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315A -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315A
KR20180059315A KR1020160158740A KR20160158740A KR20180059315A KR 20180059315 A KR20180059315 A KR 20180059315A KR 1020160158740 A KR1020160158740 A KR 1020160158740A KR 20160158740 A KR20160158740 A KR 20160158740A KR 20180059315 A KR20180059315 A KR 20180059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module
main body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환
박찬정
김철호
최영광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9315A/ko
Publication of KR20180059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01D35/303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the housings being modular, e.g. standard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어 물을 처리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며, 물공급원의 물이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되도록 하는 처리유로와,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하는 배출유로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장치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물을 여과하는 등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장치는 물을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수처리장치로,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정수기나,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 등으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이온수기나, 물에 이산화탄소를 용해하여 탄산수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탄산수기 등이 있다.
수처리장치에는 정수필터와 같이 물을 처리할 수 있는 처리부재가 포함된 처리부가 포함된다. 그리고, 수처리장치에는 물공급원의 물이 처리부에서 처리되도록 하는 처리유로와, 처리부에서 처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하는 배출유로가 구비된다.
수처리장치를 장시간 또는 장기가 사용하면, 전술한 처리유로와 배출유로가 물때 등에 의해서 오염된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오염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종래, 수처리장치에서는 이를 방지하고자 전술한 처리유로와 배출유로가 오염되면, 처리유로와 배출유로를 살균수 등으로 살균한 후 세정제 등으로 세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살균수 생성기 등에서 살균수를 만들어서 처리유로와 배출유로로 보내고 배수시켜야만 하고, 살균후에는 세정수를 처리유로와 배출유로로 보내서 세정한 후 배수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번거로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사용자에게 오염되지 않은 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물공급원의 물이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처리부에서 처리되도록 하는 처리유로와 처리부에서 처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하는 배출유로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처리유로와 배출유로 중 적어도 하나가 수처리장치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모듈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어 물을 처리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며, 물공급원의 물이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되도록 하는 처리유로와,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하는 배출유로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장치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치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처리유로가 구비되는 처리유로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유로모듈은 상기 장치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처리모듈본체, 상기 처리모듈본체에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물공급원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처리부에 포함되어 물을 처리하는 처리부재에 연결되는 물공급라인 및, 상기 처리모듈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처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부재에서 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처리수 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재는 복수개이며, 상기 처리유로모듈은 상기 처리모듈본체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상기 처리부재 중 2개의 처리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유로모듈은 상기 물공급라인이나 처리수 공급라인 또는 연결라인 중 하나에 구비되는 공급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재는 정수필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재에는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와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입수구는 상기 물공급라인 또는 연결라인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출수구는 상기 연결라인 또는 처리수 공급라인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유로모듈은 상기 처리모듈본체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상기 처리부재 중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부재에서 처리되지 못한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에 분리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출유로가 구비되는 배출유로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유로모듈은 상기 장치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출모듈본체와, 상기 배출모듈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물이 유입되는 배출라인 및,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배출모듈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라인에 연결되는 배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모듈은 상기 배출라인에 구비되는 배출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처리유로가 구비되는 처리유로모듈; 상기 장치본체에 분리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출유로가 구비되는 배출유로모듈; 및 상기 처리유로모듈과 배출유로모듈에 연결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처리유로모듈에 포함되는 처리수 공급라인과 상기 배출유로모듈에 포함되는 배출라인에 연결되는 메인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메인탱크에 연결되는 보조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보조탱크의 물을 냉각하도록 상기 보조탱크에 연결되는 냉각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탱크는 상기 배출유로모듈에 포함되는 배출부재에 연결되며 냉수배출밸브가 구비되는 냉수배출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와 배출유로모듈에 연결되는 온수생성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생성모듈은 상기 장치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온수모듈본체와, 상기 온수모듈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에 포함되는 메인탱크와 상기 배출유로모듈에 연결되며 물을 가열하는 온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기는 상기 배출유로모듈에 포함되는 배출부재에 연결되며 온수배출밸브가 구비되는 온수배출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공급원의 물이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처리부에서 처리되도록 하는 처리유로와 처리부에서 처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 공급되도록 하는 배출유로 중 적어도 하나가 수처리장치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로 이루어진 처리유로나 배출유로가 오염되면,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처리유로나 배출유로가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오염되지 않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개념이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주요구성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주요구성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주요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처리유로모듈의 내부를 나타내는 투시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배출유로모듈의 내부를 나타내는 투시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저장부의 냉각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온수생성모듈의 내부를 나타내는 투시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2는 도1의 개념이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주요구성의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주요구성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주요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처리유로모듈의 내부를 나타내는 투시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배출유로모듈의 내부를 나타내는 투시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저장부의 냉각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온수생성모듈의 내부를 나타내는 투시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일실시예는 장치본체(200)와, 처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본체(200)는 내부에 처리부(300)가 구비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본체(200)의 장착공간에는 전술한 처리부(300) 이외에도, 후술할 처리유로모듈(400), 배출유로모듈(500), 저장부(600) 및, 온수생성모듈(700)도 구비될 수 있다.
