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550A - Enery saving system for marine­nursery facilities based on Internet of Things(IoT) - Google Patents

Enery saving system for marine­nursery facilities based on Internet of Things(I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550A
KR20180061550A KR1020160160712A KR20160160712A KR20180061550A KR 20180061550 A KR20180061550 A KR 20180061550A KR 1020160160712 A KR1020160160712 A KR 1020160160712A KR 20160160712 A KR20160160712 A KR 20160160712A KR 20180061550 A KR20180061550 A KR 20180061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power
seawater
iot
f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7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비트
Priority to KR1020160160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1550A/en
Publication of KR20180061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5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trol system for a seawater pump of an IoT-based land cultivation plant. The power control system comprises: a cultivation plant environment apparatus; a seawater tank; a liquefied oxygen supply apparatus; a user terminal; and a power control server. By predict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specific section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an optimal control schedule of a pump according to a required amount of power saving, energy can be saved.

Description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Enery saving system for marine­nursery facilities based on Internet of Things(Io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sea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for a marine aquaculture system,

본 발명은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온, 표층온도, 풍향, 조수간만 정보 등을 수집하고 거점별 해수온도를 예측을 통해 해수펌프의 상태정보를 실시간 수집하여 원격 인버터 제어를 통해 현재 사용중인 양식장의 전력소모량을 통하여 특정구간의 전력 사용량을 예측하여 전력 절감 필요량에 따른 펌프 최적 제어 스케쥴을 자동 생성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sea 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for a terrestrial aquacultur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collecting the temperature, surface temperature, wind direction, IoT-based athletic form that can save energy by automatically generating a pump optimal control schedule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requirement by predict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specific section through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arm which is currently being used through the remote inverter control by collecting in real ti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원격으로 양식장 내 구동펌프를 자동제어하고 양식장 어류 생육환경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양식장별 전력자원 사용 내역, 사용가능 구간, 전력소비 패턴에 대해 수행이력관리를 통한 정산보고 및 자동생성을 통해 효율적인 전력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driving pumps in a farm and remotely monitor farm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to monitor settlement reporting and automatic generation of the power resource usage history, usable period, and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each far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sea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capable of inducing efficient use of electric power through an electric power plant.

육상 수조식 양식장은 1일 약 24회의 해수펌프를 이용하여 해수를 공급하는데 보통 양식장에서는 250마력 6기 펌프로 상시 해수 공급함으로써 양식장의 전력 사용량 중 해수펌프 비중은 80%에 해당한다.The aquaculture farm supplies 24 hours of sea water per day to the seawater supply system. In the case of regular farming, the 250-horsepower 6-pumping system supplies 80% of the water consumption of the farm.

통상 양식장 내 20 ~ 60개의 수조의 상시 관리, 위급상황을 위한 자동화 대응시설의 미비로 인해 수동인력에 의한 양식장 환경 관리에 따른 효율 저하 및 생산원가가 상승하고 있다.In general, 20 ~ 60 tanks in the aquaculture are in constant control, and automation countermeasures for emergencies are inadequate, resulting in lower efficiency and cost of production due to manual manpower management.

양식장 중 현재 제주에는 340여 개의 육상 양식장이 존재하고 해당 육상 양식장은 대표적인 전력 다소비 시설로서 양식장 관리비 중 전력비는 60% 정도를 차지하며, 전력 사용량 중 양수에 이용되는 전력은 69.9% ~ 85.2%를 구성되고 1,500평 규모의 양식장 기준으로 월 평균 전기료는 1,300만원 정도 소요됨으로서 양식장의 전기료는 농사용으로 분류되어 매우 저렴함을 감안하면 많은 전기를 소모되고 있다.Currently, there are 340 onshore farms in Jeju, and the onshore farm is a typical power consumption facility. Electricity costs account for about 60% of the management cost of the farm, and the electricity used for the amphibian is 69.9% ~ 85.2% The average electricity cost is around 13 million won per month based on 1,500 pyeong scale farms, so electricity is being consumed considering that the electricity cost of the farm is classified as agricultural use and it is very cheap.

보다 세부적으로 양식장 내에는 평균 4 ~ 6기의 펌프시설이 24시간 가동되고 있으며, 양식장 전력소비의 약 69.9% ~ 85.2%를 차지하는데 펌프가 해수를 끌어올려 사용하는데, 만조 때와 간조 때의 시간대 별로 요구되는 펌프 모터의 회전 세기에는 차이가 있으며, 특히 간조 때에 해수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평소보다 강한 세기의 모터 회전이 필요하다.More specifically, an average of 4 to 6 pump facilities are operating 24 hours a day in the farm, and about 69.9% ~ 85.2% of the farm power consumption is consumed by the pump.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otational strength of the pump motor that is required, and in particular, in order to raise the seawater at low altitude, the motor rotation is required to be stronger than usual.

또한, 각 양식장에는 해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를 보유하고 있어 펌프가 작동하지 않더라고 30분간 수조에 해수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데, 양식장 펌프의 모터 세기는 간조 때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펌프시설에 의한 양식수조의 해수 환수율은 일 18 ~ 24회로 운영되고 있으며 조수간만 차에 따라 펌프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평상시와 만조시에는 초과 공급되는 해수가 그냥 방류하는 일이 발생하여 전력낭비가 심각하다.In addition, each farm has a storage tank capable of storing seawater, so that the pump can not operate, and a device for supplying seawater to the tank for 30 minutes is provided. The motor strength of the farm pump is set based on the low- The seawater recirculation rate of the aquaculture tank by the facility is 18-24 days and there is no way to control the pump according to the tide interval tide. Waste is serious.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현재까지 수요반응 시장은 유선을 통해 이루어지는 수동형DR를 이용하고 있으며 현장에 SW융합을 통한 지능형 DR로 변모하여야 하며, SW융합을 통한 지능형 DR의 성공모델 구축을 통한 지능형 DR 플렛폼의 전산업 확대 적용이 필요하다.In order to save energy, the demand reaction market has been using passive DR through wire, and it has to be transformed into intelligent DR through SW convergence in the field, and the intelligent DR platform by building success model of intelligent DR through SW convergence It is necessary to apply industrial expansion.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육상 수조식 양식장에서 수동 운용 및 관리에 대한 비용부담, 환경정보와 설비의 연계를 통한 최적의 성장환경을 제공하고 스마트폰, pc 등 즉각적 대응 시스템을 통한 상황 대처로 IT 기술을 통한 양식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timum growth environment by link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equipment to the cost of manual operation and management in the aquaculture farm, and provides IT environment through the provision of an immediate response system such as a smart phone and a PC And suggest a plan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the farm.

