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637A - 개선된 열 분포를 가지는 가열 가능한 적층 차량 창 - Google Patents

개선된 열 분포를 가지는 가열 가능한 적층 차량 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637A
KR20180056637A KR1020187003855A KR20187003855A KR20180056637A KR 20180056637 A KR20180056637 A KR 20180056637A KR 1020187003855 A KR1020187003855 A KR 1020187003855A KR 20187003855 A KR20187003855 A KR 20187003855A KR 20180056637 A KR20180056637 A KR 20180056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ndow
coating
pane
vehicle
hea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0846B1 (ko
Inventor
마르셀 클라인
발렌틴 슐츠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80056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74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 B32B17/10183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being not continuou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05B3/86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the heating conductors being embedded in the transparent or reflec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8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with layout including a portion free of resistive material, e.g. communication window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1Heaters using laterally extending conductive material as connec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6Heaters using particular connec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7Heaters with zones of different power density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를 외부 주변 영역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가열 가능한 적층된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열가소성 중간층(3)을 통해 서로 결합된 외부 페인(1)과 내부 페인(2) 및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코팅(4)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은 전원의 2극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 2개 이상의 부스바(5 및 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급 전압의 인가에 의해 2개 이상의 부스바(5 및 6) 사이에 형성된 가열 필드를 통해 가열 전류가 흐른다. 차량 창은 차량 창 상에 또는 내부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금속 요소(7)를 구비하여 열이 금속 요소(7)의 열전도를 이용하여 열 발생이 증가된 가열 필드 영역으로부터 분산되도록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열 분포를 가지는 가열 가능한 적층 차량 창
본 발명은 가열 가능한 적층된 차량 창, 그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차량 창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투명하고, 가열 가능한 코팅을 가지는 차량 창은 잘 알려져있다. 단지 예시로서, 공보 WO03/024155A2, US2007/0082219A1, US2007/0020465A1, EP2274251A1, EP1980137B1 및 EP1454509B1를 참조한다. 그들은 특히 전면 유리로 사용되고 특히 높은 광학 요구조건이 적용된다. 가열 가능 코팅을 사용하여, 전면 유리는 응결 및 얼음을 필요한 만큼 없애기 위한 활성화된 가열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열선 또는 프린티드온 가열 콘덕터에 의해 관통 시야를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가열 가능 코팅은 통상 은으로 된 층을 포함하는 다층 시스템이다. 그들은 전기적으로 2개 이상의 스트립 형태 또는 밴드 형태의 부스바에 접촉 되어있고, 부스바는 전류를 가능한 한 균일하게 코팅에 전해야 한다. 전류는 부스바 사이의 코팅을 통해 흐르며 가열 필드를 형성한다.
가열 가능한 차량 창의 설계는 균일한 열 분포의 문제로 나타난다. 이는, 특히, 지나치게 많은, 국부적 열 발생이 있는 영역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사람이 화상을 입을 정도의 매우 높은 페인 온도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페인에 높은 열 스트레스를 가하게되고, 부착 부분의 결합 지점을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스바가 외부 공급 라인에 접촉되는 곳에 열 발생이 높은 영역이 발생하는데, 가열 가능한 코팅으로의 전류의 전달이 이 위치에서 가장 크기 때문이다.
전도성 코팅이 전자기 방사를 강하게 차단하기 때문에, 통상 코팅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결핍된 국부적인 영역을 제공한다. 따라서, 차량 내부로의 무선 데이터 통신이 보장되고, 차량 내부에 설치된 센서, 예를 들어 적외선 신호를 검출하는 센서의 기능이 유지된다. 이러한 국부적으로 코팅이 제거되거나 코팅이 없는 영역은 통상 통신 창 또는 센서 창이라고 지칭된다. 그러나, 코팅이 없는 영역은 가열층의 전기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적어도 가열층을 통과해 흐르는 가열 전류의 전류 밀도 분포에 국부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사실, 이는 강한 불균일 발열량 분포를 유발하고 발열량은 코팅이 없는 영역의 아래쪽 및 그 부근에서 현저하게 감소된다. 반면에, 특히 높은 전류 밀도(핫스팟)를 갖는 위치가 발생하며, 이 위치에서 발열량이 크게 상승한다. 결과적으로, 통신 창 부근에서 매우 높은 국부 페인 온도가 발생할 수도 있다. 통신 창의 존재로 인한 발열량의 불균일성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이 제안되었다. 그들은 특히 예를 들어, WO2010136400A1, WO2012031907A1 또는 WO2012031908A1에서와 같이 부스바에 연결된 보조 도체 또는, 예를 들어, WO2014095152A1 또는 WO2014095153A1에서의 통신 창 주변의 가열층의 레이저 패터닝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 간단하고 경제적인 개선된 열 분포를 가지는 적층된 차량 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제1항의 가열 가능하고 적층된 차량 창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로부터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 가능하고 적층된 차량 창은 차량 내부를 외부 주변 영역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제공된다. 차량 창은 따라서 차체의 창 개구부에 삽입되거나 삽입되기 위해 제공된 창 페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창은, 특히, 모터 차량의 전면 유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창은 열가소성 중간층을 통하여 서로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1 페인 및 제2 페인을 포함한다. 2개의 페인은 “외부 페인” 및 “내부 페인”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내부 페인”은 설치된 위치에서 차량 내부를 향하는 페인을 지칭한다. “외부 페인”은 설치된 위치에서 차량 외부 주변을 향하는 페인을 지칭한다. 열가소성 중간층은 통상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필름으로 형성된다.
설치된 위치에서 차량 외부 주변을 향하는 각 페인의 표면은 “외부 측 표면”으로 지칭된다. 설치된 위치에서 차량 내부를 향하는 각 페인의 표면은 “내부 측 표면”으로 지칭된다. 외부 페인의 내부 측 표면은 내부 페인의 외부 측 표면과 열가소성 중간층을 통하여 결합된다. 통상, 외부 페인의 외부 측 표면은 “사이드 I”으로, 외부 페인의 내부 측 표면은 “사이드 II”로, 내부 페인의 외부 측 표면은 “사이드 III”로, 내부 페인의 내부 측 표면은 “사이드 IV”로 지칭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창은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코팅 또한 포함한다. 가열 가능 코팅은 외부 페인 또는 내부 페인의 한 표면, 특히 열가소성 중간층을 향하고 있는 표면(사이드 II 또는 사이드 III)에 배열될 수 있고, 가열 가능 코팅은 유리하게도 적층 내부에서 부식과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이와 달리, 가열 가능 코팅은 열가소성 중간층에 매립될 수 있고, 특히, 중간층의 폴리머성 캐리어 필름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 가능 코팅은 투명하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투명한 코팅”은 가시 스펙트럼 영역에서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지는 코팅을 말한다.
