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964A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sh separat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trash separa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964A
KR20180057964A KR1020160156488A KR20160156488A KR20180057964A KR 20180057964 A KR20180057964 A KR 20180057964A KR 1020160156488 A KR1020160156488 A KR 1020160156488A KR 20160156488 A KR20160156488 A KR 20160156488A KR 20180057964 A KR20180057964 A KR 20180057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waste
metal
glass
metal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4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85437B1 (en
Inventor
김참내
송진우
박준모
김용훈
이예진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6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437B1/en
Publication of KR20180057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9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4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52Material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6Sor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waste comprises: a frame; an insertion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a first sorting unit including a first floor plat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frame, for storing garbage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a metal detecting sensor adjacently provided for the first sort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opening the first floor plate after moving the first sorting unit to a first position in the case of the garbage as a metal material, and for opening the first floor plate after moving the first sorting unit to a second position in the case of the garbage as a non-metal material.

Description

분리수거장치 및 분리수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SH SEPARATING}[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TRASH SEPARATING [0002]

이하의 설명은 분리수거장치 및 분리수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separate collection device and a separate collection method.

우리나라는 단위 면적당 폐기물 발생량이 OECD 3위로 매우 높다. 매립 폐기물 중 70%가 종이, 플라스틱, 음식물처럼 자원회수가 가능한 것이지만, 현실은 이들 폐기물이 단순 매립되어 자원이 낭비되고 있다. 또한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각종 플라스틱, 비닐 등으로 인해 토양, 지하수 등이 오염되고 있다.In Korea,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per unit area is very high at 3 OECD. 70% of the landfill wastes can be recycled as paper, plastic, and food, but in reality, these wastes are simply landfilled and resources are wasted. In addition, soil, groundwater, etc. are polluted due to various plastics and vinyls that are discarded indiscriminately.

기존의 쓰레기 분리수거 시스템을 살펴보면, 쓰레기를 가정에서 분리 및 배출하고, 쓰레기장에서 인력이 쓰레기를 직접 분리수거하거나 쓰레기를 기계에 넣어 여러 공정을 통하여 쓰레기 분리수거를 한다. 이러한 여러 공정으로 인하여 쓰레기 처리가 매우 번거로우며, 쓰레기 분리수거 기계는 여러 공정을 소화해내기 때문에 그 크기가 소규모 공장 정도로 매우 거대하다. 그리고 인력이 직접 분리수거를 하는 경우(가령 쓰레기봉투를 뜯어서 기계에 넣는 작업 등) 분리수거에 오차가 많이 발생한다. In the conventional waste separation and collection system, the garbage is separated and discharged at home, the manpower directly separates the garbage from the garbage field, or the garbage is put into the machine and the garbage is collected through various processes. Because of these various processes, garbage disposal is very troublesome, and since the garbage separation and collection machine digests various processes, its size is very large as a small factory. If the manpower is directly separated (eg, the garbage bag is torn and put into the machine), there will be a lot of errors in the collection.

이러한 번거로움과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가정에서부터 편리하게 쓰레기를 분리수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In order to reduce such inconvenience and error, it is necessary to worry about the technology that can separate garbage from home easily.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4189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94189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쓰레기가 투입되면 그 재질에 따라 자동으로 분리수거를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for providing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and collecting garbage depending on the material when the garbage is inserted.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를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 1 바닥판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분류유닛; 상기 제 1 분류유닛에 인접 제공되는 금속감지센서; 및 상기 쓰레기가 금속 재질인 경우 상기 제 1 분류유닛을 제 1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 1 바닥판을 개방하고, 상기 쓰레기가 비금속 재질인 경우 상기 제 1 분류유닛을 제 2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 1 바닥판을 개방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paration and collection apparatus comprising: a frame; An in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frame; A first sorting unit including a first bottom plate which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nd which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frame, A metal sensing sensor provided adjacent to said first sorting unit; And moving the first sorting unit to a first position when the refuse is made of a metal material, opening the first bottom plate, and moving the first sorting unit to a second position when the refuse is made of a non- And a control unit for opening the first bottom plate.

또한, 상기 제 1 분류유닛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수용하는 금속 쓰레기 보관부; 및 상기 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상기 금속 쓰레기 보관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metal garbag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tal garbage dropped from the first sorting unit; And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metal garbage to the metal garbage storage unit.

또한, 상기 금속 쓰레기 보관부의 입구에 인접 제공되고, 상기 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상기 금속 쓰레기 보관부로 수용되기 전 상기 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압착하는 압착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mpression device provided adjacent to an inlet of the metal garbage storage unit and compressing the metal garbage before the metal garbage is received in the metal garbage storage unit.

또한, 상기 제 1 분류유닛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 2 바닥판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분류유닛; 및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상기 제 2 분류유닛에 수용될 때 발생되는 충격음을 획득하는 사운드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유리, 플라스틱 및 종이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유리 재질인 경우 상기 제 2 분류유닛을 제 3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 2 바닥판을 개방하고,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상기 제 2 분류유닛을 제 4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 2 바닥판을 개방하고,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종이 재질인 경우 상기 제 2 분류유닛을 제 5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 2 바닥판을 개방할 수 있다.A second sorting unit including a second bottom plate which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receive the waste of the nonmetallic material falling from the first sorting unit and moves horizontally in the frame; And a sound sensor for acquiring an impact sound generated when the non-metallic waste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sort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lassifies the non-metallic waste into one of glass, plastic, and paper, When the non-metallic waste is made of glass, the second sorting unit is moved to the third position and then the second bottom plate is opened, and when the non-metallic waste is plastic, The second bottom plate is opened, and when the non-metallic material is paper, the second bottom unit is moved to the fifth position and then the second bottom plate is open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음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유리, 플라스틱 및 종이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may classify the non-metallic waste into one of glass, plastic, and paper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the impact sound.

