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378A -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378A
KR20180060378A KR1020160159811A KR20160159811A KR20180060378A KR 20180060378 A KR20180060378 A KR 20180060378A KR 1020160159811 A KR1020160159811 A KR 1020160159811A KR 20160159811 A KR20160159811 A KR 20160159811A KR 20180060378 A KR20180060378 A KR 20180060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knowledge model
plan information
target state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8078B1 (ko
Inventor
김재관
김래현
박면웅
이건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59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07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4Inference or reasoning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2Knowledge representation; Symbolic representation

Abstract

실시예들은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상황 인지부, 인지된 현재 상황을 기초로 현재 상황에 대응되는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목표 상태 결정부, 상기 인지된 현재 상황을 상기 목표 상태로 변화시키는 플랜 정보를 수립하는 플랜 정보 수립부, 수립된 플랜 정보를 사용자측에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련된다.

Description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및 그 방법{SITUATION BASED DYNAMIC PLAN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식 모델을 이용하여 환경을 인식하고, 목표를 설정하고, 플랜을 수립하는 동적 플래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련된다.
시스템이 설치되면, 시스템이 설치된 환경은 시스템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지능형 시스템, 특히 독자적으로 동작하는 시스템이 아니라, 환경에 기 존재하는 다른 컴퓨팅 객체들과 협업을 하는 시스템은 자신이 설치된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여, 그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수행 목표를 조절하는 기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상황 인지 및 플래닝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객체는 서버 객체의 인터페이스를 획득하고 인터페이스를 직접 호출함으로써 서버 객체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객체와 서버 객체는 강인한 연결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되는 동작 환경에 적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87563호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상황 인지를 위한 인지 센서를 관리하고, 센싱 정보와 상황 정보를 구분하며, 생성된 상황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자유로운 센서와 액추에이터의 조합을 환경에 따라 조합하고, 조합된 센서를 통해 수집된 환경 정보로부터 상황 정보를 얻기 위한 지식 모델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환경 안에 기 분포된 다양한 이기종 컴퓨팅 객체들을 활용하여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환경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목표를 변경하고, 수정된 목표에 대한 새로운 계획을 세우기 위한 시스템의 구조와 이를 위해 필요한 지식 모델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은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를 제1 지식 모델에 적용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상황 인지부, 인지된 현재 상황을 기초로 현재 상황에 대응되는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목표 상태 결정부, 상기 인지된 현재 상황을 상기 목표 상태로 변화시키는 플랜 정보를 수립하는 플랜 정보 수립부, 수립된 플랜 정보를 사용자측에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황 인지부는, 주변 환경을 센싱하여 상기 입력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위치, 온도, 소리, 각도, 위치, 중력, 지자기, 모션, 영상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황 인지부는, 서로 다른 타입의 입력 정보가 입력된 경우, 각 입력 정보를 정규화하는 정규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입력 정보로 구성된 상황 정보 또는 하나 이상의 플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표 상태 결정부는, 제2 지식 모델을 이용하여, 인지된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목표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랜 정보 수립부는, 제3 지식 모델을 이용하여 인지된 현재 상황과 상기 목표 상태에 적합한 플랜 정보를 수립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표 상태 결정부는, 사용자측에 제공한 플랜 정보, 및 사용자측에 플랜 정보를 제공한 후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초로 인지된 제2 현재 상황을 상기 제2 지식 모델에 적용하여 제2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제2 목표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랜 정보 수립부는, 사용자측에 제공한 플랜 정보, 제2 현재 상황, 및 제2 목표 상태를 제3 지식 모델에 적용하여 제2 플랜 정보를 수립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식 모델은, 제2 지식 모델 및 제3 지식 모델 보다 하위 계층의 정보를 처리하는 지식 모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방법은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 인지된 현재 상황을 기초로 현재 상황에 대응되는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인지된 현재 상황을 상기 목표 상태로 변화시키는 플랜 정보를 수립하는 단계, 수립된 플랜 정보를 사용자측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는,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단계 및 센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입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단계는, 센서를 이용해 위치, 온도, 소리, 각도, 위치, 중력, 지자기, 모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타입의 입력 정보가 입력된 경우, 각 입력 정보를 정규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2 지식 모델을 이용하여, 인지된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목표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랜 정보를 수립하는 단계는, 제3 지식 모델을 이용하여 인지된 현재 상황과 상기 목표 상태에 적합한 플랜 정보를 수립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측에 제공한 플랜 정보, 및 사용자측에 플랜 정보를 제공한 후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초로 인지된 제2 현재 상황을 상기 제2 지식 모델에 적용하여 제2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제2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측에 제공한 플랜 정보, 제2 현재 상황, 및 제2 목표 상태를 제3 지식 모델에 적용하여 제2 플랜 정보를 수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식 모델은, 제2 지식 모델 및 제3 지식 모델 보다 하위 계층의 정보를 처리하는 지식 모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동작 가능한 프로그램은 상술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고,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방법은 다양한 도메인에서 상황 변화에 따른 동적 플랜을 생성할 수 있는 협업 구조와 함께 계층화된 지식 모델을 제공한다. 외부 객체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는 시스템이 적용된 환경 안에서 기존에 존재하는 객체들을 이용하여 환경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행위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환경의 컴퓨팅 요소들을 재활용 할 수 있다.
