징(cleansing)"은 얼굴의 화장을 깨끗이 닦아 내는 일이나, 또는 그렇게 하는 데에 사용하는 화장품을 의미한다. 따라서,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얼굴에 행해진 메이크업을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저융점 왁스"는 융점이 40℃ 이하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융점이 40℃ 이하일 때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지는 실온에서 고형상을 갖는 성분을 말하며, 시중에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직접 추출해서 사용하는 것을 다 포함한다.
상기 저융점 왁스는 특별히 제한된 것은 아니나, 쉐어버터, 쿠푸아수버터, 바바수버터, 코코아버터를 포함하는 식물유, 라놀린, 비스-피이지-18 메틸 에테르 디메틸 실란을 포함하는 왁스류, 파라핀, 바세린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 및 에스테르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쉐어버터, 쿠푸아수버터, 바바수버터, 코코아버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쉐어버터, 코코아버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저융점 왁스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성분은 보습 및 유연 효과가 우수하여 유성 성분으로 이루어진 메이크업 성분들을 녹여내어 메이크업 클렌징을 도울 뿐 아니라, 세안 후 피부에 잔여 보습감을 부여하며, 특히, 메이크업 클렌징이 가능한 저융점 왁스가 에멀전화 되어 내상에 존재하는 수중유형의 클렌징 조성물이 될 수 있다.
상기 저융점 왁스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내지 20 중량%로,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15 중량%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저융점 왁스의 함량이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중량% 미만이면 제품의 경도 유지와 메이크업 제거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며, 3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유화 안정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계면활성제"는 묽은 용액 속에서 계면에 흡착하여 그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통 1분자 속에 친유기와 친수기가 함께 들어 있는 양쪽 친매성인 물질은 계면활성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저융점 왁스를 안정화하면서 또한 세정력을 나타내는 성분이다. 계면활성제는 친수 부분의 특성으로 구분하는데 크게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쪽성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구분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된 것은 아니나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내지 30 중량%,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2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비이온 활성제 또는 비이온 표면활성제라고도 하며, 소수성 단위체와 친수성 단위체와의 블록중합 또는 그래프트 중합에 의하여 합성된 고분자 활성제를 의미한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유화 안정성을 높이는데 사용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테트라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글루코시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부분이 음이온 원자단인 계면 활성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세정력을 높이는데 사용되며, 특별히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4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지방산염,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지방산아미드에테르카르복실산염, 지방산아미드에테르카르복실산, 아실젖산염, 알칸술폰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α-술포지방산메틸에스테르염, 알킬이세치온산염, 아실이세치온산염, 알킬글리시딜에테르술폰산염, 알킬술포호박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알킬황산염,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릴에테르황산염, 지방산알칸올아미드황산염, 지방산모노글리세리드황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알킬아릴에테르인산염, 지방산아미드에테르인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디글리세린(Diglycerin)"은 다른 용어로 디글리세롤(diglycerol)이라 불리기도 하며, 화학식은 C6H14O5이고 분자량은 166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디글리세린을 필수 구성으로 포함함으로써, 글리세린이나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상이하게, 세안 후 피부 잔여 보습효과가 우수하고, 제형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디글리세린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증점제, 방부제, 향료, 산도조절제 또는 보습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정제수"는 물에 함유되어 있는 용해된 이온, 고체입자, 미생물, 유기물 및 용해된 기체류 등을 완전히 제거하여 만든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함량이 총 100 중량% 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점제"는 용액 등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점증제 또는 증점 안정제라고도 한다. 특별히 제한된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는 소듐클로라이드, 포타?