또한, 상기 제 2 분류유닛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유리 재질의 쓰레기를 수용하는 유리 쓰레기 보관부; 상기 제 2 분류유닛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플라스틱 재질의 쓰레기를 수용하는 플라스틱 쓰레기 보관부; 및 상기 제 2 분류유닛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종이 재질의 쓰레기를 수용하는 종이 쓰레기 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glass garbag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glass-made garbage dropped from the second sorting unit; A plastic garbag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lastic waste dropped from the second sorting unit; And a paper garbag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aper garbage dropped from the second sorting unit.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방법은, 쓰레기가 투입되는 단계; 1차적으로 상기 쓰레기가 금속 재질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쓰레기가 금속 재질인 경우, 상기 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금속 쓰레기 보관부에 수용하는 단계; 상기 쓰레기가 비금속 재질인 경우, 2차적으로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유리, 플라스틱 및 종이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유리 쓰레기 보관부, 플라스틱 쓰레기 보관부 및 종이 쓰레기 보관부 중 어느 하나에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garbage, Detecting whether the garbage is a metal material; Storing the metal garbage in a metal garbage storage unit when the garbage is a metal material; Classifying the waste of the non-metallic material into one of glass, plastic, and paper if the garbage is a non-metallic material; And accommodating the non-metallic waste in one of a glass waste storage unit, a plastic waste storage unit, and a paper waste storage unit.

또한, 상기 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상기 금속 쓰레기 보관부에 수용하기 전 상기 금속 쓰레기를 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mpressing the metal garbage before storing the metal garbage in the metal garbage storage unit.

또한,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유리, 플라스틱 및 종이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낙하시키는 단계; 상기 비금속 재질의 낙하 시 발생되는 충격음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충격음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lassifying the non-metallic waste into one of glass, plastic, and paper includes: dropping the non-metallic waste; Obtaining an impact sound generated when the non-metallic material is dropped; And analyzing the frequency of the impact sound.

또한,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유리, 플라스틱 및 종이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유리 재질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The step of classifying the non-metallic waste into one of glass, plastic, and paper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non-metallic waste is glass; And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유리 재질이 아닌 경우,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플라스틱 재질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determining whether the non-metallic refuse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when the non-metallic refuse is not a glass material.

또한, 상기 금속 쓰레기 보관부, 상기 유리 쓰레기 보관부, 상기 플라스틱 쓰레기 보관부 및 상기 종이 쓰레기 보관부의 잔여 용량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잔여 용량을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remaining capacity of the metal garbage storage unit, the glass garbage storage unit, the plastic garbage storage unit, and the paper garbage storage unit; And transmitting the remaining capacity to a user.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쓰레기가 투입되면 그 재질에 따라 자동으로 분리수거를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and collecting garbage depending on the material when the garbage is charged.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수거장치의 금속 쓰레기 분류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분리수거장치의 비금속 쓰레기 분류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방법의 순서도이다.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parated and collected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orting of metal garbage of the separation and collection apparatus of FIG. 1; FIG.
FIG. 3 and FIG. 4 are views showing a non-metal garbage classification of the separation and collection apparatus of FIG.
5 is a flow chart of the separate collection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공지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상기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a known function can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특정 부분이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상기 특정 부분은 상기 특정 구성 외의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singular value. And, when a particular section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the particular section may include other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specific configuration, as long as there is no specially contradictory description.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장치(100)는, 프레임(110), 제 1 분류유닛(120), 금속감지센서(125), 제 2 분류유닛(140), 사운드센서(145) 및 쓰레기 보관부(150, 160, 170, 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parated coll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paration and coll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ame 110, a first classification unit 120, a metal detection sensor 125, a second classification unit 140, a sound sensor 145, (150, 160, 170, 180), and the like.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투입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10)의 상면에 투입구(115)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이와는 달리, 프레임(110)의 측면에 투입구(115)가 형성될 수도 있다. 쓰레기는 사용자에 의해 투입구(115)를 통해 프레임(110) 내부로 넣어지게 되고, 이때 투입구(115)에 인접 제공되는 적외선센서(119)는 쓰레기의 투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A slot 115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frame 110. In this embodiment, the injection port 11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10. Alternatively, a slot 115 may b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frame 110. The trash is inserted into the frame 110 through the inlet 115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infrared sensor 119 provided adjacent to the inlet 115 can detect whether or not the trash is inserted.