가열 가능 코팅은 전기적으로 2개 이상의 소위 부스바에 접촉되어 있다. 부스바는 종종 수집 전극으로도 지칭된다. 그들은 통상 밴드 형태 또는 스트립 형태로 구현되며, 전류를 코팅 안으로 그 폭에 걸쳐 가능한 한 균일하게 전하는 역할을 한다. 부스바는 전원의 두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가열 가능 코팅은 부스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급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가열 전류가 2개 이상의 부스바 사이로 흐르고, 이를 이용하여, 코팅의 전기 저항 및 그와 관련된 가열의 결과로서, 가열 필드가 부스바 사이에 형성된다. 통상, 부스바는 가열 가능 코팅 위에 또는 아래에 직접적으로 배열되고, 따라서 가열 가능 코팅에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창은 차량 창 상에 또는 내부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금속 요소를 포함하여, 금속 요소의 열전도를 이용하여 열 발생이 높은 가열 필드 영역에서 열 발생이 낮은 영역으로 열이 분산되도록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페인 상의 열 분포의 균일성이 상당히 개선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그 결과로서, 특히, 위험한 핫스팟을 피할 수 있고 페인의 더 차가운 영역에서의 가열이 개선될 수 있다. 이것들이 본 발명의 주요 장점이다.
금속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평면 요소이다. “평면 요소”라는 용어는 두께가 그 폭이나 길이에 비해 현저하게 작은 요소를 지칭하며, 예를 들어 포일이나 시트 같은 것들이다. 평면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상온(특히 20°C)에서 굽힘 가능하고 유연하여, 통상 특별하게 프리쉐이핑(preshaped)하지 않고 차량 창의 전형적으로 만곡된 형태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강성 요소를 사용하여 미리 적절하게 굽혀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면 요소는, 특히, 차량 창에 평평하게, 즉 페인 면과 사실상 평행하게 배열된다.
금속 요소는 140 W/(mK) 이상, 바람직하게는 350 W/(mK) 이상의 열전도도를 바람직하게는 갖는다.
금속 요소는 다른 열 발생 영역을 포함하는 가열 가능 코팅의 섹션에 오버랩되도록 배열된다. 가열 가능 코팅 상으로의 금속 요소의 투사는 가열 가능 코팅의 영역과 대응한다. 이 영역은 국부적으로 가열 필드의 평균 발열량보다 15% 이상 높은 발열량을 가진다. 여기서, "국부"라는 용어는 높은 발열량이 전체 영역에서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기보다는, 그 영역이 더 낮은 발열량을 가지는 영역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열 발생이 높은 영역으로부터 열 발생이 낮은 영역으로 금속 요소를 통해 열이 분산될 수 있다. 발열량의 척도로서, 금속 요소의 존재 없이 미리 정해진(predefined) 시간 이후에 도달되는 온도가 사용될 수 있다. 그것은 실험적으로 또는 시뮬레이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금속 요소의 가열 가능 코팅 상으로의 투사 영역은 평균 이하의 발열량을 갖는 영역 또한 포함한다. 따라서, 평균 이상으로 가열된 영역으로부터의 열은 평균 이하로 가열된 영역을 추가적으로 가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평균 이하의 발열량을 갖는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가열 필드의 평균 발열량 보다 15% 이상 낮은 발열량을 가진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소위 통신 또는 센서 창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발열량의 불균일성이 완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 창은 결과적으로 부스바 사이에, 즉 가열 필드 내부에 이러한 통신 또는 센서 창, 즉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가열 가능 코팅이 없는 국부적으로 제한된 영역을 가진다. 통신 또는 센서 창은 통상 시야의 중앙 영역 바깥(ECE-R 43에 따른 비전 A의 영역), 일반적으로 부스바 중 하나 부근의 페인의 상부 또는 하부 에지 영역에 위치한다. 코팅은 나중에, 예를 들어, 기계적인 연마 또는 레이저 어블레이션에 의해 제거되거나, 예를 들어 마스킹 기술에 의해 코팅 전에 미리 제거된다. 전류 흐름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열 발생이 높은 영역이 코팅이 없는 영역 근처에 형성되는데, 코팅이 없는 영역 주위에 전류의 흐름이 집중되기 때문이다. 위험한 핫스팟이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요소는 전류 흐름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코팅이 없는 영역면의 바로 옆에, 바람직하게는 코팅이 없는 영역면의 바로 양 옆으로 배열된다. 그러면 금속 요소는 코팅이 없는 영역으로부터 짧은 거리에 있는 열 발생이 높은 영역에서 코팅이 없는 영역으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열 발생이 낮은 영역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코팅이 없는 영역 바로 근처의 과도한 열은, 말하자면, 이 영역으로부터 멀리 운반되고, 이를 이용하여 열 분포는 균일해지고 핫스팟이 방지되거나 적어도 완화된다. 코팅이 없는 영역으로부터 금속 요소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2 mm이다. 금속 요소의 폭은 페인의 설계에 따라 달라지고, 예를 들어, 10 mm 이상이다. 폭은 전류 흐름의 방향에 수직인 치수이다.
상술된 실시예의 개선에 있어서, 금속 요소는 코팅이 없는 영역면 바로 양 옆에 배열되고, 또한 이들 사이에서 가장 가까운 부스바로부터 멀리 향하는 코팅이 없는 영역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코팅이 없는 영역은 금속 요소에 의해 3개의 면, 정확하게는 가장 가까운 부스바를 바라보는 면을 제외한 모든 면이 둘러싸인다. 장점은 코팅이 없는 영역면 바로 옆에서 과도하게 발생한 열이 가장 가까운 부스바의 반대편에 있는 코팅이 없는 영역면 상의 코팅 영역으로 운반되어, 소위, 코팅이 없는 영역의 "전기적 음영"에 있게 되므로, 열 발생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더욱 개선된 가열작용의 균일성이 얻어진다.
원칙적으로, 코팅이 없는 영역은 완전히, 달리 말하면 모든 4개의 면이 금속 요소로 인해 둘러싸일 수도 있다. 또한, 양 측면에 금속요소를 배열하지 않고, 코팅이 없는 영역면 바로 옆의 오직 한 면에만, 그리고 또한 가장 가까운 부스바로부터 멀리 향하는 코팅이 없는 영역의 측면을 따라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금속 요소는 또한 코팅이 없는 영역을 넘어서 연장된다.
