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88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888A
KR20180060888A KR1020170028004A KR20170028004A KR20180060888A KR 20180060888 A KR20180060888 A KR 20180060888A KR 1020170028004 A KR1020170028004 A KR 1020170028004A KR 20170028004 A KR20170028004 A KR 20170028004A KR 20180060888 A KR20180060888 A KR 20180060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ble
transparent display
opening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097B1 (ko
Inventor
이익규
우동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7202681.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327386A1/en
Priority to US15/818,966 priority patent/US10378815B2/en
Publication of KR20180060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888A/ko
Priority to US16/458,396 priority patent/US11168937B2/en
Priority to KR1020210186573A priority patent/KR102525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light sources to drivers, circuit board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1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6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featuring transparency control by applying voltage, e.g. LCD, electrochromic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 라이너와 아웃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 개구 및 라이너 개구를 차폐하며, 수납공간의 투시 및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측방향에 구비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장 부품의 구동을 위한 피시비;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의 디스플레이 피시비; 상기 전장 부품과 상기 피시비를 연결하며, 플렉서블하고 플랫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둘레를 따라 상기 피시비를 향하여 연장되는 케이블; 및 상기 피시비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를 연결하며, 와이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를 관통하는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냉장고는 도어를 열지 않으면 내부의 식품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원하는 식품이 고내의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지, 도어에 제공된 별도의 수납공간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개방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식품의 저장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 도어의 개방시간이 늘어나게 되거나 횟수가 늘어날 수 있으며, 이때 냉기의 불필요한 유출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냉장고의 도어 일부를 투명하게 하거나 고내를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고내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선택적으로 화면 출력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 라이트와 디스플레이 라이트의 선택적인 온/오프에 따라 도어 일부를 형성하는 투시부가 투명, 불투명 또는 화면 출력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의해 투시 가능한 도어에 피시비 및 피시비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 내부의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피시비들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단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 내부에 전장 부품들과 연결되는 피시비의 조립 장착이 용이하게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 내부의 다수의 전장 부품들과 본체의 컨트롤부의 연결이 간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장 부품들과 연결되는 전선의 배치 및 연결에 의해 상기 도어의 구조가 컴팩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 라이너와 아웃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 개구 및 라이너 개구를 차폐하며, 수납공간의 투시 및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측방향에 구비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장 부품의 구동을 위한 피시비;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의 디스플레이 피시비; 상기 전장 부품과 상기 피시비를 연결하며, 플렉서블하고 플랫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둘레를 따라 상기 피시비를 향하여 연장되는 케이블; 및 상기 피시비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를 연결하며, 와이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를 관통하는 연결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전장 부품에 전원 공급을 위한 아답터가 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 케이블은 상기 다수의 케이블의 수보다 더 적은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 케이블은 상기 도어의 회동을 위한 힌지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장 부품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 그리고 디스플레이 후방의 도광판을 밝히기 위한 디스플레이 라이트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좌우 양측단 중 일측단에 소스 피시비가 구비되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내측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소스 피시비와 상기 피시비를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벤딩되어 연장 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터치 센서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외측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시비에 연결되는 터치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마주보는 양측단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라이트와 상기 피시비를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면 또는 배면을 형성하는 패널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따라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장 부품은, 상기 도어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 후방의 공간을 밝히는 도어 라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시비는, 상기 터치 센서와 상기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터치 피시비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티콘 보드와; 상기 터치 피시비와 티콘 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 케이블과 연결되는 도킹 피시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킹 피시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연장된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시비는 상기 케이블의 연장된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피시비를 상기 도어 내측에 장착하는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상기 케이블의 연장된 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시비에 상기 케이블을 접속시키는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케이블이 노출되며, 상기 피시비가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도어의 둘레에 제공되는 단열재는 상기 개구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사이의 공간을 제외한 공간에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구는 상기 도어의 상면 또는 하면을 형성하는 캡 데코 상에 형성되며, 상기 캡 데코에는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데코 커버가 더 구비되며, 상기 데코 커버에는 상기 피시비가 장착되는 피시비 장착부가 상기 개구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구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좌우 양측방의 도어 라이너 상에 형성되며, 상기 피시비는 상기 도어의 측방을 따라 상하로 다수개가 연속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 케이블은 상기 도어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의 배면에 개구되는 전선 홀을 관통하여 도어 외측으로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 케이블은 상기 도어의 회동을 위해 상기 도어의 상단에 장착되는 힌지의 힌지축을 관통하여 도어 외측으로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배면 둘레를 형성하며, 고내와 연통되도록 중앙이 개구된 라이너 개구가 형성되는 도어 라이너; 상기 라이너 개구를 차폐하며, 상기 도어 후방 공간의 투시 및 화면의 출력이 가능하며, 상기 도어의 전면 전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기 도어의 둘레면에 형성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단부와 연통되는 개구;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커버; 상기 개구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장 부품의 구동을 위한 피시비;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의 디스플레이 피시비; 상기 개구의 내측에서 전장 부품과 상기 피시비를 연결하며, 플렉서블하고 플랫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둘레를 따라 상기 피시비를 향하여 연장되는 케이블; 및 상기 피시비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를 연결하며, 와이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를 관통하는 연결 케이블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제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제 1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개구된 제 2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가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메인 힌지; 상기 메인 도어의 전방에서 상기 제 2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제 2 저장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의 개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저장공간의 투시 및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기 서브 도어가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며, 상기 메인 힌지의 힌지 축 보다 더 작은 내경의 힌지 축을 가지는 서브 힌지;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방의 상기 서브 도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서브 도어 내부의 전장 부품과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와 연결시키는 연결 케이블이 연결되는 도킹 피시비를 포함하며, 상기 도킹 피시비는 입력되는 상기 케이블을 재배열하여 출력되는 상기 연결 케이블이 상기 서브 힌지의 힌지 축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킹 피시비는 플랫 타입의 상기 케이블을 와이어 타입의 상기 연결 케이블로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둘레면을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 상단으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킹 피시비는 입력되는 상기 케이블의 수보다 출력되는 상기 연결 케이블의 수가 더 작게 변환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 케이블은,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 1 연결 케이블과; 신호 및 처리를 위한 제 2 연결 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 케이블은, 고전압의 공급을 위한 전장부품과 연결되는 제 1 연결 케이블과; 저전압의 공급을 위한 전장부품과 연결되는 제 2 연결 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 케이블은,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제 1 연결 케이블과; 동작 신호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연결 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브 도어의 상단에는 상기 서브 힌지 축이 삽입되는 힌지 홀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 홀은 상기 도킹 피시비가 장착되는 상기 서브도어의 상부 공간과 연통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 케이블은 다수개가 하나 와이어 형태로 상기 서브 힌지의 힌지축을 통과할 수 있도록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도어에 수납 공간을 투시할 수 있는 투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시부는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어 라이트와 디스플레이 라이트의 온오프에 따라서 상기 투시부가 선택적으로 투명하거나 불투명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어를 열지 않고 상기 투시부를 통해서 수납 공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 소비전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시부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동작되어 각종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조작을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장 부품들과 연결되는 케이블들은 플랫한 형태의 케이블로 플렉시블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복수의 패널이 적층되는 구조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이로 출입이 용이하며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들은 벤딩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둘레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어의 구조를 컴팩하게 할 수 있으며, 단열재와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장 부품들을 컨트롤하기 위한 피시비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어셈블리의 상방 또는 하방 또는 좌우 측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와 연결되는 케이블들 또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므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피시비 또는 케이블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화면 출력이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 고내의 투시가 가능하게 되며, 이때, 피시비 또는 케이블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피시비들은 상기 도어의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케이블들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도어 내부의 단열재 성형을 위해 발포 후 상기 피시비들을 장착 가능하게 되어 발포열 또는 정전기에 의한 상기 피시비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는 다수의 플랫한 형태의 케이블들과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와이어 형태의 케이블과 연결되며, 도어의 내부에서 와이어 형태의 케이블리 도어 외측으로 안내되어 캐비닛에 배치되는 컨트롤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다수의 전장부품과 연결된 플랫 형태의 케이블들이 도어를 관통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도어 외측 인출 구조를 간결하게 하고 반복적으로 개폐되는 도어의 사용시에도 케이블이 단락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에는 커넥터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플랫한 형태의 케이블이 상기 커넥터에 용이하게 삽입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피시비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의 내부에 도어 및/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에 상기 피시비와 연결되는 추가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내부에 구비되는 피시비의 구성을 최소화 하면서도 연결되는 전선의 수 또한 최소화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납 공간의 가시화 면적을 보다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도어 라이트의 구동을 위한 피시비가 다수개 제공되고, 이들이 동일 공간에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모듈화되어 제작 조립되는 상기 도어 및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조립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서브 도어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서브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이너 프레임의 상부를 전방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이너 프레임의 상부를 후방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캡 데코와 피시비의 결합구조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캡 데코와 피시비의 결합구조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서브 도어에 상기 피시비가 장착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서브 도어 상단의 절결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케이블들과 피시비들의 연결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서브 도어와 컨트롤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배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상기 컨트롤부와 연결되는 연결 케이블의 다른 연결 상태를 보인 블럭도이다.
도 22는 상기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23은 상기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의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 고내측이 투시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 화면이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신호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전선 배치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평면도이다.