장치본체(200)는, 예컨대 하판(210), 2개의 측판(도시되지 않음), 상판(도시되지 않음), 전면판(도시되지 않음) 및, 후면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판(210)은 장치본체(200)의 하면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측판은 장치본체(200)의 양 측면을 이루도록 하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판은 2개의 측판의 상단에 연결되어 장치본체(200)의 상면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전면판은 양 측판과 상판 및 하판(210)에 연결되어 장치본체(200)의 전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후면판(220)은 양 측판과 상판 및 하판(210)에 연결되어 장치본체(200)의 후면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장치본체(2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처리부(300)와, 처리부(300) 이외에도, 처리유로모듈(400), 배출유로모듈(500), 저장부(600) 및, 온수생성모듈(700)이 구비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처리부(300)는 장치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처리부(300)에서는 물을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처리부(300)는 물을 처리하는 처리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재(31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컨대, 처리부재(310)는 도1과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일 수 있다. 그러나, 처리부재(31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도 가능하며 1개도 가능하다.
처리부재(310)는, 예컨대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일 수 있다. 그러나, 처리부재(31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전기분해기(도시되지 않음)나, 이산화탄소공급기(도시되지 않음)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처리부재(310)에는 입수구(311)와 출수구(312)가 구비될 수 있다. 처리될 물은 입수구(311)를 통해서 처리부재(310)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처리부재(310)에서 처리된 물은 출수구(312)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처리부재(310)에는 전술한 입수구(311)와 출수구(312) 외에도 배수구(313)도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재(310)에서 처리되지 못한 물, 예컨대 생활용수가 배수구(313)를 통해서 배수될 수 있다.
처리부(300)는 도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지지가이드(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재지지가이드(320)에 의해서 처리부재(310)가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부재지지가이드(320)는 처리부재(310)의 일부가 삽입되어 처리부재(310)가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부재지지가이드(320)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처리부재(310)가 지지될 수 있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처리부(300)는 부재덮개(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재덮개는 부재지지가이드(320)에 의해서 지지되는 처리부재(310)를 덮을 수 있다. 부재덮개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부재지지가이드(320)에 의해서 지지되는 처리부재(310)를 덮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일실시예에서는 수도 등의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의 물이 처리부(300)에서 처리되도록 하는 처리유로와, 처리부(300)에서 처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하는 배출유로 중 적어도 하나가 장치본체(200)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듈로 이루어진 처리유로나 배출유로가 오염된 경우에,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처리유로나 배출유로가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오염되지 않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일실시예는 처리유로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리유로모듈(400)은 장치본체(200)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며 전술한 처리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처리유로모듈(400)은 도1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모듈본체(410), 물공급라인(420), 처리수 공급라인(430)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모듈본체(410)는 장치본체(200)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처리모듈본체(410)에는, 예컨대 대략 'ㄷ'자 형상의 탈착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처리모듈본체(410)가 장치본체(200)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처리모듈본체(410)의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처리모듈본체(410) 내부의 장착공간에는 물공급라인(420)과 처리수 공급라인(4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처리모듈본체(410) 내부의 장착공간에는 후술할 연결라인(440), 공급밸브(450) 및, 배수라인(460)도 구비될 수 있다.
