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668A -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668A
KR20180062668A KR1020160162611A KR20160162611A KR20180062668A KR 20180062668 A KR20180062668 A KR 20180062668A KR 1020160162611 A KR1020160162611 A KR 1020160162611A KR 20160162611 A KR20160162611 A KR 20160162611A KR 20180062668 A KR20180062668 A KR 20180062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ersonal monitor
unit
control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노스
Priority to KR1020160162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2668A/ko
Priority to CN201611128588.4A priority patent/CN108132764A/zh
Publication of KR20180062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대중교통수단, 특히 프리미엄 버스 또는 비행기의 좌석에 탑재되는 개인용 모니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제어 시스템은, 대중교통수단의 좌석에 구비되는 개인용 모니터 장치와 상기 개인용 모니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personal monitor of public transport}
본 발명은 대중교통수단, 특히 프리미엄 버스 또는 비행기의 좌석에 탑재되는 개인용 모니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자동차 제조업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미엄 고속버스를 생산하였고, 국토부는 프리미엄 고속버스가 기존 고속버스를 대체하지 않도록 200㎞ 이상 장거리나 오후 10시 이후 심야시간에만 운행을 하도록 했다. 프리미엄 고속버스는 기존 우등버스에 비해 30% 정도 가격이 비싼 대신 좌석 공간이 더 넓고 개인용 모니터, 무선인터넷, 스마트폰 충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프리미엄 고속버스의 장점 중 하나는 누워서 탈 수 있다는 점이다. 의자에 설치된 버튼을 누르면 좌석이 최대 165도까지 기울어진다. 우등버스는 최대 139도까지 기울어졌는데 훨씬 편안하게 탈 수 있다. 또한, 개인용 모니터는 주변의 스마트폰을 인식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저장된 영화나 드라마를 선택하면, 해당 영화나 드라마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개인용 모니터는 무선인터넷, 스마트폰 무선충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런데 프리미엄 고속버스에서 개인용 모니터를 제어하려면 탑승자가 개인용 모니터에 설치된 제어버튼을 터치해야 함으로 불편하고,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는 경우 탑승자는 스마트폰과 리모트 컨트롤러를 모두 사용해야 함으로 불편하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446031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함)는 스마트폰을 대화면을 갖는 자동차용 터치식모니터와 미러링시킨 후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모든 기능이 터치조작수단과 연결되어 있는 자동차용 터치식모니터를 직접 조작하도록 함으로써 넓은 대화면을 갖는 자동차용 터치식모니터를 직관적으로 터치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에 따른 기술을 프리미엄 버스 또는 비행기 등의 좌석에 탑재되는 개인용 모니터의 화면을 제어하는데 적용할 수는 없다. 프리미엄 버스 또는 비행기 탑승자는 개인용 모니터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해, 개인용 모니터에 설치된 버튼을 터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46031호(등록일 2014.09.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프리미엄 버스 또는 비행기의 좌석에 탑재되는 개인용 모니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제어 시스템은, 대중교통수단의 좌석에 구비되는 개인용 모니터 장치와 상기 개인용 모니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은, 개인용 모니터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제1 통신부와;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터치위치 검출부와; 카메라부와;
상기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구동되면 상기 제1 통신부를 활성화시켜서 상기 제1 통신부가 상기 개인용 모니터 장치와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도록 하고,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이 저장부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긍정이면 상기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표시하고,
판단결과 부정이면 상기 카메라부를 활성화시킨 후 상기 개인용 모니터를 촬영하는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창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고, 카메라 촬영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개인용 모니터의 화면을 촬영하여 상기 촬영된 개인용 모니터의 화면을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으로 저장하고, 상기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터치했을 때 상기 터치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터치 위치의 좌표값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선택, 볼륨 업/다운, 전원 온/오프 또는 채널 변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개인용 모니터로 전송하는 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모니터 장치는, 스마트폰의 제1 통신부와의 통화채널 연결이 가능한 제2 통신부와; 영상 출력부와; 음향 출력부와;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터치위치 검출부와; 복수의 실행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터치위치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위치의 좌표값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선택, 볼륨 업/다운, 전원 온/오프 또는 채널 변경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에 따라 프로그램을 구동하거나, 볼륨 업/다운, 전원 온/오프 또는 채널 변경 신호를 상기 영상 출력부 또는 음향 출력부로 출력하는 모니터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 제어부는 제2 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된 프로그램 선택, 볼륨 업/다운, 전원 온/오프 또는 채널 변경에 관한 정보에 따라 프로그램을 구동하거나, 볼륨 업/다운, 전원 온/오프 또는 채널 변경 신호를 상기 영상 출력부 또는 음향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은, 개인용 모니터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제1 통신부와;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터치위치 검출부와; 카메라부와;
