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881A -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전박막 - Google Patents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전박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881A
KR20180058881A KR1020160157136A KR20160157136A KR20180058881A KR 20180058881 A KR20180058881 A KR 20180058881A KR 1020160157136 A KR1020160157136 A KR 1020160157136A KR 20160157136 A KR20160157136 A KR 20160157136A KR 20180058881 A KR20180058881 A KR 20180058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nanoparticles
thermoelectric
target
thermoelectric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4160B1 (ko
Inventor
최순목
김병근
김나경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7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1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58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35/34
    • H01L35/02
    • H01L35/16
    • H01L35/1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10N10/852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comprising tellurium, selenium or sulfu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10N10/853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comprising arsenic, antimony or bismu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기판 상에 산화가 잘 되는 금속 타겟과 상기 금속보다 산화가 잘 되지 않는 열전 합금 타겟을 동시에 사용하여 박막을 증착하되, 상기 박막은 열전 박막에 나노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전박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전박막{The fabrication method of thermoelectric thin film dispersed nano particles and the thermoelectric thin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전박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화물 나노입자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열전박막의 결정 성장을 제어하는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전박막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이나 웨어러블 IT의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소형의 첨단기기에 부착되어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열전 박막 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열전 소재는 열전도도가 낮고 전기전도도가 높은 특성을 가져야하는데, 비스무스와 텔루륨의 합금인 Bi2Te3이 대표적인 열전물질로 연구되고 있다. Bi2Te3는 큰 질량을 가지며, 비스무스와 텔루륨 간의 반데르 발스 결합(Van der Waals bonding)과 텔루륨 간의 공유결합(covalent bonding)으로 작은 스프링 상수를 가지므로, 열전도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열전물질의 열전 특성을 나타내는 성능지수(figure of merit; ZT)를 증가시킬 수 있다.
벌크형태의 열전 소재의 경우, 모체에 인위적으로 나노입자를 생성시킴으로써 포논의 산란 증가에 의해 열전도가 감소되고 전기 전도도는 향상 된다. 이러한 효과를 유도하여 열전 소자의 성능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박막형태의 열전 소재의 경우, 예를 들어 Bi2Te3 합금을 열전 박막으로 제조함으로써 열전 효과에 영향을 주는 제백 계수(Seebeck coefficient)를 조정할 수 있으며, 비교적 큰 ZT 값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Bi2Te3과 같은 열전 소재 박막의 전기적 열적 특성은 소재 결정의 품질, 즉, 결정 성장 방향 및 형상 등에 의해 열전 성능이 달라지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열전박막의 결정 성장 제어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0996675호(등록일 : 2010.11.19.) 한국 등록특허 제 10-0872332호(등록일 : 2008.12.01.) 한국 등록특허 제 10-1362291호(등록일 : 2014.02.0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산화가 잘되는 금속 재료와 상기 금속과 상대적으로 산화가 잘되지 않는 열전 합금 각각을 동시에 증착함으로써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전박막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 상에 산화가 잘 되는 금속 타겟과 상기 금속보다 산화가 잘 되지 않는 열전 합금 타겟을 동시에 사용하여 박막을 증착하되, 상기 박막은 열전 박막에 나노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전 박막을 제공한다.
상기 금속 타겟은 알루미늄 타겟일 수 있다.
상기 열전 합금 타겟은 비스무스텔루륨 타겟(Bi2Te3 target)일 수 있다.
상기 나노입자는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일 수 있으며, 나아가서, 상기 나노입자는 알루미나 나노입자일 수 있다.
상기 박막은 BiTe 박막일 수 있다.
상기 박막을 증착하는 것은 미량의 산소가 포함된 불활성 기체의 분위기에서 증착하는 것일 수 있으며, 나아가서 상기 산소는 0.001 내지 0.1%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박막은 전체 박막 내 상기 나노입자의 함유 비율이 1 내지 15 %일 수 있다.