물공급라인(420)은 처리모듈본체(410), 예컨대 전술한 처리모듈본체(410)의 장착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물공급라인(420)의 일측은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물공급라인(420)의 일측에는 피팅부재 등의 연결부재(CM)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물공급원에 연결된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이 물공급라인(420)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부재(CM)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물공급라인(420)의 일측이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물공급원에 연결된 연결관은 물공급라인(420)의 일측의 연결부재(CM)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물공급라인(420)의 일측이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물공급라인(420)의 타측은 처리부(300)의 처리부재(310), 예컨대 처리부재(310)의 입수구(311)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물공급라인(420)의 타측에 피팅부재 등의 연결부재(CM)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재(310)의 입수구(311)가 물공급라인(420)의 타측의 연결부재(CM)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물공급라인(420)의 타측이 처리부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부재(310)의 입수구(311)는 물공급라인(420)의 타측의 연결부재(CM)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처리부재(310)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물공급라인(420)의 타측이 처리부재(3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이 물공급라인(420)을 통해 처리부(300)의 처리부재(310)에 공급될 수 있다.
처리수 공급라인(430)은 처리모듈본체(410), 예컨대 전술한 처리모듈본체(410)의 장착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처리수 공급라인(430)은 처리부(300)의 처리부재(310), 예컨대 처리부재(310)의 출수구(312)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처리수 공급라인(430)의 일측에는 피팅부재 등의 연결부재(CM)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재(310)의 출수구(312)가 처리수 공급라인(430)의 일측의 연결부재(CM)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처리수 공급라인(430)이 처리부(300)의 처리부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부재(310)의 출수구(312)는 처리수 공급라인(430)의 일측의 연결부재(CM)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처리부재(310)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처리수 공급라인(430)이 처리부재(3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부재(310)에서 처리된 물이 처리수 공급라인(43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처리유로모듈(400)은 연결라인(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라인(440)은 처리모듈본체(410), 예컨대 전술한 처리모듈본체(410)의 장착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연결라인(440)은 처리부(300)의 복수개의 처리부재(310) 중 2개의 처리부재(3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라인(440)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연결부재(CM)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처리부재(310)의 출수구(312)는 연결라인(440)의 일측의 연결부재(CM)에 연결되고, 다른 처리부재(310)의 입수구(311)는 연결라인(440)의 타측의 연결부재(CM)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처리부재(310)의 입수구(311)와 다른 처리부재(310)의 출수구(312)는 연결라인(440)의 일측과 타측의 연결부재(CM)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처리부재(310)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라인(440)이 2개의 처리부재(310)에 각각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한 처리부재(310)에서 처리된 물이 연결라인(440)을 통해 다른 처리부재(310)에 유입될 수 있다.
처리유로모듈(400)은 공급밸브(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밸브(450),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라인(44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급밸브(450)는 물공급라인(420)이나 처리수 공급라인(430)에도 구비될 수 있다.
공급밸브(450)가 열리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이 처리부(300)의 처리부재(310)에 유입될 수 있다.
공급밸브(450)는 평상시에는 닫혀 있는 노말 클로즈 밸브와 평상시에는 열려 있는 노말 오픈 밸브 2개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평상시에 닫혀 있는 노말 클로즈 밸브가 열리면, 전술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이 처리부(300)의 처리부재(310)에 유입될 수 있다. 평상시에 열려 있는 노말 오픈 밸브는 비상시에 닫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수나 누수 또는 정전 시 등의 비상시에 물공급원의 물이 처리부(300)의 처리부재(310)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수처리장치(100)를 보호할 수 있다.