프레임(110) 내부는 크게 세 공간으로 나뉠 수 있다. 제 1 레일(10)의 상측 공간, 제 1 레일(10)과 제 2 레일(20) 사이의 공간, 제 2 레일(20) 하측 공간이다. 제 1 레일(10)에는 제 1 분류유닛(120)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1 분류유닛(120)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 1 레일(10)을 주행할 수 있다. 제 2 레일(20)은 제 1 레일(10) 하측에 마련되고, 제 2 분류유닛(140)이 제 2 레일(20)을 주행할 수 있다. 제 2 레일(20) 하측에는 복수의 쓰레기 보관부(150, 160, 170, 180)가 마련될 수 있다. 투입된 쓰레기는 그 재질에 따라 분류되어 상기 쓰레기 보관부(150, 160, 170, 180)에 수용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frame 110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spaces. An upper space of the first rail 10, a space between the first rail 10 and the second rail 20, and a space below the second rail 20. A first sorting unit 120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rail 10 and the first sorting unit 120 can run the first rail 10 by a known method. The second rail 20 may be provided below the first rail 10 and the second sorting unit 140 may run through the second rail 20. A plurality of garbage storage units 150, 160, 170, and 180 may be provided under the second rail 20. The charged garbage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accommodated in the garbage storage units 150, 160, 170, and 180.

프레임(110) 내부로 투입된 쓰레기는, 초기 위치가 투입구(115) 아래로 설정되어 있는 제 1 분류유닛(120)으로 수용될 수 있다. 제 1 분류유닛(120)의 내부 또는 인접한 외부에는 금속감지센서(125)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감지센서(125)가 제 1 분류유닛(120)의 내부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와는 달리, 금속감지센서(125)는 제 1 분류유닛(120)의 외부, 예를 들어 제 1 레일(10)에서 제 1 분류유닛(120)의 초기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금속감지센서(125)는 제 1 레일(10)의 하면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분류유닛(120)에 수용된 쓰레기는 근접센서 등으로 예시될 수 있는 금속감지센서(125)에 의해 그 재질이 금속인지 또는 비금속인지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The trash inserted into the frame 110 can be received in the first sorting unit 120 whose initial position is set below the inlet 115. A metal sensing sensor 125 may be provided inside or adjacent to the first sorting unit 120.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metal detection sensor 125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sorting unit 120. [ Alternatively, the metal detection sensor 125 may be provided outside the first sorting unit 120, for examp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first sorting unit 120 in the first rail 10. In this case, the metal detection sensor 125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ail 10. The garbage contained in the first sorting unit 120 can be detected by the metal detection sensor 125, which may be exemplified by a proximity sensor or the like, whether the material is metal or non-metal.

도 2는 도 1의 분리수거장치(100)의 금속 쓰레기 분류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로 하여 투입된 쓰레기가 금속 재질일 경우의 처리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FIG. 2 is a view showing the sorting of metal garbage of the separate collection and collection device 100 of FIG. Referring to FIG. 2,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process of the case where the input garbage is made of a metal material.

제 1 분류유닛(120)에 수용된 쓰레기가 금속감지센서(125)에 의해 캔 등의 금속 재질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제 1 분류유닛(120)을 제 1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 1 위치가 제 1 분류유닛(120)의 초기 위치보다 도면 기준 좌측인 것으로 예시한다. 제어부에 의한 제 1 분류유닛(120)의 제 1 레일(10) 상에서의 주행은 다양한 공지의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move the first sorting unit 120 to the first position if it is determined by the metal detecting sensor 125 that the waste contained in the first sorting unit 120 is made of metal such as a can . In FIG. 2, it is illustrated that the first position is the reference left side of the initial position of the first sorting unit 120. The running of the first sorting unit 120 on the first rail 10 by the control unit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known mean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이어서, 제어부는 제 1 분류유닛(120)의 제 1 바닥판(미도시)을 개방할 수 있다. 제 1 바닥판은 제 1 분류유닛(120)의 하부 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동작은 슬라이딩 방식, 힌지 결합에 의한 회동 방식 등 다양할 수 있다. 제 1 분류유닛(120)의 제 1 바닥판이 개방됨에 따라 제 1 분류유닛(120)에 수용되었던 금속 재질의 쓰레기는 제 1 분류유닛(120)으로부터 낙하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 unit may open the first bottom plate (not shown) of the first sorting unit 120. The first bottom plate may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orting unit 120, and the specific operation may be various, such as a sliding method, a rotating method by hinge coupling, and the like. As the first bottom plate of the first sorting unit 120 is opened, the garbage of the metal contained in the first sorting unit 120 can fall from the first sorting unit 120.

낙하된 금속 재질의 쓰레기는 비스듬한 경사를 가지는 가이드 유닛(130)에 의해 제 2 레일(20) 하측에 마련되는 금속 쓰레기 보관부(150)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금속 재질의 쓰레기는 상기 금속 쓰레기 보관부(150)에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다.The dropped metal material waste can be guided to the metal garbage storage unit 150 side provided below the second rail 20 by the guide unit 130 having an oblique inclination. The metal garbage can be received and stored in the metal garbage storage unit 150.

여기서, 압착장치(30)는 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금속 쓰레기 보관부(150)에 수용되기 전 상기 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압착하여 그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착장치(30)는 서로 대향하며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압착기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 한 쌍의 압착기어는 DC 모터 등에 의해 회전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압착할 수 있다.Here, the compression bonding device 30 may reduce the volume of the metal garbage by compressing the metal garbage before the metal garbage is received in the metal garbage storage unit 150. In this embodiment, the compression device 30 is exemplified as including a pair of compression gears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he pair of presser shafts are rotated by a DC motor or the like, so that the waste of metal passing between them can be pressed.

