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380A - 광학 필터,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필터,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380A
KR20180062380A KR1020170159528A KR20170159528A KR20180062380A KR 20180062380 A KR20180062380 A KR 20180062380A KR 1020170159528 A KR1020170159528 A KR 1020170159528A KR 20170159528 A KR20170159528 A KR 20170159528A KR 20180062380 A KR20180062380 A KR 20180062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ter
compound
light
near infrare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훈
이용주
김창기
김형준
정명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62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103Atomic absorption analysi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1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infrared light
    • G02B5/282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infrared light reflecting for infrared and transparent for visible light, e.g. heat reflectors, laser prot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5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al Filter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고분자 필름, 그리고 상기 고분자 필름 위에 위치하고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투과하고 근적외선 영역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근적외선 흡광층을 포함하고, 700nm 내지 740nm 파장 영역에서 7% 미만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지는 광학 필터,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 필터,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OPTICAL FILTER AND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광학 필터,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저장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한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및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전화와 같은 전자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가시광선 영역 이외의 광에 의해 광학적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광학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는 두께가 얇고 광학적 왜곡을 효과적으로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는 광학 필터를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는 상기 광학 필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광학 필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고분자 필름, 그리고 상기 고분자 필름 위에 위치하고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투과하고 근적외선 영역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근적외선 흡광층을 포함하고, 약 700nm 내지 740nm 파장 영역에서 약 7% 미만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지는 광학 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광학 필터는 약 600nm 내지 800nm 파장 영역에서 최대흡수파장(λmax)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학 필터는 약 700nm 내지 740nm 파장 영역에서 5% 이하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학 필터는 약 700nm 내지 900nm 파장 영역에서 약 30% 이하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학 필터는 약 430nm 내지 630nm 파장 영역에서 약 80% 이상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흡광층은 근적외선 영역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근적외선 흡수 물질과 유기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흡수 물질은 금속 프리(metal free)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흡수 물질은 폴리메틴(polymethine) 화합물, 시아닌(cyanine) 화합물,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화합물, 메로시아닌(merocyanine)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naphthalocyanine), 임모늄(immonium) 화합물, 디임모늄(diimmonium) 화합물, 트리아릴메탄(triarylmethane) 화합물, 디피로메텐(dipyrromethene) 화합물,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화합물, 나프토퀴논(naphthoquinone), 디퀴논(diquinone) 화합물, 스쿠아릴륨(squarylium) 화합물, 릴렌(rylene) 화합물, 퍼릴렌(perylene) 화합물, 스쿠아레인(squaraine) 화합물, 피릴륨(pyrylium) 화합물, 티오피릴륨(thiopyrylium) 화합물, 디케토피롤로피롤 (diketopyrrolopyrrole) 화합물,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바인더는 열경화성 바인더, 광경화성 바인더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흡광층은 상기 고분자 필름 위에 상기 근적외선 흡수 물질 및 상기 바인더를 포함한 용액을 코팅하고 건조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루오즈, 폴리카보네이트,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은 자외선 영역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터는 약 350 내지 380nm 파장 영역에서 약 1% 이하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학 필터는 상기 고분자 필름의 일면 및 상기 근적외선 흡광층의 일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적외선 차단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층은 굴절률이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은 교대로 반복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층은 약 700nm 내지 3㎛ 파장 영역의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터는 약 30㎛ 내지 150㎛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광학 필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광학 필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두께가 얇으면서도 근적외선 영역의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광학적 왜곡을 효과적으로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이미지 센서의 일 예인 유기 CMOS 이미지 센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유기 CMOS 이미지 센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하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터(10)는 고분자 필름(11) 및 근적외선 흡광층(12)을 포함한다.