처리유로모듈(400)은 배수라인(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라인(460)은 처리모듈본체(410), 예컨대 전술한 처리모듈본체(410)의 장착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배수라인(460)은 복수개의 처리부재(310)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배수라인(460)은 역삼투압필터이며 입수구(311)와 출수구(312) 외에 배수구(313)가 더 구비된 처리부재(310)에 연결될 수 있다. 배수라인(460)에는 연결부재(CM)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재(310)의 배수구(313)가 배수라인(460)의 연결부재(CM)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배수라인(460)이 처리부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부재(310)의 배수구(313)는 배수라인(460)의 연결부재(CM)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처리부재(310)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처리부재(310)에서 처리되지 못한 물, 예컨대 생활용수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라인(460)을 통해서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라인(460)이 역삼투압필터인 처리부재(310)에 연결되는 경우, 배수라인(460)에는 처리부재(310)에 소정의 여과압력이 형성되면서 처리부재(310)에서 처리되지 못한 물, 예컨대 생활용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생활용수밸브(VLL)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일실시예는 배출유로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로모듈(500)은 장치본체(200)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며 전술한 배출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유로모듈(500)은 도1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모듈본체(510), 배출라인(520) 및, 배출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모듈본체(510)는 장치본체(200)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배출모듈본체(510)에는, 예컨대 대략 'ㄷ'자 형상의 탈착구(51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모듈본체(510)가 장치본체(200)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배출모듈본체(510)의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모듈본체(510) 내부의 장착공간에는 배출라인(520)과, 배출부재(530)의 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도, 배출모듈본체(510) 내부의 장착공간에는 후술할 배출밸브(540), 냉수배출라인(550), 냉수배출밸브(560), 온수배출라인(570) 및, 온수배출밸브(580)도 구비될 수 있다.
배출라인(520)은 배출모듈본체(510), 예컨대 전술한 배출모듈본체(510)의 장착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배출라인(520)에는 처리부(300)에서 처리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예컨대, 배출라인(52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유로모듈(400)의 처리수 공급라인(430)에 연결된, 후술할 저장부(600)에 포함되는 메인탱크(6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탱크(610)에 구비되는 출수연결구(611)가 배출라인(520)에 구비되는 연결부재(CM)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배출라인(520)이 메인탱크(6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탱크(610)의 출수연결구(611)는 배출라인(520)의 연결부재(CM)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출모듈본체(510)와 메인탱크(610)의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배출라인(520)이 메인탱크(6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처리수 공급라인(430)을 통해 메인탱크(610)에 저장된 처리부(300)에서 처리된 물이 배출라인(52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라인(520)은 처리수 공급라인(430)에 직접 연결되어 처리부(300)에서 처리된 물이 유입될 수도 있다.
배출부재(530)는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출모듈본체(510), 예컨대 전술한 배출모듈본체(510)의 장착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출부재(530)는 배출라인(5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배출부재(53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라인(520)과 일체로 되어 배출부재(5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부재(530)는 배출라인(520)과 별도로 되어 배출부재(5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배출유로모듈(500)은 배출밸브(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밸브(540)는 배출라인(520)에 구비될 수 있다. 배출밸브(54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라인(520)과 일체로 되어 배출라인(52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밸브(540)는 배출라인(520)과 별도로 되어 배출라인(5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배출밸브(540)가 열리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저장부(600)의 메인탱크(610)에 저장된 처리부(300)에서 처리된 물이 배출라인(520)을 유동한 후 배출부재(5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배출유로모듈(500)은 냉수배출라인(550)과 냉수배출밸브(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수배출라인(550)은 배출모듈본체(510), 예컨대 전술한 배출모듈본체(510)의 장착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냉수배출라인(550)은 저장부(600)에 포함되는 후술할 보조탱크(6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보조탱크(620)에 구비되는 출수연결구(621)가 냉수배출라인(550)에 구비되는 연결부재(CM)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냉수배출라인(550)이 보조탱크(6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탱크(620)의 출수연결구(621)는 냉수배출라인(550)의 연결부재(CM)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출모듈본체(510)와 보조탱크(620)의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냉수배출라인(550)이 보조탱크(62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처리수 공급라인(430)과 메인탱크(610)를 통해 보조탱크(620)에 저장되며 후술할 냉각기(630)에 의해서 냉각된 물, 즉 냉수가 냉수배출라인(550)에 유입될 수 있다.