도 34는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 내부에 배치되는 피시비들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6은 상기 서브 도어 내측의 피시비들과 케이블의 연결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7은 상기 상기 서브 도어 외측의 전선 배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신호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도 4에서 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는 상기 냉장고(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14)는 상기 냉장고(10)의 냉각 운전은 물론, 투시부(21)의 선택적인 투시와 화면 출력을 위한 전장부품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장실(12)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필요에 따라서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동실(13)이 하방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하나의 공간을 한쌍의 도어가 회동되어 각각 개폐되는 프렌치 타입의 도어가 적용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하단과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상단에는 함몰된 손잡이 홈(201,3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홈(201,301)에 사용자가 손을 넣어서 상기 냉장실 도어(20) 또는 냉동실 도어(30)를 개폐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일측의 도어는 고내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도어 배면의 저장공간 및/또는 고내 공간의 투시가 가능한 영역인 투시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21)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투시부(2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고내에 수납된 식품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장실 도어(20)에 상기 투시부(21)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투시부(21)는 냉장고의 구조와 형태에 따라 상기 냉동실 도어(30)를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냉장고 도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우측(도 3에서 볼 때)의 냉장실 도어(20)는 이중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40)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개구부(41)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좌측(도 1에서 볼 때)의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어퍼 힌지(401) 및 로어 힌지(40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2)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개구부(41)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1)의 내측을 비롯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431)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41)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둘레 일부를 제외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 둘레에는 메인 가스켓(45)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폐시 상기 캐비닛(10) 내부 공간의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41)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통해서 상기 개구부(41)를 노출 시킬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는 결합된 상태가 되어 좌측에 형성된 냉장실 도어(20)와 그 크기와 형상이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에는 서브 가스켓(503)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의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중앙에는 선택적으로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며 동시에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구비된다. 따라서,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41)의 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으며, 영상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투시부(21)는 상기 서브 도어(50)상에서 고내측이 보여지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반드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 전체와 일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에서만 투명하게 되어 고내를 가시화시키고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상태에서 화면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서브 어퍼 힌지(501)와 서브 로어 힌지(502)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개방장치(59)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장치(59)와 대응하는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록킹 유닛(4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개방장치(59)와 상기 록킹 유닛(42)의 결합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개방장치(59)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개방장치(59)와 록킹 유닛(42)의 구속이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를 기준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에는 댐핑장치(5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핑장치(504)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에 의해 무게가 무거운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화 할 수 있도록 상기 서브 로어 힌지(502)와 인접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과 측단 모서리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수납 케이스(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43)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43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 케이스(43)에는 케이스 도어(43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서브 도어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서브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에 이격 장착되는 도어 라이너(56),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도어 라이너(56)의 개구에 장착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4)와 로어 캡데코(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의 결합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외관 및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을 비롯한 외관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냉장실 도어(20) 및 냉동실 도어(30)의 전면과 동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 표면에는 내지문 코팅, 헤어라인, 색상이나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코팅 또는 필름 부착 등 다양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512)와, 외측으로 노출되는 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512)의 중앙에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에 의해 차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차폐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서 고내를 투시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내측을 상기 투시부(21)라 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512)는 전체적으로 상기 냉장고(1)의 중앙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512)는 이웃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과 대응하는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이 입체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둘레면에는 후방으로 절곡되는 개구 절곡부(5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 절곡부(514)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이너 프레임(5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는 상기 개구 절곡부(514)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512)의 양단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상기 측면부(5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513)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측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513)의 단부 또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어 라이너(56)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상단과 하단 또한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캡데코(54)와 로어 캡데코(55)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도어 라이너(56)와 상기 어퍼 캡데코(54) 및 로어 캡데코(55)의 결합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56)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배치되는 영역에 라이너 개구(5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배면에는 상기 서브 도어(50)와 상기 메인 도어(40)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서브 가스켓(503)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너 개구(561)의 양측에는 도어 라이트(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후방을 밝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 공간을 밝힐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보조적인 백라이트 기능을 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화면 출력시 화면을 보다 선명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점등시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가 밝아지게 되며, 따라서 고내측이 고외측보다 더 밝아지게 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 내부의 가시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양측방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장착위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에서 충분한 밝기를 가질 수 있다면 다양한 배치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에는 상기 개방장치(59)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개방장치(59)는 서브 도어(50) 하단으로 노출되는 조작부재(591)와 상기 조작부재(591)에서 연장되는 로드(592)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 배면에서 돌출되는 로킹부재(59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상기 조작부재(591)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드(592)가 상기 로킹부재(593)를 움직여 상기 서브 도어(50)가 상기 메인 도어(40)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퍼 캡데코(54)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6) 상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일단에는 상기 서브 어퍼 힌지 장착부(541)가 형성되며, 상기 서브 어퍼 힌지 장착부(541)에는 상기 어퍼 힌지(401)의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홀(54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구조에 관하여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로어 캡데코(55)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6)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도어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명, 반투명, 불투명, 화면 출력의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 공간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출력되는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플레이트 개구(511) 둘레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지지하기 위한 이너 프레임(52)이 장착된다.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의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이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중앙에 프레임 개구(521)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개구(521)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크기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개구(521)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상기 리어 패널(65)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장착시 상기 리어 패널(65)이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 및 프레임 개구(521)를 차례로 지나 도어 라이너(56)에 안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결합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단부가 서로 밀착상태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이너 프레임의 상부를 전방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이너 프레임의 상부를 후방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프레임 개구(5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를 고정하고 동시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전면 일부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과 접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지지부(525)와 플레이트 수용홈(526),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 그리고 히터 수용홈(52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는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가장 외측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가장 외측의 둘레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을 지지하게 되며,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692) 또는 접착을 위한 부재에 의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과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는 상기 이너 프레임(52)을 구성하는 어퍼 프레임(522)과 로어 프레임(523) 및 사이드 프레임(524)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은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의 단부에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개구를 따라 절곡된 상기 개구 절곡부(514)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가 상기 어퍼 프레임(522)에 접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구 절곡부(514)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 절곡부(514)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단부와 접하게 되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 사이에 틈새가 없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은 상기 어퍼 프레임(522)을 제외한 사이드 프레임(524)과 로어 프레임(523)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 중 상단을 형성하는 상기 개구 절곡부(514)는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내측단과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개구 절곡부(514) 전체는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의 바닥을 연결하는 단부에는 가이드 리브(5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527)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개구 절곡부(514)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 리브(527)는 상기 개구 절곡부(514)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돌출되며, 상기 개구 절곡부(514)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527)는 다수개가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3개의 가이드 리브(527)가 연속하여 인접 배치되고, 이같은 구조는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상기 개구 절곡부(514)의 둘레를 따라서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527)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의 내측면 일측에서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의 바닥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527)는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와 가까운 지점에서 점점 더 돌출되도록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527a)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 절곡부(514)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경사부(527a)를 따라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527a)의 단부에는 수직부(527b)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527b)는 상기 개구 절곡부(514)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개구 절곡부(514)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 절곡부(514)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직부(527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보다 더 내측 부분에는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 보다는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와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의 전면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693)가 부착되거나,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과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와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의 높이 차이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에 단차 또는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외측단과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플레이트 개구(511)의 단부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전체가 단차지지 않고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 또한, 상기 어퍼 프레임(522)을 제외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과 상기 로어 프레임(523)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 상에는 히터 수용홈(52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홈(529)은 상기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와 접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를 가열하여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홈(529)은 히터(53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532)를 완전히 수용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장착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이 상기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에 안착되고, 이때 상기 히터(532)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상단에는 프레임 베리어(5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베리어(520)는 어퍼 프레임(522) 상방의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를 전후로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배면에서 상기 어퍼 캡데코(54)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프레임 베리어(520)는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20a)와 상기 연장부(520a)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베리어부(52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20a)는 상기 프레임 개구(521)를 형성하는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내측 상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20a)의 연장 길이에 따라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베리어부(520b)는 멀어지게 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베리어부(520b)의 사이에는 단열재(531)가 발포 충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베리어부(520b)는 상기 연장부(520a)의 연장된 단부와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하면을 연결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단을 전후로 구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부(520b) 전방의 공간은 단열재(531)가 형성된 단열 공간이 되고, 후방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와 도어 라이트(57), 히터(532)와 같은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의 전장부품들을 제어하는 피시비들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리어부(520b)의 상단에는 상기 어퍼 캡데코(54) 하면의 베리어 결합부(541e)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 리브(520c)가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부(520b)는 상기 어퍼 캡데코(54) 하면과의 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의 전반부와 후반부가 완전히 구획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부(520b) 상단의 일측단에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전을 위한 서브 어퍼 힌지(50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힌지 회피부(520d)가 더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힌지 회피부(520d)는 상기 베리어부(520b)의 일측단에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피시비는 상기 서브 도어(50) 상부의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프레임 베리어(520)와 도어 라이너(56)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어퍼 캡데코(54)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부로 방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서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21)를 형성하여 고내 공간이 선택적으로 가시화되도록 할 수도 있고 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전면과 배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를 연결하는 모듈 프레임(67)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62)와 도광판(64)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62)와 도광판(64)의 지지를 위한 간봉(63)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투명한 유리 소재(예컨대 청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며 터치 입력이 가능한 다른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후방에서 조립 장착될 때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부가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배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리어 패널(65)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프론트 돌출부(6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돌출부는 상기 리어 패널(65)보다 상하좌우측 방향 모두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후방에서 장착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특성상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안정적으로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장착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연장된 각 단부 즉, 상기 프론트 돌출부(613)는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 둘레에는 베젤(6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611)은 검정색으로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 프레임(67)과 간봉(6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질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532)는 상기 베젤(611)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으다. 