[관련기술문헌][Related Technical Literature]

1. 스크류 컴프레셔의 다기능 에너지절감시스템(Multi-Function Air Compressor Energy Saving System)(특허등록번호 제10-1468623호)1. Multi-Function Air Compressor Energy Saving System of Screw Compressor (Patent Registration No. 10-1468623)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온, 표층온도, 풍향, 조수간만 정보 등을 수집하고 거점별 해수온도를 예측을 통해 해수펌프의 상태정보를 실시간 수집하여 원격 인버터 제어를 통해 현재 사용중인 양식장의 전력소모량을 통하여 특정구간의 전력 사용량을 예측하여 전력 절감 필요량에 따른 펌프 최적 제어 스케쥴을 자동 생성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temperature, surface temperature, wind direction, tidal water tidal information, etc., and collect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seawater pump by predicting the seawater temperature by the base poi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oT-based sea 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capable of reducing energy by automatically generating a pump optimum control schedule according to a power saving requirement by predicting power consumption of a specific section through power consumption of a farm in operation .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PC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양식장 내 구동펌프를 자동제어하고 양식장 어류 생육환경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양식장별 전력자원 사용 내역, 사용가능 구간, 전력소비 패턴에 대해 수행 이력관리를 통한 정산보고 및 자동생성을 통해 효율적인 전력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ontrol a driving pump in the farm from a remote location using a smartphone or a PC and monitor the farm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 to monitor the performance history of the power resource usage history, usable period, and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each far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sea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capable of inducing efficient use of electric power through reporting and automatic generation of settlement data through an on-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은, 웹기반으로 양식장 내의 성장환경 및 생육정보 관리, 어류 양식에 필요한 액화산소공급장치를 통해 액화산소를 공급받아 그 양식장 내 환경에 따른 상태정보를 확인하거나, 간조 수위의 용량으로 양식 수조에 일정한 해수가 유지되도록 사용자 단말의 사물통신(IoT)을 통해 입력되는 해수온, 조수 간만조에 따라 해수탱크 구동을 위해 펌프 가동율과 인버터 제어를 통해 물 회전수 제어하는 양식장환경장치; 상기 양식장환경장치 내 수조에 해수펌프의 구동에 따라 조수 간만조의 간조 수위의 용량으로 일정하게 해수가 공급되도록 하며, 구동펌프 미작동시 30분간 수조에 해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해수탱크; 사용자 단말의 사물통신(IoT)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양식장 내에 수질 및 DO에 따른 액화산소를 공급되도록 제어노드를 통해 웹에서 산소밸브를 구동하여 산소가 공급이 되도록 하는 액화산소공급장치; 전용어플을 구동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양식장환경장치 내 간조 수위의 용량으로 양식 수조에 일정한 해수가 유지되도록 구동펌프를 통해 해수탱크의 해수를 공급하거나, 액화산소 공급이 필요할 때 사물통신(IoT)을 통해 원격에서 액화산소 공급장치를 구동하여 양식장 내에 액화산소가 공급하여 전력이 절감되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양식장환경장치의 수요자원에 따른 이력관리, 외부 기상 및 수온을 고려하여 최대 절감 가능량 예측하고, 절감 필요량에 따라 펌프 최적 제어 스케줄을 생성하고, 수요반응자원 관리 및 정산을 통해 양식장 관리를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력 관제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oT-based sea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for a terrestrial aquacultu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growth environment and growth information in a farm, a liquefied oxygen supply device (IoT) of the user terminal so as to maintain constant sea water in the aquaculture tank by the capacity of the low water level by receiving oxygen, Aquaculture environment device for controlling water rotation rate through pump operation rate and inverter control for driving; A seawater tank for supplying seawater to the water tank in the aquaculture environment apparatus in a constant water level at a low water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ea water pump and for supplying the sea water to the water tank for 30 minutes when the drive pump is not operated; A liquefied oxygen supplying device for supplying oxygen to the oxygen valve by driving the oxygen valve through the control node to supply liquefied oxygen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and the DO in the farm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object communication IoT of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supply seawater to the seawater tank through the driving pump so that the seawater can be maintained in the aquaculture tank with the capacity of the low water level in the farm environment device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by driv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A user terminal for remotely operating a liquefied oxygen supply device to supply liquefied oxygen to the farm to reduce power; And estimating the maximum amount of reduction possible considering history management, external weather and wate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demand resources of the farm environment apparatus, generating a pump optimal control schedule according to the reduction amount, and managing the farm through the management of demand response resources and settlement And a power control server for providing a solution.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의 양식장 환경장치는 해수펌프 전력제어를 위해 양식장 환경장치의 빅데이터 수집,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전력 절감 가능 용량 분석, 최소 전력 사용 스케줄링 및 실시간 전력 사용량의 센싱, 펌프 스케줄링에 따른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조생육 정보 모니터링, 수질환경 측정, 액화산소 제어, 해수탱크 수위를 측정하는 양식수조관리기, 전력감축을 위해 양식장 별 조수간만의 차에 따른 만조시간 여부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해수탱크의 수위를 측정하여 저수위 여부를 감지하여 구동펌프를 통해 펌핑을 수행하는 해수펌프, 양식장 환경장치의 양식장에 액화산소의 적정 수치를 설정 및 변경 관리하는데 양식장 내 액화산소 적정 수치범위 초과시 자동 또는 수동모드로 IoT 통신을 통해 원격제어되고, 원격으로 액화산소 공급장치에 대한 제어노드 장치를 통해 웹에서 시스템으로 제어하는 액화산소 제어기, 해수 탱크의 구동을 위해 구동펌프와 연결된 인버터를 통해 구동펌프 구동 명령 전송 및 수행 결과를 수신받아 PLC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 또는 전력 관제서버의 운영자의 IoT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해수 탱크의 구동을 제어하고, 구동펌프의 구동에 따라 수행결과를 전송하고, 펌프 전력량, 사용정보의 정보관리 및 이벤트 관리에 따른 정보를 송출하는 펌프 제어기, 및 상기 펌프 제어기의 구동에 따른 양식장 상태 정보를 표시하거나, 양식장 생장관리를 위한 상태정보를 표시하고, 구동펌프 상태 및 구동펌프 동작에 따른 양식장의 현 전력상태를 포함하여 양식장 수조 상태를 표시하는 펌프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aquaculture environment device of the sea 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I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big data of the farm environment device for the control of the sea water pump power, , Sensing of minimum power usage scheduling and real-time power usage, monitoring of water tank growth information to provide monit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pump scheduling, measurement of water quality environment, liquefaction oxygen control, aquaculture tank manager for measuring the level of seawater tank, A seawater pump for measuring the level of a seawater tank to measure the level of the seawater tank in order to supply power according to the time of high tid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star tide tide and performing the pumping through the drive pump by detecting the low water level, If the liquefied oxygen titration level in the farm is exceeded, A liquefied oxygen controller that is controlled remotely via IoT communication in either dynamic or manual mode and is controlled from the web to the system remotely via a control node device to the liquefied oxygen supply, driven by an inverter connected to a drive pump for driving the seawater tank Receives the pump drive command and transmits the result of the pump drive command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awater tank according to the IoT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user terminal or the operator of the power control server through the PLC communication, A pump controller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information management of energy amount and use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 and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n farm condition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pump controller or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for farm growth management, Pump indicating the state of aquaculture tank, including the current power status of the farm in response to the pump operation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monitoring cal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은, 상기 양식수조관리기는 해수펌프 전력제어를 위해 양식장 환경장치의 빅데이터 수집,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전력 절감 가능 용량 분석, 최소 전력 사용 스케줄링 및 실시간 전력 사용량의 센싱, 펌프 스케줄링에 따른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양식수조관리기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양식장 환경장치내 양식수조의 기온, 표층온도, 풍향, 풍속, 조사간만 정보 수집하여 메타 데이터 설계 및 자료 수집, 거점별 해수온 예측, 수온변화에 따른 양식생물에 미치는 영향, 양식 생물 평체별 적정 생육환경 임계치의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기초로 조수간만에 의한 전력의 자연 절감 가능 용량, 양식 생물의 평체에 따른 DO 소모량, 해수탱크 용량 및 수면적에 다른 전력 절감 가능용량, 산소 및 유속제어를 통한 전력 절감 가능 용량을 분석하거나, 해수온, 조수간만 시간차에 따른 해수펌프 제어 스케줄링, 최대 전력 총량 절감을 위한 순차적 제어 절차를 분석하는 분석부, 양식수조관리기, 액화산소 제어기, 펌프 제어기의 기기별 전력사용 정보, 기기별 전력 사용량과 생육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적정 생육환경 유지를 위한 최소의 전력 사용 스케줄링 및 제어를 위한 실시간 전력 사용량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사용자 단말, 전력관제서버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IoT 기반의 원격제어를 위한 펌프 가동율과 인버터 제어에 따른 물회전수 상관관계 분석, 펌프 스케줄링에 따른 적정 제어상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sea 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IoT based on the I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quarium control system of the aquarium is capable of collecting big data of the aquaculture environment device and controlling the power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aquarium tank management unit to provide monit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capacity analysis, minimum power use scheduling, sensing of real time power consumption, and pump scheduling; Data collection and data collection of meteorological data by temperature, surface temperatur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survey tidal data, prediction of seawater temperature by basin, influence on aquaculture by changing temperature, big data of optimum growth environment threshold Based on the big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power saving capacity by controlling the power saving capacity of one electric power, the DO consumption by the stability of aquatic organisms, the capacity of the seawater tank and the water area, the power saving capacity by controlling the oxygen and the flow rate, , The analysis of the sequential control procedures for reduc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seawater pump,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wer usage and the growth environment of the equipment, the power usage information of the equipment of the aquarium, the liquefied oxygen controller, and the pump controller A sensing unit for sensing real-time power usage for scheduling and controlling power usage for maintaining optimal growth environment, and a pump operation rate and inverter for remote control based on IoT by receiving input signals from a user terminal and a power control server Analysis of the correlation of the number of cycles according to the control, and appropriate control status monit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ump scheduling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driv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은, 해양의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하여 만조시간 구동펌프의 출력 조절, 해수 탱크 수위를 활용하여 시간대별 수위를 감축 이행하고 산소자동제어를 통하여 생육환경 조절하여 전력을 감축하여 내/외부 환경요인을 고려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IoT-based sea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I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power of the high-speed time driving pump and the water level of the seawater tank using the difference of the tide interval of the ocean, It is possible to reduce energy by adjusting the growth environment through automatic control of oxygen, thereby saving energy by considering internal /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은 기온, 표층온도, 풍향, 조수간만 정보 등을 수집하고 거점별 해수온도를 예측을 통해 해수펌프의 상태정보를 실시간 수집하여 원격 인버터 제어를 통해 현재 사용중인 양식장의 전력소모량을 통하여 특정구간의 전력 사용량을 예측하여 전력 절감 필요량에 따른 펌프 최적 제어 스케쥴을 자동 생성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based sea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collects the temperature, surface temperature, wind direction, tidal tidal information, and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seawater pump It provides the effect of saving energy by automatically generating a pump optimal control schedule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requirement by predict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specific section through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arms currently being used through the remote inverter control by real-time colle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은 스마트폰, PC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양식장 내 구동펌프를 자동제어하고 양식장 어류 생육환경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양식장별 전력자원 사용 내역, 사용가능 구간, 전력소비 패턴에 대해 수행 이력관리를 통한 정산보고 및 자동생성을 통해 효율적인 전력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based sea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for aquaculture system for aquaculture uses a smartphone and a PC to automatically control a driving pump in a remote farm, monitor the fish farm environment information, It provides the effect of inducing efficient use of power through reporting and automatic generation of settlement report through execution history management of resource usage history, usable period, and power consumption patter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은, 양식장의 해수탱크 용량, 수면적, 단위 수조면적, 생육 수조의 물 높이, 펌프의 회전수 등을 파악하여 절감 가능용량 분석하고, 해수온도, 조수 간만조에 따라 펌프 가동율과 인버터 제어를 통해 물 회전수 제어를 통해 육상수조식 양식장의 해수펌프를 조수 간만조에 따라 수위의 용량을 일정하게 출력되도록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전력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Further, the IoT-based sea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sps the seawater tank capacity, the water area, the unit water tank area, the water height of the growing water tank, By selectively controlling the pump operation rate and inverter control according to the sea water temperature and tide tidal range to control the water level of the sea water pump of the aquacultural farm in the tidal flats,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은 환경정보와 설비의 연계를 통한 최적의 성장환경, 스마트폰, pc 등으로 원격에서 즉각적 대응을 제공하기 위해 육상 수조식 양식장의 IT 기술을 접목하여 수동 양식장 관리에 대한 비용 부담을 줄임으로써 경쟁력 강화 기반의 양식장 관리의 운용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based sea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for aquaculture system for aquaculture uses the best environment for growth, smart phone, PC, By integrating the IT technology of aquaculture farm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manual farm management, thereby providing the operation of farm management based on competitivene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의 양식장 환경장치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의 양식장환경장치 내 양식수조관리기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2의 본 발명의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의 양식장환경장치 내 펌프제어기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sea 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for an onshore aquaculture system based on I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farm environment apparatus of a sea 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IoT in Fig. 1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ulture tank management device in a farm environment device of a sea 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Io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ump controller in the aquaculture environment apparatus of the sea 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for onshore aquaculture using the Io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ny one element 'transmits' data or a signal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can transmit the data or signal directly to the other element, and the at least one other element Data or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은 양식장환경장치(100), 해수탱크(200), 액화산소 공급장치(300), 사용자 단말(400), 통신망(500) 및 전력 관제서버(600)로 구성된다.FIG. 1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a 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I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he IoT based sea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IoT-based sea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rm environment device 100, A liquefied oxygen supply device 300, a user terminal 400, a communication network 500,

