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930A - Weaving Machine - Google Patents

Weav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930A
KR20180057930A KR1020160156407A KR20160156407A KR20180057930A KR 20180057930 A KR20180057930 A KR 20180057930A KR 1020160156407 A KR1020160156407 A KR 1020160156407A KR 20160156407 A KR20160156407 A KR 20160156407A KR 20180057930 A KR20180057930 A KR 20180057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ortion
irradiation
yarn
path
tens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4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1045B1 (en
Inventor
박세환
문용균
이희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6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045B1/en
Publication of KR20180057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9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0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ving machine, and comprises: a deflector forming an upward path and a downward path of a weaving yarn; a carrier for guiding movement of the weaving yarn from the upward path to the downward path; and a tensioner for making the weaving yarn passing through the deflector to move upward and downward to perform a weaving operation by knitting the weaving yarn, and to provide tensioning force for the knitting the weaving yarn in the weaving operation.

Description

편조기{Weaving Machine}{Weaving Machine}

본 발명은 편조사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호스의 내층을 이루는 격자형 편조사 층을 직조하기 위한 편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편조사가 상기 편조기 내의 구성들과 접촉될 때에 최소한의 마찰력을 받게 함으로써, 편조사의 이동 시간을 단축시킴에 따라 상기 편조사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편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itting machine for weaving a grid-shaped knitted fabric layer constituting an inner layer of a brake hose using knife irradi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knitting machine having a knitted fabric which is subjected to a minimum frictional force when it contacts with the structures in the knitting machine Thereby shortening the movement time of the flock irradiation, thereby preventing disconnection of the flock irradiation.

트랙터, 콤바인, 운반차 또는 굴삭기와 같은 농업용 또는 건설용 차량과, 가정용으로 흔히 사용되는 승용차 등의 모든 차량에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일부로서 브레이크 오일의 이동 경로인 브레이크 호스가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크 호스는 오일 등의 유체의 공급과 회수가 이루어지도록 유연한 재료로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호스는 차량의 급출발 또는 급제동 시 오일의 급속 움직임에 의해 상기 호스의 일부분에 팽창이 발생하게 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All vehicles, such as agricultural or construction vehicles, such as tractors, combines, trucks or excavators, and passenger cars commonly used in households, are provided with brake hoses, which are the travel path of brake oil as part of the brake system. The brake hose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fluid such as oil can be supplied and recovered. Accordingly, the brake hose is expanded at a portion of the hose by sudden movement of the vehicle or rapid movement of the oil at the time of sudden braking.

이러한 호스의 팽창은 브레이크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고, 적절한 오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대한 응답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expansion of the hose greatly deteriorates the performance of the brake, and proper oil supply is not performed,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responsiveness to the user's brake operation is remarkably deteriora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브레이크 호스의 내층에는 격자 모양의 편조사 층이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편조사 층과 상기 브레이크 호스 사이에 켐 록과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종 재료인 양 구성을 접합시켰다. 다만, 상기 켐 록은 유럽에서 환경 규제 물질에 속할 정도로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재료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켐 록을 RFL(Resorcinol-Formaldehyde-Latex)로 대체한 친환경 브레이크 호스, 즉, RFL이 도포된 PET의 편조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grid-shaped knitted yarn layer is produced in the inner layer of the brake hose. Then, an adhesive agent such as Kemlock was applied between the pile irradiation layer and the brake hose to bond the two constituent materials, which are different materials. However, the above-mentioned Kemlock is a material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so that it belongs to environment-regulated substance in Europe. Therefore, in recent years, eco-friendly brake hoses, that is, PET coated with RFL have been developed to replace Kemloc with Resorcinol-Formaldehyde-Latex (RFL).