또한 계층화된 지식 모델은 적용 도메인의 변화에 따라 변경이 요구되는 지식 부분만을 최소한으로 교체하여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대비 고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서의 상황 인지부(11)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5)의 블록도이고, 도 3b는 입력 정보로 구성되는 상황 정보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황 정보, 목표 상태 및 플랜 정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제1 내지 제3 지식 모델의 계층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모듈(module)",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일련의 과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10)은 상황 인지부(11), 목표 상태 결정부(12), 플랜 정보 수립부(13)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4)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10)은 데이터베이스(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황 인지부(11), 목표 상태 결정부(12), 플랜 정보 수립부(13)는 순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서의 상황 인지부(11)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황 인지부(11)는 센서부(11A) 및 정규화부(11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황 인지부(11)는 센서부(11A)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를 제1 지식 모델에 적용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11A)는 주변 환경을 센싱하여 상기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부(11A)는 위치, 온도, 소리, 각도, 위치, 중력, 지자기, 모션, 영상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예시들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정규화부(11B)는 서로 다른 타입의 입력 정보가 입력된 경우, 각 입력 정보를 정규화할 수 있다. 센서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른 타입의 입력 정보가 입력될 수 있기 때문에, 정규화부(11B)는 각 입력 정보를 정규화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1에서 섭씨 온도를 입력 정보로 제공하고, 센서2에서 화씨 온도를 입력 정보로 제공한 경우, 정규화부(11B)는 입력 정보의 형태를 섭씨 또는 화씨 중 하나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정규화부(11B)는 서로 다른 제조사의 센서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 또는 서로 다른 국가 표준의 형식으로 입력된 입력 정보에 대하여도 정규화를 실행할 수 있다.
상황 인지부(11)는 입력된 입력 정보를 제1 지식 모델에 적용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입력 정보를 제1 지식 모델에 적용하기 위해서, 초기에는 사용자가 직접 상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황 인지부(11)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정보로 구성되는 상황 정보를 결정함으로써 현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정보로서, '불이 났어요'라는 음성 정보가 입력되면, 상황 인지부(11)는 '화재 발생'이라는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5)의 블록도이고, 도 3b는 입력 정보로 구성되는 상황 정보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15)는 상황 정보(110-140...), 플랜 정보(210-230...), 목표 상태 정보(310-3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정보들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정보(101-105)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정보(101)는 '불이 났어요'라는 음성 입력이고, 상황 정보(110)는 '화재 발생'이라는 상황일 수 있다. 또한 입력 정보(103)는 위치 정보이고, 입력 정보 (104)는 영상 정보인 경우, 상황 정보(120)는 특정 위치에(입력정보 3), 검은 연기가 가득하고(입력정보 4), 화재가 발생됨(입력정보 1)이라는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되는 상황 정보(110~)와 상황 정보를 구성하는 입력 정보(101~)의 내용은 지식 모델에 기반하여 가변적일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사용에 따라서 상황 정보 및 상황 정보를 구성하는 입력 정보의 내용은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황 정보, 목표 상태 및 플랜 정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목표 상태 결정부(12)는 인지된 현재 상황을 기초로 현재 상황에 대응되는 목표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15)에 저장된 많은 목표 상태 정보(3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목표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목표 상태 결정부(12)는 제2 지식 모델에 기반하여 현재 상황에 대응되는 목표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황 인지부(11)가 현재 상황이 상황 정보(110)에 해당된다고 결정함으로써, 현재 상황이 인지된 상태라면, 목표 상태 결정부(12)는 현재 상황(110)에 대응되는 목표 상태(320)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정은 제2 지식 모델에 기반하여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목표 상태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인식된 상황 정보가 '화재 발생'인 경우, 목표 상태 결정부(12)는 '화재 진압' 또는 '화재 장소 파악'이라는 목표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플랜 정보 수립부(13)는 상기 인지된 현재 상황(110)을 상기 목표 상태(320)로 변화시키는 플랜 정보(220)를 수립할 수 있다. 