상기 양식장환경장치(100)는 웹기반으로 양식장 내의 성장환경 및 생육정보 관리, 어류 양식에 필요한 액화산소공급장치(300)를 통해 액화산소를 공급받아 그 양식장 내 환경에 따른 상태정보를 확인하거나, 간조 수위의 용량으로 양식 수조에 일정한 해수가 유지되도록 사용자 단말(400)의 IoT를 통해 입력되는 해수온, 조수 간만조에 따라 해수탱크(200) 구동을 위해 펌프 가동율과 인버터 제어를 통해 물 회전수 제어를 통해 전력이 절감이 되도록 한다.The aquaculture environment device 100 receives liquefaction oxygen through the liquefied oxygen supply device 300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of growth environment and growth information in a farm, In order to drive the seawater tank 200 in accordance with the sea water temperature and tide tidal range input through the IoT of the user terminal 400 so that the constant sea water is maintained in the aquarium water tank by the capacity of the low water level,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상기 양식장환경장치(100)는 양식 생육환경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조 내 필요 산소량 산출하고, 액화산소 노즐을 컨트롤하여 수조 내 적정 산소 공급을 위한 산소공급량 제어하거나, 가용 또는 비가용 펌프를 분류하여 전력감축 스케쥴 또는 감축 명령에 따라 펌프 인버터 제어한다.The aquaculture environment apparatus 100 calculates the required oxygen amount in the water tank based on the aquaculture environment data, controls the oxygen supply amount for proper oxygen supply in the water tank by controlling the liquefied oxygen nozzle, classifies the available or non-available pump, Controls the pump inverter according to schedule or reduction command.

