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181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게이트웨이, 이동 관리 엔티티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관리 엔티티,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게이트웨이, 이동 관리 엔티티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관리 엔티티,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181A
KR20180060181A KR1020160159371A KR20160159371A KR20180060181A KR 20180060181 A KR20180060181 A KR 20180060181A KR 1020160159371 A KR1020160159371 A KR 1020160159371A KR 20160159371 A KR20160159371 A KR 20160159371A KR 20180060181 A KR20180060181 A KR 20180060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base station
gateway
conn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538B1 (ko
Inventor
이상헌
강성룡
김대중
한규호
황재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9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538B1/ko
Priority to US15/720,700 priority patent/US10455629B2/en
Publication of KR20180060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36/28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invol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082Mobility data transfer for traffic bypassing of mobility servers, e.g. location registers, home PLMNs or home ag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통신 네트워크와 제2 통신 네트워크가 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과 관련된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제2 접속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게이트웨이, 이동 관리 엔티티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관리 엔티티,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GATEWAY AND NETWORK ALLOCATION METHOD OF GATEWAY, MOBILE MANAGEMENT ENTITY AND NETWORK ALLOCATION METHOD OF MOBILE MANAGEMENT ENTITY AND TERMINAL AND NETWORK CONNECTING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통신 네트워크 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게이트웨이, 이동 관리 엔티티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관리 엔티티,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에 관한 것이다.
4G(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의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5G 통신 시스템의 3가지 메인 Use Case로 국제전기통신연합(ITU)과 3GPP(3rd Partnerhip Project)를 포함한 통신 업계는 높은 고속데이터 지원 통신 (enhanced Mobile Broadband,eMBB), 초신뢰성과 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대규모 기기 지원(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을 제안하고 있다.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등의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 통신 시스템은 4G 통신 시스템과 비교하여 데이터 전송률이 수십배 이상 높기 때문에,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4G 통신 시스템에 비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빔포밍(beamforming)과 같은 기술이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LOS(Ling-of-Sight)가 보장되지 않아서 순간적으로 단말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링크가 끊어지는 현상(radio link failure)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LOS가 보장되지 않는 상황은, 단말의 방향이 갑자기 틀어지거나, 단말과 기지국 간에 장애물이 지나가는 상황이 될 수 있다.
또한, 5G 기지국이 전국망으로 설치되기 전에, 5G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가 좁거나, 5G 음영 지역이 많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4G 통신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5G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일례로, 5G 통신 서비스 지역이 아닌 곳에서는, 기존의 4G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5G 통신 서비스 지역에 진입하면 5G 기지국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이 필요할 수 있다.
또는, 5G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 중에, 5G 통신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면 자연스럽게 4G 통신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간에 상호 연동을 위한 구조 및 방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밖에,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네트워크와 제2 통신 네트워크가 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과 관련된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제2 접속 정보를 할당(allocate)하는 단계; 및 상기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네트워크와 제2 통신 네트워크가 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접속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이동 관리 엔티티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네트워크와 제2 통신 네트워크가 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수락 메시지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게이트웨이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접속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각각이 독립적(standalone)으로 운용되어 특정 RAT(Radio Access Technology)에 대한 의존성이 제거될 수 있다. 즉, 5G 통신 서비스가 4G 통신 서비스의 동작 유무와 상관없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일례로 4G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지역에서 5G 통신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5G 통신 서비스와 연동함에 있어 기존의 4G RAN(Radio Access Network)과 EPC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상호 연동을 위한 4G 기지국의 추가 업그레이드를 요구하지 않음으로 OPEX(Operating Expenditure) 및 CAPEX(Capital expenditures)와 같은 통신 시스템의 운영비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간의 상위 호환성(forward compatibility) 테스트를 위한 오버해드(overhead)가 생략될 수 있다. 즉,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가 각각 독립적으로 운용되고, 별개로 업그레이드 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하여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가 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가 독립적으로 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연결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연결 상태 관리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접속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손실 포워딩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이동에 따른 운용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가 네트워크를 할당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관리 엔티티가 네트워크를 할당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었으며, 다음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 “~와 연관되는(associated with)” 및“~와 연관되는(associated therewith)”과 그 파생어들은 포함하고(include), ~내에 포함되고(be included within), ~와 서로 연결되고(interconnect with), 포함하고(contain), ~내에 포함되고(be contained within),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nnect to or with),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uple to or with), ~와 통신 가능하고(be communicable with), ~와 협조하고(cooperate with), 인터리빙하고(interleave), 병치하고(juxtapose), ~로 가장 근접하고(be proximate to), ~로 ~할 가능성이 크거나 혹은 ~와 ~할 가능성이 크고(be bound to or with), 가지고(have), 소유하고(have a property of) 등과 같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자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용어들에 대해 해석 가능한 의미의 예를 제시한다. 하지만, 아래 제시하는 해석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기지국(Base Station)은 단말과 통신하는 일 주체로서, BS, NodeB(NB), eNodB(eNB), AP(Access Point)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단말(User Equipment)(또는, 통신 단말)은 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과 통신하는 일 주체로서, 노드,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장비(Mobile Equipment; ME), 디바이스(device), 또는 터미널(terminal)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가 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에서, 각 무선 통신 시스템은 4G 코어인 EPC(evolved packet core)(112), 4G 기지국인 LTE(111), 5G 코어인 NextGen Core(next generation core)(122), 5G 기지국인 NR(Next Generation Radio)(121) 및 단말(1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실선은 데이터 경로(user plane)을 나타내며, 점선은 제어 경로(control plane)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EPC(112)를 이용하여 4G 기지국(111) 기반으로 5G 기지국(121)이 연동되는 구조를 나타내고, 도 1의 (c) 및 (d)는 NextGen Core(122)를 이용하여 5G 기지국(121) 기반으로 4G 기지국(111)이 연동되는 구조이며, 도 1의 (e) 및 (f)는 NextGen Core(122)를 이용하여 4G 기지국(111) 기반으로 5G 기지국(121)이 연동되는 구조이다.