플랜 정보 수립부(13)는 제3 지식 모델을 이용하여 인지된 현재 상황과 설정된 목표 상태에 적합한 플랜 정보를 수립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내지 제3 지식 모델은 동종이거나 이종의 지식 모델일 수 있다. 서포트 벡터 머신 또는 신경망 등의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지식 모델은 제2 및 제3 지식 모델보다 하위 계층의 정보를 처리하는 지식 모델일 수 있다. 도 5는 제1 내지 제2 지식 모델의 계층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지식 모델은 제1 계층(501)에 속하고, 제2 및 제3 지식 모델은 제2 계층(502)에 속할 수 있다. 즉, 제1 지식 모델은 제2 및 제3 지식모델에 비하여 하위 계층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식 모델은 제2 및 제3 지식 모델 보다 일반화된 정보를 처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계층은 커뮤니케이션 지식(communication knowledge)에 관한 것이고, 제2 계층은 프레임워크 지식(framework knowledge) 또는 도메인 지식(domain knowledge)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아래 [표 1]에서는 119 긴급신고의 수보자의 대응에 대한 것을 도메인 지식으로 사용한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플랜 정보(210~)는 데이터베이스(15)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플랜 정보는 장치를 구동시키는 명령 또는 사용자측에 제공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예컨대 스피커가 경보음을 울리거나, 특정 메시지를 타측(클라이언트 장치)에 전달하거나, 모터를 구동시켜 객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명령이 상기 플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현재 위치를 물어보세요'와 같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메시지가 플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현재 상황(110)이 '화재 발생'이고, 목표 상태(320)가 '화재 진압'인 경우, 플랜 정보 수립부(13)는 '화재 위치를 물어볼 것' 또는 '다른 인원이 더 있는지 물어볼 것' 또는 '해당 위치의 스프링 쿨러 작동'과 같은 플랜 정보(220)를 수립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하나의 상황 정보 및 하나의 목표 상태에 대하여 하나의 플랜 정보가 연결되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플랜 정보가 수립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는 수립된 플랜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기계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전달 체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원격지에 존재하는 스프링 쿨러를 동작 시키거나 중단시킬 수 있다.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10)은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현재 상황에 필요한 플랜 정보를 제공한다.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10)은 플랜 정보를 제공한 후, 변화된 현재 상황(또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인지하고, 변화된 현재 상황에 필요한 플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목표 상태 결정부(12)는, 사용자측에 제공한 플랜 정보, 및 사용자측에 플랜 정보를 제공한 후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초로 인지된 제2 현재 상황을 상기 제2 지식 모델에 적용하여 제2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제2 목표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 정보 수립부(13)는 사용자측에 제공한 플랜 정보, 제2 현재 상황, 및 제2 목표 상태를 제3 지식 모델에 적용하여 제2 플랜 정보를 수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현재 상황에 더욱 적합한 플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10)은 긴급 상황에 이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전화벨이 울리고, 긴급상황 당사자가 어떤 말을 하면, 시스템(10)은 당사자가 한 말을 센싱하고 분석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한다. 그 후, 시스템(10)은 현재 상황에 대응되는 목표 상태를 설정하고, 현재 상황을 목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플랜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플랜 정보(예컨대 '사고 장소를 물어보라')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긴급전화를 수신한 수보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수보자는 플랜 정보를 확인하고, 플랜 정보에 따라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고 장소가 어디시죠'라고 통화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특정 위치에 온도가 상승하여 화재 발생이 인지된 경우,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스프링 쿨러를 자동으로 동작 시키는 플랜 정보가 스프링 쿨러에 제공되고, 스프링 쿨러가 작동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도 있다.