상기 해수탱크(200)는 상기 양식장환경장치(100) 내 수조에 해수펌프의 구동에 따라 조수 간만조의 간조 수위의 용량으로 일정하게 해수가 공급되도록 하며, 구동펌프 미작동시 30분간 수조에 해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IoT 기반으로 구성된다.The seawater tank 200 supplies seawater to the water tank in the aquaculture system 100 constantly at the low water level of the tank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ea water pump, Based on IoT.

상기 액화산소공급장치(300)는 사용자 단말(600)의 IoT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양식장 내에 수질 및 DO에 따른 액화산소를 공급되도록 제어노드를 통해 웹에서 산소밸브를 구동하여 산소가 공급이 되는 것으로 자동 모드일 경우 기본 설정 값에 따라 산소밸브가 동작하고, 수동 모드일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DO값을 입력하여 산소밸브가 동작하는데, 수동 모드일 경우 DO 설정 값을 제어하는 설정 스위치가 구비되고, 사용자 단말(400)의 IoT 원격 외부 입력신호에 따라 산소밸브를 수동으로 전환하여 설정 및 동작하게 된다.The liquefied oxygen supplying apparatus 300 drives the oxygen valve in the web through the control node to supply the liquefied oxygen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and the DO in the farm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ted through the IoT of the user terminal 600, In the automatic mode, the oxygen valve operates according to the basic setting value. In the manual mode, the user operates the oxygen valve by inputting the desired DO value. When the mode is the manual mode, a setting switch for controlling the DO setting value is provided , And the oxygen valve is manually switched according to the IoT remote external input signal of the user terminal 400 to be set and operated.

한편, 상기 액화산소 공급장치(300)는 양식장 환경장치(100)의 액화산소의 적정 수지를 설정 및 변경 관리하는데, 자동 또는 수동의 운영 모드를 설정하거나, 양식장 내 구비된 제어장비 설정 및 운영정보 현황판 조회하고 제어장비 동작 상태 정보 조회 및 알림기능 필요시 실시간 전송하고, 운영정보 및 센서데이터 통합 조회하게 된다.Meanwhile, the liquefied oxygen supplying apparatus 300 sets and manages a proper resin of the liquefied oxygen of the aquaculture environment apparatus 100, sets an automatic or manual operating mode, sets control equipment provided in a farm, It retriev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ntrol device, inquires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control device, and transmits the real time data when necessary, and inquires about integrated operation information and sensor data.

상기 사용자 단말(400)는 전용어플을 구동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양식장환경장치(100) 내 간조 수위의 용량으로 양식 수조에 일정한 해수가 유지되도록 구동펌프를 통해 해수탱크(200)의 해수를 공급하거나, 액화산소 공급이 필요할 때 IoT을 통해 원격에서 액화산소 공급장치(300)를 구동하여 양식장 내에 액화산소가 공급하여 전력을 절감하도록 제어한다.The user terminal 400 may drive a dedicated application to supply the seawater of the seawater tank 200 through the driving pump to maintain constant seawater in the aquarium with the capacity of the low water level in the aquarium environment device 100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 And when the liquefied oxygen supply is required, the liquefied oxygen supply device (300) is driven remotely through the IoT to supply liquefied oxygen to the farm to reduce power.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양식장환경장치(100)의 액화산소의 적정 수지를 액화산소 공급장치(200)를 사물통신(IoT)을 통해 모드설정 및 변경 관리하는데, 자동 또는 수동의 운영 모드를 설정하고, 양식장 내 구비된 제어장비 설정 및 운영정보 현황판 조회하고 제어장비 동작 상태 정보 조회 및 알림기능 필요시 해당 정보를 실시간 전송받게 된다.The user terminal 400 sets and manages the proper resin of the liquefaction oxygen of the farm environment device 100 by the liquefied oxygen supply device 200 through the object communication (IoT), and sets an automatic or manual operation mode , Inquiry of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ntrol equipment set up in the farm,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control equipment, inquiry information of the control equipment, and notification function.

상기 통신망(500)은 양식장환경장치(100), 해수탱크(200), 액화산소 공급장치(300), 사용자 단말(400) 및 전력 관제서버(600)와 각각 연동하여 IoT 기반의 양식장 에너지 절감을 위한 통신망을 제공하게 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is connected to the farm environment device 100, the seawater tank 200, the liquefied oxygen supply device 300,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power control server 600, To provide 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통신망(50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통신망(50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통신망(30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500)은 양식장환경장치(100), 해수탱크(200), 액화산소 공급장치(300), 사용자 단말(400) 및 전력 관제서버(6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may be a next-generation wired and wireless network for providing Internet or high-speed multimedia service, which is a high-speed period network of a larg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large-capacity, long-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s.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an embodiment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network is exemplified.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may include an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Meanwhile, although the WCDMA network is exemplified, it may be a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3G LTE network or a 4G network, or an IP network based on other IP. 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communicates signals and data between the farm environment device 100, the seawater tank 200, the liquefied oxygen supply device 300,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power control server 600, .

상기 전력 관제서버(600)는 상기 양식장환경장치(100)의 수요자원에 따른 이력관리, 외부 기상 및 수온을 고려하여 최대 절감 가능량 예측하고, 절감 필요량에 따라 펌프 최적 제어 스케줄을 생성하고, 수요반응자원 관리 및 정산을 통해 양식장 관리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한다.The power control server (600)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maximum amount of savings in consideration of the histor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demand resources of the farm environment apparatus 100, the external weather and the water temperature, generate the pump optimum control schedule according to the reduction amount, Solutions.

즉, 상기 전력 관리서버(600)는 양식장 환경장치(100)와 통신망(500)으로 연동되어 양식장에서 제공되는 액화산소 정도, 해수의 상태정보를 저장하거나, 액화산소 공급이 필요할 때 액화산소공급장치(300)를 통해 액화산소가 공급되도록 하거나, 양식 수조의 해수 유지를 위해 구동펌프를 통해 해수탱크(200)의 해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전력을 절감하도록 제반정보를 관리한다.That is, the power management server 600 stores the status of the liquefied oxygen and the sea water supplied from the farm in cooperation with the aquaculture environment device 10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or when the liquefied oxygen supply is required, The liquefied oxygen is supplied through the pump 300 or the seawater of the seawater tank 200 is supplied through the drive pump to maintain the seawater of the aquaculture tank, thereby managing the information to save power.

