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254A - 개폐형 em센서 - Google Patents

개폐형 em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254A
KR20180057254A KR1020160155666A KR20160155666A KR20180057254A KR 20180057254 A KR20180057254 A KR 20180057254A KR 1020160155666 A KR1020160155666 A KR 1020160155666A KR 20160155666 A KR20160155666 A KR 20160155666A KR 20180057254 A KR20180057254 A KR 20180057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ubstrate
secondary coil
coil
primary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희
김준경
김주원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5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7254A/ko
Publication of KR20180057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1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 G01D5/200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by influencing the self-induction of one or more co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where the material is placed in the field of a coil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형 EM센서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개폐형 EM센서는 개폐가 가능한 몸체부에 권취되어 있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구비하며 몸체부의 전단영역에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에 형성된 단자가 단선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개폐가 가능한 EM센서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개폐형 EM센서 {OPENABLE EM SENSOR}
본 발명은 케이블의 긴장력을 측정할 수 있는 EM센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폐가 가능하여 실제 현장에서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한 EM센서에 관한 것이다.
현수교, 사장교와 같이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 교량, 거더교 등에서는 교량 설치 후 케이블에 가해지는 힘, 온도 변화, 국부 손상, 부식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설계 긴장력과 케이블의 실제 긴장력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구조물의 성능 저하 또는 심각한 안전도 저하가 야기될 수 있다.
이에 주기적으로 케이블의 긴장력을 측정하여 케이블의 긴장력 변화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이때 케이블의 긴장력을 측정하기 위해 EM(Electro-Magnetic) 센서가 사용될 수 있는데 EM 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장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케이블(1)에 2차 코일(3)을 감고, 그 외부에 1차 코일(2)을 감은 다음 1차 코일에 교류신호를 인가하면 이에 의해 유도자기장이 발생하고, 발생된 유도자기장에 의해 2차 코일에 유도 전압이 발생하며 이를 측정하여 케이블의 긴장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EM 센서는 이미 설치된 케이블의 긴장력을 확인하는 장치이며, 긴장력을 측정해야 할 케이블에 코일들이 권취되어야 하기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 측정 대상 케이블에 2차코일을 감고 그 외부에 다시 1차코일을 감아야 하며, 계측이 끝난 다음에는 감겨진 코일을 다시 풀어 제거해야 하므로 설치부터 계측 후 제거까지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 곳곳의 긴장력을 확인하기 위해 또는 다른 케이블의 긴장력을 확인하기 위해, 계측이 끝난 EM센서를 해체하고 위치를 이동한 후 다시 설치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설치와 제거가 용이한 형태의 EM센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 제10-1552793호 "PS강재의 상태 변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PSC정착구 및 이를 구비한 PSC거더"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가 가능하여 현장에서의 설치와 제거가 간편한 개폐형 EM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폐를 위해 절단된 영역에서 단선된 코일이 EM센서가 닫혔을 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구조를 구비한 개폐형 EM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형 EM센서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EM 센서는 피측정 케이블이 위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이 개방되거나 닫히도록 개폐 가능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상기 내부 공간을 중심으로 권취되어 있는 1차 코일과 상기 1차 코일보다 상기 내부 공간에 가까이 권취되어 있는 2차 코일; 및 상기 몸체부의 절단영역에 마주보게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의 개폐에 따라 서로 분리되거나 접합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기판에는 상기 절단영역에 의해 단선된 상기 1차 코일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자와 단선된 상기 2차 코일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기판에는 상기 절단영역에 의해 단선된 상기 1차 코일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3 단자와 단선된 상기 2차 코일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4 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가 닫혔을 때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3 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단선된 상기 1차 코일이 연속되는 하나의 코일로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4 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단선된 상기 2차 코일이 하나의 코일로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단자 및 제3 단자의 크기는 1차 코일의 단면보다 크고, 상기 제2 단자 및 제4 단자의 크기는 상기 2차 코일의 단면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자 사이의 배치 간격과 상기 복수 개의 제3 단자 사이의 배치 간격은 상기 1차 코일의 권취 간격보다 크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단자 사이의 배치 간격과 상기 복수 개의 제4 단자 사이의 배치 간격은 상기 2차 코일의 권취 간격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3 단자 중 어느 하나는 기판으로부터 돌출된 돌출형 단자이고 나머지 하나는 몸체부쪽으로 함몰되어 대응되는 돌출형 단자와 끼워맞춤되는 오목형 단자이며,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4 단자 중 어느 하나는 기판으로부터 돌출된 