냉수배출라인(550)은 배출부재(5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냉수배출라인(55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재(530)와 일체로 되어 배출부재(5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냉수배출라인(550)은 배출부재(530)와 별로도 되어 배출부재(5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냉수배출밸브(560)는 냉수배출라인(550)에 구비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배출밸브(560)는 냉수배출라인(550)과 일체로 되어 냉수배출라인(55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냉수배출밸브(560)는 냉수배출라인(550)과 별도로 되어 냉수배출라인(55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냉수배출밸브(560)가 열리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600)의 보조탱크(620)에 저장되고 후술할 냉각기(630)에 의해서 냉각된 물, 즉 냉수가 냉수배출라인(550)을 유동한 후 배출부재(5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배출유로모듈(500)은 온수배출라인(570)과 온수배출밸브(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수배출라인(570)은 배출모듈본체(510), 예컨대 전술한 배출모듈본체(510)의 장착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온수배출라인(570)은 후술할 온수생성모듈(700)에 포함되는 온수모듈본체(710)에 구비되는 온수기(7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온수기(720)에 연결되도록 온수모듈본체(710)에 구비되는 출수연결구(712)가 온수배출라인(570)에 구비되는 연결부재(CM)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온수배출라인(570)이 온수기(7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온수모듈본체(710)의 출수연결구(712)는 온수배출라인(570)의 연결부재(CM)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출모듈본체(510)와 온수모듈본체(710)의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온수배출라인(570)이 온수기(72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온수기(720)에서 가열된 물, 즉 온수가 온수배출라인(570)에 유입될 수 있다.
온수배출라인(570)은 배출부재(5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온수배출라인(57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재(530)와 일체로 되어 배출부재(5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온수배출라인(570)은 배출부재(530)와 별로도 되어 배출부재(5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온수배출밸브(580)는 온수배출라인(570)에 구비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배출밸브(580)는 온수배출라인(570)과 일체로 되어 온수배출라인(57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온수배출밸브(580)는 온수배출라인(570)과 별도로 되어 온수배출라인(57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온수배출밸브(580)가 열리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기(720)에서 가열된 물, 즉 온수가 온수배출라인(570)을 유동한 후, 배출부재(5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일실시예는 저장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600)는 처리유로모듈(400)과 배출유로모듈(5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처리유로모듈(400)을 통해 처리부(300)에서 처리된 물이 저장부(600)에 저장된 후 배출유로모듈(500)로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저장부(600)는 메인탱크(61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탱크(610)는 처리유로모듈(400)의 전술한 처리수 공급라인(430)과 배출유로모듈(500)의 전술한 배출라인(5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처리유로모듈(400)의 처리수 공급라인(430)이 연결관에 의해서 메인탱크(610)에 구비되는 입수연결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메인탱크(610)가 처리유로모듈(400)의 처리수 공급라인(4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탱크(610)의 출수연결구(611)가 배출유로모듈(500)의 배출라인(520)의 연결부재(CM)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메인탱크(610)가 배출유로모듈(500)의 배출라인(5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메인탱크(610)가 처리유로모듈(400)의 처리수 공급라인(430)과 배출유로모듈(500)의 배출라인(52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처리부(300)에서 처리된 물은 처리수 공급라인(430)을 통해 메인탱크(61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탱크(610)에 저장된 처리부(300)에서 처리된 물은 배출라인(520)을 유동한 후 배출유로모듈(500)의 배출부재(5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저장부(600)는 보조탱크(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탱크(620)는 메인탱크(6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탱크(610)에 유입되어 저장된 물은 보조탱크(620)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보조탱크(620)는 메인탱크(61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탱크부재(T)에 형성된 저장공간(SS)이 연통구멍(HC)이 형성된 구획부재(PT)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예컨대 상부의 메인탱크(610)와 하부의 보조탱크(620)로 구획될 수 있다.
그러나, 메인탱크(610)와 보조탱크(620)는 별도로 이루어지고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될 수도 있다.
보조탱크(620)는 배출유로모듈(500)의 냉수배출라인(55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탱크(620)에 구비되는 출수연결구(621)가 냉수배출라인(550)에 구비되는 연결부재(CM)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보조탱크(620)가 배출유로모듈(500)의 냉수배출라인(55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보조탱크(620)가 배출유로모듈(500)의 냉수배출라인(55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저장부(600)는 냉각기(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기(630)는 보조탱크(620)에 연결될 수 있다. 냉각기(630)에 의해서, 보조탱크(620)에 저장된 물이 냉각될 수 있다.
