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955A -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955A
KR20180055955A KR1020160152588A KR20160152588A KR20180055955A KR 20180055955 A KR20180055955 A KR 20180055955A KR 1020160152588 A KR1020160152588 A KR 1020160152588A KR 20160152588 A KR20160152588 A KR 20160152588A KR 20180055955 A KR20180055955 A KR 20180055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entrance
sterilizing
sterilization
disinf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5736B1 (ko
Inventor
서태일
이가형
이영석
김용진
김종우
이상돈
박주왕
이소라
권오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Priority to KR1020160152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73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5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를 가열하여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이용해 살균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소독 대상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살균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측에 마련되며, 외부에서 진입하는 진입공간을 제공하는 진입모듈;타측에 마련되며, 외부로 진출하는 진출공간을 제공하는 진출모듈;상기 진입모듈과 진출모듈 사이에 설치되되 진입모듈과 통하는 입구 및 진출모듈과 통하는 출구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살균수단이 설치된 살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진입모듈과 진출모듈에는 사람의 진,출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고,상기 살균수단은, 살균모듈 안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로 마련되며, 진입모듈 및 진출모듈의 감지센서 감지동작을 통해 ON/OFF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A sterilizing device with automatic detecting sensor}
본 발명은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독 대상의 자동감지를 통해 모듈안의 공기를 자동으로 가열하고 그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이용해 소독 대상에 대한 살균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신종 인플루엔자나, 가축 전염병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축산 농가에서도 사람이나 차량 등을 살균 소독할 수 있는 살균 소독장치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첨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돼지를 감염원으로 하는 신종 인플루엔자는 사람까지도 감염되는 바이러스로 변종되어 많은 사람에게 감염되고 있는 실정이며, 강한 감염성으로 인해 많은 사상자를 낳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도 조류 인플루엔자나 구제역과 같은 가축 전염병의 발생으로 인하여 많은 가축들이 살처분됨으로 인하여 축산농가의 피해뿐만 아니라 국민 식생활, 농어촌 경제에도 많은 악영향을 발생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현재 감염성 질병이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감염성 질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거나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 방역이 실시되고 있다.
차단 방역(Biosecurity)이란 넓은 의미에서 질병으로부터의 자유 혹은 생명체의 안전 유지를 뜻하며 또다른 의미로 전염병, 기생충, 해충의 전파를 방역하는 것으로 정해진 구역 안에서 모든 생물체의 출입을 제한함으로써 질병의 전염을 예방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차단 방역을 통하여 질병으로부터 동물을 보호함으로써 동물 복지에 기여할 수 있으며 질병 발생에 따른 경제적인 큰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한 차단 방역을 위해 살균 소독장치의 설치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살균소독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의 예로는, 각종 감염성 질병이 발생한 농장지역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공장, 병원 등이 있다.