본 발명에 의해, 부스바로의 전기 공급 라인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발열량의 불균일성이 효과적으로 완화될 수 있다. 이 공급 라인은 부스바에 연결된 연결 케이블, 특히 소위 평판 도체 또는 포일 도체 또는 단순 포일 스트립에 의해 발생한다. 공급 라인과 부스바 사이의 접촉점에 인접한 가열 필드 영역에서, 높은 열 발생이 일반적으로 발생하는데, 전류의 일부분이 부스바 전체 폭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하는 대신 이 접촉점으로부터 가열 가능 코팅으로 통과하기 때문이다. 이는 금속 요소가 부스바와 그에 연결된 전기 공급 라인 사이의 접촉점에 오버랩되면서 완화될 수 있다. 이는 가열 가능 코팅 상으로의 금속 요소의 투사가 가열 가능 코팅 상으로의 상기 접촉점의 투사를 포함하는 영역과 대응함을 의미한다. 금속 요소는 높은 열 발생이 발생하는 주변의 접촉점으로부터 열 발생이 낮은 영역으로 연장되어, 과도한 열이 효과적으로 분산되고 분포된다.
금속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포일 또는 금속 시트이다. 본 발명에서, 포일과 시트의 구별은 상온(특히, 20°C)에서 포일은 단단하지 않고, 시트는 단단하다는 것이다. 적합한 금속 포일은 바람직하게는 구리, 알루미늄, 은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합금을 포함한다. 열전도도와 양호한 가용성으로 인해, 구리는 특히 바람직하다. 포일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2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80 ㎛이다. 적합한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구리, 강철,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합금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강철,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이며, 이들 재료로 만들어진 부착 부품이 차량 창에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시트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5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25 mm이다. 금속 요소는, 예를 들어, 강철, 스테인리스강 또는 주철(cast-iron)을 포함하는, 예를 들어, 2 mm 내지 50 mm,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25 mm의 두께를 갖는 주조 부품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 금속 요소는 차량 창에 적층, 즉 외부 페인과 내부 페인 사이에 배열된다. 이 실시예는 금속 요소로서 포일 및 시트에 적합하고, 양 쪽 모두 내부에 적층(laminated-in)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금속 요소로서 포일에 특히 적합한데, 얇은 포일을 이용하면, 유리 페인과 열가소성 층 사이의 결합이 특히 거의 방해받지 않아, 적층된 차량 창의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금속 요소는, 상기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 중간층의 열가소성 재료에 의해 가열 가능 코팅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면 금속 요소와 가열 코팅 사이에는 전기적 연결이 없으므로 전류의 흐름이 금속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전도는 중간층의 재료를 통해 적절히 발생한다. 특히, 다음과 같은 배열이 선택될 수 있다.
- 가열 가능 코팅은 외부 페인의 내부 측 표면 또는 내부 페인의 외부 측 표면에 적용되고, 금속 요소는 중간층에 적층, 즉 바람직하게는 중간층의 2개의 필름 사이에 배열된다.
- 가열 가능 코팅은 외부 페인의 내부 측 표면에 적용되고, 금속 요소는 내부 페인의 외부 측 표면 상에 배열된다.
- 가열 가능 코팅은 내부 페인의 외부 측 표면에 적용되고, 금속 요소는 외부 페인의 내부 측 표면에 배열된다.
- 가열 가능 코팅은 중간층의 캐리어 필름 상에 배열되고, 금속 요소는 캐리어 필름의 코팅되지 않은 표면 상에 배열된다.
이와 달리, 금속 요소는,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 가열 가능 코팅에 직접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이에 의하면 열 전달은 특히 효과적이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코팅과 금속 요소 사이의 전도성 접속부와 직접 접촉하더라도, 전류의 흐름과 가열 작용이 눈에 띄게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유는 통상적인 가열 가능 코팅은 최상층으로서, 유전체,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층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 유전체 보호층은 코팅의 전도 층과 금속 요소를 서로 격리시키는 데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금속 요소는, 선택 사양적으로, 전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투명한 래커를 이용하여 전기적 절연 코팅을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배열이 선택될 수 있다.
- 가열 가능 코팅은 외부 페인의 내부 측 표면에 적용되고, 금속 요소 또한 외부 페인의 내부 측 표면에 배열된다.
- 가열 가능 코팅은 내부 페인의 외부 측 표면에 적용되고, 금속 요소 또한 내부 페인의 외부 측 표면에 배열된다.
- 가열 가능 코팅은 중간층의 캐리어 필름 상에 배열되고, 금속 요소는 캐리어 필름의 코팅된 표면 상에 배열된다.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서, 금속 요소는 내부 페인의 내부 측 표면(사이드 IV)에 배열된다. 열 전달은 적어도 내부 페인을 통해 일어난다. 본 발명자들은 이 구성에서도 열 전달이 적절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실시예는 또한 금속 요소로서 포일 및 시트에 적합하지만 주조 부품에도 적합하다. 이는 특히 시트 및 주조 부품에 바람직한데, 이들이 포일보다 잘 적층되지 않을 수 있으나, 외부 표면 상에 적용될 때 포일보다 더 높은 안정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특히, 이미 존재하는 요소라도 적절한 위치 설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요소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의 예로서, 센서, 카메라 또는 백미러(rearview mirror)로 사용되는 마운트, 소위 브라켓(bracket)이 있고 이들은 통상 금속 시트 또는 주조 부품으로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론, 외부 페인의 외부 측 표면(사이드 I) 상에 마운트 된 금속 요소로 동일하게 만족된다. 그러나 이는 금속 요소가 차량 외부 형태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며, 통상 소비자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내부 페인의 내부 측 표면 상에 금속 요소를 고정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페인의 설치 상태에서 적절하게 위치한다면, 차체의 부품조차도 금속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내부 페인의 내부 측 표면에 금속 요소가 시트 또는 주조 부품으로 구현 및 적용될 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냉각 리브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따라서, 핫스팟의 방지가 최적화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금속 요소는 불투명한 마스킹 프린트가 제공된 차량 창 영역에 배열된다. 이러한 마스킹 프린트는 센서와 같은 부착 부품을 가리거나, 차량 창이 차체에 결합되도록 하는 접착제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차량 창의 경우 중앙 시야 영역 밖에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스킹 프린트는 통상 스크린 프린팅 프로세스에 적용되고 소성된(fired) 검은색 또는 어두운 에나멜로 구성된다. 마스킹 프린트는 금속 요소에 대해 바깥 쪽, 즉 금속 요소보다 외부 환경에 더 가까운 거리에 배열된다. 따라서, 금속 요소는 차량 외부에 있는 관찰자에게 가려져,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만약 금속 요소가 차량 창에 적층된다면, 마스킹 프린트는 바람직하게는 사이드 II에 배열된다. 만약 금속 요소가 내부 페인의 내부 측 표면(사이드 IV)에 배열된다면, 마스킹 프린트는 바람직하게는 사이드 II, 사이드 III 또는 사이드 IV에 금속 요소 아래로 배열된다. 물론, 차량 창은 2개의 마스킹 프린트를 가지고, 금속 요소를 이 사이에 위치시켜 양 면으로부터 가려지게 할 수도 있다. 만약 금속 요소가 복합 페인에 적층된다면, 마스킹 프린트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요소에 대해 바깥쪽(사이드 I 또는 사이드 II)으로 배열되고 마스킹 프린트는 금속 요소에 대해 안쪽(사이드 III 또는 사이드 IV)에 배열된다.