상기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구동되면 상기 제1 통신부를 활성화시켜서 상기 제1 통신부가 상기 개인용 모니터 장치와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도록 하고,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이 저장부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긍정이면 상기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표시하고,
판단결과 부정이면 상기 카메라부를 활성화시킨 후, 카메라 촬영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개인용 모니터의 화면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개인용 모니터의 화면과 다수의 GUI 아이콘을 동시에 표시하며,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다수의 GUI 아이콘 중 선택된 GUI 아이콘이 드래그& 드롭 방식으로 화면상에 배치되면 화면상의 좌표값과 GUI 아이콘을 매칭하여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터치했을 때 상기 터치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터치 위치의 좌표값에 대응하는 GUI 아이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구동 정보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개인용 모니터로 전송하는 폰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생성하고,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터치하여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대중교통수단의 탑승자는 최대 165도까지 기울어지는 좌석에 누워서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이용해 개인용 모니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 은 개인용 모니터가 설치된 프리미엄 고속버스 내부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모니터의 홈 메뉴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에서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개인용 모니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에서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개인용 모니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제어 시스템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중교통수단의 좌석에 구비되는 개인용 모니터 장치(230)와 개인용 모니터 장치(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210)을 포함한다.
스마트폰(210)은 개인용 모니터 장치(230)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제1 통신부(211)와 디스플레이 장치(212)와 디스플레이 장치(212)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213)과 터치스크린(213)에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터치위치 검출부(214)와 카메라부(215)와 저장부(216)와 폰 제어부(217)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 통신부(211)는 이동통신모듈, 무선인터넷모듈, 근거리 통신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ZigBee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스마트폰(16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12)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ing diodes)등 평판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OLED 디스플레이는 2개의 전극간 배치된 유기 반도체층으로부터 광을 생성하여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 유기 LED 패널을 이용한다. LCD는 백라이트로부터 또는 반사면으로부터의 광을 변조하기 위한 액정 패널을 이용한다.
터치스크린(213)은 디스플레이 장치(212)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터치위치 검출부(214)는 위치 좌표값으로 변경하여 출력한다. 터치스크린(213)과 터치위치 검출부(214)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부(215)는 피사체를 촬영한다. 카메라부(215)는 렌즈, 이미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215)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215)의 줌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저장부(216)는 폰 제어부(217)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16)는 개인용 모니터 장치(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을 저장한다. 개인용 모니터 장치(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은 애플사의‘앱 스토어’, 구글사의‘Play 스토어’와 같은 앱 서버로부터 다운되어 저장될 수 있다.
폰 제어부(217)는 스마트폰(21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폰 제어부(217)는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구동되면 개인용 모니터 장치(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개인용 모니터 장치(230)는 스마트폰(210)의 제1 통신부(211)와의 통화채널 연결이 가능한 제2 통신부(231)와 영상 출력부(232)와 음향 출력부(233)와 디스플레이 장치(234)와 디스플레이 장치(234)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235)과 터치스크린(235)에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터치위치 검출부(236)와 복수의 실행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237)와 모니터 제어부(238)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2 통신부(231)는 이동통신모듈, 무선인터넷모듈, 근거리 통신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ZigBee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개인용 모니터 장치(23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포함한다.