고분자 필름(11)은 투명 고분자 필름일 수 있으며, 예컨대 가시광선 영역에서 약 80% 이상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약 85% 이상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가시광선 영역은 예컨대 약 380nm 초과 700nm 미만의 파장 영역일 수 있으며, 평균 광 투과율은 고분자 필름(11)의 수직 방향(정면 방향)에서 입사광 조사시 측정된 광 투과율의 평균값이다.
고분자 필름(11)은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루오즈, 폴리카보네이트,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분자 필름(11)은 자외선 영역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 영역은 예컨대 약 380nm 이하의 파장 영역일 수 있다.
고분자 필름(11)은 적어도 약 350nm 내지 380nm의 파장 영역의 광의 대부분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약 350nm 내지 380nm 파장 영역에서 광학 필터(10)의 평균 광 투과율은 약 1% 이하일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약 0.8% 이하일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약 0.5% 이하일 수 있다.
고분자 필름(11)은 광학 필터(10)에 필요한 물성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필름(11)은 약 20㎛ 내지 12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근적외선 흡광층(12)은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투과하고 근적외선 영역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여기서 가시광선 영역은 예컨대 약 380nm 초과 700nm 미만의 파장 영역일 수 있고, 근적외선 영역은 예컨대 약 700nm 내지 900nm의 파장 영역일 수 있다.
근적외선 흡광층(12)은 근적외선 영역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근적외선 흡수 물질과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적외선 흡수 물질은 근적외선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유기물, 무기물, 유무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근적외선 흡수 물질은 예컨대 금속 프리(metal free)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메틴(polymethine) 화합물, 시아닌(cyanine) 화합물,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화합물, 메로시아닌(merocyanine)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naphthalocyanine), 임모늄(immonium) 화합물, 디임모늄(diimmonium) 화합물, 트리아릴메탄(triarylmethane) 화합물, 디피로메텐(dipyrromethene) 화합물,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화합물, 나프토퀴논(naphthoquinone), 디퀴논(diquinone) 화합물, 스쿠아릴륨(squarylium) 화합물, 릴렌(rylene) 화합물, 퍼릴렌(perylene) 화합물, 스쿠아레인(squaraine) 화합물, 피릴륨(pyrylium) 화합물, 티오피릴륨(thiopyrylium) 화합물, 디케토피롤로피롤 (diketopyrrolopyrrole) 화합물,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인더는 예컨대 유기 바인더, 무기 바인더, 유무기 바인더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근적외선 흡수 물질과 혼합되거나 근적외선 흡수 물질을 분산시킬 수 있고 근적외선 흡수 물질을 고분자 필름(11)에 잘 부착시킬 수 있는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인더는 예컨대 경화성 바인더일 수 있으며, 예컨대 열경화성 바인더, 광경화성 바인더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인더는 예컨대 (메타)아크릴((meth)acryl) 바인더, 메틸셀룰로오즈(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오즈(ethyl cellulose),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즈(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hydroxylpropyl cellulose, HPC), 잔탄검(xanthan gum),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PVP),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carboxy methyl cellulose),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hydroxyl ethyl cellulose), 실리콘(silicone), 유-무기 혼합 물질(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근적외선 흡수 물질은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약 0.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예컨대 약 0.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예컨대 약 0.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예컨대 약 0.0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예컨대 약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근적외선 흡광층(12)은 전술한 근적외선 흡수 물질, 전술한 바인더 및 선택적으로 용매를 포함한 용액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용매는 근적외선 흡수 물질과 바인더를 용해 및/또는 분산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물; 메탄올, 에탄올, n-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t-부틸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등의 알코올계 용매; 헥산,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톨루엔, 피리딘, 퀴놀린, 아니솔, 메시틸렌(mesitylene), 자일렌 등의 방향족계 또는 헤테로방향족계 탄화수소 용매; 메틸 이소부틸 케톤, 1-메틸-2-피롤리디논(NMP), 시클로헥산온, 아세톤 등의 케톤계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이소프로필 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테이트계 용매; 디메틸아세티아미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등의 아미드계 용매; 아세트니트릴, 벤조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용매; 및 상기 용매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액은 고분자 필름(11) 위에 코팅 및 건조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열 및/또는 광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코팅은 예컨대 스핀 코팅(spin coating), 슬릿 코팅(slit coating), 바 코팅(bar coating), 블래이드 코팅(blade coating), 슬롯 다이 코팅(slot die coating) 및/또는 잉크젯 코팅(inkjet coating)일 수 있다. 