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302A -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 - Google Patents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302A
KR20180057302A KR1020160155774A KR20160155774A KR20180057302A KR 20180057302 A KR20180057302 A KR 20180057302A KR 1020160155774 A KR1020160155774 A KR 1020160155774A KR 20160155774 A KR20160155774 A KR 20160155774A KR 20180057302 A KR20180057302 A KR 20180057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enthol solution
pronunciation
discharge
m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미덥
곽태헌
신경혜
김광욱
Original Assignee
임미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미덥 filed Critical 임미덥
Priority to KR1020160155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7302A/ko
Publication of KR20180057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쿨링 효과를 갖는 멘톨 용액을 입천장의 특정 음소 조음점에 발라 해당 조음점의 감각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조음장애환자가 이를 인지하여 혀를 정확한 위치에 가져다 대어 발음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한 발음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는 내벽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내부에 멘톨 용액이 저장되는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외주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는 압출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며,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며, 멘톨 용액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압출부가 상승하여, 하우징 내부의 멘톨 용액을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APPARARUS FOR CORRECTING PRONUCIATION}
본 발명은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쿨링 효과를 갖는 멘톨 용액을 입천장의 특정 음소 조음점에 발라 해당 조음점의 감각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조음장애환자가 이를 인지하여 혀를 정확한 위치에 가져다 대어 발음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한 발음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조음 장애란 조음 기관에 이상이 있거나 잘못된 언어학습, 청력손실, 정신지체 또는 심리적·정서적 원인으로 바른 조음을 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발음 교정을 위해, 이론적으로 알려주기 및 따라 말하기, 설압자를 이용하여 조음점 짚어주기, 발음 교정기를 물어 발음 연습하기 등이 이용된다.
이때, 설압자는 넓적한 나무막대 모양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단순히 위치를 짚어주는 것에 불과하며, 발음 교정기는 혀의 움직임 및 입 주변 근육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발음을 교정하는 원리를 적용한 것이 대부분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372181호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양쪽의 상치와 하치에 의해 각각 물려지는 한 쌍의 치아물림부와, 상기 한 쌍의 치아물림부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대칭을 이루어 각각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지지단과 하부지지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지지단과 하부지지단 사이에 위치되는 혀를 지지해주는 혀지지부를 포함하는 발음훈련교정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403558호는 입안에 착용시 외관상으로 거의 티가 나지 않으면서도, 상악 어금니와 하악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영어 발음에 효과적인 적정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턱이 과도하게 벌어지지 않게 함으로써 단어와 단어의 연결시 리듬의 공백이 길어지지 않도록 유지하여 원어민과 같은 발음 및 발성이 가능하도록 보조 및 교정하는 발음 교정구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401434호는 발음시 턱의 개방 정도, 혀의 위치 및 혀의 곡면 정도를 조절해 모음발음을 교정하는 모음발음 교정기를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종래의 발명교정기와 관련된 발명은 혀를 위치를 제한함으로써 발음을 교정하고자 한 것이 대부분이었는데, 최근 오히려 이러한 방식이 입천장, 조음점을 전혀 건드리지 않고 혀나 입 주위 근육의 움직임을 막아 제대로 된 발음 산출을 악영향을 준다는 연구가 발표된 바 있다.
즉, 발음을 교정함에 있어, 혀나 입 주위 근육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되, 특정 음소를 목표로 잡고 그 음소를 발음할 때 혀가 닿아야 할 조음점 및 부분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한 발음 교정 방법이 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218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0355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0143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쿨링 효과를 갖는 멘톨 용액을 입천장의 특정 음소 조음점에 발라 해당 조음점의 감각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조음장애환자가 이를 인지하여 혀를 정확한 위치에 가져다 대어 발음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한 발음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멘톨 용액의 공급이 용이하도록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압출부가 상승하여, 하우징 내부의 멘톨 용액을 배출시키는 발음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는 내벽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내부에 멘톨 용액이 저장되는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외주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는 압출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며,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며, 멘톨 용액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압출부가 상승하여, 하우징 내부의 멘톨 용액을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는 내부에 길이방향의 배출 관통홀이 형성되는 배출 하우징과; 상기 배출 하우징의 말단에 형성되는 배출 팁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며, 액상을 흡수할 수 있는 다공성 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배출 팁을 포함한다.
