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985A -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985A
KR20180058985A KR1020160158022A KR20160158022A KR20180058985A KR 20180058985 A KR20180058985 A KR 20180058985A KR 1020160158022 A KR1020160158022 A KR 1020160158022A KR 20160158022 A KR20160158022 A KR 20160158022A KR 20180058985 A KR20180058985 A KR 20180058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heat source
source water
flow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0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0626B1 (en
Inventor
오진환
최규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626B1/en
Publication of KR20180058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9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6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6Heat pumps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low potential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2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between evaporator and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6Temperatures of a condenser
    • F25B2700/21162Temperatures of a condenser of the refrigerant at the inlet of th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6Temperatures of a condenser
    • F25B2700/21163Temperatures of a condenser of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of the condenser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n air conditioner, which comprises: an outdoor heat exchanger exchanging heat between a refrigerant and heat source water; a variable flow rate valve controlling an aperture to enable a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introduced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to be variable; a flow rate sens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discharged from the variable flow rate valve; and a controller maximizing the aperture during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started and responding to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so as to control the aperture.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유량 센서가 감지한 열원수 유량에 대응하여 변유량 밸브의 개도를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ning of a variable flow rate valve in response to a heat source water flow rate sensed by a flow sensor.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냉동 사이클을 통하여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실내의 찬 공기를 흡입하여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를 난방시킨다.Generally, the air conditioner sucks in hot air through a series of refrigeration cycles consisting of compression, condensation, expansion and evaporation, heat-exchanges the refrigerant with low-temperature refrigerant, and discharges the refrigerant to the room to cool the room. Exchanges heat with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and discharges it to the room to heat the room.

냉매가 냉동 사이클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순환하기 위해서는, 실내에서 냉매가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 또는 응축되는 것과 반대로, 실외에서는 냉매가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 또는 증발되어야 한다. 이 경우, 실외에서 냉매가 실외 공기가 아닌 물 등의 열원수와 열교환되어 응축 또는 증발될 수 있는데, 이를 수냉식 열교환이라 한다.In order for the refrigerant to circulate continuously through the refrigeration cycle, the refrigerant must be heat-exchanged with the outdoor air and condensed or evaporated, as opposed to the evaporation or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in the room by heat exchange with the room air. In this case, the refrigerant in the outdoor can be condensed or evaporated by heat exchange with the heat source water such as water instead of the outdoor air, which is referred to as water-cooled heat exchange.

순환되는 냉매와의 수냉식 열교환을 위하여, 물 등의 열원수는 가열되거나 냉각되어 순환된다. 이를 위해, 열원수가 이동하는 유로에는 변유량 밸브가 설치되어, 유로를 순환하는 열원수의 유량을 조절한다. 이 경우, 변유량 밸브의 개도에 따라 순환하는 열원수의 유량이 제어된다. 그러나, 기존에는 변유량 밸브의 동작과 관련하여, 변유량 밸브의 스펙 및 외부 환경 조건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직접 변유량 밸브의 최소 개도를 설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For water-cooled heat exchange with circulating refrigerant, the heat source water such as water is heated or cooled and circulated. To this end, a flow rate valve is provided in the flow path in which the heat source number moves to regulate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circulating in the flow path. In this case, the flow rate of the circulating heat source water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of the flow rate valve. However,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oil-flow valve, the minimum opening degree of the oil-flow valve must be set by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ations of the oil-flow valve and the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변유량 밸브의 옵션을 설정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변유량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종류의 변류량 밸브를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control various kinds of variable flow rate valves in various environments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a variable flow volume valve without a user setting an option of a variable flow rate valve.

또한, 본 발명은 열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실외 열교환기에 설치된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유량을 예측하고 이에 기초하여 변유량 밸브를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predicting a flow rate using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controlling a flow rate valve based on the flow rate sensor even when the flow rate senso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does not operate normally,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열원수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 와 개도가 조절되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상기 열원수의 유량을 가변시키는 변유량 밸브; 와 상기 변유량 밸브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열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 및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 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개도를 최대로 증가시키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열원수의 유량에 대응하여 상기 개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door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a heat source water and a refrigerant; And a variable volume valve for varying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flowing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by regulating the opening degree; And a flow rate sensor for measuring a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discharged from the flow rate valve; And a control unit for increasing the opening degree to a maximum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started and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corresponding to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 시, 소정 시간 동안 변유량 밸브의 개도를 최대로 개방하는 단계; 와 상기 변유량 밸브로부터 토출되는 열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열원수의 유량에 대응하여 상기 변유량 밸브의 상기 개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opening a maximum opening of a variable-volume valv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started; And a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discharged from the flow rate valve; And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w rate valve in correspondence to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옵션을 설정하지 않고도, 유량 센서가 측정한 열원수 유량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유량 밸브의 스펙에 맞게 자동으로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degree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various oil pressure valves based on the heat source water flow rate measured by the flow sensor, without the user setting an op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유량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온도 센서가 측정한 실외 열교환기의 입출구 온도차에 기초하여 변유량 밸브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degree of the oil-flow volume valve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inlet-outlet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even when the flow sensor does not operate normally.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추정치가 아닌 실제 측정된 열원수 유량에 기초하여 변유량 밸브의 개도를 제어함으로써, 변유량 밸브의 개도를 보다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can be adjusted more precisely by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based on the actually measured heat-source water flow rate which is not the estimated value.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의 열원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의 변유량 밸브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A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flow of heat source water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e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he amount of flow valve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A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일 수 있다.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A)에 복수개의 실내기(B1, B2, B3, B4)가 연결되고, 각 실내기(B1, B2, B3, B4)가 각각의 공조 공간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실내기(B1, B2, B3, B4)는 난방과 냉방 중 어느 하나의 운전모드로 동작되어 실내를 공기 조화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ulti-type air conditioner for simultaneous heating and cooling. The simultaneous cooling and heating type multi-type air condition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indoor units B1, B2, B3 and B4 are connected to one outdoor unit A and the indoor units B1, B2, B3 and B4 are installed in the respective air- . ≪ / RTI > In this case, each of the indoor units B1, B2, B3, and B4 can be operated in one of the heating and cooling modes to air-condition the room.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100)는 실외기(A), 복수개의 실내기(B1, B2, B3, B4) 및 분배기(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실내기(B1, B2, B3, B4)는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 실내기(B1, B2, B3, B4)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A,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100 may include an outdoor unit A, a plurality of indoor units B1, B2, B3, and B4, and a distributor C. Here,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B1, B2, B3, and B4 may be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units B1, B2, B3, and B4, respectively.

실외기(A)는 제1, 제2 압축기(53, 54), 실외 열교환기(51), 실외 열교환기 팬(61) 및 절환 유닛(6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절환 유닛(62)은 사방 밸브일 수 있다.The outdoor unit A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an outdoor heat exchanger 51, an outdoor heat exchanger fan 61 and a switching unit 62. Here, the switching unit 62 may be a four-way valve.

어큐뮬레이터(52)는 액상 및 기상의 혼합냉매에서 기체 상태의 냉매를 분리하여 제1, 제2 압축기(53, 54)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큐뮬레이터(52)는 실내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기체 및 액체 상태로 분리하고, 액체 냉매는 걸러내고 기체 상태의 냉매만을 제1, 제2 압축기(53, 54)로 공급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52)의 내부 온도가 높을수록, 기상 냉매를 분리할 수 있는 효율은 증가할 수 있다. The accumulator 52 can separate the gaseous refrigerant from the liquid refrigerant and the gaseous refrigerant, and supply the separated refrigerant to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In this case, the accumulator 52 separates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indoor unit into gas and liquid, filters the liquid refrigerant, and supplies only the gaseous refrigerant to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The high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ccumulator 52, the greater the efficiency of separating the gaseous refrigerant.

제1, 제2 압축기(53, 54)의 흡입부는 어큐뮬레이터(52)와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어큐뮬레이터(52)에서 토출되는 기상 냉매는 제1, 제2 압축기(53, 54)로 흡입될 수 있다.The suction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54) are connected to the accumulator (52). In this case, the gaseous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accumulator 52 can be suck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제1, 제2 압축기(53, 54)는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토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압축기(53)는 냉매의 압축용량을 가변 시킬 수 있는 인버터 압축기이고, 제2 압축기(54)는 냉매의 압축용량이 일정한 정속 압축기일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54) can suck and compress the refrigerant and discharge 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compressor 53 may be an inverter compressor capable of varying the compression capacity of the refrigerant, and the second compressor 54 may be a constant speed compressor having a constant compression capacity of the refrigerant.

