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717A - 내공식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Google Patents

내공식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717A
KR20180059717A KR1020160176117A KR20160176117A KR20180059717A KR 20180059717 A KR20180059717 A KR 20180059717A KR 1020160176117 A KR1020160176117 A KR 1020160176117A KR 20160176117 A KR20160176117 A KR 20160176117A KR 20180059717 A KR20180059717 A KR 20180059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austenitic stainless
carbon
corrosion resistance
nit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3403B1 (ko
Inventor
하헌영
이태호
장재훈
박준영
문준오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80059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와 질소를 모두 다량 포함하는 고침입형 원소를 함유하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에서 우수한 공식저항성을 가지면서도, 강도 및 연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서, 중량%로, 크롬(Cr): 15~19%, 망간(Mn): 9~11%, 탄소(C): 0.18~0.3%, 질소(N): 0.25~0.3%, 니오븀(Nb): 0.1~0.3%, 실리콘(Si): 0.3% 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공식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PITTING CORROSION RESISTANCE}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공식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리스강은 미세조직에 따라서 크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2상 스테인리스강으로 분류된다.
이 중, 상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주로 Fe-Cr-Ni 원소로 구성되며 합금으로 가공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강종이다. 그러나 Ni 의존도가 높아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Ni을 Mn, N, C 등의 경제적인 오스테나이트 형성 원소로 대체한 강종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C 및 N이 복합 첨가된 스테인리스강은 C 및 N의 높은 함량으로 인하여, Cr2N, Cr23C6 등 크롬계 탄화물 혹은 질화물의 석출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크롬계 탄화물 혹은 질화물의 경우, 공식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C 함량을 0.05중량% 정도로 낮추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 강도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Si, Cr, Ni 등의 과다 첨가가 요구된다.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서는 중량 퍼센트(wt%)로, C: 0.06% 이하, Si: 0.5~3.0%, Mn: 1.5% 이하, Cr: 21~23%, Ni: 9~11%, Nb: 0.1~0.5%, N: 0.1 ~ 0.25%, W: 0.1 ~ 1.0% 이고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내공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의 경우, 낮은 탄소 및 망간 함량과 더불어 높은 Si, Cr, Ni 함량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높은 니켈 함량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의 가격을 크게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특허문헌 1 :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2376호(2016.07.0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와 질소를 모두 다량 포함하는 고침입형 원소를 함유하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에서 우수한 공식저항성을 가지면서도, 강도 및 연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크롬(Cr): 15~19%, 망간(Mn): 9~11%, 탄소(C): 0.18~0.3%, 질소(N): 0.25~0.3%, 니오븀(Nb): 0.1~0.3%, 실리콘(Si): 0.3% 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탄소(C)와 질소(N)의 합산 함량이 0.47중량%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니오븀과 탄소의 원자개수 비율(Nb/C)이 4~2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는 인(P): 0.005중량% 이하, 황(S) : 0.005중량% 이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 중에서 니오븀과 결합되지 않는 자유 탄소(Free C)의 비율이 8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평균 결정립 지름이 10~16㎛이고, 인장강도와 연신율의 곱이 60,000 MPa·%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58% 이상의 연신율 및 0.36VSCE 이상의 공식전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초정(primary) NbC의 부피분율이 3 vol%을 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탄소와 질소를 모두 포함하는 고침입형원소 함유 스테인리스강으로서, 내공식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Nb를 활용함으로써 결정립을 미세화하고 강도 및 연성이 향상된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험 결과, 특정 Nb 범위에서 공식저항성 및 연신율이 최대가 되는 구간이 발견되었다. 이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의 고유한 특성으로 볼 수 있다.
도 1은 초정 NbC의 사진 및 EDS 맵핑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니오븀 함량 증가에 따른 초정 NbC 부피분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각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Nb 함량에 따른 결정립크기,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 연신율 × 인장강도, 그리고 공식저항성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탄소 및 질소 복합첨가 스테인리스강은 탄소 및 질소의 함량이 높다. 이에 따라, Cr2N, Cr23C6 등 크롬계 탄화물 또는 크롬계 질화물의 석출 위험이 높다. 이들 크롬계 탄질화물은 모재 내 크롬의 국부적인 고갈을 초래하여 내식성, 기계적 특성 등 제반 물성의 저하를 일으킨다.