등록특허공보 제10-0967437호에는 고무호스용 강선 편조사를 편조하는 장치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문헌에 따른 편조장치는 상기 고무호스에 강선 편조사와 같은 보강재를 직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조장치는 강선 편조사를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강선 편조사에 의해 외측 호스가 내측 호스로부터 벌어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하는 예비성형다이를 포함한다. 즉, 상기 강선 편조사는 보빈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예비성형다이를 거쳐서 상기 내측고무의 외주면에 감기게 됨으로써, 상기 강선 편조사에 지속적인 탄성력이 가해지게 된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0967437 discloses an apparatus for braiding a steel wire rope for a rubber hose. The bra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ocument is a device for weaving a stiffener such as steel wire rope on the rubber hose. Specifically, the braiding device includes a preforming die for keeping the irradiation of the steel wire piece always in a tense state to prevent the outer hose from being widened from the inner hose by irradiation of the steel wire piece. That is, the irradiation of the steel wire is taken out from the bobbin and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rubber via the preforming die, so that the elastic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steel wire.

그러나, 본 문헌에 따른 편조장치는 직조 작업 시 상기 강선 편조사가 상기 예비성형다이 또는 롤러와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단선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편조장치의 작동 시, 상기 강선 편조사가 상기 편조장치의 일 구성에 접촉함으로써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마찰력에 의해 상기 강선 편조사의 이동 경로의 변화 또는 이동 속도의 저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강선 편조사는 직조 작업 도중에 단선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bra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ocument, there is a problem that, during the weaving operation, disconnection occurs due to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contact of the steel wire piece irradiation with the preforming die or the roller. That is,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braiding device, the steel wire piece contact comes into contact with a constitution of the braiding device to generate a frictional force, and a change in the movement path of the steel wire drawing or a decrease in the moving speed do. Therefor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steel wire cutting irradiation causes disconnection during the weaving operation.

등록특허공보 제10-0967437호.Patent Registration No. 10-0967437.

본 발명은 브레이크 호스의 내층을 이루는 편조사 층을 제작하기 위한 편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편조사가 상기 편조기 내의 구성들과 접촉 시 최소한의 마찰력을 받게 함으로써, 상기 편조사의 이동 시간이 단축되어 상기 편조사의 단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편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a knitted yarn layer constituting an inner layer of a brake hose, wherein a movement time of the knitting yarn is shortened by allowing the knitting yarn to be subjected to a minimum frictional force when the knitted yarn is in contact with the structures in the knitting machin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nitting machine capable of preventing breakage of the knitting yarn.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편조사의 상향 경로와 하향 경로를 형성하는 디플렉터, 상기 상향 경로로부터 상기 하향 경로로 편조사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리어 및 상기 디플렉터를 통과한 편조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편조사에 의한 직조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직조 작업 시 상기 편조사에 긴장력을 제공하는 텐셔너를 포함하는 편조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flector comprising: a deflector forming an upward path and a downward path of a flock irradiation; a carrier guiding movement of the flock radiation from the upward path to pass through the deflector; And a tensioner for moving the one side of the yar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perform the weaving operation by the yarn irradiation and to provide the tension to the yarn during the weaving operation.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편조사가 텐셔너에 의해 보빈에서 풀릴 때부터 지속적으로 긴장력을 제공받으므로 상기 편조사의 얽힘 또는 꼬임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entanglement or twist of the yarn irradiation can be prevented since the yarn irradiation is continuously supplied with a tension force from the time when the yarn irradiation is released from the bobbin by the tensioner.

또한, 상기 편조사와 접촉하는 편조기의 경사부가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됨에 따라 편조사의 단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clined portion of the knitting machine in contact with the knife irradiation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 coefficient of friction,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knife irradia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s reduced, thereby preventing breakage of the knife irradiation.

또한, 상기 텐셔너의 상부를 이루는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에 따라 상기 편조사의 단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ngle between the upper end forming the upper portion of the tensioner and the inclined portion is adjusted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lattening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thereby preventing breakage of the flattening.