농장 출입구에 설치된 살균 소독 장치는, 연막소독, 광촉매 램프, 자외선 소독 등의 수단을 이용하며, 이 외에도, 사람이 터널 형태의 소독실을 통과하는 동안 분무 노즐에서 분무되는 소독 약품을 이용하여 사람을 소독하거나 또는 오존을 발생하여 소독을 진행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살균소독장치는 소독액에 사람의 신체 부위가 골고루 노출되기 어려워 철저한 소독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소독액이 신체 외부에만 분사되는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신체 외부의 멸균 효과는 보일 수 있으나, 인체 내부, 예컨대 옷틈새, 귓속, 콧속 등 곳곳에 존재할 수도 있는 병원인자들에 대해서는 멸균 효과가 미미하여 전염병 예방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소독액을 인체에 분사하거나 자외선을 인체에 방출시키는 경우의 소독방법은 인체에 유해할 수 있으므로, 사람들이 소독을 기피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26348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독 대상의 자동 감지를 통해 소독실 내부의 공기를 자동으로 가열하여 인체의 내,외부 곳곳에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노출시킴으로써,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병원균 멸균에 대한 효율성을 높인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에 마련되며, 외부에서 진입하는 진입공간을 제공하는 진입모듈;타측에 마련되며, 외부로 진출하는 진출공간을 제공하는 진출모듈;상기 진입모듈과 진출모듈 사이에 설치되되 진입모듈과 통하는 입구 및 진출모듈과 통하는 출구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살균수단이 설치된 살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진입모듈과 진출모듈에는 사람의 진,출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살균수단은, 살균모듈 안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로 마련되며, 진입모듈 및 진출모듈의 감지센서 감지동작을 통해 ON/OFF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가열장치는 세라믹 히터, 원적외선 튜브 히터, 오일(oil) 버너, 수소연료전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세라믹 히터 또는 원적외선 튜브히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열장치는 원적외선 튜브 히터, 오일(oil) 버너, 수소연료전지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고, 살균모듈의 하부에는 상기 가열장치가 설치된 가열실이 마련되며, 상기 살균모듈의 바닥판은 가열실과 통하는 복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살균모듈의 입구와 출구에는 각각, 진입모듈 및 진출모듈을 개폐하는 기밀유지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기밀유지도어는 살균모듈안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거나, 살균모듈의 살균모드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입모듈에는, 살균모듈 진입 전,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오나이저 및 에어 샤워 장치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입모듈, 살균모듈, 진출모듈은 탈착수단을 통해 서로 탈착될 수 있는 분리형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진입모듈, 살균모듈, 진출모듈이 설치되기 위한 베이스 패널이 마련되고,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베이스 패널의 일단부에 형성된 스토퍼홈;성기 베이스 패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부;상기 진입모듈, 살균모듈, 진출모듈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홈부를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편;상기 베이스 패널의 맨외측에 배치되는 모듈에 축 결합되며,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베이스패널의 스토퍼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구속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살균수단으로서 소독액과 같은 약품이 아닌 대기 중의 공기를 가열하여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이용함으로써 살균 소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공기 흡입 및 신체 내,외부 곳곳으로 고온의 공기가 거부가 없이 스며들게 할 수 있으므로, 살균 소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둘째, 자동 감지센서를 이용해 소독 대상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살균 소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살균 소독 작업에 대한 편의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느 효과가 있다.
셋째, 각 모듈이 탈착 가능한 분리형으로 제공됨으로써, 운반 및 설치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가 동작되는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이하, '살균 소독장치'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살균 소독장치는 공기를 가열하여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이용해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인체에 무해한 공기를 이용해 인체의 외부 뿐만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부위까지도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독에 따른 살균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소독 과정에서 사람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살균 소독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를 통해 일련의 살균 소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감지센서(100)와, 제어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100)는 진입모듈 감지센서(110)와 진출모듈 감지센서(120)로 구성된다.
진입모듈 감지센서(110)는 살균 소독장치 내로 소독 대상 진입여부를 감지하고, 진출모듈 감지센서(120)는 살균 소독장치로부터 소독 대상 진출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제어부(200)는 상기한 감지센서(100)를 통해 소독 대상의 출입을 감지하여 일련의 살균 소독을 위한 제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균 소독장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살균 소독장치는 진입모듈(300)과, 진출모듈(400)과, 살균모듈(500)과, 상기한 감지센서(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진입모듈(300)은 살균 소독 대상에 대한 본 살균 작업이 이루어지기 전, 외부에서 소독 대상이 살균 소독장치 내부로 진입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살균 모듈(500)로 진입하기 전 거쳐가는 초입(初入)에 해당하는 공간이다.
진입모듈(300)은 살균 소독장치의 일측을 구성하며, 외부와 통하는 진입도어(310)가 설치된다.
이때, 진입모듈(30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320)과, 1차 살균수단(330)이 설치된다.