영상 출력부(23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 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34)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예를 들어,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 방송 신호에 대응되는 비디오(video) 및/또는 오디오(audio)) 및 방송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영상 출력부(232)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에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따라 채널 번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33)는 모니터 제어부(238)의 제어에 의해 제2 통신부(231) 또는 모니터 제어부(238)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237)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33)는 스피커, 헤드폰 출력 단자 또는 S/PDIF 출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스피커, 헤드폰 출력 단자 및 S/PDIF 출력 단자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1 채널 또는 2 채널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3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ing diodes)등 평판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OLED 디스플레이는 2개의 전극간 배치된 유기 반도체층으로부터 광을 생성하여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 유기 LED 패널을 이용한다. LCD는 백라이트로부터 또는 반사면으로부터의 광을 변조하기 위한 액정 패널을 이용한다.
터치스크린(235)은 디스플레이 장치(234)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터치위치 검출부(236)는 위치 좌표값으로 변경하여 출력한다. 터치스크린(235)과 터치위치 검출부(236)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37)는 모니터 제어부(238)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34)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7)는 디스플레이 장치(234) 및 모니터 제어부(238)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7)는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휴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 제어부(238)는 터치위치 검출부(236)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위치의 좌표값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선택, 볼륨 업/다운, 전원 온/오프 또는 채널 변경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에 따라 프로그램을 구동하거나, 볼륨 업/다운, 전원 온/오프 또는 채널 변경 신호를 영상 출력부(232) 또는 음향 출력부(233)로 출력한다.
모니터 제어부(238)는 제2 통신부(231)를 통해 스마트폰(210)으로부터 입력된 프로그램 선택, 볼륨 업/다운, 전원 온/오프 또는 채널 변경에 관한 정보에 따라 프로그램을 구동하거나, 볼륨 업/다운, 전원 온/오프 또는 채널 변경 신호를 영상 출력부(232) 또는 음향 출력부(233)로 출력한다.
개인용 모니터 장치(230)는 도 2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복수의 제어버튼과 복수의 제어버튼으로부터 입력되는 눌림신호를 인식하는 버튼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니터 제어부(238)는 버튼인식부로부터 입력되는 버튼인식데이터에 따라 볼륨 업/다운, 전원 온/오프 또는 채널 변경 신호를 영상 출력부(232) 또는 음향 출력부(233)로 출력한다.
개인용 모니터(310)의 홈 메뉴 화면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아이콘(311)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화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아이콘(311)은 블루투스 헤드셋, 인터넷, 전화기, 이동통신 전화, 이-메일, 영화, 뮤직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아이콘을 포함한다. 개인용 모니터(310)는 제어버튼(312)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버튼(312)는 채널 업/다운, 볼륨 업/다운, 해상도 조절, 전원 온/오프를 위한 버튼을 포함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에서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개인용 모니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에서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의 (A)에서, 스마트폰(410)은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구동되면, 제1 통신부(도 2의 211)를 활성화시켜서 제1 통신부(도 2의 211)가 개인용 모니터 장치와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도록 한다. 스마트폰(410)은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이 저장부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스마트폰(410)은 판단결과 긍정이면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표시하고, 판단결과 부정이면 카메라부(도 2의 215)를 활성화시킨다. 카메라부가 활성화되면 스마트폰(41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개인용 모니터 화면(411)이 표시된다. 도 4의 (A)에서 알 수 있듯이, 개인용 모니터 화면(411)을 어떤 위치에서 촬영해야 정확한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생성할 수 있는지를 사용자는 알 수 없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은 개인용 모니터를 촬영하는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창(412)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도록 구현된다. 개인용 모니터를 촬영하는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창(412)에는 개인용 모니터 화면(411)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과 제어버튼 각각에 대응하는 화면영역(4121, 412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개인용 모니터 화면(411)을 어떤 위치에서 촬영해야 정확한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생성할 수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개인용 모니터 화면(411)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과 제어버튼이 가이드 창(412)의 화면영역(4121, 4122)에 위치하게 될 때 카메라 촬영버튼을 누르게 되면, 스마트폰(410)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개인용 모니터의 화면을 촬영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410)은 촬영된 개인용 모니터의 화면을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51)으로 저장한다.