도 2는 도 1의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의 양식장 환경장치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를 나타내는데,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환경장치(100)는 크게, 양식수조관리기(110), 해수펌프(120), 액화산소제어기(130), 펌프제어기(140) 및 펌프모니터링부(15)로 구성된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farm environment device of the sea-floor cultivation marine aquacultur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IoT in FIG. 1. The farm environm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culture water tank manager 110 A seawater pump 120, a liquefied oxygen controller 130, a pump controller 140, and a pump monitoring unit 15.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양식장환경장치(100)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양식수조관리기(110)는 해수펌프 전력제어를 위해 양식장 환경장치(100)의 빅데이터 수집,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전력 절감 가능 용량 분석, 최소 전력 사용 스케줄링 및 실시간 전력 사용량의 센싱, 펌프 스케줄링에 따른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조생육 정보 모니터링, 수질환경 측정, 액화산소 제어, 해수탱크 수위를 측정한다.1 and 2, the aquarium management device 110 manages and controls the aquarium environment device 100 in order to control the seawater pump power, , Power saving capacity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minimum power use scheduling and sensing of real tim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of water tank growth information to provide monit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pump scheduling, water quality measurement, liquefaction oxygen control, .

상기 해수펌프(120)는 전력감축을 위해 양식장 별 조수간만의 차에 따른 만조시간 여부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해수탱크(200)의 수위를 측정하여 저수위 여부를 감지하여 구동펌프를 통해 펌핑이 수행되도록 한다.In order to reduce power, the seawater pump 120 measures the level of the seawater tank 200 in order to supply power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high tid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ides of each farm, .

상기 액화산소 제어기(130)는 양식장 환경장치(100) 내 설치된 액화산소를 양식장으로 공급이 되도록 액화산소의 산소밸브를 동작하여 노즐을 통해 수조 내 적정 산소를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400) 또는 전력 관제서버(600)의 운영자가 통신망(500)을 통해 사물통신(IoT)으로 원격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liquefied oxygen controller 130 operates the oxygen valve of the liquefied oxygen to supply the liquefied oxygen in the aquaculture environment device 100 to the farm, Or an operator of the power control server 600 may be remotely controlled by the object communication IoT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

즉, 상기 액화산소 제어기(130)는 양식장 환경장치(100)의 양식장에 액화산소의 적정 수치를 설정 및 변경 관리하는데 양식장 내 액화산소 적정 수치범위 초과시 자동 또는 수동모드로 IoT 통신을 통해 원격제어될 수 있으며, 원격제어 대상은 액화산소 공급장치에 대한 제어노드 장치를 통해 웹에서 시스템으로 제어한다.That is, the liquefied oxygen controller 130 sets and changes the appropriate value of the liquefied oxygen in the farm of the farm environment apparatus 100, and when the liquefied oxygen proper value range in the farm is exceeded, it is remotely controlled through the IoT communication in the automatic or manual mode And the remote control object is controlled from the web to the system via the control node device for the liquefied oxygen supply.

상기 펌프 제어기(140)는 해수 탱크(200)의 구동을 위해 구동펌프와 연결된 인버터를 통해 구동펌프 구동 명령 전송 및 수행 결과를 수신받아 PLC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400) 또는 전력 관제서버(600)의 운영자의 IoT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해수 탱크(200)의 구동을 제어하고, 구동펌프의 구동에 따라 수행결과를 전송하고, 펌프 전력량, 사용정보의 정보관리 및 이벤트 관리에 따른 정보를 송출한다.The pump controller 140 receives the drive pump drive command transmission and execution result through the inverter connected to the drive pump for driving the seawater tank 200 and receives the drive pump drive command and transmits the drive pump drive command to the user terminal 400 or the power control server 600 through the PLC communica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awater tank 200 in accordance with the IoT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operator of the control unit 200. The control unit 200 transmits the result of the operation according to driving of the driving pump,

상기 펌프 모니터링부(150)는 상기 펌프 제어기(140)의 구동에 따른 양식장 상태 정보를 표시하거나, 양식장 생장관리를 위한 상태정보를 표시하고, 구동펌프 상태 및 구동펌프 동작에 따른 양식장의 현 전력상태를 포함하여 양식장 수조 상태를 표시한다.The pump monitoring unit 150 displays the farm cond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pump controller 140 or displays status information for the farm growth management and displays the current power condition To indicate the state of the aquaculture tank.

도 3은 본 발명의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의 양식장환경장치(10) 내 양식수조관리기(110)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상기 양식수조관리기(110)는 크게 제어부(111), 데이터수집부(113), 분석부(115) 센싱부(117) 및 구동부(1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quarium tank manager 110 in the aquaculture environment apparatus 10 of the IoT-based aquaculture system power system for aquaculture system for aquaculture, A control unit 111, a data collecting unit 113, an analyzing unit 115, a sensing unit 117, and a driving unit 119.

상기 제어부(111)는 해수펌프 전력제어를 위해 양식장 환경장치(100)의 빅데이터 수집,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전력 절감 가능 용량 분석, 최소 전력 사용 스케줄링 및 실시간 전력 사용량의 센싱, 펌프 스케줄링에 따른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양식수조관리기(110)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11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large data of the aquaculture environment device 100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seawater pump 100, to perform power saving capacity analysis based on collected data, to perform minimum power use scheduling and real time power usage sensing, And controls various operations of the aquarium tank manager 110 to provide monitoring information.

상기 데이터수집부(113)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신호에 따라 양식장 환경장치내 양식수조의 기온, 표층온도, 풍향, 풍속, 조사간만정보 수집하여 메타 데이터 설계 및 자료 수집, 거점별 해수온 예측, 수온변화에 따른 양식생물에 미치는 영향, 양식 생물 평체별 적정 생육환경 임계치의 빅데이터를 수집한다.The data collecting unit 113 collects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surface temperatur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irradiation time of the aquaculture tank in the aquaculture environment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11 and performs metadata design and data collection, Prediction, impact on aquaculture organisms with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and big data of optimum growth environment threshold for aquaculture biomass.

상기 분석부(115)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부(113)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기초로 조수간만에 의한 전력의 자연 절감 가능 용량, 양식 생물의 평체에 따른 DO 소모량, 해수탱크 용량 및 수면적에 다른 전력 절감 가능용량, 산소 및 유속제어를 통한 전력 절감 가능 용량을 분석하거나, 해수온, 조수간만 시간차에 따른 해수펌프 제어 스케줄링, 최대 전력 총량 절감을 위한 순차적 제어 절차를 분석하게 된다.The analysis unit 115 responds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11 to calculate the natural savings capacity of the electric power based on the tidal volume based on the big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113, Sequential control for seawater pump control scheduling according to seawater temperature and tide interval time difference, and total power saving by different power saving capacity, oxygen and flow rate control by consumption, seawater tank capacity and water area, The procedure will be analyzed.