조명등(320)은 진입모듈(300) 내부 공간이 차폐되어 있기 때문에, 진입모듈(300) 내부를 밝히는 구성이며, 진입모듈(300) 내부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1차 살균수단(330)은 살균 모듈(500)에서의 본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기 전, 1차로 살균 소독을 실시하는 역할을 하며, 소독 대상에 묻은 이물질 등을 털어내는 수단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살균수단(330)은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지만, 이오나이저(Ionizer) 및 에어 샤워 장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기 전, 1차 살균 수단(330)을 이용해 살균 소독을 미리 함으로써 본 살균 소독 작업시 살균 소독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진출 모듈(400)은 살균 모듈(500)을 통해 본 살균 소독이 완료된 후, 사람이 외부로 진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외부로 나가기 전 거쳐가는 출구에 해당하는 공간이다.
진출모듈(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 소독장치의 타측을 구성하며 외부와 통하는 진출도어(410)가 설치된다.
상기 진출모듈(400)에도 조명등(420)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살균모듈(500)은 진입모듈(300)을 통해 진입한 소독 대상을 2차 살균 즉, 본 살균 소독하는 공간이며, 진입모듈(300)과 진출모듈(400) 사이에 설치된다.
살균모듈(500)의 양측에는 각각, 진입모듈(300)과 통하는 입구(510)가 형성되고 진출모듈(400)과 통하는 출구(520)가 형성된다.
또한, 살균모듈(500)의 벽체는 외부로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세라믹 단열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살균모듈(500)은 살균수단(530)과, 기밀유지도어(540)와, 환기부(550)와, 컨트롤부(560)와, 편의장비(5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살균수단(530)은 진입모듈(300)에서 1차 살균을 마친 소독 대상을 2차로 본 살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살균모듈(500) 내의 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장치로 마련된다.
즉, 가열장치(530)를 통해 살균모듈(500) 내의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시키고, 가열된 고온을 이용해 사람의 인체 내,외부 곳곳에 침투되도록 하여 살균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살균은 물론 인체에 무해하여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는 동안 사람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530)는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세라믹 히터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세락믹 히터는 세라믹 코팅된 발열부에 열선을 감아 발열하는 것으로서,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있으며, 내열성이 강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히터에서 방출 하는 원적외선이 인체에 깊숙이 침투하여 살균 소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장치(530)는 공기 온도를 빠른 시간안에 높일 수 있도록 살균모듈(500) 내의 하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밀유지도어(540)는 살균모듈(500)의 양측에 마련된 입구(510)와 출구(520) 각각에 설치되며, 진입모듈(300)로부터 살균모듈(500)을 개폐시키고 살균모듈(500)로부터 진출모듈(400)을 개폐시킨다.
이때, 기밀유지도어(540)는 살균모듈(500) 공간의 데워진 공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진입도어(310)와 진출도어(410)는 단순도어로 제공되더라도, 살균모듈(500)의 공간을 개폐하는 기밀유지도어(540)는 씰링수단이 마련된 도어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기밀유지도어(540)는 일방향으로만 개방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살균소독을 위해 진입모듈(300)로부터 진출모듈(400)까지 일방향으로만 진입할 수 있도록 하여, 일련의 소독과정에 있어서 혼선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살균모듈(500)의 입구(510)에 설치된 기밀유지도어(540)는 진입모듈(300)에서만 개방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살균모듈(500)의 출구(520)에 설치된 기밀유지도어(540)는 살균모듈(500)에서만 개방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때, 기밀유지도어(540)는 수동으로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전자식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200)에 기설정된 환경(예컨대 살균모듈 내부 온도)에 의해, 기 설정된 환경값에 만족할 경우 기밀유지도어(540)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환기부(550)는 살균모듈(500) 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하며, 살균모듈(500)의 천장에 설치된다.