도 1은 편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편조기 중 텐셔너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편조기의 텐셔너에 마찰계수가 작은 재료를 도포하여 상기 텐셔너와 편조사 간의 마찰력이 감소함에 따라 편조사의 단선이 방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상기 텐셔너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텐셔너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knitting machin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nsioner in a knitting machine.
FIG. 3 is a 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terial having a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is applied to a tensioner of a knitting machine so that disconnection of the knitting yarn is prevented as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tensioner and the knitting yarn decreases.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tensioner.
5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tension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도 1은 편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knitting machin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편조기(1)는 편조사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디플렉터(10) 및 캐리어(20)를 포함한다. 상기 디플렉터(10)와 상기 캐리어(20)를 통과한 편조사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직조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는 텐셔너(100)로 이동된다. 상기 텐셔너(100)는 보빈으로부터 풀린 편조사에 지속적으로 긴장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Referring to Fig. 1, a knitting mach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flector 10 and a carrier 20 for guiding a movement path of a knitting yarn. The irradiation of the yarn passing through the deflector 10 and the carrier 20 is moved to the tensioner 100 for performing the weaving operation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ensioner 100 is a constitution that continuously provides a tension force to the yarn unwound from the bobbin.

상기 디플렉터(10)는 상기 편조사의 상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상행부(11)와, 상기 편조사의 하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하행부(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20)는 상기 상행부(11)로부터 상기 하행부(12)로 편조사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디플렉터(10)와 상기 캐리어(20)는 편조기(1)의 작동에 따라 회전 가능한 구성이고, 상기 텐셔너(100)는 상기 편조기(1)의 작동 여부에 관계없이 그 위치가 고정된 구성이다.The deflector 10 includes an ascending part 11 for guid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knitting yarn and a downstream part 12 for guid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knitting yarn. Then, the carrier 20 guides the movement of the piecewise irradiation from the ascending portion 11 to the descending portion 12. The deflector 10 and the carrier 20 are rotatabl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knitting machine 1 and the tensioner 1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deflector 10 is fixed regardless of whether the knitting machine 1 is operated or not to be.

상기 편조기(1)의 작동에 따른 편조사의 이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 등의 작동에 따라 상기 편조기(1)에 동력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디플렉터(10)와 상기 캐리어(2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보빈으로부터 풀린 편조사는 상기 디플렉터(10)의 상행부(11), 상기 캐리어(20)의 상단, 상기 디플렉터(10)의 하행부(12), 상기 텐셔너(10) 및 상기 캐리어(20)의 하단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직조가 이루어지게 된다.The movement method of the flocking irradi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nitting machine 1 is as follows. First,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knitting machine 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motor or the like, the deflector 10 and the carrier 20 are rotated. Thus, the yarn unwound from the bobbin is irradiated onto the upstream portion 11 of the deflector 10, the upper portion of the carrier 20, the downstream portion 12 of the deflector 10, the tensioner 10, 20, the weaving is performed.

이때, 브레이크 호스의 내층에 격자형의 편조사 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텐셔너(10)에는 상기 편조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경사부(도 2의 도면부호 1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편조사는 상기 경사부와 접촉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직조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보빈으로부터 풀린 편조사는 상기 디플렉터(10)의 하행부(12)로부터 상기 텐셔너(10)의 경사부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편조사는 상기 경사부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동함으로써 직조가 이루어지게 되고, 그 이후에 상기 경사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캐리어(20)의 하단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form a grid-shaped pile irradiation layer on the inner layer of the brake hose, the tensioner 10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reference numeral 140 in Fig. That is, the weav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contacting the inclined portion and moving vertically. That is, the yarn unwound from the bobbin moves from the downstream portion 12 of the deflector 1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of the tensioner 10. Then, the weaving is performed by mov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inclined part to the lower part, and thereafter mov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inclined part to the lower end of the carrier 20.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텐셔너(10)에 의해 편조사가 보빈에서 풀릴 때부터 지속적으로 긴장력을 제공받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편조사의 얽힘 또는 꼬임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텐셔너(10)의 세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yarn irradiation by the tensioner 10 is released from the bobbin, the tension is constantly provided. Thus, entanglement or kinking of the knitting yarn can be prevented. 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tensioner 10 will be described.

