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721A - 메시지를 이용한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메시지를 이용한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721A
KR20180061721A KR1020160161213A KR20160161213A KR20180061721A KR 20180061721 A KR20180061721 A KR 20180061721A KR 1020160161213 A KR1020160161213 A KR 1020160161213A KR 20160161213 A KR20160161213 A KR 20160161213A KR 20180061721 A KR20180061721 A KR 20180061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hat
command
control command
func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중현
Original Assignee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1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1721A/ko
Publication of KR20180061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3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using or handling presence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채팅 도중에 별도의 UI를 이용하지 않고도, IM 메시지를 이용하여 UC 기능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 실시예의 장치는, UC(Unified Communication) 기능 제어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채팅 메시지 수신시에, 상기 저장부를 검색하여 채팅 메시지에 포함된 UC 기능 제어 명령을 확인하고 제어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분석부와, 제어 명령 수행을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호출하여 상기 제어 명령 메시지를 해당 처리장치로 전달하는 메시지 전송부와, 해당 처리 장치로부터의 처리 결과를 채팅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메시지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메시지를 이용한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NIFIED COMMUNICATION FUNCTION USING MESSAGE}
본 개시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통합커뮤니케이션(UC: Unified Client)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교환기(PBX: Private Branch Exchange)는 전화국의 교환기를 소형화한 것으로서, 많은 수의 전화기 또는 통신 단말기들을 사용하는 일반 회사에서 주로 내부 전화망을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사설교환기는 회선망(PSTN) 기반의 사설교환기가 일반적이었으나, 인터넷이 활성화됨에 따라 패킷망인 IP망에 기반한 사설교환기(Pure IP 사설교환기로서, 예컨대 IP-PBX)가 도입되었다. IP 기반 사설교환기는 H.323 또는 S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P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 예컨대 음성 또는 화상 통신의 VoIP 서비스를 제공한다.
PBX는 회사나 학교 등의 지역을 하나의 지역으로 하여 각종 서비스, 예컨대 호 전환, 호 대기, 삼자통화 및 착신전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교환기를 일컫는 것으로, 전화, 팩시밀리, 컴퓨터 등이 여기에 접속되어 사용된다. PBX는 한 공간 및 건물에서 여러 대의 전화 교환 업무 지원을 수행한다. 또한, PBX는 회사 또는 다른 지역 사설 교환기와 연결하여 단말기, 컴퓨터, 기타 정보 처리기기들 간의 통신 통제 가능 근거리 통신망 회선의 추가 설치 없이 일반전화선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PBX는 국선교환기에 연결되어 단말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내부적으로는 PBX 망의 교환기로 사용된다. PBX에 의하여 현재 회선의 확장과 같은 시설의 번거로움과 이동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일상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사용자들은 여러 방법(예컨대, 전자메일, 전화, 음성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징(IM: Instant Messaging), 프레즌스(presence), 화상 회의, 팩스 등)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데, UC(Unified Communication) 솔루션은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통신 수단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스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여러 통신 수단을 연계해 주는 솔루션이다. UC 솔루션은 모든 의사 소통 수단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단순히 한 사람이 다른 사람과 대화하고자 할 때 현재 가장 빠르고 가능한 수단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하며, 메신저로 단순히 채팅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전화도 하고 화상회의도 할 수 있도록 한다.
PBX 또는 IP PBX와 연계된 UC 솔루션을 위해, 사설 교환기가 부여하는 전화번호를 부여받은 UC 클라이언트는 일반 전화기 또는 소프트폰(soft phone)으로 동작한다. 이때 사설 교환기와 연결되는 UC 클라이언트(전화기 또는 소프트폰)는 타 UC 클라이언트와 채팅(chatting), 전화(call), 화상통신(conference)도 하고, 스케줄링(일정 관리) 서비스도 제공한다. 또한, UC 클라이언트는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와 같은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프로토콜을 통해서 일반 채팅 프로그램과도 채팅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UC 클라이언트의 chatting, call, conference, schedule 등의 기능(이하 'UC 기능'이라 함)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능별 UI(User Interface)에 개별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컨대, UC 사용자는 IM창에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여 다른 UC 사용자와 채팅을 할 수 있는데, UC 사용자가 채팅 도중에 PBX 전화를 하기 위해서는 전화 UI를 별도로 이용해야 하고, IM 메시지를 이용한 채팅을 통해서는 PBX 전화가 불가능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결함을 해결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채팅 도중에 별도의 UI를 이용하지 않고도, IM 메시지를 이용하여 UC 기능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채팅 도중에 별도의 UI를 이용하지 않고도, IM 메시지를 이용하여 UC 기능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 실시예의 장치는, UC(Unified Communication) 기능 제어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채팅 메시지 수신시에, 상기 저장부를 검색하여 채팅 메시지에 포함된 UC 기능 제어 명령을 확인하고 제어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분석부와, 제어 명령 수행을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호출하여 상기 제어 명령 메시지를 해당 처리장치로 전달하는 메시지 전송부와, 해당 처리 장치로부터의 처리 결과를 채팅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메시지 관리부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장치는, 채팅창에 입력된 채팅 메시지에서 명령어 지시자를 검색하여 상기 명령어 지시자가 포함된 채팅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분석부로 전달하고, 상기 메시지 관리부로부터 전달된 처리 결과 메시지를 상기 채팅창에 출력하는 제1 메시지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장치에서, 상기 제1 메시지 처리부는, 제어 명령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채팅창을 식별 처리한다.
이 실시예의 장치에서, 상기 제1 메시지 처리부는, 제어 명령의 종류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식별 처리한다.
이 실시예의 장치에서, 상기 제1 메시지 처리부는, 메시지 입력창을 포함하는 상기 채팅창의 바탕색 또는 채팅 메시지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달리하여 식별 처리한다.