제1, 제2 압축기(53, 54)의 토출부에는 제1, 제2토출배관(55, 56)이 연결된다. 제1, 제2토출배관(55, 56)은 합지부(57)에 의해 합지된다. 이 경우, 제1, 제2 압축기(53, 54)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제1, 제2토출배관(55, 56)으로 토출되어 합지부(57)에서 합지된다.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ipes 55 and 56 ar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ipes 55 and 56 are joined by the joint portion 57. In this case, the gaseous refrigera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mpressed by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is discharged to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ipes 55 and 56, and is jointed at the joint portion 57.

제1, 제2 토출배관(55, 56)에는 제1, 제2 오일분리기(58, 59)가 각각 설치된다. 제1, 제2 오일분리기(58, 59)는 제1, 제2 압축기(53, 54)에서 토출된 냉매 중에서 오일을 분리할 수 있다. 제1, 제2 오일분리기(58, 59)에는, 제1, 제2 오일분리기(58, 59)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제1, 제2 압축기(53, 54)의 흡입부로 안내하는, 제1, 제2 오일회수관(30, 31)이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제2 오일분리기(58, 59)에서 분리된 오일은 제1, 제2 오일회수관(30, 31)을 통해 제1, 제2 압축기(53, 54)로 회수될 수 있다.First and second oil separators 58 and 59 are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ipes 55 and 56,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oil separators 58 and 59 can separate the oil from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The first and second oil separators 58 and 59 are provided with a first oil separator 58 and a second oil separator 59 for guiding the oil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oil separators 58 and 59 to the suction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And the second oil return pipes 30 and 31 are connected. In this case, the oil sepa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oil separators 58 and 59 can be recovered to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il return pipes 30 and 31 have.

합지부(57)에는, 제1, 제2 압축기(53, 54)에서 토출된 냉매를 사방밸브(62)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 시키는 고압기체 배관(63)이 연결된다. 또한, 합지부(57)는 사방 밸브(62)와 제3 토출배관(68)으로 연결되어 있다.A high-pressure gas pipe 63 for bypass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through the four-way valve 62 is connected to the joint portion 57. The joint portion 57 is connected to the four-way valve 62 and the third discharge pipe 68.

사방밸브(62)는 합지부(57)에서 합지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의 유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방밸브(62)는 냉방 주체 운전 또는 난방 주체 운전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따라, 기상 냉매의 유로를 절환하거나 기상 냉매를 분지하여 유동시킬 수 있다.The four-way valve 62 can determine the flow path of the gaseous refrigera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hich is joined at the joint portion 57. In this case, the four-way valve 62 can switch the flow path of the gaseous refrigerant or can branch and flow the gaseous refrigerant depending on whether the main cooling operation or the heating main operation is performed.

실외 열교환기(51)는 제1 연결배관(71)에 의하여 사방밸브(62)와 연결된다. 실외 열교환기(51)에서는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매가 응축되거나 증발될 수 있다. 냉방 전실 운전 또는 냉방 주체 동시 운전 시 실외 열교환기(51)는 응축기의 역할을 수행하고, 난방 전실 운전 또는 난방 주체 동시 운전 시 실외 열교환기(51)는 증발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outdoor heat exchanger (51) is connected to the four-way valve (62) by a first connection pipe (71).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51), the refrigerant can be condensed or evaporated by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air. The outdoor heat exchanger (51) serves as a condenser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or simultaneously operates the cooling subject,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51) serves as the evaporator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or the heating operation simultaneously.

한편, 실외 열교환기(51)에서의 열교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실외기 팬(61)은 실외 열교환기(51) 주위에 설치되어 실외 열교환기(51)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outdoor fan 61 is installed arou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51 to allow outdoor air to flow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51 in order to facilitate the heat exchange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51.

실외 열교환기(51)와 분배기(C)를 연결하는 액체배관(72) 상에는, 실외 전자팽창밸브(65) 및 과냉각장치(66)가 설치된다. An outdoor electronic expansion valve 65 and a supercooling device 66 are installed on a liquid pipe 72 connecting the outdoor heat exchanger 51 and the distributor C to each other.

실외 전자뱅창밸브(65)는 난방 전실 운전 또는 난방 주체 동시 운전 시, 냉매를 팽창시킨다. 구체적으로, 실외 전자팽창밸브(65)는 제1, 제2, 제3, 제4 실내 열교환기들(11, 21, 31, 41)에서 응축된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51)로 유입되기 전에 팽창시킨다. 이를 위해, 실외 전자팽창밸브(65)는 소정 개도로 제어될 수 있다. The outdoor electronic banc valve valve (65) expands the refrigerant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heating room or simultaneous operation of the heating body. Specifically, the outdoor electronic expansion valve 65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and 41 is introduced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51 Expand. To this end, the outdoor electronic expansion valve 65 may be controlled to a predetermined degree.

냉방 전실 운전 또는 냉방 주체 동시 운전 시, 실외 전자팽창밸브(65)는 냉매를 팽창시키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실외 전자팽창밸브(65)는 실외 열교환기 (51)에서 응축된 냉매를 제1, 제2, 제3, 제4 실내 열교환기들(11, 21, 31, 41)로 유입되기 전에 팽창시키지 않고 통과시킨다. 이를 위해, 실외 전자팽창밸브(65)는 풀 오픈(full open)될 수 있다.The outdoor electronic expansion valve 65 does not expand the refrigerant at the time of all the cooling operation or the cooling operation simultaneously. Specifically, the outdoor electronic expansion valve 65 is connect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51 before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51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Allowing it to pass without being inflated. To this end, the outdoor electronic expansion valve 65 can be fully opened.

과냉각장치(66)는 냉방 전실 운전 또는 냉방 주체 동시 운전 시, 실외 열교환기(51)를 통과하여 분배기(C)로 이동되는 냉매의 일부를 과냉각시킬 수 있다. 과냉각장치(66)는, 액체배관(72) 중 일부를 감싸며 설치되는 과냉각기(66a)와, 과냉각기(66a)와 분배기(C) 사이에 배치되어 분배기(C)로 이동하는 냉매 중 일부를 과냉각기(66a) 내부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배관(66b)과, 바이패스 배관(66b)에 설치되는 전자팽창밸브(66c)와, 과냉각기(66a)와 흡입배관(64)을 연결하는 회수배관(66d)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ercooling device 66 can supercool a part of the refrigerant which is passed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51 and moves to the distributor C,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operation or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operation. The subcooling device 66 includes a supercooling device 66a installed to surround a part of the liquid pipe 72 and a subcooling device 66b disposed between the subcooler 66a and the distributor C to divide a part of the refrigerant moving to the distributor C A bypass pipe 66b for bypassing the refrigerant to the inside of the supercooler 66a,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66c installed in the bypass pipe 66b, a number of times of connecting the subcooler 66a and the suction pipe 64 And may include a pipe 66d.

냉방 전실 운전 또는 냉방 주체 동시 운전 시, 액체배관(72)을 따라 분배기(C)로 유동되던 냉매의 일부는 바이패스 배관(66b)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냉매는 전자팽창밸브(66c)를 통과하며 팽창되고, 과냉각기(66a) 내부로 가이드 된다. A part of the refrigerant which has flowed to the distributor C along the liquid pipe 72 flows into the bypass pipe 66b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chamber or the simultaneous operation of the cooling body. The introduced refrigerant expands through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66c and is guided into the subcooler 66a.

분배기(C)는 실외기(A)와 제1, 제2, 제3 및 제4 실내기(B1, B2, B3, B4) 사이에 배치되어, 냉방 전실, 난방 전실, 냉방 주체 동시 운전 및 난방 주체 동시 운전 조건에 따라 냉매를 제1, 제2, 제3 및 제4 실내기(B1, B2, B3, B4)에 분배한다. 이를 위해, 분배기(C)는 고압 기체 헤더(81), 저압 기체 헤더(82), 액체 헤더(83) 및 제어 밸브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tributor C is disposed between the outdoor unit A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units B1, B2, B3 and B4 so as to control the simultaneous operation of the cooling air chamber, The refrigerant is distributed 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units B1, B2, B3 and B4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To this end, the dispenser C may include a high pressure gas header 81, a low pressure gas header 82, a liquid header 83 and control valves (not shown).