도 1의 (a) 및 (b)에서는, EPC(112)를 이용하여 5G RAN(radio access network)의 확산이 지원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의 (a) 및 (b)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은, 4G 통신 네트워크의 데이터 경로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단기간의 마이그레이션(migration) 용도로 활용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의 (c) 내지 (f)와 같이, 4G 기지국(111)이 NextGen Core(122)와 연결되어 별도의 제어 경로를 가지는 구조가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4G 기지국(111) 및 NextGen Core(122)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새로 정의되어야 하므로, 4G 기지국(111)은 NextGen Core(122)에 접속을 위한 추가적인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 1의 (c) 내지 (f)의 4G 기지국(111)은 상기 업그레이드가 적용된 eLTE(evolved LTE)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기본적으로 일방이 제어권을 가지는 NSA(Non-Standalone) 구조를 전제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하나의 기지국에서 다른 기지국의 제어 경로를 모두 가져가기 때문에, 통신 서비스 제공 시에 제어 경로를 가지는 주(primary) 기지국에 대한 의존성이 발생하여, 각 통신 네트워크 간의 독립적인 운용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e) 또는 (f)의 경우, 5G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제어를 4G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행하기 때문에, 4G 통신 서비스가 지원되지 않는 곳에서는 5G 통신 서비스의 이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는, 4G 기지국 간의 경계 지역에서 핸드오버(handover)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에, 제공 중인 5G 통신 서비스가 중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4G RAT(radio Access technology) 및 5G RAT 간의 서로 의존하는 문제는, 사업자의 통신망 운영 및 통신 서비스 전개 전략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4G 통신 네트워크와 5G 통신 네트워크를 서로 연동하기 위해서는, 기존 4G 기지국들의 업그레이드가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신규 기능을 추가하거나 성능 개선을 위한 업그레이드가 발생할 때마다,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 간의 상호 연동 테스트(interoperability test)를 거쳐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더구나, 4G 기지국과 5G 기지국의 벤더(vendor)가 각각의 다른 경우, 완벽한 연동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상호 연동 테스트가 불가능하거나 또는 장시간의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 하에서 5G 벤더의 선정 시에, 4G 기지국을 기 설치한 벤더가 5G 벤더의 선정에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으며, 이는 멀티 벤더 RAN(Multi-Vender RAN) 정책에 대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들 간의 인터워킹(interworking)이 용이하도록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가 독립적(Standalone)으로 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 요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2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게이트웨이(231)를 통하여 4G 이동 관리 엔티티(4G Mobility Management Entitiy,4G MME)(211) 및 5G 이동 관리 엔티니(5G Mobility Management Entity, 5G MME)(221)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점선으로 표현된,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간의 제어 경로(control plane)는 분리하면서, 게이트웨이(231)가 앵커(anchor) 역할을 수행하여 실선으로 표시된 사용자 경로(user plane)는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망이 독립적으로 운영되면서,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간의 상호 연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연결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존의 4G 단말(101)은 경로 341와 같이, 4G 기지국(311)을 통해서 4G 코어인 EPC(312)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5G 단말(102)은 경로 343과 같이, 4G 기지국(311)을 통하여 NextGen Core(322)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5G 단말(103)은 경로 345와 같이, 5G 기지국(321)을 통하여 5G 코어인 NextGen Core(32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5G 단말(401)에 대하여 다수의 APN(Access Point Name)의 지원이 가능하게 된다.
지원 가능한 APN으로서, 4G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VoLTE 서비스(451)에 대응하는 APN, 5G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5G 서비스(453)에 대응하는 APN, 4G 및 5G 통신 네트워크의 선택적 이용이 가능한 멀티 링크 서비스인 인터넷 서비스(455)에 대응하는 APN 등이 있을 수 있다. 멀티 링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간의 천이, 결합 및 분리 등의 다양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서, 5G 단말(401)은 4G 기지국(411), 사용자 게이트웨이(422)를 통하여 VoLTE 서비스(451)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5G 단말(401)은 5G 기지국(421) 및 사용자 게이트웨이(422)를 통하여 5G 서비스(455)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5G 단말(401)은 4G 기지국(411) 또는 5G 기지국(421)을 거쳐서, 사용자 게이트웨이(422)를 통하여 인터넷 서비스(453)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할, 도 5에서 각 네트워크 구성요소(Network element) 및 인터페이스들은 기술된 명칭으로 제한되지 않고,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다양한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각 구성요소들 및 인터페이스들의 명칭은 3GPP 표준화의 논의 결과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대처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기존의 4G 코어인 S-게이트웨이(serving-gateway) 및 P-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gateway)를 통합한 SAE-게이트웨이(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Gateway)를 제어 경로(control plane) 및 데이터 경로(user plane)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덜어, SAE-GW를 제어 게이트웨이(gateway control-plane, GW-C)(533) 및 사용자 게이트웨이(gateway user-plane, GW-U)(531)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4G 통신 네트워크 관점에서는 EPC의 S-게이트웨이가 공통 앵커(common anchor)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4G 이동 관리 엔티티(513)는 S1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어 게이트웨이(533)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4G 기지국(511)은 S1-U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게이트웨이(531)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간의 독립적인 운영 지원을 위하여, 단말 및 네트워크 간의 인증 과정이 별도로 진행되도록 4G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4G HSS)(515) 및 5G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5G HSS)(525)가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의 독립적인 운영을 위해서, 상호 연동 제어부(Interworking-Control, IWK-Control)(543) 및 상호 연동 레이어(Interworking-Layer, IWK-Layer)(541)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호 연동 제어부(543)는 제어 게이트웨이(533)에 위치하며, 4G 이동 관리 엔티티(513) 및 5G 이동 관리 엔티티(523)으로부터의 연결을 해석하여, 4G 이동 관리 엔티티(513) 및 5G 이동 관리 엔티티(523) 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호 연동 제어부(543)는 4G 이동 관리 엔티티(513) 또는 5G 이동 관리 엔티티(523)으로부터 단말, 기지국, 게이트웨이을 거쳐 생성되는 논리 터널인 EPC 베어러(bearer)의 생성, 수정 또는 삭제 등을 지시하는 관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4G 이동 관리 엔티티(513) 또는 5G 이동 관리 엔티티(523)의 요청을 서로 구분하여 상호 간의 연동을 위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호 연동 제어부(543)는 관리 요청 메시지를 적절한 포맷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사용자 게이트웨이(GW-U)(531)로 전달하거나 또는 관리 요청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4G 이동 관리 엔티티(513) 또는 5G 이동 관리 엔티티(523)로 반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호 연동 제어부(543) 및, 4G 이동 관리 엔티티(513) 및 5G 이동 관리 엔티티(523) 간에는 독립형(standalone) 기반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지국 및 단말은 상기 연동 동작을 인지할 필요가 없다.
상호 연동 레이어(541)은 사용자 게이트웨이(531)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 게이트웨이(531)에서 4G 통신 네트워크와 5G 통신 네트워크를 바인딩(binding)하여, 하나의 베어러 ID를 기반으로 하위로 다수 개의 GTP(GPRS Tunneling Protocol) 터널을 생성할 수 있다. 단말(501)은 생성된 각 GTP 터널과 4G 모뎀(502) 및 5G 모뎀(503)을 연결하여 5G 통신 네트워크 및 4G 통신 네트워크 간의 연동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상호 연동 레이어(541)은 4G 기지국(511), 5G 기지국(521)만을 사용하거나, 또는 4G 기지국(511) 및 5G 기지국(521)을 함께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5G 기지국(521)에서 4G 기지국(511)으로 데이터를 간접 포워딩(indirect forwarding)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간접 포워딩되는 데이터를 상향링크 데이터와 구분하여 4G 기지국(511)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501)은 4G 모뎀(502) 및 5G 모뎀(503)을 별도로 구비하여,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Control; RCC)를 각각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501)에는 4G 모뎀(502) 및 5G 모뎀(503) 간의 연동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별도의 상호 연동 레이어(interworking layer)(504)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도 5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각 네트워크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동작 원리에 설명한다.