상기 박막을 증착하는 것은 진공도 10-5 내지 10-7 torr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박막을 증착하는 것은 스퍼터링(sputtering)법 또는 열증착(thermal evaporation)법을 이용하여 증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전박막은 산화가 잘되는 금속과 상기 금속보다 산화가 잘되지 않는 열전 합금 재료 각각을 동시에 증착함으로써 산화물 나노입자의 함량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산화물 나노입자의 함량에 따라 열전재료 박막의 결정 성장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
도 2a는 알루미나 나노입자 함량이 적은 열전박막의 제조과정 및 기판을 나타낸 단면도,
도 2b는 알루미나 나노입자 함량이 많은 열전박막의 제조과정 및 기판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2 및 실험예 3에 따른 시료들의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사진,
도 4a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시료의 결정에 대한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사진,
도 4b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시료의 결정에 대한 TEM-EDS mapping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시료의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 및 비교예 1에 따른 시료들의 FESEM 사진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 및 비교예 1에 따른 시료들의 XRD(X-ray diffraction)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
도 8a는 본 발명의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 및 비교예 1에 따른 시료들의 전기전도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8b는 본 발명의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 및 비교예 1에 따른 시료들의 제백 계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먼저 기판(100)에 증착하기 전 pre-sputte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과 타겟(200a, 200b) 사이를 가림막으로 가린 후 20분 이상 스퍼터링을 수행함으로써 타켓 표면에 존재하는 자연 산화막 또는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산화물박막(105)이 200-400nm의 두께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은 실리콘(Si)기판이며, 상기 기판(100) 상에 산화실리콘(SiO2) 박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화막(105)이 형성된 기판(100)을 세정하는 것은 울트라 소닉 장치(ultra sonic equipment)를 이용하여, 아세톤과 에틸렌 용액으로 10분 동안 세정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 상에 산화가 잘 되는 금속 타겟(200a)과 상기 금속보다 산화가 잘 되지 않는 열전 합금 타겟(200b)을 동시에 사용하여 박막(110)을 증착한다. 나아가서. 상기 금속 타겟(200a)은 알루미늄 타겟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 합금 타겟(200b)은 비스무스텔루륨 타겟(Bi2Te3 target)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정된 산화막(105) 상에 알루미늄 타겟(Al target; 200a)과 비스무스텔루륨 타겟(Bi2Te3 target; 200b)을 동시에 이용하여 상기 박막(110)을 증착할 수 있다.
상기 박막(110)은 열전 박막에 나노입자가 분산되어 박막으로 증착된다. 상기 박막(110)을 증착하는 것은 스퍼터링(sputtering)법 또는 열증착(thermal evaporation)법을 이용하여 증착할 수 있다.
상기 나노입자는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일 수 있으며, 나아가서 상기 나노입자는 알루미나 나노입자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의 산화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박막(110)을 증착하는 것은 미량의 산소가 포함된 불활성 기체의 분위기에서 증착하는 것일 수 있으며, 나아가서 상기 산소는 0.001 내지 0.01 %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박막(100)은 BiTe 박막일 수 있다.
상기 박막은 전체 박막 내 상기 나노입자의 함유 비율이 1 내지 15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박막을 증착하는 것은 진공도 10-5 내지 10-7 torr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퍼터링 증착(sputtering deposition)으로 박막(110)을 형성할 경우, 상기 증착은 250~35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스퍼터링 증착은 15분 내지 20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텔루륨은 449.51℃의 녹는점을 가지지만, 휘발성이 아주 높은 특징이 있으며, 250~350℃의 온도의 스퍼터링 증착 시에도 산화가 잘 되지 않으므로, 비스무스텔루륨 타겟은 Bi2Te3이라도, 증착된 막은 BiTe박막으로 증착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스퍼터 타겟인 알루미늄(Al)은 산화가 아주 잘되는 금속으로, 증착이 이루어지는 챔버 내에 존재하는 산소(O2)에 의해 증착 전 산화가 되어 알루미나(alumina)로 형성된다.
상기 알루미나는 BiTe보다 큰 입자이므로, 상기 BiTe와 반응 없이 나노입자 상태로 별도로 증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박막(110)은 알루미나 나노입자가 분산된 BiTe박막으로 형성된다.
상기 BiTe박막에 상기 나노입자가 분산되는 것은 상기 알루미늄 타겟(Al target)에 인가되는 전력을 조절하여 상기 나노입자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루미늄 타겟(200a)에 인가되는 전력을 조절하는 것은 DC 파워를 10W 내지 20W의 범위에서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박막(100)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비스무스텔루륨 타겟(Bi2Te3; 200b)의 인가 전력은 고정함으로써 박막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비스무스텔루륨 타겟(Bi2Te3; 200b)의 인가 전력을 고정하는 것은 RF 파워를 40W로 인가함으로써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a는 알루미나 나노입자 함량이 적은 열전박막의 제조과정 및 기판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b는 알루미나 나노입자 함량이 많은 열전박막의 제조과정 및 기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 상에 상기 스퍼터링 증착으로 인해 알루미나 나노입자(110a) 및 BiTe박막(110b)이 증착되기 시작한다.