상기 센싱부(117)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양식수조관리기(110), 액화산소 제어기(130), 펌프 제어기(140)의 기기별 전력사용 정보, 기기별 전력 사용량과 생육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적정 생육환경 유지를 위한 최소의 전력 사용 스케줄링 및 제어를 위한 실시간 전력 사용량을 센싱하게 된다.The sensing unit 117 responds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11 and determines the power usag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quarium tank management unit 110, the liquefied oxygen controller 130 and the pump controller 140, Real-time power consumption for the minimum power usage scheduling and control to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the environment and to maintain the optimal growth environment.

상기 구동부(119)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400), 전력관제서버(600)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IoT 기반의 원격제어를 위한 펌프 가동율과 인버터 제어에 따른 물회전수 상관관계 분석, 펌프 스케줄링에 따른 적정 제어상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한다.The driving unit 119 receives the input signals of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power control server 60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11 and controls the operation ratio of the pump for remote control based on IoT, Correlation analysis, and appropriate control status monit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pump scheduling.

도 4는 도 2의 본 발명의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의 양식장환경장치(10) 내 펌프제어기(140)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상기 펌프제어기(140)는 PLC 통신부(141), 연동부(143) 및 송수신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pump controller 140 in a farm environment apparatus 10 of a sea 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for onshore farming based on the Io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wherein the pump controller 140 A PLC communication unit 141, an interlocking unit 143,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45.

상기 PLC 통신부(141)는 사용자 단말(400) 또는 전력 관제서버(600)의 운영자의 IoT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해수 탱크(200)의 구동을 위해 구동펌프와 연결된 인버터를 통해 구동펌프 구동 명령 전송 및 수행 결과를 수신받아 전력 및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연동부(143)는 상기 PLC 통신부(141)의 구동펌프 구동 및 수행 결과 수신을 위해 구동펌프와 물리적으로 인터페이스를 연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수신부(145)는 상기 사용자 단말(400) 또는 전력 관제서버(600)의 운영자의 IoT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연동부(143)를 통해 인터페이스된 구동펌프 구동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거나, 구동펌프의 구동에 따라 수행결과를 전송하고, 펌프 전력량, 사용정보의 정보관리 및 이벤트 관리에 따른 정보를 송출되도록 구성된다.The PLC communication unit 141 transmits a drive pump drive command through an inverter connected to the drive pump for driving the seawater tank 200 according to the IoT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user terminal 400 or the operator of the power control server 600, And the power supply and power source are controlled by receiving the execution result, and the interlocking unit 143 is physically interfaced with the drive pump for driving the drive communication of the PLC communication unit 141 and receiving the result of the operation, The control unit 145 receives the IoT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user terminal 400 or the operator of the power control server 600 and transmits a signal for driving the driving pump interposed through the interlocking unit 143, Transmits the result of the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and controls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the pump power, the usage information, and the event management information.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양식장환경장치
110 : 양식수조관리기
111 : 제어부 113 : 데이터수집부
115 : 분석부 117 : 센싱부
119 : 구동부
120 : 구동펌프 130 : 액화산소 제어기
140 : 펌프제어기
141 : PLC 통신부 143 : 연동부
145 : 송수신부
150 : 펌프 모니터링부
200 : 해수탱크
300 : 액화산소 공급장치
400 : 사용자 단말
500 : 통신망
600 : 전력 관제서버
100: Aquaculture environment device
110: Aquaculture tank manager
111: control unit 113: data collecting unit
115: Analysis unit 117:
119:
120: drive pump 130: liquefied oxygen controller
140: Pump controller
141: PLC communication unit 143:
145: Transmitting /
150: pump monitoring section
200: Seawater tank
300: liquefied oxygen supply device
400: User terminal
500: Network
600: power control server

Claims (6)