상기 멘톨 용액은 5 내지 15%의 에탄올 수용액 100 중량%에 대하여,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애플민트, 파인애플민트, 페니로열민트, 캣민트, 보울스민트, 오데콜론민트 및 초코민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쿨링오일 20 내지 40중량%,유칼립투스, 티트리, 레몬, 라임, 그레이프프루트, 카모마일, 레몬밤, 레몬버베나, 레몬그라스, 라벤더, 쟈스민, 로즈마리, 로즈힙, 타임, 히솝 및 세이지 중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성 추출물 0.5 내지 3중량% 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는 쿨링 효과를 갖는 멘톨 용액을 입천장의 특정 음소 조음점에 발라 해당 조음점의 감각이 활성화되어 조음장애환자가 이를 인지하여 혀를 정확한 위치에 가져다 대고 발음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는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압출부가 상승하여, 하우징 내부의 멘톨 용액을 배출시킴으로써 멘톨 용액의 공급이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및 가이드 레일의 일 실시예.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적용되는 압출부의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실시예.
도 5는 상기 배출 팁이 형성되는 실시예와 상기 배출 팁이 고정부에 결합되는 실시예.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쿨링 효과를 갖는 멘톨 용액을 입천장의 특정 음소 조음점에 발라 해당 조음점의 감각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조음장애환자가 이를 인지하여 혀를 정확한 위치에 가져다 대어 발음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한 발음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는 내벽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10)을 포함하며, 내부에 멘톨 용액(M)이 저장되는 통형의 하우징(100)과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외주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210)과,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220)을 포함하는 압출부(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하측에 결합되며, 회전판(310)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320)을 포함하는 구동부(3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에 형성되며, 멘톨 용액이 배출되는 배출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멘톨 용액(M)을 수용 및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멘톨 용액(M)이 수용 및 저장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은 중공의 통형을 갖는데, 이때 통형의 종류는 원통형, 사각 통형, 삼각 통형, 육각 통형 등 한정하지 않지만, 모서리가 없는 원통형을 사용하여 모서리(사각, 삼각 등)로 인한 구내 손상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 및 가이드 레일(110)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10)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후술되는 압출부(20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110)의 갯수는 압출부(200)가 좌우로 이동되지 않도록 최소한 2개 이상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출부(200)는 하우징(100)에 수용되어, 멘톨 용액(M)을 일측에서 타측(하측에서 상측으로) 밀어내어 멘톨 용액(M)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압출부(200)는 하우징(100) 내에 수용 및 이동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우징(100)의 중공 둘레보다 작게 형성되어 소정의 갭(gap)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중공의 원통형을 갖는 하우징(100)의 내부 중공 지름이 1.5cm 이면, 상기 압출부(200)는 원형을 가지되, 하우징(100)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내부 중공 지름보다 작게, 즉, 1.5cm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출부(200)의 재질은 경질의 플라스틱, 실리콘 및 고무 등의 연질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질의 플라스틱 단독, 연질 수지 단독 및 경질의 플라스틱과 연질 수지를 혼합하여 압출부(200)를 형성할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경질 플라스틱의 외주를 따라 실리콘 수지로 라이닝하여 멘톨 용액(M)의 밀폐성 및 압출부(200)의 가압력을 높여 멘톨 용액(M)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에 적용되는 압출부(200)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상기 압출부(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외주에 가이드 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210)은 상기 하우징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110)과 동일한 갯수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레일(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110)과 상기 가이드 홈(210)의 맞물림으로 인해 상기 압출부(200)는 좌우 움직임없이 상하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압출부(200)에는 중심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220)이 형성되어 후술될 구동부(300)의 회전축(320)이 상기 관통홀(220)을 관통하여 볼트너트결합된다.