따라서, 상기 히터(532)는 상기 베젤(611)에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인접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를 가열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전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젤(611)의 내측 영역에는 터치 센서(6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612)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터치 센서(612)는 인쇄 방식이 아닌 필름 접착 방식 등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방식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상단에는 상기 터치 센서(612)와 연결되는 터치 케이블(60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 Cable 또는 Flexible Print Circuit board)와 같은 플렉시블한 필름 형태의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케이블(601) 상에 인쇄회로가 인쇄되어 터치 피시비(603)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도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터치 피시비(603)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2)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2)는 화면이 출력되는 LCD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투명하게 구성되어 화면 출력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투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좌우 양측 중 일측단에는 소스 보드(6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화면 출력을 위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62)와 하나의 어셈블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21) 또한 일부가 플렉시블한 필름 형태의 케이블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절곡된 상태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측면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21)의 폭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두께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벤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스 보드(621)가 배치되는 위치는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내측과 상기 간봉(6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절곡된 상태에서 모듈 프레임(67)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21)는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에서 상기 티콘(T-CON) 보드(623)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디스플레이(62) 후면으로 배치하게 될 경우, 투명하게 형성되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특성상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21)가 측방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게 될 경우 상기 서브 도어(50)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둘레측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내측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모듈 프레임(67)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하 2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쌍의 디스플레이 케이블(605)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상기 터치 케이블(601)과 마찬가지로 플렉시블 하며 플랫한 구조를 가지며, 자유롭게 벤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측면을 형성하는 실런트(691)를 관통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벤딩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 상방으로 단부가 연장될 수 있도록 벤딩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 상방에서 티콘 보드(602)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양단은 간봉(6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간봉(63)은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간봉(631)과 제 2 간봉(6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간봉(631)과 제 2 간봉(632)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62)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64)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깊이감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가깝게 느껴지도록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사이의 중간 지점보다 더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간봉(631)과 제 2 간봉(632)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에서 조사되는 빛의 확산 또는 산란을 위한 것으로,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폴리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에 패턴이 형성되거나 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켜진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후방에서 밝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다소 큰 크기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의 상단과 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도광판(6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도광판(64)의 크기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크기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65)는 상기 라이너 개구(561)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어 패널(65)의 둘레는 상기 모듈 프레임(67)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리어 패널 돌출부(65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 돌출부(651)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장착시 돌출된 부분이 상기 도어 라이너(56)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에 단열재(531)를 성형하게 될 때 발포액이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리어 패널(65)은 단열을 위해서 로이 글래스(Low-ε Glass)로 구성될 수 있다. 로이 글래스는 통상 단열을 위해 유리의 표면에 저방사코팅층을 형성한 것으로 단열 효과가 우수한 유리이다. 따라서 상기 리어 패널(65)은 고내의 냉기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외부로 열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와 상기 도광판(64)의 사이에는 스페이서(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6)는 상기 도광판(64)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에 접착되어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61)와 상기 도광판(64) 사이의 간격은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화면 출력을 위해서 고정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간격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두께 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체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페이서(66)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체 두께를 결정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스팩에 맞추어 장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접하게 되며, 상기 리어 패널(65)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2)와 상기 도어 라이트(57) 사이의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점등된 상태에서 상가 디스플레이(62)의 보조적인 백라이트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62)와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거리는 5cm ~ 15c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2)와 도어 라이트(57) 사이의 거리가 5cm 미만이 될 경우 내부에 명암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15cm를 초과하게 될 경우 백라이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2)와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리어 패널(65)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62)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스페이서(66)의 폭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6)에 의해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사이는 기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66)와 상기 도광판(64) 사이의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들거나 단열을 위해 아르곤과 같은 단열성 기체를 주입하여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스페이서(66)에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패널(65)의 외측단이 상기 스페이서(66) 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65)의 외측단에는 상기 모듈 프레임(67)이 장착되어 상기 리어 패널(65)과 상기 프론트 패널(61)이 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듈 프레임(67)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전면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내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듈 프레임(67)은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도광판(64)과 간봉(63)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라이트(68)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를 통해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도광판(64)의 단부를 향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도광판(64)이 전체면에서 발광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내측 상단과 하단에 위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터치 케이블(601) 및 디스플레이 케이블(605)과 같이 플렉시블 하고 플랫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내측에 장착된 상태의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연결되며, 상기 실런트(691)를 관통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62)를 통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6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리어 패널(65)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리어 패널(65) 배면에 접착된 상태로 벤딩되어 상기 서브 도어(50) 상방의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리어 패널(65)의 리어 돌출부(651)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연장되므로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측에서 볼 때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둘레에는 실런트(691)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실런트(691)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사이의 둘레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실런트(691)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내부로 공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봉하는 것으로, 폴리 설파이드(polysulfide 일명 치오콜이라 함)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단열재(531)를 성형하기 위해 주입되는 발포액과 직접 접할 수 있는 실리콘, 우레탄과 같은 다른 실런트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실런트(691)에 의해 상기 모듈 프레임(67)과 상기 프론트 패널(61) 및 리어 패널(65)는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각 구성의 연결부위를 완전히 밀봉하여 수분이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런트(691)는 상기 단열재(531)의 성형시 발포액이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런트(691)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 내부의 터치 센서(612), 디스플레이 패널(62),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연결되는 케이블(601,605,606)이 출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실런트(691)는 상기 케이블(601,605,606)들이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통해서 외부로 연장될 때 상기 케이블(601,605,606)의 외측면을 막아서 케이블(601,605,606)이 출입되는 공간으로 물 또는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캡 데코와 피시비의 결합구조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캡 데코와 피시비의 결합구조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서브 도어에 상기 피시비가 장착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상기 서브 도어 상단의 절결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단은 상기 어퍼 캡데코(54)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캡데코(54)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상단 및 도어 라이너(56)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전면 둘레에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상단이 삽입되는 플레이트 삽입부(540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삽입부(540a) 하방에는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과 접하는 플레이트 접촉부(540b)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접촉부(540b)와 이너 프레임(52)의 전면 상단에 의해서 상기 내부에 단열재(531)가 형성될 수 있는 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후면 둘레에는 상기 도어 라이너(56) 상단에 형성된 캡데코 삽입부(567)와 결합되는 라이너 장착부(540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장착부(540c)는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너 장착부(540c)의 하단이 상기 캡데코 삽입부(567)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하면에는 베리어 결합부(541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 결합부(541e)는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일측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베리어부(520b) 상단의 삽입 리브(520c)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캡데코(54)와 상기 베리어부(520b)의 결합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 상부의 공간이 전후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부(520b)에 의해 구획되는 전방의 공간에는 단열재(531)가 형성되어 상기 서브 도어(50)를 단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베리어부(520b)에 의해 구획되는 후방의 공간에는 피시비들(602,603,604)이 배치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비롯한 상기 서브 도어(50)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장부품들의 구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상면에는 데코 개구(5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데코 개구(542)에는 데코 커버(5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데코 개구(542)는 상기 어퍼 캡데코(54) 중 상기 베리어부(520b)에 의해 구획되는 후방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코 커버(543)의 분리를 통해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이 장착되는 공간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데코 커버(543)는 상기 어퍼 캡데코(54)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동작을 위한 피시비들(602,603,604)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발포 후 상기 데코 커버(543)에 상기 피시비들을 장착한 후 상기 데코 개구(542)를 통해서 상기 피시비들이 삽입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데코 커버(543)는 상기 데코 개구(542)를 차폐하는 커버부(544)와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이 장착되는 피시비 장착부(54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44)는 상기 데코 개구(54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에 스크류 홀(544a)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544)가 상기 데코 개구(542)를 차폐하도록 상기 어퍼 캡데코(54)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 커버(543)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 장착부(541)의 일측 벽면에 전선 홀(54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홀(541b)은 상기 피시비 장착부(545)의 측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리어부(520b)에 의해 구획된 공간 중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이 배치되는 공간과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홀(541b)은 상기 컨트롤부(14)와 연결된 연결 케이블(607)이 출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힌지(401) 또는 어퍼 힌지를 차폐하는 커버를 따라서 상기 캐비닛(1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 조작시에도 상기 연결 케이블(607)은 간섭되지 않고 상기 서브 도어(50)와 상기 캐비닛(10)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 케이블(607)은 와이어 형상의 케이블로 상기 전선 홀(541b)을 통과하기 용이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케이블(607)은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복수의 상기 연결 케이블(607)을 수용하는 케이블 커버(607a)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커버(607a)는 수축 튜브 또는 테이프 등으로 구성되어 다수의 상기 연결 케이블(607)이 하나로 묶여진 상태로 전선 홀(541b)을 출입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다수의 피시비들(602,603,604)은 상기 데코 커버(543)가 상기 데코 개구(542)에 장착되기 전에 상기 데코 커버(543)의 내부에서 노출되는 케이블들(601,605,606)과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피시비들(602,603,604)이 상기 피시비 장착부(545)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에 케이블들(601,605,606)이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선 홀(541b)을 통해서 유입되는 연결 케이블(607) 또한 아래에서 설명할 도킹 피시비(604)와 티콘 보드(60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들(601,605,606)의 연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데코 커버(543)는 상기 데코 개구(542)를 차폐하도록 상기 어퍼 캡데코(54)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개구(542)의 양단에는 상기 데코 커버(543)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 지지부(542a)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지지부(542a)에 상기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장착부(545)는 상기 커버부(544)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리어부(520)와 마주보는 전면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 라이너(56)와 마주보는 배면에 다수의 피시비들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피시비들(602,603,604)은 상기 피시비 장착부(545)의 전면과 배면 양면에 배치되도록 하여 다수의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이 밀집된 공간에 모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피시비 장착부(545)에 장착되는 상기 피시비들은 티콘(T-CON) 보드(602)와 터치 피시비(603) 그리고 도킹 피시비(6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티콘 보드(602)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구동을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피시비(603)는 상기 터치 센서(612)의 터치 입력 신호의 처리를 위한 것으로 상기 터치 센서(612)와 연결되는 터치 케이블(6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킹 피시비(604)는 상기 피시비들(602,603,604)과 연결되는 케이블들(601,605,606)과 상기 컨트롤부(14)와 연결되는 연결 케이블(607)을 연결함으로써, 플랫한 다수의 케이블들(601,605,606)이 통합된 단일 또는 보다 적은 수의 와이어 케이블인 연결 케이블(607)로 상기 서브 도어(50) 외측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7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케이블들과 피시비들의 연결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서브 도어와 컨트롤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배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에는 상기 데코 커버(543)가 구비되며, 상기 데코 커버(543)의 피시비 장착부(545)에는 상기 다수의 피시비들(602,603,604) 즉, 터치 피시비(603)와 티콘 보드(602) 그리고 도킹 피시비(604)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피시비들(602,603,604)은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의 다수의 케이블들(601,605,606)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피시비들(602,603,604)을 연결하는 케이블(601,605,606)은 유연한 필름 타입의 FFC 또는 FPC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케이블(601), 디스플레이 케이블(605) 및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외측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피시비들(602,603,604)과의 연결구조 또한 간결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 내측의 단열재(531) 발포 성형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상기 터치 센서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치 피시비(60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피시비(603)는 상기 터치 케이블(601)의 연장된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피시비(603) 상에는 상기 터치 케이블(601)의 연장된 단부가 삽입되는 터치 커넥터(60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플랫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장된 단부가 상기 터치 커넥터(603a)로 삽입될 수 있도록 벤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케이블(601)은 상기 터치 커넥터(603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피시비(603)와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은 상기 소스 보드(621)와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연장된 후 상기 티콘 보드(60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티콘 보드(602)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 커넥터(602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랫한 케이블 형상의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의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넥터(602a)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티콘 보드(602)와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에 연결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된 후 상기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 또한 플랫한 케이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킹 피시비(604)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라이트 커넥터(604a)에 삽입되어 상기 도킹 피시비(604)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킹 피시비(604)에는 상기 도어 라이트 커넥터(604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라이트 커넥터(604b)는 상기 도어 라이트(57)로부터 연장되는 도어 라이트 케이블(609)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와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라이너(56)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연결되는 도어 라이트 케이블(609)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도킹 피시비(604)로 연장될 수 있으며, 와이어 형상의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 라이트 케이블(609) 또한 다른 케이블들(601,605,606)과 마찬가지로 플랫한 플렉시블 케이블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도킹 피시비(604)는 상기 터치 피시비(60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킹 피시비(604)와 터치 피시비(603)는 별도로 구성되며, 상기 피시비 장착부(545)에 조립 장착되는 과정에서 제 1 도킹 케이블(608)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킹 케이블(608)은 상기 도킹 피시비(604)에 구비되는 피시비 커넥터(604d)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티콘 보드(602) 또한 상기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압 상황 또는 신호 전달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상기 티콘 보드(602)는 상기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전선 홀(541b)을 통해 상기 컨트롤부(14)로 와이어 타입의 상기 연결 케이블(607)이 직접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킹 피시비(604)에는 와이어 타입의 상기 연결 케이블(607)이 연결되는 연결 커넥터(604c)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커넥터(604c)와 상기 도킹 피시비(604)가 연결됨으로써 플랫 타입의 상기 케이블들(601,605,606)의 입력 신호는 상기 연결 케이블(607)을 통해서 상기 컨트롤부(14) 내부의 디스플레이 피시비(14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케이블(607)은 상기 어퍼 캡데코(54)에 형성된 상기 전선 홀(541b)을 통해서 출입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힌지(401) 또는 어퍼 힌지(401)를 차폐하는 커버를 통과하여 상기 컨트롤부(14)로 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케이블(607)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을 통해 상기 컨트롤부(14)로 연장될 수도 있으며, 상기 컨트롤부(14)상의 디스플레이 피시비(142)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장부품들 특히,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구성하는 전장부품들과 연결된 다수의 플랫한 케이블들(601,605,606)은 모두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방에서 피시비들(602,603,604)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상기 캐비닛(10) 상의 컨트롤부(14)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 타입의 연결 케이블(607)이 상기 도킹 피시비(604) 및 티콘 보드(602)와 연결되는 간결한 구조를 통해 상기 전선 홀(541b)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서브 도어(50) 개폐시의 간섭 또한 최소로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에 연결된 다수의 케이블들(601,605,606)은 그 폭이 너무 크게 되며 다수의 케이블들(601,605,606)이 한꺼번에 상기 서브 도어(50) 외측으로 안내되기 위해서는 상기 전선 홀(541b)의 크기나 공간이 너무 크게 되어 비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외관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구조적 특성상 간섭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거나 외부 노출에 의한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서브 도어(50)와 캐비닛(1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은 부피가 작고 내구성이 우수한 와이어 타입의 상기 연결 케이블(607)이 사용되며, 상기 연결 케이블(607)의 수 또한 최소한으로 하여 상기 연결 케이블(607)의 안내를 위한 부피 및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케이블(607)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컨트롤부(14)의 내부에는 메인 피시비(141)와 디스플레이 피시비(142) 그리고 아답터(1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메인 피시비(141)에 의해 냉동사이클을 비롯한 전체적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141)는 디스플레이 피시비(142)와 연결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141)에는 고내외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145)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음성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146)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141)에는 외부 기기 및 서버와 통신을 위한 별도의 통신 모듈(147)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147)은 메인 피시비(141)와 디스플레이 피시비(142), 스피커(146), 카메라(145)와 직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보의 전달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14)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로 공급되는 전원을 변환하는 아답터(14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답터(143)에 의해 직류 전원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구동에 적합한 교류 전원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답터(143)는 비교적 크기가 크고 발열이 높아 상기 서브 도어(50)가 아닌 상기 캐비닛(10) 상의 컨트롤부(14)에 배치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것이다.
