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995B1 - 단말 능력 기반 동적 srs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 능력 기반 동적 srs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995B1
KR102252995B1 KR1020190116654A KR20190116654A KR102252995B1 KR 102252995 B1 KR102252995 B1 KR 102252995B1 KR 1020190116654 A KR1020190116654 A KR 1020190116654A KR 20190116654 A KR20190116654 A KR 20190116654A KR 102252995 B1 KR102252995 B1 KR 102252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rs
base station
mode
control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834A (ko
Inventor
장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116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995B1/ko
Publication of KR20210034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RS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SA(Non Stand Alone) 5G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단말에서의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제어 방법은 제1 기지국과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SRB(Signaling Radio Bearer)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SRB를 통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캐퍼빌러티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질의 메시지에 포함된 IE(Information Element)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 적용된 표준 버전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표준 버전이 기준 버전 이상이면, CA-ParameterNR-v1550 IE가 포함된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 메시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 능력 기반 동적 SRS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ontrolling SRS based on UE Capability}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단말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시작 옵셋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SRS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 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 사업자는 망 확장에 따른 서비스 품질 보장 및 용이한 관리를 목적으로 서비스 별로 핵심망(Core Network)을 분리하여 운영할 수 있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4G (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인 LTE(Long Term Evolution)가 상용화된 이후 데이터 트래픽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3GPP는 보다 개선된 5통신 시스템인 5G(5th Generation) NR(New Radio) 시스템의 표준화를 진행해왔다.
5G 표준 시스템인 NR의 초기 상용화 단계에서, 이동 통신 사업자는 기존 LTE 서비스와 NR을 모두 지원하기 위한 NSA(Non Stand Alone) 시스템을 구축하여 5G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5G 시스템은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초고주파(mmWave) 대역 (일 예로, 60기가(60GHz) 대역)에서의 구현을 고려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3GPP에서는 5G 시스템과 관련하여 빔포밍(beamforming) 기술,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ulti-input multi-output: massive MIMO) 기술, 전차원 다중 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기술, 배열 안테나(array antenna) 기술,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forming) 기술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 등을 논의하고 있다.
또한, 3GPP 회원들 및 관련 업계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을 개발하고 있다.
LTE 시스템은 채널 추정 및 스케줄링을 위해 기준 신호를 사용한다.
기준 신호는 크게 하향 링크 기준 신호와 상향 링크 기준 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하향 링크 기준 신호는 기지국단에서 셀 내 또는 특정 단말로 전송하는 기준 신호이고, 상향 링크 기준 신호는 단말단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기준 신호이다.
LTE 시스템에서의 하향 링크 기준 신호는 디스커버리 참조 신호(Discovery Reference Signal:DRS)를 포함하고, DRS는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PSS), 세컨더리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 SSS) 및 셀 특정 기준 신호인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를 포함한다.
상향 링크 기준 신호는 크게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와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로 구분된다.
이하, NR 기준 신호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LTE 시스템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일종의 “one size fits all”이라 할 수 있는 하향 링크 기준 신호인 CRS(Cell-specific RS)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CRS의 사용은 망구성의 유연성을 제한하는 동시에 상당히 에너지 비효율적인 방법이다. 또한, CRS는 6G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에 적용하기 어려우며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 시스템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NR 시스템에서는 안정적인 트래킹 성능을 보장하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TRS(Tracking RS), 채널 추정을 위한 DM-RS(DeModulation RS) 및 CSI-RS(Channel Status Information RS), 고주파 대역의 위상 잡음 보상을 위한 PT-RS(Phase Tracking RS)라는 새로운 기준 신호(RS)들을 도입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과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응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빔 기간 통신을 위해 CSI-RS, SRS 등의 신호는 송수신 빔 스위칭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현재 3GPP 국제 표준 내에서 5G 표준 규격은 계속 유지 보수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3GPP는 1년에 4회의 총회가 개최되며, 표준 버전은 매 3개월 단위로 갱신된다.
