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298A - 광물질과 비타민을 포함하는 반추동물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물질과 비타민을 포함하는 반추동물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298A
KR20180056298A KR1020160154421A KR20160154421A KR20180056298A KR 20180056298 A KR20180056298 A KR 20180056298A KR 1020160154421 A KR1020160154421 A KR 1020160154421A KR 20160154421 A KR20160154421 A KR 20160154421A KR 20180056298 A KR20180056298 A KR 20180056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weight
mixture
magnesium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김성화
김학규
김해규
Original Assignee
김현수
김학규
김해규
김성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김학규, 김해규, 김성화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1020160154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6298A/ko
Publication of KR20180056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2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2Compounds of alkali met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4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e.g. magnes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물질과 비타민을 포함하는 반추동물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그네슘(Mg), 아연(Zn), 구리(Cu), 망간(Mn), 요오드(I), 코발트(Co), 셀레늄(Se), 비타민A, 비타민D, 비타민E, 트윈80(Tween80), 소금(Nacl)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반추동물용 사료 블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물질과 비타민을 포함하는 반추동물 사료 조성물{Preparing Composition of Feed for Ruminant Including Mineral and Vitamin}
본 발명은 광물질과 비타민을 포함하는 반추동물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그네슘(Mg), 아연(Zn), 구리(Cu), 망간(Mn), 요오드(I), 코발트(Co), 셀레늄(Se), 비타민A, 비타민D, 비타민E, 트윈80(Tween80), 소금(Nacl)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반추동물용 사료 블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의 수준향상과 더불어 소비자들은 식품의 품질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현대의 소비자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 고품질과 다기능성의 고기의 섭취를 원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비자들의 기호를 만족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성 물질들에 대한 연구와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기능성 물질을 이용한 여러 가지 육제품이 개발되어 소비자들의 기호를 증진시키고 있는데, 이 중 흑염소(black goat)는 본초강목(本草綱目)에 원양을 보하며, 허약을 낫게 하고 강정 보약이 된다고 소개하고 있으며, 머리를 맑게 하고 피로와 추위를 물리치며 위장의 작용을 보하고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고 한다.
흑염소는 지방질 함량이 적고, 단백질, 칼슘 및 철분이 많이 들어있어 임산부 뿐만 아니라 어린이에게도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등의 서양에서도 마찬가지로 흑염소유, 흑염소유로부터 만든 치즈가 건강식품으로 그 소비가 매년 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흑염소 증탕, 흑염소 불고기, 흑염소 로스구이 형태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랫동안 흑염소가 건강식품으로 애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흑염소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일례로, 흑염소육에 황기, 들깨, 생강, 감초 등 약리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이름난 각종 한약재를 첨가하여 열탕으로 일정시간 추출하여 얻은 중탕액은 건강을 돕는 식품으로 소비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흑염소는 3저(低) 4고(高) 식품이므로, 흑염소고기는 속을 덥게 하고 내장을 보하고 기를 늘리고 심장을 안정시키고 놀라는 것을 그치며 흑염소의 젖은 한랭과 허핍을 보한다. 또한, 흑염소의 허파는 폐를 보하고, 기침을 그치게 하며, 콩팥은 신기허약을 보하고, 정수를 늘린다. 또한, 흑염소의 쓸개는 청맹을 다스리고 눈을 밝게 하며, 뿔은 산후통, 풍두통을 없애고, 골수는 양기부족을 치료한다고 하여 신비한 특수 약용동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흑염소는 옛 조상으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신비의 약용동물로 알려져 있으며 초식과 열매를 고루 먹는 동물로, 예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노약자나 임산부, 발육기의 어린이 및 허약체질의 영양보급에 많이 애용되어 왔으며, 과학 문명이 고도로 발달한 최근에도 흑염소의 인기는 날로 상승하고 있다. 이러한 흑염소의 중요성분을 살펴보면 인체에 필요한 칼슘이 소, 돼지, 닭에 비교하여 약 10배 이상이나 되며, 특히 토코페롤(비타민E) 45mg(100g기준)나 함유되어 있는 약용동물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현대 사회에서 약용동물로 널리 각광받고 있는 염소(흑염소)의 사육에서 있어서 편안함을 제공하는 우리 환경의 조성과 함께 급여되는 먹이의 영양소 균형이 무척이나 중요하다. 염소(흑염소)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서는 광물질(미네랄) 성분과 비타민 성분을 고르게 함유한 사료가 적절한 수준으로 급여되어야 한다.
광물질은 생체의 생리 기능에 필요한 광물성 영양소로서 통상 미네랄이라 칭하는데,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과 함께 5대 영양소의 하나로, 인체 내에서 여러 가지 생리적 활동에 관여한다. 미네랄은 비록 미량일지라도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 성분이므로, 이들 무기 염류의 섭취가 부족하면 각종 결핍증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칼슘은 뼈의 구성 성분이며 근육 운동에 관여하기 때문에, 이것이 부족하면 구루병이 생기거나 근육 운동의 부조화가 일어난다.
광물질(미네랄)은 비록 동물 체내에 2% 내지 5% 정도의 소량으로 함유되지만 동물의 생명유지, 증체(weight gain), 번식, 건강 등에 있어 필수적으로 급여되어야 하는 필수 물질이다. 특히, 광물질은 영양소가 체내에서 잘 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체내의 여러 생리적 작용을 한다. 이러한 광물질과 비타민은 염소(흑염소)의 생명유지, 증체, 번식, 건강, 수컷의 요결석 예방 등에 필요한 물질이지만 광물질 간에는 상호 촉진과 억제 작용이 수반되므로 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균형 있게 광물질을 급여하여야 한다.
현재 국내의 대다수의 염소(흑염소) 사육 농가가 사료로 활용하고 있는 미네랄 블록은 소 급여에 적합하도록 소 전용으로 제조된 것으로, 소와 염소(흑염소)의 생리적 차이를 고려하면 소 전용의 미네랄 블록이 염소(흑염소)에게 적합한 미네랄 성분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즉, 광물질과 비타민의 경우 소와 염소(흑염소)는 섭취량과 요구되는 성분의 종류 자체가 서로 다르며, 단위 체중(kg) 당 요구되는 광물질과 비타민의 양 자체가 서로 크게 다르기 대분이다. 또한, 미네랄 블록은 장시간 동안 축사 등의 외부 환경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습도, 일교차, 계절 등의 외부 환경 요인을 고려하여 제조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급여되는 동물의 종류에 따른 타액의 접촉에 따른 산화나 부식 등의 환경 또한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조되어야 한다.