도 3은 도 1의 분리수거장치(100)의 비금속 쓰레기 분류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1차적으로 금속감지센서(125)에 의해 제 1 분류유닛(120)에 수용된 쓰레기가 금속 재질이 아닌 비금속 재질이라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처리 과정을 거칠 수 있다.FIG. 3 is a view showing a non-metal garbage sorting state of the separation and collection apparatus 100 of FIG. If the garbage received in the first sorting unit 120 by the metal detection sensor 125 is determined to be a non-metallic material other than metal, the process described below may be performed.

제 1 분류유닛(120)에 수용된 쓰레기가 비금속 재질이면, 제어부는 제 1 분류유닛(120)을 제 2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 1 바닥판을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2 위치는 제 1 분류유닛(120)의 초기 위치보다 도면 기준 우측이 것으로 예시한다. 제 1 분류유닛(120)에 수용되어 있던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는 제 1 레일(10) 하측에 마련되는 제 2 분류유닛(140)으로 낙하하여 수용될 수 있다. If the waste contained in the first sorting unit 120 is of a non-metallic material, the control unit may move the first sorting unit 120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n open the first bottom plate. Here, the second position is exemplified as being the reference right side tha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first sorting unit 120. The non-metallic waste contained in the first sorting unit 120 can be dropped and accommodated in the second sorting unit 140 provided below the first rail 10.

제 2 분류유닛(140)은 수용된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다시 유리, 플라스틱, 종이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제 1 분류유닛(120)으로부터 낙하하여 제 2 분류유닛(140)의 제 2 바닥판(미도시)에 도달할 때 발생되는 충격음을 제 2 분류유닛(140)에 인접 제공되는 사운드센서(145)가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충격음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수용된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유리 재질인지, 플라스틱 재질인지, 종이 재질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econd sorting unit 140 can classify the received non-metallic waste into glass, plastic, and paper. For example, the impact sound generated when the non-metallic trash falls from the first sorting unit 120 and reaches the second bottom plate (not shown) of the second sorting unit 140 is detected by the second sorting unit 140, The sound sensor 145 provided adjacent to the sound sensor 145 can acquire the sound. The controller analyzes the obtained frequency of the impact sound to determine whether the received non-metallic waste is a glass material, a plastic material, or a paper material.

본 실시예에서는 사운드센서(145)가 제 2 분류유닛(140)의 내부 일측면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사운드센서(145)는 제 2 분류유닛(140)의 외부, 예를 들어 제 2 레일(20)에서 제 2 분류유닛(140)의 초기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운드센서(145)는 제 2 레일(20)의 하면 측에 설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sound sensor 145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second sorting unit 140. Alternatively, however, the sound sensor 145 may be provided outside the second classification unit 140, for example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econd classification unit 140 in the second rail 20 . In this case, the sound sensor 145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rail 20.

일예로, 사전에 유리, 플라스틱, 종이 각각을 금속 재질인 판에 낙하시키고, 그 때 발생되는 충격음의 주파수 분석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사전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하여 유리, 플라스틱, 종이 각각에 대한 충격음 주파수 대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운드센서(145)에 의해 획득된 충격음의 주파수 분석을 행하여 그 결과값을 저장된 주파수 대역과 비교하는 방법에 의해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의 세부 재질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glass, plastic, and paper can be dropped in advance on a metal plate, and the frequency of the impact sound generated at that time can be analyzed. By repeating such preliminary work several times, the impact sound frequency band for each of glass, plastic and paper can be stored in a database in a form of a database.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e detailed material of the non-metallic waste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the impact sound obtained by the sound sensor 145 and comparing the result with the stored frequency band.

또 다른 예로, 유리, 플라스틱, 종이 중 유리가 가장 단단하고 가장 큰 충격음을 발생시키는바,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유리"에 대한 충격음 주파수 대역과 "플라스틱 및 종이"에 대한 충격음 주파수 대역 간의 경계값을 산출해낼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운드센서(145)에 의해 획득된 충격음의 주파수 분석을 행하여 그 결과값을 상기 경계값과 비교하여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유리 재질인지 유리 재질이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역시 반복적인 실험에 의해 플라스틱에 대한 충격음 주파수를 얻고, 이의 하한치를 저장한 다음, 사운드센서(145)에 의해 획득된 충격음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그 결과값을 상기 하한치와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는, 주파수 분석 결과값이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플라스틱 재질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하한치 미만이면 종이 재질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충격음이 비교적 작은 가벼운 종이를 플라스틱과 구별해낼 경우 유용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glass in glass, plastic, and paper generates the hardest and largest impact sound, and through repetitive experiments, the boundary between impact sound frequency band for "glass" and impact sound frequency band for "plastic and paper" Can be calculated. The controller analyzes the frequency of the impact sound obtained by the sound sensor 145, compares the result with the boundary value, and determines whether the non-metallic waste is glass material or glass material. Also,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the impact sound frequency for the plastic by repeated experiment, store the lower limit value thereof, analyze the frequency of the impact sound obtained by the sound sensor 145, and compare the result with the lower limit value. The control unit can judge that the non-metallic waste is plastic material when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 value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value, and can judge that it is the paper material when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 value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value. This process can be useful when distinguishing lightweight papers from plastics with relatively low impact sounds.