웹기반으로 양식장 내의 성장환경 및 생육정보 관리, 어류 양식에 필요한 액화산소공급장치(300)를 통해 액화산소를 공급받아 그 양식장 내 환경에 따른 상태정보를 확인하거나, 간조 수위의 용량으로 양식 수조에 일정한 해수가 유지되도록 사용자 단말(400)의 사물통신(IoT)을 통해 입력되는 해수온, 조수 간만조에 따라 해수탱크(200) 구동을 위해 펌프 가동율과 인버터 제어를 통해 물 회전수 제어하는 양식장환경장치(100);
상기 양식장환경장치(100) 내 수조에 해수펌프의 구동에 따라 조수 간만조의 간조 수위의 용량으로 일정하게 해수가 공급되도록 하며, 구동펌프 미작동시 30분간 수조에 해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해수탱크(200);
사용자 단말(400)의 사물통신(IoT)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양식장 내에 수질 및 DO에 따른 액화산소를 공급되도록 제어노드를 통해 웹에서 산소밸브를 구동하여 산소가 공급이 되도록 하는 액화산소공급장치(300);
전용어플을 구동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양식장환경장치(100) 내 간조 수위의 용량으로 양식 수조에 일정한 해수가 유지되도록 구동펌프를 통해 해수탱크(200)의 해수를 공급하거나, 액화산소 공급이 필요할 때 사물통신(IoT)을 통해 원격에서 액화산소 공급장치(300)를 구동하여 양식장 내에 액화산소가 공급하여 전력이 절감되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400); 및
상기 양식장환경장치(100)의 수요자원에 따른 이력관리, 외부 기상 및 수온을 고려하여 최대 절감 가능량 예측하고, 절감 필요량에 따라 펌프 최적 제어 스케줄을 생성하고, 수요반응자원 관리 및 정산을 통해 양식장 관리를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력 관제서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
Based on the web, the liquefaction oxygen is supplied through the liquefaction oxygen supply device 300 necessary for the growth environment and the growth information management in the farm, the cond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the farm, 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water rotation speed through pump operation rate and inverter control for driving the seawater tank 200 in accordance with the sea water temperature and tidal water trough input through the object communication (IoT) of the user terminal 400 so that a constant sea water is maintained, (100);
A seawater tank 200 for supplying seawater to the water tank in the aquaculture system 100 at a low water level of the tide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seawater pump and supplying the seawater to the water tank for 30 minutes when the drive pump is not operated, );
A liquefied oxygen supply device for driving the oxygen valve in the web through the control node so as to supply the liquefied oxygen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and the DO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inputted through the object communication (IoT) of the user terminal 400, Device 300;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driven to supply the seawater of the seawater tank 200 through the drive pump so that a certain amount of seawater is maintained in the aquarium with the capacity of the low water level in the aquarium environment device 100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A user terminal 400 for driving the liquefied oxygen supply device 300 remotely through the object communication IoT to supply liquefied oxygen to a farm to reduce electric power; And
Estimating the maximum amount of savings in consideration of the histor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demand resources of the farm environment apparatus 100, the external weather and the water temperature, generating the pump optimal control schedule according to the reduction amount, And a power control server (600) for providing a solution for a sea water pump based on Io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장환경장치(100)는 양식 생육환경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조 내 필요 산소량 산출하고, 액화산소 노즐을 컨트롤하여 수조 내 적정 산소 공급을 위한 산소공급량 제어하거나, 가용 또는 비가용 펌프를 분류하여 전력감축 스케쥴 또는 감축 명령에 따라 펌프 인버터를 제어하고,
상기 액화산소 공급장치(300)는 양식장 환경장치(100)의 액화산소의 적정 수지를 설정 및 변경 관리하는데, 자동 또는 수동의 운영 모드를 설정하거나, 양식장 내 구비된 제어장비 설정 및 운영정보 현황판 조회하고 제어장비 동작 상태 정보 조회 및 알림기능 필요시 실시간 전송하고, 운영정보 및 센서데이터 통합 조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quaculture environment apparatus 100 calculates the required oxygen amount in the water tank based on the aquaculture environment data, controls the oxygen supply amount for proper oxygen supply in the water tank by controlling the liquefied oxygen nozzle, classifies the available or non-available pump, Controls the pump inverter according to a schedule or a reduction command,
The liquefied oxygen supply device 300 sets and manages the appropriate resin of liquefied oxygen in the aquaculture environment device 100, sets an automatic or manual operation mode, And transmits the real-time data when the control devic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nquiry and notification function is required, and inquires the integrated operation information and sensor data, and the IoT-based sea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o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양식장환경장치(100)의 액화산소의 적정 수지를 액화산소 공급장치(200)를 사물통신(IoT)을 통해 모드설정 및 변경 관리하는데, 자동 또는 수동의 운영 모드를 설정하고, 양식장 내 구비된 제어장비 설정 및 운영정보 현황판 조회하고 제어장비 동작 상태 정보 조회 및 알림기능 필요시 해당 정보를 실시간 전송받고,
상기 전력 관리서버(600)는 양식장 환경장치(100)와 통신망(500)으로 연동되어 양식장에서 제공되는 액화산소 정도, 해수의 상태정보를 저장하거나, 액화산소 공급이 필요할 때 액화산호공급장치(300)를 통해 액화산소가 공급되도록 하거나, 양식 수조의 해수 유지를 위해 구동펌프를 통해 해수탱크(200)의 해수가 공급되어 전력이 절감되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400 sets and manages the proper resin of the liquefaction oxygen of the farm environment device 100 by the liquefied oxygen supply device 200 through the object communication (IoT), and sets an automatic or manual operation mode And information of the control equipment setup and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farm, inquiry of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control equipment, and notification function,
The power management server 600 stores the status of liquefied oxygen and sea water supplied from a farm in cooperation with the aquaculture environment device 10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or stor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liquefied coral supply device 300 And the sea water of the seawater tank 200 is supplied through the drive pump to maintain the seawater of the aquaculture tank, so that the power is reduced. The IoT-based sea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장 환경장치(100)는
해수펌프 전력제어를 위해 양식장 환경장치의 빅데이터 수집,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전력 절감 가능 용량 분석, 최소 전력 사용 스케줄링 및 실시간 전력 사용량의 센싱, 펌프 스케줄링에 따른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조생육 정보 모니터링, 수질환경 측정, 액화산소 제어, 해수탱크 수위를 측정하는 양식수조관리기(110),
전력감축을 위해 양식장 별 조수간만의 차에 따른 만조시간 여부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해수탱크(200)의 수위를 측정하여 저수위 여부를 감지하여 구동펌프를 통해 펌핑을 수행하는 해수펌프(120),
양식장 환경장치(100)의 양식장에 액화산소의 적정 수치를 설정 및 변경 관리하는데 양식장 내 액화산소 적정 수치범위 초과시 자동 또는 수동모드로 IoT 통신을 통해 원격제어되고, 원격으로 액화산소 공급장치에 대한 제어노드 장치를 통해 웹에서 시스템으로 제어하는 액화산소 제어기(130),
해수 탱크(200)의 구동을 위해 구동펌프와 연결된 인버터를 통해 구동펌프 구동 명령 전송 및 수행 결과를 수신받아 PLC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400) 또는 전력 관제서버(600)의 운영자의 IoT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해수 탱크(200)의 구동을 제어하고, 구동펌프의 구동에 따라 수행결과를 전송하고, 펌프 전력량, 사용정보의 정보관리 및 이벤트 관리에 따른 정보를 송출하는 펌프 제어기(140), 및
상기 펌프 제어기(140)의 구동에 따른 양식장 상태 정보를 표시하거나, 양식장 생장관리를 위한 상태정보를 표시하고, 구동펌프 상태 및 구동펌프 동작에 따른 양식장의 현 전력상태를 포함하여 양식장 수조 상태를 표시하는 펌프 모니터링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rm environment device (100)
For the control of seawater pump, large data collection of farm environment equipment, power saving capacity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ensing of minimum power use and sensing of real time power usage, monitoring information by pump scheduling, Monitoring, water quality measurement, liquefied oxygen control, aquaculture tank manager (110) for measuring seawater tank water level,
A seawater pump 120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seawater tank 200 to measure the level of the low water level and supplying the power through the drive pump, ,
It is possible to set and change the proper value of liquefied oxygen in the farm of the farm environment device (100). It is controlled remotely by IoT communication in automatic or manual mode when liquefied oxygen titration value in the farm is exceeded, and remote control of liquefied oxygen supply A liquefied oxygen controller 130 for controlling from the web to the system via the node device,
The IoT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operator of the user terminal 400 or the power control server 600 through the PLC communic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drive pump drive command transmission and execution result through the inverter connected to the drive pump for driving the seawater tank 200, A pump controller 14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awater tank 2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mp, transmitting the result of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drive pump, transmi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pump power,
Displays status information for farm growth management, displays the state of the farm water tank including the current power state of the farm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pump state and the driving pump operation, And a pump monitoring unit (150) for monitoring the power of the seawater pump.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수조관리기(110)는
해수펌프 전력제어를 위해 양식장 환경장치(100)의 빅데이터 수집,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전력 절감 가능 용량 분석, 최소 전력 사용 스케줄링 및 실시간 전력 사용량의 센싱, 펌프 스케줄링에 따른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양식수조관리기(110)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1),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신호에 따라 양식장 환경장치내 양식수조의 기온, 표층온도, 풍향, 풍속, 조사간만 정보 수집하여 메타 데이터 설계 및 자료 수집, 거점별 해수온 예측, 수온변화에 따른 양식생물에 미치는 영향, 양식 생물 평체별 적정 생육환경 임계치의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113),
상기 데이터 수집부(113)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기초로 조수간만에 의한 전력의 자연 절감 가능 용량, 양식 생물의 평체에 따른 DO 소모량, 해수탱크 용량 및 수면적에 다른 전력 절감 가능용량, 산소 및 유속제어를 통한 전력 절감 가능 용량을 분석하거나, 해수온, 조수간만 시간차에 따른 해수펌프 제어 스케줄링, 최대 전력 총량 절감을 위한 순차적 제어 절차를 분석하는 분석부(115),
양식수조관리기(110), 액화산소 제어기(130), 펌프 제어기(140)의 기기별 전력사용 정보, 기기별 전력 사용량과 생육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적정 생육환경 유지를 위한 최소의 전력 사용 스케줄링 및 제어를 위한 실시간 전력 사용량을 센싱하는 센싱부(117), 및
사용자 단말(400), 전력관제서버(600)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IoT 기반의 원격제어를 위한 펌프 가동율과 인버터 제어에 따른 물회전수 상관관계 분석, 펌프 스케줄링에 따른 적정 제어상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구동부(11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quarium tank manager 110
To provide large data collection of the farm environment device 100 for the control of the sea water pump, power saving capacity analysis based on collected data, minimum power use scheduling, real time power usage sensing, and monit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pump scheduling A controller 111 for controll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aquarium tank manager 11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11, the data on the temperature, surface temperatur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irradiation time of the aquaculture water tank in the aquaculture environment apparatus are collected and meta data design and data collection, , A data collection unit 113 for collecting big data of an optimum growth environment threshold for each aquaculture biomass,
Based on the big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ng unit 113,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natural savings capacity of power by the tide interval alone, the DO consumption amount according to the stabilization of a living creature, the power saving capacity other than the seawater tank capacity and the water area, An analysis unit 115 for analyzing the power saving capacity through the control, the sequential control procedure for the seawater pump control scheduling according to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seawater temperature and the tide interval, and the maximum total power reduction,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devices of the aquarium tank 110, the liquefied oxygen controller 130, and the pump controller 140,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growth environment of each device, the minimum power usage scheduling And a sensing unit 117 for sensing real-time power consumption for control,
The input terminal of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power control server 600 receives the pump operation rate for remote control based on the Io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water number according to the inverter control, and the appropriate control state monit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ump scheduling And a driving unit (119)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sea water pump.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제어기(140)는
사용자 단말(400) 또는 전력 관제서버(600)의 운영자의 IoT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해수 탱크(200)의 구동을 위해 구동펌프와 연결된 인버터를 통해 구동펌프 구동 명령 전송 및 수행 결과를 수신받아 전력 및 전원을 제어하는 PLC 통신부(141),
상기 PLC 통신부(141)의 구동펌프 구동 및 수행 결과 수신을 위해 구동펌프와 연동되도록 물리적으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연동부(143), 및
사용자 단말(400) 또는 전력 관제서버(600)의 운영자의 IoT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연동부(143)를 통해 인터페이스된 구동펌프 구동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거나, 구동펌프의 구동에 따라 수행결과를 전송하고, 펌프 전력량, 사용정보의 정보관리 및 이벤트 관리에 따른 정보를 송출하는 송수신부(1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육상양식장용 해수펌프 전력제어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ump controller (140)
The control unit 500 receives the drive pump drive command and the result of the drive pump drive command through the inverter connected to the drive pump for driving the seawater tank 200 according to the IoT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user terminal 400 or the operator of the power control server 600, A PLC communication unit 141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An interlocking unit 143 that physically interfaces with the drive pump for driving the driving pump of the PLC communication unit 141 and receiving the result of the driving pump operation,
The IOT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user terminal 400 or the operator of the power control server 600 and transmits a signal for driving the driving pump interposed through the interlocking unit 143,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45)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the pump power, the usage information, and the event management, and the IoT-based seawater pump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oT.
KR1020160160712A 2016-11-29 2016-11-29 Enery saving system for marine­nursery facilities based on Internet of Things(IoT) KR201800615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712A KR20180061550A (en) 2016-11-29 2016-11-29 Enery saving system for marine­nursery facilities based on Internet of Things(I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712A KR20180061550A (en) 2016-11-29 2016-11-29 Enery saving system for marine­nursery facilities based on Internet of Things(I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550A true KR20180061550A (en) 2018-06-08