한국등록특허 10-0344998호 (2001년 07월 04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마그네슘(Mg), 아연(Zn), 구리(Cu), 망간(Mn), 요오드(I), 코발트(Co), 셀레늄(Se), 비타민A, 비타민D, 비타민E, 트윈80(Tween80), 소금(Nacl)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마그네슘(Mg), 아연(Zn), 구리(Cu), 망간(Mn), 요오드(I), 코발트(Co), 셀레늄(Se), 비타민A, 비타민D, 비타민E, 트윈80(Tween80), 소금(Nacl)을 성분으로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마그네슘(Mg) 0.5 내지 5 중량%, 아연(Zn) 0.1 내지 0.5 중량%, 구리(Cu) 0.045 내지 0.18 중량%, 망간(Mn) 0.1 내지 0.4 중량%, 요오드(I) 0.002 내지 0.015 중량%, 코발트(Co) 0.001 내지 0.01 중량%, 셀레늄(Se) 0.001 내지 0.012 중량%, 비타민A 3 내지 12 중량%, 비타민D 0.6 내지 2.4 중량%, 비타민E 0.03 내지 0.15 중량%, 트윈80(Tween80) 1 내지 3 중량%, 소금(Nacl) 50 내지 96 중량%, 및 결착제 5 내지 30 중량%를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결착제 5 내지 30 중량%는, 산화마그네슘 2 내지 5 중량%, 염화마그네슘 5 내지 9 중량%, 고령토 4 내지 20 중량%의 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소금 및 고령토를 혼합한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에 액상의 트윈80을 혼합한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염화마그네슘을 물에 녹인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용액의 1/3 내지 1/2 양만큼의 용액을 상기 제2 혼합물과 혼합한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액의 나머지인 1/2 내지 2/3 양만큼의 용액에 산화마그네슘을 넣고 혼합한 혼합 용액을 상기 제3 혼합물에 첨가하여 제4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4 혼합물에 마그네슘, 아연, 망간, 구리를 넣어 혼합한 제5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5 혼합물에 코발트, 요오드, 셀레늄, 비타민A, 비타민D, 비타민E를 넣어 혼합한 제6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6 혼합물을 블록 형상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칼슘(Ca), 마그네슘(Mg), 아연(Zn), 구리(Cu), 망간(Mn), 요오드(I), 코발트(Co), 셀레늄(Se), 비타민A, 비타민D, 비타민E, 트윈80(Tween80), 소금(Nacl), 염화암모늄(NH4Cl)을 성분으로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칼슘(Ca) 2 내지 4 중량%, 마그네슘(Mg) 0.5 내지 5 중량%, 아연(Zn) 0.1 내지 0.5 중량%, 구리(Cu) 0.045 내지 0.18 중량%, 망간(Mn) 0.1 내지 0.4 중량%, 요오드(I) 0.002 내지 0.015 중량%, 코발트(Co) 0.001 내지 0.01 중량%, 셀레늄(Se) 0.001 내지 0.012 중량%, 비타민A 3 내지 12 중량%, 비타민D 0.6 내지 2.4 중량%, 비타민E 0.03 내지 0.15 중량%, 트윈80(Tween80) 1 내지 3 중량%, 소금(Nacl) 50 내지 96 중량%, 염화암모늄(NH4Cl) 1.5 내지 3 중량%. 및 결착제 5 내지 20 중량%를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결착제 5 내지 30 중량%는, 산화마그네슘 2 내지 5 중량%, 염화마그네슘 5 내지 9 중량%, 고령토 4 내지 20 중량%의 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블록 형상으로 제조되어 염소 또는 흑염소에게 급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섭취하는 건초동물의 증체량과 사료효율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건초동물 건강과 수태율의 증진에 따라 사육농가의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입육과 차별화를 도모하여 국내 염소(흑염소)를 포함한 건초동물 산업의 경쟁력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염소(흑염소)의 생활 환경에 따른 습도, 일교차, 계절 등의 외부 환경 요인과 타액 촉에 따른 산화나 부식 등의 환경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염소(흑염소)의 성장과 발육, 건강 증진에 최적화된 블록 형상의 사료를 제조하여 농가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블록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추동물용 사료는 다양한 종류의 반추동물에게 먹이로 공급될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소나 흑염소의 사료로 급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마그네슘(Mg), 아연(Zn), 구리(Cu), 망간(Mn), 요오드(I), 코발트(Co), 셀레늄(Se), 비타민A, 비타민D, 비타민E, 트윈80(Tween80), 소금(Nacl)을 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결착제를 성분으로 더 포함하는데, 상기 결착제는 산화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고령토가 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마그네슘(Mg) 0.5 내지 5 중량%, 아연(Zn) 0.1 내지 0.5 중량%, 구리(Cu) 0.045 내지 0.18 중량%, 망간(Mn) 0.1 내지 0.4 중량%, 요오드(I) 0.002 내지 0.015 중량%, 코발트(Co) 0.001 내지 0.01 중량%, 셀레늄(Se) 0.001 내지 0.012 중량%, 비타민A 3 내지 12 중량%, 비타민D 0.6 내지 2.4 중량%, 비타민E 0.03 내지 0.15 중량%, 트윈80(Tween80) 1 내지 3 중량%, 소금(Nacl) 50 내지 96 중량%, 및 결착제 5 내지 30 중량%를 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착제 5 내지 30 중량%는, 산화마그네슘 2 내지 5 중량%, 염화마그네슘 5 내지 9 중량%, 고령토 4 내지 20 중량%의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이 포함하는 성분을 살펴보면, 우선, 마그네슘(Mg)은 칼슘(Ca)과 달리 체내에 많은 양이 축적되지 않기 때문에 향상 일정한 양을 공급해줘야 하는데 다음과 같은 생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골격 및 치아 등과 같은 연골조직의 구성성분이다. 모든 에너지 대사과정에 필요한 각종 효소(특히, kinase)를 활성화시킨다. 칼슘(Ca)은 신경자극이나 근육수축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Mg은 이와 같은 자극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그네슘(Mg), 특히 산화마그네슘(MgO)은 반추위내 완충제(buffer)로 작용하여 반추위내 pH을 유지시켜 줌으로 반추위 내 산독증(rumen acidosis), 제1위 위염(rumen mentitis), 간농양(liver abscess) 등의 질병을 예방 할 수 있다.