이 실시예의 장치에서, 상기 제1 메시지 처리부는, 상기 채팅창에 입력된 채팅 메시지에서 상기 명령어 지시자가 없으면 공지의 채팅 절차를 수행한다.
이 실시예의 장치에서, 상기 채팅 메시지는, 상기 명령어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UC 기능 제어 명령어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장치에서, 상기 채팅 메시지는, 상기 명령어 지시자 및 적어도 두 개의 UC 기능 제어 명령어, 명령어들의 구분 및 순차적 작업을 위한 일괄작업 명령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장치에서, 상기 채팅 메시지는, 상기 명령어 지시자 및 원격 접속용 토큰 값 및 적어도 하나의 UC 기능 제어 명령어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장치는, 원격 접속시, 접속하고자 하는 UC 클라이언트를 인증하고, 상기 토큰 값을 원격 접속 단말 및 상기 UC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며, 상기 명령어 지시자, 상기 토큰 값이 포함된 채팅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분석부로 전달하고, 상기 메시지 관리부로부터 전달된 처리 결과 메시지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로 전달하는 제2 메시지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장치에서, 상기 UC 기능은, 전화, 화상회의, 또는 일정관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방법은, UC(Unified Communication) 기능 제어 명령어를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제1 메시지 처리부가 채팅창에 입력된 메시지에서 명령어 지시자를 검색하는 단계와, 메시지 분석부가 상기 제1 메시지 처리부로부터 상기 명령어 지시자가 포함된 채팅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DB를 검색하여 채팅 메시지에 포함된 UC 기능 제어 명령을 확인하고 제어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메시지 전송부가 제어 명령 수행을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호출하여 상기 제어 명령 메시지를 해당 처리장치로 전달하는 단계와, 메시지 관리부가 해당 처리 장치로부터의 처리 결과를 채팅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메시지 처리부가 상기 메시지 관리부로부터 전달된 처리 결과 메시지를 상기 채팅창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방법은, 제어 명령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제1 메시지 처리부가 상기 채팅창을 식별 처리하되, 제어 명령의 종류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식별 처리하거나, 메시지 입력창을 포함하는 상기 채팅창의 바탕색 또는 채팅 메시지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달리하여 식별 처리한다.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상기 채팅 메시지는, 상기 명령어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UC 기능 제어 명령어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상기 채팅 메시지는, 상기 명령어 지시자 및 적어도 두 개의 UC 기능 제어 명령어, 명령어들의 구분 및 순차적 작업을 위한 일괄작업 명령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상기 채팅 메시지는, 상기 명령어 지시자 및 원격 접속용 토큰 값 및 적어도 하나의 UC 기능 제어 명령어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방법은, 원격 접속시, 제2 메시지 처리부가 접속하고자 하는 UC 클라이언트를 인증하고, 상기 토큰 값을 원격 접속 단말 및 상기 UC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메시지 처리부가 상기 명령어 지시자, 상기 토큰 값이 포함된 채팅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분석부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메시지 처리부가 상기 메시지 관리부로부터 전달된 처리 결과 메시지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상기 UC 기능은, 전화, 화상회의, 또는 일정관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채팅 도중에 별도의 UI를 이용하지 않고도, IM 메시지를 이용하여 UC 기능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환경 및 그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개시에 따른 기능 제어 명령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환경 및 그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그러나, "부"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서, 함수, 속성, 프로시저, 서브루틴,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 테이블, 어레이 및 변수를 포함한다. 구성요소와 "부" 내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 및 "부"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부"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에 기초하여"라는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기술되는,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하나 이상의 인자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며, 이 표현은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인자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통신시스템은 PBX 시스템 뿐만 아니라, PRI(Primary Rate Interface in ISDN) 혹은 BRI(Basic Rate Interface in ISDN) 급의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을 이용한 키폰 시스템, UC(Unified Communication) 시스템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 간의 내선 통화를 위한 내부 스위칭 및 단말이 ISDN 및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의 외부 망에 접속 가능하게 해주는 IP 키폰 장치를 포함하는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 외에도, S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단말, IVR(Interative Voice Response) 장비, 컨퍼런스(conference) 장비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PBX 서버(20)는 회사 등에서 사용되는 일정 수의 외부 전화회선을 모든 직원이 공유하고, 내선에 연결되어 있는 내부 가입자들(예컨대 사용자 단말(10-2, 10-3, 10-4)) 간에 전화를 자동으로 연결해 주기 위한 전화 교환 서버이다. PBX를 사용하는 주목적은 회사의 모든 종업원들에게 일일이 일반 전화회선을 배정할 경우 들어가게 될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PBX는 전화회사가 아닌 일반 기업체의 소유로서 자체 책임하에 운영된다. 사용자 단말A(10-1)는 통신망(예컨대, 전화망(PSTN), 이동통신망, VoIP망 등)을 경유하여 PBX 서버(20)와 연결되고, PBX 서버(20)는 사용자A와 PBX 내부 가입자B,C,D 간의 전화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프레즌스 서버(21)는 PBX 내부 가입자 간에 현재 상태정보(통화중 등)를 알려 줄 수 있다. 즉, 프레즌스 서버(21)는 PBX 내부 가입자B,C,D의 발/착신 상태를 파악하여 해당 내부 가입자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는 것으로, PBX 서버(20)나 UC 서버(3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내부 가입자들은 키폰 전화기의 유동 버튼에 다른 내부 가입자들의 번호(내선번호)를 등록해두고, 등록된 내부 가입자들의 통화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PBX 내부 가입자B(10-2)는 다른 내부 가입자C,D(10-3,10-4) 뿐만 아니라, 타 PBX 시스템 또는 PSTN의 외부 가입자A(10-1)와도 전화 연결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가입자B,C,D(10-2,10-3,10-4)는 프레즌스 서버(21)를 공유하는 PBX 시스템의 가입자들로서, 서로 간의 프레즌스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가입자A(10-1)는 프레즌스 서버(21)를 공유하지 않는 타 시스템 가입자로서, PSTN 등에 유선 혹은 휴대 전화 혹은 인터넷 전화 등으로 PBX 서버(20)와 중계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원칙적으로 내부 가입자와 통화는 가능하지만, 서로 간의 프레즌스 정보를 공유할 수는 없다.