공식적인 5G 1차 표준(Release 15)이 2018년 6월 공식적으로 릴리즈된 이후에도 표준화 멤버 및 업체들은 해당 표준의 오류를 찾아내어 지속적인 유지 보수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5G 상용화를 가장 빨리 시작한 한국의 경우, 표준 오류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네트워크에 적용된 표준 버전과 단말에 적용된 표준 버전이 상이한 경우, 심각한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실제 오류 정정 사항이 반영된 표준 버전이 릴리즈될 때마다 모든 단말의 버전을 최신 버전으로 한번에 갱신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따라서, 상용화 초기 단계에는 단말 버전-즉, 단말 능력-에 따라 적응적으로 예외 처리를 수행하여 오류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SRS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SRS 시작 옵셋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SRS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준 버전 간 SRS 시작 옵셋 정의가 불일치하여 발생되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SRS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네트워크에서 5G 단말에 적용된 표준 버전을 식별하고, 식별된 버전에 따라 적응적으로 SRS 시작 옵셋을 설정함으로써, 통신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SRS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SRS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SA(Non Stand Alone) 5G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단말에서의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제어 방법은 제1 기지국과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SRB(Signaling Radio Bearer)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SRB를 통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캐퍼빌러티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질의 메시지에 포함된 IE(Information Element)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 적용된 표준 버전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표준 버전이 기준 버전 이상이면, CA-ParameterNR-v1550 IE가 포함된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 메시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질의 메시지에 uecapabilityenquiry-v1550 IE가 포함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네트워크에 적용된 표준 버전이 기준 버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CA-ParameterNR-v1550 IE는 상기 단말이 비주기적인 CSI-RS(Channel State Indicator - Reference Signal)의 트리거링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aperiodic-CSI-diffSCS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aperiodic-CSI-diffSCS 필드 값은 “Supported”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단말은 5G 단말이고, 상기 제1 기지국은 4G LTE(Long Term Evolution) 기지국일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 메시지는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 제2 기지국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5G NR(New Radio) 기지국일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IE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적용된 표준 버전을 식별하고, 상기 단말에 적용된 표준 버전을 상기 기준 버전과 비교하여 SRS 시작 위치 변경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단말에 적용된 표준 버전이 상기 기준 버전 이상이면, 상기 SRS 시작 위치 변경 모드가 제1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제1 모드는 캐리어 컴포넌트(CC: Carrier Component) 내 상기 SRS의 시작 옵셋인 Nshift가 상기 SRS가 전송되는 BWP(Band-Width Part)의 시작 옵셋 BWPstart보다 작을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단말에 적용된 표준 버전이 상기 기준 버전보다 작으면, 상기 SRS 시작 위치 변경 모드가 제2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Nshift가 상기 BWPstart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제1 내지 제2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BWPstart의 기준점은 5G 무선 자원의 시작점인 Point A이고, 상기 제1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Nshift의 기준점은 상기 CC의 시작점이고, 상기 제2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Nshift의 기준점은 상기 Point 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4G LTE(Long Term Evolution) 기지국과 5G NR(New Radio) 기지국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의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제어 방법은 상기 4G LTE 기지국이 5G 단말과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SRB(Signaling Radio Bearer)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4G LTE 기지국이 상기 SRB를 통해 상기 5G 단말로 단말 캐퍼빌러티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4G LTE 기지국이 상기 5G 단말로부터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5G NR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5G NR 기지국이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IE(Information Element)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적용된 표준 버전을 식별하고, 상기 단말에 적용된 표준 버전을 기준 버전과 비교하여 SRS 시작 위치 변경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5G NR 기지국은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 메시지에 CA-ParameterNR-v1550 IE가 포함된 경우, 상기 SRS 시작 위치 변경 모드를 제1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질의 메시지에 uecapabilityenquiry-v1550 IE가 포함된 경우, 상기 5G 단말은 상기 시스템에 적용된 표준 버전이 상기 기준 버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CA-ParameterNR-v1550 IE가 포함된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CA-ParameterNR-v1550 IE는 상기 단말이 비주기적인 CSI-RS(Channel State Indicator - Reference Signal)의 트리거링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aperiodic-CSI-diffSCS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aperiodic-CSI-diffSCS 필드 값은 “Supported”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5G NR 기지국은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 메시지에 CA-ParameterNR-v1550 IE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SRS 시작 위치 변경 모드를 제2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제1 모드는 캐리어 컴포넌트(CC: Carrier Component) 내 상기 SRS의 시작 옵셋인 Nshift가 상기 SRS가 전송되는 BWP(Band-Width Part)의 시작 옵셋 BWPstart보다 작을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Nshift가 상기 BWPstart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제1 내지 제2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BWPstart의 기준점은 5G 무선 자원의 시작점인 Point A이고, 상기 제1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Nshift의 기준점은 상기 CC의 시작점이고, 상기 제2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Nshift의 기준점은 상기 Point 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상기한 SRS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 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 예로, 본 발명은 단말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SRS 시작 옵셋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SRS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들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실시 예로, 본 발명은 표준 버전 간 SRS 시작 옵셋 정의가 불일치하여 발생되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SRS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들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실시 예로,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서 5G 단말에 적용된 표준 버전을 식별하고, 식별된 버전에 따라 적응적으로 SRS 시작 옵셋을 설정함으로써, 통신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SRS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들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5G NR 사용을 지원하는 SA와 NSA(EN-DC) 시스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5G NSA 시스템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접속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SRS 시작 옵셋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RS 시작 옵셋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NSA 시스템에서의 SRS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은 4G 표준인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및(또는) 5G 표준인 NR(New Radio)에 기반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4G 표준 및 5G 표준에 정의된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다른 망-예를 들면, IoT망-의 디바이스들과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은 UE(User Equipment, 10), eNB(Evolved Node B, 20), S-GW(Serving Gateway, 30),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40),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50), HSS(Home Subscriber Server, 60), SPR(Subscriber Profile Repository, 70), OFCS(Offline Charging System, 80), OCS(Online Charging System, 90),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 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UE(10)는 LTE 및(또는) NR 표준을 따르는 사용자 단말로서, LTE Uu 인터페이스(15)를 eNB(2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LTE Uu 인터페이스(15)는 무선 인터페이스로서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 평면 및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평면이 정의된다.