도 2는 편조기 중 텐셔너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nsioner in a knitting machin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텐셔너(100)는, 보빈으로부터 편조사의 풀림이 이루어질 때에 상기 편조기 내로 편조사의 진입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지지부(110), 상기 지지부(110)와 연결되고 하면을 이루는 하단부(130), 상기 하단부(13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면을 이루는 상단부(120) 및 상기 하단부(130)와 상기 상단부(120)를 연결하고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편조사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경사부(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tensioner 100 includes a support 110 for maintaining a constant entry angle of the flocking into the knitting machine when the bobbin is unwound from the bobbin, An upper end portion 120 which is disposed to face the lower end portion 130 and form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end portion 130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portion 130 and the upper end portion 120 and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n inclined portion 140 for providing a path.

상기 지지부(110)의 일측에는 상기 텐셔너(10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홈(111)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홈(111)에 체결 부재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텐셔너(10)가 캐리어의 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보빈으로부터 풀린 편조사가 상기 지지부(110)에 걸림으로써, 직조 작업 시 상기 편조사의 팽팽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A fixing groove 111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tensioner 1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110. For example, by inserting a fastening member into the fixing groove 111, the tensioner 10 can be fixed to the bracket of the carrier. Further, when the yarn unwound from the bobbin is hooked on the supporting portion 110, the knitted yarn can be kept in a taut state during the weaving operation.

상기 지지부(110)의 일측에는 상기 하단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하단부(130)는 상기 텐셔너(100)의 하부 형상을 이루는 구성이다. The lower end 1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110. The lower end portion 130 has a lower shape of the tensioner 100.

그리고, 상기 하단부(130)의 일측에는 편조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 기울어지는 경사부(1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편조사는 상기 경사부(140)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An inclined part 14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part 130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irradiation of the piece can be moved up and down. That is, the flocking can be mov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long the slope part 140.

또한, 상기 경사부(140)의 하측에 형성되는 경사부의 말단(145)과 상기 하단부(130) 사이에는, 상기 경사부(140)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50)는 상기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140)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될 때에 상기 편조사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다.A locking part 150 protruding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inclined part 140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part 130 of the inclined part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inclined part 140 and the lower end part 130. The catching part 150 is configured to limi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locking irradiation when the flocking irradiation is mov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long the slope part 140. [

상기 경사부(140)의 일측에는 상기 하단부(130)와 대향하는 상단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상단부(120)는 상기 텐셔너(100)의 상부 형상을 이루는 구성이다.An upper end portion 120 facing the lower end portion 13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inclined portion 140. The upper end portion 120 is configured to have an upper shape of the tensioner 100.

단, 편조기(1)의 구동 시, 즉, 상기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를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동할 때에,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마찰력에 의해 상기 경사부의 상부에서 출발한 편조사는 상기 경사부의 하부 끝까지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편조사가 정상 경로를 이탈하여 원활한 직조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편조사의 단선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the knitting machine 1 is driven, that is, when the knife irradiation mov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long the inclined portion, a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knife irradia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Such a frictional force may result in failure to move to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start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knitting operation deviates from the normal route and the knitting operation is not smoothly performed, and the knitting of the knitting yarn is broken.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경사부(140)의 마찰 계수를 조절하거나 상기 상단부(120)와 상기 경사부(140) 사이의 각도(θ1)를 조절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부(140)를 마찰 계수가 작은 재료로 제조하면, 상기 경사부(140)와 상기 편조사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140)의 하부 끝까지 이동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is problem by adjusting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slope part 140 or by adjusting the angle [theta] 1 between the upper part 120 and the slope part 140. [ Specifically, when the inclined portion 14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nclined portion 140 and the curled portion is reduced, so that the curled portion can be moved to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40 have.