도 5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501)이 연결 요청을 하는 경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첫번째 연결 요청에 대하여는 전체 베어러(full bearer)를 설정(setup)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러는 특정 QoS로 IP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하여 단말(501)과 게이트웨이 간에 설정된 데이터 전달 링크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이후의 연결 요청에 대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 생성된 연결과 결합(binding)해서 전체 베어러를 생성하지 않고, 기존의 연결을 위한 접속 정보에 기반하여 하위로 E-RAB(E-UTRAN Radio Access Bearer) 연결만 새로 생성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존 링크 연결과 이후의 링크 연결이 동일한 EPS-베어러(Evolved Packet System-bearer) ID 및 IP 주소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논리 세션(logical session) 상에서 필요에 따라 링크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동작을 위한 링크의 상태 관리, 업데이트 및 단말의 접속(attachment) 및 무손실 포워딩(lossless forwarding) 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호 연동부(IWC-Control)의 링크 상태를 관리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EMM(EPS Mobility Management) 및 ECM(EPS Connection Management)의 링크 연결 상태 관리는 각 링크에 대응하는 이동 관리 엔티티에서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간의 적절한 연동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호 연동부는 링크 연결 상태의 추적 및 관리를 이동 관리 엔티티와 별도로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연결 상태 관리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링크 연결 상태의 관리는 도 6의 (a)와 같이 단말의 연결 관리 및, 도 6의 (b)와 같이 링크 별 연결 관리로 구분될 수 있다.
도 6의 (a)에서, 단말의 연결 관리는 이동 관리 엔티티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연결 요청이 최초 연결 요청인지 혹은 기존의 연결과 결합(binding)하는 연결 요청인지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4G 망 및 5G 망에 모두 접속(attach)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단말은 "연결 해제(disconnected)(601)"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호 연동부는 전체 베어러 설정 절차(full bearer setup procedure)를 수행하고, "연결(connected)(603)"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연결(connected)(603)" 상태에서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호 연동부는 단말의 식별자인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APN(Access Point Name) 등의 정보에 기반하여, 기존 연결과 매핑되도록 S1 링크 또는 NG-1 링크로 베어러 설정(bearer setup)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이 4G 망에 접속 중인지, 5G 망에 접속 중인지 또는 모두 접속 중인지는 내부 변수를 추적하여 판단할 수 있다.
도 6의 (b)는 단말의 링크 별 연결 관리를 나타낸다. 도 6의 (b)에서, 상호 연동부는 링크 상태가 "대기(idle)(611)"상태인지 또는 "활성(active)(613)"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호 연동부는 판단된 링크 상태에 기초하여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중 한쪽의 링크만을 이용할지 또는 양쪽의 링크를 모두 이용할지 결정할 수 있다.
도 6의 (b)에서, 단말이 4G 통신 네트워크 또는 5G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을 시도하면, 접속된 링크의 상태는 "활성(active)(613)"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연결 해제(detach), 비활성화(inactivity) 또는 RLF(Radio Link Failure)이 발생 시에는 해당 링크는 다시 "대기(idle)(611)"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접속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들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최초 연결 과정 및 추가 연결 과정이 각각 다르게 진행될 수 있다.
도 7은 단말(701)의 최초 접속에 따른 연결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8은 단말(701)의 재접속에 따른 연결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서, 단말(701)은 최초 접속에 대해서는 풀 베어러 셋업 절차(full bearer setup procedure)를 가질 수 있다. 도 8에서는, 단말(701)이 제1 통신 네트워크(예로, 4G 망)에 접속한 상태에서, 단말은 제2 통신 네트워크(예로, 5G 망)에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기 생성된 제1 통신 네트워크의 베어러와 매핑 후, 하위로 E-RAB 연결만 생성하는 베어러 셋업 절차(bearer setup procedure)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4G 망을 통한 연결이 수행된 후에, 다시 5G 망을 통한 연결이 수행되는 절차를 나타내나, 반대로 5G 망을 통한 연결이 수행된 후에, 다시 4G 망을 통한 연결이 수행되는 절차도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단말(701)의 최초 접속에 따른 연결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서, 도 7의 (a)는 단말(701)이 최초 연결되는 상황에서의 호 흐름(call flow)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의 (b)는 링크 연결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동작 711 및 동작 713에서, 단말(UE)(701)과 4G 기지국(eNB(4G))(703) 간의 4G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이 설정되면, 단말(701)은 통신망 가입자의 식별자인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4G 기지국(702)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15에서, 4G 기지국(702)은 초기 단말 메시지를 4G 이동 관리 엔티티(4G MME)(704)로 전송할 수 있다. 초기 단말 메시지에는, 단말(701)의 통신망 가입자 식별자인 IMSI, 단말(701)이 위치한 셀 식별자인 ECGI(E-UTRAN Cell Global Identifier) 및 단말(701)이 위치한 TA(Tracking Area) 식별자인 TAI(Tracking Area Identifi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동작 717에서, 4G 이동 관리 엔티티(704)는 인증 정보 요청 메시지를 4G 홈 가입자 서버(4G HSS)(708)로 전송하고, 이에 기반한, 인증 정보 응답 메시지를 4G 홈 가입자 서버(708)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의 인증을 위한 AV(Authentication Vectors) 정보가 상기 인증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동작 719에서, 4G 이동 관리 엔티티(704)는 4G 홈 가입자 서버(708)로부터 수신한 AV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단말(701)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701)은 AV 정보의 인증 값과 자신이 생성한 인증 값을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경우, 4G 통신 네트워크를 신뢰할 수 있다. 인증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단말(701)은 인증 응답 파라미터인 RES를 포함하는 인증 응답 메시지를 4G 이동 관리 엔티티(704)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4G 이동 관리 엔티티(704)는 수신된 RES를 4G 홈 가입자 서버(708)로부터 수신한 XRES(expected RES)와 비교하여 단말(701)을 인증할 수 있다.
단말(701)에 대한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동작 721에서, 단말(701) 및 4G 이동 관리 엔티티(704) 간에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를 안전하게 송수신하기 위한 4G NAS 설정 절차(4G NAS Security Setup)가 완료될 수 있다.
동작 723에서, 4G 이동 관리 엔티티(704)는 업데이트 위치 요청 메시지를 4G 홈 가입자 서버(708)로 전송할 수 있다. 4G 홈 가입자 서버(708)는 업데이트 위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701)의 식별자인 IMSI 및 4G 이동 관리 엔티티(704)의 식별자인 MME ID를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4G 홈 가입자 서버(708)는 등록된 IMSI에 대한 서비스 품질 프로파일(QoS Profile) 등을 4G 이동 관리 엔티티(704)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품질 프로파일은 단말(701)이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에 가입할 때 4G 홈 가입자 서버(708)에 등록될 수 있다.