실시 예에 따른 UE(10)는 NR 표준을 지원하는 기지국인 gNB 또는 LTE 및 NR 표준을 모두 지원하는 기지국인 en-gNB와도 연동될 수 있다.
eNB(20)는 UE(10)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무선 베어러 제어, 무선 수락 제어, 동적 무선 자원 할당, 부하 제어(Load balancing) 및 셀 간 간섭 제어 등과 같은 무선 자원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S-GW(30)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과 EPC(Evolved Packet Core)의 종단으로서, eNB(20)간 핸드오버 및 3GPP 시스템 간 핸드오버 시 앵커링 포인트(Anchoring point)가 된다. 여기서, E-UTRAN은 적어도 하나의 eNB(20)로 구성되며, EPC는 S-GW(30), P-GW(40) 및 MME(50)로 구성된다.
P-GW(40)는 UE(10)를 외부 PDN(Packet Data Network, 110)과 연결해주며 패킷 필터링(Packet filtering)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P-GW(40)는 UE(10)에게 IP 주소를 할당하고 3GPP 시스템과 non-3GPP 시스템 간 핸드오버 시 모빌리티 앵커링 포인트(Mobility anchoring point)로 동작한다.
특히, P-GW(40)는 PCRF(100)로부터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규칙을 수신하여, 이를 해당 서비스 흐름에 적용하며, UE(10)/SDF(Service Date Flow) 별 과금 기능을 제공한다.
MME(50)는 UE(10)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엑세스 제어 기능, 네트워크 자원 할당 기능, 트래킹(Tracking) 기능, 페이징(Paging) 기능, 로밍(roaming) 기능, 핸드오버(Handover)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MME(50)는 복수의 eNB(20)를 관리하고, 기존 2G/3G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위해 소정 시그널링을 수행하여 게이트웨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MME(50)는 HSS(60)와 연동하여 접속 UE(10)에 대한 인증 및 보안 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유휴 단말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MME(50)는 HSS(60)로부터 인증 벡터를 획득하고, 해당 인증 벡터를 이용하여 UE(10)와 상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MME(50)는 UE(10)와 MME(50) 사이의 보안을 위한 보안 키를 설정할 수 있다.
MME(50)의 또 다른 기능은 후술할 도면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HSS(60)는 사용자 프로파일(Subscriber profile)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서, MME(50)에게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사용자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SPR(70)은 PCRF(100)에게 가입자 및 가입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PCRF(100)는 상기 가입자 및 가입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 기반 PCC 규칙을 생성한다.
OFCS(80)는 CDR(Charging Data Record)기반의 과금 정보를 제공한다.
OCS(90)는 실시간 크래딧(Credit) 제어를 통해 용량(Volume), 시간(time), 이벤트(Event) 기반의 과금 기능을 제공한다.
PCRF(100)는 정책 및 과금 제어를 수행하는 엔터티로서 정책 제어 결정과 과금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PCRF(100)에서 생성된 PCC 규칙은 P-GW(40)로 전송된다.
실시 예에 따른 PCRF(100)와 P-GW(40)는 이동 사업자의 다양한 IP 서비스를 제공하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망과 연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LTE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들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LTE-Uu(15)는 UE(10)와 eNB(20)간의 무선 인터페이스로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을 제공한다.
S1-U(25)는 eNB(20)와 S-GW(30)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 평면을 제공한다. 이때, 베어러 별 GTP 터널링이 제공된다.
S5(35)는 S-GW(30)와 P-GW(40)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을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평면은 베어러 별 GTP 터널링을 제공하고, 제어 평면은 GTP 터널 관리를 제공한다.
SGi(45)는 P-GW(40)와 PDN(110) 간 인터페이스로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을 정의한다. 사용자 평면에서는 IETF 기반 IP 패킷 포워딩(Forwarding)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제어 평면에서는 DHCP와 RADIUS/Diameter와 같은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S11(55)는 MME(50)와 S-GW(30) 간 인터페이스로서 제어 평면이 정의되며, 베어러 당 GTP 터널링이 제공된다.
X2(65)는 두 eNB(20) 또는 서로 상이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를 지원하는 두 기지국 간 인터페이스로서,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을 제공한다. 제어 평면에서는 X2-AP 프로토콜이 사용되며, 사용자 평면에서는 X2 핸드오버 시 데이터 포워딩(Forwarding)을 위해 베어러 당 GTP(GPRS Tunneling Protocol) 터널링을 제공한다.
S6a(75)는 HSS(60)와 MME(50) 사이의 인터페이스로 제어 평면이 제공되며, UE 가입 정보 및 인증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Gx(85)는 PCRF(100)와 P-GW(40)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제어 평면이 정의되며, QoS(Quality of Service) 정책 및 과금 제어를 위한 정책 제어 규칙 및 과금 규칙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Sp(95)는 SPR(70)과 PCRF(100)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제어 평면이 정의되며, 사용자 프로파일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Gz(105)는 OFCS(80)와 P-GW(40)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제어 평면이 정의되며, P-GW(40)로부터 OFCS(80)로의 CDR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Gy(115)는 OCS(90)와 P-GW(40)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제어 평면이 정의되며, 실시간 크레딧(Credit) 제어 정보 교환을 위해 사용된다.