도 20 및 도 21은 상기 컨트롤부와 연결되는 연결 케이블의 다른 연결 상태를 보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연결 케이블(607)은 상기한 구조 외에도 다양한 연결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다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캐비닛(10) 상의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142)와 상기 서브 도어(50) 상의 전장부품 또는 피시비들(602,603,604)이 와이어 타입의 연결 케이블(607)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세히,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 피시비(603)는 상기 제 1 도킹 케이블(608)에 의해 상기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되며, 상기 티콘 보드(602)는 제 2 도킹 케이블(602b)에 의해 상기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에 의해 상기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케이블(607)은 상기 도킹 피시비(604)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142)를 연결하게 되며, 상기 서브 도어(50)상의 도어 라이트(57)는 도어 라이트 케이블(609)에 의해 직접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14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라이트 케이블(609)은 상기 연결 케이블(607)과 같은 와이어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 케이블(609)은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고전압을 필요로하는 경우, 도 20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 라이트 케이블(609)이 상기 도킹 피시비(604)를 거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142)로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 피시비(603)는 상기 제 1 도킹 케이블(608)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티콘 보드(602)는 제 2 도킹 케이블(602b)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도어 라이트 케이블(609)에 의해 상기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의 전장부품들은 모두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서 상기 도킹 피시비(604)에 다수의 케이블들(602b,606,608,609)에 의해 모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도킹 피시비(604)는 하나의 상기 연결 케이블(607)에 의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를 통과하는 케이블의 수를 최소화하여 상기 서브 도어(50)를 통해 노출될 수 있는 케이블의 수를 최소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와 도어 라이트의 점등 상태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2는 상기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3은 상기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 고내측이 투시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5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 화면이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개방장치(59)의 래치(592)가 상기 록킹 유닛(42)의 래치 홀(42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꺼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 상태는 별도 제공되는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꺼진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 공간이 어둡게 되어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고내측이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별도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꺼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 패널(51)을 조작하여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점등되면 라이팅 모듈(575)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리어 패널(65)의 후방 좌우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리어 패널(65)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조사되는 빛은 상기 리어 패널(65)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리어 패널(65)의 후방 전체 영역을 밝힐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함께 점등되는 상태라면,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에 의해 상방과 하방에서 빛이 조사되고,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서 좌우측방에서 빛이 조사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투시부(21)는 상하 및 좌우 전체 방향에서 빛이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21) 영역을 최대 밝기로 밝힐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리어 패널(65)과 근접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조사되는 빛은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공간을 밝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리어 패널(65)을 지나 전방의 영역까지 밝힐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보여지는 고내 공간을 밝히는 조명 역할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62)가 보다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백라이트의 역할을 기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해서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투시부(21)를 통한 고내 공간 즉, 상기 서브 도어(50) 후방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투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 후방의 공간이 상기 투시부(21)로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켜지게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투시부(21)를 통한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가시화 정도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온오프 조합을 통해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의 전면의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조작하게 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점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62)가 온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도 23에서와 같이 화면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조작은 특정 위치 또는 터치 횟수 또는 패턴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물리 버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는 냉장고의 상태 표시 및 조작을 위한 화면이 출력될 수도 있으며, 인터넷, 영상 출력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출력, 수납된 식품의 정보 등 다양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62)와 함께 상기 도광판(64)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점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의 점등에 의해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의 빛을 난반사 및 확산시켜 전방의 디스플레이(62)를 향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로 빛을 조사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64)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62)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는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사용자는 선명하게 출력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데코 커버 및 피시비의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며,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 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도면 부호 또한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도어는, 아웃 케이스(51)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아웃 케이스(51)는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51)의 개구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되어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터치 입력 및 디스플레이(62)를 통한 영상의 출력 또한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5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기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4)와 상기 도어(50)의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캡데코(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에는 단열재가 구비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고정하고 상기 도어(50)의 둘레가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캡데코(55)에는 상기 도어(50) 내측으로 개구된 데코 개구(55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데코 개구(551)는 데코 커버(552)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데코 개구(551)를 통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하단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장부품과 연결된 케이블들(601,605,606)이 상기 데코 개구를 통해서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들(601,605,606)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에 밀착되어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커버(552)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데코 개구(55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피시비 장착부(55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 장착부(553)에는 다수의 피시비들(602,603,604)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은 상기 터치 케이블(601)과 연결되는 터치 피시비(603)와,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과 연결되는 티콘 보드(602) 그리고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이 연결되는 도킹 피시비(60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플랫 케이블 타입의 다수의 상기 케이블들(601,605,606)과 직 간접적으로 연결된 상태의 상기 도킹 피시비(604)에는 상기 힌지 장착부(541)를 통해서 유입되는 와이어 케이블 타입의 연결 케이블(607)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50) 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장부품들과 연결되는 다수의 케이블들(601,605,606)은 도킹 피시비(604)에 연결되어 하나 혹은 몇개의 연결 케이블(607)을 통해 본체(10)측으로 연장되어 본체의 컨트롤부(14)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도어(50)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 1 실시 예의 서브 도어(50)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고내 공간을 직접 개폐하는 구조의 도어(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피시비가 장착되는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며,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 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도면 부호 또한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도어(50)는 아웃 케이스(51)에 의해 전면 외관이 형성되며, 도어 라이너(56)에 의해 배면의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51)와 도어 라이너(56)의 중앙부 대부분의 면적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케이스(51)와 도어 라이너(56) 사이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되어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터치 입력 및 디스플레이(62)를 통한 영상의 출력 또한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5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기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4)와 상기 도어(50)의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캡데코(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에는 단열재가 구비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고정하고 상기 도어(50)의 둘레가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배면 일측에는 라이너 장착구(5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라이너 장착구(562)는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힌지 장착부(541)와 대응하는 위치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측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장착구(562)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일측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장 부품들과 연결된 플랫한 형태의 케이블들(601,605,606)이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들(601,605,606)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에 밀착되어 상기 라이너 장착구(562)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너 장착구(562)에는 상기 케이블들(601,605,606)과 연결되는 다수의 피시비들(602,603,604)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너 장착구(562)의 내측에 상기 다수의 피시비들(602,603,604)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라이너 장착구(562)는 라이너 커버(56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은 상기 터치 케이블(601)과 연결되는 터치 피시비(603)와,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605)과 연결되는 티콘 보드(602) 그리고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이 연결되는 도킹 피시비(60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 케이블 타입의 다수의 상기 케이블들(601,605,606)과 직 간접적으로 연결된 상태의 상기 도킹 피시비(604)에는 상기 힌지 장착부(541)를 통해서 유입되는 와이어 케이블 타입의 연결 케이블(607)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50) 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장부품들과 연결되는 다수의 케이블들(601,605,606)은 도킹 피시비(604)에 연결되어 하나 혹은 몇개의 연결 케이블(607)을 통해 본체(10)측으로 연장되어 본체의 컨트롤부(14)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도어(50)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 1 실시 예의 서브 도어(50)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고내 공간을 직접 개폐하는 구조의 도어(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플랫 케이블과 연결되는 피시비가 도어 내부에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피시비의 구성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며,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도면 부호 또한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신호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도어(50)는 아웃 케이스(51)에 의해 전면 외관이 형성되며, 도어 라이너(56)에 의해 배면의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51)와 도어 라이너(56)의 중앙부 대부분의 면적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케이스(51)와 도어 라이너(56) 사이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되어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터치 입력 및 디스플레이(62)를 통한 영상의 출력 또한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5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기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4)와 상기 도어(50)의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캡데코(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에는 단열재가 구비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고정하고 상기 도어(50)의 둘레가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캡데코(54)에는 데코 개구(542)가 형성되며, 상기 데코 개구(542)의 내측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장 부품들과 연결된 플랫 케이블 형태의 상기 케이블들(601,605,606)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개구(542)는 상기 데코 커버(543)에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들(601,605,606)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에 