상기 증착으로 형성된 상기 박막(110) 중 상기 알루미나 나노입자(110a)의 함량이 적은 경우 도 2a와 같이 상기 BiTe박막(110b)의 성장은 가로(X)로 이루어지며, 상기 알루미나 나노입자(110a)의 함량이 많은 경우 도 2b와 같이 상기 BiTe박막(110b)의 성장은 세로(Y)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스퍼터링 증착 시 상기 알루미나 나노입자(110a)의 함량을 증가시킬수록 상기 BiTe박막을 이루는 결정의 성장 방향이나 형태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열전박막에 사용될 경우 상기 알루미나 나노입자의 함량 제어로 열전 성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박막의 결정 성장 제어방법을 하기 실험예를 통해 설명하겠는 바, 하기 실험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약 300nm의 산화실리콘(SiO2) 박막 형성된 실리콘 기판을 울트라 소닉 장치(ultra sonic equipment)를 이용하여, 아세톤과 에틸렌 용액으로 10분 동안 세정하였다. 또한, 20분간 pre-sputtering으로 타겟 표면의 오염물과 산화물을 제거하였다.
Bi2Te3 타겟에 RF power를 40W 인가하였고, Al 타겟에는 DC power를 10W인가하여 상기 산화실리콘(SiO2) 박막이 형성된 기판 상에 스퍼터링 증착을 실시하였다. 이때 상기 타겟의 면적은 20.26 cm2, 온도는 300℃, 증착 시간은 20분, 진공도는 10-7 torr이었다. 이로 인해 형성된 박막 시료 Al(10)은 FESEM로 측정하였을 때 두께가 240.1nm이었다.
실험예 2
Bi2Te3 타겟에 RF power를 40W 인가하였고, Al 타겟에는 DC power를 15W인가하여 상기 산화실리콘(SiO2) 박막이 형성된 기판 상에 스퍼터링 증착을 실시하였다. 이 외의 과정은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이로 인해 형성된 박막 시료 Al(15)는 FESEM로 측정하였을 때 두께가 429.9nm이었다.
실험예 3
Bi2Te3 타겟에 RF power를 40W 인가하였고, Al 타겟에는 DC power를 20W인가하여 상기 산화실리콘(SiO2) 박막이 형성된 기판 상에 스퍼터링 증착을 실시하였다. 이 외의 과정은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이로 인해 형성된 박막 시료 Al(20)은 FESEM로 측정하였을 때 두께가 418.0nm이었다.
비교예 1
Bi2Te3 타겟에 RF power를 40W 인가하였고, Al 타겟에는 DC power를 인가하지 않은 채 상기 산화실리콘(SiO2) 박막이 형성된 기판 상에 스퍼터링 증착을 실시하였다. 이 외의 과정은 실험예 1과 동일하였다. 이로 인해 형성된 박막 시료 Al(0)은 FESEM로 측정하였을 때 두께가 295.9nm이었다.
시험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2 및 실험예 3에 따른 시료들의 FESEM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시료 Al(15) 및 시료 Al(20)의 결정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Al(15) 박막의 결정과 Al(20) 박막의 결정에 나노입자들이 고루 증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도 4a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시료의 결정에 대한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사진으로, Al(10) 박막의 결정 형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시료의 결정에 대한 TEM-EDS mapping 이미지로, 상기 Al(10)의 TEM-EDS mapping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시료의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시험예 1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상기 박막의 결정은 Bi와 Te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고, 상기 나노입자는 Al과 O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박막에 증착된 나노입자의 화학적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나노입자가 알루미늄의 금속 결합이 아닌 Al-O 산화물 결합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도 4a, 4b 및 도 5의 결과를 볼 때 시험예 1의 나노입자는 알루미나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알루미나 나노입자는 분자 크기가 큼으로 인해 Bi-Te 결정 구조 내로 들어가지 못하고, Bi 또는 Te와 반응하지 않으며, 박막 내에 입자 형태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실험예 2 및 실험예 3의 박막에도 알루미나는 입자형태로 존재함을 예상할 수 있다.