환기부(550) 작동은 살균 소독이 모두 완료된 후에 작동되며, 자동으로 작동되거나 관리자에 의해 임의로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부(560)는 살균모듈(500) 내의 온도 조절 및 시간 설정에 대한 값을 입력하는 구성이며, 살균모듈(500) 내의 일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살균 소독을 위한 살균 온도 및 살균 시간은 발생한 병원균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 있는데, 컨트롤부(560)는 각 병원균을 살균하기 위한 최적의 온도 및 살균 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구제역 바이러스는 56℃의 열에서 30분, 72℃의 열에서 12초, 76℃의 열에서 7초 동안 노출시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AI 바이러스는 70℃의 열에서 30분, 75℃의 열에서 5분, 80℃의 열에서 1분 동안 노출시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병원균 종류에 따라 컨트롤부(560)를 통해 설정 온도 및 살균 시간을 입력하여 최적의 살균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편의장비(570)는 살균모듈(500)에서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는 동안, 소독 대상 즉, 사람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의자(570)는 살균모듈(500)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접이식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감지센서(100)는 살균 소독장치로의 소독 대상 진,출입을 감지하며, 진입모듈(300) 및 진출모듈(400)에 각각 설치된다.
감지센서(100)는 진입도어(310) 및 진출도어(410)의 회동을 감지하여 소독 대상의 진,출입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거나, 진입모듈(300) 및 진출모듈(400)에 들어온 소독 대상을 직접 감지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살균 소독장치의 살균 소독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살균 소독장치가 마련되고 각종 감염 질병이 발생한 농장 지역 또는 기타 병원이나 식품공장 등의 수요처 출입지역에 설치된다.
이후, 소독 대상이 진입모듈(300)의 진입도어(310)를 개방하고 진입모듈(300) 내로 진입한다.
이때, 진입모듈 감지센서(110)는 소독 대상을 감지하고, 제어부(200)는 진입모듈 감지센서(110)의 감지를 통해 조명등(420)을 발광시킨다.
또한, 1차 살균수단(330)인 이오나이저 및 에어 샤워가 가동되면서 진입모듈(300) 내로 진입한 소독 대상에 대한 1차 살균 소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1차 살균 소독이 시작됨과 동시에, 제어부(200)는 살균모듈(500)의 가열장치(530)를 가동시킨다.
이는, 1차 살균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살균 모듈(500) 내의 공기를 미리 가열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살균모듈(500) 내의 가열 온도는 기 설정된 감염성 질병 항목에 대응되는 온도로 설정된 상태이며, 기 설정된 온도에 이를 때까지 살균모듈(500)의 입구(510) 및 출구(520)에 설치된 기밀유지도어(540)는 제어부(200)에 의해 잠긴 상태이다.
즉, 살균모듈(500) 내의 온도가 일정온도에 이르기 전까지, 소독 대상은 진입모듈(300)에서 살균모듈(500)로 이동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후, 살균모듈(500) 내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이르면, 제어부(200)는 이를 감지하여 입구(510)측 기밀유지도어(54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킨다.
이후, 1차 살균이 완료된 소독 대상은 입구(510)를 통해 살균모듈(500) 내로 진입한다.
이후, 사람은 정해진 시간동안 의자에 앉아 신체 곳곳을 고온의 공기에 노출시키면서 2차 살균 소독을 실시한다.
이때, 고온의 공기는 신체의 외부 뿐만 아니라, 신체의 내부 곳곳에 침투될 수 있으므로 살균 소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후, 정해진 시간 동안의 살균 소독이 완료되면, 제어부(200)는 출구(520)측의 기밀유지도어(540) 잠금을 해제시킨다.
이후, 2차 살균 소독이 완료된 사람은 기밀유지도어(540)를 열고 진출모듈(400)로 나간다.
이때, 진출모듈 감지센서(120)는 소독 대상을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하여금 조명등(420)을 발광시키게 한다.
이후, 사람은 진출도어(410)를 개방하고 외부로 나오게 된다.
한편, 진출모듈 감지센서(120)는 진출모듈(400)로부터 소독 대상이 빠져나간 것을 감지하며, 제어부(200)는 진출모듈 감지센서(120)의 신호를 수신하여 장비 가동을 종료시킨다.