PBX 서버(20)는 IP 망을 통해 다수의 VoIP 장치, 다수의 VoIP 게이트웨이, 중계(Intermediate) 서버, UC 서버(30) 등과 연결되어, 일반 전화기(SLT), 디지털 키폰 전화기(DKT), UCS(Unified Communication Solution), WiFi 단말기, 유/무선 IP폰 등의 단말에게 SIP나 H.323 프로토콜을 이용한 VoIP 서비스를 제공한다. 각 장치 간에는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이 구비되고, 특히 PBX 서버(20)에는 각 VoIP 장치/VoIP 게이트웨이를 관리하고 로드밸런스(load balance) 및 인입/인출 신호(incoming/outgoing signaling)와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패킷을 해당 VoIP 장치/VoIP 게이트웨이로 라우팅하기 위해 패킷의 주소 변환(address translation)을 위한 장치 드라이버(device driver)가 구비된다.
여기서, 라우팅이란, IP 패킷이 목적지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라우터가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하려면 라우터는 해당 목적지에 대한 경로정보(라우팅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하며, 이 정보에 따라 패킷을 전달한다. 따라서 라우터들은 목적지에 대한 경로정보를 가지고 이웃의 라우터들과 경로정보를 교환하는데, 이때 경로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을 라우팅 프로토콜이라 한다. 대표적인 라우팅 프로토콜로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BGP(Border Gateway Protocol) 등이 있다.
PBX 서버(20)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얻은 라우팅 정보와 각 VoIP 장치/VoIP 게이트웨이의 상태정보를 이용해서 얻은 토폴로지 정보를 바탕으로 VoIP 서비스에 대한 로드밸런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PBX 서버(20)는 각 VoIP 장치/VoIP 게이트웨이의 상태정보(VoIP 서비스를 위한 VoIP 호 정보)를 알고 있다. 그 이유는 VoIP 장치를 포함하여 PBX 서버(20)에 등록되는 모든 장치는 PBX 서버(20)의 호(call)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PBX 서버(20)는 프로토콜(예컨대, IPKT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각 등록된 장치들의 기본 정보 및 현재의 상태정보 등을 항상 관리하고 있다.
KTS 또는 IP KTS와 연계된 통합 커뮤니케이션(UC) 솔루션을 위해서 PBX 서버(20)와 UC 서버(30)가 연결되고, 각 사용자(UC 클라이언트, 예컨대 사용자 단말C(10-3))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예컨대,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등)을 통해 UC 서버(30)에 접속하여 다른 사용자들(UC 클라이언트, 예컨대 사용자 단말D(10-4))과 메시지나 파일 등을 주고받는다. 또한, PBX 서버(20)가 부여하는 전화번호를 부여받은 사용자 단말C(10-3)는 소프트폰(soft phone)으로 동작하여 타 사용자 단말D(10-4)의 상태정보를 보여주고 전화통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부 통신망(전화망(PSTN), 이동통신망, 유무선 인터넷 등)의 사용자 단말A,B(10-1,10-2)와도 전화통화가 가능하다. 이때 외부 통신망을 통해 PBX 서버(20)에 호가 착신되면, UC 서버(30)의 ICR(Indivisual Call Router) 서버는 UC 클라이언트별로 등록한 호 처리 테이블의 내용(시나리오)에 따라 호를 처리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C(10-3)에서 호가 발신되면, UC 서버(30)는 사용자 단말C(10-3)에서 등록한 호 처리 테이블의 내용에 따라 호를 처리한다.
사용자 단말C,D(10-3,10-4)는 UC 서버(30)와 연동하며, 인스턴트 메시징(IM: Instant Messaging), 파일 전송(file sending), 파일 공유(dile sharing), 웹 푸쉬(web push), 음성호(voice call), 영상호(imaging call)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UC 서버(30)는 인스턴트 메시징(IM) 서버, ICR 서버, 프레즌스(presence) 서버(21), 디렉토리(directory) 서버 등을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즌스 서버는 PBX 서버(20)에 구비될 수 있고 UC 서버(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프레즌스 서버(21)는 UC 내부 가입자(soft phone을 탑재한 타 UC 클라이언트)의 상태정보(온라인, 오프라인, 통화중 등)를 제공하고, IM 서버는 사용자 단말C,D(10-3,10-4) 간에 인스턴트 메시지를 제공한다.
IM 메시지는 UC에서 많이 사용되는 기능이며, IM 메시지는 text 기반으로 전달된다. 사용자 단말C,D(10-3,10-4)는 XMPP Proxy를 이용하여 일반 채팅 프로그램과도 IM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환경 및 그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UC 사용자는 IM 채팅창에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여 UC 사용자 간에 채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는 UC 사용자가 채팅 도중에 별도의 UI를 이용하지 않고도, IM 메시지를 이용하여 chatting, call, conference, schedule 등의 UC 기능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는 UC 기능 제어 장치(200)에 관한 것이다.