건조는 예컨대 자연 건조, 열풍 건조 또는 상술한 용매의 비점 이상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근적외선 흡광층(12)은 예컨대 약 3㎛ 내지 50㎛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광학 필터(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분자 필름(11)과 근적외선 흡광층(12)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효과적으로 투과시키고 근적외선 영역의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고분자 필름(11)에 자외선 영역의 광을 흡수하는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자외선 영역의 광 또한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 필터(10)는 모든 파장 영역의 광 중 가시광선 영역의 광의 투과율의 순도를 높임으로써 예컨대 이미지 센서와 같이 광을 센싱하는 센서에서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효과적으로 센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시광선 영역 이외의 광에 의해 광학적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광학 필터(10)는 전술한 고분자 필름(11) 및 근적외선 흡광층(12)의 조합에 의해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효과적으로 투과하고 근적외선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 광학 필터(10)는 예컨대 약 380nm 초과 700nm 미만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약 70% 이상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약 430nm 내지 630nm 파장 영역에서 약 80%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평균 광 투과율은 광학 필터(10)의 수직 방향(정면 방향)에서 입사광 조사시 측정된 광 투과율의 평균값일 수 있다.
일 예로, 광학 필터(10)는 예컨대 약 700nm 내지 900nm 파장 영역의 근적외선 영역에서 약 40% 이하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약 30% 이하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약 28% 이하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광학 필터(10)는 약 700nm 내지 740nm 파장 영역에서 약 7% 미만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약 5% 이하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약 4.5% 이하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광학 필터(10)는 약 600nm 내지 800nm 파장 영역에서 최대흡수파장(λmax)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약 700nm 내지 800nm 파장 영역에서 최대흡수파장(λmax)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약 700nm 내지 760nm 파장 영역에서 최대흡수파장(λmax)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약 720nm 내지 750nm 파장 영역에서 최대흡수파장(λmax)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광학 필터(10)는 약 350nm 내지 380nm 파장 영역에서 약 1% 이하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약 0.8% 이하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약 0.5% 이하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광학 필터(10)는 근적외선 파장 영역에 대하여 높은 흡광율 및 낮은 광 투과율을 가지는 반면, 중간 적외선 파장 영역 및 원적외선 파장 영역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흡수율 및 높은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광학 필터(10)는 예컨대 약 30㎛ 내지 150㎛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박형 광학 필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학 필터(10)는 모든 파장 영역의 광 중 가시광선 영역과 적외선 영역의 경계에 해당하는 근적외선 파장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여 차단함으로써 가시광선 영역의 광에 의한 신호와 비가시광선 영역의 광에 의한 신호가 교차되거나 혼입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하여 크로스토크(crosstalk)와 같은 광학적 왜곡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터(10)는 입사 방향에 관계없이 근적외선 영역의 광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므로, 측면 방향에서 입사되는 근적외선 영역의 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차단함으로써 측면에서 입사되는 근적외선 영역의 광에 의해 가시광선 영역의 광에 의한 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다른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터를 설명한다.
도 2는 다른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다른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터(10)는 고분자 필름(11), 근적외선 흡광층(12) 및 적외선 차단층(13, 14)을 포함한다.