그리고, 상기 경사부(140)와 상기 상단부(120) 사이의 각도(θ1)를 작게 조절하면 상기 경사부(140)에 작용하는 수직항력(N)이 커짐으로써 상기 경사부(140)와 상기 편조사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140)의 하부 끝까지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angle? 1 between the inclined portion 140 and the upper end portion 120 is adjusted to be small, the vertical force N acting on the inclined portion 140 is increased,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rradiation and the irradiation can be reduced to the lower end of the slope part 140. [

위의 이론은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The above theory can be confirm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1][Equation 1]

DF = T-μNDF = T-μN

여기서, DF는 경사부와 편조사 사이의 마찰력이고, T는 편조사의 강성이고, μ는 마찰계수이고, N은 상기 경사부에 작용하는 수직항력이다.Where DF is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flake irradiation, T is the rigidity of the flock irradiation, 占 is the friction coefficient, and N is the vertical drag acting on the inclined portion.

[수학식 2]&Quot; (2) "

N = T/cos(90-θ1)N = T / cos (90 -? 1)

여기서, θ1는 경사부와 상기 상단부 사이의 각도이다.Here,? 1 is an angle between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upper end portion.

위의 수학식들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경사부(140)와 편조사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경사부(140)의 마찰 계수를 조절하거나, 상기 경사부(140)와 상기 상단부(120) 사이의 각도(θ1)를 조절하는 방식이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equations, in order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lope part 140 and the flake irradiation, the frictional coefficient of the slope part 140 may be adjusted or the slope part 140 and the upper part 120 1)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diodes.

먼저, 상기 경사부를 마찰 계수가 작은 재료로 제조하여 상기 경사부(140)와 상기 편조사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하는 내용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First, the inclined portion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so as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nclined portion 140 and the piecewise irradiation, as shown in FIG.

도 3은 편조기의 텐셔너에 마찰계수가 작은 재료를 도포하여 상기 텐셔너와 편조사 간의 마찰력이 감소함에 따라 편조사의 단선이 방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FIG. 3 is a 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terial having a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is applied to a tensioner of a knitting machine so that disconnection of the knitting yarn is prevented as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tensioner and the knitting yarn decreases.

도 3에 도시된 도면부호 A는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와 접촉한 상태로 하향 주행 시 시간에 따른 편조사의 이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부호 A에 따르면, 상기 편조사는 상기 경사부의 하부 끝까지 이동함으로써 단선이 발생하지 않는 정상 구동 상태가 된다.Reference numeral A in FIG. 3 schematically shows a movement route of the flock irradiation according to time when the flock irradia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portion. According to the reference character A, the yarn irradiation is moved to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so that the yarn is in a normal driving state in which no break occurs.

도면부호 B는, 도면부호 A와 마찬가지로 상기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와 접촉한 상태로 하향 주행 시 시간에 따른 편조사의 이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부호 B에 따르면, 상기 편조사는 상기 경사부의 하부 끝까지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A에 비해 L만큼 하향 이동되지 못하여 상기 편조사의 단선이 발생하게 된다. Reference numeral B schematically shows a movement route of the yarn irradiation according to time during downward travel in a state where the yarn irradia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portion like the reference symbol A. According to the reference numeral B, the yarn irradiation can not be moved to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but is not moved downward by L compared with the A, resulting in disconnection of the yarn irradiation.

위와 같은 도면부호 A와 B의 이동 경로 차이는,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즉, 상기 도면부호 A는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이 최소로 작용하는 상태임에 비해, 상기 도면부호 B는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이 도면부호 A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The difference in movement path between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symbols A and B is caused by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knife irradia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n other words, the reference symbol A denotes a state in which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lock irradia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s minimized, while the reference symbol B denotes a state in which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lock irradia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s relatively high It can be said that it is in a state of acting largely.