UC 기능 제어 장치(200)는 UC 사용자가 채팅(chatting) 중에 IM 메시지를 통해 PBX 서버(20)로 전화(call)를 요청하거나, UC 서버(30)로 스케쥴(schedule)을 요청하거나, UC 클라이언트(예컨대 사용자 단말C(10-3)) 자체에게 CRM 검색 등의 작업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UC 기능 제어 장치(200)는 일반 채팅 프로그램에서 UC 클라이언트(예컨대 사용자 단말C(10-3))로 문자 메시지를 보내 PBX 서버(20), UC 서버(30), UC 클라이언트와 연계된 기능을 원격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원격 제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UC 사용자가 UC 클라이언트(예컨대 사용자 단말C(10-3))를 통해 문자 메시지에 명령 프람프트(예컨대, "#"(프람프트는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를 입력한 후 기능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기능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가 UC 기능 제어 장치(200)로 전달되고, UC 기능 제어 장치(200)에서 기능 제어 명령이 분류되어, PBX 서버(20), UC 서버(30) 또는 UC 클라이언트(예컨대 사용자 단말C(10-3)) 자체로 명령이 전송된다.
UC 기능 제어 장치(200)는 UC 클라이언트, 즉 사용자 단말C,D(10-3,10-4)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UC 기능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C,D 각각(10-3,10-4)에 탑재되지 않고 스탠드 얼론(stand-alone) 형태로 사용자 단말C,D(10-3,10-4)와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일실시예에 따르면, UC 기능 제어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C(10-3)에 탑재되어, 사용자 단말C(10-3)와 사용자 단말D(10-4)가 채팅하는 도중에, 사용자 단말C(10-3)에서 별도의 UI를 이용하지 않고도 IM 메시지를 이용하여 UC 기능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UC 기능 제어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D(10-4)에 탑재되어, 사용자 단말C(10-3)와 사용자 단말D(10-4)가 채팅하는 도중에, 사용자 단말D(10-4)에서 별도의 UI를 이용하지 않고도 IM 메시지를 이용하여 UC 기능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UC 기능 제어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C,D 각각(10-3,10-4)에 탑재되지 않고 스탠드 얼론(stand-alone) 형태로 사용자 단말C,D(10-3,10-4)와 이격 배치되어, 사용자 단말C(10-3)와 사용자 단말D(10-4)가 채팅하는 도중에, 사용자 단말C(10-3) 또는 사용자 단말D(10-4)에서 채팅 도중에 별도의 UI를 이용하지 않고도, IM 메시지를 이용하여 UC 기능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UC 기능 제어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C(10-3)에 탑재되는 구성을 도시하였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D(10-4)에 탑재되거나, 스탠드 얼론(stand-alone) 형태로 구성된 경우에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UC 기능 제어 장치(200)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C와 사용자D는 사용자 단말C(10-3)의 메시지 처리부(110)와 사용자 단말D(10-4)의 메시지 처리부(120)를 통해 IM 메시지를 이용하여 채팅을 수행한다.
UC 기능 제어 장치(200)는 UC 기능 제어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command dictionary)(210)와, 채팅 메시지(IM 메시지) 수신시에, 저장부(210)를 검색하여 채팅 메시지에 포함된 UC 기능 제어 명령을 확인하고 제어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분석부(command parser)(220)와, 제어 명령 수행을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호출하여 제어 명령 메시지를 해당 처리장치(PBX 서버(20) 또는 UC 서버(30) 또는 사용자 단말D(10-4) 자체 등)로 전달하는 메시지 전송부(command dispatcher)(230)와, 해당 처리 장치(PBX 서버(20) 또는 UC 서버(30) 또는 사용자 단말D(10-4) 자체 등)로부터의 처리 결과를 채팅 메시지(IM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메시지 관리부(result handler)(240)를 포함한다. 또한, 채팅창에 입력된 채팅 메시지에서 명령어 지시자(명령 프람프트, 예컨대 "#")를 검색하여 명령어 지시자가 포함된 채팅 메시지를 메시지 분석부(220)로 전달하고, 메시지 관리부(240)로부터 전달된 처리 결과 메시지를 채팅창에 출력하는 메시지 처리부(11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UC 기능은, 전화, 화상회의, 또는 일정관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처리부(110)는 채팅창에 입력된 채팅 메시지(IM 메시지)에서 명령어 지시자(명령 프람프트)가 있으면 명령어 지시자가 포함된 채팅 메시지를 메시지 분석부(220)로 전달하고, UC 기능 제어 장치(200)에서 제어 명령이 진행되는 동안, 채팅창을 식별 처리한다.
식별 처리의 일 예로, 메시지 처리부(110)는 제어 명령의 종류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식별 처리할 수 있다.
식별 처리의 다른 예로, 메시지 처리부(110)는 메시지 입력창을 포함하는 채팅창의 바탕색 또는 채팅 메시지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달리하여 식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메시지 처리부(110)는 채팅창에 입력된 채팅 메시지(IM 메시지)에서 명령어 지시자가 없으면 공지의 채팅 절차를 수행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채팅 메시지(IM 메시지)는, 명령어 지시자(명령 프람프트) 및 적어도 하나의 UC 기능 제어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채팅 메시지(IM 메시지)는, 명령어 지시자(명령 프람프트) 및 적어도 두 개의 UC 기능 제어 명령어, 명령어들의 구분 및 순차적 작업을 위한 일괄작업 명령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채팅 메시지는, 명령어 지시자(명령 프람프트) 및 원격 접속용 토큰 값 및 적어도 하나의 UC 기능 제어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접속을 통한 UC 기능 제어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IM 메시지를 통해 UC 기능 제어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기능 제어 명령의 일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chat on/off : IM 메시지에서 채팅 기능을 on/off 한다.
- #pbx on/off, #uc server on/off, #uc client on/off : 분류된 명령을 처리할 때 해당 시스템으로의 명령 전송을 on/off 한다.
- #command prompt % : 명령 프람프트(command prompt)를 #에서 %로 변경한다(도 3a 참조).
사용자 단말D(10-4)의 메시지 처리부(120)와 채팅 도중에, 사용자 단말C(10-3)의 메시지 처리부(110)는 IM 메시지가 일반 채팅(normal chatting)인지 혹은 UC 기능 제어 명령어(command)인지를 구분하여, UC 기능 제어 명령어인 경우 UC 기능 제어 장치(200)로 IM 메시지를 전달한다. 여기서, 일반 채팅과 기능 제어 명령의 구분은, 명령어 지시자(명령 프람프트, 예컨대, "#")로 구분할 수 있다.