냉각기(630)는 냉각기본체(631), 냉각유닛(632) 및, 물유동유닛(633)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기본체(631)에는 냉각유닛(632)과, 물유동유닛(633)의 적어도 일부가 구비될 수 있다. 냉각기본체(631)는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유닛(632)과, 물유동유닛(633)의 적어도 일부가 냉각기본체(631)의 장착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냉각기본체(631)는, 예컨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진 2개의 제1,2본체부재(631a,631b)와, 제1,2본체부재(631a,631b)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2본체부재(631a,631b)에 연결되는 제3본체부재(631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냉각기본체(631)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각유닛(632)과, 물유동유닛(633)의 적어도 일부가 구비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냉각유닛(632)은 물을 냉각하도록 냉각기본체(631)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냉각유닛(63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기본체(631) 내부의 장착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냉각유닛(632)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632a)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632a)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상으로 냉각기본체(631)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증발기(632a)가 냉각기본체(631)에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냉각기본체(631)의 제2본체부재(631b)에는 증발기(632a)가 통과하는 통과구멍(HP)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통과구멍(HP)은 증발기(632a)가 통과할 수 있다면 냉각기본체(631)의 어느 부분, 예컨대 제1본체부재(631a)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서, 증발기(632a)가 냉동사이클(도시되지 않음)의 다른 구성인 모세관(도시되지 않음)이나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와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냉각유닛(632)은 나선형상의 증발기(632a)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3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632b)는 관형상이고, 관형상의 지지부재(632b) 외주에 나선형상의 증발기(632a)가 구비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632b)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증발기(632a)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물유동유닛(633)은 적어도 일부가 냉각유닛(632)을 관통하며, 저장부(600)의 보조탱크(62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물이 유동할 수 있다. 물유동유닛(633)은 입수부재(633a)와 유동부재(633b) 및 출수부재(633c)를 포함할 수 있다.
입수부재(633a)는 보조탱크(62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입수부재(633a)에는 냉각입수구(IC)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입수구(IC)가 보조탱크(620)에 구비되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환출수구(OS)에 끼워져서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입수부재(633a)가 보조탱크(62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냉각기(630)가 보조탱크(6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입수부재(633a)가 보조탱크(62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보조탱크(620)에 저장된 물이 순환출수구(OS)와 냉각입수구(IC)를 통해 입수부재(633a)에 유입될 수 있다.
유동부재(633b)는 입수부재(633a)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냉각유닛(632)을 관통할 수 있다. 예컨대, 유동부재(633b)는 관형상이고, 관형상의 유동부재(633b)의 일측에 입수부재(633a)가 끼워져서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입수부재(633a)가 유동부재(633b)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입수부재(633a)가 유동부재(633b)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관형상의 유동부재(633b)가 냉각유닛(632)의 관형상의 지지부재(632b) 내부에 구비되어 냉각유닛(632)을 관통할 수 있다. 그러나, 유동부재(633b)가 냉각유닛(632)을 관통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입수부재(633a)에 유입된 물은 유동부재(633b)를 유동하면서 냉각유닛(632)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입수부재(633a)를 유동부재(633b)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유동부재(633b)를 냉각유닛(632)으로부터 꺼내어 유동부재(633b)를 세척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이 유동하는 유동부재(633b)를 포함하여 냉각기(630)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출수부재(633c)는 유동부재(633b)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보조탱크(62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출수부재(633c)는 관형상의 유동부재(633b)의 타측에 끼워져서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유동부재(633b)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출수부재(633c)가 유동부재(633b)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출수부재(633c)에는 보조탱크(620)에 연결되는 냉각출수구(OC)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출수구(OC)가 보조탱크(620)에 구비되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환입수구(IS)에 끼워져서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출수부재(633c)가 보조탱크(62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냉각기(630)가 보조탱크(6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출수부재(633c)가 보조탱크(62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유동부재(633b)를 유동하면서 냉각된 물이 출수부재(633c)의 냉각출수구(OC)와 순환입수구(IS)를 통해 보조탱크(620)로 되돌아갈 수 있다. 그리고, 보조탱크(620)에 저장된 물이 냉각기(630)를 순환하면서 냉각될 수 있다.
냉각기(630)는 냉각기본체(631)를 지지하는 브라켓부재(634,6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부재(634,635)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각기본체(631)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일실시예는 온수생성모듈(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온수생성모듈(700)은 저장부(600)와 배출유로모듈(5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저장부(600)에 저장된, 처리부(300)에서 처리된 물이 온수생성모듈(700)에서 가열되어 온수로 된 후, 배출유로모듈(5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온수생성모듈(700)은 도1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모듈본체(710)와 온수기(720)를 포함할 수 있다.