따라서, 크롬계 탄질화물 형성 방지를 위하여 균질화 열처리 온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경우, 결정립 조대화를 가져오게 된다. 결정립 조대화는 기계적 특성의 저하 및 가공 후 표면품질 저하를 야기할 수 있으며, 또한 공식저항성의 저하를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탄소 및 질소 복합첨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있어서, 강의 결정립 미세화를 위하여 강력한 탄질화물 형성원소인 Nb를 소량 활용하였다.
Nb 함량 증가에 따라 결정립은 효과적으로 미세화된다. 그러나,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결정립 미세화 효과는 0.3 wt% 이상의 Nb 첨가에서는 두드러지지 않는다. 또한, Nb 함량 증가에 따라 NbC의 형성 및 분율이 증가하므로, 결과적으로 모재의 불균질성 증가로 인한 공식저항성 저하가 우려되며, 연신율의 선형 감소가 우려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스틸의 경우, 도 3을 참조하면, 제조 합금 평가 결과 Nb 함량이 0.2 wt%까지 증가하면 공식저항성이 오히려 향상되는 효과를 얻고(부동태 피막 강화 효과), 연신율의 경우 Nb 함량이 0.3 wt%까지 증가하면 상승되는 역-V curve를 나타내었다.
이에 결정립 미세화 및 물성 향상의 최대치를 가져올 수 있는 Nb 함량은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서 0.1~0.3중량%임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크롬(Cr): 15~19%, 망간(Mn): 9~11%, 탄소(C): 0.18~0.3%, 질소(N): 0.25~0.3%, 니오븀(Nb): 0.1~0.3%, 실리콘(Si): 0.3% 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포함되는 각 성분들의 역할 및 함량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Cr(크롬)
Cr은 스테인리스강의 부동태 피막 형성을 촉진하는 원소로 특히 내식성 향상에 필수적인 원소이다. 또한 질소 고용도 향상에 효과적이므로, 강 내 안정적인 질소 용해도 향상을 도모하고 내식성 향상을 위해 15중량% 이상 함유가 효과적이나, 19중량%를 초과하여 과도하게 함유할 경우 δ-ferrite의 형성으로 오스테나이트 상안정도 저하 및 열간가공성의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Mn(망간)
Mn은 강도 증대 및 오스테나이트 안정화에 기여하는 경제적인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 망간은 9~11중량%로 포함된다. Mn이 9중량% 미만일 경우, 오스테나이트 상 형성능 부족으로 인해 오스테나이트 단상을 얻기 어려우며, 또한 N 고용도 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본 강종에서는 9중량% 이상을 포함한다. 그러나 Mn은 Mn 산화물 등을 형성할 수 있어서 내식성 저하를 가져오며, 또한 고용상태의 Mn 역시 부동태 특성을 열화시키고 공식저항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그 함량은 11중량%로 제한한다.
C(탄소)
C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강도 향상에 유효하며 경제적이면서도 강력한 오스테나이트 상안정화 원소이며 고용강화에 의해 강도를 현저히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용상태의 C는 공식저항성을 향상시킴이 보고된 바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C의 함량을 0.18중량% 이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C의 함량이 0.3중량%를 초과할 경우, Cr-탄화물 형성이 용이해지므로 내식성에 유효한 고용 Cr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탄화물 형성 방지를 위한 균질화 열처리 온도가 높아져야 하며 열처리 중 탄화물 형성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그 상한을 0.3중량%으로 제한한다.