반추동물의 경우 에너지 공급원으로 섬유소가 매우 중요한데 사료에 함유되어 있는 섬유소의 소화율에 영향을 끼친다. 마그네슘(Mg) 부족에 의하여 그라스테타니(grass tetany)와 저마그네슘혈증(hypomagnesemia)이 발생될 수 있다. 그라스테타니병은 반추동물에서 혈중 Mg수준이 정상수준(1.0-3.0mg/100ml)보다 낮은 수준인 0.4-0.9mg/100ml으로 저하될 때 나타나는 질병으로 임상적으로는 강직, 마비, 의식상실 등이 나타나며 심할 경우 폐사한다. 특히, 이 질병은 사료 중 마그네슘(Mg) 수준이 부족한 경우와 마그네슘(Mg)이 체내에서 흡수장애 및 대사적 이상 시 발생한다. 특히, 이른 봄 또는 늦은 가을에 자란 청초(Mg와 에너지함량은 낮지만 단백질이 높은 사료)를 반추동물(소, 염소)많이 섭취하면 제1위 내에서 암모니아가 과잉 생산되며 이 생산된 암모니아가 P 및 Mg과 결합하여 불용성되어 마그네슘(Mg)의 흡수를 저해하여 결핍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반추동물에서 마그네슘(Mg)은 정상적인 생리작용을 유지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영양소이나 대부분 사료회사나 농가에서는 마그네슘(Mg)에 대해 고려하고 있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그네슘(Mg)은 다른 광물질과 상호교호작용이 있는데 Ca, P 및 K의 함량이 증가하면 마그네슘(Mg)의 흡수율 감소로 부족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실제 반추동물에 급여하는 사료에는 일반적으로 Ca 및 P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기존의 급여 수준과 달리 이를 고려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새로운 마그네슘(Mg)의 급여방법이 필요하다.
아연(Zn)의 생리적 작용은 다음과 같다. Zn은 적혈구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병원균 항체를 만들어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게 하고 insulin 등과 같은 다른 호르몬의 작용에 관여한다. Zn은 난포자극호르몬(=FSH, follicle stimulating hormone)과 황체호르몬(LH, luteinizing hormone)의 기능을 촉진하여 번식효율을 높여준다. 상처의 재생 및 치료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젖소의 유방염을 예방한다. 시홍소(rhodopsin)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비타민A의 이동과 이용에 관여함으로써 시각작용에 필수적이다. 유황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양모의 생산에 필수적이다. 지방세포분화 촉진에 관여한다.
특히, 한우 고급육 생산에 있어서 등심내 근내지방도(마블링)를 높이려면 비육초기부터 근내지방세포 분화를 촉진하여 지방세포수를 많게 해줘야 하는데 이 지방세포수를 증가시켜주는 영양소가 비타민C와 더불어 아연이 중요한 작용을 한다. 하지만, 결핍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사료섭취량과 증체율이 저하 한다. 타액 분비량이 많아지고 입과 눈주위에 털이 빠지고 목 주위의 피부와 다리 안쪽이나 발꿈치가 각질화되고 무릎뼈가 비대해지며 뒷다리를 절름거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콧구멍 주의의 피부가 갈라지고 두꺼워지며 이빨을 간다. 임신 곤란, 수태율 저하, 불규칙적인 발정, 난소내 포낭의 퇴화, 분만 후 후산정체가 일어 난다. 수소인 경우 정충의 생성이 저하한다. 이와 같이 아연은 가축에 매우 중요한 영양소이지만 이러한 아연은 반추동물의 주 사료인 식물(풀사료)이 성장함에 따라 Zn함량이 저하되고 산성토양 개량을 위해 석회를 뿌린 토양에서 자란 식물에 Zn함량이 낮다. 또한, 가축에 급여하는 곡류내 함유되어 있는 함량은 비교적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아연의 요구량은 가축의 연령, 사료조성 및 다른 광물질과 여러 다양한 상호작용에 의해 달라진다. 특히, 아연과 광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즉, Ca,Na,k에 영향을 받고 P, Fe, Mo간에는 상호 영향을 주고 받으며 Co에는 영향을 준다. 예들 들며, 곡식의 알갱이에 있는 피틴산(phytic acid)는 가축의 소화관내에서 Zn-Ca과 불용성인 Zn-Ca-phytate착화물을 형성하여 Zn의 이용성을 저하 시킨다. 즉, 사료내 Ca를 과다 급여하면 아연 결핍증을 유발한다. 특히, 구리, 망간과도 교호작용이 있는데 구리 및 망간의 함량이 높으면 아연의 흡수를 방해하지만 반면에 비타민D와 칼륨은 아연의 흡수를 촉진해준다. 그리고, 환경온도가 높으면 땀으로 통한 손실이 많아지고 기생충에 감염 되였을 경우에도 많은 양의 아연이 소실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아연은 흑염소(염소)의 양적 및 질적 성장에 매우 중요한 영양인자이지만 많은 다른 영양소와의 상호작용이 있기 때문에 이 작용을 고려하여 조절 급여하여야 한다.
구리(Cu)의 결핍증상은 동물의 종류와 연령, 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동물에게 있어서 섭취량 부족과 체내 축척량 고갈 및 대사적 길항제와의 상호교호작용 등으로 인하여 Cu가 부족할 수 있는데, 만약 구리가 부족할 경우 다음과 같이 대사과정에 문제가 발생한다. Cu는 성숙한 혈구세포의 필수적인 구성인자로 혈액순환계 내에서 혈구의 생성과 유지에 관여하며 빈혈은 Cu 결핍이 심하거나 오래 동안 지속된 상태의 가축에서 주로 발생한다. 골격의 이상이 발생한다. 구리가 부족하면 골격에 이상 현상이 나타나고 골조세포(骨造細胞)의 기능이 감소하여 골격이상현상이 발생한다. 보행실조증이 발생한다. 구리가 부족한 사료를 급여할 경우 신경장애현상으로 보행에 이상 현상을 나타낸다. 모발 및 양모의 색소침착(색소결핍증) 현상이 일어난다. 각질화가 일어난다. 번식에 영향을 주는데 구리가 결핍되면 배아의 발생초기에 혈구세포와 연결조직에 이상이 생겨 번식력을 상실한다. 이외 심장비대현상 및 소화장기의 상피세포 기능저하로 설사가 일어난다.
