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249A -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249A
KR20180060249A KR1020160159526A KR20160159526A KR20180060249A KR 20180060249 A KR20180060249 A KR 20180060249A KR 1020160159526 A KR1020160159526 A KR 1020160159526A KR 20160159526 A KR20160159526 A KR 20160159526A KR 20180060249 A KR20180060249 A KR 20180060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generator
image display
display device
protrusion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981B1 (ko
Inventor
정달용
Original Assignee
(주) 아이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솔 filed Critical (주) 아이솔
Priority to KR1020160159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9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는 외측에 핸들이 설치된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에 일면 내측에 형성되어 이미지 표시장치가 내장되는 수용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미지 표시장치를 탈부착시키는 조작수단, 상기 조작수단의 타 측에 구비되고 수용부에 내장된 이미지 표시장치를 체결하는 걸림수단 및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이미지 표시장치가 조작수단에 의해 탈착될 때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X-ray generator for securing systems and devices containing them}
본 발명은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를 통해 엑스레이의 투과량을 검출하고, 이미지 표시장치를 통해 이미지 영상을 표시하여 엑스레이 영상을 얻기 위한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엑스레이(X-Ray)는 단파장으로 피사체를 쉽게 투과할 수 있으며, 피사체 내부의 밀한 정도에 따라 엑스레이의 투과량이 결정된다. 즉, 피사체의 내부 상태는 피사체를 투과한 엑스레이의 투과량을 통해 간접적으로 관측되고 있다.
엑스레이 제너레이터는 피사체를 투과한 엑스레이의 투과량을 검출하는 장치이다. 엑스레이 제너레이터는 엑스레이의 투과량을 검출하여, 피사체의 내부 상태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엑스레이 제너레이터는 일반적으로, 의료용 검사장치, 비파괴 검사장치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엑스레이 제너레이터로서 필름을 사용하지 않는 디지털 방사선(Digital Radiography: 이하 DR) 방식을 이용하는 플랫 패널(flat panel) 디지털 방사선(DR)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엑스레이 제너레이터는 부피 및 크기가 크고 이에 따라 엑스레이를 촬영하는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의 부피 및 크기를 간소화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으며, 이를 (특허문헌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휴대용 엑스레이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제너레이터를 향하는 전면에 입사면이 정의되어 제네레이터에서 발생된 엑스레이의 입사량에 비례한 위치별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감지패널과, 감지패널의 이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에 밀폐된 실장공간이 정의된 백킹하우징 및 실장공간에 실장되어 감지패널로부터 발생된 전기신호를 무선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의료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외부에서 사용할 경우, 장치의 설치 및 이동에 제약이 많이 따르고,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및 이미지 표시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838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의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이미지 표시장치가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에 부착이 이루어지고,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의 일면에 형성된 버튼부재를 통해 이미지 표시장치가 엑스레이 제너레이터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한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및 이미지 표시장치를 용이하게 일체화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는 외측에 핸들이 설치된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에 일면 내측에 형성되어 이미지 표시장치가 내장되는 수용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미지 표시장치를 탈부착시키는 조작수단;
상기 조작수단의 타 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에 내장된 이미지 표시장치를 체결하는 걸림수단; 및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미지 표시장치가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탈착될 때 탄성력을 제공하는 결합수단;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조작 가능하도록 버튼형태로 형성된 버튼부재; 및
단부에 체결 홀이 형성된 돌출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재를 보호하는 제1,2 버튼커버가 분할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몸체부의 양 측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재가 이미지 표시장치에 체결되는 체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면에 돌출형성되고, 체결 홀에 삽입되어 이미지 표시장치에 체결되는 제1 돌기; 및
외면에 형성되고, 탄성체를 고정하는 제2 돌기;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일면이 경사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면에 지지체가 형성되는 제1 돌기;
상기 제1 돌기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1 돌기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홈과, 제1 돌기가 관통되는 관통 홀이 각각 일면에 형성된 제1 후크커버; 및
외부에 체결 홀이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후크커버를 고정하는 고정대가 형성된 제2 후크커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일면에 돌출형성되어 탄성체를 고정하는 제2 돌기; 및
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 홈에 삽입되는 제3 돌기;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외부에 체결 홀이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탄성체가 구비되는 돌기커버; 및
상기 탄성체의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이미지 표시장치를 지지하는 제4 돌기;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은 상기 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가 설치되는 수용부가 일면 내측에 형성되고, 외측에 핸들이 설치된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및
상기 고정장치에 의하여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의 수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내장되는 이미지 표시장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장치에 의하여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의 일면에 이미지 표시장치가 탈부착 가능하게 내장됨으로써, 휴대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의 설치 및 이동이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4 또는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조작수단의 조립상태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 또는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걸림수단의 조립상태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결합수단의 조립상태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1)은 예컨대, 엑스레이의 투과량을 검출하며, 외측에 핸들(20)이 설치된 엑스레이 제너레이터(10) 및 상기 엑스레이 제너레이터(10)에서 촬영된 엑스레이 영상을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장치(30)를 포함한다.