N(질소)
N는 0.25중량% 이상 포함될 경우,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시키는 원소로 Ni을 대체할 수 있고 강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질소는 고용강화에 의해 강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연성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질소 함량이 0.3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질화물 형성 방지를 위한 균질화 열처리 온도가 높아져야 하며, Cr 질화물 형성으로 인성 저하 및 용접성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Nb(니오븀)
Nb는 강력한 탄화물 형성원소로, MX-type의 탄화물을 형성하여 상온 및 고온 강도 및 열피로 특성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미세 형성된 MX type의 탄화물은 결정립의 이동을 방해하므로 결정립 미세화에 효과적이다. 이 효과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Nb를 0.1중량% 이상 첨가하였다. 그러나 Nb 함량이 0.3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초정 NbC의 형성이 촉진되고 또한 NbC의 크기가 조대해지는 단점이 있어, 가공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Si(실리콘)
Si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서 탈산제로 주로 활용된다. 다만, Si 함량이 0.3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강의 인성과 관련된 기계적 특성을 크게 감소시키고 또한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강의 용접성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경우, 니켈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가의 니켈을 포함하지 않음에 따라, 강 제조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스케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경우, 탄소 및 질소가 다량 복합 첨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C)와 질소(N)의 합산 함량이 0.47중량%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니오븀과 탄소의 원자개수 비율(Nb/C)이 4~2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는 인(P): 0.005중량% 이하, 황(S) : 0.005중량% 이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 중에서 니오븀과 결합되지 않는 자유 탄소(Free C)의 비율이 8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평균 결정립 지름이 10~16㎛이고, 인장강도와 연신율의 곱이 60,000 MPa·%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58% 이상의 연신율 및 0.36V 이상의 공식전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탄소와 질소를 모두 포함하는 고침입형원소 함유 스테인리스강에서 Nb를 활용,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예와 같은 NbC 정출상을 활용하여 결정립을 미세화할 수 있으면서도 강도 및 연성이 향상된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Nb 범위, 즉 0.1~0.3중량%의 Nb 함량에서 공식저항성 및 연신율이 최대가 되는 구간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기존 관련 연구결과에서 보고되지 않은 현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이나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예를 들어, 1200~1250℃에서 약 1시간 이상의 균질화 열처리, 1000℃ 이상의 마무리 압연온도 조건으로 열간압연 및 1차 냉각, 균질화 열처리 온도(1050℃ 이상)에서 0.5~1시간 정도의 고용화 열처리, 석출상 형성 방지를 위한 워터 퀀칭(water quenching)과 같은 2차 냉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표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강 시편의 합금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 1에서 자유 탄소(Free C)는 NbC를 형성하지 않는 C의 함량(wt%)을 의미한다.
[표 1] (단위 : 중량%)
Figure pat00001
표 1의 조성을 갖는 각 시편의 주조재를 1200℃에서 1시간 균질화 열처리하고, 이를 1000℃ 마무리 압연 온도 조건으로 40 % 이상의 압하율로 열간압연한 후 이를 상온까지 냉각하였다. 이후, 각 시편의 균질화 열처리 온도 구간인 1100℃ 이상의 온도에서 1시간 열처리하고, 이를 상온까지 워터 퀀칭하여 각 시편을 제조하였다.
도 1은 초정 NbC의 사진 및 EDS 맵핑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니오븀 함량 증가에 따른 초정 NbC 부피분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초정 NBC 부피분율은 EDS 맵핑 결과를 토대로 얻었다.
도 2를 참조하면, Nb 첨가량이 0.3중량% 이하일 때 초정 NbC 부피분율이 3vol% 이하인 것을 볼 수 있으며, Nb 첨가량이 0.3중량%를 초과할 경우 부피 분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조대한 초정 NbC 부피분율의 급격한 증가는 공식저항성 및 연신율의 저하를 가져오므로, Nb의 첨가량은 본 합금계에서 0.3 중량%로 한정하였다.