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은 사용자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5b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개인용 모니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개인용 모니터(310)에서 영화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되어 표시될 때, 사용자가 스마트폰(410)을 조작하여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을 구동시키면, 스마트폰(410)은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51)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51)에서, 예를 들어, 볼륨 업 버튼에 대응하는 화면영역을 터치했을 때, 스마트폰(410)은 터치 위치의 좌표값에 대응하는 볼륨 업에 관한 정보를 개인용 모니터(310)로 전송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에서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개인용 모니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에서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생성하는 다른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의 (A)에서, 스마트폰(410)은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구동되면, 제1 통신부(도 2의 211)를 활성화시켜서 제1 통신부(도 2의 211)가 개인용 모니터 장치와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도록 한다. 스마트폰(410)은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이 저장부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스마트폰(410)은 판단결과 긍정이면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표시하고, 판단결과 부정이면 카메라부(도 2의 215)를 활성화시킨다. 카메라부가 활성화되면 스마트폰(41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개인용 모니터 화면이 표시된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은 카메라 촬영버튼을 누름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개인용 모니터의 화면을 촬영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은 촬영된 개인용 모니터의 화면과 다수의 GUI 아이콘(611)을 동시에 표시한다.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은 터치 입력에 따라 스크롤되면서 화면에 다른 GUI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은 다수의 GUI 아이콘(611)이 표시되는 위치에 터치가 입력되면 화면상에 보이지 않았던 다른 GUI 아이콘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은 GUI 아이콘(611)을 드래그& 드롭 방식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은 터치 입력을 통해 다수의 GUI 아이콘(611) 중 선택된 GUI 아이콘이 드래그& 드롭 방식으로 화면상에 배치되면, 화면 상의 좌표값과 GUI 아이콘을 매칭하여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정보로 저장한다.
스마트폰(410)은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구동되면,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이 저장부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긍정이면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71)을 표시한다.
도 7b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개인용 모니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410)을 조작하여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을 구동시키면, 스마트폰(410)은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71)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71)에서, 예를 들어,‘뮤직’아이콘을 터치했을 때, 스마트폰(410)은 뮤직 구동 정보를 개인용 모니터(31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생성하고,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터치하여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대중교통수단의 탑승자는 최대 165도까지 기울어지는 좌석에 누워서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이용해 개인용 모니터를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대중교통수단의 좌석에 구비되는 개인용 모니터 장치와 상기 개인용 모니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개인용 모니터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제1 통신부와;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터치위치 검출부와; 카메라부와;
    상기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구동되면 상기 제1 통신부를 활성화시켜서 상기 제1 통신부가 상기 개인용 모니터 장치와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도록 하고,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이 저장부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긍정이면 상기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표시하고,
    판단결과 부정이면 상기 카메라부를 활성화시킨 후 상기 개인용 모니터를 촬영하는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창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고, 카메라 촬영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개인용 모니터의 화면을 촬영하여 상기 촬영된 개인용 모니터의 화면을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으로 저장하고, 상기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터치했을 때 상기 터치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터치 위치의 좌표값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선택, 볼륨 업/다운, 전원 온/오프 또는 채널 변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개인용 모니터로 전송하는 폰 제어부;
    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화면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모니터를 촬영하는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창은,
    상기 개인용 모니터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과 제어버튼 각각에 대응하는 화면영역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화면 제어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모니터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의 제1 통신부와의 통화채널 연결이 가능한 제2 통신부와; 영상 출력부와; 음향 출력부와;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터치위치 검출부와; 복수의 실행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터치위치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위치의 좌표값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선택, 볼륨 업/다운, 전원 온/오프 또는 채널 변경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에 따라 프로그램을 구동하거나, 볼륨 업/다운, 전원 온/오프 또는 채널 변경 신호를 상기 영상 출력부 또는 음향 출력부로 출력하는 모니터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된 프로그램 선택, 볼륨 업/다운, 전원 온/오프 또는 채널 변경에 관한 정보에 따라 프로그램을 구동하거나, 볼륨 업/다운, 전원 온/오프 또는 채널 변경 신호를 상기 영상 출력부 또는 음향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화면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모니터 장치는:
    복수의 제어버튼과; 상기 복수의 제어버튼으로부터 입력되는 눌림신호를 인식하는 버튼인식부를 더 포함한고,
    상기 모니터 제어부는,
    상기 버튼인식부로부터 입력되는 버튼인식데이터에 따라 볼륨 업/다운, 전원 온/오프 또는 채널 변경 신호를 상기 영상 출력부 또는 음향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화면 제어 시스템.