이때, 소독 대상이 진출모듈(400)로부터 빠져나간 순간, 제어부는 장비 가동 종료와 동시에 환기부(550)만 작동하여 살균모듈(500) 내를 자동으로 환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고온의 공기를 이용한 일련의 살균 소독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한 살균 소독장치를 구성하는 가열장치는 원적외선 튜브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에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은 가열장치에 있는바, 상기 가열장치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살균이 이루어지기 위한 살균 모듈이 마련되고, 살균모듈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밀유지도어를 통해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기밀유지도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닫이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살균모듈(500)의 하부에는 살균모듈(500) 내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실(500a)이 마련된다.
이때, 가열실(500a)과 살균모듈(500)의 내부는 바닥판(501)을 통해 구획되며, 상기 바닥판(501)은 가열실(500a)과 통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살균모듈(500) 하방의 가열실(500a)로부터 바닥판(501)을 통해 온기가 살균모듈(50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가 위함이다.
상기 바닥판(501)의 구성은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지만, 그레이팅(grating)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가열장치(530)는 살균모듈(500) 내의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시키고, 가열된 고온을 이용해 사람의 인체 내,외부 곳곳에 침투되도록 하여 살균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열장치(530)는 가열실(500a)에 마련되며, 튜브히터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튜브히터는 원적외선 튜브히터임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원적외선 튜브히터(530)를 통해 송풍된 고온의 공기는 그레이팅(501)을 통해 살균모듈(500) 내로 유입이되고, 살균모듈(500) 내로 유입된 온풍은 살균모듈(500)내의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시킴으로써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원적외선 튜브히터는 공지된 기술로서, 그 구성 및 작동원리는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가열장치의 예로 세라믹 히터와 원적외선 튜브히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열장치(530)는 오일(oil) 버너 또는 수소연료전지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오일 버너 및 수소연료전지는 공지의 기술로서, 발열을 위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소연료전지는 전기를 생산해내는 과정에서 발열온도가 높게 유지되는데, 그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가열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살균 소독장치는 각각의 모듈이 탈착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운반 및 설치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패널(600)이 제공되며, 진입모듈(300)과, 살균모듈(500), 진출모듈(400)은 상기 베이스 패널(600) 위에 탈착수단(700)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진입모듈(300), 살균모듈(500), 진출모듈(400)은 서로 분리 구성된 독립체로 마련된다.
상기 베이스 패널(600)은 지면에 지지되며, 지면의 평탄도에 관계없이 상기 각 모듈(300,400,500)이 균형있게 설치될 수 있도록 그의 상부는 평평한 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탈착수단(7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모듈들을 베이스 패널 (600)위에 탈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스토퍼홈(710)과, 슬라이드홈부(720)와, 가이드편(730)과, 구속편(7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토퍼홈(710)은 복수의 모듈(300,400,500)이 베이스 패널(600) 위에 안착된 후, 베이스 패널(6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후술하는 구속편(740)이 삽입되기 위한 구성이며, 베이스 패널(600)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드홈부(720)는 복수의 모듈(300,400,500)이 베이스 패널(60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며, 베이스 패널(6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드홈부(720)는 상방으로 개구된 개구부의 폭을 좁게 하여, 가이드편(730)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가이드편(730)은 상기 슬라이드홈부(720)를 따라 이동되면서 각각의 모듈(300,400,500)을 베이스 패널(600)에 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편(730)은 각 모듈(300,400,500)의 저면에 형성되며, 모듈(300,400,50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형성된 네크부(731)와, 이 네크부(731)로부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73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가이드편(730)의 단면 형태는 도 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슬라이드홈부(720)의 단면 형태에 대응된다.
상기 가이드편(730)이 슬라이드홈부(720)를 따라 이동되면서 모듈(300,400,500)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편(730)에는 롤러(733)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라이드홈부(720)를 따라 가이드편(730) 이동시 마찰력을 줄여 모듈(300,400,500)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연장부(732)의 양측면에는 각각 롤러(733)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7330에 대응되는 슬라이드홈부(720)의 양측면에는 롤러홈(721)이 더 형성된다.