하지만, 실제 농가에서 급여하는 사료내 구리의 이용성을 비교해보면 청초내 Cu의 이용성이 가장 낮고, 그 다음이 사일리지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이며 곡류 및 건초에 함유되어 있는 Cu의 이용성이 높다. 아울러, Cu의 흡수 및 축적은 다른 광물질(Fe, Zn, S, Mo)의 함량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축의 Cu요구량은 사료내 존재하고 있는 상기 다른 광물질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좌우되는데 주요 상호작용은 다음과 같다. Cu-Zn 상호작용이다. 즉, 구리는 사료중의 아연의 상호작용에 의해 역의 영향을 받는다. 사료내 높은 수준의 아연은 구리 결핍 증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아연구리의 비율 3:1이 가장 좋다. Cu-Mo 상호작용이다. 사료 중 구리:몰리브덴 비율은 구리 결핍 및 몰리브덴 중독을 예방 해준다. 즉, 2:1~4:1 비율로 급여하면 흑염소(염소)같은 반추동물에서 구리 결핍은 막을 수 있다. 구리-철 상호작용이다. 조사료를 기본으로 한 사료를 섭취하는 반추동물은 고수준의 철에 노출될 수 있다. 고수준의 철을 함유하고 있는 사료를 소에 급여할 경우 혈중 구리 수준을 감소시켜준다. 왜냐하면, 반추위내 있는 황화물은 철분을 황화철(ferrous sulfide)복합물로 만들며 이 복합물이 pH가 낮은 제4위에서 분해된 황화물이 구리를 불용성 복합물로 형성하게 되어 흡수율이 감소하게 된다.
구리-황 상호작용이다. 황은 구리의 생물학적 이용성을 저해한다. 사료 증 황의 수준을 증가시켜주면 염소의 구리 이용성이 30-56%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황(S)이 반추위내에서 황화물로 환원되어 구리를 불용성 황화동(insoluble copper sulfide)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염소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서 염소의 사료에 kg당 황을 0.8에서 2.5g으로 증가시켜준 결과 반추위(제1위)에서 제3위로 수용성 구리의 흐름이 약 50% 감소하였다. 구리-몰리브텐-황 상호작용이다. 사료에 함유되어 있는 황이 황화물로 환원되고 이 물질이 다시 몰리브덴과 작용하여 싸이오몰리브테이트(thiomolybdate)를 형성하고 이 thiomolybdate가 소화기관에서 구리와 결합하여 흡수율을 감소시킨다. 가축에서 thiomolybdate의 형성은 사료 중 황의 수준에 영향을 받는다. 즉, 반추위내 낮은 황화합물에서는 몰리브덴은 구리의 이용성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반추위내 높은 수준의 황화물함량은 구리의 이용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즉, Cu섭취량은 정상적이지만 Mo와 황산염(sulfate)기의 섭취량이 과다하면 역으로 만성적인 Cu 결핍이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Mo 및 SO4 수준도 Cu의 요구량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염소를 방목할 때의 Cu요구량은 우사사육 때의 요구량보다 높게 책정하는데 그 이유는 방목 중인 염소가 섭취하는 목초에 Mo 및 SO4 의 방해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요구량보다 2-3배 증가 급여해야 한다. 따라서, 구리는 가축체내에서 다양한 성장 및 번식 생리 기능에 매우 중한 광물질이지만 실제 사육농가에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특히, 구리는 여러 광물질과 상호 길항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 이와 같은 인자(광물질)들을 고려하여 조절 급여해줘야 한다.
망간(Mn)의 생리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뼈의 형성, 번식 및 신경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며 여러 가지 효소의 활성제로서 이용된다. 주된 결핍증상은 성장부진, 골격형성의 이상, 번식장애 및 지방 및 탄수화물대사 억제한다. 특히, 가축의 번식에 매우 중 요한 영양소로 부족하면 생식기관의 발달이 불완전하여 성성숙 및 발정 지연, 미약발정, 수태율 저하, 불임, 유산, 정충수 감소, 성욕감퇴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 원인은 번식에 관여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또한, 망간은 지방과 콜레스테롤 대사에 광범위하게 관여하여 Mn이 부족하면 간에 지방이 침윤되고 간농양이 발생한다. 또한, 망간이 부족하며 탄수화물의 대사가 억제하며 취장발육부진으로 글루코스의 이용율이 떨어지고 성장이 지연되며 골격형성에 이상이 있어 다리가 뒤틀리고, 발목과 관철이 약해진다.