이러한 점을 기초로 고려하여 볼 때,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게 되면, 상기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의 하부 말단 부분까지 이동하게 되어 상기 편조사의 단선 발생이 방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마찰력을 줄이는 방법으로서, 도 3의 도면부호 A는 상기 경사부를 마찰 계수가 작은 재료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는 것이다.Considering this point, whe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locking and the slanting portion is reduced, the flocking is mov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lanting portion, so that breakage of the flocking can be prevented Able to know. As a method of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reference numeral A in Fig. 3 shows a method of making the inclined portion of a material having a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구체적으로,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서 상기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의 하부 말단까지 이동하도록, 상기 경사부는 테프론 또는 크롬으로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the inclined portion is made of Teflon or chrome so as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uticle irradia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so that the cuticle irradiation moves to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종래에는 상기 편조사와 접촉하는 상기 편조기(1) 내의 구성 재료가 스틸로 제조되었다. 상기 스틸은 마찰계수가 약 0.78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편조사와 접촉하는 경사부가 상기 스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작은 테프론 또는 크롬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경사부는 마찰계수가 약 0.04인 테프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마찰계수가 약 0.41인 크롬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경사부의 구성 재료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스틸에 비해 마찰계수가 작은 재료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사부는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은 재료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Conventionally, the constituent material in the knitting machine 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knitting irradiation is made of steel. The steel has a coefficient of friction of about 0.78.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lattening is made of Teflon or chrome having a relatively low friction coefficient as compared with the steel,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reduction effect between the flattening portion and the flattening portion can be obtained.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portion is made of Teflon having a friction coefficient of about 0.04, as compared with that made of chrome having a friction coefficient of about 0.41. However,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inclined por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may be used as long as the material has a lower coefficient of friction than the steel. For example, the inclined portion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luminum, copper,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경사부가 테프론 또는 크롬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은, 상기 경사부의 표면에 테프론 또는 크롬이 코팅되는 방식과, 상기 경사부의 표면이 테프론 또는 크롬으로 연마되는 방식과, 상기 경사부가 테프론 또는 크롬으로 제조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부가 상기 스틸에 비해 마찰계수가 작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방식은, 표면 코팅, 표면 연마 또는 상기 경사부 자체의 제작 재료 선택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The method in which the inclined portion is made of Teflon or Cr includes a method in which Teflon or chrome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a method in which the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is polished with Teflon or Cr and a method in which the inclined portion is made of Teflon or Cr Any one of the methods can be selected. That is, the manner in which the inclined portion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friction coefficient than that of the steel can be realized by surface coating, surface grinding, or a material selection method of the inclined portion itself.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는 다른 방식에 대한 내용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는 상기 경사부와 상기 상단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The contents of the other method for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knife irradia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are shown in Figs. 4 and 5. Fig. 4 and 5 show a method of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lattening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by adjusting the angle between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upper end portion.

먼저, 도 4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텐셔너(100)에 비해 상단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텐셔너(101)에 대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텐셔너(101)는 상단부(121)와 경사부(141) 사이의 각도(θ2)가 도 2에 도시된 텐셔너(100)의 상단부(120)와 경사부(140) 사이의 각도(θ1)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First, in FIG. 4, a tensioner 101 having a longer upper end than the tensioner 100 shown in FIG. 2 is shown. The tensioner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ngle 2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121 and the inclined portion 141 is smaller than the angle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120 of the tensioner 100 and the inclined portion 140, 1 relative to the angle? 1.

이와 같이, 상기 경사부(141)와 상기 상단부(121) 사이의 각도를 작게 조절하면 상기 경사부(141)에 작용하는 수직항력(N)이 커짐으로써 상기 경사부(141)와 상기 편조사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141)의 말단(146)까지 이동될 수 있다. If the angle between the inclined portion 141 and the upper end portion 121 is adjusted to be small, the vertical force N acting on the inclined portion 141 is increased, So that the flocking can be moved to the distal end 146 of the slope part 141. [0064]

다른 방식으로서, 도 5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텐셔너(100)에 비해 걸림부(151)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텐셔너(102)에 대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텐셔너(102)는 경사부(142)와 연결되는 걸림부(151)의 길이가 도 2에 도시된 텐셔너(100)의 경사부(140)와 연결되는 걸림부(150)의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텐셔너(102)는 상단부(122)와 경사부(142) 사이의 각도(θ3)가 도 2에 도시된 텐셔너(100)의 상단부(120)와 경사부(140) 사이의 각도(θ1)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5, the tensioner 102 has a longer length than that of the tensioner 100 shown in FIG. 2. As shown in FIG. Specifically, the tensioner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ength of the latching portion 151 connected to the slanting portion 142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latching portion 151 connected to the slanting portion 140 of the tensioner 100 150, respectively. The tensioner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ngle 3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122 and the inclined portion 142 is greater than the angle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120 and the inclined portion 140 of the tensioner 100 shown in FIG. 1 relative to the angle? 1.