클로라이드, 황산마그네슘 등을 증점제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듐클로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방부제"는 물질의 부패를 막는 것을 의미하며, "향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향기를 가하기 위해 첨가하는 유기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방부제와 향료는 특별히 제한된 것은 아니나, 방부제에는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소듐벤조에이트, 벤조익애씨드, 카프릴릴글라이콜,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등 일 수 있으며, 향료는 천연향료 및 합성향료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pH가 4.0 내지 10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5.5 내지 8.5, 가장 구체적으로는 7.0 내지 8.0 일 수 있다. pH가 4.0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안정성이 감소하여 석출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안 시 안자극이 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pH 조절을 위해 산도조절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도조절제로 젖산나트륨, 제삼인산나트륨, 제이인산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나트륨, 시트르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산도조절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1 내지 0.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또는, 천연유래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저융점 왁스; 계면활성제; 및 디글리세린을 포함함으로써, 발림성을 포함한 사용감과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특히, 이중 세안 없이 1회의 세안만으로도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면서 동시에 세안 후 보습효과를 현저히 개선시킴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저융점 왁스, 계면활성제, 및 디글리세린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 구성성분 중 일 성분이 부재한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할 때,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이중 세안을 한 경우보다 수분 손실이 현저히 감소되고, 세안 후 보습효과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1회 세안만으로도 메이크업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되, 보습력은 유지시켜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1회 세안만으로 메이크업을 제거하고 세안 후 보습효과를 개선시키기 위한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이 현저히 우수하고, 특히, 1회의 세안만으로도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고 세정력이 우수하여 별도의 추가 세안이 필요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세안 후 보습효과가 우수하여,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제형의 바람직한 예와 세정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세정력 및 보습력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유상 성분인 1~3의 원료를 70-75℃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2) 수상성분 및 계면활성제 성분인 4~10의 원료를 70-75℃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3) 그 다음, 상기 1)의 유상 성분을 2)의 수상성분에 투입하여 5분간 3,500 RPM으로 유화하고 30℃까지 냉각하여 클렌징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도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1 쉐어버터 20.0 8.0 8.0 15.0
2 코코아버터 3.0 3.0 2.0
3 올리브오일 20.0
4 소르비탄올리베이트 4.0 3.0 3.0 4.0 3.0
5 정제수 TO 100
6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15.0 20.0 20.0 15.0 15.0
7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 2.0 5.0 5.0 2.0 2.0 4.0
8 디글리세린 5.0 7.0 7.0 5.0 8.0
9 소듐클로라이드 4.0 4.0 4.0 4.0 4.0 4.0
10 방부제 1.5 1.5 1.5 1.5 1.5 1.5
11 향료 0.5 0.5 0.5 0.5 0.5 0.5
실험예 :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제형 안정성, 메이크업 제거력, 세정력, TEWL(Tewameter) 및 보습력을 평가하였다. 상세한 평가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예 1: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평가방법 및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평가방법]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을 45℃, 37℃, 25℃, 0℃, 및 -15℃의 온도조건에서 1개월 동안 유지시킨 후, 제형 분리 또는 표면 변화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안정, 분리현상이 발생 안 됨 : ○
분리 조짐(액체 보임/고임)이 발생 : △
제형 분리현상이 발생됨 : X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45℃ X X
37℃ X
25℃ X
0℃ X
-15℃ X X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적인 유화로 인하여 제형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2의 조성물은 저융점 왁스 성분의 부재로 45℃, 37℃ 및 -15℃에서 제형이 안정적이지 않았고, 비교예 3의 조성물은 디글리세린의 부재로, 다른 온도에서는 안정적이었으나 45℃와 -15℃에서는 안정적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4의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재로 인하여 유화 자체가 되지 않아 모든 온도에서 제형이 분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저융점 왁스, 계면활성제 및 디글리세린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현저히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메이크업 클렌징력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메이크업 클렌징력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상세한 평가 방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폴리우레탄 재질의 인조피혁 1cm2 위에 W/O 파운데이션 제품 2 mg을 고르게 도포 후 10분간 건조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을 0.5 mg 추출하여 파운데이션 위에 도포 후, 15회 문지르고 다시 정제수 2mg 도포 후 15회 문지른다. 