온수모듈본체(710)는 장치본체(200)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온수모듈본체(710)에는, 예컨대 대략 'ㄷ'자 형상의 탈착구(71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온수모듈본체(710)가 장치본체(200)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온수모듈본체(710)의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온수모듈본체(710) 내부의 장착공간에는 온수기(7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온수모듈본체(710)의 내부의 장착공간에는 후술할 입수펌프(730)도 구비될 수 있다.
온수기(720)는 온수모듈본체(710), 예컨대 전술한 온수모듈본체(710)의 장착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온수기(720)는 저장부(600)의 메인탱크(6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탱크(610)에는 전술한 출수연결구(611)와 별도로 다른 출수연결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온수모듈본체(710)의 장착공간에는 온수기(720)에 연결되는 모듈입수라인(740)이 구비되고, 모듈입수라인(740)에는 연결부재(CM)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메인탱크(610)의 별도의 다른 출수연결구가 모듈입수라인(740)의 연결부재(CM)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온수기(720)가 저장부(600)의 메인탱크(6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탱크(610)의 별도의 다른 출수연결구는 모듈입수라인(74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온수모듈본체(710)와 메인탱크(610)와의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온수기(720)가 저장부(600)의 메인탱크(6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600)의 메인탱크(610)에 저장된 물이 온수기(720)에 공급될 수 있다.
온수기(720)는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온수기(720)가 물을 가열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을 가열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온수기(720)는 배출유로모듈(500)에 연결될 수 있다. 온수기(720)는 배출유로모듈(500)의 전술한 온수배출라인(57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온수모듈본체(710)에는 출수연결구(712)가 구비되고, 출수연결구(712)는 모듈출수라인(750)에 의해서 온수기(7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모듈본체(710)의 출수연결구(712)가 온수배출라인(570)에 구비되는 연결부재(CM)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온수기(720)가 배출유로모듈(500)의 온수배출라인(57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온수모듈본체(710)의 출수연결구(712)는 온수배출라인(570)의 연결부재(CM)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온수모듈본체(710)와 배출모듈본체(510)의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온수기(720)가 온수배출유로모듈(500)의 온수배출라인(57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온수기(720)에서 가열된 물, 즉 온수가 온수배출라인(570)에 유입되어 유동한 후 온수배출라인(570)에 연결된 전술한 배출부재(5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온수생성모듈(700)은 도1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펌프(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수펌프(730)는 모듈입수라인(74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입수펌프(730)는 온수기(720)에 물이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입수펌프(73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모듈입수라인(740)에 구비되어 온수기(720)에 물이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면, 물공급원의 물이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처리부에서 처리되도록 하는 처리유로와 처리부에서 처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 공급되도록 하는 배출유로 중 적어도 하나가 수처리장치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듈로 이루어진 처리유로나 배출유로가 오염되면,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처리유로나 배출유로가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오염되지 않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수처리장치 200 : 장치본체
210 : 하판 220 : 후면판
300 : 처리부 310 : 처리부재
311 : 입수구 312 : 출수구
313 : 배수구 320 : 부재지지가이드
400 : 처리유로모듈 410 : 처리모듈본체
420 : 물공급라인 430 : 처리수 공급라인
440 : 연결라인 450 : 공급밸브
460 : 배수라인 500 : 배출유로모듈
510 : 배출모듈본체 511, 711 : 탈착구
520 : 배출라인 530 : 배출부재
540 : 배출밸브 550 : 냉수배출라인
560 : 냉수배출밸브 570 : 온수배출라인
580 : 온수배출밸브 600 : 저장부
610 : 메인탱크 611, 621, 712 : 출수연결구
620 : 보조탱크 630 : 냉각기
631 : 냉각기본체 631a : 제1본체부재
631b : 제2본체부재 631c : 제3본체부재
632 : 냉각유닛 632a : 증발기
632b : 지지부재 633 : 물유동유닛
633a : 입수부재 633b : 유동부재
633c : 출수부재 634, 635 : 브라켓부재
700 : 온수생성모듈 710 : 온수모듈본체
720 : 온수기 730 : 입수펌프
740 : 모듈입수라인 750 : 모듈출수라인
CM : 연결부재 VLL : 생활용수밸브
HC : 연통구멍 PT : 구획부재
T : 탱크부재 SS : 저장공간
HP : 통과구멍 IC : 냉각입수구
OC : 냉각출수구 IS : 순환입수구
OS : 순환술수구

Claims (19)

  1.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어 물을 처리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며,
    물공급원의 물이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되도록 하는 처리유로와,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하는 배출유로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장치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모듈로 이루어지는 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처리유로가 구비되는 처리유로모듈; 을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유로모듈은 상기 장치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처리모듈본체, 상기 처리모듈본체에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물공급원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처리부에 포함되어 물을 처리하는 처리부재에 연결되는 물공급라인 및, 상기 처리모듈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처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부재에서 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처리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재는 복수개이며,