엑스레이 제너레이터(10)는 도면상 상면 내측에 수용부(11)가 형성되어 이미지 표시장치(30)를 수용하여 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엑스레이 제너레이터(10)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하게 핸들(20)이 형성된다.
핸들(20)은 내부에 핸들 브래킷(21)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이 핸들 브래킷(21)의 양측 단부에 체결수단(23)을 통해 엑스레이 제너레이터(10)에 체결되며, 체결수단(23)은 핸들 브래킷(21)이 엑스레이 제너레이터(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 나사 및 볼트로 이루어져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표시장치(30)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10)에서 촬영된 엑스레이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단부에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10)와 체결되도록 복수의 홈이 형성되며, 수용부(11)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어 이 수용부(11)에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수용부(11)는 도면상 엑스레이 제너레이터(10)의 상면 내측에 형성된 공간이고, 이미지 표시장치(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이미지 표시장치(30)를 용이하게 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수용부(11)에는 이미지 표시장치(30)를 탈부착하기 위한 고정장치(2)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2)는 수용부(11)에 내장되는 이미지 표시장치(30)를 탈부착시키는 조작수단(100), 조작수단(100)의 반대선상에 형성되어 이미지 표시장치(30)를 체결하는 걸림수단(200) 및 상기 수용부(11)의 하부에 형성되고, 이미지 표시장치(30)가 조작수단(100)에 의해 탈착될 때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용이하게 탈착이 이루어지는 결합수단(300)을 포함한다.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수단(100)은 수용부(11)의 일면 내측에 형성된 제1 결합부(12)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조작수단(100)에 일정한 힘을 가하였을 때 이미지 표시장치(30)와 체결해제되는 방식으로 탈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조작수단(100)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버튼부재(130)와, 버튼부재(130)의 외부에 결합되어 버튼부재(130)를 보호하는 제1 버튼커버(110) 및 제2 버튼커버(170)가 형성된다.
버튼부재(130)는 사용자가 일정한 힘을 조작수단(100)에 가압하였을 경우, 이 조작수단(100)과 체결된 이미지 표시장치(30)와 분리되어 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버튼부재(130)는 사용자가 힘을 가압하는 몸체부(131)와, 몸체부(131)의 하부에 형성되어 몸체부(131)를 지지하고 수용부(11)에 고정되는 지지부(133)와, 지지부(13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몸체부(131)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35)와, 몸체부(131)의 양 측면에 체결되어 이미지 표시장치(130)에 체결되는 체결부(150)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31)는 다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일정한 힘을 가압하였을 경우, 체결부(150)가 이미지 표시장치(130)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며, 이미지 표시장치(130)가 분리되는 과정은 체결부(150)를 설명할 때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부(133)는 몸체부(131)의 하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부(131)를 지지함과 동시에, 몸체부(131)가 수용부(11)로부터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외주면에는 몸체부(131)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35)가 구성된다.
체결부(150)는 몸체부(131)의 양 측에 결합되고, 이미지 표시장치(30)에 체결되어 몸체부(131)가 외압으로 인해 하강할 경우, 이미지 표시장치(30)와 분리되어 탈착이 이루어지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미지 표시장치(30)와 체결되도록 돌출형성된 제1 돌기(151)와, 일면에 형성되어 탄성체(135)가 고정되는 제2 돌기(153)로 이루어진다.