고압 기체 헤더(81)는 합지부(57)의 고압기체배관(63) 및 제1, 제2, 제3, 제4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의 일 측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저압 기체 헤더(82)는 흡입배관(64)에 저압기체배관(75)으로 연결되고, 제1, 제2, 제3, 제4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의 타 측에 연결된다. 액체 헤더(83)는 과냉각장치(66) 및 제1, 제2, 제3, 제4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의 일 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고압 기체 헤더(81)와 저압 기체 헤더(82) 및 액체 헤더(83)에는 다른 실외기(미도시)의 고압기체배관(63')과 저압기체배관(75') 및 액체배관(72')이 각각 더 연결될 수도 있다.The high pressure gas header 8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igh pressure gas pipe 63 of the joint portion 57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and 41 . The low-pressure gas header 82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64 by a low-pressure gas pipe 75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 The liquid header 8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ercooling device 66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and 41, respectively. The high pressure gas pipe 81 and the low pressure gas header 82 and the liquid header 83 are connected to the high pressure gas pipe 63 'and the low pressure gas pipe 75' and the liquid pipe 72 'of another outdoor unit (not shown) Respectively.

제1, 제2, 제3 및 제4 실내기(B1, B2, B3, B4)는 모두 운전되거나, 일부만이 운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및 제4 실내기(B1, B2, B3, B4) 중 일부는 냉방 운전되고, 나머지는 난방 운전될 수 있다.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units B1, B2, B3 and B4 may all be operated or only a part thereof may be operated. Also, some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units B1, B2, B3 and B4 may be in the cooling operation and the remaining may be in the heating operation.

제1, 제2, 제3 및 제4 실내기(B1, B2, B3, B4)는 각각 제1, 제2, 제3, 제4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 제1, 제2, 제3, 제4 실내 전자팽창밸브(12, 22, 32, 42) 및 제1, 제2, 제3, 제4 실내기 팬(15, 25, 35, 45)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제2, 제3, 제4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의 일 단에는 제1실내 열교환기 연결배관(13, 23, 33, 43)이 연결되고, 타 단에는 제2실내 열교환기 연결배관(14, 24, 34, 44)이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units B1, B2, B3 and B4 are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and 41,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electronic expansion valves 12, 22, 32 and 42 and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fan units 15, 25, 35 and 45.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connecting pipes 13, 23, 33 and 43 are connected to one end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and 41,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connecting pipe 14, 24, 34, 44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connecting pipe.

제1, 제2, 제3, 제4 실내 전자팽창밸브(12, 22, 32, 42)는 상기 제1실내 열교환기 연결배관(13, 23, 33, 43) 상에 설치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 실내기(B1, B2, B3, B4)가 냉방 운전 시, 제1, 제2, 제3, 제4 실내 전자팽창밸브(12, 22, 32, 42)는 소정 개도로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냉매는 제1, 제2, 제3, 제4 실내 전자팽창밸브(12, 22, 32, 42)를 통과하며 팽창될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실내기(B1, B2, B3, B4)가 난방 운전 시, 제1, 제2, 제3, 제4 실내 전자팽창밸브(12, 22, 32, 42)는 풀 오픈될 수 있다. 이 경우, 냉매는 제1, 제2, 제3, 제4 실내 전자팽창밸브(12, 22, 32, 42)를 통과하며 팽창되지 않을 수 있다.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electronic expansion valves (12, 22, 32, 42) are installed on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connecting pipe (13, 23, 33, 43).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electronic expansion valves 12, 22, 32, and 42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units B1, B2, Can be controlled to a predetermined degree. In this case, the refrigerant may expand throug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electronic expansion valves (12, 22, 32, 42).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units B1, B2, B3 and B4 are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electronic expansion valves 12, 22, 32 and 42, respectively, Can be fully opened. In this case,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electronic expansion valves (12, 22, 32, 42) and may not expand.

냉방 운전되는 제1, 제2, 제3 및 제4 실내기(B1, B2, B3, B4)에 연결되는 제1실내 열교환기 연결배관(13, 23, 33, 43)은 액체 냉매를 분배기(C)의 액체 헤더(83)에서 제1, 제2, 제3, 제4 실내 전자팽창밸브(12, 22, 32, 42)로 안내할 수 있다. 이 경우, 냉방 운전되는 제1, 제2, 제3 및 제4 실내기(B1, B2, B3, B4)에 연결되는 제2실내 열교환기 연결배관(14, 24, 34, 44)은, 제1, 제2, 제3, 제4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에서 증발된 저압의 기상 냉매를 분배기(C)의 저압기체 헤더(82)로 안내할 수 있다.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connecting piping 13, 23, 33, 43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units B1, B2, B3,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electronic expansion valves 12, 22, 32, 42 in the liquid header 83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expansion valves. In this case,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connecting piping (14, 24, 34, 44)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units (B1, B2, B3, B4) Pressure gaseous refrigerant vaporized i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and 41 to the low-pressure gas header 82 of the distributor C.

난방 운전되는 제1, 제2, 제3 및 제4 실내기(B1, B2, B3, B4)에 연결되는 제1실내 열교환기 연결배관(13, 23, 33, 43)은 제1, 제2, 제3, 제4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에서 응축된 액체 냉매를 분배기(C)의 액체 헤더(83)로 안내할 수 있다. 이 경우, 난방 운전되는 제1, 제2, 제3 및 제4 실내기(B1, B2, B3, B4)에 연결되는 제2실내 열교환기 연결배관(14, 24, 34, 44)은, 고압의 기상 냉매를 분배기(C)의 고압기체 헤더(81)에서 제1, 제2, 제3, 제4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로 안내할 수 있다.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connecting piping 13, 23, 33, 43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units B1, B2, B3, The liquid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third and fourth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and 41 can be guided to the liquid header 83 of the distributor C. In this case, the second indoor heat exchanger connecting piping (14, 24, 34, 44)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units (B1, B2, B3, B4) The gaseous refrigerant can be guided from the high pressure gas header 81 of the distributor C 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and 41.

제1, 제2, 제3, 제4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는 실내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방 운전되는 제1, 제2, 제3 및 제4 실내기(B1, B2, B3, B4)의 제1, 제2, 제3, 제4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는 증발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난방 운전되는 제1, 제2, 제3 및 제4 실내기(B1, B2, B3, B4)의 제1, 제2, 제3, 제4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는 응축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41) can condense or evaporate the refrigerant by heat exchange with the room air. Specifically,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41)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units (B1, B2, B3, B4) ) Can serve as an evaporator.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41)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units (B1, B2, B3, B4) Can play a role.

한편, 제1, 제2, 제3, 제4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에서의 열교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제4 실내기 팬(15, 25, 35, 45)은 제1, 제2, 제3, 제4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 주위에 설치되어 제1, 제2, 제3, 제4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킨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acilitate the heat exchange i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and 41,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fan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and 41 are installed arou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11, 21, 31, 41).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B is a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냉난방 절환형 멀티 공기조화기일 수 있다. 냉난방 절환형 멀티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실내기(B1, B2, B3, B4)와 실외기(A)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냉난방 절환형 멀티 공기조화기는, 난방 또는 냉방 중 어느 하나의 운전모드로 절환되어 실내를 공기 조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로 명명될 수도 있다.The air condition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ulti-type air conditioner for switching between heating and cooling. The cooling / heating switching type multi-type air condition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indoor units (B1, B2, B3, B4) and an outdoor unit (A) are connected by a refrigerant pipe. In this case, the cooling / heating switching type multi-type air conditioner can be switched to either the heating mode or the cooling mode to air-condition the room. Such an air conditioner may be referred to as a heat pump type air conditioner.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실내기(B1, B2, B3, B4)와, 상기 실내기(B1, B2, B3, B4)에 연결되는 실외기(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내기(B1, B2, B3, B4)와 실외기(A)는 냉매배관(10, 2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실외기(A)는 실내기(B1, B2, B3, B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요구에 의해 구동되고, 실내기(B1, B2, B3, B4)에 의해 요구되는 냉난방 용량이 증가할수록 실외기(A)의 작동 대수 및 실외기(A)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대수가 증가할 수 있다.1B, the air condition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door units B1, B2, B3, and B4 installed in a room of a building, and indoor units B1 and B2 , B3, B4)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A). The indoor units B1, B2, B3, and B4 and the outdoor unit A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refrigerant pipes 10 and 20. The outdoor unit A is driven by the request of at least one of the indoor units B1, B2, B3 and B4 and the outdoor unit A is driven by the indoor units B1, B2, B3 and B4 as the cooling / The number of operating units and the number of compressors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A) can be increased.