IM 메시지에 명령 프람프트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 채팅인 경우이므로, 메시지 처리부(110)는 IM 메시지를 UC 서버(30)로 보내 일반 채팅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일반 채팅인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 프람프트(#)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UC 기능 제어 장치(200)를 거치지 않고, UC 서버(30)로 채팅 메시지를 즉시 전송한다.
IM 메시지에 명령 프람프트가 포함되어 있으면, 메시지 처리부(110)는 IM 메시지를 UC 기능 제어 장치(200)로 전달한다.
메시지 처리부(110)로부터 명령 프람프트를 포함하는 IM 메시지가 수신되면, UC 기능 제어 장치(200)의 메시지 분석부(220)는 저장부(210)를 검색하여 IM 메시지에 포함된 UC 기능 제어 명령어를 확인하고 제어 명령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UC 기능 제어 명령어의 유형으로는, PBX 서버 관련 기능 제어 명령, UC 서버 관련 기능 제어 명령, UC 클라이언트 자체 기능 제어 명령 등이 있다.
IM 메시지가 PBX 서버(20)의 제어 명령인 경우(예컨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call 2000"), 메시지 분석부(220)는 메시지 처리부(110)를 제어하여 IM 메시지 입력창 및 문자를 식별처리(예컨대, 주황색, 이때 색상은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함)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C에게 PBX 서버 제어 명령이 수행되고 있음을 쉽게 인지시켜 준다.
또한, 메시지 분석부(220)는 IM 메시지를 PBX 서버 메시지로 변경하여 메시지 전송부(230)로 전달한다. 이후에, 메시지 전송부(230)는 해당 PBX 서버 제어 명령을 PBX 서버(20)로 전송한다.
PBX 서버(20)의 제어 명령에 대한 처리 결과는 메시지 관리부(240)로 수신되고, 메시지 관리부(240)는 PBX 처리 결과를 메시지 처리부(110)로 전달하여 IM 창에 보여줌으로써, 사용자C가 PBX 처리 결과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IM 메시지를 통한 PBX 서버(20)의 제어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D와 채팅 도중에, 사용자C가 전화하기 위해 IM 채팅창에 "#call 2000"를 입력하면, 메시지 처리부(110)는 IM 메시지에 명령 프람프트가 포함되어 있음을 인지하여, 명령 프람프트가 포함된 IM 메시지를 UC 기능 제어 장치(200)로 전달한다.
UC 기능 제어 장치(200)의 메시지 분석부(220)는 명령 프람프트(#)로 시작된 명령어 "call이 저장부(210)에 등록되어 있는지 검색한 후, 목적지가 PBX 서버(20)임을 확인한다. 이후에, 메시지 분석부(220)는 PBX API call_number를 number 값으로 입력된 값 "2000"과 함께 메시지 전송부(230)로 전달한다.
메시지 전송부(230)는 call_number API를 호출하여 PBX 서버(20)가 전화명령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메시지 전송부(230)는 수행된 명령에 대한 Command sequence number(예컨대, 1000) 및 해당 명령어(예컨대, call 2000)를 자체적으로 저장해둔다.
메시지 관리부(240)는 PBX 서버(20)의 처리 결과 메시지에 포함된 Command sequence number(1000)를 메시지 전송부(230)가 저장해 둔 Command sequence number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IM 메시지로 변환한다.
메시지 관리부(240)는 PBX 서버(20)의 처리 결과 메시지가 성공이면(성공:1, 실패:0) 메시지 처리부(110)를 제어하여 UC Client의 UC 관련 API im_message를 이용하여 호처리 결과값을 IM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im_message(1,"OK call 2000")]
PBX 서버 관련 기능 제어 명령의 일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call 2000 : 내선 2000번으로 전화한다.
- # callforward 010-2223-3445 : 전화가 오면 010-2223-3445번으로 포워딩한다.
- #transfer 2001 : 걸려온 전화를 2001번으로 호전환한다 .
- #conference 100 12345 : 100번 conference방으로 12345 비밀번호로 진입한다.
- #call 2002 at 5/25 10 :10 | call 2003 at 5/25 12 :30 | call 2004 at 5/26 10: 00 : 5월 25일 10시 10분에 내선 2002번으로 전화하고, 5월 25일 12시 30분에 내선 2003번으로 전화하며, 5월 26일 10시에 내선 2004번으로 전화한다. 명 령어 사이의 "| " 기호는 적어도 두 개의 UC 기능 제어 명령어들의 구분 및 순차적 작업을 위한 일괄작업 명령 식별자로서, 여러 명령들을 일괄 처리할 수 있는 파이프이다.
- # dnd on/off : DND를 on/off 한다.
한편, IM 메시지가 UC 서버(30)의 제어 명령인 경우(예컨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은 "#schedule today"), 메시지 분석부(220)는 메시지 처리부(110)를 제어하여 IM 메시지 입력창 및 문자를 식별처리(예컨대, 녹색, 이때 색상은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함)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C에게 UC 서버 제어 명령이 수행되고 있음을 쉽게 인지시켜 준다.
또한, 메시지 분석부(220)는 IM 메시지를 UC 서버 메시지로 변경하여 메시지 전송부(230)로 전달한다. 이후에, 메시지 전송부(230)는 해당 UC 서버 제어 명령을 UC 서버(30)로 전송한다.