제1 돌기(151)는 도 4 기준으로 설명하였을 경우, 내측 즉, 이미지 표시장치(30)와 체결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미지 표시장치(30)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돌기(153)는 탄성체(135)를 고정할 수 있도록 탄성체(135)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즉, 버튼부재(130)는 몸체부(131)의 양 측면에 형성된 제1 돌기(151)가 이미지 표시장치(30)에 체결되고, 몸체부(131)가 외압으로 인해 하강할 경우, 제1 돌기(151)가 경사변을 따라 측부로 이동되면서 이미지 표시장치(30)와의 체결관계가 해제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버튼부재(130)는 양측에 제1 버튼커버(110) 및 제2 버튼커버(170)가 분할형성되고, 제1 버튼커버(110)에 형성된 돌출부(113) 및 체결 홀(115)이 제2 버튼커버(170)의 체결 홀(115)과 나사를 통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1 버튼커버(110) 및 제2 버튼커버(170)가 수용부(11)의 내부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지지부(133)는 수용부(11)에 형성된 별도의 홈에 삽입되어 버튼부재(130)가 수용부(11)에 고정되어 버튼부재(130)가 엑스레이 제너레이터(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수단(200)은 수용부(11)의 일면 즉, 조작수단(100)의 반대선상에 구성되고, 이미지 표시장치(30)에 형성된 홈에 체결되어 이미지 표시장치(30)가 수용부(11)에 내장되도록 구성되며,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되어 이미지 표시장치(30)를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걸림수단(200)은 이미지 표시장치(30)에 체결되는 제1 돌기(151)와, 제1 돌기(151)를 고정하는 제1 후크커버(210) 및 제1 후크커버(210)를 고정하는 제2 후크커버(230)로 이루어진다.
제1 돌기(151)는 일면이 경사지게 돌출형성되고, 일면에 제2 돌기(153)가 형성되어 탄성체(135)가 제2 돌기(153)에 고정되며, 제1 돌기(151)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돌기(151)는 이미지 표시장치(30)가 조작수단(100)에 의해 탈착이 이루어질 때,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미지 표시장치(30)가 경사진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제1 돌기(151)와 체결이 해제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돌기(151)는 제1 후크커버(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상부에 제3 돌기(213)가 형성되고, 하부에 지지체(217)가 형성된다.
제3 돌기(213)는 제1 돌기(151)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고, 제1 후크커버(210)의 상부에 형성된 이탈방지 홈(211)에 삽입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제1 돌기(151)가 제1 후크커버(21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지지체(217)는 제1 돌기(151)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어 제1 후크커버(210)의 하부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제1 돌기(151)가 제1 후크커버(21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3 돌기(213) 및 지지체(217)는 각각 제1 돌기(151)의 상측 및 하측 단부에 형성되어 제1 후크커버(2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제2 후크커버(230)는 제1 후크커버(210)를 고정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양측에 체결 홀(115)이 형성된 돌출부(113)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1 후크커버(210)를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시켜 고정되는 고정대(23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 후크커버(230)는 수용부(11)의 일면에 형성된 제2 결합부(13)에 삽입한 이후, 나사가 체결 홀(113)에 체결되어 걸림수단(200)이 수용부(11)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걸림수단(200)은 수용부(11)의 일면에 형성된 제2 결합부(13)에 체결되어 이미지 표시장치(30)의 일면에 체결되고, 조작수단(100)을 조작하여 이미지 표시장치(30)를 탈착 시킬 경우, 제1 돌기(151)의 경사진 일면이 경사진 일면을 따라 이미지 표시장치(30)로부터 분리되어 체결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300)은 수용부(11)의 하부에 배치형성되고, 이미지 표시장치(30)의 하부에 형성된 별도의 홈(미도시)에 체결되어 이미지 표시장치(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조작수단(100)을 통해 이미지 표시장치(30)를 탈착할 경우, 이미지 표시장치(30)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용이하게 탈착이 이루어지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결합수단(300)은 돌출형성되는 제4 돌기(330) 및 제4 돌기(330)를 지지하는 돌기 커버(310)로 이루어진다.