실내기(B1, B2, B3, B4)는, 냉매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 주위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기 팬(15, 25, 35, 45), 냉방 시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로 유동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내 전자팽창밸브(12, 22, 32, 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는 냉방 운전 시 증발기로 기능하고, 난방 운전 시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The indoor units B1, B2, B3 and B4 are provided around the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and 41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room air, the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and 41, 22, 32, 42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flowing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1, 21, 31, 41) during the cooling of the indoor unit fan (15, 25, 35, 45) circulating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like. Here, the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41) function as an evaporator during cooling operation and can function as a condenser during heating operation.

실외기(A)는, 실내기(B1, B2, B3, B4)로부터 공급된 냉매 중 기체 냉매만을 추출하는 어큐뮬레이터(52), 어큐뮬레이터(52)에서 추출된 기체 냉매를 공급받아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압축하는 제1, 제2 압축기(53, 54), 상기 제1, 제2 압축기(53, 54)와 연결되어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에 따라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62), 사방밸브(62)에서 공급된 냉매와 실외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압축기(53)는 냉매의 압축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인버터 압축기이고, 제2 압축기(54)는 냉매의 압축용량이 일정한 정속 압축기일 수 있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51)는 냉방 운전 시 응축기로 기능하고, 난방 운전 시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실외 열교환기(51) 주위에는, 실외 공기를 실외 열교환기(51)로 유입시키는 실외기 팬(61)이 구비될 수 있다.The outdoor unit A includes an accumulator 52 for extracting only the gas refrigerant from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indoor units B1, B2, B3 and B4, a compressor 52 for receiving the gas refrigerant extracted from the accumulator 52, A four-way valve (62)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54) for selecting the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accordance with the cooling operation or the heating operation,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51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valve 62 and outdoor air. Here, the first compressor 53 may be an inverter compressor capable of varying the compression capacity of the refrigerant, and the second compressor 54 may be a constant speed compressor having a constant compression capacity of the refrigerant. Further, the outdoor heat exchanger 51 functions as a condenser during cooling operation, and can function as an evaporator during heating operation. On the other hand, an outdoor fan 61 for introducing outdoor air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51 may be provided arou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51.

제1, 제2 압축기(53, 54)와 사방밸브(62)를 연결하는 배관에는 제1, 제2 오일분리기(58, 59)가 설치된다. 제1, 제2 오일분리기(58, 59)는 제1, 제2 압축기(53, 54)의 흡입 측에 연결된다. 이 경우, 제1, 제2 오일분리기(58, 59)는 제1, 제2 압축기(53, 54)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분리하고, 분리된 오일을 제1, 제2 압축기(53, 54)에 공급함으로써, 제1, 제2 압축기(53, 54) 내부에 적정량의 오일을 유지시킨다. 상기 제1, 제2 오일분리기(58, 59)와 상기 제1, 제2 압축기(53, 54)의 흡입 측 배관은 제1, 제2 오일회수관(30, 31)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제2 오일회수관(30, 31)을 통해 오일이 이동된다.First and second oil separators 58 and 59 are installed in the pip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and the four-way valve 62. The first and second oil separators 58 and 59 are connected to the suction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oil separators 58 and 59 separate the oil from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and supply the separated oil to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54 so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oil is retained in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54. The first and second oil separators 58 and 59 and the suction pipe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are connected through first and second oil return pipes 30 and 31, The oil is mov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il return pipes (30, 31).

냉매배관(10)은 실외 열교환기(51)에서 토출된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로 안내한다. 냉매배관(10)에는 난방 운전 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외 전자팽창밸브(EEV, 65)와, 냉방 운전 시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로 이동되는 냉매를 과냉각시키는 과냉각장치(66)가 설치된다. The refrigerant piping 10 guides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outdoor heat exchanger 51 to the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and 41. The refrigerant pipe 10 is provided with an outdoor electronic expansion valve (EEV) 65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condensed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and a supercooling device (supercooling device) 65 for supercooling the refrigerant moving to the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66).

실외 전자팽창밸브(65)는 냉방 운전 시 풀 오픈되어, 실외 열교환기(51)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지 않고 통과시킨다. 반면, 난방 운전 시에는 소정 크기로 개도되어,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에서 응축된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51)로 유입되기 전에 분무상태의 액체로 팽창시킨다.The outdoor electronic expansion valve (65) is opened at the time of cooling operation, and passes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51) without expanding it.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heating operation, the refrigerant is open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41) is expanded into the sprayed liquid before being introduced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51).

과냉각장치(66)는, 냉매배관(10) 중 일부를 감싸며 설치되는 과냉각기(66a), 과냉각기(66a)를 관통하여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로 연결되는 냉매배관(10)에 연결되어 상기 냉매배관(10)을 이동하는 냉매 중 일부를 과냉각기(66a) 내부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배관(66b), 바이패스 배관(66b)에 설치되는 전자팽창밸브(66c), 과냉각기(66a)와 어큐뮬레이터(52)의 입력 측 냉매배관(64)을 연결하는 회수배관(66d), 회수배관(66d)과 제1, 제2 압축기(53, 54)의 토출 측 배관(62")을 연결하는 과열배관(88), 회수배관(66d)과 과열배관(88)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과냉각기(66a)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에 따라 회수배관(66d) 또는 과열배관(88)으로 냉매의 유동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밸브(8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upercooling device 66 includes a supercooling device 66a which surrounds a part of the refrigerant pipe 10 and a refrigerant pipe 66a which is connect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s 11, 21, 31 and 41 through the subcooler 66a A bypass pipe 66b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10 for bypassing part of the refrigerant moving in the refrigerant pipe 10 to the inside of the subcooler 66a and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66c installed in the bypass pipe 66b, A recovery pipe 66d for connecting the supercooler 66a and the input side refrigerant pipe 64 of the accumulator 52, a recovery pipe 66d and a discharge side pipe (not shown) of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The superheat pipe 88 connecting the recovery pipe 66d and the superheat pipe 88 and the recovery pipe 66d or the superheat pipe 66d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supercooler 66a, And a valve (89) for switching the refrigerant flow direction to the pipe (88).

여기서, 과냉각기(66a)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냉매배관(10)은 상기 과냉각기(66a)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냉매배관(10)을 따라 이동하는 냉매는, 공기조화기(100)가 냉방사이클로 구동되는 경우, 과냉각기(66a) 내부에 충진된 냉매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하강된다. 이를 위해, 전자팽창밸브(66c)는 바이패스 배관(66b)을 통해 과냉각기(66a)로 이동되는 냉매를 팽창시켜 분무 상태의 저온 저압 액체 냉매로 변환시키고, 상기 팽창된 냉매는 과냉각기(66a)의 내부에 충진되어 냉매배관(10)을 따라 이동되는 냉매와 열교환된다.Here, a space is formed in the subcooler 66a, and the refrigerant pipe 10 is installed through the subcooler 66a. When the air conditioner 100 is driven in a cooling cycle, the refrigerant moving along the refrigerant pipe 10 is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filled in the subcooler 66a, and the temperature is lowered. To this end,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66c expands the refrigerant flowing to the subcooler 66a through the bypass pipe 66b to convert it into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liquid refrigerant in the spray state, and the expanded refrigerant is sucked by the subcooler 66a And is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moving along the refrigerant pipe 10.

한편, 과냉각장치(66)에서 유입/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과냉각기(30)의 토출 측 냉매배관(10)과, 바이패스 배관(66b)에서 전자팽창밸브(66c)의 토출 측에 설치된 바이패스 배관(86")과, 회수배관(66d)에서 과냉각기(66a)와 밸브(89) 사이에 설치된 배관(87)에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101, 102, 103)가 각각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 / discharging from the supercooling device 66, the discharge side refrigerant pipe 10 of the supercooler 30 and the discharge port 66c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66c in the bypass pipe 66b And a pipe 87 provided between the subcooler 66a and the valve 89 in the recovery pipe 66d are connected with temperature sensors 101, 102, and 103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Respectively.

이와 함께, 제1, 제2 압축기(53, 54)의 토출 측 냉매배관에는 상기 제1, 제2 압축기(53, 54)에서 토출된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104, 105)가 각각 설치되고, 어큐뮬레이터(52)의 입력 측 냉매배관에도 상기 어큐뮬레이터(52)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106)가 설치된다.In addition, temperature sensors 104 and 105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are connected to the discharge side refrigerant pipe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And a temperature sensor 106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accumulator 52 is also installed in the refrigerant pipe on the input side of the accumulator 52.