하지만, 망간은 다른 영양소와의 교호작용이 있는데 망간은 소장에서 흡수되여 장점막을 통해 체내로 이동되는데 이때 망간은 Fe와 Co의 결합부위에서 경쟁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망간을 다량 섭취하며 Fe의 이용율이 저하된다. 아울러, Mn의 이용성은 칼슘에 영향을 받는데 사료 중에 칼슘의 함량이 많으면 망간의 용해도가 감소하여 결핍증상이 더욱 악화된다. 일반적으로, 망간은 곡류의 껍질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나 곡류에는 얼마 함유되어 있지 않아 고에너지사료만을 섭취할 경우 망간이 부족하기 쉽다. 조사료에는 망간이 보통 30mg/kg 함유되어 있어 망간이 부족하며 특히, Ca, P의 급여량이 높은 경우 Mn의 이용율을 저하시키는 길항작용으로 추가 공급이 필요하다. 특히, 임신우의 사료에 Mn이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Mn이 부족하면 골격형성 불량 및 각약증이 발생하는데 각약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망간을 최소한 사료 kg당 50mg 함유한 사료를 급여해야 한다. 아울러, 우리나라 사육농가 대부분인 옥수수위주 사료급여(옥수수 망간 함량 6.1mg/kg) 시 부족하기 쉬워 추가 공급이 필요하나 대부분 농가에서는 이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요오드(I)의 생리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I의 주된 기능은 갑상선호르몬(thyroxine)의 합성으로 I의 체내 대사작용은 다음과 같다. 갑상선호르몬(thyroxine)은 가축의 성장이나 번식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단백질과 지방대사를 촉진시켜주지만 만약 이 호르몬이 과다 분비하게 되면 단백질과 지방의 체내 축적이 억제되어 가축이 여윈다. 염증이 생긴 조직에 I 함량이 정상조직의 함량보다 24-218% 높은데 이 현상은 I가 백혈구와 같이 세균을 죽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한편, 가축에 요오드가 결핍되며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데 갑상선이 붓는 갑상선종(goiterosis)이 발생한다. I의 섭취량이 부족하거나 또는 thyroxine의 요구량이 증가될 경우 이에 필요한 양을 공급하기 위해 갑상선이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져 갑산성종에 걸린다. 임신기간 중에 모축에 급여하는 I가 결핍되면 태어날 새끼가 갑상선종에 걸리게 되며 그 새끼는 아주 악하거나 유산 또는 사산하게 된다, 그리고 불규칙적인 발정이 오며 수태율이 저하되고 분만할 때 후산정체가 많이 생긴다. 젖소 사료중 I가 부족하면 유지율 및 산유량이 저하한다. I가 부족한 사료를 섭취한 유우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고 특히, 케토시스(ketosis)에 걸릴 위험성이 높아진다. I결핍은 토양과 깊은 연관이 있어 토양의 I 함량이 적은 지방에서 많이 발생한다. 아울러, I와 상호교호작용 있는 광물질은 Ca으로 I는 칼슘의 흡수 및 이용성을 증가시켜준다.
코발트(Co)는 단위동물에는 영양적 가치가 크지 않지만 염소와 같은 반추동물에서는 매우 중요한 영양소이다. 반추동물에 코발트가 부족할 경우 코발트를 추가 공급해주면 코발트 결핍증을 예방하고 가축의 생산성이 증가한다. 특히, 비육우에 부족할 경우 1일 두당 3 mg을 추가 공급해주면 증체율, 사료효율 및 도체중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코발트는 생체 내에서 비타민B12의 구성인자 이고 이 비타민B12는 혈색소 형성, 반추동물의 propionate 대사 등에 매우 중요한 생체대사에 관여한다. 한편 단위동물은 코발트로부터 비타민B12의 합성능력이 없기 때문에 코발트의 추가 공급은 의미가 없지만 반추동물은 반추위내 미생물에 의해 코발트로부터 비타민B12가 합성되기 때문에 코발트 급여는 비타민B12 결핍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Co는 결핍하면 식욕부진, 지방간, 사료섭취량 및 체중 감소, 피모가 거칠어지고 산유량이 감소하며 적혈구내 헤모글로빈이 감소하여 빈혈이 일어나고, 양모 생산량이 감소하며 번식장애(성성숙 지연) 및 태아의 정상적인 발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산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사료로 공급되는 코발트의 량이 부족할 경우 코발트를 추가 공급해주면 가축의 생산 활동이 원활해진다. 그러나, 과도하게 급여할 경우 중독현상이 있어 식욕부진, 체중감소, 빈혈증의 증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적정 수준으로 급여해줘야 한다. 아울러, 코발트는 적혈구의 혈색소 합성과정에 비타민B12와 Cu 및 Fe의 상호작용을 하는데 철과 상호 흡수를 억제하며 Zn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Zn의 급여량에 따라 Co 급여량을 조절해줘야 한다.
가축에서 셀레늄(Se)의 영양적 대사기능은 다음과 같다. 세포의 중요한 구성성분들이 산화적 손실을 당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효소인 glutathione peroxidase(GSH-Px)의 구성성분으로 작용하며 GSH-Px는 세포막을 공격하는 과산화물(peroxide)를 제거하여 세포막 파괴를 막아주고 비타민E는 세포막에서 세포막 지방의 연쇄적 자가산화(連鎖的自家散花)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CA회로의 산화과정에 관여하는데 Se와 비타민E는 succinate의 대사작용에 공동으로 작용한다. 다른 독성물질, 즉 As, Cd, Hg 등 중독성 광물질과 결합하여 그 중독수준을 낮춰준다. 또한, 항산화작용으로 동물의 번식과 성장 그리고 여러 가지 질병 방지에 필수적이다. 아울러, 부족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송아지, 어린양에 부족하면 영양성근육위축증(營養性筋肉萎縮症, nutritional muscular dystrophy) 또는 근육백화증(筋肉白化症, white muscle disease)에 걸리게 되는데 이병에 걸리면 횡문골격근과 심장근이 퇴화(백색화)되면서 근육이 경직되고 보행이 불안정하고, 등이 구부러지고, 움직이기 싫어하고, 원기부족, 쇄약하여 결국 폐사한다.
Se가 부족하면 설사를 하게 되는데 설사 때문에 성장이 지연되고 체중이 감소 한다. Se가 부족하면 수태율이 저하되고 임신초기에는 태아가 유산되기도 하며 새끼가 사산되거나 허약하고 난소낭종 및 자궁내막염, 후산정체 등이 생긴다. 물론, 과도하게 급여하여 중독이 되면 무기력, 표피가 거칠음, 자리가 절룩거림, 타액분비 과다, 식욕부진, 체중감소, 사료섭취량감소,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Se의 이용율은 사료 중 S의 함량에 따라 달라지는데 S의 함량이 높으면 낮을 때보다 이용성이 떨어진다. 즉, 셀레늄-황은 상호 길항작용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셀레늄 함량이 낮은 임신한 암염소에 황을 추가급여 한 결과 태어난 어린 염소의 근육백화증(white muscle disease)발생이 증가하였다. 한 예를 보면, 면양에서도 사료 kg당 황의 수준을 2.2g에서 4g으로 증가시켜주면 간 및 반추위 미생물내 셀레늄 농도가 감소한다. 이 원인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셀레늄과 황은 비슷한 화학적 특성이 경쟁적으로 상호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Co, Cu등의 광물질과도 상호작용 하는데, 특히 셀레늄은 비타민E와 상호관계가 있다. 또한, 셀레늄과의 상호작용을 하는 광물질은 요오드(I)다. 셀레늄은 thyroxin (T4)으로 전변하는 thyroxin 5'-deiodinase 효소의 구성 성분으로 작용한다. 요오드 단독 부족에 의해 나타내는 갑산성종(goiters)보다 셀레늄이 부족하면 thyroid feedback-control system를 파괴하여 더 큰 갑산성종(goiters)을 일으킨다.