S1-AP(125)는 eNB(20)와 MME(50)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제어 평면이 정의되며, 이동성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 교환을 위해 사용된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5G NR 사용을 지원하는 SA와 NSA(EN-DC) 시스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GPP 표준 단체의 총회에서 5G 구조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2020년 이전 빠른 상용화 수요를 가진 국가의 통신 사업자들을 만족시켜야 한다는 요구와 새로운 서비스 창출이 가능한 표준 기술을 연구하고 만드는데 시간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제기되었다.
이 두 가지 상반된 요구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구조 후보안들이 논의되었고, 논의 결과 빠른 상용화를 원하는 사업자를 위한 새로운 NR(New Radio) 기술을 기존 LTE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여 LTE 커버리지와 NR 커버리지를 동시에 제공하는 Non Standalone (NSA) 구조 (상기 도 2의 (b))와 NR 커버리지만을 제공하는 Stand Alone (SA) 구조 (상기 도 2의 (a))가 도입되었다.
상기 도 2의 5G NR 사용을 지원하는 SA 시스템과 NSA 시스템에는 다음의 세 가지 종류의 기지국 타입이 정의될 수 있다.
1) eNB: LTE 기술과 EPC(Enhanced Packet Core)와의 연동을 지원하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
2) gNB: NR 기술 및 5G Core와의 연동을 지원하는 차세대 기지국
3) en-gNB: NR 기술 및 5G Core와의 연동을 지원하면서 동시에 LTE 시스템의 코어인 EPC와 기지국인 eNB와 연동되는 새로운 형태의 기지국
상기 세가지 기지국 타입 중 gNB는 상기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5G SA 구조에서만 사용된다.
이는 5G SA구조에서는 UE가 NR 기술로 제어하는 gNB의 리소스만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5G NSA 구조에서의 UE는 LTE 기술을 지원하는 eNB의 리소스뿐만 아니라 eNB와 EPC와 연동하면서 NR 기술을 지원하는 en-gNB의 리소스도 사용한다.
상기 도 2의 (b)와 같이, 하나 이상의 RX/TX를 지원하는 단말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이 제어하는 리소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기술을 Dual Connectivity (DC)라고 부르는데 5G NSA 구조는 3GPP 표준 단체에서 정의한 DC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5G NSA 시스템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5G NSA 시스템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현재 3GPP 표준상의 5G NSA 구조는 NR을 Master Node(MN) 또는 Secondary Node(SN)에서 이용하는 것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코어 네트워크도 5G Core 또는 EPC를 이용하는 것도 지원한다.
표준은 여러 가지 조합의 NSA 구조를 지원하도록 정의되어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EPC와 LTE Macro 기지국으로 구성된 LTE 시스템을 전국망으로 사용 중인 통신 사업자의 경우, 기존 LTE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하는 조합의 구조를 빠른 5G 상용화를 위해 고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 예로, 5G NSA 구조는 LTE 시스템의 EPC를 코어 네트워크로 사용하고, LTE 기지국인 eNB를 MN으로 사용하고 NR 기지국인 en-gNB를 SN으로 사용하는 상기 도 4의 구조일 수 있다.
MN으로 동작하는 eNB는 LTE 시스템의 Core인 EPC의 컨트롤 엔티티 MME와 S1-MME 컨트롤 커넥션을 생성하여 MME와 UE가 NAS(Nan Access Stratum)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중계할 수 있다.
NAS 계층은 제어 평면의 가장 상위 계층으로서, MME와 UE 사이의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NAS 메시지는 위치 등록 메시지 및 핸드오버 메시지와 같은 이동성 관리 메시지(Mobility Management Message), 세션 설정 및 해지와 관련된 세션 관리 메시지(Session Management Message), 가입자 인증 및 메시지 보안과 관련된 인증 및 보안 관련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eNB는 LTE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UE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생성하고, RRC 연결에 기반한 RRC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SN으로 동작하는 en-gNB는 EPC와 연관되는 컨트롤 커넥션 및 NAS 메시지 중계에는 관여하지 않고 높은 용량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추가적인 데이터 커넥션에만 관여할 수 있다.
추가적인 데이터 커넥션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en-gNB는 MN인 eNB와 달리 하기의 두 가지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EPC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첫번째 경로는 eNB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PGW/SGW<-->eNB<-->en-gNB 연결 경로일 수 있다.
이 경로에서 MN인 eNB는 LTE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직접 UE로 보내는 제1 데이터와 en-gNB를 통해 NR 자원을 이용하여 UE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데이터를 나누는 분할 노드(Split Node)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두번째 경로는 PGW/SGW와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PGW/SGW<-->en-gNB 연결 경로이다.