참고로, 충격음의 주파수 분석은 고속푸리에변환(FFT)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분리수거장치(100)는 FFT 분석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FFT 분석기는 제어부와 연결되는 별도 장치로 제공될 수도 있고, 제어부 내부회로 및 프로세서에 연결 또는 포함되는 알고리즘 형태일 수도 있다.For reference,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impact sound may be performed by a Fast Fourier Transform (FFT), and the separate collection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FFT analyzer (not shown). The FFT analyzer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devic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or may be in the form of an algorithm connected to or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internal circuit and the processor.

도 4 역시 도 1의 분리수거장치(100)의 비금속 쓰레기 분류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비금속 쓰레기와 제 2 분류유닛(140) 간의 충격음의 주파수를 분석한 결과, 상기 비금속 쓰레기가 유리 재질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제 2 분류유닛(140)을 제 3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 2 바닥판을 개방하여 유리 재질의 쓰레기가 유리 쓰레기 보관부(160)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플라스틱 재질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제 2 분류유닛(140)을 제 4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 2 바닥판을 개방하여 플라스틱 재질의 쓰레기가 플라스틱 쓰레기 보관부(170)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종이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제 2 분류유닛(140)을 제 5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 2 바닥판을 개방하여 종이 재질의 쓰레기가 종이 쓰레기 보관부(180)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플라스틱 재질인 상황을 도시하였다.FIG. 4 is a view showing a non-metal garbage classification of the separation and collection apparatus 100 of FIG. When the frequency of the impact sound between the non-metal garbage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unit 140 is analyz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on-metal garbage is made of glass, the control unit moves the second classification unit 140 to the third position, The glass waste can be stored in the glass waste storage part 160 by opening the plat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on-metallic waste is plastic, the control unit moves the second sorting unit 140 to the fourth position and then opens the second bottom plate so that the plastic waste is accommodated in the plastic waste storage unit 170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on-metallic waste is paper, the control unit moves the second sorting unit 140 to the fifth position and then opens the second bottom plate so that the paper waste is accommodated in the paper waste storage unit 180 can do. FIG. 4 shows a situation where the non-metallic waste is plastic.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분리수거방법은 하드웨어적으로는 앞서 설명한 분리수거장치(100)와 연계되어 수행될 수 있다.5 is a flow chart of the separate collection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Hereinafter, the separated coll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Here, the separation and collection method may be performed in hardware in conjunction with the separation and collection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쓰레기가 프레임(110)의 투입구(115)를 통해 투입되면(S100), 1차적으로 그 쓰레기가 금속 재질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S200). 이를 위해, 쓰레기가 수용되는 제 1 분류유닛(120)에는 금속감지센서(125)가 제공될 수 있다.When garbage is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port 115 of the frame 110 (S100),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garbage is primarily made of metal (S200). To this end, the first sorting unit 120 in which the trash is received may be provided with a metal detection sensor 125.

여기에서 쓰레기가 금속 재질이라고 판단되면, 그 금속 재질의 쓰레기는 압착과정(S210)을 거쳐 금속 쓰레기 보관부에 수용 및 보관될 수 있다(S22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use is a metal material, the refuse of the metal material may be received and stored in the metal refuse storage through the pressing process (S210) (S220).

이와는 달리, 쓰레기가 비금속 재질이라고 판단되면, 그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의 세부 재질을 판단 및 분류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300). 구체적인 예로,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는 유리, 플라스틱, 종이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Alternative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arbage is a non-metallic material, a step of determining and classifying the detailed material of the non-metallic garbage may be performed (S300). As a specific example, garbage of a non-metallic material can be classified into any one of glass, plastic, and paper.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의 분류를 위해, 그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낙하시키고(S310), 낙하 시 발생되는 충격음을 획득할 수 있다(S320). 예를 들면, 제 1 분류유닛(120)에서 제 2 분류유닛(140)으로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낙하시킬 수 있고, 그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와 제 2 분류유닛(140)의 제 2 바닥판이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음을 사운드센서(145)로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획득된 충격음에 대한 주파수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S330). 주파수 분석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속푸리에변환(FFT)을 이용할 수 있다. 주파수 분석의 결과값을 사전에 저장하여 놓은 유리의 충격음에 대한 주파수 대역, 플라스틱의 충격음에 대한 주파수 대역, 종이의 충격음에 대한 주파수 대역과 비교하면서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의 세부 재질을 판단할 수 있다.In order to classify non-metallic refuse, the non-metallic refuse is dropped (S310), and an impact sound generated upon falling can be obtained (S320). For example, non-metallic waste can be dropped from the first sorting unit 120 to the second sorting unit 140, and the non-metallic waste and the second bottom plate of the second sorting unit 140 may collide with each other The impact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sensor 145 can be acquired. Subsequently, a frequency analysis for the obtained impact sound can be performed (S330). The frequency analysis can use Fast Fourier Transform (FFT) 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material of non-metallic waste can be judged by comparing frequency band of impact sound of glass, frequency band of impact sound of plastic, frequency band of impact sound of paper, and the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또는, 일반적으로 충격음의 크기는 유리-플라스틱-종이 순서인바, 유리를 선분류한 후 플라스틱을 분류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 사전에 저장된 "유리"에 대한 충격음 주파수와 "플라스틱 및 종이"에 대한 충격음 주파수 사이의 경계값을 획득된 충격음과 비교하여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유리 재질인지 판단할 수 있다(S340). 만약 유리 재질이라면, 유리 재질의 쓰레기는 유리 쓰레기 보관부에 수용 및 보관될 수 있다(S350).Alternatively, in general, the size of the impact sound is glass-plastic-paper order, but a method of sorting the plastic after classifying the glass may be used. As a concrete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non-metallic waste is a glass material by comparing the impact sound frequency for the previously stored "glass" with the impact sound frequency for the "plastic and paper" If it is a glass material, glass waste can be received and stored in the glass waste storage (S350).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유리 재질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플라스틱 재질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S360). 반복적인 실험에 의해 얻어진 플라스틱의 충격음에 대한 주파수의 하한치를 획득된 충격음과 비교하여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플라스틱 재질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플라스틱 재질이라면, 플라스틱 재질의 쓰레기는 플라스틱 쓰레기 보관부에 수용 및 보관될 수 있다(S370). 플라스틱 재질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종이 재질이라고 인식하여 그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종이 쓰레기 보관부에 수용 및 보관할 수 있다(S38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arbage of a non-metallic material is not a glass material,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garbage is a plastic material (S360).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non-metallic material is plastic by comparing the lower limit of the frequency with respect to the impact sound of the plastic obtained by the repeated experiment to the obtained impact sound. If it is a plastic material, plastic waste can be received and stored in the plastic waste storage (S37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terial is not a plastic material, it is recognized that the material is paper, and the non-metallic waste can be received and stored in the paper waste storage unit (S380).