표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각 시편의 물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은 각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Nb 함량에 따른 결정립크기,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 연신율 × 인장강도의 곱, 그리고 공식저항성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2 및 도 3을 참조하면, Nb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결정립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안정한 초정 NbC의 미세분산에 의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Nb를 0.3 중량% 넘게 첨가하더라도 더 이상 효과가 증대하지 않는데, 이는 과량 첨가된 Nb가 결정립을 미세화할 수 있는 미세 NbC의 형성 보다는 조대한 초정 NbC의 형성에 사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을 제외한 실시예 1~2, 실시예 4~6의 경우 Nb와 결합되지 않은 C, 즉 자유 탄소 비율이 80% 이상인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높은 자유 탄소 비율 역시 강도 및 내공식성 강화에 일부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중량%로, 크롬(Cr): 15~19%, 망간(Mn): 9~11%, 탄소(C): 0.18~0.3%, 질소(N): 0.25~0.3%, 니오븀(Nb): 0.1~0.3%, 실리콘(Si): 0.3% 이하를 포함하고, 나머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2. 제1항에 있어서,
    탄소(C)와 질소(N)의 합산 함량이 0.47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오븀과 탄소의 원자개수 비율(Nb/C)이 4~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중에서 니오븀과 결합되지 않는 자유 탄소(Free C)의 비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평균 결정립 지름이 10~16㎛이고, 인장강도와 연신율의 곱이 60,000 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58% 이상의 연신율 및 0.36VSCE 이상의 공식전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초정(primary) NbC의 부피분율이 3 vol%을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20160176117A 2016-11-25 2016-12-21 내공식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1903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742 2016-11-25
KR20160158742 2016-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717A true KR20180059717A (ko) 2018-06-05
KR101903403B1 KR101903403B1 (ko) 2018-10-04

Family

ID=6263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117A KR101903403B1 (ko) 2016-11-25 2016-12-21 내공식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4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1836A (zh) * 2018-12-06 2019-02-12 江苏合众不锈钢有限公司 一种节镍低碳新型奥氏体不锈钢带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503A (ko) * 2009-02-27 2011-09-16 니폰야긴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고 Mn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과 복식용 금속 부품
KR20120091075A (ko) * 2009-11-02 2012-08-17 에이티아이 프로퍼티즈, 인코퍼레이티드 절약형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JP5789342B2 (ja) * 2012-01-31 2015-10-07 コリア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マシーナリー アンド マテリアルズ 優れた耐孔食性を有する高機能性高窒素2相ステンレス鋼
KR20160017847A (ko) * 2014-08-06 2016-02-17 한국기계연구원 내공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WO2016027009A1 (en) * 2014-08-21 2016-02-25 Outokumpu Oyj High strength austenitic stainless stee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160082376A (ko) 2014-12-26 2016-07-08 주식회사 포스코 내공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503A (ko) * 2009-02-27 2011-09-16 니폰야긴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고 Mn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과 복식용 금속 부품
KR20120091075A (ko) * 2009-11-02 2012-08-17 에이티아이 프로퍼티즈, 인코퍼레이티드 절약형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JP5789342B2 (ja) * 2012-01-31 2015-10-07 コリア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マシーナリー アンド マテリアルズ 優れた耐孔食性を有する高機能性高窒素2相ステンレス鋼
KR20160017847A (ko) * 2014-08-06 2016-02-17 한국기계연구원 내공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WO2016027009A1 (en) * 2014-08-21 2016-02-25 Outokumpu Oyj High strength austenitic stainless stee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160082376A (ko) 2014-12-26 2016-07-08 주식회사 포스코 내공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1836A (zh) * 2018-12-06 2019-02-12 江苏合众不锈钢有限公司 一种节镍低碳新型奥氏体不锈钢带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403B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0908B2 (en) Low nickel containing chromium-nickel-manganese- copper austenitic stainless steel
CN107937834B (zh) 高锰钢
KR20180049258A (ko) 절약형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CN107923023B (zh) 高硬度钢板及其制造方法
CA3113056C (en) Abrasion resistant steel having excellent hardness and impact tough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A2785318A1 (en) Austenite steel material having superior ductility
KR20160082376A (ko) 내공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US11952649B2 (en) High-strength stainless steel
KR101903403B1 (ko) 내공식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20120071583A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고망간강
US20200347478A1 (en) High strength stee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20044153A (ko) 고강도 및 저항복비를 갖는 인장강도 700MPa급 고강도 구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46404B1 (ko) 내식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JP5793556B2 (ja) 高耐食性を有する862MPa級低C高Cr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73024A (ko) Pwht 후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021277B1 (ko) 기계적 특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탄질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1454517B1 (ko)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28198B1 (ko) 후강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후강판
US10487380B2 (en) High-strength special steel
KR20200134848A (ko) 고강도 열연강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강도 열연강판
KR102067033B1 (ko) 공식저항성이 우수한 저합금형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71529A (ko) 강도와 인성이 우수한 니켈 저감형 저원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KR101546147B1 (ko) 고강도 후판 및 그 제조 방법
RU2528606C2 (ru) Термостойкая аустенитная сталь, обладающая стойкостью к растрескиванию при снятии напряжений
KR20230016889A (ko) 내식성이 우수한 스프링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프링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