고분자 필름(11)과 근적외선 흡광층(12)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적외선 차단층(13,14)은 고분자 필름(11)의 하부 및/또는 근적외선 흡광층(1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적외선 차단층(13,14)을 도시하였으나, 둘 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적외선 차단층(13, 14)은 적외선 파장 영역의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킴으로써 적외선 파장 영역의 광에 의한 광학적 왜곡을 효과적으로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층(13,14)은 근적외선 영역의 일부, 중간 적외선 영역 및 원적외선 영역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으며, 예컨대 약 700nm 내지 3㎛ 파장 영역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적외선 차단층(13,14)은 적외선 파장 영역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고굴절률 반사막, 고굴절률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반사막 또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적외선 차단층(13, 14)은 굴절률이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하고, 제1 층과 제2 층이 교대로 반복 적층되어 있는 다층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과 제2 층은 예컨대 각각 산화층, 질화층, 산질화층, 황화층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유전층일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층은 약 1.7 미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고 제2 층은 예컨대 약 1.7 이상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예컨대 제1 층은 약 1.1 이상 1.7 미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고 제2 층은 약 1.7 내지 2.7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예컨대 제1 층은 1.2 내지 1.6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고 제2 층은 약 1.8 내지 2.5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제1 층과 제2 층은 상기 굴절률을 가지는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제1 층은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층은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인듐, 산화지르코늄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1 층과 제2 층은 예컨대 5층 내지 80층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예컨대 5층 내지 50층일 수 있다.
제1 층과 제2 층의 두께는 각 층의 굴절률 및 반사 파장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각 제1 층은 약 10nm 내지 7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각 제2 층은 약 30nm 내지 6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층과 제2 층의 두께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광학 필터(10)는 예컨대 약 30㎛ 내지 150㎛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박형 광학 필터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터(10)는 전술한 구현예와 마찬가지로 고분자 필름(11)과 근적외선 흡광층(12)을 포함함으로써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효과적으로 투과시키고 근적외선 영역의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터(10)는 적외선 차단층(13, 14)을 더 포함함으로써 중간 적외선 영역 및 원적외선 영역의 광을 반사시켜 효과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적외선 모든 영역의 광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는 광학 필터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에 적용되어 적외선 영역의 광에 의해 가시광선 영역의 광학적 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광학 필터(10)는 적외선 영역의 광을 필터하기 위한 모든 용도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CCTV와 같은 감시용 카메라, 자동차용 카메라, 의료기기용 카메라, 카메라가 내장 또는 외장된 휴대전화, 카메라가 내장 또는 외장된 컴퓨터, 카메라가 내장 또는 외장된 랩탑 컴퓨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카메라 모듈(20)은 렌즈 배럴(21), 하우징(22), 광학 필터(10) 및 이미지 센서(23)를 포함한다.
렌즈 배럴(21)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며, 렌즈는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광축 방향은 렌즈 배럴(21)의 상하 방향일 수 있다.
렌즈 배럴(21)은 하우징(22)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하우징(22)과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렌즈 배럴(21)은 하우징(22) 내에서 오토 포커싱을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우징(22)은 렌즈 배럴(21)을 지지하고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22)은 광축 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2)의 일면에서 입사된 광은 렌즈 배럴(21) 및 광학 필터(10)를 통해 이미지 센서(21)에 도달할 수 있다.
하우징(22)은 렌즈 배럴(21)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마그네트와 코일을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액추에이터 외에 기계적 구동 방식이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압전 구동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광학 필터(10)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미지 센서(23)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집광시켜 데이터로 저장시킬 수 있으며, 저장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하여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3)는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실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기판은 예컨대 인쇄회로기판(PCB)이거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은 예컨대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23)는 렌즈 배럴(21) 및 광학 필터(10)를 통과한 광을 집광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보성 금속 산화물 반도체(complet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 이미지 센서 및/또는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도 4는 이미지 센서의 일 예인 유기 CMOS 이미지 센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유기 CMOS 이미지 센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일 예에 따른 유기 CMOS 이미지 센서(23A)는 광 감지 소자(50a, 50b), 전송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 및 전하 저장소(55)가 집적되어 있는 반도체 기판(110), 하부 절연층(60), 색 필터 층(70), 상부 절연층(80) 및 유기 광전 소자(200)를 포함한다.