    상기 처리유로모듈은 상기 처리모듈본체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상기 처리부재 중 2개의 처리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유로모듈은 상기 물공급라인이나 처리수 공급라인 또는 연결라인 중 하나에 구비되는 공급밸브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재는 정수필터인 수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재에는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와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입수구는 상기 물공급라인 또는 연결라인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출수구는 상기 연결라인 또는 처리수 공급라인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처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유로모듈은 상기 처리모듈본체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상기 처리부재 중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처리부재에서 처리되지 못한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라인을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분리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출유로가 구비되는 배출유로모듈; 을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모듈은 상기 장치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출모듈본체와, 상기 배출모듈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물이 유입되는 배출라인 및,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배출모듈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라인에 연결되는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모듈은 상기 배출라인에 구비되는 배출밸브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처리유로가 구비되는 처리유로모듈;
    상기 장치본체에 분리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출유로가 구비되는 배출유로모듈; 및
    상기 처리유로모듈과 배출유로모듈에 연결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처리유로모듈에 포함되는 처리수 공급라인과 상기 배출유로모듈에 포함되는 배출라인에 연결되는 메인탱크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메인탱크에 연결되는 보조탱크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보조탱크의 물을 냉각하도록 상기 보조탱크에 연결되는 냉각기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는 상기 배출유로모듈에 포함되는 배출부재에 연결되며 냉수배출밸브가 구비되는 냉수배출라인에 연결되는 수처리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와 배출유로모듈에 연결되는 온수생성모듈; 을 더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생성모듈은 상기 장치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온수모듈본체와, 상기 온수모듈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에 포함되는 메인탱크와 상기 배출유로모듈에 연결되며 물을 가열하는 온수기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기는 상기 배출유로모듈에 포함되는 배출부재에 연결되며 온수배출밸브가 구비되는 온수배출라인에 연결되는 수처리장치.
KR1020160158740A 2016-11-25 2016-11-25 수처리장치 KR20180059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740A KR20180059315A (ko) 2016-11-25 2016-11-25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740A KR20180059315A (ko) 2016-11-25 2016-11-25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315A true KR20180059315A (ko) 2018-06-04

Family

ID=6262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740A KR20180059315A (ko) 2016-11-25 2016-11-25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93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041A1 (ko) * 2021-04-30 2022-11-03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041A1 (ko) * 2021-04-30 2022-11-03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유로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27379A1 (en) Ro system and method for disinfecting lines of the ro system
KR20160097910A (ko) 물공급장치 살균 방법
KR20230145972A (ko) 수처리장치
KR100735515B1 (ko) 세균번식방지 시스템을 갖는 냉온수기
KR20200047102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CN105858945A (zh) 杀菌系统
KR20180059315A (ko) 수처리장치
KR102567932B1 (ko)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KR101702735B1 (ko) 정수기
KR101521937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1296549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1612815B1 (ko)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JP7168202B2 (ja) 除菌脱臭装置
JP6921055B2 (ja) 水処理装置
KR20130103923A (ko) 정수기
KR20140121234A (ko) 제빙기능을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335813B1 (ko)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20130011447A (ko) 정수기
KR20140085631A (ko) 수처리장치
KR20090125919A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냉각장치
JP2003325367A (ja) 複数浴槽の水質管理システム
KR20170124217A (ko) 살균수 배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JP3852065B2 (ja) 浴槽水浄化装置
CN113800619A (zh) 杀菌机构及燃气热水器
WO2022023899A1 (en) Fan coil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