밀착되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데코 커버(543)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피시비 장착부(545)가 형성되며, 상기 피시비 장착부(545)에는 도어 피시비(54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피시비(546)는 상기 다수의 케이블들(601,605,606)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피시비(546)와 케이블들(601,605,606)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데코 커버(543)가 상기 데코 개구(542)를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 피시비(546)는 상기 도어(50) 내부의 전장 부품 전체를 컨트롤하기 위한 것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장 부품은 물론, 상기 도어 라이트(57) 또한 상기 도어 피시비(546)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 피시비(546)는 상기 터치 센서(612)와 연결된 터치 케이블(601),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소스 보드(621)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케이블(605), 및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피시비(546) 하나로 플랫 케이블 형상의 다수의 케이블들(601,605,606)이 모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피시비(546)에는 연결 케이블(607)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케이블(607)은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힌지 장착부(541)를 관통하여 외측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케이블(607)은 어퍼 힌지를 경유하여 상기 캐비닛(10)으로 연장되며,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피시비(142)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서브 도어 내부의 피시비와 연결된 연결 케이블이 서브 어퍼 힌지의 힌지축을 통해 도어 외측으로 안내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 부호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임을 미리 밝혀 둔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전선 배치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캐비닛(10) 전면에 상기 메인 도어(40)가 상기 어퍼 힌지(40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서브 어퍼 힌지(50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어퍼 캡데코(54)에는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이 장착되는 상기 서브 도어(50) 상부의 공간과 연통되는 데코 개구(542)가 형성되며, 상기 데코 개구(542)는 상기 데코 커버(54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커버(543)에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장 부품들은 상기 피시비들(602,603,604)과 플랫 케이블 형태의 케이블들(601,605,60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들(602,603,604)과 케이블들(601,605,606)의 배치 및 상기 서브 도어(50)의 구조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피시비들(602,603,604) 중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되는 와이어 케이블 형태의 연결 케이블(607)은 상기 서브 어퍼 힌지(501)의 힌지축(501a)을 통해서 상기 힌지 장착부(541)의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어퍼 힌지(501)의 힌지축(501a)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튜브 형상 또는 단면이 "C"자 형상과 같은 절개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하방에서 상기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된 연결 케이블은 상기 힌지축(501a)의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어퍼 힌지(501)는 서브 힌지 커버(505)에 의해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힌지(401)는 메인 힌지 커버(40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힌지 커버(505)와 메인 힌지 커버(403)에는 각각 서브 연장부(505a)와 메인 연장부(40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연장부(403a)는 상기 메인 힌지 커버(403)의 일측에서 상기 어퍼 힌지(401)의 회전축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연결 케이블(607)이 통과되는 커버 홀(403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연장부(505a)는 상기 메인 연장부(403a)의 상방에 포개어 질 수 있도록 연장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 케이블(607)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연장부(505a)는 상기 메인 연장부(403a)의 상면을 차폐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의 회동시 상기 메인 연장부(403a)의 상방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 케이블(607)은 상기 서브 어퍼 힌지(501)의 힌지축(501a)을 통과하여 상기 힌지 장착부(541)로 안내되며, 상기 서브 힌지 커버(505)의 서브 연장부(505a)를 지나 상기 커버 홀(403b)을 통과하게 되며, 상기 메인 힌지 커버(403)의 메인 연장부(403a)을 통해 상기 캐비닛(10) 측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연결 케이블(607)은 상기 도킹 피시비(604)에서 상기 캐비닛(10)까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 및 메인 도어(40)의 회동시에도 외부로 노출되거나 간섭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는 도어의 상부 또는 하부의 공간에 베리어에 의해 단열재가 형성되는 공간과 피시비가 형성되는 공간으로 구획되어, 발포 후 피시비를 도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의 도어(50)는 아웃 케이스(51)에 의해 전면 외관이 형성되며, 도어 라이너(56)에 의해 배면의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51)와 도어 라이너(56)의 중앙부 대부분의 면적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케이스(51)와 도어 라이너(56) 사이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되어 고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터치 입력 및 디스플레이(62)를 통한 영상의 출력 또한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5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기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4)와 상기 도어(50)의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캡데코(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에는 단열재가 구비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고정하고 상기 도어(50)의 둘레가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캡데코(54)에는 데코 개구(542)가 형성되며, 상기 데코 개구(542)의 내측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장 부품들과 연결된 플랫 케이블 형태의 상기 케이블들(601,605,606)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 개구(542)는 상기 데코 커버(543)에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들(601,605,606)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에 밀착되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데코 커버(543)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피시비 장착부(545)가 형성되며, 상기 피시비 장착부(545)에는 상기 피시비들(602,603,60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은 상기 다수의 케이블들(601,605,606)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와 케이블들(601,605,606)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데코 커버(543)가 상기 데코 개구(542)를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은 상기 도어(50) 내부의 전장 부품 전체를 컨트롤하기 위한 것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장 부품은 물론, 상기 도어 라이트(57) 또한 상기 피시비들(602,603,604)과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은 터치 피시비(603)와 티콘 보드(602) 그리고 도킹 피시비(60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피시비(603)는 상기 터치 센서(612)와 터치 케이블(601)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티콘 보드(602)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소스 보드(621)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케이블(605)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도킹 피시비(604)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킹 피시비(604)는 상기 터치 피시비(603) 또는 티콘 보드(6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킹 피시비(604)에는 연결 케이블(607)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케이블(607)은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힌지 장착부(541)를 관통하여 외측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케이블(607)은 어퍼 힌지를 경유하여 상기 캐비닛(10)으로 연장되며,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피시비(142)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에는 이너 프레임(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플레이트 개구(511)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 둘레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프론트 패널(61) 둘레를 배면에서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사각형의 틀 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면테이프나 접착제와 같은 접착부재(693)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 둘레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외측으로 돌출된 프론트 돌출부(613)의 배면과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의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과 단차지지 않은 상태로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베리어(520e)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520e)는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되며,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상단에서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하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520e)는 상기 도어(50)의 상부를 좌우 양측에 단열재(531)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액이 충진되는 공간과 한쌍의 상기 베리어(520e) 사이에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구획하게 된다.
따라서, 한쌍의 상기 베리어(520e) 사이의 공간은 상기 피시비들(602,603,604)가 수용될 수 있게 되며, 상기 베리어(520e)에 의해 구획되어 발포액이 충전되지 않아 상기 단열재(531)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상기 베리어(520e) 사이의 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데코 개구(5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은 상기 데코 개구(542)를 통해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케이블(601,605,606)과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한쌍의 상기 베리어(520e) 사이의 공간에는 피시비 단열재(53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단열재(533)는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의 장착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단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시비 단열재(533)는 상기 도어(50) 내부에 발포 형성되는 상기 단열재(531)의 성형 이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재(531)의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단열재(533)는 두께가 얇게 형성되면서도 충분한 단열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단열 성능이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진공단열재 또는 스티로폼(PSP)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시비 단열재(533)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피시비 장착부(545)의 전면에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피시비들(602,603,604)는 상기 도어(50)의 하부 공간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때에는 상기 로어 캡데코(55)에 상기 데코 개구(542)와 데코 커버(543)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장착 위치만 상방에서 하방으로 바뀐 것일 뿐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는 서브 도어 내부의 도킹 피시비와 티콘 보드의 연결 케이블들이 모두 서브 도어의 힌지 홀을 통해서 본체 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임을 미리 밝혀 둔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4는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에는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메인 힌지(401)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힌지(401)에는 힌지 축(40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축(401a)은 상기 도어(20)의 상면에 형성된 힌지 홀(200a,400a)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양측의 한쌍의 도어(20) 중 일측의 도어(도 33에서 우측의 도어)는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냉장고의 형태에 따라서 도어는 좌우 양측에 한쌍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로 이루어진 하나의 도어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에도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는 상기 메인 도어(40)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서브 도어(50)는 서브 힌지(501)에 의해 상기 메인 도어(4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힌지(401)의 힌지 축(401a)은 상기 메인 도어(40) 상단의 힌지 홀(400a)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서브 힌지(501)의 회전 축(501a)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힌지 홀(541a)을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각각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힌지(401)의 힌지 축과 서브 힌지(501)의 힌지 축은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단면이 "C"자 형상으로 벤딩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전선이 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와 도어 라이트(57)가 구비되며, 이들과 연결되는 케이블들이 상기 서브 힌지(501)의 힌지 축(501a) 및 힌지 홀(541a)을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10) 상면의 디스플레이 피시비(142)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케이블들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을 지지하는 힌지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힌지 축(401a,501a)과 힌지 홀(200a,400a,541a)들은 메인 도어(40) 및 서브 도어(50)의 두께에 따라 그 크기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상세히, 상기 도어(20) 중 우측의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40)는 도어(2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어(20) 및 메인 도어(40)의 회동을 위한 힌지 축(401a) 및 힌지 홀(200a, 400a)의 내경(D1,D2)은 소정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20)의 힌지 홀(400a)의 내경(D1)과 상기 메인 도어(40)의 힌지 홀(400a)의 내경(D2)은 동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메인 도어(40)의 두께가 상기 도어(20)의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되므로 상기 메인 도어(40)의 힌지 홀(400a)의 내경(D2)이 상기 도어(20)의 힌지 홀(541a)의 내경(D1)보다 다소 작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힌지 홀(200a,400a)을 통해서 아이스 메이커, 디스펜서, 표시장치 또는 각종 센서와 히터 등 전장 부품을 연결하는 전선들이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힌지(401)를 통해 상기 캐비닛(10) 상면의 메인 피시비(141)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 힌지(401)는 상기 힌지 커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선이 내부에 수용되어 노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와 비교할 때 그 두께가 현저하게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도어(20)의 전체 두께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별도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지는 않고 상기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수납 