돌출형 단자이고 나머지 하나는 몸체부쪽으로 함몰되어 대응되는 돌출형 단자와 끼워맞춤되는 오목형 단자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절연 기판 및/또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경첩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경첩을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는 2개의 절단 영역이 있으며, 각 절단 영역 각각에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EM센서는 개폐가 가능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그리고 단시간 내에 설치와 제거가 가능하며, 개폐를 위해 절단된 영역에서 단선된 코일이 EM센서가 닫혔을 때 전기적으로 신뢰성 있게 연결될 수 있는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EM센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EM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EM센서가 개폐되며, 그 내부공간에 피측정 케이블이 위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EM센서의 몸체부가 경첩을 중심으로 개방되거나 닫히도록 구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EM센서 내부에 권취되어 있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EM센서 내부에 권취되어 있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EM센서의 절단영역 양측 단면에 위치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EM센서의 절단영역 양측 단면에 위치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EM센서 내부에 권취되어 있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EM센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EM센서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EM센서(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EM센서(100)는 피측정 케이블(1)이 위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11)을 가지는 몸체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1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의 절단영역(12)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의 단면 방향에 있어서 하나로 결합되어 피측정 케이블이 위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11)이 폐쇄되어 있던 몸체부(10)는 절단영역(12)을 경계로 분리되어 내부 공간(11)이 개방될 수 있고, 개방된 내부 공간(11) 내에 피측정 케이블(1)이 위치된 후 내부 공간이 닫히도록 다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0)는 피측정 케이블을 감싸는 중공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몸체부의 내부 공간은 몸체부가 피측정 케이블에 밀착되어 후술할 1차 코일이 피측정 케이블을 용이하게 자화시키고 2차 코일에 유도전류가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피측정 케이블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몸체부(10)가 절단 영역(12)에 의해 적어도 2개로 완전히 분리되는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몸체부(10)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구비된 경첩(13)을 중심으로 개폐될 수도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몸체부(10)의 개폐 방식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몸체부(10) 내부공간(11) 개방되고 닫히도록 하는 어떠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0)에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코일(20)과 2차 코일(30)이 이중으로 권취되어 있을 수 있다.
1차 코일(2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전류가 흐르는 코일로서 1차 코일에 공급되는 교류전류에 의해 유도자기장이 발생되어 피측정 케이블을 자화시킨다
2차 코일은 1차 코일에 의해 발생된 유도자기장에 의해 유도 전압이 발생되는 코일로서, 2차 코일에 발생된 유도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피측정 케이블의 긴장력을 확인할 수 있다.
2차 코일은 1차 코일보다 피측정 케이블에 가까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몸체부에서 1차 코일보다 내부 공간(11)에 더 가까이 권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몸체부 외주면에 권취되어 있을 수 있으나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몸체부(10) 내부에 매립되어 있고 외부에서 1차 코일로 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라인, 2차 코일에 유도된 유도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라인만 몸체부 외부로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에 권취된 1차 코일(20)과 2차 코일(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의 절단영역(12)에 의해 단선된다. 이와 같이 단선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EM센서(100)의 동작을 위해 몸체부(10)가 폐쇄되었을 때에는 절단영역에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단선된 코일과 코일을 단순히 접촉시키는 방법으로는 단선된 영역에서의 전기 누설을 방지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EM센서는 절단영역(12)에 의해 분리된 몸체부(10)의 단면에 단선된 코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제1 기판(40)과 제2 기판(50)을 구비하고, 단선된 코일이 직접 연결되지 않고 제1 기판(40)과 제2 기판을 통해 전기적 누설 없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 기판(40)과 제2 기판(50)을 도 7과 도 8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기판(40)에는 절단영역에 의해 단선된 1차 코일(20)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자(42)와 절단영역에 의해 단선된 2차 코일(30)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자(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기판(50)에는 절단영역에 의해 단선된 1차 코일(20)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3 단자(52)와 절단영역에 의해 단선된 2차 코일(30)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4 단자(5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기판(40)과 제2 기판(50)은 몸체부(10)가 닫혔을 때 서로 마주하는 몸체부의 단면에 위치되고, 몸체부(10)가 닫혔을 때 제1 기판(40)의 제1 단자(42)와 제2 기판(50)의 제3 단자(52)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단선된 1차 코일이 전기적으로 연속되는 하나의 코일로서 연결되며, 몸체부(10)가 닫혔을 때 제1 기판(40)의 제2 단자(43)와 제2 기판(50)의 제4 단자(53)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단선된 2차 코일이 전기적으로 연속되는 하나의 코일로서 연결된다.