이 경로에서 SGW는 eNB를 통해 UE와 송수신하는 제1 데이터와 en-gNB를 거쳐서 UE와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를 나누는 분할 노드(split Node)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SN과 EPC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에 상기한 두 연결 경로 중 어느 경로가 이용될지는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접속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UE(410)는 eNB(420)로부터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에 따라 RACH(Random Access Channel) 메시지를 전송하여 LTE RRC 연결 설정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S401). 여기서, 시스템 정보는 하나의 MIB(Master Information Block)과 다수의 SIB(System Information Block)으로 구성될 수 있다.
MIB 및 SIB에 대한 설명은 3GPP TS 36.331에 개시된 내용으로 대체한다.
LTE RRC 연결 설정 절차가 완료되면 UE(410)와 eNB(420) 사이에는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SRB(Signaling Radio Bearer)가 설정된다.
UE(410)는 설정된 SRB를 이용하여 접속 요청(Attach Request) 메시지를 MME(430)에 전송할 수 있다(S402).
이때, LTE eNB(420)는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동안 NR 링크를 가지고 기본 무선 베어러(DRB: Default Radio Bearer)를 설정하지 않는다.
UE(410)와 MME(430)는 소정 NAS(Non Access Stratum) 메시지를 통해 MME(430)와 인증 및 보안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403). 여기서, NAS 메시지는 UE(410)와 MME(430) 사이에서 교환되는 제어 메시지를 통칭한다.
인증 및 보안 절차가 완료되면, MME(430)는 eNB(420)에 초기 컨텍스트 설정 요구 메시지(Initial Context Setup Request Message)를 전송할 수 있다.
eNB(420)는 단말 캐퍼빌러티 질의(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를 UE(410)에 전송할 수 있다(S404).
UE(410)는 기 수신된 시스템 정보에 따라 측정 절차를 수행하고,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를 생성하여 MME(430)에 전송할 수 있다.
MME(430)는 측정 보고 메시지를 통해 UE(410)가 NR 커버리지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410)은 RAT(Radio Access Technology) 타입을 식별하고, 식별된 RAT 타입에 따라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를 생성하여 MME(430)에 전송할 수 있다(S405).
여기서,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는 단말의 NR 캐퍼빌러티 정보 및(또는) 기존 LTE 캐퍼빌러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E(410)와 eNB(420)는 소정 LTE RRC 연결 재설정 절차(LTE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Procedure)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RB(Radio Bearer)를 설정할 수 있다(S406).
MME(430)는 RB가 설정이 완료되면, 접속 수락(Attach Accept) 메시지 및 기본 베어러 활성화 요청(Activate Default Bearer Request) 메시지를 UE(410)에 전송할 수 있다(S407).
UE(410)는 기본 베어러를 활성화시킨 후 접속 완료(Attach Complete) 메시지 및 기본 베어러 활성화 컨텍스트 수락(Activate Default Bearer Context Accept) 메시지를 MME(430)에 전송할 수 있다(S408).
UE(410)가 NSA 5G 단말인 경우, UE(410)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도 4와 같은 LTE eNB(420)를 통해 초기 접속 절차를 개시하여 RRC 연결 설정을 완료하고, RRC 연결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LTE eNB(420)로부터 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를 MME(430)에 제공한다.
이때, UE(410)는 LTE 서비스뿐만 아니라 NR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기존 LTE 캐퍼빌러티 정보뿐만 아니라 NR 캐퍼빌러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는 해당 네트워크에서 제공 가능한 RAT 타입 정보(520)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버전 정보(510)가 포함될 수 있다.
도면 번호 510을 참조하면, 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는 릴리즈된 버전 별 추가된 기능이 구분될 수 있도록, 버전 별 IE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도면 번호 510은 네트워크가 V1510, V1530 및 V1550을 지원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여기서, V1550은 네트워크에 적용된 가장 최신 버전으로서, 3GPP Release 15.5.0을 의미한다.
3GPP 표준 규격이 개정됨에 따라 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에 포함되는 버전은 추가될 수 있다.
UE는 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를 통해 접속된 네트워크에서 제공 가능한 표준 버전 및 RAT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는 SRB를 통해 AM(Acknowledgement Mode)로 UE에서 네트워크-예를 들면, E-UTRAN(LTE 기지국)-로 전송된다.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는 전용 제어 채널인 DCCH(Dedicated Control Channel)를 매핑되어 MME에 전달되는 NAS 메시지이다.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는 도면 번호 601 내지 6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즈 버전과 넘버링이 표기된 적어도 하나의 IE(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는 공표된 표준 버전 별 추가된 기능이 쉽게 식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SRS 시작 옵셋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NR은 LTE에 비해서 매우 넓은 광대역상에서 동작하는 기술이며 유연한 광대역 운영 방식을 지원하기 위해 LTE와는 다른 여러 가지 설계 원칙을 가진다.
첫째, 네트워크와 단말이 지원하는 대역폭의 능력이 다를 수 있다.
둘째, 단말이 지원하는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대역폭 능력이 다를 수 있다.