소금(NaCl)은 Na의 급여원으로 Na의 생리적 기능은 세포의 삼투압을 조절하여 산-염기 균형에 관여하며 아미노산, 글루코스 및 담즙산의 흡수과정에 관여한다. 소금의 추천량은 섭취하는 사료의 건물함량의 0.25-0.5%이지만 Na은 일반적으로 조사료에는 매우 부족하여 특히, 흑염소(염소)와 등과 같이 산야초지에 방목을 주로 하는 경우에는 소금의 추가 공급이 필요하다. 만약, 가축이 Na가 부족하며 여러 가지 물건을 씹는 행동을 하게 되며 식욕이 줄고, 걸음거리가 불안정하며 털에 윤기가 없어서 엉성하게 되며 체중이 감소하게 되고, 비유중인 젖소인 경우 산유량이 감소한다. Na는 Zn과 Mn과 상호 길항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아연과 망간에 영향을 준다.
비타민A는 가축에서 시력유지, 생식기능 유지(특히, 번식), 골격의 성장 조절 및 성장에 관여하는 반드시 필요한 영양물질이다. 이 비타민A는 특히, 지용성비타민과 상호작용을 가지고 있다. 즉, 이들 지용성비타민이 상호 흡수와 운반에 장애를 초래하는데 과잉의 비타민A 섭취는 비타민D와 E, K의 결핍을 유발할 수 있으며 또한, 과잉급여 경우 증상은 빈혈, 골격성장저해, 선천성기형, 피부병변이 일어난다. 따라서, 비타민A : 비타민D의 비율은 5:1이상은 유지해줘야 한다.
비타민D는 소장에서 칼슘 및 인의 흡수를 촉진하고 골격에 저장되어 있는 칼슘과 인을 동원하고 신장에서 칼슘 또는 인(P)의 재흡수를 증가시키는 등 칼슘과 인의 대사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다. 비타민D가 부족하며 구루병, 골다공증, 골격이상, 식욕감퇴, 성장 및 사료효율 감소, 생식기능 저하 등의 임상증상을 나타나며 과잉급여 경우 식욕감퇴, 구토, 다뇨, 신장기능 저하 중상이 나타날 수 있다.
비타민E는 셀레늄과의 상호 작용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Se은 비타민E의 절약효과를 가지고 있다. 비타민E는 생체인지질과산화(生體燐脂質過酸化)에 대항하는 첫 방어선이고 Se는 GSH-Px의 구성물질로서 이미 형성된 과산화물이 세포막의 손상을 초래하기 전에 파괴시키는 2차 방어선으로 작용하며 갑상선의 정상적인 기능에 관여한다. 아울러 비타민E는 비타민A, Fe, 비타민D3, Mg, Mn 등과도 상호작용이 있다. 비타민E가 결핍되면 영양성근육위축, 불임, 번식불량, 부종, 피부병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과잉인 경우 성장지연, 혈액응고시간 지연 등의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트윈80(Tween80)은 계면활성제로 반추동물의 반추위내 서식하고 있는 반추미생물이 함유하고 있는 섬유소분해효소 분비를 촉진시켜 반추동물이 섭취한 조사료(풀)의 소화율을 개선시켜 준다. 수컷 염소 비육에 많이 발생하는 요결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료 중 인의 함량을 줄이고 칼슘과 과인의 비율을 2.0:1~2.5:1 으로 유지하는 것이 요결석을 예방할 수 있는 핵심이다. 또한, 미네랄 블록이나 소금을 자유 채식할 수 있도록 하면 물 섭취량이 증가하여 요결석을 예방 할 수 있다. 아울러, 비타민A를 추가해주고 염화암모늄을 비육기간에 급여하면 요결석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추동물에 광물질과 비타민은 성장, 번식 및 질병예방에 중요한 영양소이지만 이들 영양물질 간에는 매우 복잡한 촉진 및 길항작용을 가지고 있어 실제 사료회사 및 사육농가에서 이를 고려한 적정 영양소 요구량을 급여하기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들 영양소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농가에서 손쉽게 흑염소(염소)가 자유롭게 핥아 먹을 수 있는 미네랄-비타민 복합 블록을 제공한다. 아울러, 이러한 미네랄-비타민 복합 블록은 장시간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제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습도, 일교차, 계절, 타액 등에 견딜 수 있는 일정 이상 강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한 결착제로 트윈80(tween80), 산화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고령토, 석회석(CaO), 지오라이트, 전분, 글루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성분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소금 및 고령토를 혼합한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1, 상기 제1 혼합물에 액상의 트윈80을 혼합한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염화마그네슘을 물에 녹인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3, 상기 용액의 1/3 내지 1/2 양만큼의 용액을 상기 제2 혼합물과 혼합한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용액의 나머지인 1/2 내지 2/3 양만큼의 용액에 산화마그네슘을 넣고 혼합한 혼합 용액을 상기 제3 혼합물에 첨가하여 제4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5, 상기 제4 혼합물에 마그네슘, 아연, 망간, 구리를 넣어 혼합한 제5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6, 상기 제5 혼합물에 코발트, 요오드, 셀레늄, 비타민A, 비타민D, 비타민E를 넣어 혼합한 제6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7, 및 상기 제6 혼합물을 블록 형상으로 제조하는 단계 8로 수행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칼슘(Ca), 마그네슘(Mg), 아연(Zn), 구리(Cu), 망간(Mn), 요오드(I), 코발트(Co), 셀레늄(Se), 비타민A, 비타민D, 비타민E, 트윈80(Tween80), 소금(Nacl), 염화암모늄(NH4Cl)을 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결착제를 성분으로 더 포함하는데, 상기 결착제는 산화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고령토가 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령토는 규산염 광물질로서 제올라이트(Zeolite), 벤토나이트(Bentonite), 카올린(Kaoline)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료 첨가제로서 가축에 대한 급여 효과는 장내 과잉수분을 흡수한 경우 연변(軟便)을 방지하고 사료의 장내통과시간을 지연시켜 소화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가축의 평균체중, 사료요구율을 향상시키고, 장내에 흡수되어 소화 흡수율을 도와 가축 성장에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칼슘(Ca) 2 내지 4 중량%, 마그네슘(Mg) 0.5 내지 5 중량%, 아연(Zn) 0.1 내지 0.5 중량%, 구리(Cu) 0.045 내지 0.18 중량%, 망간(Mn) 0.1 내지 0.4 중량%, 요오드(I) 0.002 내지 0.015 중량%, 코발트(Co) 0.001 내지 0.01 중량%, 셀레늄(Se) 0.001 내지 0.012 중량%, 비타민A 3 내지 12 중량%, 비타민D 0.6 내지 2.4 중량%, 비타민E 0.03 내지 0.15 중량%, 트윈80(Tween80) 1 내지 3 중량%, 소금(Nacl) 50 내지 96 중량%, 염화암모늄(NH4Cl) 1.5 내지 3 중량%. 및 결착제 5 내지 20 중량%를 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착제 5 내지 30 중량%는, 산화마그네슘 2 내지 5 중량%, 염화마그네슘 5 내지 9 중량%, 고령토 4 내지 20 중량%의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공정과 유사한 공정의 수행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블록형 사료 조성물은 사료 통 옆에 설치하여 반추가축이 생리적으로 섭취할 욕구가 생기면 핥아먹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을 반추동물이 섭취할 경우 가축의 항균력, 증체율 및 사료 효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에 따라 제조된 미네랄-비타민 상호 교호작용을 고려한 암컷 및 육성 염소(흑염소)용 미네랄-비타민 블록의 성분은 표 1과 같다.