가열 가능 코팅은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층을 가진다. 코팅은 추가적으로 유전체층을 가질 수도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시트 저항을 조절하거나 부식을 방지하거나 반사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도층은 바람직하게는 은 또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과 같은 전기 전도 산화물(투명 전도 산화물, TCO)을 포함한다. 전도층은 바람직하게는 10 nm 내지 200 nm의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층의 투명도와 전기 전도성 간의 양호한 절충이 얻어진다. 높은 투명도를 가짐과 동시에 전도성을 개선하기 위해, 코팅은 다중 전기 전도층을 가질수 있고, 이는 하나 이상의 유전체층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전도성 코팅은, 예를 들어, 2개, 3개 또는 4개의 전기 전도층을 가질 수 있다. 통상적인 유전체층은 산화물 또는 질화물, 예를 들어, 질화 규소, 산화 규소, 질화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 산화 아연 또는 산화 티타늄을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열 가능 코팅은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층을 가지고, 전기 전도층은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은을 함유한다. 전기 전도층의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nm 내지 5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nm 내지 30 nm이다.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2개 또는 3개의 이러한 전도층을 가지고, 전도층들은 하나 이상의 유전체층으로 서로 분리된다. 이러한 코팅은 한편으로는 페인의 투명도 측면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페인의 전도성 측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페인의 프레임 형태의 에지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가열 가능한 코팅을 제공받지 않는다. 이러한 에지 영역은 에지 결손(페인 상에 코팅이 적용되는 경우) 또는 컷백(캐리어 필름 상에 코팅하는 경우)으로 종종 지칭된다. 이는 가열 가능 코팅이 주변 대기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여, 부식이 방지된다 ―코팅은, 말하자면, 중간층에 인캡슐화된다. 코팅이 없는 에지 영역의 폭은 통상 0.5 mm 내지 20 mm, 특히 1 mm 내지 10 mm이다. 코팅된 영역 및 코팅되지 않은 영역의 시각적으로 눈에 띄는 전이는 통상 불투명한 마스킹 프린트에 의해 가려진다.
부스바는 인쇄되고 소성된 페이스트, 특히 스크린 프린팅 페이스트 또는 전기 전도성 포일의 스트립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가열 가능 코팅이 페인 표면 상에 적용된다면, 양 변형예 모두 적합하다. 만약 가열 가능 코팅이 중간층의 캐리어 필름 상에 적용된다면, 전기 전도성 포일이 특히 적합하다. 소성된 페이스트는 적어도 금속 입자, 바람직하게는 은 입자와 유리 프릿을 함유한다. 인쇄된 부스바의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4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20 ㎛이다. 이러한 두께를 가진 인쇄된 부스바는 유리한 전류 용량(current carrying capacity)을 실현하고 갖는 것이 기술적으로 간단하다. 전기 전도성 포일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구리, 주석 도금 구리, 금, 은, 아연, 텅스텐 및/또는 주석 또는 이들의 합금,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리를 함유한다. 전기 전도성 포일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5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200 ㎛, 예를 들어 50 ㎛ 내지 100 ㎛이다. 이러한 두께를 가지는 전기 전도성 포일로 만들어진 부스바는 유리한 전류 용량을 실현하고 갖는 것이 기술적으로 간단하다. 전기 전도성 포일은 납땜 화합물 또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전기 전도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전도성 연결을 개선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은 함유 페이스트가 전도성 코팅과 부스바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부스바는 통상 차량 창의 2개의 대향 사이드 에지, 통상 상부 에지 및 하부 에지를 따라 배열된다. “상부 에지” 및 “하부 에지”라는 명칭은 여기서 차량 창의 설치된 위치에서 방향을 지칭한다. 부스바는 상기 사이드 에지로부터 작은 거리(상기 사이드로부터 평균 거리는 다른 모든 사이드 에지까지의 거리보다 작음)를 가지며, 그 연장 방향은 실질적으로 사이드 에지의 방향을 따른다.
부스바의 길이는 차량 창의 설계, 특히 부스바가 배열되는 에지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각각의 경우에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통상적인 스트립 형상 부스바의 "길이"라는 용어는, 실질적으로 전류의 전파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더 긴 치수를 의미한다. 부스바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20 mm,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10 mm이며, 이에 의해 양호한 발열량이 얻어질 수 있다.
내부 페인 및 외부 페인은 바람직하게는 유리, 특히 바람직하게는 소다 석회(soda lime) 유리로 만들어지며, 이들은 창 유리용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페인은 또한, 다른 종류의 유리, 예를 들어 보로실리케이트(borosilicate) 유리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aluminosilicate) 유리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페인은 특히, 대안으로서, 플라스틱,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로 만들어질 수 있다.
페인의 두께는 폭넓게 달라질 수 있어, 각 경우의 요구에 이상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페인 및 내부 페인의 두께는 0.5 mm 내지 1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5 mm,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mm 내지 3 mm이다.
외부 페인, 내부 페인 또는 중간층은 투명하고 무색일 수 있으나, 착색되거나, 반투명해지거나, 채색될 수도 있다. 복합 유리를 통한 총 투과율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특히 복합 유리가 전면 유리인 경우 70%를 초과한다. “총 투과율”이라는 용어는 모터 차량 창의 광 투과성 시험을 위해 ECE-R 43, 부속서 3, §9.1에 의해 설정된 방법에 기초한다. 외부 페인 및 내부 페인은 비프리스트레스(non-prestressed), 부분적 프리스트레스 또는 프리스트레스 유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차량 창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공간 방향으로 만곡되며, 이는 모터 차량 창에 통상적인, 약 10 cm 내지 약 40 m의 통상적인 곡률 반경 범위를 가진다. 그러나 복합 유리는 또한, 예를 들어 버스, 기차, 트랙터용 페인으로 제공될 때 평평할 수도 있다.