이후, 각 재질의 쓰레기 보관부에 제공되는 적외선센서 등을 이용하여 각 재질의 쓰레기 보관부의 잔여 용량을 파악할 수 있고(S400), 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500). 사용자는 잔여 용량 정보를 확인하면서 쓰레기 보관부의 처리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Then, the residual capacity of the garbage storage unit of each material can be determined using an infrared sensor provided in the garbage storage unit of each material (S400), and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garbage storage unit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500). The user can adjust the processing schedule of the garbage storage unit while checking the remaining capacity information.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함께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분산되어 실시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실시예 각각에서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도 서로 분산되어 실시되거나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 may b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or substitutions in the drawings.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s or features described together in the specific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the configurations or features described in each of the different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manner. Likewise, the configurations or features described in each claim can also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manner or in combination. And all such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분리수거장치 110: 프레임
115: 투입구 120: 제 1 분류유닛
125: 금속감지센서 130: 가이드 유닛
140: 제 2 분류유닛 145: 사운드센서
150: 금속 쓰레기 보관부 160: 유리 쓰레기 보관부
170: 플라스틱 쓰레기 보관부 180: 종이 쓰레기 보관부
100: Separation / collection device 110: Frame
115: inlet 120: first sorting unit
125: metal detection sensor 130: guide unit
140: second classification unit 145: sound sensor
150: metal garbage storage part 160: glass garbage storage part
170: plastic waste storage part 180: paper waste storage part