동작 725에서, 4G 이동 관리 엔티티(704)는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제어 게이트웨이(GW-C)(706)로 전송할 수 있다.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는 단말(701)의 식별자인 IMSI 및 EPS 베어러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727에서, 제어 게이트웨이(706)의 상호 연동 제어부(IWK-Control)는 최초 연결임을 감지하여 EPS 베어러 설정 절차(EPS Bearer setup procedure)에 따른 베어러 연결을 생성하기 위한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게이트웨이(GW-U)(707)로 전송할 수 있다.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701)의 식별자인 IMSI 및 EPS 베어러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게이트웨이(707)는 사용자 게이트웨이(707)로부터 4G 기지국(702)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제1 접속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제1 접속 정보는, 단말(701)의 IP 주소, EPS 베어러 ID, 상향링크 4G S1 터널 ID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731에서, 제어 게이트웨이(706)로부터의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사용자 게이트웨이(707)는 제1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요청 응답 메시지를 제어 게이트웨이(707)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33에서, 사용자 게이트웨이(707)로부터의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어 게이트웨이(701)는 제1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를 4G 이동 관리 엔티티(704)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35에서, 4G 이동 관리 엔티티(704)는 상향링크 4G S1 터널 ID를 포함하는 초기 컨텍스트 설정(initial context setup) 요청 메시지를 4G 기지국(702)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37에서, 4G 기지국(702)은 동작 713의 단말(701)로부터의 접속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접속 수락 메시지를 단말(701)로 전송할 수 있다. 접속 수락 메시지에는 GUTI(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 IP 주소, EPS 베어러 ID, TAI 및 Qo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701)은 접속 수락 메시지로부터 단말(701)의 IP 주소를 획득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동작 739에서, 4G 기지국(702)은 동작 735의 초기 컨텍스트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초기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를 4G 이동 관리 엔티티(704)로 전송할 수 있다. 초기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에는 하향링크 4G S1 터널 I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50과 같이, 제어 게이트웨이(706)와 4G 기지국(4G) 간에 4G S1 베어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어러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동작 741 및 동작 743에서, 4G 이동 관리 엔티티(704)의 베어러 수정 요청에 따라 제어 게이트웨이(706) 및 사용자 게이트웨이(707)의 베어러 수정 요청에 기반한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가 수신될 수도 있다.
전술한 호 절차가 완료되면, 동작 745에서, 단말(701)은 4G 이동 관리 엔티티(704)와 접속을 완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의 (b)와 같이, 단말(701)의 연결 상태는 "연결 해제(761)"상태에서 "4G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상태(771)"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제어 게이트웨이(706)의 상호 연동부의 링크 상태는, 도 7의 (b)와 같이, "4G 대기 및 5G 대기 상태(762)"에서 "4G 활성화 및 5G 대기 상태(772)" 상태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8은, 단말(701)의 재 접속에 따른 연결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에서, 단말(701)은 제1 통신 네트워크(예로, 4G)에 기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통신 네트워크(예로, 5G)에 접속하기 위하여, 먼저 동작 811 및 813에서, 단말(UE)(701)과 5G 기지국(NR(5G))(703) 간의 5G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이 설정되면, 단말(701)은 통신망 가입자의 식별자인 IMSI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5G 기지국(703)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815에서, 5G 기지국(703)은 초기 단말 메시지를 5G 이동 관리 엔티티(5G MME)(705)로 전송할 수 있다. 초기 단말 메시지에는, 단말(701)의 통신망 가입자 식별자인 IMSI, 단말(701)이 위치한 셀 식별자인 ECGI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동작 817에서, 5G 이동 관리 엔티티(705)는 인증 정보 요청 메시지를 5G 홈 가입자 서버(5G HSS)(709)로 전송하고, 이에 기반한, 인증 정보 응답 메시지를 5G 홈 가입자 서버(709)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 정보로는 단말의 인증을 위한 AV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동작 819에서, 5G 이동 관리 엔티티(705)는 5G 홈 가입자 서버(709)로부터 수신한 AV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단말(701)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701)은 AV 정보의 인증 값과 자신이 생성한 인증 값을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경우, 5G 통신 네트워크를 신뢰할 수 있다. 인증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단말(701)은 인증 응답 파라미터인 RES를 포함하는 인증 응답 메시지를 5G 이동 관리 엔티티(705)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5G 이동 관리 엔티티(705)는 수신된 RES를 5G 홈 가입자 서버(708)로부터 수신한 XRES와 비교하여 단말을 인증할 수 있다.
단말(701)에 대한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동작 821에서, 단말(701) 및 5G 이동 관리 엔티티(705) 간에는 NAS 메시지를 안전하게 송수신하기 위한 5G NAS 설정 절차(5G NAS Security Setup)가 완료될 수 있다.
동작 825에서, 5G 이동 관리 엔티티(705)는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제어 게이트웨이(706)로 전송할 수 있다.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는 단말(701)의 식별자인 IMS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829에서, 제어 게이트웨이(706)의 상호 연동 제어부(IWK-Control)은 두 번째 연결임을 감지하여, 기 연결된 4G 통신 네트워크와 결합(binding)하여 하위 E-RAB(E-UTRAN Radio Access Bearer) 베어러 연결만 생성하기 위한 링크 생성 요청(create link request) 메시지를 사용자 게이트웨이(707)로 전송할 수 있다. 링크 생성 요청 메시지는 4G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용된 IP 주소, EPS 베어러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게이트웨이(707)는 4G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게이트웨이(707)로부터 5G 기지국(703)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제2 접속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제2 접속 정보는 단말(701)의 IP 주소, 4G EPS 베어러 ID, 4G 상향링크 S1 터널 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들은 4G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되었던 정보들이 될 수 있다.