중간층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필름으로 형성된다. 열가소성 필름은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머,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부티랄(PVB), 폴리우레탄(PU)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 또는 유도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PVB를 포함한다. 열가소성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2 mm 내지 2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mm 내지 1 mm, 예를 들어, 0.38 mm 또는 0.76 mm이다.
만약 가열 가능 코팅이 캐리어 필름 상에 배열된다면, 이 캐리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열가소성 필름 사이에 배열된다. 그러면 중간층은 2개 이상의 열가소성 결합 필름 및 그 사이에 배열된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코팅을 갖는 캐리어 필름을 포함한다.
캐리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폴리에틸렌 테레플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 또는 유도체를 포함한다. 이는 캐리어 필름의 취급, 안정성 및 광학 특성에 특히 유리하다. 캐리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5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200 ㎛,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 내지 75 ㎛의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두께를 가지는 캐리어 필름은 유연함과 동시에 다루기 쉬운 안정된 필름의 형태로 유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차량 내부를 외부 주변 영역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가열 가능하고 적층된 차량 창을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그 방법은 적어도 다음 공정 단계를 포함한다:
(a) 외부 페인, 열가소성 중간층 및 내부 페인을 준비하여, 외부 페인, 내부 페인 또는 중간층은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코팅을 제공받고,
(b) 가열 가능 코팅을 전원의 2개의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 2개 이상의 부스바에 연결하여, 공급 전압의 인가에 의해 2개 이상의 부스바 사이에 형성된 가열 필드를 통해 가열 전류가 흐르고,
(c) 외부 페인 및 내부 페인은 중간층을 통해 적층에 의해 서로 결합하고,
적층 전에 또는 후에, 하나 이상의 금속 요소가 차량 창 상에 또는 내부에 배열되어, 열이 금속 요소의 열전도를 이용하여 열 발생이 높은 가열 필드 영역 밖으로 분산된다.
만약 가열 가능 코팅이 페인 중 어느 하나의 표면 상에 적용된다면, 스택은 바람직하게는 적층으로 배열되어, 코팅이 중간층을 향하게 한다. 중간층은 하나 이상의 필름의 형태로 제조된다. 만약 코팅이 캐리어 필름 상에 제조된다면, 캐리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제1 열가소성 필름과 제2 열가소성 필름 사이에 적층으로 배열된다. 열가소성 필름은, 캐리어 필름과 함께, 중간층을 형성한다.
가열 가능 코팅은 공지된 방법 그 자체로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코팅은 자기적으로 강화된 음극 스퍼터링(cathodic sputtering) (스퍼터링)에 의해 수행된다. 이는 기판의 간단하고, 빠르고, 경제적이며 균일한 코팅의 관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가열 가능 코팅을 가지는 캐리어 필름은 상용으로 입수 또한 가능하여, 코팅 필름이 특별히 제조될 필요가 없다.
부스바의 장착은 특히 배치, 인쇄, 납땜 또는 접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차량 창이 구부러진다면, 외부 페인 및 내부 페인은, 바람직하게는 적층 전에, 굽힘 공정이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페인 및 내부 페인은 동시에 함께, 즉, 동일한 도구에 의해 동시에 만곡되는데, 따라서, 이는 이러한 페인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적층에 최적으로 매칭되기 때문이다. 유리 굽힘 공정의 통상적인 온도는, 예를 들어, 500 °C 내지 700 °C이다. 굽힘은 바람직하게는 페인 중 하나 상에 가열 가능 코팅을 적용한 이후에 수행되는데, 이는 평평한 페인의 코팅이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또한, 별도의 템퍼링 단계의 필요 없이, 코팅의 광학 특성이 굽힘 공정 동안 가열에 의해 개선되기 때문이다.
적층에 의한 복합 유리의 제조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 그 자체, 예를 들어, 오토클레이브 방법(autoclave methods), 진공 백 방법(vacuum bag methods), 진공 링 방법(vacuum ring methods), 캘린더 방법(calendar methods), 진공 라미네이터(vacuum laminators)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외부 페인 및 내부 페인의 결합은 통상 열, 진공, 및/또는 압력의 작용 하에 수행된다.
만약 금속요소가 차량 창에 적층된다면, 적층을 위한 스택 내의 적합한 위치, 예를 들어, 중간층과 외부 페인 또는 내부 페인 사이 또는 중간층의 2개의 필름 사이에 위치된다. 금속 요소는 가열 가능 코팅 상에 직접 배열되거나 그로부터 중간층의 하나 이상의 필름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금속 요소는, 선택 사양적으로, 페인 중 하나 또는 중간층의 필름에, 예를 들어, 접착으로 고정될 수 있어, 미끄러질 수 없다. 만약 금속 요소가 내부 페인의 내부 측 표면에 장착된다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면 상에 접착된다.
열전도를 이용하여 열 발생이 높은 영역 밖으로의 열 분산을 위한 가열 가능한 적층된 차량 창에서 금속 요소의 용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창의 육상, 항공 또는 수상에서의 이동을 위한 운송수단, 바람직하게는 모터 차량에서, 특히 전면 유리로서 용도를 포함한다.
하기에, 본 발명을 도면 및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은 개략적인 표현이며 실제 비율과 일치하지 않는다.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창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2. 도 1의 차량 창을 관통하는 A-A'를 따른 단면도,
도 3.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창의 또 다른 실시예를 관통하는 A-A'를 따른 단면도,
도 4.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창의 또 다른 실시예를 관통하는 A-A'를 따른 단면도,
도 5.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창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6.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
도 7.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창의 세부 사항을 각각 도시한다. 차량 창은 승용차의 전면 유리이며 외부 페인(1) 및 내부 페인(2)으로 구성된 복합 유리로서 구현되고, 상기 페인들은 열가소성 중간층(3)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외부 페인(1) 및 내부 페인(2)은 소다 석회 유리로 만들어지고, 예를 들어, 2.1 mm의 두께를 가진다. 중간층(3)은 0.76 mm의 두께를 갖는 PVB 필름으로부터 형성된다.