공간을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므로 상대적으로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상기 서브 힌지(501)가 장착되는 힌지 홀(541a)의 내경(D3) 및 상기 힌지 홀(541a)에 장착되는 상기 힌지 축(501a)의 내경은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구조적 한계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힌지 축(501a) 및 상기 힌지 축(501a)이 삽입되는 힌지 홀(541a)의 내경(D3)은 필연적으로 상기 메인 도어(40)의 힌지 축(401a) 및 힌지 홀(541a)의 내경(D2)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질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142)와, 상기 디스플레이(142)의 동작을 위한 티콘 보드(602)가 구비되고, 터치 센서(612)와 상기 터치 센서(612)의 동작을 위한 터치 피시비(603) 또 구비되며, 상기 터치 피시비(603) 와 디스플레이 라이트(68) 및 도어 라이트(57)와 연결되는 도킹 피시비(60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들 다수의 피시비들(602,603,604)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피시비들(602,603,604)이 배치된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 공간은 힌지 홀(501a)과 연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티콘 보드(602) 및 도킹 피시비(604)과 연결되는 케이블들(607b,607c,607d)은 상기 힌지 홀(541a) 및 상기 힌지 축(501a)을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10)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 홀(541a) 또는 상기 힌지 축(501a)의 내경(D3)은 제한적이므로 상기 다수의 전장부품들과 연결되는 케이블들이 모두 상기 힌지 홀(541a)을 개별적으로 통과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142)와 디스플레이 라이트(68) 및 터치 센서(612)와 연결되는 케이블들은 플랫 타입의 케이블로서 이러한 케이블들은 상기 힌지 홀(541a)을 통과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킹 피시비(604)를 통해서 플랫 타입의 케이블들은 와이어 타입의 케이블로 변환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홀(541a)의 통과가 가능한 적합한 배치를 가지도록 재 정렬되어 상기 힌지 홀(541a)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 피시비(1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142)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구동을 위한 최소한의 구성인 상기 터치 피시비(603)와 티콘 보드(602) 및 도킹 피시비(604)로 구성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구성들은 상기 캐비닛(10)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도어(50)의 구성들의 전체적인 제어를 위한 디스플레이 피시비(142)와 전원과 관련된 아답터 등 부피가 큰 구성들은 상기 캐비닛(10) 측으로 배치하여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의 피시비들(602,603,604)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에는 상기 메인 피시비(141)와 상기 메인 피시비(141)와 연결되는 스피커(146), 카메라(145) 및 통신모듈(147)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 내부에 배치되는 피시비들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부에 구비되는 피시비들(602,603,604)은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들(602,603,604)은 협소한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 공간 내부에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다수개로 나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피시비들(602,603,60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오버랩되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다수의 피시비들(602,603,604)은 상기 디스플레이(142), 터치 센서(612), 도어 라이트(57) 및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의 연결에 있어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협소한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에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다수의 피시비들(602,603,604)은 상기 티콘 보드(602)와 터치 피시비(603) 및 도킹 피시비(6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킹 피시비(604)를 제외한 상기 티콘 보드(602)와 터치 피시비(603)는 하나의 피시비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둘 이상의 피시비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티콘 보드(602)에는 디스플레이 커넥터(602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커넥터(602a)에는 플랫 케이블 형태의 디스플레이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넥터(602a)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티콘 보드(602)에는 티콘 출력 커넥터(602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티콘 출력 커넥터(602c)는 와이어 타입의 티콘 연결 케이블(607b)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굵기가 가는 다수의 케이블들로 이루어져 다수의 가닥의 케이블들이 결속되었을 때 최소의 부피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힌지 홀(541a) 및 힌지 축(501a)의 통과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피시비(603)에는 상기 터치 커넥터(603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커넥터(603a)에는 플랫 케이블 형태의 터치 케이블(601)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피시비(603)와 상기 도킹 피시비(604)에는 피시비 커넥터(604d)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커넥터(604d)에는 피시비 케이블(608)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 케이블(608)에 의해서 상기 터치 피시비(603)는 상기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킹 피시비(604)에는 도어 라이트 커넥터(604b)와 디스플레이 라이트 커넥터(60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 커넥터(604b)에는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연결되는 도어 라이트 케이블(609)이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커넥터(604a)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이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도어 라이트(57)는 각각 2개씩 형성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과 도어 라이트 케이블(609) 또한 각각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킹 피시비(604)로 입력되는 커넥터들은 피시비 커넥터(604d)와, 2개의 디스플레이 라이트 커넥터(604a), 그리고 2개의 도어 라이트 커넥터(604b)로 모두 5개로 구성되며, 5개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입력되는 케이블 또는 커넥터의 수는 더 많거나 적을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케이블들과 커넥터들은 간편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는 터미널 구조로 되어 있어 조립 및 연결 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있다.
그리고, 상기 도킹 피시비(604)에는 제 1 연결 커넥터(604e)와 제 2 연결 커넥터(604f)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커넥터(604e)와 제 2 연결 커넥터(604f)에는 각각 와이어 타입의 케이블로 형성된 제 1 연결 케이블(607c)과 제 2 연결 케이블(607d)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케이블(607c)과 제 2 연결 케이블(607d)은 상기 피시비 케이블(608)의 신호의 전달 또는 전원의 전달을 위한 것으로, 상기 힌지 홀(541a) 및 힌지 축(501a)을 통과하여 상기 도킹 피시비(604)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142)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피시비 케이블(608)과, 2개의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606), 2개의 도어 라이트 케이블(609)들이 상기 도킹 피시비(604)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도킹 피시비(604)에서는 이를 재배치하여 상기 제 1 연결 케이블(607c)과 제 2 연결 케이블(607d)로 출력되어 상기 캐비닛(10)에 위치된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142)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도킹 피시비(604)는 5 입력(in)-2 출력(out)의 형태로 물리적으로 입력되는 케이블의 수 대비 출력되는 케이블의 수를 줄였을 뿐만 아니라, 플렛 타입의 케이블들을 와이어 타입의 케이블들로 변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연결 케이블(607c)과 제 2 연결 케이블(607d)로의 재배열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일 례로, 상기 제 1 연결 케이블(607c)과 제 2 연결 케이블(607d)은 다수의 입력되는 케이블들(605,606,608,609)을 종류별로 재분배하여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상기 제 1 연결 케이블(607c)은 전원과 관련된 케이블로 상기 터치 피시비(603)와 디스플레이 라이트(68), 도어 라이트(57)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케이블들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 2 연결 케이블(607d)은 신호 및 처리와 관련된 케이블로 상기 터치 피시비(603)와 디스플레이 라이트(68), 도어 라이트(57)와의 신호 전달 및 처리를 위한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도킹 피시비(604)에서는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되는 다수의 구성의 케이블을 전원과 신호관련 케이블로 재배열한 후 고전압의 제 1 연결 케이블(607c)과 저전압 제 2 연결 케이블(607d)의 두가지 케이블로 출력하여 출력되는 케이블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연결 케이블(607c)과 제 2 연결 케이블(607d)은 다수의 입력되는 케이블들을 전압에 따라 재분배하여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상기 제 1 연결 케이블(607c)은 고전압을 전송하는 케이블로 고전압이 요구되는 구성과 연결되어 고전압을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들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 2 연결 케이블(607d)은 상대적으로 저전압을 전송하는 케이블로 저전압이 요구되는 구성과 연결되어 저전압을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도킹 피시비(604)에서는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되는 다수의 구성의 케이블을 전압의 차이에 따라 재배열한 후 고전압의 제 1 연결 케이블(607c)과 저전압 제 2 연결 케이블(607d)의 두가지 케이블로 출력하여 출력되는 케이블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연결 케이블(607c)과 제 2 연결 케이블(607d)은 다수의 입력되는 케이블들을 기능에 따라 재분배하여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상기 제 1 연결 케이블(607c)은 상기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어야 하는 터치 피시비(603)와 연결되는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를 것이다. 그리고, 제 2 연결 케이블(607d)은 동작 신호에 따라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도어 라이트(57)와 연결되는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도킹 피시비(604)에서는 도킹 피시비(604)와 연결되는 다수의 구성의 케이블들 중 상시 전원이 필요한 구성과 그렇지 않은 구성으로 기능별로 나누어 재배열한 후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제 1 연결 케이블(607c)과 동작시 전원이 공급되는 제 2 연결 케이블(607d)로 출력하여 출력되는 케이블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연결 케이블(607c)과 제 2 연결 케이블(607d)은 와이어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굵기가 가는 다수의 케이블들로 이루어져 다수의 가닥의 케이블들이 결속되었을 때 최소의 부피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힌지 홀(541a) 및 힌지 축(501a)의 통과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상기 티콘 출력 커넥터(602c)에 연결된 상기 티콘 연결 케이블(607b)과, 상기 제 1 연결 커넥터(604e) 및 제 2 연결 커넥터(604f)에 연결된 제 1 연결 케이블(607c) 및 제 2 연결 케이블(607d)들은 모두 상기 서브 도어(50)의 힌지 홀(541a) 및 서브 힌지(501)의 힌지 축(501a)을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10)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도 36은 상기 서브 도어 내측의 피시비들과 케이블의 연결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7은 상기 상기 서브 도어 외측의 전선 배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4)에는 데코 개구(542)가 형성되며, 상기 데코 개구(542)를 차폐하는 데코 커버(543)에는 상기 터치 피시비(603)와 티콘 보드(602) 및 도킹 피시비(604)가 장착되어 상기 데코 개구(542)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일측에는 상기 서브 힌지(501)가 장착되는 힌지 홀(54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홀(541a)은 상기 데코 개구(542)의 내측 공간과 연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티콘 보드(602)에 연결된 티콘 연결 케이블(607b)과 상기 도킹 피시비(604)의 제 1 연결 케이블(607c) 및 제 2 연결 케이블(607d)이 상기 힌지 홀(541a)을 통해 출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티콘 연결 케이블(607b)과 제 1 연결 케이블(607c) 및 제 2 연결 케이블(607d)은 수축 튜브 또는 별도의 결속용 필름 또는 테이프 등과 같은 결속부재(607a)에 의해 하나의 와이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힌지 홀(541a) 및 힌지 축(501a)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607a)는 적어도 상기 힌지 홀(541a) 및 상기 힌지 축(501a)을 통과하는 구간에는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힌지 홀(541a) 및 힌지 축(501a)을 용이하게 통과함은 물론 상기 서브 도어(50)의 반복적인 개폐 조작에서도 상기 케이블들(607b,607c,607d)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힌지 홀(541a) 및 상기 힌지 축(501a)을 통과한 케이블들(607b,607c,607d)은 도 37에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힌지 축(501a)을 통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힌지(501)를 차폐하는 상기 서브 힌지 커버(505)를 지나서 상기 메인 힌지 커버(403)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들(607b,607c,607d)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연통되는 서브 연장부(505a)와 메인 연장부(403a)를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10)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동 조작에도 상기 케이블들(607b,607c,607d)이 간섭되거나 손상되지 않고 상기 캐비닛(10)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142)와의 연결이 가능하게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의해 도어의 전면 전체가 형성되는 도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의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메인 도어(70)와, 상기 메인 도어(70)의 개구부(703)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70)에는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개구부(703)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703)의 내측에는 별도의 수납 공간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의 개폐를 통해 수납 공간으로의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70)는 금속 소재의 아웃 플레이트(71)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71)와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72)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71)와 도어 라이너(72)의 상하단에 구비되는 도어 캡데코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72)의 내측면에는 상기 개구부(703)의 내측을 밝히기 위한 도어 라이팅 유닛(7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74)은 개구부(703)의 좌우 양측면 또는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80)를 투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거나 서브 도어(80)에 장착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의 백라이트 기능을 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가시화시킬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71)와 상기 도어 라이너(72)의 사이에는 도어 프레임(4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73)은 각각 상기 아웃 플레이트(71)와 도어 라이너(72) 사이에서 결합되며, 상기 개구부(703)의 둘레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73)의 일측에는 상기 서브 도어(80)의 장착을 위한 서브 힌지(81,82)가 장착되는 힌지 홀(733)이 개구된다. 