밸브(89)는 온도센서(103)에서 측정된 냉매의 온도에 따라, 과냉각기(66a) 내부에서 토출된 냉매의 유동 방향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과냉각기(66a) 내부에서 토출된 냉매의 온도가 정상적인 온도범위로 유지되는 경우, 밸브(89)는 냉매가 회수배관(66d)과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하고 과열배관(88)과 연결되는 유로를 차단한다. 반면, 과냉각기(66a) 내부에서 토출된 냉매의 온도가 정상적인 온도범위 보다 높은 경우, 밸브(89)는 제1, 제2 압축기(53, 54)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수배관(66d)과 연결되는 유로를 차단하고, 과열배관(88)과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한다. 이 경우, 과열배관(88)에는 상기 제1, 제2 압축기(53, 54)에서 토출된 냉매가 과냉각기(66a)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85)가 설치된다.The valve 89 selects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subcooler 66a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03. [ Specifical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subcooler 66a is maintained in the normal temperature range, the valve 89 opens the flow path for connecting the refrigerant to the recovery pipe 66d and connects the refrigerant to the superheat pipe 88 Thereby blocking the flow passage.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subcooler 66a is higher than the normal temperature range, the valve 89 is connected to the recovery pipe 66d and the recovery pipe 66d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from being damaged The flow path connected to the superheat pipe 88 is opened. In this case, the overheat pipe 88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85 for prevent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mpressors 53 and 54 from flowing back to the subcooler 66a.

한편, 냉매배관(10)에는 상기 냉매배관(10)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드라이어(110)가 설치되고, 상기 드라이어(110)를 통과하는 냉매는 상기 냉매배관(10)에서 바이패스 되어 실내 열교환기(11, 21, 31, 41) 측으로 유동된다.The refrigerant pipe 10 is provided with a dryer 110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inside of the refrigerant pipe 10 and a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dryer 110 is bypassed from the refrigerant pipe 10, Flows to the heat exchanger (11, 21, 31, 41) side.

이하,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유량 센서가 측정한 열원수 유량 또는 온도 센서가 측정한 실외 열교환기의 입출구 온도차에 기초하여 변유량 밸브의 개도를 제어하는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in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s. 1A to 1B, details of the embodiment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oil-flow amount valve based on the heat source water flow rate measured by the flow sensor or the inlet / outlet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Explai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00)는 도 1a에 도시된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 또는 도 1b에 도시된 냉난방 절환형 멀티 공기조화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00)는 압축기(210), 실외 열교환기(220), 온도 센서(230), 유량 센서(240), 변유량 밸브(250), 펌프(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he air conditioner multi-typ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1A or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1B. The air conditio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or 210, an outdoor heat exchanger 220, a temperature sensor 230, a flow rate sensor 240, a flow rate valve 250, a pump 260, And may include a controller 270.

압축기(210)는 냉동 사이클의 목표 고압에 대응하는 운전 주파수(Hz)로 운전될 수 있다. 목표 고압은 냉방 운전, 난방 운전, 냉방 주체 동시 운전 및 난방 주체 동시 운전에 대응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The compressor 210 may be operated at an operating frequency (Hz) corresponding to the target high pressure of the refrigeration cycle. The target high pressure can be set differently corresponding to the cooling operation, the heating operation, the simultaneous operation of the cooling subject and the simultaneous operation of the heating subject.

실외 열교환기(220)는 수냉식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외 열교환기(220)는 유입된 냉매를 열원수와 열교환시켜 증발시키거나 응축시킬 수 있다. 열원수(heat source water)는 일정 수온을 갖는 액체 에너지원일 수 있다.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can perform water-cooled heat exchange. In this case,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can evaporate or condense the introduced refrigerant by heat exchange with the heat source water. The heat source water may be a liquid energy source having a constant water temperature.

실외 열교환기(220)는 냉매 열교환 유로 및 열원수 열교환 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냉매 열교환 유로는 냉매가 통과하면서 증발되거나 응축되는 유로일 수 있다. 열원수 열교환 유로는 열원수가 통과하면서 냉각되거나 가열되는 유로일 수 있다.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may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heat exchange passage and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passage. The refrigerant heat exchange flow path may be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evaporated or condensed.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flow path may be a flow path which is cooled or heated while the heat source water passes.

실외 열교환기(220)는 판형 열교환기 또는 쉘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다. 판형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경우, 냉매 열교환 유로와 열원수 열교환 유로가 판형 열전달부재를 통해 구획되어, 판형 열전달부재를 통해 냉매와 열원수가 열교환될 수 있다. 쉘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경우, 냉매 열교환 유로와 열원수 열교환 유로가 쉘 내부에 배치된 튜브에 의해 구획되어, 튜브를 통해 냉매와 열원수가 열교환될 수 있다.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may be constituted by a plate heat exchanger or a shell tubular heat exchanger. In the case of a plate heat exchanger, the refrigerant heat exchange channel and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channel are partitioned through the plate type heat transfer member, and the refrigerant and the heat source water can be heat-exchanged through the plate type heat transfer member. In the case of a shell-and-tube heat exchanger, the refrigerant heat exchange flow path and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flow path are partitioned by a tube disposed inside the shell, so that the refrigerant and the heat source water can be heat-exchanged through the tube.

온도 센서(230)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도 센서(230)는 검출 소자를 이용하여 유체 또는 물체 표면 등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 소자는 서미스터, 백금, 니켈 및 열전쌍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230 can measure the temperature. To this end, the temperature sensor 230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f a fluid or an object surface using a detecting element, convert the measured temperature into an electric signal, and output or transmit the electric signal. Here, the detecting element may include a thermistor, a platinum, a nickel, and a thermocouple.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온도 센서(230)는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구 온도 및 출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230)는 실외 열교환기(220)로 열원수가 유입되는 입구 온도와, 실외 열교환기(220)로부터 열원수가 토출되는 출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개의 온도 센서(230)가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mperature sensor 230 may measure the inlet temperature and the outlet temperatur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sensor 230 can measure the inlet temperature at which the heat source water flows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and the outlet temperature at which the heat sourc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230 may b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respectively.

유량 센서(240)는 유동하는 액체 또는 기체의 질량을 측정할 수 있다.The flow sensor 240 can measure the mass of the flowing liquid or gas.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유량 센서(240)는 변유량 밸브(250)의 출구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량 센서(240)는 변유량 밸브(250)로부터 열원수가 토출되는 출구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량 센서(240)는 변유량 밸브(250)의 출구 측에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low sensor 240 can measure the outlet flow rate of the oil-flow valve 250. Specifically, the flow sensor 240 can measure the outlet flow rate at which the heat sourc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oil-flow valve 250. For this purpose, the flow sensor 240 may be installed at the outlet side of the oil-flow valve 250.

변유량 밸브(250)는 실외 열교환기(220)로 유입되거나 해당 실외 열교환기(220)로부터 토출되는 열원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유량 밸브(250)는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열원수 열교환 유로를 순환하는 열원수의 유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변유량 밸브(250)는 열원수 열교환 유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변유량 밸브(250)는 열원수 열교환 유로를 구성하는 입수유로와 출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The flow rate valve 250 can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flowing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or discharged from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Specifically, the flow rate valve 250 can vary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channel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To this end, the oil-flow valve 250 may be installed on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flow path. In this case, the oil-flow valve 250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water inlet channel and the water outlet channel constituting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channel.

변유량 밸브(250)는 풀 오픈(full open)시 최대 개도로 개방되고, 풀 클로우즈(full close)시 폐쇄될 수 있다. 변유량 밸브(250)가 최대 개도로 개방되는 경우, 열원수 열교환 유로를 순환하는 열원수의 유량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변유량 밸브(250)가 폐쇄되는 경우, 열원수 열교환 유로를 순환하는 열원수의 유량을 최소로 할 수 있다.The oil-flow valve 250 may be opened at full opening at full opening and closed at full close. When the oil-flow valve 250 is opened at the maximum opening degree,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channel can be maximized. When the oil-flow valve 250 is closed,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channel can be minimized.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 기동 시, 변유량 밸브(250)는 풀 오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유량 밸브(250)는 최대 개도로 개방되어, 열원수 열교환 유로의 열원수 유량을 최대로 할 수 있다. When the cooling operation or the heating operation is started, the oil-flow valve 250 can be fully opened. Specifically, the oil-flow valve 250 is opened at the maximum opening degree, so that the flow rate of heat source water in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flow path can be maximized.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의 기동이 완료되면,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풀 오픈되었던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는 소정 개도로 감소될 수 있다.When the cooling operation or the heat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250 can be adjusted. In this case, the opening degree of the full-open valve 250 may be reduced to a predetermined degree.