셋째, 각 단말이 지원하는 대역폭의 능력이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네트워크 주파수 대역 내에 서로 다른 대역폭을 지원하는 단말들이 공존할 수 있다.
넷째,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단말의 트래픽 부하 상태에 따라 단말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설계 원칙을 만족시키기 위해 NR 표준은 기존 LTE의 주파수 결합(Carrier Aggregation) 방식에 추가하여 BWP(Band-Width Part) 운영 방식을 새롭게 도입하였다.
BWP 운영 방식은 다음의 특징을 가진다.
각각의 단말이 지원하는 대역폭 관련 능력이 다르며, 네트워크 입장에서의 캐리어 대역폭과 단말 입장에서의 캐리어 대역폭이 다를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단말 별 캐리어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각 캐리어 내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BWP가 구성될 수 있다.
NR 초기 버전인 Phase 1 NR 표준에서는 단말 입장에서 한 캐리어 내에 한 시점에 하나의 BWP만 활성화될 수 있음을 가정한다.
단말의 전력 소모량을 줄이기 위해 BWP의 주파수 대역폭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단말은 1개 이상의 BWP를 설정 받고, 이 가운데 하나의 BWP를 동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 내에 활성화된 BWP 내에서 단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BWP는 크게 상향 링크 BWP와 하향 링크 BWP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은 최대 4개의 carrier bandwidth part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은 활성화된 하향 링크 BWP에서만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CSI-RS 및 TRS(Tracking Reference Signal)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활성화된 상향 링크 BWP에서만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또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화된 BWP 내에서 단말은 제어 채널 모니터링, CSI 피드백.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전송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RS는 단말이 기지국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레퍼런스 신호로 네트워크에서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SRS에 기초하여 해당 주파수 대역의 상향 링크 무선 채널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하나의 BWP는 일련의 연속된 PRB(Physical Resource Block)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7은 2019년 03월 이전의 3GPP 표준에 의해 지원되는 SRS 시작 옵셋 설정 방법을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Point A는 5G 무선 자원-즉, resource block grids-의 시작점-공통 기준점(common reference point)-을 의미하고, Point A는 캐리어 대역폭인 CC와 동일한 시작점을 가질 수 있다.
BWPstart는 Point A 또는 CC의 시작점으로부터 BWP의 시작점까지의 옵셋을 의미한다.
Nshift는 Point A의 시작점으로부터 BWP 내 SRS의 시작점까지의 옵셋을 의미한다. 여기서, Nshift는 0에서 268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정의에 따르면, Nshift는 항상 BWPstart보다 크거나 같게 된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RS 시작 옵셋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세하게 도 8은 2019년 03월 이후의 3GPP 표준에 의해 지원되는 SRS 시작 옵셋 설정 방법을 보여준다.
3GPP 2019년 3월 총회에서 승인된 CR(change request) 문서인 RP-190773는 기존 RP-190219 문서의 개정본으로 “SRS 시작 위치 변경”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도 8은 RP-190773 문서에서 제안된 SRS 시작 위치 사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Point A는 5G 무선 자원-즉, resource block grids-의 시작점-공통 기준점(common reference point)-을 의미하고, Point A는 캐리어 대역폭인 CC와 동일한 시작점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BWPstart는 Point A의 시작점으로부터 BWP의 시작점까지의 옵셋을 의미하고, Nshift는 CC의 시작점으로부터 BWP 내 SRS의 시작점까지의 옵셋을 의미한다.
여기서, Nshift는 0에서 268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 8의 실시 예에 따르면, Nshift는 항상 BWPstart보다 작게 된다.
상기 도 8의 SRS 시작 옵셋에 대한 정의는 상기 도 7에서의 정의와 상충된다.
도 8에 따른 방법은 기존 5G 표준이 고려하지 못한 예외 상황을 보완하는 좋은 제안이기 하지만, 한국처럼 이미 2018년 12월 버전과 그 이전 버전으로 5G 상용 서비스를 개시한 입장에서는 향후 기지국과 단말의 업그레이드를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전국 기지국과 전국에 팔린 모두 5G 단말이 모두 RP-190773의 제안대로 구현되지 있지 않으면, 일부 단말에서 오류가 발생될 있다.
또한, 네트워크가 어떠한 5G 단말이 RP-190773의 제안대로 구현되어 있는지 정확히 식별하지 못할 경우 도 8과 같은 설정을 단말에 해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네트워크가 RP-190773의 제안대로 구현되고, 네트워크가 5G 단말에 탑재된 버전을 식별할 수 없는 경우, 다양한 BWP 위치에 상응하는 SRS 시작 지점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불가할 수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가 상향 링크 무선 채널 상태를 정확하게 추정하지 못하게 하여 통신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NSA 시스템에서의 SRS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5G 단말(910)은 4G LTE 기지국인 eNB(920)와 LTE 기본 Attach 절차를 수행하여 SRB를 생성할 수 있다(S901).
5G 단말(910)은 설정된 SRB를 통해 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902).
5G 단말(910)은 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에 포함된 IE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 적용된 표준 버전을 식별할 수 있다(S903).