UC 서버(30)의 제어 명령에 대한 처리 결과는 메시지 관리부(240)로 수신되고, 메시지 관리부(240)는 UC 처리 결과를 메시지 처리부(110)로 전달하여 IM 창에 보여줌으로써, 사용자C가 UC 처리 결과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IM 메시지를 통한 UC 서버(30)의 제어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D와 채팅 도중에, 사용자C가 오늘의 스케쥴을 검색하기 위해 IM 채팅창에 "#schedule today"를 입력하면, 메시지 처리부(110)는 IM 메시지에 명령 프람프트가 포함되어 있음을 인지하여, IM 메시지를 UC 기능 제어 장치(200)로 전달한다.
UC 기능 제어 장치(200)의 메시지 분석부(220)는 명령 프람프트(#)로 시작된 명령어 "schedule"이 저장부(210)에 등록되어 있는지 검색한 후, 목적지가 UC 서버(30)임을 확인한다. 이후에, 메시지 분석부(220)는 UC Server API - search를 date 값으로 입력된 값 today와 함께 메시지 전송부(230)로 전달한다.
메시지 전송부(230)는 schedule API를 호출하여 UC 서버(30)가 스케쥴(schedule)을 검색하도록 한다. 이때, 메시지 전송부(230)는 수행된 명령에 대한 Command sequence number(예컨대, 1001) 및 해당 명령어(예컨대, schedule today)를 자체적으로 저장해둔다.
메시지 관리부(240)는 UC 서버(30)의 처리 결과 메시지에 포함된 Command sequence number(1001)를 메시지 전송부(230)가 저장해 둔 Command sequence number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IM 메시지로 변환한다.
메시지 관리부(240)는 UC 서버(30)의 결과 메시지가 성공이면(성공:1, 실패:0) 메시지 처리부(110)를 제어하여 UC Client의 UC 관련 API im_message를 이용하여 스케쥴 결과값을 IM 메시지로 출력하도록 한다. [im_message(1,"10:30 AM - meeting at conf. room")]
UC 서버 관련 기능 제어 명령의 일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search John : John의 상세 정보를 검색한다.
- #schedule today : 오늘 일정을 검색한다.
다른 한편, UC 클라이언트(사용자 단말C(10-3)) 자체 제어 명령인 경우(예컨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pup crm John"), 메시지 분석부(220)는 메시지 처리부(110)를 제어하여 IM 메시지 입력창 및 문자를 식별처리(예컨대, 파란색, 색상은 설정에 의해 변경 가능함)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C에게 UC 클라이언트 자체 제어 명령이 수행되고 있음을 쉽게 인지시켜 준다.
또한, 메시지 분석부(220)는 IM 메시지를 UC 클라이언트 메시지로 변경하여 메시지 전송부(230)로 전달한다. 이후에, 메시지 전송부(230)는 해당 UC 클라이언트 자체 제어 명령을 UC 클라언트(사용자 단말C(10-3))로 전송한다.
UC 클라언트(사용자 단말C(10-3))의 제어 명령에 대한 처리 결과는 메시지 관리부(240)로 수신되고, 메시지 관리부(240)는 UC 클라이언트 처리 결과를 메시지 처리부(110)로 전달하여 IM 창에 보여줌으로써, 사용자C가 UC 클라이언트 처리 결과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IM 메시지를 통한 UC 클라언트(사용자 단말C(10-3))의 제어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D와 채팅 도중에, 사용자가 John의 CRM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IM 채팅창에 "#crm John"을 입력하면, 메시지 처리부(110)는 IM 메시지에 명령 프람프트가 포함되어 있음을 인지하여, IM 메시지를 UC 클라언트(사용자 단말C(10-3))로 전달한다.
UC 기능 제어 장치(200)의 메시지 분석부(220)는 명령 프람프트(#)로 시작된 명령어 "crm"이 저장부(210)에 등록되어 있는지 검색한 후, 목적지가 UC 클라언트(사용자 단말C(10-3))임을 확인한다. 이후에, 메시지 분석부(220)는 UC Client API crm을 name 값으로 입력된 값 "John"과 함께 메시지 전송부(230)로 전달한다.
메시지 전송부(230)는 crm API를 호출하여 UC 클라언트(사용자 단말C(10-3))가 "crm"을 검색하도록 한다. 이때, 메시지 전송부(230)는 수행된 명령에 대한 Command sequence number(예로서, 1002) 및 해당 명령어(예로서, crm John)를 자체적으로 저장해둔다.
메시지 관리부(240)는 UC 클라언트(사용자 단말C(10-3))의 처리 결과 메시지에 포함된 Command sequence number(1002)를 메시지 전송부(230)가 저장해 둔 Command sequence number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IM 메시지로 변환한다.
메시지 관리부(240)는 UC 클라언트(사용자 단말C(10-3))의 결과 메시지가 성공이면(성공:1, 실패:0) 메시지 처리부(110)를 제어하여 UC 클라언트(사용자 단말C(10-3))의 UC 관련 API im_message를 이용하여 CRM 결과값을 IM 메시지로 출력하도록 한다. [im_message(1,"Name: John, Company: ABC Company, Phone Number: 123-4567"]
UC 클라이언트 관련 기능 제어 명령의 일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crm John : John의 CRM 정보를 브라우저에 popup한다 .