Family

ID=62599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712A KR20180061550A (en) 2016-11-29 2016-11-29 Enery saving system for marine­nursery facilities based on Internet of Things(I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1550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6653A (en) * 2019-01-04 2019-03-26 广州粤康环保工程有限公司 Country sewage integrated equipment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method based on distributed control system
KR20200097933A (en) 2019-02-11 2020-08-20 김재문 Sea water supply system for fish farm based on tidal information
KR20220082343A (en) 2020-12-10 2022-06-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IoT-based oxygen supply system for aquacul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796A (en) * 2012-04-24 2013-11-01 인버터기술(주) Seawater supply apparatus of fish farm
KR20140065673A (en) * 2012-11-20 2014-05-30 주식회사 글로비트 A self - diagnosis system for fish holding nursery and marinenursery facilities
KR101526213B1 (en) * 2013-12-09 2015-06-10 주식회사 에이알티코리아 Electric power saver for aquaculture fishery
KR20160055351A (en) * 2014-11-07 2016-05-18 주식회사 글로비트 A system of management for growth and integration in an eel farm basiced IT(information technolog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9796A (en) * 2012-04-24 2013-11-01 인버터기술(주) Seawater supply apparatus of fish farm
KR20140065673A (en) * 2012-11-20 2014-05-30 주식회사 글로비트 A self - diagnosis system for fish holding nursery and marinenursery facilities
KR101526213B1 (en) * 2013-12-09 2015-06-10 주식회사 에이알티코리아 Electric power saver for aquaculture fishery
KR20160055351A (en) * 2014-11-07 2016-05-18 주식회사 글로비트 A system of management for growth and integration in an eel farm basiced IT(information technolog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6653A (en) * 2019-01-04 2019-03-26 广州粤康环保工程有限公司 Country sewage integrated equipment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method based on distributed control system
KR20200097933A (en) 2019-02-11 2020-08-20 김재문 Sea water supply system for fish farm based on tidal information
KR20220082343A (en) 2020-12-10 2022-06-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IoT-based oxygen supply system for aquacul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rsun et al. Application of solar powered automatic water pumping in Turkey
KR20180099995A (en) Total system of Internet of Things(IoT) for energy management by marine­nursery facilities based on intelligence
CN110100708A (en) Water-saving irrigation method and water-saving irrigation system based on fuzzy logic control theory
CN104904569A (en) Intelligent irrigation regul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dynamic water content estimation
CN103823415A (en) Aquaculture intelligence control system
CN105610900A (en) Embedded Internet of things gateway-based agricultural greenhouse indoor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KR20180061550A (en) Enery saving system for marine­nursery facilities based on Internet of Things(IoT)
Pfitscher et al. Automatic control of irrigation systems aiming at high energy efficiency in rice crops
CN105409732A (en) Wireless solar irrigation system
CN202818381U (en) Agricultural spray and drip irrigation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ing network and cloud computing
KR20180078420A (en) Enery saving system for marine­nursery facilities based on Internet of Things(IoT)
CN110679452B (en) Low-power-consumption intelligent irrigation system based on radio frequency networking technology
KR20170102079A (en) Enery saving system for marine­nursery facilities based on Internet of Things(IoT)
CN209882740U (en) Intelligent irrigation control system based on NB-loT wireless network
Hassan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irrigation mobile robot
CN110579961B (en) Three-dimensional planting-oriented garden intelligent water supply method and system
CN213069619U (en) Greening area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204613723U (en) Novel intelligent irrigation system
CN210008361U (en) Intelligent irrigation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204670042U (en) Based on the intelligent irrigation regulator control system that dynamic water content is estimated
CN203299614U (en) Aquaculture remote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roid platform
CN209014557U (en) A kind of buoy draws water on-line monitoring system
CN109757343A (en) A kind of irrigation method and system
Narayanan et al. IoT-Fog integrated voice of the plant based smart irrigation and power management system for smart farming
CN111034591A (en) Agricultural intelligent irrigation platfor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