다음으로, 구속편(740)은 베이스 패널(600) 위에 배치된 각 모듈(300,400,500)의 유동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속편(740)은 베이스 패널(600)에 설치된 복수의 (300,400,500)모듈 중, 맨 외측에 배치된 모듈(300,400,500)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속편(740)은 진입모듈(300)의 하단부에 설치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구속편(740)은 진입모듈(300)의 하단부에 축결합되며, 그 축을 중심으로 스토퍼홈(710)을 향해 회동된다.
상기 구속편(740)은 'L'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소독장치의 탈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분리된 복수의 모듈, 진입모듈(300), 살균모듈(500), 진출모듈(400)이 제공된다.
먼저, 진출모듈(400)의 가이드편(730)을 슬라이드홈부(720)에 삽입한 후 밀어, 위치를 이동시킨다.
진출모듈(400)은 가이드편(730)의 롤러(733) 구름 동작에 의해, 슬라이드홈부(720)를 따라 유연하게 베이스 패널(600)의 단부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살균모듈(500)의 가이드편(730)을 슬라이드홈부(720)에 삽입한 후 밀어, 위치를 이동시킨다.
살균모듈(500) 역시, 가이드편(730)의 롤러(733) 구름 동작에 의해 슬라이드홈부(720)를 따라 유연하게 이동되어 진출모듈(400)의 측면에 밀착이 된다.
다음으로, 진입모듈(300)의 가이드편(730)을 슬라이드홈부(720)에 삽입한 후 밀어, 위치를 이동시킨다.
진입모듈(300) 역시 가이드편(730)의 롤러(733) 구름 동작에 의해 슬라이드홈부(720)를 따라 유연하게 이동되어 살균모듈(500)의 측면에 밀착이 된다.
이때, 구속편(740)은 베이스 패널(600)의 스토퍼홈(710)에 대응된다.
이후, 구속편(740)을 회동하여 스토퍼홈(710)에 삽입시킴으로써, 살균 소독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설치 장소로의 운반을 위해, 상기 살균 소독장치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한다.
이후, 베이스 패널(600) 및 각 모듈(300,400,500)을 차량에 적재한 후 운반함으로써, 살균 소독장치에 대한 운반 작업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장치는 살균수단으로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이용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인체 외부 뿐만아니라 인체 내부 곳곳에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 룻 있으므로 살균 소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도 거부감이 들지 않기 때문에 심리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분리 가능한 복수의 모듈로 구성됨으로써, 운반 및 설치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감지센서 110 : 진입모듈 감지센서
120 : 진출모듈 감지센서 200 : 제어부
300 : 진입모듈 310 : 진입도어
320,420 : 조명등 330 : 1차 살균수단
400 : 진출모듈 410 : 진출도어
500 : 살균모듈 500a : 가열실
501 : 바닥판(그레이팅) 510 : 입구
520 : 출구 530 : 살균수단(가열장치)
540 : 기밀유지도어 550 : 환기부
560 : 컨트롤부 570 : 편의장비
600 : 베이스 패널 700 : 탈착수단
710 : 스토퍼홈 720 : 슬라이드홈부
721 : 롤러홈 730 : 가이드편
731 : 네크부 732 : 연장부
733 : 롤러 740 : 구속편

Claims (7)

  1. 일측에 마련되며, 외부에서 진입하는 진입공간을 제공하는 진입모듈;
    타측에 마련되며, 외부로 진출하는 진출공간을 제공하는 진출모듈;
    상기 진입모듈과 진출모듈 사이에 설치되되 진입모듈과 통하는 입구 및 진출모듈과 통하는 출구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살균수단이 설치된 살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진입모듈과 진출모듈에는 사람의 진,출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살균수단은,
    살균모듈 안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로 마련되며, 진입모듈 및 진출모듈의 감지센서 감지동작을 통해 ON/OFF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세라믹 히터, 원적외선 튜브 히터, 오일(oil) 버너, 수소연료전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원적외선 튜브 히터, 오일(oil) 버너, 수소연료전지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고, 살균모듈의 하부에는 상기 가열장치가 설치된 가열실이 마련되며,
    상기 살균모듈의 바닥판은 가열실과 통하는 복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잇어서,
    상기 살균모듈의 입구와 출구에는 각각, 진입모듈 및 진출모듈을 개폐하는 기밀유지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기밀유지도어는 살균모듈안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거나, 살균모듈의 살균모드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모듈에는,