상기 힌지 홀(733)은 상기 서브 도어(80)의 측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개구되며 상기 서브 힌지(81,82)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피시비(88)에 연결된 연결 케이블(884)이 출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서브 도어(80)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서브 힌지(81,82)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힌지(81,82)는 상기 힌지 홀(733)을 향하여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도어(70)의 내측에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힌지(81,82)는 상기 메인 도어(70)와의 사이 간격이 매우 좁은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서브 도어(80)의 회동시 메인 도어(7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방의 서브 힌지(81)의 상방에는 상기 서브 힌지(81)를 차폐하고 상기 연결 케이블(884)의 출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힌지 커버(8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80)는 상기 개구부(703)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80)는 내부의 투시 및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와, 상기 서브 도어(80)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83,84), 상기 서브 도어(80)의 배면 둘레를 형성하는 서브 도어 라이너(85), 상기 서브 도어 라이너(85)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도어(70)와의 사이를 기밀하는 서브 도어 가스켓(851)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8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86) 및 로어 캡데코(8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는 유리 소재의 프론트 패널(91)과 리어 패널(97)에 의해 전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서브 도어(80)의 전면과 배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91)과 리어 패널(97) 사이에 화면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94)와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센서(9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의 전장 부품들과 연결된 플랫 케이블 형상의 케이블들(921,942,961)이 배치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도어 피시비(88)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도어 피시비(88)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 내부의 전장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블들(921,942,961)과 연결 가능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힌지(81)측으로 유입되는 와이어 케이블 타입의 연결 케이블(884)과도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피시비(88)는 다수의 플랫 케이블 형상의 케이블들(921,942,961)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와이어 케이블 형상의 연결 케이블(884)을 통해 전환시켜 상기 서브 도어(80) 외측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피시비(88)는 상기 서브 도어(80)의 내부 공간의 크기에 따라서 다수개가 분리되어 배치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피시비 형태로 통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 피시비(88)는 다수개가 구비되는 경우 가로 또는 세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서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블들(921,942,961)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어퍼 캡데코(86) 상에 데코 개구(861)가 형성되며, 상기 데코 개구(861)의 내측에 상기 도어 피시비(88)가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 개구(861)는 상기 도어 피시비(88)가 장착된 상태에서 데코 커버(862)에 의해 차폐될 수도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는 상기 서브 도어(80)의 투시부를 형성하며, 상기 서브 도어(80)의 전면 및 배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를 통해서 상기 개구부(703)의 내측 수납 공간을 투시하거나 출력되는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91)와 상기 프론트 패널(91)의 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94), 그리고 디스플레이(94)의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94)를 밝히기 위한 PDLC필름(96)이 부착된 리어 패널(97)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91)과 디스플레이(94) 및 리어 패널(97)를 고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프레임(9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프론트 패널(91)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의 가장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서브 도어(80)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프론트 패널(91)는 청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91)의 배면 둘레에는 베젤(911)이 인쇄 형성된다. 상기 베젤(911)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91) 후방의 간봉(93,95) 또는 도어 피시비(88)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베젤(911)의 폭은 상기 도어 피시비(88)의 장착 위치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피시비(911)가 위치되는 쪽의 단부의 베젤(88)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 피시비(911)를 완전히 가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91) 배면에는 인쇄 또는 필름 타입의 터치 센서(92)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상기 프론트 패널(91)의 터치 조작시 이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센서(92)의 일측에는 플렉서블한 플랫 케이블 형태의 터치 케이블(921)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92)이 부착된 상기 프론트 패널(91)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94)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94)와 프론트 패널(91)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간봉(9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간봉(93)은 상기 디스플레이(9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간봉(93)은 상기 디스플레이(94)와 프론트 패널(91) 사이에 접착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91)과 상기 디스플레이(94)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9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94)는 투명 엘시디(LCD)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94)가 화면 출력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유리와 같이 투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94)의 일측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94)의 컨트롤을 위한 소스 보드(941)가 장착되며, 상기 소스 보드(941)에는 플렉서블한 플랫 케이블 형태의 디스플레이 케이블(94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97)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 라이너(72)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97)은 단열을 위해 로이유리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리어 패널(97)의 전면에는 상기 PDLC필름(96)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PDLC필름(96)은 전원의 인가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PDLC필름(96)의 상태에 따라서 고내를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DLC필름(96)의 일측에는 플렉서블한 플랫 케이블 형태의 PDLC 케이블(961)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97)과 상기 디스플레이(94) 사이에는 제 1 간봉(93)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제 2 간봉(95)이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94)와 리어 패널(97)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98)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98)은 상기 프론트 패널(91)과 리어 패널(97)가 설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는 조립된 완료된 상태에서 서브 도어(8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랫한 형태의 케이블들(921,942,961)은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98)과 프론트 패널(91) 또는 리어 패널(97) 사이의 접착면 사이로 외부로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98)의 외측면에는 실런트가 도포되어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기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94)가 화면을 출력하지 않고 상기 PDLC필름(96)이 투명하게 된 상태에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가 투명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74)이 점등될 경우 상기 개구부(703) 내부의 공간을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PDLC필름(96)이 불투명하게 된 상태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가 불투명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74)가 소등되면 고내측이 더 어둡게 되어 상기 개구부(703) 내부 공간을 투시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94)가 구동되어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74)이 점등되고, 상기 PDLC필름(96)이 투명하게 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94)를 밝히는 백라이트 기능을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94)가 보다 선명하게 보이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신호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80)에 배치되는 도어 피시비(88)의 일측에는 플랫한 형태의 터치 케이블(821)과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942) 및 PDLC 케이블(961)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피시비(88)의 다른 일측에는 와이어 형태의 연결 케이블(884)이 상기 어퍼 힌지(81) 및 힌지 홀(733)을 통해 상기 메인 도어(70)로 안내되고, 상기 메인 도어(70)를 지나 상기 캐비닛(10) 상의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케이블(884)은 부피가 작고 내구성이 좋아 상기 서브 도어(80) 및 메인 도어(70)를 통과하여 배치하기가 용이하며, 상기 메인 도어(70) 및 서브 도어(80)의 반복적인 개폐에도 손상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70)에 장착되는 도어 라이팅 유닛(74) 또한 상기 메인 도어(70)를 지나 상기 캐비닛(10) 상의 디스플레이 피시비(1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14)는 상기 터치 센서(9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74)의 점등과 소등 및 상기 디스플레이(94)의 영상 출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어 피시비(88)가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도어 피시비(88)는 서브 도어(80)의 하단 또는 양측단 등 도어 피시비(88)의 수용이 가능하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를 통해서 노출되지 않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0)의 외측에 위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Claims (29)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플레이트 개구가 형성되는 아웃 플레이트;
    상기 도어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며, 라이너 개구가 형성되는 도어 라이너;
    상기 도어 라이너와 아웃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 개구 및 라이너 개구를 차폐하며, 상기 수납공간의 투시 및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측방향에 구비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장 부품의 구동을 위한 피시비;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의 디스플레이 피시비;
    상기 전장 부품과 상기 피시비를 연결하며, 플렉서블하고 플랫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둘레를 따라 상기 피시비를 향하여 연장되는 케이블; 및
    상기 피시비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를 연결하며, 와이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를 관통하는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전장 부품에 전원 공급을 위한 아답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상기 다수의 케이블의 수보다 더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상기 도어의 회동을 위한 힌지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 부품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 그리고 디스플레이 후방의 도광판을 밝히기 위한 디스플레이 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좌우 양측단 중 일측단에 소스 피시비가 구비되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내측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소스 피시비와 상기 피시비를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블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벤딩되어 연장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터치 센서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외측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피시비에 연결되는 터치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마주보는 양측단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라이트와 상기 피시비를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 케이블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면 또는 배면을 형성하는 패널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 부품은,
    상기 도어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 후방의 공간을 밝히는 도어 라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는,
    상기 터치 센서와 상기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터치 피시비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티콘 보드와;
    상기 터치 피시비와 티콘 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 케이블과 연결되는 도킹 피시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피시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연장된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는 상기 케이블의 연장된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피시비를 상기 도어 내측에 장착하는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상기 케이블의 연장된 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피시비에 상기 케이블을 접속시키는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케이블이 노출되며, 상기 피시비가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도어의 둘레에 제공되는 단열재는 상기 개구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사이의 공간을 제외한 공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도어의 상면 또는 하면을 형성하는 캡 데코 상에 형성되며,
    상기 캡 데코에는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데코 커버가 더 구비되며,
    상기 데코 커버에는 상기 피시비가 장착되는 피시비 장착부가 상기 개구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좌우 양측방의 도어 라이너 상에 형성되며,
    상기 피시비는 상기 도어의 측방을 따라 상하로 다수개가 연속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상기 도어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의 배면에 개구되는 전선 홀을 관통하여 도어 외측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상기 도어의 회동을 위해 상기 도어의 상단에 장착되는 힌지의 힌지축을 관통하여 도어 외측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배면 둘레를 형성하며, 고내와 연통되도록 중앙이 개구된 라이너 개구가 형성되는 도어 라이너;
    상기 라이너 개구를 차폐하며, 상기 도어 후방 공간의 투시 및 화면의 출력이 가능하며, 상기 도어의 전면 전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기 도어의 둘레면에 형성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단부와 연통되는 개구;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커버;
    상기 개구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장 부품의 구동을 위한 피시비;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가의 디스플레이 피시비;
    상기 개구의 내측에서 전장 부품과 상기 피시비를 연결하며, 플렉서블하고 플랫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둘레를 따라 상기 피시비를 향하여 연장되는 케이블; 및
    상기 피시비와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를 연결하며, 와이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를 관통하는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는 냉장고.