또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은 누설 방지를 위해 단자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41, 51)은 절연재질로 형성된 절연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며, 인쇄회로기판(PCB)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판(40)과 제2 기판(50)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코일(20)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자(42)와 제3 단자(52)는 각각 제1 기판(40)과 제2 기판(50)에 일렬로 배열되며, 2차 코일(30)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자(43)와 제4 단자(53) 역시 제1 기판(40)과 제2 기판(50)에 일렬로 배열되되 제1 단자 및 제3 단자 보다는 내부공간(11) 쪽으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 단자는 신뢰성 있는 전기적 접속을 위해 제1 단자 및 제3 단자는 크기는 1차 코일의 단면 보다 크고, 제2 단자 및 제4 단자의 크기는 2차 코일의 단면 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로 이웃하는 제1 단자들 사이의 배치 간격은 서로 이웃하게 권취된 1차 코일의 권취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서로 이웃하는 제3 단자들 사이의 배치 간격 또한 서로 이웃하게 권취된 1차 코일의 권취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제2 단자들 사이의 배치 간격과 서로 이웃하는 제4 단자들 사이의 배치 간격도 서로 이웃하게 권취된 2차 코일의 권취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자와 제3 단자가 1대 1로 접속될 수 있고, 제2 단자와 제4 단자가 1대 1로 접속될 수 있도록 제1 단자들의 배치 간격과 제3 단자의 배치 간격을 동일하게 하고, 제2 단자들의 배치 간격과 제4 단자의 배치 간격을 동일하게 한다.
또한 제1 단자와 제3 단자의 신뢰성 있는 전기적 접속, 제2 단자와 제4 단자의 신뢰성 있는 전기적 접속을 위해 서로 접속되는 2개의 단자 중 하나는 기판으로부터 돌출된 돌출형 단자로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는 기판 표면에서 몸체부쪽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오목형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42)와 제3 단자(52) 중 어느 하나는 기판으로부터 돌출된 돌출형 단자로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는 오목형 단자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자와 제4 단자 역시 어느 하나는 회로기판으로부터 돌출된 돌출형 단자로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는 오목형 단자로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는 제1 기판(40)에 형성된 기판에 형성된 단자는 모두 돌출형 단자로 형성되고, 제2 기판(50)에 형성된 단자는 모두 오목형 단자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동일한 기판에 형성된 단자라도 일부는 돌출형 단자로 형성되고 나머지는 오목형 단자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돌출형 단자와 오목형 단자의 크기는 돌출형 단자가 오목형 단자의 홈 내부로 끼워맞춤되어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출형 단자와 오목형 단자의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몸체부의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나 몸체부의 닫힌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버클과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EM 센서에서 제1 기판(40)과 제2 기판(50)에 형성된 단자들을 이용한 절단영역에서의 전기적 연결은 몸체부가 폐쇄되었을 때 절단영역에서 단선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각각 하나의 연속되는 코일로서 전기적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개폐형 EM 센서가 설치와 제거가 용이하면서도 EM센서로서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서로 끼워맞춤되는 돌출형 단자와 오목형 단자, 절연기판을 통해 전기적 누설 없이 절단영역에서의 단선된 코일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며, 전기 접속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하여 파이프형 몸체부(10)를 구성하는 제1 몸체부(10-1)와 제2 몸체부(10-2)에 각각 제1 코일과 제2 코일이 단선되지 않고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권선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몸체부(10-1)와 제2 몸체부(10-2)는 하나의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분리된 2개의 조각과 같은 형태로서, 서로 결합되어 파이프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파이프의 중공에 피측정 케이블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에는 각각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이중으로 권선되어 있다. 즉, 각각의 몸체부에 2차 코일(30)이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권취되어 있으며, 그 바깥쪽에 1차 코일(20)이 다시 권취되어 있다.