가열 가능 코팅(4)은 내부 페인(2)의 외부 측 표면(III) 상에 적용된다. 가열 가능 코팅(4)은, 예를 들어, 복수의 층의 스택이고, 복수의 유전체층에 의해 서로 분리된 3개의 전도성 은 층을 포함한다. 가열 가능 코팅은 투명하여, 페인을 통한 시야가 페인이 전면 유리로서 적합하지 않을 정도까지 손상되지 않는다. 2개의 부스바(5 및 6)는 전기 접촉을 위해 가열 가능 코팅(4) 상에 적용된다. 2개의 부스바(5 및 6)는 은 입자 및 유리 프릿을 가지는 인쇄 및 소성된 스크린 프린팅 페이스트의 약 5 mm 폭을 가지는 스트립으로서 구현된다. 제1 부스바(5)는 차량 창의 상부 에지(O)의 근방을 따라, 그리고, 그 근방에 배열되고, 제2 부스바(6)는 하부 에지(U)의 근방을 따라, 그리고, 그 근방에 배열된다. 전면 유리의 설치된 위치에서, 상부 에지(O)는 위쪽(루프 에지)을 가리키고 하부 에지(U)는 땅을 향하여 아래쪽(엔진 에지)을 가리킨다. 부스바(5 및 6)는, 그 일부가 공급 라인(9)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이를 통해 외부 전원의 극에 대한 부f스바(5 및 6)의 연결이 실현된다. 공급 라인(9)은 전도성 구리 포일이거나 그를 포함하고, 이는 선택사양적으로 부스바(5 및 6)의 영역 상에 배치되고 납땜된다. 하부 에지(U)를 따르는 제2 부스바(6)는 2개의 이러한 공급 라인(9)에 의해 접촉된다.
부스바(5 및 6)를 이용하여, 전류는 코팅(4)으로, 점이 아니라, 부스바(5 및 6)의 폭에 걸쳐서 분산되어 도입된다. 전류는 부스바(5 및 6) 사이 영역의 코팅(4)을 통해 흐르고, 이 영역은 가열되며, 페인의 중앙 시야 영역을 덮는 가열 필드가 형성된다. 따라서 시야 영역은 필요에 따라 얼음이나 습기를 없앨 수 있다.
코팅(4)은 표면(III)의 전체 표면에 적용되고, 10 mm 폭의 주위 에지 영역 및 통신 창(8)은 제외된다. 통신 창(8)은 상부 부스바(5) 근방의 부스바(5 및 6) 사이의 가열 필드에 배열되고, 코팅이 없는 영역이다. 통신 창은 차량 창을 통한 전자기 방사의 전송을 보장하며, 그 외에는 코팅(4)에 의해 반사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내부 페인(2)에 장착된 센서 또는 차량 내부의 무선 데이터 통신이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페인의 발열량은 가열 필드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지 않다. 대신, 통상 열 발생이 높은 영역과 열 발생이 낮은 영역이 있다. 열 발생이 높은 영역(핫스팟)은, 최악의 경우에, 사람이 창문을 만질 때 화상을 입히거나, 창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 발생이 높은 영역을 방지하고 발열량의 균일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열 발생이 높은 영역은 공급 라인(9)과 부스바(5 및 6) 사이의 접촉점 근방에서 발생한다. 사실상 이 접촉점에서 코팅(4)으로의 전류의 흐름의 큰 불균형이 일어난다.
열 발생이 높은 영역 밖으로 열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차량 창은 금속 요소(7)를 가진다. 금속 요소(7)는 약 50 ㎛ 두께의 구리 포일으로 구현되고 차량 창에 적층되며, 외부 페인(1)의 내부 측 표면(II) 상에, 즉 외부 페인(1)과 열가소성 중간층(3) 사이에 배열된다. 이러한 금속 요소는 하부 부스바(6)와 공급 라인(9) 사이의 각 접촉점과 관련되며, 접촉점과 오버랩되어 배열되며 접촉점으로부터 페인의 중심 방향으로 수 센티미터 연장된다. 코팅(4) 상으로의 금속 요소(7)의 투사는 열 발생이 높은 영역 및 대조적으로 열 발생이 낮은 영역 또한 포함하는 표면 섹션을 생성한다. 금속 요소(7)는 열전도성이다. 금속 요소는 열 발생이 높은 영역에서 가열되어 열 발생이 낮은 영역으로 열을 분산시킨다. 따라서 열 분포는 균일해지고 공급 라인(9) 영역에서 위험한 핫스팟이 방지된다. 상부 부스바(5)와 그 공급 라인(9) 사이의 접촉점 영역에, 금속 요소(7)는 명확성을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지만, 당연히, 배열될 수도 있다.
통신 창(8)과 관련하여 다른 열 발생이 높은 영역이 발생한다. 전류는 통신 창(8) 옆의 주변으로 흘러야 하기 때문에, 전류의 흐름은 통신 창(8)의 사이드 에지에 인접하여 집중되고, 핫스팟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또 다른 금속 요소(7)가 통신 창 양 옆에 전류 흐름의 방향으로 배열된다. 금속 요소(7)는 통신 창(8)으로부터 수 밀리미터의 거리를 가지며, 통신 창으로부터 수 센티미터 연장된다. 금속 요소(7)를 사용하여, 과도한 열이 통신 창(8) 근방으로부터 밖으로 분산될 수 있고, 핫스팟이 방지된다.
금속 요소 및 부스바(5 및 6)도 불투명한 마스킹 프린트(10)를 제공받은 차량 창 영역에 배열된다. 마스킹 프린트(10)는 명확성을 위해 도 1에 도시되지 않는다. 이는 약 10 cm의 폭을 가지고 페인의 에지를 따라, 또한 통신 창(8) 주변으로 이어진다. 마스킹 프린트(10)는 표면(II) 및 표면(IV)에 적용된다. 적층된 금속 요소(7)는 양 사이드가 마스킹 프린트로 가려지고, 관찰자에 의해 방해되는 것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창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는 금속 요소(7)(구리 포일)가 내부 페인(2)의 외부 측 표면(III)에 배열되어 가열 가능 코팅(4) 상에 직접 배열된다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코팅(4)의 최상층이 유전체 Si3N4층이기 때문에, 코팅(4)의 가열 기능은 금속 요소(7)가 전기 전도성이더라도 나쁘게 영향 받지 않는다. 따라서 금속 요소(7)는 특별한 예방조치 없이 간단히 코팅(4) 상에 위치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금속 요소(7)는 또한 절연 코팅, 예를 들어, 투명 래커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창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금속 요소(7)는 내부 페인(2)의 내부 측 표면(IV) 상에 접착된다. 금속 요소(7)는 약 7 mm 두께의 알루미늄강 시트로 구현된다. 금속 요소(7)의 열전도성 작용은 또한 내부 페인(2)을 통해 작용하여, 이러한 배열의 경우에도 효과적이다. 금속 요소(7)는 이러한 목적으로 특별히 장착된 시트일 수 있다. 그러나, 심지어 이미 존재하는 부품, 특히 통신 창(8) 뒤로 배열되고 통신 창(8)이 그 기능을 보증하는, 센서의 마운팅 브라켓도 금속 요소(7)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창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다시, 금속 요소(7)는 핫스팟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신 창(8)과 관련된다.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금속 요소(7)는 통신 창(8) 옆에만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 창(8)의 에지를 따라 가장 가까운 부스바(5)로부터 멀리 향하도록 연장되어, 통신 창(8)이 금속 요소(7)로 인해 3면이 둘러싸인다. 이 설계를 사용하여, 통신 창(8) 옆에서 발생된 과도한 열이 통신 창(8)의 아래 영역으로 부분적으로 전도된다. 이 영역은 통신 창(8)에 의해 전기적으로 “음영(shadowed)”되어, 여기서, 열 발생이 거의 없다. 금속 요소(7)는 핫스팟으로부터 열을 향상된 가열 작용을 필요로 하는 영역으로 특별히 전도시킴으로써 열 프로파일의 균일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한다.