흐르는 물에 5초간 간접적으로 방치하여 세척 후, 가볍게 휴지로 두드려 물기를 닦고 Colorimeter로 Lab 값을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각 조성물의 ΔE 값을 측정하고 백분위 환산하여 세정률을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그 결과,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클렌징용 조성물인 실시예 1의 조성물은 인조피혁 위의 메이크업 성분을 91.0% 정도로 상당 부분 제거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은 70% 내외의 세정률을 보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할 때 그 효과가 현저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비교예 1의 조성물은 오일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분리자체가 없어 제형 안정성은 우수하였지만, 메이크업 세정효과가 가능한 저융점 왁스의 부재로 현저하게 낮은 메이크업 클렌징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및 표 2).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저융점 왁스, 계면활성제 및 디글리세린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현저히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가짐과 동시에 뛰어난 메이크업 클렌징력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세정력 평가
본 발명의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이 클렌징 오일 및 클렌징 크림 대비 우수한 세정력을 가지는지에 대해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과 시중에서 유통중인 클렌징 오일 및 클렌징 크림 사용하여 오일 잔여감(세정력)을 평가하였다. 상세한 평가 방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팔 안쪽에 3cm2의 구역을 설정하고, 각각의 구역에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과 클렌징 오일, 및 클렌징 크림 도포를 실시하였다. 제품 18ul를 도포한 후 10회 문지르고, 미온수를 묻혀 5회 추가로 문지른 후 흐르는 물에 간접적으로 5초간 세정하였다. 이 후, 연구원 전문 평가자 5인이 감성 평가를 통해 오일 잔여감이 적을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평가하였다(5점 만점).
세정력 실시예 1 클렌징 오일 클렌징 크림
평가 4.8 3.2 3.8
그 결과,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용 조성물인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5인 전문 평가자의 세정력 평가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반면, 시중에 현재 유통중인 클렌징 오일과 클렌징 크림은 오일 성분의 잔여감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보다 낮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저융점 왁스, 계면활성제 및 디글리세린을 모두 포함함에 따라, 제형이 안정하고 메이크업 세정력도 우수하며, 시중에 유통중인 클렌징용 제품에 비해서도 현저히 우수한 세정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TEWL ( Tewameter ) 및 세안 후 보습효과 평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보습력, 특히, 세안 후 보습효과가 우수한지에 대해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TEWL(Transepidermal water loss) 및 세안 후 보습효과를 평가하였다. TEWL은 TEWameter TM210(Courage-Khazaka, Cologne, Germany) 기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구체적으로 피부 표면에서 증발되는 수분의 밀도 구배(density gradient)를 측정하여 피부 수분량과 장벽손실 여부를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즉, 이중세안 유무에 따른 세안 횟수는 장벽 손실여부에 영향을 주어 피부 수분 증발량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어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보습은 Corneometer CM825(Courage-Khazaka, Cologne, Germany)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전기전도도가 높은 물의 특성을 이용하여 피부 수분 함량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평가 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팔 안쪽에 3cm2의 구역을 설정하고, 각각의 구역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 및 클렌징폼과 클렌징오일을 동시에 사용한 이중세안을 실시하였다. 제품 18ul를 도포한 후 10회 문지르고, 미온수를 묻혀 5회 추가로 문지른 후 흐르는 물에 간접적으로 5초간 세정하였다. 이 후, 보습(Corneometer)과 TEWL(Tewameter)을 20분 후에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용 조성물인 실시예 1의 조성물은 장벽손상에 의한 수분 손실이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 대비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이중 세안을 한 경우와 비교해도 수분손실은 현저하게 감소되는 반면, 보습효과는 세안 후에도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저융점 왁스, 계면활성제, 및 디글리세린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 구성성분 중 일 성분이 부재한 화장료 조성물보다 세안 후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이중 세안을 한 경우보다 수분 손실이 현저히 감소되고, 세안 후 보습효과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1회 세안만으로도 메이크업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되, 보습력은 유지시켜 주는 것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저융점 왁스; 계면활성제; 및 디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왁스는 융점이 40℃ 이하인 것인,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왁스는 쉐어버터, 쿠푸아수버터, 바바수버터, 코코아버터를 포함하는 식물유, 라놀린, 비스-피이지-18 메틸 에테르 디메틸 실란을 포함하는 왁스류, 파라핀, 바세린을 포함하는 탄화수소류 및 에스테르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30 중량%의 저융점 왁스; 5 내지 50 중량%의 계면활성제; 및 0.01 내지 10 중량%의 디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것인,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회의 클렌징만으로 오일 잔여감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안 후 