동작 831에서, 제어 게이트웨이(706)로부터의 링크 생성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사용자 게이트웨이(707)는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생성 요청 응답 메시지를 제어 게이트웨이(707)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833에서, 사용자 게이트웨이(707)로부터의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어 게이트웨이(701)는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를 5G 이동 관리 엔티티(705)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835에서, 5G 이동 관리 엔티티(705)는 상향링크 4G S1 터널 ID를 포함하는 초기 컨텍스트 설정(initial context setup) 요청 메시지를 5G 기지국(703)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837에서, 5G 기지국(703)은 동작 813의 단말(701)로부터의 접속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접속 수락 메시지를 단말(701)로 전송할 수 있다. 접속 수락 메시지에는 GUTI, IP 주소, EPS 베어러 ID, TAI 및 Qo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작 839에서, 5G 기지국(703)은 동작 835의 초기 컨텍스트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초기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를 5G 이동 관리 엔티티(705)로 전송할 수 있다. 초기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에는 5G 하향링크 S1 터널 I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850과 같이, 제어 게이트웨이(706)와 4G 기지국(4G) 간에 4G S1 베어러가 형성된 상태에서, 제어 게이트웨이(707)와 5G 기지국(5G) 간에 5G S1 베어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동일한 논리 세션(logical session) 하에 GTP(GPRS Tunneling Protocol) 터널 기준으로 상향링크 방향으로는 단일의 S1 터널 ID를 가지며, 하향링크 방향으로는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 각각에 대응하는 두 개의 S1 터널 ID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정책, 알고리즘 및 서비스 등에 따라 원하는 링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베어러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동작 841 및 동작 843에서, 5G 이동 관리 엔티티(705)의 베어러 수정 요청에 따라 제어 게이트웨이(706) 및 사용자 게이트웨이(707)의 베어러 수정 요청에 기반한 베어러 수정 응답 메시지가 수신될 수도 있다.
전술한 호 절차가 완료되면, 동작 845에서, 단말(701)은 5G 이동 관리 엔티티(705)와 접속을 완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의 (b)와 같이, 단말(701)의 연결 상태는"4G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상태(861)에서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를 결합(binding)한 연결 상태(871)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제어 게이트웨이(706)의 상호 연동부의 링크 상태는, 도 8의 (b)와 같이, "4G 활성화 및 5G 대기 상태(862)" 상태에서 "4G 활성화 및 5G 활성화 상태(872)" 상태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의 비활성화(inactivity) 또는 RLF(Radio Link Failure) 등이 감지되어 상향링크 S1 연결 해제 등과 같은 링크 상태가 변경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의 동작 741 또는 도 8의 동작 841과 같이, 제어 게이트웨이(706)가 4G 이동 관리 엔티티(704) 또는 5G 이동 관리 엔티티(705)로부터 베어러 수정 요청(modify bearer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 게이트웨이(706)는 링크 연결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베어러 수정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게이트웨이(707)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세션 삭제 요청(delete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 게이트웨이(706)는 특정 링크가 연결 해제되어도 다른 링크가 연결 상태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시지를 특정 링크의 E-RAB 베어러만 해제되도록 링크 삭제 요청(delete link request) 메시지로 변경하여, 사용자 게이트웨이(707)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 게이트웨이(706)가 세션 삭제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세션 삭제 응답 메시지를 이동 관리 엔티티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세션 삭제 응답 메시지는 표준 메시지 포맷을 따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손실 포워딩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5G 링크의 경우에는 4G 링크와 다르게 신호가 들어오지 않는 LOS(Loss of Signal)가 발생되어 갑작스럽게 무선 링크가 실패하는 RLF(Radio Link Failure, RLF)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5G 링크의 연결을 4G 링크로 천이하는 무손실 스위칭(lossless switching)을 수행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특히, IWK-Layer에서 5G 링크 상태가 "활성화(active)"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RLF가 발생하는 경우, 5G 기지국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4G로 재전송하기 위한 절차가 요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의 동작 ①에서, 사용자 게이트웨이(GW-U)(901)의 상호 연동 레이어(IWK-Layer)(902)에 의하여 데이터가 5G 링크를 통하여 5G 기지국(5G NB)(904)으로 전송 중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②와 같이, 5G 기지국이 무선 접속 실패(radio link failure, RLF)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③과 같이, 5G 기지국(912)는 버퍼에 잔존한 버퍼링 데이터들을 사용자 게이트웨이(GW-U)(901)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805에서, 사용자 게이트웨이(GW-U)(901)의 상호 연동 레이어(IWK-Layer)(902)는 상향링크 데이터와, 5G 기지국(912)로부터 수신한 버퍼링 데이터로서 간접 포워딩(indirect forwarding)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접 포워딩 데이터를 4G 기지국(4G dNB)(903)을 거쳐 단말(UE)(905)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호 연동 레이어(IWK-Layer)(902)는 5G 링크의 상태를 "대기 상태" 상태로 업데이트하고, 이후 수신되는 데이터는 4G 기지국(905)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다양한 운용 시나리오가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단말이 독립적인 4G 모뎀 및 5G 모뎀을 운용할 수 있어서,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각각이 독립적인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및 NAS(Non Access Stratum)의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단말은 통신 인증을 위한 단일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가정하여 하나의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값만 가지면서,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시에 동일한 IMSI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4G 통신 네트워크만 이용하는 서비스, 5G 통신 네트워크만 사용하는 서비스,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를 함께 사용하는 서비스를 APN(Access Point Name)을 통해 구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단말은 4G 통신 네트워크만 이용하는 서비스는 4G NAS(Non-Access Stratum)를 통하여 4G 이동 관리 엔티티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고, 5G 통신 네트워크만 이용하는 서비스는 5G NAS를 통하여 5G 이동 관리 엔티티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를 동시에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4G NAS 및 5G NAS를 통하여 각각 4G 이동 관리 엔티티 및 5G 이동 관리 엔티티로 통신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4G 이동 관리 엔티티 및 5G 이동 관리 엔티티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일한 제어 게이트웨이에 세션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게이트웨이는 APN을 기반으로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서비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게이트웨이는 IMSI 및 APN에 기초하여, 세션 요청이 처음인 경우, 베어러 컨텍스트(bearer context)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게이트웨이는 세션 요청 이전에 이미 동일한 세션 요청이 있었던 경우, 기존의 베어러 컨텍스트에 기지국과 제어 게이트웨이 간의 GTP 터널만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를 동시에 사용하는 APN에 있어서, 제어 게이트웨이는 4G 링크 및 5G 링크 간의 선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게이트웨이는 5G 링크가 가용한(available) 경우에는, 5G 링크를 우선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며, 5G 링크가 가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4G 링크를 통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4G 링크를 대상으로 LTE 규격(S1, X2 Handover)에 따라 기지국이 변경되면서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이동하여 5G 무선망 범위(radio coverage)를 벗어나는 경우, 5G 기지국은 게이트웨이와 S1-U 인터페이스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이동하여 5G 무선망 범위로 진입하는 경우, 5G 기지국은 게이트웨이와 S1-U 인터페이스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5G 기지국 내에서 5G 셀 간에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5G 기지국과 제어 게이트웨이 간의 연결은 계속하여 유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이동에 따른 운용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의 (a)는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중 일방이 운용을 가지는 NSA(non-standalone) 구조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0의 (a)에서는, 4G 서비스가 지원되지 않거나 연결이 끊어지면 5G 서비스 또한 제공이 불가할 수 있다. 즉, 단말이 이동에 따라 4G 셀이 변경되는 핸드오버(handover)의 발생 시에, 5G 서비스의 제공이 중단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간섭 시간(time interruption time)은 40ms 내지 80ms 가 될 수 있다.