아래 [표1]은 본 발명의 시스템(10)을 전화 응대 서비스에 적용한 예시이다. 긴급 상황에서 신고자가 119 신고센터에 사고 신고를 수행하고,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10)이 인지한 현재 상황 및 수보자에게 제공하는 플랜 정보에 대한 예시이다. 아래 표에서 A는 119 신고센터의 수보자이고, B는 긴급 상황의 신고자이다.
상황 전개 입력 정보 현재 상황 플랜 정보
A: 예 119입니다.
B: 예 여기 오남읍 양주 저기 *** 번진데요. 위치: 오남읍 양주 ***번지 위치 확인 신고 용건 파악
A: 예.      
B: 예 지금 여기 호프집인데 지금 저기 여자분이 지금 쓰러져가지고. 상황: 여자 쓰러짐
위치: 호프집
응급 상황 파악: 구급
환자 정보 파악: 여자
응급 원인 파악
환자 상태(의식, 호흡, 증상) 파악
환자 정보(나이, 병력) 파악
신고자 정보 파악
A: 혹시 왜 쓰러졌는지는 아시나요   응급 원인 파악 요청
B: 아뇨 그건 모르겠고 제가 봤을 때 쓰러져 있었어요. 환자 상태: 쓰러져 있음 응급 원인 파악 불가 환자 상태(의식, 호흡, 증상) 파악
환자 정보(나이, 병력) 파악
신고자 정보 파악
A: 그럼 지금 쓰러지신 분 상태는 어떤가요? 의식은 있나요? 환자 상태(의식 유무) 파악 요청
B: 의식은 있는데, 이걸 의식이 있다고 해야 하나? 거의 정신을 못 차리고 있는 것 같아요. 환자 상태: 정신을 못 차리고 있음 의식 유무 파악 불가 환자 상태(호흡, 증상) 파악
환자 정보(나이, 병력) 파악
신고자 정보 파악
A: 그럼 숨은 쉬고 있는 것 맞죠? 넘어지면서 어디 다친 건가요?   환자 상태(호흡 유무, 응급 원인) 파악 요청
B: 어디 다치거나 한 건 아닌 것 같고 숨은 쉬고 있어요 아니 잠깐 뭐? 응 좀 전에 화장실 가서 토하고 오더니 이렇다고 하네요. 환자 상태: 숨은 쉼, 토했었음 환자 상태(호흡, 구토) 파악 환자 정보(나이, 병력) 파악
신고자 정보 파악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방법은, 센서부(11A)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를 제1 지식 모델에 적용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S100), 인지된 현재 상황을 기초로 현재 상황에 대응되는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S200), 상기 인지된 현재 상황을 상기 목표 상태로 변화시키는 플랜 정보를 수립하는 단계(S300), 수립된 플랜 정보를 사용자측에 제공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S100)는,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단계 및 센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입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단계는, 위치, 온도, 소리, 각도, 위치, 중력, 지자기, 모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S100)는, 서로 다른 타입의 입력 정보가 입력된 경우, 각 입력 정보를 정규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S200)는, 제2 지식 모델을 이용하여, 인지된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랜 정보를 수립하는 단계(S300)는, 제3 지식 모델을 이용하여 인지된 현재 상황과 상기 목표 상태에 적합한 플랜 정보를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방법은 사용자측에 제공한 플랜 정보, 및 사용자측에 플랜 정보를 제공한 후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초로 인지된 제2 현재 상황을 상기 제2 지식 모델에 적용하여 제2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제2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방법은 사용자측에 제공한 플랜 정보, 제2 현재 상황, 및 제2 목표상태를 제3 지식 모델에 적용하여 제2 플랜 정보를 수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지식 모델은, 제2 지식 모델 및 제3 지식 모델 보다 하위 계층의 정보를 처리하는 지식 모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상술한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은, 상술한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으로 구성될 수 있고,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Claims (20)

  1.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를 제1 지식 모델에 적용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상황 인지부;
    인지된 현재 상황을 기초로 현재 상황에 대응되는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목표 상태 결정부;
    상기 인지된 현재 상황을 상기 목표 상태로 변화시키는 플랜 정보를 수립하는 플랜 정보 수립부;
    수립된 플랜 정보를 사용자측에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인지부는,
    주변 환경을 센싱하여 상기 입력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위치, 온도, 소리, 각도, 위치, 중력, 지자기, 모션, 영상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인지부는,
    서로 다른 타입의 입력 정보가 입력된 경우, 각 입력 정보를 정규화하는 정규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입력 정보로 구성된 상황 정보; 또는
    하나 이상의 플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상태 결정부는,
    제2 지식 모델을 이용하여, 인지된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 정보 수립부는,
    제3 지식 모델을 이용하여 인지된 현재 상황과 상기 목표 상태에 적합한 플랜 정보를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상태 결정부는,
    사용자측에 제공한 플랜 정보, 및
    사용자측에 플랜 정보를 제공한 후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초로 인지된 제2 현재 상황을 상기 제2 지식 모델에 적용하여 제2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제2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 정보 수립부는,
    사용자측에 제공한 플랜 정보,
    제2 현재 상황, 및
    제2 목표 상태를 제3 지식 모델에 적용하여 제2 플랜 정보를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식 모델은,
    제2 지식 모델 및 제3 지식 모델보다 하위 계층의 정보를 처리하는 지식 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11.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를 제1 지식 모델에 적용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
    인지된 현재 상황을 기초로 현재 상황에 대응되는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인지된 현재 상황을 상기 목표 상태로 변화시키는 플랜 정보를 수립하는 단계;