- # callmemo 2001 : 내선 2001의 call memo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환경 및 그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UC 클라이언트와 연계된 기능을 원격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2의 UC 기능 제어 장치(200)에 있어서, 원격 접속시, 접속하고자 하는 UC 클라이언트(사용자 단말C(10-3))를 인증하고, 토큰 값을 원격 접속 단말(사용자 단말E(10-5)) 및 UC 클라이언트(사용자 단말C(10-3))로 전달하며, 명령어 지시자, 토큰 값이 포함된 채팅 메시지를 메시지 분석부(220)로 전달하고, 메시지 관리부(240)로부터 전달된 처리 결과 메시지를 원격 접속 단말(사용자 단말E(10-5))로 전달하는 메시지 처리부(310)를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메시지 처리부(310)는 UC 서버(30)에 탑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메시지 처리부(310)는 UC 서버(30)에 탑재되지 않고 스탠드 얼론(stand-alone) 형태로 UC 서버(30)와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UC 기능 제어 장치(200)는 UC 클라이언트, 즉 사용자 단말C(10-3)이나 UC 서버(30)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UC 기능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C(10-3)이나 UC 서버(30)에 탑재되지 않고 스탠드 얼론(stand-alone) 형태로 사용자 단말C(10-3)이나 UC 서버(30)와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UC 기능 제어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C(10-3)에 탑재되는 구성을 도시하였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UC 서버(30)에 탑재되거나, 스탠드 얼론(stand-alone) 형태로 구성된 경우에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 채팅 프로그램을 통한 원격 제어 과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단말E(10-5)에서 일반 채팅 프로그램(130)의 채팅 메시지는 XMPP Proxy에 의해 UC 서버(30)로 전달되고, 메시지 처리부(310)는 명령 프람프트(#)가 포함되지 않은 일반 채팅 메시지를 UC 클라이언트(사용자 단말C(10-3))로 전달한다.
그러나, 채팅 메시지의 시작이 명령 프람프트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 명령 프람프트 수행을 위한 인증 작업을 한다.
IM 메시지에 명령 프람프트가 포함되어 있으면, 일반 채팅 프로그램(130)이 명령 프람프트 인증 여부에 따라 다음의 절차를 수행한다.
먼저, 인증이 안된 경우, UC 서버(30)의 메시지 처리부(310)는 일반 채팅 프로그램(130)으로 명령을 수행하려 하는 목적지 UC 클라이언트(사용자 단말C(10-3))의 ID와 비밀번호(password)를 물어 인증을 수행한다.
이미 인증이 된 경우, UC 서버(30)의 메시지 처리부(310)는 명령 프람프트가 포함된 IM 메시지를 UC 기능 제어 장치(200)로 전달하여, 원격 제어 명령에 따른 PBX 서버 관련 기능 제어 명령, UC 서버 관련 기능 제어 명령, UC 클라이언트 자체 기능 제어 명령 등이 처리되도록 한다.
인증 이후, UC 기능 제어 장치(200)에서 IM 메시지를 통한 PBX 서버(20)의 제어 과정, UC 서버(30)의 제어 과정, UC 클라언트(사용자 단말C(10-3))의 제어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만, 제어 명령이 수행되고 있음을 사용자E에 인지시켜 줄 수 있도록 식별처리하거나, 제어 명령에 따른 처리 결과값을 IM 채팅창에 표시하는 주체가 사용자 단말E(10-5)의 채팅 프로그램(130)이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상기에서, 일반 채팅 프로그램(130)을 통해 명령 프람프트(#)를 이용하여 UC 클라이언트(사용자 단말C(10-3))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인증 절차를 통해 토큰(token)을 획득해야 한다.
일반 채팅 프로그램 사용자E는 원격으로 접속하고자 하는 UC 클라이언트(사용자 단말C(10-3))의 아이디(ID)와 비밀번호(password)를 "#id xxxx password xxxx" 형태로 UC 서버(30)로 보낸다.
UC 서버(30)는 인증 결과와 함께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는 Token 값을 일반 채팅 프로그램(130)으로 전송하고, Token 값을 해당 UC 클라이언트(사용자 단말C(10-3))에게도 전송한다.
일반 채팅프로그램 사용자E는 Token 값과 함께 수행할 명령을 보냄으로써, 인증 이후의 과정과 동일한 절차로 진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UC 기능 제어 장치(200)는 "#call 2000 | #callfwd 010-2010-2222"와 같이 파이프(|) 기능을 이용하여 여려 명령어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text 기반으로 다양한 기능들을 조합하여 PBX 서버(20) / UC 서버(30) / UC 클라이이언트(UC 사용자 단말C(10-3))에게 일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일반 채팅 프로그램(130)에서 일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기존 UC는 call, chatting, schedule, conference 등 많은 기능을 지원하지만 그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능에 대한 화면을 선택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이에 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UC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IM 기능에 call, schedule, conference 등 UC의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는 명령어들을 정의하여 저장부(command dictionary)에 저장해두고, 메시지 분석부에 의해 분류되어 해당 명령을 처리하는 시스템(PBX 서버 / UC 서버/ UC 클라이언트)으로 메시지를 전달하여 명령을 수행하며, 또한 UC 서버 앞단에 XMPP Proxy를 두어 카카오톡, Lync 등과 같은 일반 채팅 프로그램에서 UC 클라이언트로 채팅을 하는 도중에 명령 프람프트를 입력하여 원격에서 UC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는 UC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채팅중에 명령 프람프트를 이용하여 쉽게 UC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UC 클라이언트의 기능별 UI에 접근해야 하는 부담감을 제거하여 UC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text 기반의 명령이기 때문에 파이프(|) 명령을 이용하여 다수의 명령들을 순차적으로 일괄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부의 일반 채팅 프로그램에서 UC 클라이언트로 채팅시 명령 프람프트를 포함한 경우, UC 서버에 의해 목적지 UC 클라이언트의 아이디(ID)와 비밀번호(password) 인증을 거치게 되며, 인증이 완료되면 일반 채팅 프로그램을 통해 UC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 채팅 프로그램에서 UC의 PBX 서버 / UC 서버/ UC 클라이언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채팅 메시지를 통해 제공됨으로써, UC의 사용자의 UC 이용률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방법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 사용자 단말 20: PBX 서버
30: UC 서버 110,120,310: 메시지 처리부
130: 채팅 프로그램 200: UC 기능 제어 장치
210: 저장부 220: 메시지 분석부
230: 메시지 전송부 240: 메시지 관리부

Claims (18)

  1. UC(Unified Communication) 기능 제어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채팅 메시지 수신시에, 상기 저장부를 검색하여 채팅 메시지에 포함된 UC 기능 제어 명령을 확인하고 제어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분석부와,
    제어 명령 수행을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호출하여 상기 제어 명령 메시지를 해당 처리장치로 전달하는 메시지 전송부와,
    해당 처리 장치로부터의 처리 결과를 채팅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메시지 관리부를 포함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채팅창에 입력된 채팅 메시지에서 명령어 지시자를 검색하여 상기 명령어 지시자가 포함된 채팅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분석부로 전달하고, 상기 메시지 관리부로부터 전달된 처리 결과 메시지를 상기 채팅창에 출력하는 제1 메시지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 처리부는, 제어 명령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채팅창을 식별 처리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 처리부는, 제어 명령의 종류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식별 처리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 처리부는, 메시지 입력창을 포함하는 상기 채팅창의 바탕색 또는 채팅 메시지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달리하여 식별 처리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 처리부는, 상기 채팅창에 입력된 채팅 메시지에서 상기 명령어 지시자가 없으면 공지의 채팅 절차를 수행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장치.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메시지는, 상기 명령어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UC 기능 제어 명령어를 포함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장치.