도 10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가 독립적인(standalone) 운용을 하는 인터워킹(Interworking) 구조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0의 (b)에서는, 단말의 이동에 따라 4G 링크만 사용하거나, 4G 및 5G 링크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각 상황마다 활성화(active)된 링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여, 4G 및 5G 간의 별도의 핸드오버 절차가 생략될 수 있다.
즉, 단말이 이동됨에 따라 사용자 게이트웨이의 상호 연동 레이어는 4G 기지국들 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면서 4G 링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스위칭 시간에는 5G 링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이동되는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상호 연동 레이어(IWK-Layer)는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위치뿐만 아니라 패킷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 위치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간 이동 관리 엔티티를 공유하거나 또는 홈 가입자 서버를 공유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예로서, 서빙 게이트웨이 위치에 상호 연동 레이어가 위치하고,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각각이 독립된 이동 관리 엔티티 및 홈 가입자 서버를 사용하는 구현 예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예로서, 서빙 게이트웨이 위치에 상호 연동 레이어가 위치하고,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각각이 독립된 이동 관리 엔티티 및 공통된 홈 가입자 서버를 사용하는 구현 예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제3 예로서, 패킷 게이트웨이 위치에 상호 연동 레이어가 위치하고,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각각이 독립된 4G 이동 관리 엔티티 및 5G 제어 플랜(control plane, cp)을 가지며, 각각 독립된 홈 가입자 서버를 사용하는 구현 예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제4 예로서, 패킷 게이트웨이 위치에 상호 연동 레이어가 위치하고,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각각이 독립된 4G 이동 관리 엔티티 및 5G 제어 플랜을 가지며, 공통된 홈 가입자 서버를 사용하는 구현 예가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도 3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예에 대응하는, 서빙 게이트웨이 위치에 상호 연동 레이어가 위치하고,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각각이 독립된 이동 관리 엔티티 및 홈 가입저 서버를 사용하는 구현 예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도 11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2 예에 대응하는, 서빙 게이트웨이 위치에 상호 연동 레이어가 위치하고,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각각이 독립된 이동 관리 엔티티 및 공통된 홈 가입자 서버를 사용하는 구현 예라고 볼 수 있다.
도 11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홈 가입자 서버(1101)를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가 서로 공유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최초의 연결 시에만 단말 및 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증 과정이 수행되고, 이후의 과정은 생략하거나 또는 간소화될 수 있다. 즉, 도 11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도 8의 호 접속 흐름도에서 동작 819에 대응하는 단말 및 이동 관리 엔티티 간의 인증 과정과, 동작 817에 대응하는 이동 관리 엔티티 및 홈 가입자 서버 간의 인증 과정이 생략되거나 또는 간소화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는 동일한 단말에 대하여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각각의 연결이 유지되어야 함으로 홈 가입자 서버(1101)의 업그레이드가 요구될 수 있다. 이에 대한 표현으로, 홈 가입자 서버(1101) 및 이동 관리 엔티티들(1103,1105) 간의 인터페이스가 전술한 도 5의 S6a와 다르게 S6a+로 명기되었으나, 본 표기의 형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4 예에 대응하는, 패킷 게이트웨이 위치에 상호 연동 레이어가 위치하고,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 각각이 독립된 4G 이동 관리 엔티티 및 5G 제어 플랜을 가지며, 공통된 홈 가입자 서버를 사용하는 구현 예라고 볼 수 있다.
패킷 게이트 위치에 상호 연동 레이어가 마련되는 제3 예 및 제 4예에서는, 4G 링크 연결 및 5G 링크 연결은 동일한 패킷 게이트웨이를 사용자 게이트웨이로서 선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2의 제 4예와 같이, 단일의 홈 가입자 서버(1201)는 하나의 단말에 대하여 4G 링크 연결 및 5G 링크 연결이 동일한 패킷 게이트웨이를 사용자 게이트웨이로서 선택하도록 결합(binding)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경로 상의 4G 링크 및 5G 링크가 동일한 패킷 게이트웨이를 사용자 게이트웨이로서 선택할 수 있다. 즉, 패킷 게이트웨이가 공통 앵커(anchor)가 되어 4G 베어러(bearer) 및 5G 베어러(bearer) 간에 결합(binding)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의 (b)는 본 발명의 이동 관리 엔티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의 (c)는 본 발명의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a)에서, 게이트웨이(1301)는 제어부(1302) 및 통신부(130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3)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1 기지국과 관련된 제1 이동 관리 엔티티 및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과 관련된 제2 이동 관리 엔티티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이고, 제2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제1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고, 제2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어부(1302)는 게이트웨이(13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2)는 통신부(1303)를 통하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2)는 저장부(미도시)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302)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제어부(1302)가 복수 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 예로, 제1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제어 게이트웨이의 프로세서이고, 제2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사용자 게이트웨이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302)는 단말이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부터 통신부(1303)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2)는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1301)로부터 제2 기지국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제2 접속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접속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 정보는,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IP 주소, EPS 베어러 ID 및 상향링크 S1 터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2)는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를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 통신부(1303)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제2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후, 제2 기지국이 무선 접속 실패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1302)는 버퍼링 데이터를 제2 기지국으로부터 통신부(1303)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2)는 수신된 버퍼링 데이터를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1 기지국으로 통신부(1303)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의 (b)에서, 이동 관리 엔티티(1311)는 제어부(1312) 및 통신부(131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13)는 제1 통신 네트워크와 제2 통신 네트워크가 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게이트웨이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이고, 제2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제1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고, 제2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어부(1312)는 이동 관리 엔티티(131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12)는 통신부(1313)를 통하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12)는 저장부(미도시)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312)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단말이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제어부(1312)는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게이트웨이로 통신부(1313)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12)는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를 게이트웨이로부터 통신부(1313)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접속 정보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접속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 정보 및 제2 접속 정보는,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IP 주소, EPS 베어러 ID 및 상향링크 S1 터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12)는 제2 접속 정보로서 상향링크 S1 터널 ID를 포함하는 컨텍스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2 기지국으로 통신부(1313)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12)는 컨텍스트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하향링크 S1 터널 ID를 포함하는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를 제2 기지국으로부터 통신부(1313)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도 13의 (c)에서, 단말(1321)는 제어부(1322) 및 통신부(132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23)는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1 기지국 및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이고, 제2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제1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고, 제2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어부(1322)는 단말(132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22)는 통신부(1323)를 통하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22)는 저장부(미도시)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322)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제어부(1322)는 단말이 상기 제1 기지국을 거쳐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제2 기지국으로 통신부(132)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22)는 접속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에 이용하여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수락 메시지를 통신부(1323)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접속 정보 및 제2 접속 정보는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IP 주소, EPS 베어러 ID 및 상향링크 S1 터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a) 내지 (c)에서, 통신부(1301,1311,1323)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통신부(1301,1311,1323)는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1,1311,1323)는 복수의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로, 통신부(1301,1311,1323)는 RF(radio frequency) 신호의 수신, 주파수 변환, 복조, 복호,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 제거,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채널 추정, 등화(equalizing)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가 네트워크를 할당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의 게이트웨이는 제1 통신 네트워크와 제2 통신 네트워크가 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게이트웨이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이고, 