원료명 100g당 성분함량
Mg(g) 3g
Zn(mg) 300mg
Mn(mg) 290mg
Cu(mg) 90mg
Co(mg) 1.5mg
I(mg) 4mg
Se(mg) 1.0mg
비타민A(IU) 6,000IU
비타민D(IU) 1,200IU
비타민E(mg) 70mg
Tween80(g) 1.5g
소금 71.7g
결착제 24g
본 발명의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에 따라 제조된 미네랄-비타민 상호 교호작용을 고려한 비육 수컷 염소(흑염소)용 미네랄-비타민 블록의 성분은 표 2와 같다.
원료명 100g당 성분함량
Ca 2g
Mg(g) 3g
Zn(mg) 150mg
Mn(mg) 120mg
Cu(mg) 60mg
Co(mg) 3mg
I(mg) 2.5mg
Se(mg) 1mg
비타민A(IU) 3,000IU
비타민D(IU) 600IU
비타민E(mg) 30mg
Tween80(g) 1.5g
염화암모늄(g) 1.5g
소금(g) 68.7g
결착제 24g
<실시예 1: (흑)염소용 미네랄-비타민 블록 급여가 건초 in situ 건물분해율>
표 3은 동일한 조사료원을 가지고 행해진 In situ 건물 분해율 시험 결과로 대조구에 비해 건물소화율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섬유소 분해효소의 역가 증가가 곧바로 조사료의 분해율을 높여 주고 소화되는 양을 증가시켜 영양소의 이용율을 높여주고 있음을 보여 준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2: (흑)염소용 미네랄블록 급여가 볏짚 및 알팔파 건초의 in vitro 소화율>
표 4는 (흑)염소용 미네랄블록 급여가 볏짚 및 알팔파 건초 소화율를 비교 조사한 결과로 대조구에 비해 24시간 및 72시간 소화율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ure pat00002
<실시예 3: (흑)염소용 미네랄블록 급여가 사료섭취량 및 섬유소 소화율>
표 5는 (흑)염소용 미네랄 블록 급여가 사료섭취량 및 섬유소 소화율 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그 결과, 대조구에 비해 섬유소소화율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분 대조구 Tween 80
건물 61.47 63.92
유기물 61.61 64.36
셀루로즈 55.17 59.63
헤미셀루로즈 54.03 58.74
<실시예 4: Tween80 급여가 가축의 분변 배설량>
표 6은 가축에 Tween80을 급여한 후 분변 배설량을 조사한 결과로 대조구에 비해 Tween80 급여 시 분변 발생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급여하는 사료의 소화율이 개선되고 아울러 분변 배설량 감소로 환경적으로 상당히 의미 있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 T1: Tween80 미급여
* T2: Tween80 급여 후 2주
* T3: Tween80 급여 중단 후 2주
<실시예 5: 암컷 염소에 (흑)염소용미네랄 블록 급여 시 성장 및 번식 반응>
표 7은 암컷 염소에 (흑)염소용 미네랄 블록이 성장 및 번식에 미치는 영향 시험 결과로 대조구에 비해 임신한 개체수 및 새끼수가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분 무첨가 미네랄블록
발정개체 수 비율 86.7 96.7
임신개체 수 비율 96.3 96.7
분만개체 수비율 100 100
새끼수 비율 115.4 148.1
<실시예 6: 암컷 염소에 (흑)염소용 미네랄 블록 급여시 분만 60일 후 새끼의 성장 비교>
표 8은 암컷 염소에 (흑)염소용 미네랄블록 급여가 분만 60일 후 새끼의 성장을 비교 시험 결과로 대조구에 비해 60일 후 체중 및 일당 증체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분 무첨가 미네랄블록
태어난자 새끼 수 30 40
생시체중(kg)
  -수 4.0±0.18 4.2±0.20
  -암 3.7±0.23 3.9±0.34
60일 후 육성 수 29 38
60일 후 체중
  -수 21.2±0.51 23.5±0.63
  -암 19.4±0.60 21.8±0.58
60일 동안 일당 증체량
  -수 286.7±8.96 321.7±10.76
  -암 261.7±9.44 298.3±9.76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마그네슘(Mg), 아연(Zn), 구리(Cu), 망간(Mn), 요오드(I), 코발트(Co), 셀레늄(Se), 비타민A, 비타민D, 비타민E, 트윈80(Tween80), 소금(Nacl)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마그네슘(Mg) 0.5 내지 5 중량%, 아연(Zn) 0.1 내지 0.5 중량%, 구리(Cu) 0.045 내지 0.18 중량%, 망간(Mn) 0.1 내지 0.4 중량%, 요오드(I) 0.002 내지 0.015 중량%, 코발트(Co) 0.001 내지 0.01 중량%, 셀레늄(Se) 0.001 내지 0.012 중량%, 비타민A 3 내지 12 중량%, 비타민D 0.6 내지 2.4 중량%, 비타민E 0.03 내지 0.15 중량%, 트윈80(Tween80) 1 내지 3 중량%, 소금(Nacl) 50 내지 96 중량%, 및 결착제 5 내지 30 중량%를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제 5 내지 30 중량%는, 산화마그네슘 2 내지 5 중량%, 염화마그네슘 5 내지 9 중량%, 고령토 4 내지 20 중량%의 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소금 및 고령토를 혼합한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에 액상의 트윈80을 혼합한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염화마그네슘을 물에 녹인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용액의 1/3 내지 1/2 양만큼의 용액을 상기 제2 혼합물과 혼합한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액의 나머지인 1/2 내지 2/3 양만큼의 용액에 산화마그네슘을 넣고 혼합한 혼합 용액을 상기 제3 혼합물에 첨가하여 제4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4 혼합물에 마그네슘, 아연, 망간, 구리를 넣어 혼합한 제5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5 혼합물에 코발트, 요오드, 셀레늄, 비타민A, 비타민D, 비타민E를 넣어 혼합한 제6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6 혼합물을 블록 형상으로 제조하는 단계
    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