도 6은 도 2에 따라 가열 가능한 적층된 차량 창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4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가열 가능한 코팅 및 통신 창(8)을 가지는 다른 전면 유리들이 조사되었다. 12분의 가열 작용 후, 서모그래피가 기록되었고 페인 상의 최대 온도 Tmax (핫스팟)가 결정되었다. 금속 요소(7)를 갖지 않는 페인은 참조 시스템 1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에서, 과도한 열은 상이한 금속 요소(7)로 인해 통신 창 근방의 핫스팟 밖으로 분산된다: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적층된 포일, 구리로 만들어진 적층된 포일 및 주철로 만들어진 소위 "브라켓"(부착 부품을 위한 부착 장치)은 사이드 IV 상에 접착된다. 측정값은 표 1에 요약되어 있고, □T는 참조 시스템 1에 대한 최대 온도의 차이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로부터 모든 실시예에서 핫스팟에서 온도가 상당히 저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임계 최대 온도는 방지될 수 있고 열 분포는 균일하다. 이는 본 발명의 주요 장점이다.
도면 부호 목록
(1)외부 페인
(2)내부 페인
(3)열가소성 중간층
(4)전기 전도성 코팅
(5)부스바
(6)부스바
(7)금속 요소
(8)코팅이 없는 영역, 통신 창
(9)부스바로의 공급 라인
(10)불투명한 마스킹 프린트
(O)상부 에지
(U)하부 에지
(I)외부 페인의 외부 측 표면
(II)외부 페인의 내부 측 표면
(III)내부 페인의 외부 측 표면
(IV)내부 페인의 내부 측 표면
A-A' 단면 라인

Claims (15)

  1. 차량 내부를 외부 주변 영역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가열 가능한 적층된 차량 창으로서,
    열가소성 중간층(3)을 통해 서로 결합된 외부 페인(1)과 내부 페인(2) 및 전원의 2극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 2개 이상의 부스바(5 및 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급 전압의 인가에 의해, 2개 이상의 부스바(5 및 6) 사이에 형성된 가열 필드를 통해 가열 전류가 흐르는,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코팅(4)을 포함하고,
    차량 창은 하나 이상의 금속 요소(7)를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금속 요소(7)는 차량 창 상에 또는 내부에 배열되어 열이 금속 요소(7)의 열전도를 이용하여 열 발생이 높은 가열 필드 영역 밖으로 분산되는,
    차량 창.
  2. 제1항에 있어서, 금속 요소(7)는 포일, 시트 또는 주조 부품인 차량 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금속 요소(7)의 가열 가능 코팅(4) 상으로의 투사는, 국부적으로, 가열 필드의 평균 발열량보다 15% 이상 높은 발열량을 가지는 가열 가능 코팅(4)의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창.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스바(5 및 6) 사이에 가열 가능 코팅(4)이 없는 국부적으로 제한된 영역(8)을 가지고, 금속 요소는 전류 흐름의 방향으로 상기 영역(8)의 옆에, 바람직하게는 양 옆에 배열되는 차량 창.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요소(7)는 부스바(5 및 6)와 그에 연결된 공급 라인(9) 사이의 접촉점과 오버랩되는 차량 창.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요소(7)는 차량 창 내에 적층되는 차량 창.
  7. 제6항에 있어서, 금속 요소(7)는 가열 가능 코팅(4) 상에 배열되고, 선택적으로, 절연 코팅을 가지는 차량 창.
  8. 제6항에 있어서, 금속 요소(7)는 가열 가능 코팅(4)으로부터 중간층(3)의 재료에 의해 분리되는 차량 창.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요소(7)는 내부 페인(2)의 내부 측 표면(IV)에 배열되는 차량 창.
  10. 제9항에 있어서, 금속 요소(7)는 냉각 리브를 가지도록 설계된 시트 또는 주조 부품인 차량 창.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 요소(7)는 불투명한 마스킹 프린트(10)를 제공받은 차량 창 영역에 배열되는 차량 창.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가능 코팅(4)은 열가소성 중간층(3)을 향하는 외부 페인(1) 또는 내부 페인(2)의 표면(II 및 III) 상에 또는 중간층(3) 내부의 캐리어 필름 상에 배열되는 차량 창.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스바(5 및 6)는 바람직하게는 은 입자 및 유리 프릿을 함유하는 소성된 프린팅 페이스트로 구현되거나, 바람직하게는 구리를 함유하는 전기 전도성 포일의 스트립으로 구현되는 차량 창.
  14. 차량 내부를 외부 주변 영역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가열 가능한 적층된 차량 창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외부 페인(1), 열가소성 중간층(3) 및 내부 페인(2)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외부 페인(1), 내부 페인(2) 또는 중간층(3)에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코팅(4)을 제공하는 단계,
    (b) 가열 가능 코팅(4)을 전원의 2극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 2개 이상의 부스바(5 및 6)에 연결하는 단계로서, 공급 전압의 인가에 의해, 2개 이상의 부스바(5 및 6) 사이에 형성된 가열 필드를 통해 가열 전류가 흐르는 단계,
    (c) 외부 페인(1) 및 내부 페인(2)을 중간층(3)을 통해 적층에 의해 서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층 전에 또는 후에 하나 이상의 금속 요소(7)를 차량 창 상에 또는 내부에 배열하여 열이 금속 요소(7)의 열전도를 이용하여 열 발생이 높은 가열 필드 영역 밖으로 분산되는,
    방법.
  15. 육상, 항공 또는 수상에서의 이동을 위한 운송수단, 바람직하게는 모터 차량에서, 특히 전면 유리로서의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 창의 용도.