    수립된 플랜 정보를 사용자측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는,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단계; 및
    센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입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환경을 센싱하는 단계는,
    위치, 온도, 소리, 각도, 위치, 중력, 지자기, 모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타입의 입력 정보가 입력된 경우, 각 입력 정보를 정규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2 지식 모델을 이용하여, 인지된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방법.
  16. 제1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 정보를 수립하는 단계는,
    제3 지식 모델을 이용하여 인지된 현재 상황과 상기 목표 상태에 적합한 플랜 정보를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사용자측에 제공한 플랜 정보, 및 사용자측에 플랜 정보를 제공한 후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초로 인지된 제2 현재 상황을 상기 제2 지식 모델에 적용하여 제2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제2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사용자측에 제공한 플랜 정보, 제2 현재 상황, 및 제2 목표 상태를 제3 지식 모델에 적용하여 제2 플랜 정보를 수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식 모델은,
    제2 지식 모델 및 제3 지식 모델보다 하위 계층의 정보를 처리하는 지식 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방법.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고,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동작 가능한 프로그램.
KR1020160159811A 2016-11-29 2016-11-29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48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811A KR101948078B1 (ko) 2016-11-29 2016-11-29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811A KR101948078B1 (ko) 2016-11-29 2016-11-29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378A true KR20180060378A (ko) 2018-06-07
KR101948078B1 KR101948078B1 (ko) 2019-02-15

Family

ID=6262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811A KR101948078B1 (ko) 2016-11-29 2016-11-29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0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563B1 (ko) 2004-07-26 200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황인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563B1 (ko) 2004-07-26 200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황인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078B1 (ko) 2019-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94845C (en) System and method for tailoring an electronic digital assistant query as a function of captured multi-party voice dialog and an electronically stored multi-party voice-interaction template
JP2020532757A (ja) 複数の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を使用したインターホン式の通信
US87928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service requests and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relevant parties
KR102424260B1 (ko) Iot 기반 알림을 생성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의 자동화된 어시스턴트 클라이언트(들)에 의해 iot 기반 알림을 자동 렌더링하게 하는 명령(들)의 제공
JP2020038603A (ja) 設備保守の管理および実行
US11216783B2 (en) Collaborative work environment for computer-aided dispatch
US20170278146A1 (en) Reception system and reception method
US20180108352A1 (en) Robot 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
US11250855B1 (en) Ambient cooperative intelligence system and method
JP2017173768A (ja) 議事録作成システム
KR20190075310A (ko) 전화번호 연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3901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acting emergency services
KR20200121772A (ko) 모니터링되는 환경에 관련된 결정 요인에 따라 전관 방송을 송출하는 기법
JP2017138652A (ja) 報告書作成システム
US20160125726A1 (en) Cognitive alerting device
WO2021136457A1 (zh) 基于统一报警平台的多源报警处理方法、装置及相关设备
KR101948078B1 (ko) 상황 기반 동적 플래닝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147238A (zh) 报警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Begault Guidelines for nextgen auditory displays
JP2019159388A (ja) 勤務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7115812B1 (ja)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
US20230401862A1 (en) Information acquisition support apparatus, information acquisition suppor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information acquisition support program
JP2019197950A (ja) 情報処理装置、属性付与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2203296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the instances of suicide
WO2023238232A1 (ja) インターフォン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