돌기 커버(310)는 원 또는 다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용부(11)와 나사체결을 통해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외주면에 체결 홀(115)이 형성된 돌출부(113)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 홈(311)이 형성되어 탄성체(135)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돌기 커버(310)는 수용 홈(311)에 구비된 탄성체(135)의 단부에 제4 돌기(330)이 결합되어 제4 돌기(330)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결합수단(330)은 이미지 표시장치(30)의 하부에 형성된 홈과 체결되는 제4 돌기(330)와, 제4 돌기(330)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고, 수용부(11)에 체결되는 돌기 커버(310)로 이루어져, 이미지 표시장치(30)가 탈착이 이루어질 때, 탄성체(135)를 통해 소정의 탄성력을 이미지 표시장치(30)에 제공되어 용이하게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수용부(11)의 내부에 구비된 조작수단(100), 걸림수단(200) 및 결합수단(300)을 이용하여 이미지 표시장치(30)를 수용부(11)에 탈부착 가능하게 내장시킴으로써, 엑스레이 제너레이터(10)와 이미지 표시장치(30)가 용이하게 일체화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1)을 용이하게 휴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병원 외부에 출장 시,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1)을 용이하게 구비하여 엑스레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 2 ; 고정장치
10 ;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11 ; 수용부 12 ; 제1 결합부
13 ; 제2 결합부 20 ; 핸들
21 ; 핸들 브래킷 23 ; 체결수단
30 ; 이미지 표시장치 100 ; 조작수단
110 ; 제1 버튼커버 111 ; 관통 홀
113 ; 돌출부 115 ; 체결 홀
130 ; 버튼부재 131 ; 몸체부
133 ; 지지부 135 ; 탄성체
150 ; 체결부 151 ; 제1 돌기
153 ; 제2 돌기 170 ; 제2 버튼커버
200 ; 걸림수단 210 ; 제1 후크커버
211 ; 이탈방지 홈 213 ; 제3 돌기
217 ; 지지체 230 ; 제2 후크커버
231 ; 고정대 300 ; 결합수단
310 ; 돌기커버 311 ; 수용홈
330 ; 제4 돌기

Claims (8)

  1. 외측에 핸들이 설치된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에 일면 내측에 형성되어 이미지 표시장치가 내장되는 수용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미지 표시장치를 탈부착시키는 조작수단;
    상기 조작수단의 타 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에 내장된 이미지 표시장치를 체결하는 걸림수단; 및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미지 표시장치가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탈착될 때 탄성력을 제공하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조작 가능하도록 버튼형태로 형성된 버튼부재; 및
    상기 버튼부재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재를 보호하는 제1,2 버튼커버가 분할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몸체부의 양 측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재가 이미지 표시장치에 체결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면에 돌출형성되고, 체결 홀에 삽입되어 이미지 표시장치에 체결되는 제1 돌기; 및
    외면에 형성되고, 탄성체를 고정하는 제2 돌기;
    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일면이 경사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면에 지지체가 형성되는 제1 돌기;
    상기 제1 돌기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1 돌기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홈과, 제1 돌기가 관통되는 관통 홀이 각각 일면에 형성된 제1 후크커버; 및
    상기 제1 후크커버를 고정하는 고정대가 형성된 제2 후크커버;
    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일면에 돌출형성되어 탄성체를 고정하는 제2 돌기; 및
    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 홈에 삽입되는 제3 돌기;
    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탄성체가 구비되는 돌기커버; 및
    상기 탄성체의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이미지 표시장치를 지지하는 제4 돌기;
    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가 설치되는 수용부가 일면 내측에 형성되고, 외측에 핸들이 설치된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및
    상기 고정장치에 의하여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의 수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내장되는 이미지 표시장치;
    를 더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
KR1020160159526A 2016-11-28 2016-11-28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 KR101871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526A KR101871981B1 (ko) 2016-11-28 2016-11-28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526A KR101871981B1 (ko) 2016-11-28 2016-11-28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249A true KR20180060249A (ko) 2018-06-07