소정 운전 모드에 진입하여 정상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변유량 밸브(250)는 유량 센서(240)가 측정한 열원수 유량에 대응하여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유량 밸브(250)는 현재 개도에서 소정 개도만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를 위한 펄스값은 소정 펄스만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When the 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by entering the predetermined operation mode,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250 can be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measured by the flow sensor 240. Specifically, the amount-of-oil valve 25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a predetermined degree in the current opening degree. To this end, the pulse value for opening the oil-flow valve 250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a predetermined pulse.

정상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만일 유량 센서(24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변유량 밸브(250)는 온도 센서(230)가 측정한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출구 온도차에 대응하여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출구 온도차에 기초하여 열원수 유량을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In the normal operation, if the flow sensor 240 does not operate normally, the oil supply valve 250 can adjust the opening degree corresponding to the inlet / outlet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30 have. In this case, the heat source water flow rate can be predicted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변유량 밸브(250)는 펄스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펄스 모터 라고도 함)로 구동되어, 그 조작량, 즉 개도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스테핑 모터는 스텝(step) 상태의 펄스에 순서를 부여함으로써, 주어진 펄스 수에 비례한 각도만큼 회전하는 모터일 수 있다. 따라서,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는 펄스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The oil-flow valve 250 is driven by a stepping motor (also referred to as a pulse motor) controlled by a pulse signal, so that the amount of operation, that is, the opening degree can be changed. Here, the stepping motor may be a motor that rotates by an angle proportional to a given number of pulses by giving an order to the pulses in a stepped state. Accordingly,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250 can be expressed in pulse units.

펌프(260)는 열원수가 실외 열교환기(220)와 외부 열교환설비(미도시)를 순환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열교환설비(미도시)는 실외 열교환기(220)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열원수를 실외 공기나 지열 등과 열교환시킬 수 있다.The pump 260 may circulate the heat source number between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and an external heat exchange facility (not shown). Here, the external heat exchange facility (not shown) can heat-exchange the heat source water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with outdoor air, geothermal heat, and the like.

펌프(260)는 열원수가 실외 열교환기(220)와 열원수 열교환 유로 및 외부 열교환설비(미도시)를 순환하도록 펌핑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펌프(260)는 열원수 열교환 유로를 구성하는 입수유로와 출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The pump 260 may pump the heat source circulating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and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passage and the external heat exchange facility (not shown). To this end, the pump 260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inlet flow path and the outlet flow path constituting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flow path.

펌프(260)는 용량이 가변될 수 있는 용량 가변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용량 가변 펌프는, 입력 주파수에 따라 용량이 가변되는 인버터 펌프이거나, 펌핑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정속 펌프일 수 있다.The pump 260 may be composed of a variable displacement pump whose capacity can be varied. In this case, the capacity variable pump may be an inverter pump whose capacity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input frequency, or may be a constant speed pump capable of varying the pumping capacity.

펌프(260)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펌프(260)는 압력 센서가 감지한 압력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The pump 260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capable of sensing press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ump 260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number of revolutions in response to a pressure chang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제어부(270)는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can control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250.

구체적으로,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 기동 시, 제어부(270)는 변유량 밸브(250)를 풀 오픈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변유량 밸브(250)는 최대 개도로 개방된다.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의 기동이 완료되면, 제어부(270)는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풀 오픈되었던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는 소정 개도로 감소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cooling operation or the heating operation is started, the control unit 270 can open the oil-flow valve 250 in a full-open state. In this case, the oil-flow valve 250 is opened at the maximum opening degree. When the cooling operation or the heat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ler 270 can adjust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250. In this case,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250 that has been fully opened can be reduced by a predetermined degree.

소정 운전 모드에 진입하여 정상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유량 센서(240)가 측정한 열원수 유량에 대응하여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변유량 밸브(250)는 현재 개도에서 소정 개도만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can control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250 in accordance with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measured by the flow sensor 240. In this case, In this case, the oil-flow valve 250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a predetermined degree in the current opening degree.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실외기 및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270 may be formed inside or outside of the outdoor unit and the at least one indoor uni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의 열원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flow of heat source water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외 열교환기(220)는 열원수 열교환 유로(310) 및 냉매 열교환 유로(미도시)와 연결된다. 냉매와 열원수 간에 열교환이 수행될 수 있도록, 열원수 열교환 유로(310)와 냉매 열교환 유로(미도시)는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is connected to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channel 310 and the refrigerant heat exchange channel (not shown).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channel 310 and the refrigerant heat exchange channel (not shown) may be correspondingly arranged so that heat exchange can be performed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heat source water.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구 및 출구 측에는 복수개의 온도 센서(230a, 230b)가 각각 대응하여 배치된다. 이 경우, 온도 센서(230)는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구 온도 및 출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230a and 230b ar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sensor 230 can measure the inlet temperature and the outlet temperatur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열원수 열교환 유로(310)는 열원수가 통과하면서 냉각되거나 가열되는 유로일 수 있다. 열원수 열교환 유로(310)는 외부 열교환설비(미도시)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열원수 열교환 유로(310)는 입수 유로(312)와 출수 유로(314)를 포함할 수 있다. 입수유로(312)는 외부 열교환설비(미도시)를 통과한 열원수가 실외 열교환기(220)로 입수되는 유로일 수 있다. 출수유로(314)는 실외 열교환기(220)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열원수가 외부 열교환설비(미도시)로 출수되는 유로일 수 있다.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channel 310 may be a channel that is cooled or heated while the heat source water passes.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channel 3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heat exchange facility (not shown). Specifically,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channel 310 may include an inlet channel 312 and an outlet channel 314. The inlet channel 312 may be a channel through which the number of heat source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external heat exchange facility (not shown) is suppli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The outflow channel 314 may be a channel through which the heat source heat 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is discharged to an external heat exchange facility (not shown).

외부 열교환설비(미도시)는 실외 열교환기(220)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열원수를 실외 공기나 지열 등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열교환설비(미도시)는, 출수유로(314)를 통해 출수된 열원수를 실외 공기에 의해 냉각시키는 냉각탑, 출수유로(314)를 통해 출수된 열원수를 지열과 열교환시키는 지열 열교환기, 출수유로(314)를 통해 출수된 열원수를 가열하는 보일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xternal heat exchange facility (not shown) can heat-exchange the heat source water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with outdoor air, geothermal heat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external heat exchange facility (not shown) includes a cooling tower that cools the heat source water exiting through the outflow channel 314 by outdoor air, a geothermal heat exchange heat exchanging heat source water exiting through the outflow channel 314 with the geothermal heat A boiler for heating the heat source water exiting through the outflow channel 314, and the like.

열원수 열교환 유로(310)를 구성하는 입수유로(312)와 출수유로(314)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변유량 밸브(250)가 설치될 수 있다. 변유량 밸브(250)는 입수유로(312)를 통해 실외 열교환기(220)로 유입되거나, 출수유로(314)를 통해 실외 열교환기(220)로부터 토출되는 열원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유량 밸브(250)는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열원수 열교환 유로(310)를 순환하는 열원수의 유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The heat-source water heat exchange passage 310 may be provided with a flow-rate valve 250 in at least one of the water inlet channel 312 and the water outlet channel 314. The flow rate valve 250 can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flowing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through the inlet flow path 312 or the heat source discharged from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through the outlet flow path 314. Specifically, the flow rate valve 250 can vary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channel 310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변유량 밸브(250)의 출구 측에는 유량 센서(240)가 설치된다. 유량 센서(240)는 변유량 밸브(250)의 출구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변유량 밸브(250)로부터 토출되는 열원수 유량이 측정된다. A flow rate sensor 240 is installed at the outlet side of the flow rate valve 250. The flow sensor 240 can measure the outlet flow rate of the oil-flow valve 250. Thus, the flow rate of heat source water discharged from the oil-flow valve 250 is measured.

열원수 열교환 유로(310)를 구성하는 입수유로(312)와 출수유로(314) 중 적어도 하나에는, 펌프(260)가 설치될 수 있다.The pump 260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water inlet channel 312 and the water outlet channel 314 constituting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channel 310.

펌프(260)는 열원수가 실외 열교환기(220)와 외부 열교환설비(미도시)를 순환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펌프(260)는, 열원수가 입수유로(312), 실외 열교환기(220), 출수유로(314) 및 외부 열교환설비(미도시)를 순차적으로 순환하도록 펌핑시킬 수 있다.The pump 260 may circulate the heat source number between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and an external heat exchange facility (not shown). Specifically, the pump 260 can pump the heat source water so that the heat source water circulates through the inlet flow passage 312,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the outlet flow passage 314, and the external heat exchange facility (not shown).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열교환설비(미도시)로부터 유입된 열원수가 입수유로(312)를 통해 실외 열교환기(220)로 유입된다. 열원수는 실외 열교환기(220)에서 냉매와 열교환되고, 출수유로(314)를 통해 변유량 밸브(250)를 통과하여 외부 열교환설비(미도시)로 유입된다.Referring to FIG. 3, the number of heat sources introduced from an external heat exchange facility (not shown) flows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through the inlet channel 312. The heat source water is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and flows into the external heat exchange facility (not shown) through the oil flow valve 314 and the oil-flow valve 250.