    살균모듈 진입 전,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오나이저 및 에어 샤워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모듈, 살균모듈, 진출모듈은 탈착수단을 통해 서로 탈착될 수 있는 분리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모듈, 살균모듈, 진출모듈이 설치되기 위한 베이스 패널이 마련되고,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베이스 패널의 일단부에 형성된 스토퍼홈;
    성기 베이스 패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부;
    상기 진입모듈, 살균모듈, 진출모듈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홈부를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편;
    상기 베이스 패널의 맨외측에 배치되는 모듈에 축 결합되며,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베이스패널의 스토퍼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구속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



KR1020160152588A 2016-11-16 2016-11-16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 KR101885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588A KR101885736B1 (ko) 2016-11-16 2016-11-16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588A KR101885736B1 (ko) 2016-11-16 2016-11-16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955A true KR20180055955A (ko) 2018-05-28
KR101885736B1 KR101885736B1 (ko) 2018-08-07

Family

ID=6245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588A KR101885736B1 (ko) 2016-11-16 2016-11-16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736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567A (ko) * 2017-03-27 2018-10-10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건식 사우나 대인소독장치
CN111962915A (zh) * 2020-08-04 2020-11-20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畜禽养殖场人员智能洗消系统及实现方法
KR102243940B1 (ko) * 2020-06-04 2021-04-23 문경시 차량을 이용한 이동식 방역장치
KR102310722B1 (ko) * 2020-11-16 2021-10-08 박순정 터널식 열소독 방역장치
KR20210123158A (ko) *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대인 소독기
KR20210135866A (ko) * 2020-05-06 2021-11-16 주식회사 솔트앤라이트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KR20210136218A (ko) * 2020-05-06 2021-11-17 주식회사 솔트앤라이트 인스턴트 진단 및 감염 예방을 위한 시큐어 게이트 장치
WO2021241395A1 (ja) * 2020-05-27 2021-12-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燃料電池を用いた排気浄化方法及び燃料電池装置の改造方法
KR102334906B1 (ko) * 2020-12-11 2021-12-03 주식회사 하이젠프로 복합 방역 게이트
KR102341585B1 (ko) * 2020-11-06 2021-12-23 (주)지 메디 복합 공간방역기
KR20220018161A (ko) * 2020-08-06 2022-02-15 주식회사 예술공사 살균성과 편의성 및 이동성이 향상된 감염 방지용 살균부스
KR20220036410A (ko) * 2020-09-14 2022-03-23 차형철 언택트 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 방역 시스템의 제어방법
WO2022080541A1 (ko) *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대인 소독기
KR20220090069A (ko) * 2020-12-22 2022-06-29 정일곤 대인 소독 챔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529B1 (ko) * 2020-03-20 2021-08-03 홍경하 수산 방역 시스템
KR102284406B1 (ko) * 2020-06-03 2021-07-30 신미향 방역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166Y1 (ko) * 2005-10-05 2006-01-20 정상길 행주의 살균 및 건조 기구
KR20110027326A (ko) * 2009-09-10 2011-03-16 윤여생 침 멸균을 위한 휴대용 건열 멸균기
KR20120098250A (ko) * 2011-02-28 2012-09-05 주식회사 상우테크 구제역 인체 소독시스템