반도체 기판(110)은 실리콘 기판일 수 있으며, 광 감지 소자(50a, 50b), 전송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 및 전하 저장소(55)가 집적되어 있다. 광 감지 소자(50a, 50b)는 광 다이오드(photodiode)일 수 있다.
광 감지 소자(50a, 50b), 전송 트랜지스터 및/또는 전하 저장소(55)는 각 화소마다 집적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일 예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광 감지 소자(50a, 50b)는 청색 화소 및 적색 화소에 각각 포함될 수 있고 전하 저장소(55)는 녹색 화소에 포함될 수 있다.
광 감지 소자(50a, 50b)는 빛을 센싱하고 센싱된 정보는 전송 트랜지스터에 의해 전달될 수 있고, 전하 저장소(55)는 후술하는 유기 광전 소자(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전하 저장소(55)의 정보는 전송 트랜지스터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10) 위에는 또한 금속 배선(도시하지 않음) 및 패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 배선 및 패드는 신호 지연을 줄이기 위하여 낮은 비저항을 가지는 금속, 예컨대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및 이들의 합금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배선 및 패드가 광 감지 소자(50a, 50b)의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금속 배선 및 패드 위에는 하부 절연층(60)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절연층(60)은 산화규소 및/또는 질화규소와 같은 무기 절연 물질 또는 SiC, SiCOH, SiCO 및 SiOF와 같은 저유전율(low K)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부 절연층(60)은 전하 저장소(55)를 드러내는 트렌치를 가진다. 트렌치는 충전재로 채워져 있을 수 있다.
하부 절연막(60) 위에는 색 필터 층(70)이 형성되어 있다. 색 필터 층(70)은 청색 화소에 형성되어 있는 청색 필터(70a)와 적색 화소에 형성되어 있는 적색 필터(70b)를 포함한다. 본 구현예에서는 녹색 필터를 구비하지 않은 예를 설명하지만, 경우에 따라 녹색 필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색 필터 층(70) 위에는 상부 절연층(80)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절연층(80)은 색 필터 층(70)에 의한 단차를 제거하고 평탄화한다. 상부 절연층(80) 및 하부 절연층(60)은 패드를 드러내는 접촉구(도시하지 않음)와 녹색 화소의 전하 저장소(55)를 드러내는 관통구(85)를 가진다.
상부 절연층(80) 위에는 유기 광전 소자(200)가 형성되어 있다. 유기 광전 소자(200)는 서로 마주하는 하부 전극(210)과 상부 전극(220), 그리고 하부 전극(210)과 상부 전극(220) 사이에 위치하는 흡광층(230)을 포함한다.
하부 전극(210)과 상부 전극(220)은 모두 투명 전극일 수 있으며, 흡광층(230)은 녹색 파장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녹색 화소의 색 필터를 대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도체 기판(110)과 녹색 파장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유기 광전 소자(200)가 적층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줄여 소형 이미지 센서를 구현할 수 있다.