KR1020187003855A 2015-10-13 2016-09-29 개선된 열 분포를 가지는 가열 가능한 적층 차량 창 KR102020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89476 2015-10-13
EP15189476.3 2015-10-13
PCT/EP2016/073359 WO2017063895A1 (de) 2015-10-13 2016-09-29 Beheizbare laminierte fahrzeugscheibe mit verbesserter wärmevertei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637A true KR20180056637A (ko) 2018-05-29
KR102020846B1 KR102020846B1 (ko) 2019-09-16

Family

ID=5436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855A KR102020846B1 (ko) 2015-10-13 2016-09-29 개선된 열 분포를 가지는 가열 가능한 적층 차량 창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703072B2 (ko)
EP (1) EP3362284B1 (ko)
JP (1) JP6545376B2 (ko)
KR (1) KR102020846B1 (ko)
CN (1) CN108136737B (ko)
BR (1) BR112018000891A2 (ko)
CA (1) CA2993479C (ko)
ES (1) ES2743467T3 (ko)
MX (1) MX2018004521A (ko)
PL (1) PL3362284T3 (ko)
PT (1) PT3362284T (ko)
RU (1) RU2683074C1 (ko)
WO (1) WO20170638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951A1 (ko) * 2021-06-24 2022-12-29 (주)아이테드 발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오토 모빌리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21008804A (es) * 2019-01-22 2021-08-24 Saint Gobain Arreglos de cristal laminado que tienen un elemento funcional electrooptico.
DE202019106306U1 (de) 2019-11-13 2019-11-27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Glasscheibe mit Metallelement und Klebefläche zur Verklebung von polymeren Anbauteilen
GB202003291D0 (en) * 2020-03-06 2020-04-22 Pilkington Group Ltd Laminated glass having a connec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use of the same
CN112358203B (zh) * 2020-11-06 2021-11-19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加热夹层玻璃
CN114536889B (zh) * 2022-02-16 2023-01-03 浙江希维纳米科技有限公司 透明电加温器件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6656A (ko) * 2010-07-07 2013-06-20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전기 가열성 코팅을 갖는 복합 창유리
KR20130139335A (ko) * 2011-02-16 2013-12-20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전기 가열층을 갖춘 투명 창유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72866A (ko) * 2013-12-20 2015-06-30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유리창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1751A (en) * 1980-07-24 1982-11-30 Ppg Industries, Inc. Electroconductive window having improved bus bar
JP2002020142A (ja) 2000-06-29 2002-01-23 Nippon Sheet Glass Co Ltd 車両用窓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734396B2 (en) * 2001-09-07 2004-05-11 Centre Luxembourgeois De Recherches Pour Le Verre Et La Ceramique S.A. (C.R.V.C.) Heatable vehicle window with different voltages in different heatable zones
DE10160806A1 (de) 2001-12-11 2003-06-26 Saint Gobain Sekurit D Gmbh Heizscheibe mit einer elektrisch leitenden Oberflächenbeschichtung
FR2862961B1 (fr) 2003-11-28 2006-02-17 Saint Gobain Substrat transparent utilisable alternativement ou cumulativement pour le controle thermique, le blindage electromagnetique et le vitrage chauffant.
US7335421B2 (en) 2005-07-20 2008-02-26 Ppg Industries Ohio, Inc. Heatable windshield
DE102006002636B4 (de) 2006-01-19 2009-10-22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ansparente Scheibe mit einem beheizbaren Schichtsystem
EP1886804A1 (fr) 2006-08-02 2008-02-13 AGC Flat Glass Europe SA Eclairage au moyen de LEDs
DE102007008833A1 (de) * 2007-02-23 2008-08-28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ransparente Scheibe mit einer beheizbaren Beschichtung
DE202008017848U1 (de) 2008-04-10 2010-09-23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Transparente Scheibe mit einer beheizbaren Beschichtung und niederohmigen leitenden Schichten
DE102009025888B4 (de) 2009-05-29 2014-04-10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Elektrisch großflächig beheizbarer, transparenter Gegenstand und seine Verwendung
US9526130B2 (en) 2010-09-09 2016-12-20 Saint-Gobain Glass France Transparent panel having a heatable coating
CA2893808C (en) 2012-12-20 2018-08-21 Saint-Gobain Glass France Pane having an electric heating layer
CN104919893B (zh) 2012-12-20 2017-09-26 法国圣戈班玻璃厂 具有电加热层的玻璃板
WO2015017673A1 (en) 2013-08-01 2015-02-05 Medimmune, Llc Methods for producing influenza vaccine compositions
BE1024027B1 (fr) 2013-12-11 2017-10-31 Agc Glass Europe Pare-brise chauffant
US20160249413A1 (en) * 2015-02-23 2016-08-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parent planar hea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6656A (ko) * 2010-07-07 2013-06-20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전기 가열성 코팅을 갖는 복합 창유리
KR20130139335A (ko) * 2011-02-16 2013-12-20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전기 가열층을 갖춘 투명 창유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72866A (ko) * 2013-12-20 2015-06-30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유리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951A1 (ko) * 2021-06-24 2022-12-29 (주)아이테드 발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오토 모빌리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846B1 (ko) 2019-09-16
JP6545376B2 (ja) 2019-07-17
WO2017063895A1 (de) 2017-04-20
CA2993479A1 (en) 2017-04-20
EP3362284A1 (de) 2018-08-22
JP2019501848A (ja) 2019-01-24
CN108136737B (zh) 2020-07-28
MX2018004521A (es) 2018-06-27
EP3362284B1 (de) 2019-07-31
US10703072B2 (en) 2020-07-07
RU2683074C1 (ru) 2019-03-26
US20180222156A1 (en) 2018-08-09
PT3362284T (pt) 2019-10-14
ES2743467T3 (es) 2020-02-19
CN108136737A (zh) 2018-06-08
CA2993479C (en) 2020-03-24
BR112018000891A2 (pt) 2018-09-11
PL3362284T3 (pl) 2019-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41792A1 (en) Pane having an electric heating layer
US10728959B2 (en) Pane having an electric heating layer
KR102020846B1 (ko) 개선된 열 분포를 가지는 가열 가능한 적층 차량 창
KR101605235B1 (ko) 가열가능 코팅을 갖는 투명 창유리
CA2969367C (en) Heatable laminated side pane
US10638550B2 (en) Pane with an electrical heating region
US10660161B2 (en) Transparent pane having an electrical heating layer,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JP6351826B2 (ja) 電気加熱層を備えた透明窓板、透明窓板の製造方法及び透明窓板の使用
US20190141791A1 (en) Transparent pane with heatable coating
US20220152988A1 (en) Vehicle composite pane comprising a heatable inlay element
US20240064873A1 (en) Composite pane comprising an electrically heatable camera window
JP2023518746A (ja) 加熱可能な合わせサイドガラス
JP2023513341A (ja) 統合された温度センサを有する乗り物ペ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