1차 코일(2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전류가 흐르는 코일로서 1차 코일에 공급되는 교류전류에 의해 유도자기장이 발생되어 피측정 케이블을 자화시킨다.
2차 코일(30)은 1차 코일에 의해 발생된 유도자기장에 의해 유도 전압이 발생되는 코일로서, 2차 코일에 발생된 유도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피측정 케이블의 긴장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에 2차 코일이 안쪽에 1차 코일이 바깥쪽에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1차 코일이 안쪽에 2차 코일이 바깥쪽에 권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에 권취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가 피측정 케이블을 둘러싸고 서로 결합되었을 때 제1 몸체부의 2차 코일과 제2 몸체부의 2차 코일이 함께 피측정 케이블을 둘러싸는 형태를 이루고, 제1 몸체부의 1차 코일과 제2 몸체부의 1차 코일은 2차 코일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의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절단 영역에서 단선되어 있지 않고 각각의 몸체부에 연속적으로 권취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결합시 제1 몸체부의 1차 코일과 제2 몸체부의 1차 코일이 전기적 접속을 이룰 필요가 없고, 마찬가지로 제1 몸체부의 2차 코일과 제2 몸체부의 2차 코일이 전기적 연결을 이룰 필요가 없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부(10-1)와 제2 몸체부(10-2)가 경첩으로 연결되어 몸체부가 열리고 닫히는 개폐 가능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되었을 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EM센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구체적인 실시예로 한정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발명의 사상 및 그 영역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 피측정 케이블 2 : 1차 코일
3 : 2차 코일 10 : 몸체부
11 : 내부 공간 12 : 절단영역
13 : 경첩 20 : 1차 코일
30 : 2차 코일 40 : 제1 기판
42 : 제1 단자 43 : 제2 단자
50 : 제2 지판 52 : 제3 단자
53 : 제4 단자

Claims (10)

  1. 피측정 케이블이 위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이 개방되거나 닫히도록 개폐 가능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상기 내부 공간을 중심으로 권취되어 있는 1차 코일과 상기 1차 코일보다 상기 내부 공간에 가까이 권취되어 있는 2차 코일; 및
    상기 내부 공간의 개방을 위해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단영역에 마주보게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의 개폐에 따라 서로 분리되거나 접합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판에는 상기 절단영역에 의해 단선된 상기 1차 코일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자와 단선된 상기 2차 코일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기판에는 상기 절단영역에 의해 단선된 상기 1차 코일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3 단자와 단선된 상기 2차 코일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4 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가 닫혔을 때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3 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단선된 상기 1차 코일이 연속되는 하나의 코일로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4 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단선된 상기 2차 코일이 하나의 코일로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EM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및 제3 단자의 크기는 1차 코일의 단면보다 크고, 상기 제2 단자 및 제4 단자의 크기는 상기 2차 코일의 단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EM 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자 사이의 배치 간격과 상기 복수 개의 제3 단자 사이의 배치 간격은 상기 1차 코일의 권취 간격보다 크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단자 사이의 배치 간격과 상기 복수 개의 제4 단자 사이의 배치 간격은 상기 2차 코일의 권취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EM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3 단자 중 어느 하나는 기판으로부터 돌출된 돌출형 단자이고 나머지 하나는 몸체부쪽으로 함몰되어 대응되는 돌출형 단자와 끼워맞춤되는 오목형 단자이며,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4 단자 중 어느 하나는 기판으로부터 돌출된 돌출형 단자이고 나머지 하나는 몸체부쪽으로 함몰되어 대응되는 돌출형 단자와 끼워맞춤되는 오목형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EM 센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절연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EM 센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EM 센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경첩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경첩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EM 센서.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2개의 절단 영역이 있으며, 각 절단 영역 각각에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EM 센서.