보습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인,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테트라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글루코시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지방산염,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지방산아미드에테르카르복실산염, 지방산아미드에테르카르복실산, 아실젖산염, 알칸술폰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α-술포지방산메틸에스테르염, 알킬이세치온산염, 아실이세치온산염, 알킬글리시딜에테르술폰산염, 알킬술포호박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알킬황산염,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릴에테르황산염, 지방산알칸올아미드황산염, 지방산모노글리세리드황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알킬아릴에테르인산염, 지방산아미드에테르인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69818A 2016-12-01 2017-06-05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505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947 2016-12-01
KR20160162947 2016-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927A true KR20180062927A (ko) 2018-06-11
KR102505131B1 KR102505131B1 (ko) 2023-03-02

Family

ID=6260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818A KR102505131B1 (ko) 2016-12-01 2017-06-05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13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504B1 (ko) * 1995-08-08 1998-12-01 성재갑 메이크업 제거용 클린싱비누 조성물
KR20090030470A (ko) * 2007-09-20 2009-03-25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가알콜과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비수계 세안제 조성물
KR20150076477A (ko) * 2013-12-27 2015-07-07 코웨이 주식회사 지속적인 보습 효능을 갖는 오일 세안료 조성물
KR20150082791A (ko) * 2014-01-08 2015-07-16 코웨이 주식회사 다기능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50128792A (ko) * 2013-03-08 2015-11-18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케라틴성 기재로부터 실리콘 침적의 손실을 완화시키는 폴리머 및 방법
KR20160043758A (ko) * 2014-10-14 2016-04-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4347A (ko) * 2014-11-06 2016-05-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샤워 피부 보습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504B1 (ko) * 1995-08-08 1998-12-01 성재갑 메이크업 제거용 클린싱비누 조성물
KR20090030470A (ko) * 2007-09-20 2009-03-25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가알콜과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비수계 세안제 조성물
KR20150128792A (ko) * 2013-03-08 2015-11-18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케라틴성 기재로부터 실리콘 침적의 손실을 완화시키는 폴리머 및 방법
KR20150076477A (ko) * 2013-12-27 2015-07-07 코웨이 주식회사 지속적인 보습 효능을 갖는 오일 세안료 조성물
KR20150082791A (ko) * 2014-01-08 2015-07-16 코웨이 주식회사 다기능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60043758A (ko) * 2014-10-14 2016-04-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4347A (ko) * 2014-11-06 2016-05-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샤워 피부 보습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131B1 (ko)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2864B1 (de) Kosmetische zubereitung in form einer o/w-emulsion enthaltend 1,2-alkandiol(e)
KR101687599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US8263096B2 (en) Method for incorporating high levels of emollient oils into bodywash
KR102504167B1 (ko) 오일 고함유 세정제의 거품력을 향상시킨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WO2011115034A1 (ja) 液体口腔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714833B2 (ja) クレンジングクリーム
EP2932957B1 (en) Cleansing cosmetics
JP2017171625A (ja) 洗浄剤組成物
JP2010235514A (ja) 液状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KR101895875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한 에멀젼 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3910A (ko)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00975A (ko) 투명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7431A (ko) 피부 미용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80062927A (ko)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607078B1 (ko) 오일을 고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JP2000159653A (ja) 皮膚外用剤
KR101966185B1 (ko) 보습 활성을 갖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JP7202787B2 (ja) 入浴剤組成物および香料の揮散持続方法
JPS6056911A (ja) 皮膚処理用組成物
JP4638018B2 (ja) 油性洗浄料
KR101904708B1 (ko) 발포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6366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179584A (ja) 透明状皮膚洗浄剤組成物
KR102646479B1 (ko) 살리실산 가용화 조성물
KR102668504B1 (ko) 메이크업 제거 및 각질 제거용 고마쥬 타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