Claims (1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를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 1 바닥판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분류유닛;
상기 제 1 분류유닛에 인접 제공되는 금속감지센서; 및
상기 쓰레기가 금속 재질인 경우 상기 제 1 분류유닛을 제 1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 1 바닥판을 개방하고, 상기 쓰레기가 비금속 재질인 경우 상기 제 1 분류유닛을 제 2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 1 바닥판을 개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리수거장치.
frame;
An in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frame;
A first sorting unit including a first bottom plate which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nd which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frame,
A metal sensing sensor provided adjacent to said first sorting unit; And
Wherein when the refuse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first sorting unit is moved to a first position and then the first bottom plate is opened, and when the refuse is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And a control unit for opening the first bottom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류유닛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수용하는 금속 쓰레기 보관부; 및
상기 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상기 금속 쓰레기 보관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분리수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etal garbag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tal garbage dropped from the first sorting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metal garbage to the metal garbage storage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쓰레기 보관부의 입구에 인접 제공되고, 상기 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상기 금속 쓰레기 보관부로 수용되기 전 상기 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압착하는 압착장치를 더 포함하는 분리수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ompression device provided adjacent to an inlet of the metal garbage storage part and compressing the metal garbage before the metal garbage is received in the metal garbage storage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류유닛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 2 바닥판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분류유닛; 및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상기 제 2 분류유닛에 수용될 때 발생되는 충격음을 획득하는 사운드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유리, 플라스틱 및 종이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유리 재질인 경우 상기 제 2 분류유닛을 제 3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 2 바닥판을 개방하고,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상기 제 2 분류유닛을 제 4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 2 바닥판을 개방하고,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종이 재질인 경우 상기 제 2 분류유닛을 제 5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 2 바닥판을 개방하는 분리수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sorting unit including a second bottom plate which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o receive the waste of the nonmetallic material falling from the first sorting unit and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frame; And
Further comprising a sound sensor for acquiring an impact sound generated when the non-metallic waste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sorting unit,
Wherein the controller divides the non-metallic waste into one of glass, plastic, and paper, moves the second sorting unit to the third position when the non-metallic waste is glass, And when the non-metallic waste is made of plastic, the second sorting unit is moved to the fourth position and then the second bottom plate is opened. When the non-metallic waste is paper, To the fifth position and then opens the second bottom pla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음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유리, 플라스틱 및 종이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분리수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classifies the waste of the non-metallic material into one of glass, plastic, and paper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the impact soun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류유닛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유리 재질의 쓰레기를 수용하는 유리 쓰레기 보관부;
상기 제 2 분류유닛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플라스틱 재질의 쓰레기를 수용하는 플라스틱 쓰레기 보관부; 및
상기 제 2 분류유닛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종이 재질의 쓰레기를 수용하는 종이 쓰레기 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수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glass garbage storage part for storing the glass-made garbage dropped from the second sorting unit;
A plastic garbag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lastic waste dropped from the second sorting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paper garbag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aper garbage dropped from the second sorting unit.
쓰레기가 투입되는 단계;
1차적으로 상기 쓰레기가 금속 재질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쓰레기가 금속 재질인 경우, 상기 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금속 쓰레기 보관부에 수용하는 단계;
상기 쓰레기가 비금속 재질인 경우, 2차적으로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유리, 플라스틱 및 종이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유리 쓰레기 보관부, 플라스틱 쓰레기 보관부 및 종이 쓰레기 보관부 중 어느 하나에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수거방법.
A step in which waste is introduced;
Detecting whether the garbage is a metal material;
Storing the metal garbage in a metal garbage storage unit when the garbage is a metal material;
Classifying the waste of the non-metallic material into one of glass, plastic, and paper if the garbage is a non-metallic material; And
And storing the non-metallic waste in one of a glass waste storage unit, a plastic waste storage unit, and a paper waste storage un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상기 금속 쓰레기 보관부에 수용하기 전 상기 금속 쓰레기를 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리수거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compressing the metal garbage before storing the metal garbage in the metal garbage storage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유리, 플라스틱 및 종이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낙하시키는 단계;
상기 비금속 재질의 낙하 시 발생되는 충격음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충격음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수거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classifying the non-metallic waste into one of glass, plastic, and paper,
Dropping the non-metallic waste;
Obtaining an impact sound generated when the non-metallic material is dropped; And
And analyzing the frequency of the impact soun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를 유리, 플라스틱 및 종이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유리 재질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유리 재질이 아닌 경우, 상기 비금속 재질의 쓰레기가 플라스틱 재질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수거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classifying the non-metallic waste into one of glass, plastic, and paper,
Determining whether the non-metallic waste is a glass material; And
And judging whether the non-metallic waste is a plastic material when the non-metallic waste is not a glass materi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쓰레기 보관부, 상기 유리 쓰레기 보관부, 상기 플라스틱 쓰레기 보관부 및 상기 종이 쓰레기 보관부의 잔여 용량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잔여 용량을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분리수거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Determining a remaining capacity of the metal garbage storage unit, the glass garbage storage unit, the plastic garbage storage unit, and the paper garbage storage unit; And
And transferring the remaining capacity to a user.
KR1020160156488A 2016-11-23 2016-11-23 Apparatus and method for trash separating KR1018854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488A KR101885437B1 (en) 2016-11-23 2016-11-23 Apparatus and method for trash separa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488A KR101885437B1 (en) 2016-11-23 2016-11-23 Apparatus and method for trash separa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964A true KR20180057964A (en) 2018-05-31
KR101885437B1 KR101885437B1 (en) 2018-09-11