제2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제제1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고, 제2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먼저, 동작 1401에서, 단말이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게이트웨이는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과 관련된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1403에서, 게이트웨이는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로부터 제2 기지국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제2 접속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접속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 정보는,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IP 주소, EPS 베어러 ID 및 상향링크 S1 터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1405에서, 게이트웨이는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를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 접속된 후, 상기기 제2 기지국이 무선 접속 실패를 감지하는 경우, 게이트웨이는 버퍼링 데이터를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버퍼링 데이터를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웨이는 제어 게이트웨이 및 사용자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게이트웨이는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부터 상기 세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게이트웨이는 사용자 게이트웨이로 링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게이트웨이는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로부터 제2 기지국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제2 접속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게이트웨이는, 링크 생성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생성 응답 메시지를 제어 게이트웨이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게이트웨이는, 상기 세션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관리 엔티티가 네트워크를 할당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의 이동 관리 엔티티는 제1 통신 네트워크와 제2 통신 네트워크가 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 관리 엔티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이고, 제2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제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고, 제2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먼저, 동작 1501에서, 단말이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이동 관리 엔티티는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1503에서, 이동 관리 엔티티는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를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접속 정보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접속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 정보는,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IP 주소, EPS 베어러 ID 및 상향링크 S1 터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관리 엔티티는 제2 접속 정보로서 상향링크 S1 터널 ID를 포함하는 컨텍스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관리 엔티티는, 컨텍스트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하향링크 S1 터널 ID를 포함하는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를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의 단말은 제1 통신 네트워크와 제2 통신 네트워크가 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이고, 제2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제1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고, 제2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먼저, 동작 1601에서,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단말은 제2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1603에서, 단말은 접속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수락 메시지를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접속 정보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게이트웨이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접속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 정보 및 제2 접속 정보는,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IP 주소, EPS 베어러 ID 및 상향링크 S1 터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예를 들면,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를 들면,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기록매체란,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레지스터, 캐쉬, 버퍼 등 계산 또는 전송을 위하여 임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에, 신호(signal), 전류(current) 등과 같은 일시적인 전송 매개체는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해당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본 발명의 장치의 내장 메모리, 메모리 카드, ROM 또는 RA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예를 들면, 본 발명의 장치)로 판매를 위하여 전송되거나 또는 프로그램의 제공자(예를 들면, 프로그램 개발자 또는 프로그램의 제조사)에 의하여 서버에 양도 또는 등록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프로그램들이 서버에서 단말로 판매되는 경우, 프로그램들의 적어도 일부가 전송을 위하여 서버의 버퍼에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의 버퍼가 본 발명의 비일시적 기록매체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매체는, 단말이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과 관련된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로부터 제2 기지국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제2 접속 정보를 할당하고,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를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 전송하도록 하는 동작을 게이트웨이가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매체는, 단말이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를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는 동작을 제2 이동 관리 엔티티가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접속 정보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접속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매체는,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접속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수락 메시지를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동작을 단말이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접속 정보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게이트웨이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접속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3)

  1. 제1 통신 네트워크와 제2 통신 네트워크가 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과 관련된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제2 접속 정보를 할당(allocate)하는 단계; 및
    상기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IP 주소, EPS 베어러 ID 또는 상향링크 S1 터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 접속된 후, 상기기 제2 기지국이 무선 접속 실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버퍼링 데이터를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버퍼링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제어 게이트웨이 및 사용자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부터 세션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부터 상기 세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게이트웨이가 상기 사용자 게이트웨이로 링크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2 접속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게이트웨이가, 상기 링크 생성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게이트웨이가, 상기 세션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6. 제1 통신 네트워크와 제2 통신 네트워크가 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이동 관리 엔티티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접속 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이동 관리 엔티티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이동 관리 엔티티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IP 주소, EPS 베어러 ID 또는 상향링크 S1 터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이동 관리 엔티티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정보로서 상향링크 S1 터널 ID를 포함하는 컨텍스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텍스트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하향링크 S1 터널 ID를 포함하는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2 이동 관리 엔티티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10. 제1 통신 네트워크와 제2 통신 네트워크가 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에 있어서,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수락 메시지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게이트웨이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접속 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IP 주소, EPS 베어러 ID 또는 상향링크 S1 터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13. 제1 통신 네트워크와 제2 통신 네트워크가 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할당하는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1 기지국과 관련된 제1 이동 관리 엔티티 및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과 관련된 제2 이동 관리 엔티티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제2 접속 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이동 관리 엔티티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IP 주소, EPS 베어러 ID 또는 상향링크 S1 터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 접속된 후, 상기 제2 기지국이 무선 접속 실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퍼링 데이터를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버퍼링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1 기지국으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17. 제1 통신 네트워크와 제2 통신 네트워크가 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할당하는 제2 이동 관리 엔티티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게이트웨이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생성 응답 메시지를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접속 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이동 관리 엔티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이동 관리 엔티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IP 주소, EPS 베어러 ID 또는 상향링크 S1 터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이동 관리 엔티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접속 정보로서 상향링크 S1 터널 ID를 포함하는 컨텍스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컨텍스트 설정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하향링크 S1 터널 ID를 포함하는 컨텍스트 설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이동 관리 엔티티.