이 경우, 유량 센서(240)는 변유량 밸브(250)로부터 토출되는 열원수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열원수 유량에 대응하여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가 조정된다. In this case, the flow sensor 240 measures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discharged from the flow rate valve 250, and adjusts the opening of the flow rate valve 250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d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또한, 온도 센서(230)는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구와 출구간의 온도차를 측정하고, 측정된 입구와 출구간의 온도차에 대응하여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가 조정된다. 구체적으로,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구와 출구간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열원수 유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열원수 유량에 대응하여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가 조절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The temperature sensor 230 measure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and adjusts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250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d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Specifically, the heat source water flow rate is predicted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and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250 is adjus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redicted heat source water flow rat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er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00)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수냉식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100)는, 유량 센서(240)가 측정한 열원수 유량에 대응하여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유량 센서(24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온도 센서(230)가 측정한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출구 간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er 100 including the outdoor unit performing the water-cooled heat exchange corresponds to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measured by the flow rate sensor 240 So that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250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The opening degree of the oil-flow valve 250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30 when the flow sensor 240 does not operate normally.

공기조화기(100)는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 기동 시, 압축기(210)의 목표 운전 주파수를 설정한다(S401).The air conditioner 100 sets the target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mpressor 210 when the cooling operation or the heating operation is started (S401).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이 기동하여 압축기(210)에 전원이 인가되면,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270)는 압축기(210)의 목표 운전 주파수(Hz)를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air conditioner 100 can set the target operating frequency (Hz) of the compressor 210 when the cooling operation or the heating operation is started and the compressor 210 is powered.

공기조화기(100)는 변유량 밸브(250)를 최대로 개방하도록 제어한다(S402).The air conditioner 100 controls to open the oil-flow valve 250 to the maximum (S402).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270)는 기동 전 완전히 폐쇄(full close)되어 있던 변유량 밸브(250)를 최대로 개방(full open)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270 of the air conditioner 100 can fully open the oil-flow valve 250 that has been fully closed before the start-up.

공기조화기(100)는 유량 센서(240)를 통해 유량을 측정한다(S403).The air conditioner 100 measures the flow rate through the flow rate sensor 240 (S403).

구체적으로, 유량 센서(240)는 변유량 밸브(250)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변유량 밸브(250)로부터 토출되는 열원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량 센서(240)는 운전 기동 후 초기에 소정 시간 동안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초기 유량 측정 시간은 운전 기동 후 1분 동안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flow sensor 240 is provided at the outlet side of the oil-flow valve 250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discharged from the oil-flow valve 250. In this case, the flow rate sensor 240 can measure the flow rat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the start of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itial flow measurement time may be one minute after the start of operation.

공기조화기(100)는 변유량 밸브(250)가 제어신호에 맞게 개방되었는지 판단한다(S404).The air condition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oil-flow valve 250 is op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S404).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270)는 변유량 밸브(250)가 최대로 개방될 때까지 대기하고, 변유량 밸브(250)가 최대로 개방된 후 운전 기동을 종료하고 정상 운전을 시작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70 of the air conditioner 100 waits until the oil-flow valve 250 is fully opened, and after the oil-flow valve 250 is opened to the maximum, the operation can be terminated and the normal operation can be started.

따라서, S404 단계에서 변유량 밸브(250)가 제어신호에 맞게 개방되었으면(S404-Yes), 공기조화기(100)는 정상 운전을 수행한다(S405). Accordingly, if the flow rate valve 250 is open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in step S404 (Yes in step S404), the air conditioner 100 performs normal operation (step S405).

정상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유량 센서(240)가 측정한 열원수 유량에 대응하여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70)는 개도를 위한 펄스값을 제어함으로써,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를 현재 개도에서 소정 개도만큼 증가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100)의 정상 운전은 소정 시간 동안 계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소정 시간은 30초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70 may adjust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250 in accordance with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measured by the flow sensor 240. In this cas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70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opening degree of the oil-flow valve 250 by a predetermined degree from the current opening degree by controlling the pulse value for open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0 may continue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30 seconds.

반면, S404 단계에서 변유량 밸브(250)가 제어신호에 맞게 개방되지 않았으면(S404-No), 공기조화기(100)는 제어신호에 맞게 변유량 밸브(250)를 개방한다(S406).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4 that the oil supply amount valve 250 is not open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NO in step S404), the air conditioner 100 opens the oil amount valve 250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step S406).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270)는 변유량 밸브(250)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아 최대로 개방되지 않은 경우, 변유량 밸브(250)가 제대로 동작할 때까지 대기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가 최대로 개방될 때까지 대기한다. S406 단계를 수행하면, S403 단계로 되돌아가 유량을 측정한다.The control unit 270 of the air conditioner 100 waits until the oil-flow valve 250 operates properly when the oil-flow-volume valve 250 is not operated properly and is not fully opened.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70 waits until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250 is maximally opened. If step S406 is performed, the flow returns to step S403 and the flow rate is measured.

공기조화기(100)는 정상 운전 후 30초가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S407).The air conditioner 100 determines whether 30 seconds have passed since the normal operation (S407).

만일, 정상 운전 후 30초가 경과하였으면(S407-Yes), 공기조화기(100)는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출구 온도차가 기준값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S408). If 30 seconds have elapsed after the normal operation (S407-Yes), the air condition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inlet-outlet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value (S408).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100)는 정상 운전 시 유량 센서(240)가 측정한 열원수 유량에 대응하여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를 제어한다. 따라서, 유량 센서(240)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으면,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를 제대로 제어할 수 없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er (100) controls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250) in accordance with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measured by the flow sensor (240) Therefore, if the flow sensor 240 does not operate properly,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250 can not be properly controll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량 센서(24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출구 온도차에 기초하여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270)는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출구 온도차가 기준치에 적정한지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를 제어한다. 즉, S408 단계에서,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출구 온도차가 기준값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면(S408-Yes), 제어부(270)는 정상 운전을 계속한다. 반면,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출구 온도차가 기준값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S408-No), 제어부(270)는 유량 센서(24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아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가 제대로 제어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270)는 유량 센서(240)가 에러임을 출력한다(S409).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degree of the oil-flow valve 250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when the flow sensor 240 does not operate normally. To this end, the controller 270 of the air condition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is appropriate for the reference value, and controls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250 based thereon. That is,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8 that the inlet-outlet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value (S408-Yes), the controller 270 continues normal operatio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let / outlet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does not correspond to the reference value (S408-No), the controller 270 determines that the opening degree of the oil-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70 outputs an error indicating that the flow sensor 240 is in error (S409).

공기조화기(100)는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출구 온도차가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한다(S410). 만일,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출구 온도차가 기준값 이상이면(S410-Yes), 제어부(270)는 변유량 밸브(250)를 개방한다(S411). 반면,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출구 온도차가 기준값 미만이면(S410-No), 제어부(270)는 변유량 밸브(250)를 닫는다(S412). 즉, 공기조화기(100)는 유량 센서(24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출구 온도차와 기준값을 비교하고, 온도차에 따라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입출구 온도차가 높다면 변유량 밸브(250)를 개방하고, 입출구 온도차가 낮으면 변유량 밸브(250)를 폐쇄한다. 이는 실외 열교환기(220)의 입출구 온도차와 열원수 유량이 반비례하기 때문인데, 이에 대해서는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The air condition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S410).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S410-Yes), the control unit 270 opens the oil-flow valve 250 (S411). On the other hand, if the inlet-outlet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S410-No), the controller 270 closes the oil-flow valve 250 (S412). That is, when the flow sensor 240 does not operate normally, the air conditioner 100 compares the inlet / outlet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with the reference value, and controls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25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Specifically, if the inlet / outlet temperature difference is high, the oil-flow valve 250 is opened, and if the inlet / outlet temperature difference is low, the oil-flow valve 250 is closed. This is because the inlet / outlet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heat source water flow rat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이후, 공기조화기(100)는 S403 단계로 되돌아가 정상 운전을 계속한다.Thereafter, the air conditioner 100 returns to step S403 and continues normal operation.