Family

ID=62454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488A KR101885437B1 (en) 2016-11-23 2016-11-23 Apparatus and method for trash separa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437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5432A (en) * 2018-11-19 2019-03-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 kind of refuse classification method and garbage recovery device
CN109516032A (en) * 2018-12-25 2019-03-26 吉林大学 A kind of assembled intelligent sorting rubbish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CN109606991A (en) * 2019-01-11 2019-04-12 郑州大学 Intelligent garbage bin and refuse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deep learning
DE102018123103A1 (en) 2017-10-13 2019-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semiconductor device generating security keys, methods for generating a security key and method for registering the security key
CN110980036A (en) * 2020-01-06 2020-04-10 沙洲职业工学院 Intelligent garbage classification device and classification method thereof
KR20200068853A (en) * 2018-12-06 2020-06-16 문종민 Smart trash bi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160289B1 (en) * 2019-10-29 2020-09-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Active waste collection apparatus for automatic sorting and compression of waste and method there of
KR20210050356A (en) 2019-10-28 2021-05-07 김재성 Smart Recycler
KR102349660B1 (en) 2020-11-18 2022-01-12 울산과학기술원 Segregated Collection Apparatus of Recycled Product
CN115676172A (en) * 2022-09-06 2023-02-03 湖北省肿瘤医院(湖北省肿瘤研究所) A pollutant collection treatment facility for oncology nurs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61708A1 (en) 2020-06-08 2023-04-12 Commissariat à l'Énergie Atomique et aux Énergies Alternatives Sorting system for sorting objects belonging to at least two classes of objects having different acoustic signatures when impacting an impact body and associated methods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693A (en) * 2004-03-31 2005-10-06 김원태 Refuse bin with segregate collection
KR100850676B1 (en) * 2008-02-12 2008-08-07 전기정 Sorting compressor for sorting reduction appartus of beverage vessel
KR20100093905A (en) * 2009-02-17 2010-08-26 오창호 Apparatus for collecting product to be recycled,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cessing product to be recycled
US20130112791A1 (en) * 2010-04-20 2013-05-09 Eco Creation International, Inc. Selective collection system for recycling input materials having a monitor
KR20140087286A (en) * 2012-12-28 2014-07-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Recycling bin having automated sorting function
KR20140108992A (en) * 2013-03-04 2014-09-15 (주)에코비트윈 Rtecylable materials indentifing and pressing device
WO2015015338A2 (en) * 2013-07-27 2015-02-05 Zeguo Qiu A method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separately collection and automatic transportation of solid waste
KR20150094189A (en) 2014-02-10 2015-08-19 배준호 Recycling bin installed barcode
KR20170095060A (en) * 2016-02-12 2017-08-2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e garbage collection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693A (en) * 2004-03-31 2005-10-06 김원태 Refuse bin with segregate collection
KR100850676B1 (en) * 2008-02-12 2008-08-07 전기정 Sorting compressor for sorting reduction appartus of beverage vessel
KR20100093905A (en) * 2009-02-17 2010-08-26 오창호 Apparatus for collecting product to be recycled,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cessing product to be recycled
US20130112791A1 (en) * 2010-04-20 2013-05-09 Eco Creation International, Inc. Selective collection system for recycling input materials having a monitor
KR20140087286A (en) * 2012-12-28 2014-07-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Recycling bin having automated sorting function
KR20140108992A (en) * 2013-03-04 2014-09-15 (주)에코비트윈 Rtecylable materials indentifing and pressing device
WO2015015338A2 (en) * 2013-07-27 2015-02-05 Zeguo Qiu A method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separately collection and automatic transportation of solid waste
KR20150094189A (en) 2014-02-10 2015-08-19 배준호 Recycling bin installed barcode
KR20170095060A (en) * 2016-02-12 2017-08-2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e garbage collectio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3103A1 (en) 2017-10-13 2019-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semiconductor device generating security keys, methods for generating a security key and method for registering the security key
CN109455432A (en) * 2018-11-19 2019-03-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 kind of refuse classification method and garbage recovery device
KR20200068853A (en) * 2018-12-06 2020-06-16 문종민 Smart trash bi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CN109516032A (en) * 2018-12-25 2019-03-26 吉林大学 A kind of assembled intelligent sorting rubbish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CN109516032B (en) * 2018-12-25 2024-05-10 吉林大学 Assembled intelligent garbage classif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606991B (en) * 2019-01-11 2022-02-08 郑州大学 Intelligent garbage can and garbage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deep learning
CN109606991A (en) * 2019-01-11 2019-04-12 郑州大学 Intelligent garbage bin and refuse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deep learning
KR20210050356A (en) 2019-10-28 2021-05-07 김재성 Smart Recycler
KR102160289B1 (en) * 2019-10-29 2020-09-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Active waste collection apparatus for automatic sorting and compression of waste and method there of
CN110980036A (en) * 2020-01-06 2020-04-10 沙洲职业工学院 Intelligent garbage classification device and classification method thereof
KR102349660B1 (en) 2020-11-18 2022-01-12 울산과학기술원 Segregated Collection Apparatus of Recycled Product
CN115676172A (en) * 2022-09-06 2023-02-03 湖北省肿瘤医院(湖北省肿瘤研究所) A pollutant collection treatment facility for oncology nursing
CN115676172B (en) * 2022-09-06 2023-05-09 湖北省肿瘤医院(湖北省肿瘤研究所) Pollutant collecting and treating equipment for oncology nur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437B1 (en) 201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4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sh separating
KR102133671B1 (en) Automatic Separated Collection System
KR101804187B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e garbage collection
KR102208500B1 (en) Smart trash bi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US90083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destrian detection in images
KR102179534B1 (en) Automatic sort and collect device for recyclable product
CN105564864A (en) Garbage can, garbage sorting method for garage can and garbage sorting system for garage can
KR102265969B1 (en) Smart recycling device
JP2017109161A (en) Waste screening system and screening method therefor
JP2017109197A (en) Waste screening system and screening method therefor
US8366030B2 (en) Selective collection system for recycling input materials
GB0322043D0 (en) Apparatus for,and method of,classifying objects in waste stream
KR20140108992A (en) Rtecylable materials indentifing and pressing device
KR20110011756U (en) Separate apparatus for recyclable waste
CN104849231A (en) Plastic material on-line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JP2021137738A (en) Waste sorting device
CN112298844B (en) Garbage classification supervision method and device
US6433338B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ication of a type of material in an object and utilization therefor
JP2023517895A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automated waste management
CN105964552A (en) Automatic classifica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waste mobile phones
KR20180053907A (en) Separate collection apparatus for recycling waste
KR102160289B1 (en) Active waste collection apparatus for automatic sorting and compression of waste and method there of
KR20170109273A (en) Smart recycling bin
CN113003037B (en) Intelligent garbag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cross belt type sorting structure
MX2023007652A (en) A system, a method and a device for screening a disease in a su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