  21. 제1 통신 네트워크와 제2 통신 네트워크가 운용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운용하는 제2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제1 기지국을 거쳐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제1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된 제2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수락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게이트웨이까지의 베어러 생성을 위한 접속 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4G 통신 네트워크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을 위하여 기 생성된 IP 주소, EPS 베어러 ID 또는 상향링크 S1 터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60159371A 2016-09-29 2016-11-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게이트웨이, 이동 관리 엔티티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관리 엔티티,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102503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371A KR102503538B1 (ko) 2016-11-28 2016-11-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게이트웨이, 이동 관리 엔티티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관리 엔티티,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15/720,700 US10455629B2 (en) 2016-09-29 2017-09-29 Gateway, network assignment method of gateway, MME, network assignment method of MME, terminal, and network connection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371A KR102503538B1 (ko) 2016-11-28 2016-11-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게이트웨이, 이동 관리 엔티티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관리 엔티티,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181A true KR20180060181A (ko) 2018-06-07
KR102503538B1 KR102503538B1 (ko) 2023-02-24

Family

ID=6168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371A KR102503538B1 (ko) 2016-09-29 2016-11-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게이트웨이, 이동 관리 엔티티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관리 엔티티,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55629B2 (ko)
KR (1) KR10250353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470A (ko) * 2017-10-20 2019-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12187A (ko) * 2019-07-24 2021-02-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성관리장치 및 이동성관리장치의 접속 관리 방법
KR20210014350A (ko) * 2019-07-30 2021-02-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가입자 프로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359321B1 (ko) * 2020-08-21 2022-02-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du 세션 생성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s5-u 트래픽 구간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
KR20230114343A (ko)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블루텍 무선 네트워크 사용 패턴 분석을 통한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950190B2 (en) 2018-12-26 2024-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self-interference due to dual uplink operation
US11997761B2 (en) 2017-10-20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23239A1 (en) * 2015-10-28 2021-05-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Bearer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US10728741B2 (en) * 2017-01-27 2020-07-28 Quacomm Incorporated Dynamic UE-category switching for enhanced idle mode power savings
US10567954B2 (en) 2018-01-18 2020-02-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tegrated access backhaul under a non-standalone network architecture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1405797B2 (en) 2018-03-19 2022-08-02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ell activation in wireless networks
US11716558B2 (en) 2018-04-16 2023-08-0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grated high-capacity data and wireless network services
TWI713375B (zh) * 2018-04-23 2020-12-11 新加坡商聯發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非完整性保護拒絕訊息之處理方法及其使用者設備
US11044597B2 (en) * 2018-08-07 2021-06-22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registration and operation in wireless networks
US11129213B2 (en) 2018-10-12 2021-09-2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ell identification in wireless networks
KR20200062793A (ko) 2018-11-27 202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어러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785688B2 (en) * 2018-12-05 2020-09-22 Syniverse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routing mobile data traffic in 5G networks
US10925105B2 (en) * 2018-12-12 2021-02-1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Hybrid system local area network
US11076450B2 (en) * 2019-02-01 2021-07-27 Mediatek Inc. Method and associated user equipment for improving versatility of cellular network
WO2020218858A1 (en) * 2019-04-24 2020-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4g-5g core interworking function
CN112469106A (zh) * 2019-09-06 2021-03-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接入点名称的配置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US11425557B2 (en) 2019-09-24 2022-08-23 EXFO Solutions SAS Monitoring in a 5G non-standalone architecture to determine bearer type
US11985641B2 (en) 2020-04-22 2024-05-14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Node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high-capacity data services via a content delivery network architecture
US11451671B2 (en) 2020-04-29 2022-09-20 EXFO Solutions SAS Identification of 5G Non-Standalone Architecture traffic on the S1 interface
WO2023285224A1 (en) * 2021-07-15 2023-01-1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nabling a user equipment to register with multiple public land mobile networks and non-public networks using the same access typ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747A (ko) * 2014-04-25 2015-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과 셀룰러 망 접속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6126238A1 (en) * 2015-02-03 2016-08-1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mprovements in dual connectivity for different acc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8322A1 (en) 2008-03-25 2011-02-03 Sds Biotech K.K. Herbicide composition and weed control method
US9681481B2 (en) * 2014-12-19 2017-06-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obility management of wireless networks based on multipath transfer control protocol
WO2016182168A1 (en) * 2015-05-13 2016-11-1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figuring bearer for send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method
US10334642B2 (en) * 2015-07-31 2019-06-25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ing non IP-based EPS bearer
WO2017029430A1 (en) * 2015-08-14 2017-02-2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system and apparatus
RU2748219C2 (ru) * 2015-09-14 2021-05-21 Нек Корпорейшн Шлюз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о радиосвяз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начислением оплаты,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и долговременный считываемый компьютером носитель
CN108141742B (zh) * 2015-09-30 2021-01-05 苹果公司 用于第五代蜂窝架构的用户平面
EP3624545B1 (en) * 2015-09-30 2021-12-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suring service continuity
WO2017062244A1 (en) * 2015-10-06 2017-04-13 Intel IP Corporation Dual radio operation between access systems using 3gpp radio access technology
KR102060806B1 (ko) * 2015-11-05 201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8353310B (zh) * 2015-11-05 2021-11-02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和支持该方法的装置
CN108353450B (zh) * 2015-11-06 2022-02-08 苹果公司 在sgw分为控制平面节点和用户平面节点时用于空闲模式ue的下行链路数据处理
WO2017138757A1 (ko) * 2016-02-11 2017-08-17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통신 장치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13676888A (zh) * 2016-04-20 2021-11-19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移动性信令负载减少
WO2017184842A1 (en) * 2016-04-20 2017-10-26 Convida Wireless, Llc System information provisioning and light weight connection signaling
KR102126223B1 (ko) * 2016-05-26 2020-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코어 망에서의 시그널링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8018409A1 (zh) * 2016-07-26 2018-02-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承载建立的方法、相关装置以及系统
US10485000B2 (en) * 2016-09-28 2019-11-19 Sharp Kabushiki Kaisha User equipment, base station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747A (ko) * 2014-04-25 2015-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과 셀룰러 망 접속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6126238A1 (en) * 2015-02-03 2016-08-1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mprovements in dual connectivity for different access network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470A (ko) * 2017-10-20 2019-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무선 접속 기술(Multi-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997761B2 (en) 2017-10-20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US11950190B2 (en) 2018-12-26 2024-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self-interference due to dual uplink operation
KR20210012187A (ko) * 2019-07-24 2021-02-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성관리장치 및 이동성관리장치의 접속 관리 방법
KR20210014350A (ko) * 2019-07-30 2021-02-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가입자 프로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359321B1 (ko) * 2020-08-21 2022-02-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du 세션 생성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s5-u 트래픽 구간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
KR20230114343A (ko)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블루텍 무선 네트워크 사용 패턴 분석을 통한 무선자원 할당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538B1 (ko) 2023-02-24
US20180092142A1 (en) 2018-03-29
US10455629B2 (en)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5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게이트웨이, 이동 관리 엔티티의 네트워크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관리 엔티티,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11297557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device
CN110169098B (zh) 在移动通信系统中选择接入和移动性管理功能的方法和装置
US104199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ssion to change a user plane fun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670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choring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2252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e subscription through e2 interface in radio access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JP6195312B2 (ja) 通信システム
US10306460B2 (en) Establishment of connection to the internet
US11206591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handover
CN101772106B (zh) 数据传输路径的控制方法和系统、移动性管理网元和终端
US202203038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2 interface configuration including cell information in wireless access network
KR20190095915A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들간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39311A (ko)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서 e2 인터페이스를 통한 서비스 가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301998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2 interface set up with cell information in radio access network
CN115699877A (zh) 无线通信系统中向终端提供本地数据网络信息的方法及装置
EP41117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service in a network
KR102252995B1 (ko) 단말 능력 기반 동적 srs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220232508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laying service registration event via e2 interface in wireless access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JP2022133820A (ja) リレーノード及び方法
US2018016039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362560B1 (ko)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723441B1 (en) Methods, apparatuses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stablishing session for communication with local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568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inter-system mo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240154750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dentif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7643085A (zh) 在无线通信系统中用于管理用户设备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