유기 광전 소자(200) 위에는 집광 렌즈(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집광 렌즈는 입사 광의 방향을 제어하여 광을 하나의 지점으로 모을 수 있다. 집광 렌즈는 예컨대 실린더 모양 또는 반구 모양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반도체 기판(110) 위에 녹색 파장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유기 광전 소자가 적층된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도체 기판(110) 위에 청색 파장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유기 광전 소자가 적층되고 녹색 광 감지 소자와 적색 광 감지 소자가 반도체 기판(110) 내에 집적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반도체 기판(110) 위에 적색 파장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유기 광전 소자가 적층되고 녹색 광 감지 소자와 청색 광 감지 소자가 반도체 기판(110) 내에 집적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전술한 렌즈 배럴(21) 및 광학 필터(10)를 통과한 가시광선 영역의 광 중, 녹색 파장 영역의 광은 흡광층(30)에서 주로 흡수되어 광전 변환될 수 있고, 청색 파장 영역 및 적색 파장 영역의 광은 하부 전극(210)을 통과하여 광 감지 소자(50a, 50b)에 센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 필터(10)는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효과적으로 투과시키고 근적외선 영역의 광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차단함으로써 이미지 센서에 순수한 가시광선 영역의 광이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시광선 영역의 광에 의한 신호와 비가시광선 영역의 광에 의한 신호가 교차되거나 혼입되어 발생하는 크로스토크를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구현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광학 필터의 제조
실시예 1
시아닌계 화합물(D5013, TCI사 제조) 5중량% 및 유기 바인더 (HT1335, SamHwa사 제조) 95중량%를 포함한 용액을 준비한다.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된 TAC 필름(TD80, Fuji Photo Film Co., Ltd) 위에 상기 용액을 바 코팅으로 코팅하고 85℃에서 1분간 건조 후 85℃에서 2분 동안 열 경화하여 근적외선 흡광층을 형성하여, 광학 필터를 제조한다.
실시예 2
시아닌계 화합물 3.5중량%, 스쿠아릴륨 화합물(B4642, TCI사 제조) 1.5중량% 및 유기 바인더 95중량%를 포함한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터를 제조한다.
실시예 3
시아닌계 화합물(D5013, TCI사 제조) 5중량% 및 PMMA 바인더 (TCI사 제조) 95중량%를 포함한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터를 제조한다.
실시예 4
시아닌계 화합물 3.5중량%, 스쿠아릴륨 화합물(B4642, TCI사 제조) 1.5중량% 및 PMMA 바인더 95중량%를 포함한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터를 제조한다.
비교예 1
프탈로시아닌 화합물(745PTC, KISCO사 제조) 5중량% 및 유기 바인더 95중량%를 포함한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터를 제조한다.
비교예 2
디임모늄화합물(1000A, KISCO사 제조) 5중량% 및 유기 바인더 95중량%를 포함한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터를 제조한다.
비교예 3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786PTC, KISCO사 제조) 5중량% 및 유기 바인더 95중량%를 포함한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터를 제조한다.
평가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광학 필터의 두께 및 파장 영역에 따른 흡광 특성을 평가한다.
흡광 특성은 UV-Vis spectrophotometer (SoldiSpec-3700, Shimadzu사)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평균 광투과율
350nm≤λ≤380nm 0.4% 0.4% 0.4% 0.4% 0.4% 0.4% 0.4%
430nm≤λ≤630nm 82.3% 81.0% 82.5% 81.5% 83.1% 83.8% 74.7%
430nm≤λ≤565nm 87.3% 86.7% 87.8% 87.0% 87.5% 87.7% 88.6%
700nm≤λ≤900nm 26.5% 25.3% 26.0% 24.0% 39.5% 42.1% 89.7%
700nm≤λ<740nm 4.1% 2.4% 3.8% 2.0% 7.9% 7.7% 81.4%
740nm≤λ≤900nm 32.0% 30.9% 31.0% 30.0% 47.4% 50.5% 91.9%
최대흡수파장(λmax) 748nm 751nm 750nm 752nm 710nm 805nm 1087nm
두께(㎛) 83.5㎛ 84.1㎛ 83.5㎛ 84.1㎛ 84.9㎛ 105.8㎛ 108.9㎛
표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광학 필터는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광학 필터와 비교하여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광 투과율은 동등하거나 높은 반면 근적외선 영역에서의 광 투과율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광학 필터의 최대흡수파장(λmax)이 600nm 내지 800nm 사이에 위치하면서 가시광선 영역과 적외선 영역의 경계 파장 영역인 700nm 내지 740nm에서 약 7% 미만, 그 중에서도 약 5% 이하의 낮은 투광도를 가짐으로써 가시광선 영역 근처의 근적외선 영역의 광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차단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광학 필터 11: 고분자 필름
12: 근적외선 흡광층 13, 14: 적외선 차단층
20: 카메라 모듈 21: 렌즈 배럴
22: 하우징 23: 이미지 센서
23A: 유기 CMOS 이미지 센서
50a, 50b: 광 감지 소자
70: 색 필터층 60, 80: 절연층
200: 유기 광전 소자 210: 하부 전극
220: 상부 전극 230: 흡광층

Claims (20)

  1. 고분자 필름, 그리고
    상기 고분자 필름 위에 위치하고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투과하고 근적외선 영역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근적외선 흡광층
    을 포함하고,
    700nm 내지 740nm 파장 영역에서 7% 미만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지는 광학 필터.