이와 같이, 상기 경사부(142)와 상기 상단부(122) 사이의 각도를 작게 조절하면 상기 경사부(142)에 작용하는 수직항력(N)이 커짐으로써 상기 경사부(142)와 상기 편조사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142)의 말단(147)까지 이동될 수 있다. When the angle between the inclined portion 142 and the upper end portion 122 is adjusted to be small, the vertical force N acting on the inclined portion 142 is increased, So that the knife irradiation can be moved to the distal end 147 of the inclined portion 142. [

본 실시 예들에 따른 상기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각도는 30도 이상이고 60도 이하일 수 있다. 즉, 상기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각도는 30도 이상이고 60도 이하일 때에 상기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의 말단까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각도는 43도일 수 있다. 다만,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142)의 말단(147)까지 이동 가능한 범위에서, 상기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각도는 이에 구속되지 않는다.The angle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may be 30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That is, when the angle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s 30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the cuticle irradiation can be smoothly moved to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Preferably, the angle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inclined portion may be 43 degrees. However, the angle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s not constrained to such a range that the partial irradiation can be moved to the distal end 147 of the inclined portion 142.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편조사와 접촉하는 경사부를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로 제조하거나, 또는 상기 경사부와 상단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에 따라 상기 편조사의 단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cline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lake irradiation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or the angle between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is adjusted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lake irradia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isconnection of the yarn irradia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고,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편조기 10: 디플렉터
20: 캐리어 100, 101, 102: 텐셔너
120, 121, 122: 상단부 130, 131, 132: 하단부
140, 141, 142: 경사부
1: Deflector 10: Deflector
20: carrier 100, 101, 102: tensioner
120, 121, 122: upper ends 130, 131, 132:
140, 141, 142:

Claims (9)

편조사의 상향 경로와 하향 경로를 형성하는 디플렉터;
상기 상향 경로로부터 상기 하향 경로로 편조사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리어; 및
상기 디플렉터를 통과한 편조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편조사에 의한 직조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직조 작업 시 상기 편조사에 긴장력을 제공하는 텐셔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기.
A deflector forming an upward path and a downward path of the flock irradiation;
A carrier for guiding movement of the flocking from the upstream path to the downstream path; And
And a tensioner for causing the yarn passing through the deflector to move upward and downward to perform a weaving operation by the knitting yarn and providing a tensioning force to the knitting yarn during the weaving oper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조사는,
상기 디플렉터의 상향 경로, 상기 캐리어의 상면, 상기 디플렉터의 하향 경로, 상기 텐셔너, 상기 캐리어의 하면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직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knife-
Wherein the weaving is performed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upper path of the deflector, the upper surface of the carrier, the downward path of the deflector, the tension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arrier sequential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는,
보빈으로부터 편조사의 풀림이 이루어질 때에 상기 편조기 내로 상기 편조사의 진입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고 하면을 이루는 하단부;
상기 하단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면을 이루는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와 상기 상단부를 연결하고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편조사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nsioner includes:
A support for keeping the angle of entry of the yarn irradiation constant within the knitting machine when the yarn is unwound from the bobbin;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forming a lower surface;
An upper end disposed to face the lower end and forming an upper surface; And
And an inclined portion connecting the lower end portion and the upper end portion an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provide a path of movement of the cuticl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경사부의 말단과 상기 하단부 사이에는,
상기 편조사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경사부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기.
The method of claim 3,
Between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formed below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lower end,
And an engag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one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to restrict downward movement of the knitting yar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서 상기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의 말단까지 이동하도록, 상기 경사부는 테프론 또는 크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clined portion is made of Teflon or chrome so as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lattening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so that the flattening portion moves to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가 테프론 또는 크롬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은,
상기 경사부의 표면에 테프론 또는 크롬이 코팅되는 방식과, 상기 경사부의 표면이 테프론 또는 크롬으로 연마되는 방식과, 상기 경사부가 테프론 또는 크롬으로 제조되는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채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기.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method in which the inclined portion is made of Teflon or chrome,
Wherein the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is coated with Teflon or chrome, the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is polished with Teflon or chrome, and the inclined portion is made of Teflon or Cr.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편조사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서 상기 편조사가 상기 경사부의 말단까지 이동하도록, 상기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각도는 30도 이상이고 6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 angle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s 30 degrees or more and 60 degrees or less so that the flocking irradiation is reduced to a distal end of the inclined portion by reducing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locking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각도는 43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기.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n angle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s 43 degrees.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의 각도 조절 방식은,
상기 상단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과, 상기 걸림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채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조기.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The method of adjusting the angle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Wherein a length of the upper end portion is adjusted and a length of the hook portion is adjusted.
KR1020160156407A 2016-11-23 2016-11-23 Weaving Machine KR1025210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407A KR102521045B1 (en) 2016-11-23 2016-11-23 Weav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407A KR102521045B1 (en) 2016-11-23 2016-11-23 Weav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930A true KR20180057930A (en) 2018-05-31
KR102521045B1 KR102521045B1 (en) 2023-04-11