상기 구동부(300)는 하우징(100)의 하측에 결합되며, 회전판(310)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320)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판(310)의 회전에 의해 압출부(200)를 상승시켜 하우징(100) 내부의 멘톨 용액을 배출부(400)로 배출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축(320)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판의 관통홀(220)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볼트 너트 결합을 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판(310)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320)이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320)과 볼트너트 결합을 하고 있는 관통홀(220)을 포함하는 압출부(200)는 가이드 홈(210) 및 가이드 레일(110)에 의해 상하 이동만 될 수 있도록 결박되어 있기 때문에 압출부(200)가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부(300)의 회전에 따라 압출부(200)가 상승하여, 하우징(100) 내부의 멘톨 용액(M)을 배출부(400)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400)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상기 배출부(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에 형성되며, 멘톨 용액(M)을 배출시키는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40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배출관(420)이 형성되는 배출 하우징(410)과 상기 배출 하우징(410)의 말단에 형성되는 배출 팁 고정부(430)에 의해 고정되며, 액상을 흡수할 수 있는 다공성 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배출 팁(4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출 하우징(410)은 상기 하우징(100) 보다 작은 둘레를 가지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설압자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으로 갈수록 둘레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하여 보다 정확하고 세밀하게 조음점을 짚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압출부(200)의 상승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난 멘톨 용액(M)은 배출 하우징(41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배출관(420)을 따라 이동하여 배출되는데, 이때 외부로 배출되는 멘톨 용액(M)이 흘러내리지 않고, 짚고자 하는 지점에만 집중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배출 팁(44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출 팁(440)은 액상을 흡수할 수 있는 다공성 섬유 재질로 형성되어 발음 교정기를 입 안에 포인팅함에 있어 보다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멘톨 용액(M)을 흡수 및 머금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멘톨 용액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정확한 지점을 포인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다공성 섬유 재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천연 해면(Sea sponge), 천연펄프 스펀지, 곤약 스펀지 및 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 하우징(410)은 상기 배출 팁(440)을 고정시키기 위한 배출팁 고정부(430)가 말단에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팁 고정부(430)의 형상은 배출 팁(440)을 고정하는 것이라면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배출팁(440)의 고정과 동시에 교체가 용이하도록 끼움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상기 배출 팁(440)이 형성되는 실시예와 상기 배출 팁이 배출팁 고정부(430)에 결합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상기 배출 팁(440)은 형상은 한정하지 않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끼움 결합되도록 (a)관통 홀이 형성된 기둥 형상 또는 (b)끼움 홈이 형성된 기둥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출팁 고정부(430)는 상기 배출 하우징(41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배출팁 고정부(430)와 상기 배출 하우징(410)의 지름 차이에 의해 배출 팁 안착부(430-a)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 팁 안착부(430-a)에 의해 상기 배출 팁(440)이 안정적으로 끼움 결합 및 안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멘톨 용액(M)은 조음점을 자극을 위해 쿨링 효과를 발생시키는 성분을 포함하며, 에탄올 수용액 100 중량%에 대하여, 쿨링오일 20 내지 40중량%, 식물성 추출물 0.5 내지 3중량%을 포함한다.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유기용매인 에탄올을 포함하여 쿨링오일 및 식물성 추출물의 혼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쿨링오일 및 식물성 추출물이 분산되는 분산매가 되는 동시에, 에탄올의 높은 증기압 및 증발성을 가져 쿨링 오일의 쿨링 효과를 증대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5 내지 15%의 농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에탄올 수용액의 농도가 5% 미만이면 원료들간의 혼합성을 향상시키기 힘들거나 쿨링 효과를 부여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농도가 15% 을 초과하면 기호도가 저하되고, 멘톨 용액의 증발이 지나치게 빨리 진행되어 멘톨 용액을 짧은 주기로 반복해서 짚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쿨링 오일은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애플민트, 파인애플민트, 페니로열민트, 캣민트, 보울스민트, 오데콜론민트 및 초코민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쿨링 효과 및 과도한 자극에 의한 이물감을 고려하여 상기 에탄올 수용액 100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기호도 상승 및 심신안정 등의 아로마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서, 유칼립투스, 티트리, 레몬, 라임, 그레이프프루트, 카모마일, 레몬밤, 레몬버베나, 레몬그라스, 라벤더, 쟈스민, 로즈마리, 로즈힙, 타임, 히솝 및 세이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상기 에탄올 수용액 100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 로 첨가되는데, 0.5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3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쿨링 오일의 효과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가이드 레일