  9. 피측정 케이블을 둘러싸기 위해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한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에 제1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권취되어 있는 제1 1차 코일과 상기 제1 1차 코일보다 안쪽에 권취되어 있는 제1 2차 코일; 및
    상기 제2 몸체부에 제2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권취되어 있는 제2 1차 코일과 상기 제2 1차 코일보다 안쪽에 권취되어 있는 제2 2차 코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가 피측정 케이블을 둘러싸고 서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 1 2차 코일과 상기 제2 2차 코일이 함께 상기 피측정 케이블을 둘러싸는 형태를 이루고, 상기 제1 1차 코일과 상기 제2 1차 코일은 상기 제1 2차 코일과 상기 제2 2차 코일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 1차 코일, 제2 1차 코일, 제2 1차 코일, 제2 2차 코일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EM 센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는 서로 결합되어 파이프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 중공에 상기 피측정 케이블이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EM 센서.
KR1020160155666A 2016-11-22 2016-11-22 개폐형 em센서 KR20180057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666A KR20180057254A (ko) 2016-11-22 2016-11-22 개폐형 em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666A KR20180057254A (ko) 2016-11-22 2016-11-22 개폐형 em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254A true KR20180057254A (ko) 2018-05-30

Family

ID=6230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666A KR20180057254A (ko) 2016-11-22 2016-11-22 개폐형 em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725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4171A (zh) * 2018-10-31 2019-02-22 重庆交通大学 用于检测在役斜拉索索力的方法
KR102275062B1 (ko) * 2020-10-20 2021-07-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자기장 형성 및 유도전압 측정을 이용한 텐던 모니터링 장치, 이를 구비한 텐던 손상탐지 시스템, 및 텐던 손상탐지 방법
KR102312616B1 (ko) * 2021-07-01 2021-10-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전압 측정 방식의 텐던진단장치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교량 케이블의 진단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4171A (zh) * 2018-10-31 2019-02-22 重庆交通大学 用于检测在役斜拉索索力的方法
KR102275062B1 (ko) * 2020-10-20 2021-07-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자기장 형성 및 유도전압 측정을 이용한 텐던 모니터링 장치, 이를 구비한 텐던 손상탐지 시스템, 및 텐던 손상탐지 방법
KR102312616B1 (ko) * 2021-07-01 2021-10-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전압 측정 방식의 텐던진단장치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방법 및 교량 케이블의 진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7254A (ko) 개폐형 em센서
US9341654B2 (en) Mixed current sensor and method for fitting said sensor
KR101323607B1 (ko) 변류기
JP6454544B2 (ja) 可飽和コアの固定具及び固定方法並びにフラックスゲート電流センサ
ES2386763T3 (es) Unidad transformadora de intensidad
US9939465B2 (en) Electric current detector
US20140132249A1 (en) Mixed current sensor and method for fitting said sensor
US9651633B2 (en) Magnetic core flux sensor
US20150206645A1 (en) Split core current transformer
WO2013192374A2 (en) Disassociated split sensor coil for power distribution line monitoring
CN102365553A (zh) 由在环路形式中固定的电缆构成的电流传感器
JP2015185725A (ja) トランス
US9354280B2 (en) Current sensor, table tap with current sensor, and magnetic substance cover for current sensor
US20120182708A1 (en) enclosure for a conductor of electricity, the enclosure being provided with current sensors
KR102086653B1 (ko) 전력선로용 기기의 함체 및 그 설치기구와, 이를 구비한 전력선로용 기기
RU2390865C2 (ru) Трансформатор тока для источника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100115948A (ko) 멀티형 전류센서
KR101621632B1 (ko) 전기기기의 상태감시장치
US20150279542A1 (en) Current converter with interchangeable head
KR102053168B1 (ko) 변압기 부하 시험용 지그
US20210285824A1 (en) Ring sensor arrangement
KR102485053B1 (ko) 지중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및 모듈
KR20170010200A (ko) 분할형 직류전류센서
US20150187490A1 (en) Current transformer having a short-circuit device
CN107167632B (zh) 配线按压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