기존에는, 공기조화기(100)의 운전 시 냉난방 성능을 높이고 소비전력 및 효율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공기조화기(100)가 설치된 곳의 기후 조건을 고려하여 사용자나 설치자가 열원수의 최소 유량을 조작하였다. 이 경우, 만일 변유량 밸브(250)가 원하는 개도로 개방되지 않으면, 고압이 높게 형성되어 운전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cooling / heating performanc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0 and to selectively control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efficiency, the user or the installer considers the climatic conditions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100 is installed, The flow rate was manipulated. In this case, if the oil-flow valve 250 is not opened at a desired opening degree, a high pressure is formed, which lowers the operation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유량 센서(240)가 측정한 열원수 유량에 대응하여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사용자나 설치자가 변유량 밸브(250)의 최소 유량을 설정하지 않아도, 운전 상황에 맞게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sensor 240 adjusts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250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d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Therefore, even if the user or the installer does not set the minimum flow rate of the oil-flow valve 250, the opening of the oil-flow valve 250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의 변유량 밸브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he amount of flow valve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5는 열원수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물과 냉매 간에는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냉매와 열교환하기 전의 물의 온도는 T1이고, 냉매와 열교환한 후의 물의 온도는 T2이다. 이 경우, 물의 온도 변화량 △T = T2 - T1 이다.Specifically, FIG. 5 shows a case where water is used as the heat source water. Heat exchange can occur between the water and the refrigeran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before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is T1,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after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is T2.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change amount DELTA T = T2 - T1 of the water.

질량 보존의 법칙에 의하여, 물의 열량 변화량(Q1)과 냉매의 열량 변화량(Q2)은 동일하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By the law of conservation of mass, the amount of heat change Q1 of water and the amount of heat change Q2 of refrigerant are the same. Therefore, the following relationship holds.

물의 열량 변화량(Q1)=냉매의 열량 변화량(Q2)The amount of change in the amount of heat of the water (Q1) =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mount of heat of the refrigerant (Q2)

여기서, Q1 = Cp ⅹ w ⅹ ΔT (Cp: 물 비열, w: 물 질량 유량, ΔT: 온도 변화량)이다.Here, Q1 = Cp x w x ΔT (Cp: specific heat of water, w: water mass flow rate, ΔT: temperature variation).

또한, Q2 = r * Δh (r: 냉매 질량 유량, Δh: 냉매의 엔탈피) 이다. 이 경우, Q2는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Also, Q2 = r *? H (r: refrigerant mass flow rate,? H: enthalpy of refrigerant).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Q2 is fixed.

물이 적게 흐르면 w 값은 작아진다. 이 경우, Cp 값은 1이므로, ΔT는 증가한다. 따라서, 물이 적게 흐르게 되면, 열원수의 온도 변화는 증가한다.The smaller the water flow, the smaller the w value. In this case, since the Cp value is 1,? T increases. Therefore, as the water flows less,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heat source water increases.

물이 많이 흐르면 w 값은 커진다. 이 경우, Cp 값은 1이므로, ΔT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물이 많이 흐르게 되면, 열원수의 온도 변화는 감소한다.The w value becomes large when a lot of water flows. In this case, since the Cp value is 1,? T is decreased. Therefore, when a large amount of water flows,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heat source water decreases.

즉, 물의 유량과 온도 변화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온도 변화로부터 물(열원수)의 유량을 예측할 수 있다.That is, the flow rate of water and temperature change are in inverse proportion. Therefore, the flow rate of water (heat source water) can be predicted from the temperature chang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외 열교환기(220)의 온도 변화를 통해 열원수의 유량을 추적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유량 센서(24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온도 센서(230)가 측정한 온도 변화값에 기초하여 변유량 밸브(250)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can be tracked and adjusted through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Accordingly, even when the flow rate sensor 240 does not operate normally,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w rate valve 250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temperature chang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30.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송신)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Also, the computer may include a control unit 180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공기조화기 210: 압축기
220: 실외 열교환기 230: 온도 센서
240: 유량 센서 250: 변유량 밸브
260: 펌프 270: 제어부
100: air conditioner 210: compressor
220: outdoor heat exchanger 230: temperature sensor
240: Flow sensor 250: Oil-flow valve
260: Pump 270:

Claims (11)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열원수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
개도가 조절되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상기 열원수의 유량을 가변시키는 변유량 밸브;
상기 변유량 밸브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열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 및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 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개도를 최대로 증가시키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열원수의 유량에 대응하여 상기 개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In the air conditioner,
An outdoor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heat source water and the refrigerant;
A variable-volume valve for varying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flowing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with its opening degree adjusted;
A flow rate sensor for measuring a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discharged from the flow rate valve; And
And a control unit for increasing the opening degree to a maximum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started and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corresponding to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입구 및 출구간 온도차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 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구 및 출구간 온도차에 기초하여 상기 열원수의 유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상기 열원수의 유량에 대응하여 상기 개도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n inlet and an out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Wherein the control unit predicts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when the flow rate sensor does not operate normally and controls the opening degree of the air flow in accordance with the predicted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및 출구간 온도차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열원수의 유량이 감소되는 공기조화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is reduced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increa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입구 및 출구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corresponding to an inlet and an out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센서는, 상기 변유량 밸브의 출구 측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sensor is disposed at an outlet side of the oil-flow val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유량 밸브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상기 열원수가 유입되는 입수 유로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열원수가 출수되는 출수 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il-
An inlet 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heat source water flows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an outlet 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heat source flows from the outdoor heat exch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수가 상기 변유량 밸브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순환하도록 제어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ump for controlling the heat source to circulate the oil-flow valve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상기 열원수가 유입되는 입수 유로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열원수가 출수되는 출수 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ump includes:
An inlet 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heat source water flows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an outlet 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heat source flows from the outdoor heat exch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30초인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time is 30 seconds.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 시, 소정 시간 동안 변유량 밸브의 개도를 최대로 개방하는 단계;
상기 변유량 밸브로부터 토출되는 열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열원수의 유량에 대응하여 상기 변유량 밸브의 상기 개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A control method for an air conditioner,
Opening the opening of the oil-flow volume valve to a maximum during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started;
Measuring a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discharged from the flow rate valve; And
And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oil-flow volume valve in accordance with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제10항에 있어서,
실외 열교환기의 입구 및 출구간 온도차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구 및 출구간 온도차에 기초하여 상기 열원수의 유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상기 열원수의 유량에 대응하여 상기 개도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easuring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n inlet and an outlet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is predicted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the opening degree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predicted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when the flow rate senso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heat source water does not operate normally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KR1020160158022A 2016-11-25 2016-11-25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 KR1025506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022A KR102550626B1 (en) 2016-11-25 2016-11-25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022A KR102550626B1 (en) 2016-11-25 2016-11-25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985A true KR20180058985A (en) 2018-06-04
KR102550626B1 KR102550626B1 (en) 2023-07-04

Family

ID=6262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022A KR102550626B1 (en) 2016-11-25 2016-11-25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62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7482B2 (en) * 2003-08-22 2007-10-24 木村工機株式会社 Water source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30041640A (en) * 2011-10-17 201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WO2015162679A1 (en) * 2014-04-21 2015-10-29 三菱電機株式会社 Refrigeration cycle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7482B2 (en) * 2003-08-22 2007-10-24 木村工機株式会社 Water source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30041640A (en) * 2011-10-17 201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WO2015162679A1 (en) * 2014-04-21 2015-10-29 三菱電機株式会社 Refrigeration cyc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626B1 (en)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0798B2 (en) HVAC unit with hot gas reheat
US8151583B2 (en) Expansion valv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1355689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ccumulator thereof
JP3750457B2 (en) Refrigeration air conditioner
KR20050037081A (en) Control method for superheating of heat pump system
WO2008015930A1 (en) Air conditioner
JP7257782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EP2730859A1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CN112840164B (en) Air conditioner and management device
KR20180045194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
US8205463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79405A (en)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6537629B2 (en) Air conditioner
KR101227477B1 (en) Air conditioner having volume variableness type condenser and method of control thereof
KR20180058985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
KR20070077639A (en) Multi air-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JP3661014B2 (en) Refrigeration equipment
JP2893844B2 (en) Air conditioner
US10527323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200073471A (en)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EP4310416A1 (en) Hybrid multi-air conditioning system
KR102470528B1 (en) Air-conditioning system and pipe connection searching method of the same
KR101225979B1 (en) Heat pump type speed heating apparatus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
JP7098513B2 (en) Environment forming device and cooling device
US20210063042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