200 : 압출부
210 : 가이드 홈
220 : 관통홀
300 : 구동부
310 : 회전판
320 : 회전축
400 : 배출부
410 : 배출 하우징
420 : 배출관
430 : 배출 팁 고정부
430-a : 배출 팁 안착부
440 : 배출팁
M : 멘톨 용액

Claims (3)

  1. 조음점에 멘톨 용액을 공급하여 발음을 교정하기 위한 발음 교정기에 있어서,
    내벽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내부에 멘톨 용액이 저장되는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외주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는 압출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며,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며, 멘톨 용액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압출부가 상승하여, 하우징 내부의 멘톨 용액을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내부에 길이방향의 배출 관통홀이 형성되는 배출 하우징과;
    상기 배출 하우징의 말단에 형성되는 배출 팁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며, 액상을 흡수할 수 있는 다공성 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배출 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멘톨 용액은
    5 내지 15%의 에탄올 수용액 100 중량%에 대하여,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애플민트, 파인애플민트, 페니로열민트, 캣민트, 보울스민트, 오데콜론민트 및 초코민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쿨링오일 20 내지 40중량%,
    유칼립투스, 티트리, 레몬, 라임, 그레이프프루트, 카모마일, 레몬밤, 레몬버베나, 레몬그라스, 라벤더, 쟈스민, 로즈마리, 로즈힙, 타임, 히솝 및 세이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성 추출물 0.5 내지 3중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
KR1020160155774A 2016-11-22 2016-11-22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 KR20180057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774A KR20180057302A (ko) 2016-11-22 2016-11-22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774A KR20180057302A (ko) 2016-11-22 2016-11-22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302A true KR20180057302A (ko) 2018-05-30

Family

ID=6230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774A KR20180057302A (ko) 2016-11-22 2016-11-22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730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6151A (ja) * 1999-03-12 2000-09-19 Sunstar Inc 口腔用液体組成物
KR20090047411A (ko) * 2009-04-06 2009-05-12 김준귀 스틱형 케이스
KR101571466B1 (ko) * 2015-05-26 2015-11-24 (주)연우 흡수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KR20160017005A (ko) * 2016-01-26 2016-02-15 주식회사 신한씨엠 튜브타입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6151A (ja) * 1999-03-12 2000-09-19 Sunstar Inc 口腔用液体組成物
KR20090047411A (ko) * 2009-04-06 2009-05-12 김준귀 스틱형 케이스
KR101571466B1 (ko) * 2015-05-26 2015-11-24 (주)연우 흡수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KR20160017005A (ko) * 2016-01-26 2016-02-15 주식회사 신한씨엠 튜브타입 화장품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6020906D1 (de) Herzklappen-abgabesystem mit klappenkatheter
GB2436292A (en) A device for insertion between the spinal processes
AU2003240862A1 (en) Adjustable, non-electric liquid air-freshener device
WO2009120792A3 (en) Anchor and anchor deployment apparatus
DK1757245T3 (da) Tandimplantat
BR112012013003A8 (pt) Bocal para um aparelho para auxiliar na administração de aerossol a um paciente, e aparelho para administrar aerossol farmacêutico a um paciente
BRPI1005490B1 (pt) Suporte cilíndrico para recipiente de produto farmacêutico destinado a ser colocado em rotação
JP5282178B1 (ja) ガスミスト圧浴方法及びガスミスト圧浴システム
WO2019111433A1 (ja) 睡眠時呼吸確保用チューブ
KR20180057302A (ko) 멘톨 용액을 공급하는 발음 교정기
WO2008011698A3 (en) Implant-supported palatal expansors
CN107280790B (zh) 一种种植体修复用角度可调式取模柱
US1196250A (en) Aseptic appliance.
CN209301090U (zh) 一种医疗临床用新型口腔扩撑器
CN203647401U (zh) 一种内镜下颅底圆孔处三叉神经手术用可调牵拉扩张器
Hermes et al. Representations of place and airstream mechanism: A real-time MRI study of Tigrinya ejectives
CN204379972U (zh) 一种鼻内给药装置
KR20160038445A (ko) 치조골 신장장치
Kortlandt The inflexion of the Indo-European o-stems in Balto-Slavic
US382113A (en) Inhaler
CN110772309A (zh) 一种旋紧锁定型骶髂关节螺钉置入辅助装置
CN103610747A (zh) 一个能彻底治愈骨赘(骨刺、骨质增生)的处方
CN201227443Y (zh) 一种灌肠器
CN102580228A (zh) 皮肤软组织扩张器
CN202409810U (zh) 皮肤软组织扩张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