일 예로, 5G 단말(910)은 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에 uecapabilityenquiry-v1550 IE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여 네트워크에 적용된 표준을 식별할 수 있다.
5G 단말(910)은 식별된 표준 버전을 기준 버전과 비교할 있다(S904). 여기서, 기준 버전은 RP-190773의 CR이 최초 적용된 표준 버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준 버전은 V1550일 수 있다.
5G 단말(910)은 식별된 표준 버전이 기준 버전 이상이면, aperiodic-CSI-diffSCS 필드가 포함된 CA-ParameterNR-v1550 IE 생성할 수 있다(S905).
여기서, aperiodic-CSI-diffSCS는 단말이 비주기적인 CSI-RS의 트리거링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필드이다.
5G 단말(910)은 aperiodic-CSI-diffSCS 필드 값을 “supported”로 설정할 수 있다(S906).
5G 단말(910)은 CA-ParameterNR-v1550 IE가 포함된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라 명함”-를 eNB(920)에 전송할 수 있다(S907).
eNB(920)는 수신된 제1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를 5G NR 기지국인 en-gNB(930)로 전송할 수 있다(S908).
상기한 904 단계에서 식별된 표준 버전이 기준 버전 이전의 표준 버전인 경우, 5G 단말(910)은 CA-ParameterNR-v1550 IE가 포함되지 않은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라 명함”-를 eNB(920)에 전송할 수 있다(S909).
eNB(920)는 수신된 제2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를 5G NR 기지국인 en-gNB(930)로 전송할 수 있다(S910).
en-gNB(930)는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에 포함된 IE에 기초하여 식별된 단말 버전이 기준 버전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911).
일 예로, en-gNB(930)는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에 CA-ParameterNR-v1550 IE가 포함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단말 버전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911 단계의 판단 결과, 식별된 단말 버전이 기준 버전 이상인 경우, en-gNB(930)는 버전 식별된 단말의 셀 내 고유 식별자-예를 들면,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상응하는 SRS 시작 위치 설정 모드를 제1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S912). 여기서, 제1 모드는 상술한 도 8에 따른 SRS 시작 옵셋 설정 방법으로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911 단계의 판단 결과, 식별된 단말 버전이 기준 버전 이상인 경우, en-gNB(930)는 버전 식별된 단말의 셀 내 고유 식별자-예를 들면,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상응하는 SRS 시작 위치 설정 모드를 제2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S913). 여기서, 제2 모드는 상술한 도 7에 따른 SRS 시작 옵셋 설정 방법으로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한 도 9의 실시 예는 NSA 시스템을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SA 시스템의 4G LTE 기지국의 역할을 5G NR 기지국이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함"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함"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방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해당 장치에 다운로드되어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NSA(Non Stand Alone) 5G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단말에서의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기지국과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SRB(Signaling Radio Bearer)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SRB를 통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캐퍼빌러티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질의 메시지에 포함된 IE(Information Element)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 적용된 표준 버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표준 버전이 기준 버전 이상이면, CA-ParameterNR-v1550 IE가 포함된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 메시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SRS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질의 메시지에 uecapabilityenquiry-v1550 IE가 포함된 경우, 상기 네트워크에 적용된 표준 버전이 기준 버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말에서의 SRS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A-ParameterNR-v1550 IE는 상기 단말이 비주기적인 CSI-RS(Channel State Indicator - Reference Signal)의 트리거링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aperiodic-CSI-diffSCS 필드를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SRS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periodic-CSI-diffSCS 필드 값은 “Supported”로 설정되는 단말에서의 SRS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5G 단말이고, 상기 제1 기지국은 4G LTE(Long Term Evolution) 기지국인 단말에서의 SRS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 메시지는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 제2 기지국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5G NR(New Radio) 기지국인 단말에서의 SRS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IE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적용된 표준 버전을 식별하고, 상기 단말에 적용된 표준 버전을 상기 기준 버전과 비교하여 SRS 시작 위치 변경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SRS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적용된 표준 버전이 상기 기준 버전 이상이면, 상기 SRS 시작 위치 변경 모드가 제1 모드로 결정되는 단말에서의 SRS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캐리어 컴포넌트(CC: Carrier Component) 내 상기 SRS의 시작 옵셋인 Nshift가 상기 SRS가 전송되는 BWP(Band-Width Part)의 시작 옵셋 BWPstart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SRS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적용된 표준 버전이 상기 기준 버전보다 작으면, 상기 SRS 시작 위치 변경 모드가 제2 모드로 결정되는 단말에서의 SRS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Nshift가 상기 BWPstart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SRS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2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BWPstart의 기준점은 5G 무선 자원의 시작점인 Point A이고,
    상기 제1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Nshift의 기준점은 상기 CC의 시작점이고,
    상기 제2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Nshift의 기준점은 상기 Point 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SRS 제어 방법.