  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메시지는, 상기 명령어 지시자 및 적어도 두 개의 UC 기능 제어 명령어, 명령어들의 구분 및 순차적 작업을 위한 일괄작업 명령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장치.
  9.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메시지는, 상기 명령어 지시자 및 원격 접속용 토큰 값 및 적어도 하나의 UC 기능 제어 명령어를 포함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원격 접속시, 접속하고자 하는 UC 클라이언트를 인증하고, 상기 토큰 값을 원격 접속 단말 및 상기 UC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며, 상기 명령어 지시자, 상기 토큰 값이 포함된 채팅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분석부로 전달하고, 상기 메시지 관리부로부터 전달된 처리 결과 메시지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로 전달하는 제2 메시지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장치.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C 기능은, 전화, 화상회의, 또는 일정관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장치.
  12. UC(Unified Communication) 기능 제어 명령어를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제1 메시지 처리부가 채팅창에 입력된 메시지에서 명령어 지시자를 검색하는 단계와,
    메시지 분석부가 상기 제1 메시지 처리부로부터 상기 명령어 지시자가 포함된 채팅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DB를 검색하여 채팅 메시지에 포함된 UC 기능 제어 명령을 확인하고 제어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메시지 전송부가 제어 명령 수행을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호출하여 상기 제어 명령 메시지를 해당 처리장치로 전달하는 단계와,
    메시지 관리부가 해당 처리 장치로부터의 처리 결과를 채팅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메시지 처리부가 상기 메시지 관리부로부터 전달된 처리 결과 메시지를 상기 채팅창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제어 명령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제1 메시지 처리부가 상기 채팅창을 식별 처리하되, 제어 명령의 종류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식별 처리하거나, 메시지 입력창을 포함하는 상기 채팅창의 바탕색 또는 채팅 메시지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달리하여 식별 처리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메시지는, 상기 명령어 지시자 및 적어도 하나의 UC 기능 제어 명령어를 포함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메시지는, 상기 명령어 지시자 및 적어도 두 개의 UC 기능 제어 명령어, 명령어들의 구분 및 순차적 작업을 위한 일괄작업 명령 식별자를 포함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방법.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메시지는, 상기 명령어 지시자 및 원격 접속용 토큰 값 및 적어도 하나의 UC 기능 제어 명령어를 포함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원격 접속시, 제2 메시지 처리부가 접속하고자 하는 UC 클라이언트를 인증하고, 상기 토큰 값을 원격 접속 단말 및 상기 UC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메시지 처리부가 상기 명령어 지시자, 상기 토큰 값이 포함된 채팅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분석부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메시지 처리부가 상기 메시지 관리부로부터 전달된 처리 결과 메시지를 상기 원격 접속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방법.
  18. 제12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UC 기능은, 전화, 화상회의, 또는 일정관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방법.
KR1020160161213A 2016-11-30 2016-11-30 메시지를 이용한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061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213A KR20180061721A (ko) 2016-11-30 2016-11-30 메시지를 이용한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213A KR20180061721A (ko) 2016-11-30 2016-11-30 메시지를 이용한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721A true KR20180061721A (ko) 2018-06-08

Family

ID=6260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213A KR20180061721A (ko) 2016-11-30 2016-11-30 메시지를 이용한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17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7335B2 (en) Multimedia access device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KR101130398B1 (ko) 제3자 호 및 장치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
US7283829B2 (en) Management of call requests in multi-mod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US67954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notes with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on a network telephony call
US76979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st optimization of cellular networks indication
US76975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and interaction
US8351913B2 (en) Merging call notifications in cross ringing systems
US20100066807A1 (en) Initiation and support of video conferencing using instant messaging
US20100303061A1 (en)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for supporting non-specific network protocols and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7995737B2 (en) Accommodation of two independent telephony systems
US20160301805A1 (en) Government enterprise network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9055013B2 (en) Integration of voice chat services
KR101481285B1 (ko) 핫-데스킹을 인에이블링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70166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lephone service using a wireless personal information device
EP1938202A2 (en) System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a single-number follow me service for videoconferencing
US7756257B2 (en) SIP enabled device identification
US91670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ed call-back revocation
JP6672379B2 (ja) 単一の記録アドレスを有する複数のデバイスのコンピュータ電話統合(cti)制御
KR20210060906A (ko) 가용 담당자 직접 컨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061721A (ko) 메시지를 이용한 통합커뮤니케이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702505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ce indication of cellular telephones
KR20160077799A (ko) 통화중 녹음 방법 및 그 통신시스템
US20220321696A1 (en) Presence based presentation of c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KR101814846B1 (ko) 통화중 호 전환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시스템
KR100453229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다수 전화 부가 서비스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