KR101263488B1 (ko) 2012-10-26 2013-06-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산 농장용 소독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090961A (ko) * 2012-02-07 2013-08-16 주식회사세진바이오텍 터널형 소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166Y1 (ko) * 2005-10-05 2006-01-20 정상길 행주의 살균 및 건조 기구
KR20110027326A (ko) * 2009-09-10 2011-03-16 윤여생 침 멸균을 위한 휴대용 건열 멸균기
KR20120098250A (ko) * 2011-02-28 2012-09-05 주식회사 상우테크 구제역 인체 소독시스템
KR20130090961A (ko) * 2012-02-07 2013-08-16 주식회사세진바이오텍 터널형 소독장치
KR101263488B1 (ko) 2012-10-26 2013-06-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산 농장용 소독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567A (ko) * 2017-03-27 2018-10-10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건식 사우나 대인소독장치
KR20210123158A (ko) *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대인 소독기
KR20210135866A (ko) * 2020-05-06 2021-11-16 주식회사 솔트앤라이트 감염 예방용 시큐어 게이트를 활용한 방역 관리 시스템
KR20210136218A (ko) * 2020-05-06 2021-11-17 주식회사 솔트앤라이트 인스턴트 진단 및 감염 예방을 위한 시큐어 게이트 장치
WO2021241395A1 (ja) * 2020-05-27 2021-12-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燃料電池を用いた排気浄化方法及び燃料電池装置の改造方法
KR102243940B1 (ko) * 2020-06-04 2021-04-23 문경시 차량을 이용한 이동식 방역장치
CN111962915A (zh) * 2020-08-04 2020-11-20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畜禽养殖场人员智能洗消系统及实现方法
KR20220018161A (ko) * 2020-08-06 2022-02-15 주식회사 예술공사 살균성과 편의성 및 이동성이 향상된 감염 방지용 살균부스
KR20220036410A (ko) * 2020-09-14 2022-03-23 차형철 언택트 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 방역 시스템의 제어방법
WO2022080541A1 (ko) *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대인 소독기
KR102341585B1 (ko) * 2020-11-06 2021-12-23 (주)지 메디 복합 공간방역기
KR102310722B1 (ko) * 2020-11-16 2021-10-08 박순정 터널식 열소독 방역장치
KR102334906B1 (ko) * 2020-12-11 2021-12-03 주식회사 하이젠프로 복합 방역 게이트
KR20220090069A (ko) * 2020-12-22 2022-06-29 정일곤 대인 소독 챔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736B1 (ko) 201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736B1 (ko) 자동감지 센서를 구비한 살균 소독 장치
US10874760B2 (en) Pre-doffing disinfection systems and methods
CN107073146B (zh) 基于紫外的检测和灭菌
JP2020096924A (ja) 殺菌装置
US8784731B2 (en) Foot/footwear sterilization system
KR101263488B1 (ko) 축산 농장용 소독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30101461A1 (en) Foot/Footwear Sterilization System
KR20120113324A (ko) 이동형 방역 소독장치
JP2020078479A (ja) 紫外線照射装置
KR20120098250A (ko) 구제역 인체 소독시스템
KR20150112340A (ko) 살균기능을 갖는 발 건조기
KR20150000852U (ko) 도어 핸들용 손 살균장치
KR20180095145A (ko) Uv-c를 이용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살균을 통한 방제방법
KR102439305B1 (ko) 대인 소독기
KR102207827B1 (ko) 열풍 방식의 고온 건조 소독 장치
US20150343103A1 (en) Uv chamber and method of sanitizing agricultural facilities using the same
KR101917360B1 (ko) 고온 건조식 대인 소독장치
Megalingam et al. App based teleoperated UV disinfectant robot for Covid cause
US20220047765A1 (en) UV Air and Surface Disinfection Apparatus
US20220047732A1 (en) Decontamination of body surfaces and articles with harmless radiation and related methods
KR101121100B1 (ko) 식기 건조 및 살균기
KR20140005500U (ko) 젖병 소독건조기
KR102495943B1 (ko) 언택트 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 방역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20019121A (ko) Uvc 살균 소독장치
KR20190049044A (ko) 열풍 방식의 고온 건조 소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