KR101871981B1 KR101871981B1 (ko) 2018-06-27

Family

ID=62621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526A KR101871981B1 (ko) 2016-11-28 2016-11-28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98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679Y1 (ko) * 1988-10-04 1991-07-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착탈식 리모콘 겸용 버튼부착장치
JP2003014857A (ja) * 2001-06-29 2003-01-15 Canon Inc 可搬型x線平面撮像装置、取り扱い方法、情報表示方法、及び信号発信方法
KR20040073736A (ko) * 2003-02-14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부착물의 잠금장치
WO2006065035A1 (en) * 2004-12-16 2006-06-22 Dexcowin. Co., Ltd. Portable x-ray apparatus
KR20080094968A (ko) * 2008-10-10 2008-10-27 아리벡스, 인코포레이티드 디지털 엑스선 카메라
US7684544B2 (en) * 2006-12-14 2010-03-23 Wilson Kevin S Portable digital radiographic devices
KR20120093350A (ko) * 2009-11-27 2012-08-2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방사선 촬영장치
CN103300873A (zh) * 2013-06-04 2013-09-18 上海奕瑞光电子科技有限公司 带显示功能的便携式x 射线平板探测器
KR101318384B1 (ko) 2010-09-15 2013-10-15 (주)바텍이우홀딩스 휴대용 엑스레이 감지장치
KR20140039419A (ko) * 2012-09-21 2014-04-02 (주)덱스코윈 휴대용 엑스레이의 촬영영역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679Y1 (ko) * 1988-10-04 1991-07-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착탈식 리모콘 겸용 버튼부착장치
JP2003014857A (ja) * 2001-06-29 2003-01-15 Canon Inc 可搬型x線平面撮像装置、取り扱い方法、情報表示方法、及び信号発信方法
KR20040073736A (ko) * 2003-02-14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부착물의 잠금장치
WO2006065035A1 (en) * 2004-12-16 2006-06-22 Dexcowin. Co., Ltd. Portable x-ray apparatus
US7684544B2 (en) * 2006-12-14 2010-03-23 Wilson Kevin S Portable digital radiographic devices
KR20080094968A (ko) * 2008-10-10 2008-10-27 아리벡스, 인코포레이티드 디지털 엑스선 카메라
KR20120093350A (ko) * 2009-11-27 2012-08-2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방사선 촬영장치
KR101318384B1 (ko) 2010-09-15 2013-10-15 (주)바텍이우홀딩스 휴대용 엑스레이 감지장치
KR20140039419A (ko) * 2012-09-21 2014-04-02 (주)덱스코윈 휴대용 엑스레이의 촬영영역 표시장치
CN103300873A (zh) * 2013-06-04 2013-09-18 上海奕瑞光电子科技有限公司 带显示功能的便携式x 射线平板探测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981B1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6722B2 (en) Battery powered X-ray detector power system and method
US7495226B2 (en) Compact and durable encasement for a digital radiography detector
JP5850050B2 (ja) カメラ取付装置、および、カメラ取付方法
US20180321392A1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and radiation imaging system
US20120250826A1 (en)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JP6207179B2 (ja) 放射線撮影装置
EP2051109A2 (en) Assembly features and shock protection for a digital radiography detector
KR101811155B1 (ko) 방사선 촬영 장치
JP5528012B2 (ja) 放射線撮影のための装置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US20130336453A1 (en) Digital x-ray detector, housing and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871981B1 (ko) 엑스레이 제너레이터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시스템
JP2006158946A (ja) X線照射装置およびx線撮影装置
JP2010259489A (ja) 放射線画像検出カセッテ
US11980489B2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DK2959204T3 (en) DISPLAY PANEL MOUNTING UNIT
US10271805B2 (en) Accommodation apparatus of radiation imaging apparatus, accommodation system and radiation imaging system
KR20180060248A (ko) 조사스위치 일체형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CN216485572U (zh) 一种安装支架及人体红外感应组件
CN215868066U (zh) 智能门铃
JP5993814B2 (ja) 配線引込構造
JP5239244B2 (ja) 携帯型情報端末装置
JP2023009367A (ja) 放射線撮影装置
JP6765810B2 (ja) 放射線撮影装置の収容装置および収容システム
CN117269206A (zh) X射线发射装置的壳体模组及x射线检测仪
CN113724456A (zh) 一种智能门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