  2. 제1항에서,
    상기 광학 필터는 600nm 내지 800nm 파장 영역에서 최대흡수파장(λmax)을 가지는 광학 필터.
  3. 제1항에서,
    상기 광학 필터는 700nm 내지 740nm 파장 영역에서 5% 이하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지는 광학 필터.
  4. 제1항에서,
    상기 광학 필터는 700nm 내지 900nm 파장 영역에서 30% 이하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지는 광학 필터.
  5. 제1항에서,
    상기 광학 필터는 430nm 내지 630nm 파장 영역에서 80% 이상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지는 광학 필터.
  6. 제1항에서,
    상기 근적외선 흡광층은 근적외선 영역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근적외선 흡수 물질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광학 필터.
  7. 제1항에서,
    상기 근적외선 흡수 물질은 금속 프리(metal free) 유기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터.
  8. 제7항에서,
    상기 근적외선 흡수 물질은 폴리메틴(polymethine) 화합물, 시아닌(cyanine) 화합물,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화합물, 메로시아닌(merocyanine)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naphthalocyanine), 임모늄(immonium) 화합물, 디임모늄(diimmonium) 화합물, 트리아릴메탄(triarylmethane) 화합물, 디피로메텐(dipyrromethene) 화합물,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화합물, 나프토퀴논(naphthoquinone), 디퀴논(diquinone) 화합물, 스쿠아릴륨(squarylium) 화합물, 릴렌(rylene) 화합물, 퍼릴렌(perylene) 화합물, 스쿠아레인(squaraine) 화합물, 피릴륨(pyrylium) 화합물, 티오피릴륨(thiopyrylium) 화합물, 디케토피롤로피롤 (diketopyrrolopyrrole) 화합물,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광학 필터.
  9. 제6항에서,
    상기 바인더는 열경화성 바인더, 광경화성 바인더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광학 필터.
  10. 제6항에서,
    상기 근적외선 흡광층은 상기 고분자 필름 위에 상기 근적외선 흡수 물질 및 상기 바인더를 포함한 용액을 코팅하고 건조하여 얻어지는 광학 필터.
  11. 제1항에서,
    상기 고분자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루오즈, 폴리카보네이트,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광학 필터.
  12. 제1항에서,
    상기 고분자 필름은 자외선 영역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광학 필터.
  13. 제12항에서,
    상기 광학 필터는 350 내지 380nm 파장 영역에서 1% 이하의 평균 광 투과율을 가지는 광학 필터.
  14. 제1항에서,
    상기 고분자 필름의 일면 및 상기 근적외선 흡광층의 일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적외선 차단층을 더 포함하는 광학 필터.
  15. 제14항에서,
    상기 적외선 차단층은 굴절률이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은 교대로 반복 적층되어 있는
    광학 필터.
  16. 제14항에서,
    상기 적외선 차단층은 700nm 내지 3㎛ 파장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광학 필터.