  13. 4G LTE(Long Term Evolution) 기지국과 5G NR(New Radio) 기지국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의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4G LTE 기지국이 5G 단말과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SRB(Signaling Radio Bearer)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4G LTE 기지국이 상기 SRB를 통해 상기 5G 단말로 단말 캐퍼빌러티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4G LTE 기지국이 상기 5G 단말로부터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5G NR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5G NR 기지국이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IE(Information Element)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적용된 표준 버전을 식별하고, 상기 단말에 적용된 표준 버전을 기준 버전과 비교하여 SRS 시작 위치 변경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의 SRS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5G NR 기지국은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 메시지에 CA-ParameterNR-v1550 IE가 포함된 경우, 상기 SRS 시작 위치 변경 모드를 제1 모드로 결정하는 시스템에서의 SRS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질의 메시지에 uecapabilityenquiry-v1550 IE가 포함된 경우, 상기 5G 단말은 상기 시스템에 적용된 표준 버전이 상기 기준 버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CA-ParameterNR-v1550 IE가 포함된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에서의 SRS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CA-ParameterNR-v1550 IE는 상기 단말이 비주기적인 CSI-RS(Channel State Indicator - Reference Signal)의 트리거링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aperiodic-CSI-diffSCS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aperiodic-CSI-diffSCS 필드 값은 “Supported”로 설정되는 시스템에서의 SRS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5G NR 기지국은 상기 단말 캐퍼빌러티 정보 메시지에 CA-ParameterNR-v1550 IE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SRS 시작 위치 변경 모드를 제2 모드로 결정하는 시스템에서의 SRS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캐리어 컴포넌트(CC: Carrier Component) 내 상기 SRS의 시작 옵셋인 Nshift가 상기 SRS가 전송되는 BWP(Band-Width Part)의 시작 옵셋 BWPstart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서의 SRS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Nshift가 상기 BWPstart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서의 SRS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2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BWPstart의 기준점은 5G 무선 자원의 시작점인 Point A이고,
    상기 제1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Nshift의 기준점은 상기 CC의 시작점이고,
    상기 제2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Nshift의 기준점은 상기 Point 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서의 SRS 제어 방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190116654A 2019-09-23 2019-09-23 단말 능력 기반 동적 srs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52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654A KR102252995B1 (ko) 2019-09-23 2019-09-23 단말 능력 기반 동적 srs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654A KR102252995B1 (ko) 2019-09-23 2019-09-23 단말 능력 기반 동적 srs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834A KR20210034834A (ko) 2021-03-31
KR102252995B1 true KR102252995B1 (ko) 2021-05-18

Family

ID=7523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654A KR102252995B1 (ko) 2019-09-23 2019-09-23 단말 능력 기반 동적 srs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9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313B1 (ko) * 2021-10-05 2023-04-03 주식회사 블랙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해서 인액티브 상태에서 사운딩기준신호 전송을 중지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72514B1 (ko) * 2021-10-05 2022-11-30 주식회사 블랙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해서 인액티브 상태에서 사운딩기준신호 전송을 중지하고 연결재개절차를 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875A1 (ko) * 2015-09-16 2017-03-23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9847B (zh) * 2011-07-29 2023-11-24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多无线电接入技术无线系统中的无线电资源管理的方法和设备
EP3840251B1 (en) * 2012-05-14 2023-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KR102365997B1 (ko) * 2017-03-09 2022-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능력을 전달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221346B1 (ko) * 2017-03-16 2021-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정보 블록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875A1 (ko) * 2015-09-16 2017-03-23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834A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8088B2 (ja) Bwp内の参照信号を利用してrsrqを測定する方法及びこれを実行する端末
US10952257B2 (en) Access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performing same
US1098001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ccess on basis of common resource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202252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e subscription through e2 interface in radio access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US11716122B2 (en) Beam management enhancement for FR2 with V-Pol/H-Pol virtualization
CN110574307A (zh) 无线电通信网络中的用户设备、基站及方法
EP40447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e subscription, using e2 interface in wireless access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038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2 interface configuration including cell information in wireless access network
US202202794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operator-specific service in wireless access network
US20220330070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performa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99670B2 (en) Method for configuring interfa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wireless access technologie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KR20210042040A (ko)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서 e2 인터페이스를 통한 서비스 가입 이벤트의 릴레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52995B1 (ko) 단말 능력 기반 동적 srs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220264508A1 (en) Multi-access packet data unit sessions for local area data networks
US20220232508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laying service registration event via e2 interface in wireless access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CN116530207A (zh) 用于控制无线通信系统中的e2节点的装置和方法
EP4295635A1 (en) Multi-access packet data unit sessions for local area data networks
KR20210073414A (ko) 무선 접속 망에서 셀 정보를 포함하는 e2 인터페이스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968563B2 (en) Inter-system and event-triggered mobility load balancing
US20230262638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2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87166B1 (ko) 5g nsa 환경에서의 베어러 설정 방법 및 장치
CN116830775A (zh) 用于局域数据网络的多址分组数据单元会话
WO2023147223A1 (en) Interworking function selection accounting for supported network slices
WO2024028831A1 (en) Exchanging a network slice initiated by an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CN117979376A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