  5. 대중교통수단의 좌석에 구비되는 개인용 모니터 장치와 상기 개인용 모니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개인용 모니터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제1 통신부와;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터치위치 검출부와; 카메라부와;
    상기 개인용 모니터 제어 앱(APP)이 구동되면 상기 제1 통신부를 활성화시켜서 상기 제1 통신부가 상기 개인용 모니터 장치와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도록 하고,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이 저장부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긍정이면 상기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표시하고,
    판단결과 부정이면 상기 카메라부를 활성화시킨 후, 카메라 촬영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개인용 모니터의 화면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개인용 모니터의 화면과 다수의 GUI 아이콘을 동시에 표시하며, 터치 입력을 통해 상기 다수의 GUI 아이콘 중 선택된 GUI 아이콘이 드래그& 드롭 방식으로 화면상에 배치되면 화면상의 좌표값과 GUI 아이콘을 매칭하여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개인용 모니터 제어용 화면을 터치했을 때 상기 터치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터치 위치의 좌표값에 대응하는 GUI 아이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구동 정보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개인용 모니터로 전송하는 폰 제어부;
    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화면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폰 제어부는,
    상기 터치위치 검출부에서 검출된 GUI 아이콘에 대한 스크롤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에 표시하지 않았던 다른 GUI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화면 제어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폰 제어부는,
    상기 터치위치 검출부에서 다수의 GUI 아이콘이 표시되는 위치에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화면상에 표시하지 않았던 다른 GUI 아이콘을 동시에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화면 제어 시스템.
KR1020160162611A 2016-12-01 2016-12-01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제어 시스템 KR20180062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611A KR20180062668A (ko) 2016-12-01 2016-12-01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제어 시스템
CN201611128588.4A CN108132764A (zh) 2016-12-01 2016-12-09 公共交通工具的个人用显示器控制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611A KR20180062668A (ko) 2016-12-01 2016-12-01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668A true KR20180062668A (ko) 2018-06-11

Family

ID=6238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611A KR20180062668A (ko) 2016-12-01 2016-12-01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62668A (ko)
CN (1) CN10813276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031B1 (ko) 2012-12-26 2014-10-02 제이와이커스텀(주) 자동차용 터치식모니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미러링 터치조작장치 및 그의 미러링 터치조작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2694B2 (en) * 2010-09-17 2015-01-27 Digience Co., Ltd. Digital device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JP5191070B2 (ja) * 2011-01-07 2013-04-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リモコン、表示装置、テレビ受像機、およびリモコン用プログラム
CN103631471B (zh) * 2012-08-20 2016-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媒体交互方法、装置和系统,以及用户设备
JP5866027B2 (ja) * 2012-10-19 2016-02-17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端末、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KR20160043767A (ko) * 2014-10-14 2016-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5898479A (zh) * 2015-11-17 2016-08-24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031B1 (ko) 2012-12-26 2014-10-02 제이와이커스텀(주) 자동차용 터치식모니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미러링 터치조작장치 및 그의 미러링 터치조작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32764A (zh)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216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smart device
KR2016004853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942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67856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2019001724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808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6000651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356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517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324595B2 (en) Digital device configured to connect with plurality of operation devices and method of displaying second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second operation device in response to dragging of first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first operation device in the same
US20170083268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6559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널 정보 획득 방법
US10429939B2 (en) Apparatus for project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93726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 input for electronic device
US2015011650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maging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KR2016014419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운용 방법
EP303837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50194126A1 (en) Display apparatus, mobile apparatus, system and setting controlling method for connection thereof
KR20170006760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KR20160095903A (ko) 전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333931B1 (ko) 영상 투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008769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16648A (ko) 이동 단말기
US20180024696A1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80062668A (ko) 대중교통수단의 개인용 모니터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