  21. 제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제 1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개구된 제 2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가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메인 힌지;
    상기 메인 도어의 전방에서 상기 제 2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제 2 저장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의 개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저장공간의 투시 및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기 서브 도어가 상기 메인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며, 상기 메인 힌지의 힌지 축 보다 더 작은 내경의 힌지 축을 가지는 서브 힌지;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방의 상기 서브 도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서브 도어 내부의 전장 부품과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와 연결시키는 연결 케이블이 연결되는 도킹 피시비를 포함하며,
    상기 도킹 피시비는 입력되는 상기 케이블을 재배열하여 출력되는 상기 연결 케이블이 상기 서브 힌지의 힌지 축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피시비는 플랫 타입의 상기 케이블을 와이어 타입의 상기 연결 케이블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둘레면을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 상단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피시비는 입력되는 상기 케이블의 수보다 출력되는 상기 연결 케이블의 수가 더 작게 변환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 1 연결 케이블과;
    신호 및 처리를 위한 제 2 연결 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고전압의 공급을 위한 전장부품과 연결되는 제 1 연결 케이블과;
    저전압의 공급을 위한 전장부품과 연결되는 제 2 연결 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제 1 연결 케이블과;
    동작 신호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연결 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의 상단에는 상기 서브 힌지 축이 삽입되는 힌지 홀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 홀은 상기 도킹 피시비가 장착되는 상기 서브도어의 상부 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다수개가 하나 와이어 형태로 상기 서브 힌지의 힌지축을 통과할 수 있도록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70028004A 2016-11-29 2017-03-04 냉장고 KR102345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202681.7A EP3327386A1 (en) 2016-11-29 2017-11-21 Refrigerator
US15/818,966 US10378815B2 (en) 2016-11-29 2017-11-21 Refrigerator
US16/458,396 US11168937B2 (en) 2016-11-29 2019-07-01 Refrigerator
KR1020210186573A KR102525036B1 (ko) 2016-11-29 2021-12-23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178 2016-11-29
KR20160160178 2016-11-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573A Division KR102525036B1 (ko) 2016-11-29 2021-12-23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888A true KR20180060888A (ko) 2018-06-07
KR102345097B1 KR102345097B1 (ko) 2021-12-31

Family

ID=6224162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004A KR102345097B1 (ko) 2016-11-29 2017-03-04 냉장고
KR1020230051265A KR102650071B1 (ko) 2016-11-29 2023-04-19 냉장고
KR1020240037148A KR20240043731A (ko) 2016-11-29 2024-03-18 냉장고
KR1020240037139A KR20240041892A (ko) 2016-11-29 2024-03-18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1265A KR102650071B1 (ko) 2016-11-29 2023-04-19 냉장고
KR1020240037148A KR20240043731A (ko) 2016-11-29 2024-03-18 냉장고
KR1020240037139A KR20240041892A (ko) 2016-11-29 2024-03-18 냉장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112171B2 (ko)
EP (1) EP3486587B1 (ko)
KR (4) KR102345097B1 (ko)
CN (1) CN109923358B (ko)
AU (1) AU2017366946B2 (ko)
WO (1) WO20181017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345A1 (ko) * 2019-11-28 202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644A (ko) 2017-01-23 2018-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투명 패널 어셈블리
US10785922B2 (en) * 2017-05-11 2020-09-29 Grobo Inc. Planter apparatus
USD915474S1 (en) * 2019-01-25 2021-04-0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D924278S1 (en) * 2019-03-14 2021-07-0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D931346S1 (en) * 2019-03-14 2021-09-21 Lg Electronics Inc. Wall-mounted refrigerator
USD921704S1 (en) * 2019-04-11 2021-06-08 Lg Electronics Inc. Door-mounted refrigerator
USD922455S1 (en) * 2019-04-11 2021-06-15 Lg Electronics Inc. Door-mounted refrigerator
USD919677S1 (en) * 2019-04-11 2021-05-18 Lg Electronics Inc. Door mounted refrigerator
USD921705S1 (en) * 2019-04-11 2021-06-08 Lg Electronics Inc. Wall-mounted refrigerator
USD921706S1 (en) * 2019-04-11 2021-06-08 Lg Electronics Inc. Door-mounted refrigerator
USD921708S1 (en) * 2019-04-11 2021-06-08 Lg Electronics Inc. Door-mounted refrigerator
USD921709S1 (en) * 2019-04-11 2021-06-08 Lg Electronics Inc. Wall-mounted refrigerator
USD928206S1 (en) * 2019-04-11 2021-08-17 Lg Electronics Inc. Door-mounted refrigerator
USD921707S1 (en) * 2019-04-11 2021-06-08 Lg Electronics Inc. Wall-mounted refrigerator
USD921714S1 (en) * 2019-08-08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D934312S1 (en) * 2019-08-14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JP1731461S (ja) * 2019-10-02 2022-12-06 冷蔵庫及び配送物収納ボックス付ドア
JP1716286S (ja) * 2019-10-02 2022-05-31 冷蔵庫及び配送物収納ボックス付ドア
JP1720838S (ja) * 2019-10-02 2022-07-27 冷蔵庫及び配送物収納ボックス付扉
JP1716287S (ja) * 2019-10-02 2022-05-31 冷蔵庫及び配送物収納ボックス付ドア
USD947256S1 (en) * 2019-10-02 2022-03-29 Lg Electronics Inc. Door for entryway with refrigerator and delivery storage box
USD951311S1 (en) * 2019-10-02 2022-05-10 Lg Electronics Inc. Door with refrigerator and delivery storage box
USD952905S1 (en) * 2019-10-02 2022-05-24 Lg Electronics Inc. Door for entryway with refrigerator and delivery storage box
JP1723621S (ja) * 2019-10-02 2022-08-30 冷蔵庫及び配送物収納ボックス付ドア
JP1723623S (ja) * 2019-10-02 2022-08-30 冷蔵庫及び配送物収納ボックス付扉
USD943646S1 (en) * 2019-10-02 2022-02-15 Lg Electronics Inc. Panel for doorway
USD963006S1 (en) * 2019-11-21 2022-09-06 Lg Electronics Inc. Door with refrigerator and delivery storage box
USD963003S1 (en) * 2019-11-21 2022-09-06 Lg Electronics Inc. Door with refrigerator and delivery storage box
KR20210125376A (ko) 2020-04-08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7488686B2 (ja) * 2020-04-27 2024-05-2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US11598574B2 (en) 2021-03-19 2023-03-0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ppliance door including a wireless module
WO2023007459A2 (en) * 2021-07-29 2023-02-02 Havasi Laszlo Rajmund Modular smart refrigerator apparatus
US20230180948A1 (en) * 2021-12-09 2023-06-15 Anthony, Inc. Display case door with sealed glass unit and electronic display
US11665788B1 (en) 2022-06-30 2023-05-3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Transparent display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447A (ko) * 2003-07-31 2005-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힌지부 연결용 와이어
WO2014019281A1 (zh) * 2012-08-03 2014-02-06 海信容声(广东)冷柜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冷柜的中空玻璃门
US20150335174A1 (en) * 2011-05-10 2015-11-26 Anthony, Inc. Display case door with transparent lcd panel
KR20160045545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68921B1 (ko) *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3482A (en) * 1978-01-16 1980-09-23 Barroero Louis F Refrigerator door structure
US4671582A (en) * 1985-11-08 1987-06-09 Anthony's Manufacturing Company, Inc. Combined, plug-in hinge pin and double-ended electrical connector for a hinged appliance door, with mating receptacle and connectors
US5910083A (en) * 1990-09-20 1999-06-08 New Anthony, Inc. Integral spacer for door rail
US5363611A (en) * 1990-09-20 1994-11-15 Anthony's Manufacturing Company, Inc. Foam rail door
WO2003004950A1 (en) * 2001-07-06 2003-01-16 Hussmann Corporation Frosting cooler
US7322209B2 (en) * 2004-03-30 2008-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060000340A (ko) 2004-06-28 200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MXPA06002373A (es) 2005-03-02 2006-09-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dor.
KR20100039559A (ko) * 2008-10-08 2010-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115239B1 (ko) * 2009-01-08 201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각 장치
KR20110028124A (ko) 2009-09-11 201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EP2531789B1 (en) * 2010-02-01 2020-05-1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13327B1 (ko) * 2010-07-14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43337B1 (ko) * 2010-10-28 2018-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081617B1 (ko) * 2011-03-14 2011-11-09 (주)티원시스템즈 입체감을 갖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쇼 케이스 냉장고.
US8683745B2 (en) * 2011-05-10 2014-04-01 Anthony, Inc. Refrigerated display case door with transparent LCD panel
CN102278856B (zh) * 2011-09-06 2013-04-17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的门体及具有其的冰箱
KR101986218B1 (ko) * 2012-08-02 2019-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728196B1 (ko) * 2013-04-26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954749B1 (ko) * 2014-04-01 201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9842551B2 (en) 2014-06-10 2017-12-12 Apple Inc. Display driver circuitry with balanced stress
KR101677334B1 (ko) 2014-10-24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KR20160095374A (ko) * 2015-02-03 2016-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갖는 쿨러
KR102330350B1 (ko) 2015-04-27 2021-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58456B1 (ko) * 2015-08-31 2019-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102470037B1 (ko) * 2015-09-01 2022-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70026991A (ko) * 2015-09-01 201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399724B1 (ko) * 2015-09-24 2022-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그를 가지는 도어 및 냉장고
KR20180024352A (ko) * 2016-08-29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327386A1 (en) * 2016-11-29 2018-05-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601889B1 (ko) * 2016-12-12 2023-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73092B1 (ko) * 2016-12-12 202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01892B1 (ko) * 2017-01-02 2023-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4085799A1 (en) * 2017-03-24 2022-11-0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447A (ko) * 2003-07-31 2005-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힌지부 연결용 와이어
US20150335174A1 (en) * 2011-05-10 2015-11-26 Anthony, Inc. Display case door with transparent lcd panel
WO2014019281A1 (zh) * 2012-08-03 2014-02-06 海信容声(广东)冷柜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冷柜的中空玻璃门
KR20160045545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68921B1 (ko) *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345A1 (ko) * 2019-11-28 202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097B1 (ko) 2021-12-31
US11112171B2 (en) 2021-09-07
AU2017366946A1 (en) 2019-01-24
EP3486587A4 (en) 2020-03-25
EP3486587B1 (en) 2021-11-03
CN109923358A (zh) 2019-06-21
CN109923358B (zh) 2021-06-22
KR20230061304A (ko) 2023-05-08
US20190323768A1 (en) 2019-10-24
WO2018101750A1 (ko) 2018-06-07
KR20240041892A (ko) 2024-04-01
EP3486587A1 (en) 2019-05-22
KR20240043731A (ko) 2024-04-03
US11168937B2 (en) 2021-11-09
US20190271500A1 (en) 2019-09-05
KR102650071B1 (ko) 2024-03-21
AU2017366946B2 (en)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23358B (zh) 冰箱
EP3693689B1 (en) Refrigerator
KR102525036B1 (ko) 냉장고
US11846464B2 (en) Refrigerator
US11448458B2 (en) Refrigerator
KR20180067367A (ko) 냉장고
KR20180056870A (ko) 냉장고
KR20190066742A (ko) 냉장고
KR20210128689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