  5. 칼슘(Ca), 마그네슘(Mg), 아연(Zn), 구리(Cu), 망간(Mn), 요오드(I), 코발트(Co), 셀레늄(Se), 비타민A, 비타민D, 비타민E, 트윈80(Tween80), 소금(Nacl), 염화암모늄(NH4Cl)을 성분으로 포함하는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칼슘(Ca) 2 내지 4 중량%, 마그네슘(Mg) 0.5 내지 5 중량%, 아연(Zn) 0.1 내지 0.5 중량%, 구리(Cu) 0.045 내지 0.18 중량%, 망간(Mn) 0.1 내지 0.4 중량%, 요오드(I) 0.002 내지 0.015 중량%, 코발트(Co) 0.001 내지 0.01 중량%, 셀레늄(Se) 0.001 내지 0.012 중량%, 비타민A 3 내지 12 중량%, 비타민D 0.6 내지 2.4 중량%, 비타민E 0.03 내지 0.15 중량%, 트윈80(Tween80) 1 내지 3 중량%, 소금(Nacl) 50 내지 96 중량%, 염화암모늄(NH4Cl) 1.5 내지 3 중량%. 및 결착제 5 내지 20 중량%를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제 5 내지 30 중량%는, 산화마그네슘 2 내지 5 중량%, 염화마그네슘 5 내지 9 중량%, 고령토 4 내지 20 중량%의 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블록 형상으로 제조되어 염소 또는 흑염소에게 급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동물용 사료 조성물.
KR1020160154421A 2016-11-18 2016-11-18 광물질과 비타민을 포함하는 반추동물 사료 조성물 KR20180056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421A KR20180056298A (ko) 2016-11-18 2016-11-18 광물질과 비타민을 포함하는 반추동물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421A KR20180056298A (ko) 2016-11-18 2016-11-18 광물질과 비타민을 포함하는 반추동물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298A true KR20180056298A (ko) 2018-05-28

Family

ID=6245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421A KR20180056298A (ko) 2016-11-18 2016-11-18 광물질과 비타민을 포함하는 반추동물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629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459A (ko) * 2018-11-16 2020-05-26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
KR20200112183A (ko) 2019-03-21 2020-10-05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장용제피로 코팅된 산화구리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성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EP3949748A4 (en) * 2019-04-01 2022-12-21 Lipidos Toledo, S.A. SUPPLEMENT FOR USE IN ANIMAL FEED
KR20220169011A (ko) 2021-06-17 2022-12-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카르니틴, 비타민 b군, 비타민 e, 셀레늄, 및 글리세린을 이용한 케토시스 치료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459A (ko) * 2018-11-16 2020-05-26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추동물의 산독증 예방용 완충제 조성물
KR20200112183A (ko) 2019-03-21 2020-10-05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장용제피로 코팅된 산화구리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성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EP3949748A4 (en) * 2019-04-01 2022-12-21 Lipidos Toledo, S.A. SUPPLEMENT FOR USE IN ANIMAL FEED
KR20220169011A (ko) 2021-06-17 2022-12-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카르니틴, 비타민 b군, 비타민 e, 셀레늄, 및 글리세린을 이용한 케토시스 치료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29991C (zh) 仔猪断奶饲料
CN101242874A (zh) 25-羟基维生素d3用于改善雄性动物生育力的用途
TWI448248B (zh) 25-羥基維他命d3於改善動物生命力之用途
US20170000805A1 (en) Food supplementation composition containing one or more vitamin d3 compounds and one or more magnesium salts
KR20180056298A (ko) 광물질과 비타민을 포함하는 반추동물 사료 조성물
US20190223469A1 (en) Use of nitrate for improving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monogastric mammals
CN108771007A (zh) 提高雄性宠物繁殖性能的添加剂、饲料及制备方法
KR20180133664A (ko) 함초를 포함한 반추가축용 보조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aha et al. Mineral nutrition
Bailey Mineral supplements for beef cattle
CN101336077B (zh) 25-羟基-维生素d3用于改善动物生命力的用途
Hart Meat goat nutrition
WO2001091577A1 (fr) Aliment solide et prevention des maladies des onglons chez les bovins
Schmidt et al. Nutrition of ruminants
Ward et al. Beef cattle mineral nutrition
Gurung et al. Feeding and nutrition
HUNTINGTON et al. Nutritional management of mares—the foundation of a strong skeleton
Kubkomawa Nutrient requirements of livestock for sustainable productivity in tropical Africa: a review
JP5864807B1 (ja) 乳牛用飼料及び飼育方法
Annicchiarico et al. Dietary intake of vitamins and minerals, and water requirements.
Suttle Sulfur.
CN109221715A (zh) 一种用于天府肉猪后备母猪围产期的配合饲料及制备方法
RU2729387C1 (ru)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для молодняка овец
Stafrace Nutritional Diseases of Camelid Species: Literature Review
Bordun et al. Innovative approaches in the formation of compound feed recipes for decorative birds and singing birds and technology of compound feed production for t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