시험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 및 비교예 1에 따른 시료들의 FESEM 사진들로써, 시료들 Al(10), Al(15), A(20) 및 Al(0) 박막의 형태 및 구조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알루미나 나노입자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박막의 결정 형상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알루미나 나노입자의 함량이 많은 경우 BiTe박막(110b)의 결정(110b')이 알루미나 나노입자의 함량이 적은 경우 BiTe박막(110b)의 결정(110b)보다 결정 성장의 방향성이 더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즉, 알루미나 나노입자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결정이 성장하는 형상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 및 비교예 1에 따른 시료들의 XRD(X-ray diffraction)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로써, 시료들 Al(10), Al(15), Al(20) 및 Al(0) 박막에 대해 XRD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알루미나 나노입자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박막의 메인 결정 픽(peak)이 (005)에서 (104)로 바꾸어짐을 알 수 있다. 즉, 알루미나 나노입자의 함량으로 BiTe박막의 결정 성장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시험예 4
도 8a는 본 발명의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 및 비교예 1에 따른 시료들의 전기전도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온에서 전기전도도는 Al(0)은 1214.1S/cm, Al(10)은 1116.6S/cm, Al(15)는 120.7S/cm, Al(20)은 44.6S/cm로 나타났으며, BiTe박막 내의 알루미나 나노입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전기전도도는 감소함을 보여준다. 또한, 도 6 및 도 7처럼 Al(0)과 Al(10), Al(15)와 Al(20)의 두 그룹으로 나뉘어 경향이 비슷함을 보여준다. 즉, BiTe박막 내의 결정 성장의 방향성이나 결정의 형태가 비슷한 그룹끼리 전기 전도도의 결과도 유사한 경향을 보여줌을 알 수 있다. 이는 BiTe박막 내의 알루미나 나노입자의 함량에 따라 전기 전도도도 조절이 됨을 알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 및 비교예 1에 따른 시료들의 제백 계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Al(0), Al(10), Al(15) 및 Al(20)의 모든 박막이 n-타입의 반도체 물질이므로 제백 계수는 음(negative)의 값으로 나타난다. 상온에서 제백 계수는 Al(0)은 -30.0μV/K, Al(10)은 -32.5μV/K, Al(15)는 -40.2μV/K, Al(20)은 -47.8μV/K으로 나타났으며, BiTe박막 내의 알루미나 나노입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제백계수 또한 증가함을 보여준다. 제백계수는 전기 전도도와 역비례되므로 도 8a의 결과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8a 및 도 8b의 결과를 볼 때, 알루미나 나노입자가 없는 열전박막보다 알루미나 나노입자가 구비된 열전 박막의 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본 시험예 1 내지 시험예 4의 결과를 볼 때 산화가 잘 되는 알루미늄을 타겟으로 사용하고 열전 박막을 증착하는 과정 중 상기 알루미늄을 산화시키면, 다른 열전 물질과 반응하지 않고 알루미나 나노입자로 박막에 증착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나 나노입자의 형성과 증착은 박막의 열전성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알루미나 나노입자는 열전 박막의 결정 성장에 영향을 주어 BiTe박막의 형상(morphology)과 결정 성장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는 박막의 열전 성능 제어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기판; 100, 산화막; 105,
박막; 110

Claims (12)

  1. 기판 상에 산화가 잘 되는 금속 타겟과 상기 금속보다 산화가 잘 되지 않는 열전 합금 타겟을 동시에 사용하여 박막을 증착하되, 상기 박막은 열전 박막에 나노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타겟은 알루미늄 타겟인 것에 특징이 있는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합금 타겟은 비스무스텔루륨 타깃(Bi2Te3 target)인 것에 특징이 있는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인 것에 특징이 있는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는 알루미나 나노입자인 것에 특징이 있는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은 BiTe 박막인 것에 특징이 있는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을 증착하는 것은 미량의 산소가 포함된 불활성 기체의 분위기에서 증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는 0.001 내지 0.1 % 포함된 것에 특징이 있는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은 전체 박막 내 상기 나노입자의 함유 비율이 1 내지 15 % 인 것에 특징이 있는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을 증착하는 것은 진공도 10-5 내지 10-7 torr 범위에서 수행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을 증착하는 것은 스퍼터링(sputtering)법 또는 열증착(thermal evaporation)법을 이용하여 증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한 가지 이상 선택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열전박막.