Family

ID=6245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407A KR102521045B1 (en) 2016-11-23 2016-11-23 Weav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04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6533A (en) * 1983-08-26 1986-10-14 C. A. Weidmuller Gmbh & Co. Stripping device for coaxial cables
US5974938A (en) * 1992-06-02 1999-11-02 Lloyd; Carter Francis Braiding machine
KR100967437B1 (en) 2008-05-22 2010-07-01 주식회사 센텍 Wire braiding apparatus for rubber hose
KR20120029041A (en) * 2010-09-16 2012-03-26 디에치이앤이 (주) Carrier line braider
US8833224B2 (en) * 2011-10-17 2014-09-16 Sequent Medical, Inc. Braiding mechanism and methods of u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6533A (en) * 1983-08-26 1986-10-14 C. A. Weidmuller Gmbh & Co. Stripping device for coaxial cables
US5974938A (en) * 1992-06-02 1999-11-02 Lloyd; Carter Francis Braiding machine
KR100967437B1 (en) 2008-05-22 2010-07-01 주식회사 센텍 Wire braiding apparatus for rubber hose
KR20120029041A (en) * 2010-09-16 2012-03-26 디에치이앤이 (주) Carrier line braider
US8833224B2 (en) * 2011-10-17 2014-09-16 Sequent Medical, Inc. Braiding mechanism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045B1 (en) 202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8808B2 (en) Elevator bel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220388812A1 (en) Reinforced fabric elevator belt with improved internal wear resistance
CN103459292B (en) Rope or belt for the coating of elevator device
US10239731B2 (en) Belt including fibers
JP2013252837A (en) Sunshade device
KR20180057930A (en) Weaving Machine
CN103526357B (en) The rings of ring spinner-wire loop system
JP2012240500A (en) Roller shade apparatus for vehicle
KR101445652B1 (en) Elevator suspension and/or driving assembly having at least one traction surface comprising exposed weave fibers
US4296917A (en) Contoured cable roller
KR101427597B1 (en) Carrier for braiding machine
CN111792492B (en) Elevator load bearing member having a fabric structure
CN212502445U (en) Belt tensioning assembly
JP6482707B1 (en) Linear body drawing device
JP5797836B2 (en) Seat belt device
KR100456552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seat belt from getting twisted in automobile
CN104891272A (en) Workstation of a textile machine with a paraffinization device
WO2020110245A1 (en) Elevator device
KR0162578B1 (en) Regulator of power window for an automobile
US7255201B2 (en) Lifting frame with hydraulic lines for an accessory hydraulic system
CN105621190A (en) Elevator safety device
JP3149800B2 (en) Braider
JP2011046285A (en) Sunshade device
JPH0673182U (en) Bobbin carrier for brai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