  17. 제1항에서,
    상기 광학 필터는 30㎛ 내지 150㎛ 두께를 가지는 광학 필터.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 필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9. 제18항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0.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 필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70159528A 2016-11-30 2017-11-27 광학 필터,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KR201800623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275 2016-11-30
KR20160162275 2016-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380A true KR20180062380A (ko) 2018-06-08

Family

ID=6066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528A KR20180062380A (ko) 2016-11-30 2017-11-27 광학 필터,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39725B2 (ko)
EP (1) EP3330750A1 (ko)
JP (1) JP2018092164A (ko)
KR (1) KR20180062380A (ko)
CN (1) CN1081210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5060B2 (en) 2019-04-16 2022-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ar-infrared absorbing composition, optical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and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8578B (zh) * 2018-09-25 2020-09-08 武汉大学 一种基于半导体材料的红外宽光谱光吸收器
CN113138437A (zh) * 2021-03-08 2021-07-20 长春理工大学 一种宽带近红外吸收滤光片及其制备方法
CN115020511B (zh) * 2021-07-23 2024-03-19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生物特征感测模块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77815A1 (fr) 1972-06-20 1976-02-06 Ile De France Nouveau procede de preparation du n(diethylaminoethyl) 2-methoxy 4-amino 5-chlorobenzamide
KR100444332B1 (ko) * 1999-12-20 2004-08-16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적외선 흡수필터
JP2006153950A (ja) * 2004-11-25 2006-06-15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光学フィルター
KR101047946B1 (ko) 2006-10-25 2011-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명화 기능 및 근적외선 흡수 기능을 갖는 전자파 차폐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JP4985039B2 (ja) 2007-03-30 2012-07-25 東洋紡績株式会社 転写フィルムおよび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036689B2 (ja) * 2011-06-06 2016-11-30 旭硝子株式会社 光学フィルタ、固体撮像素子、撮像装置用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TWI588192B (zh) 2011-10-14 2017-06-21 Jsr Corp Optical filter,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camera module using the optical filter
CN109031492B (zh) * 2013-12-26 2021-02-02 Agc株式会社 滤光器
JP6305901B2 (ja) 2014-01-21 2018-04-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近赤外線吸収性組成物、近赤外線カット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53469B1 (ko) * 2014-02-12 2014-10-22 나우주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WO2016148518A1 (ko) * 2015-03-17 2016-09-22 주식회사 엘엠에스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JPWO2016158819A1 (ja) 2015-03-31 2018-03-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赤外線カットフィルタ、および固体撮像素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5060B2 (en) 2019-04-16 2022-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ar-infrared absorbing composition, optical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and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0750A1 (en) 2018-06-06
CN108121024A (zh) 2018-06-05
JP2018092164A (ja) 2018-06-14
US20180149783A1 (en) 2018-05-31
US10539725B2 (en)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05352B (zh) 近红外吸收膜、包括其的滤光器和电子设备
KR20180062380A (ko) 광학 필터,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US11719867B2 (en) Optical filter, and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491491B1 (ko) 근적외선 흡수 필름용 조성물, 근적외선 흡수 필름,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US11686892B2 (en) Combination structures and optical filters and image sensors and camera modules and electronic devices
KR102455527B1 (ko) 근적외선 흡수 필름용 조성물, 근적외선 흡수 필름,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KR102581901B1 (ko)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 근적외선 흡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US11906764B2 (en) Optical filters and image sensors and camera modules and electronic devices
KR20190007243A (ko) 근적외선 흡수 필름용 조성물, 광학 필터,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US11585969B2 (en) Optical filters and image sensors and camera modules and electronic devices
US11561331B2 (en) Combination structures and optical filters and image sensors and camera modules and electronic devices
US11555132B2 (en) Near-infrared absorbing composition, optical structure, and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491492B1 (ko)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 근적외선 흡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KR20210027928A (ko) 복합 구조체, 광학 필터, 이미지 센서,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KR20200109803A (ko) 근적외선 흡수 조성물, 광학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