KR1020160157136A 2016-11-24 2016-11-24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전박막 KR101944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136A KR101944160B1 (ko) 2016-11-24 2016-11-24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전박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136A KR101944160B1 (ko) 2016-11-24 2016-11-24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전박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881A true KR20180058881A (ko) 2018-06-04
KR101944160B1 KR101944160B1 (ko) 2019-04-18

Family

ID=6262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136A KR101944160B1 (ko) 2016-11-24 2016-11-24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전박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1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332B1 (ko) 2007-05-28 2008-12-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장응력을 이용한 단결정 열전 나노선 제조 방법
JP2009018403A (ja) * 2007-07-13 2009-01-29 Toyota Central R&D Labs Inc 貴金属ナノ粒子分散薄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96675B1 (ko) 2009-01-14 2010-11-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전 나노와이어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1159871A (ja) * 2010-02-02 2011-08-18 Toyota Motor Corp ナノコンポジット熱電材料薄膜の製造方法
KR101362291B1 (ko) 2012-10-19 2014-02-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용액공정에 의한 열전소자의 나노입자형태 초격자 박막 성장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332B1 (ko) 2007-05-28 2008-12-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장응력을 이용한 단결정 열전 나노선 제조 방법
JP2009018403A (ja) * 2007-07-13 2009-01-29 Toyota Central R&D Labs Inc 貴金属ナノ粒子分散薄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96675B1 (ko) 2009-01-14 2010-11-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전 나노와이어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1159871A (ja) * 2010-02-02 2011-08-18 Toyota Motor Corp ナノコンポジット熱電材料薄膜の製造方法
KR101362291B1 (ko) 2012-10-19 2014-02-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용액공정에 의한 열전소자의 나노입자형태 초격자 박막 성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160B1 (ko)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kashiri et al. Effect of grain size on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n-type nanocrystalline bismuth-telluride based thin films
Kim et al. Synthesis of ZnO nanorod on bare Si substrate using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hammadigharehbagh et al. Investigation of the some physical properties of Ge-doped ZnO thin films deposited by thermionic vacuum arc technique
Rakshit et al. Effect of SnO2 concentration on the tuning of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ZnO-SnO2 composite thin films
Baitimirova et al. Vapor–solid synthesis and enhanced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non-planar bismuth selenide nanoplates on graphene substrate
Liu et al. Self-formation of thickness tunable Bi 2 Te 3 nanoplates on thin films with enhanced thermoelectric performance
Zheng et al. Enhanced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antimony telluride thin films with preferred orientation prepared by sputtering a fan-shaped binary composite target
Bakri et al. Electrical and structural comparison of (100) and (002) oriented AlN thin films deposi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Uglov et al. Effect of explosive thermal evaporation conditions on the phase composition, crystallite orientation, electrical and magnetic properties of heteroepitaxial InSb films on semi-insulating GaAs (100)
Amalraj et al. Effect of multiple dipping of SILAR deposited ZnO thin films by physico-chemical process
CN114232101A (zh) 一种单层p型半导体相二硒化钒单晶及其盐辅助的生长方法以及其背栅场效应晶体管
Mahdhi et al. Influence of sputtering power on the properties of thin layers of GZO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Kim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rystalline β-Bi2O3 nanobelts
KR101944160B1 (ko) 나노입자가 분산된 열전박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전박막
Padha et al. A two-step method to obtain the 2D layers of SnSe 2 single phase and study its physical characteristics for photovoltaic and photo-converter devices
Zhou et al. Preparation of (111) c-oriented Cu2Se films by pulsed laser deposition method
Bu et al. P-type ZnO films deposited by DC reactive magnetron sputtering using codoping process
WO2021032947A1 (en) Method and composition
El-ladan et al. Development of AlNB alloy in (Al/AlN/B) stacking sequence using RF reactive sputtering towards thermal management application
Pillai Growth of single-crystalline highly pure long Ag2Te nanowires for thermoelectric applications and its structural analysis
Daza et al. Aluminum-doped zinc oxide thin films deposited on flexible cellulose triacetate substrates prepared by RF sputtering
Gudi et al. Optimization of growth parameters to obtain epitaxial large area growth of molybdenum disulfide using pulsed laser deposition
Kuo et al. Effects of the oxygen pressure on the crystalline orientation and strains of YSZ thin films prepared by E-beam PVD
KR101726498B1 (ko) 고망간실리사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전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Wu et al. The microstructure, stoichiometric ratio and room temperature ferromagnetic properties of V-doped ZnO films deposited at different substrate temper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